KR102212305B1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2305B1 KR102212305B1 KR1020200050474A KR20200050474A KR102212305B1 KR 102212305 B1 KR102212305 B1 KR 102212305B1 KR 1020200050474 A KR1020200050474 A KR 1020200050474A KR 20200050474 A KR20200050474 A KR 20200050474A KR 102212305 B1 KR102212305 B1 KR 1022123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cosmetic composition
- concentration
- result
- fermen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녹차, 복숭아꽃, 애엽을 포함한 총 26종의 복합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염, 및 주름 억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이 없으면서도 피부 기능성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미용 분야에서 크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녹차, 복숭아꽃, 애엽을 포함한 총 26종의 복합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염, 및 주름 억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아름다움과 건강한 노화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 노화 억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피부에 노화가 일어나는 현상에는 시간에 따라 발생되는 자연노화와 외부환경에 의한 노화가 포함된다. 피부의 경우 외부환경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태양광이므로 이에 의한 노화현상을 특히 광노화라고 한다. 태양광 중에서 피부에 손상을 일으키는 광선은 자외선인데, 파장이 짧은 자외선 B(280-320㎚)가 피부손상의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자와선에 오랫동안 반복 노출되면 피부는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기며 거칠어지고 노인성 반점이 생기는 등의 변화를 보인다(J. Invest Dermatol.m 1979, 73; 47-53). 광노화된 피부에서는 표피가 두꺼워지고, 진피 상층부에 많은 양의 비정상적인 엘라스틴(elastin)이 축적되고, 진피 콜라겐(collagen)의 양과 구조의 손상이 나타나며 무코다당류(mucipolysaccharide)가 증가한다. 또한 비만세포(mast cell)가 증가하고 조직내 백혈구의 수가 증가하는 등 염증성 반응도 나타난다(J. Am. Acad. dermatol., 1989; 610-613 및 Photochem. Photobiol., 1995; 62; 348-352).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광노화를 예방하고자 하는 의학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조성물이 신규 화학물질의 발견 또는 조합에 관한 것이므로, 민감한 피부에 자극 요인로 작용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일례로서, 히드록시산(Hydroxy Acid) 및 레티노이드는 광손상된 또는 자연적으로 노화된 피부의 외모, 피부 광택, 노화 점 치료 등에서의 개선과 같은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증명되었으나, 이들 성분을 고농도로 적용시 때로 피부 자극, 예를 들면, 도포시 피부 발적 및 찌르는 듯한 감각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부 자극으로부터 안전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어, 제주조릿대로부터 p-쿠마르산을 비롯한 미용 유효 성분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37279호), 쌀뜨물 발효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및 보습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75576호), 및 냉풍 재배 인삼의 뿌리 발효물을 함유하는 전초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86220호) 등의 기술이 공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특정 1-2개의 식물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특정 성분의 대량 확보가 어렵고, 독성 또는 내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식물 추출물보다 항산화, 미백, 항염, 및 주름 억제 기능이 우수하고 피부에 안전한 식물 추출물 기반의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녹차, 복숭아꽃, 애엽을 포함한 총 26종의 복합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이 없으면서도 피부 기능성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미용 분야에서 크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녹차, 복숭아꽃, 애엽을 포함한 총 26종의 복합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염, 및 주름 억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녹차, 복숭아꽃, 애엽을 포함한 총 26종의 복합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염, 및 주름 억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프로판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식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정제수, 프로판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식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녹차잎(다엽)"이란, 여러해살이 상록교목으로 높이 50-150cm이고, 잎은 단단하고 약간 두꺼우며 표면에 광택이 있다. 어린 눈과 잎은 녹차와 홍차를 만드는데 이용하며, 열매로는 기름을 짠다. 꽃은 10-11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1-3개가 달린다. 열매는 삭과이고 둥글며 모가 졌고 다음해 봄부터 자라기 시작하여 가을에 익기 때문에 꽃과 열매를 같은 시기에 볼 수 있다. 열매가 익으면 터져서 갈색의 단단한 종자가 나온다. 번식 방법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직파하면 발아되어 묘목을 얻을 수 있으며, 우수한 품종들은 꺾꽂이로 증식해야만 한다. 차의 일반성분은 퓨린염기류의 알카로이드를 함유하고 카페인을 주로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복숭아꽃(도화)"이란, 장미과의 낙엽활엽소교목으로 높이 5-6m 정도로 자란다. 나무 줄기나 가지에 송진 같은 수지가 들어 있어 상처가 나면 분비된다. 잎은 어긋나고, 끝이 뾰족하고 넓으며 길이 8-15cm 정도로 잎가에는 톱니 모양의 거치가 있고, 잎자루에는 꿀샘이 있다. 꽃은 분홍색이 기본이며 흰색·진홍색도 있고, 섞여서 피기도 한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장이며 보통 홑꽃으로 피지만, 겹꽃·국화꽃 모양으로 피기도 한다. 열매는 핵과로 7-8월에 익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쑥(애엽)"이란,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50-100㎝이고, 식물체에 거미줄 같은 털이 존재한다. 잎은 단엽으로 호생배열이고, 엽신은 다원형으로 길이는 5-10㎝이다. 엽연은 깃털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어린 지상부는 식용으로 국거리, 생즙, 쑥떡, 개떡을 만드는데 사용하고, 잎은 약용으로 지혈과 향균작용 및 복통에 효과가 있다. 뜸으로 사용하면 진통, 진정, 조혈작용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꿀풀(하고초)"이란,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20-30㎝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줄기는 네모짐, 잎은 대생으로 장타원형이고, 길이는 2-5cm이다. 꽃은 5-7월 적자색으로 개화하며, 열매는 분열과로 9-10월 성숙한다. 지상부는 약용으로 고혈압에 유효하며, 어린순은 식용으로 나물로 먹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질경이(차전초)"란, 다년생 초본으로, 잎은 근생엽만 존재하며, 길이는 4-15cm, 폭은 3-8cm으로 평형맥이다. 꽃은 양성화로 6-8월 백색으로 개화한다. 9월경 들과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plantasan, aucubin, plantagin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주조릿대잎"이란, 상록성 목본으로 높이는 10-80㎝, 지름은 3-4㎝의 잎이다. 털이 없고 마디가 도드라진 것이 특징이다. 잎은 타원형 호생으로 길이 7-20㎝, 너비 1.5-2㎝이며, 꽃은 5-6월에 개화하는데, 6-7년 만에 한번 핀다. 한국(제주)에 주로 분포하며, 잎은 관상용으로 심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사철쑥(인진호)"이란,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30-100cm이며, 줄기의 기부는 목질화이다. 잎은 꽃이 피지 않으면 총생, 꽃이 피면 호생이고,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8-9월 녹황색으로 개화한다. 한국(전역),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우수리, 필리핀에 분포하며, scoparone, 6-7-dimethoxy coumarin, β-pine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어린순은 식용하고, 어린싹은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해열, 이뇨, 항균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두충"이란, 낙엽활엽 교목으로 잎은 타원형 호생이고, 길이 5-16㎝, 폭 2-7㎝으로 양면은 거의 무모이다. 꽃은 자웅이주로 화피가 없다. 중국특산으로 약용식물로 들여와 약초농가에서 재식하며 관상용으로 심고 있는 일종의 귀화식물이다. gutta-percha, tannin, flavonoid 화합물, alkaloid를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연꽃(연화)"이란, 다년생 수생식물로 잎은 단엽이고, 물위로 곧게 서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양성화로 7-8월 개화한다. 연꽃에는 nelumbine, ruferine, raffinose, 전분, 단백질, 지방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식용(쌈, 술, 차 등), 약용(열매와 종자-비암과 인후암, 잎-버섯해독)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패랭이꽃(구맥)"이란, 다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밀생, 잎은 대생 배열이며, 꽃은 양성화로 6-8월 개화한다. 주로 관상용으로 심는데, 9월에 여문 씨를 받아서 뿌리면 싹이 잘 튼다. 겨울에는 줄기와 잎이 죽지만 뿌리는 살아남아 이듬해 봄 다시 자라 꽃을 피운다. 전초에는 eugenol·gypsogenic acid, 종자에는 쿠마린·사포닌·알칼로이드 등 사포닌계 성분과 휘발성 정유를 함유하고 있다. 씨앗은 한방에서 '구맥자'라 하여 이뇨, 통경, 부종, 신장결석, 요로감염, 방광염, 방광결석, 신장염 등에 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잇꽃(홍화)"이란, 이집트가 원산지이지만,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재배되던 약용식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약초로 사용해 왔는데, 이시진은 '본초강목'에서 잇꽃이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통증을 제거하며 월경불순의 통경제로 좋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인도·중국·이집트·남유럽·북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재배한다. 홍화라고도 불리는 잇꽃은 처음에는 노란색 꽃으로 피어나서, 꽃이 질 때가 되면 진주홍색의 붉은 꽃으로 변색이 된다. 잇꽃 속에는 Carthamus 황색소가 있어, 옷감 염료로 쓰이거나 과자나 떡 등 음식을 물들이는 데도 쓰였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살구씨(행인)"란, 활엽 소교목으로, 잎은 광타원형 호생이고, 길이 6-8㎝, 폭 4-7㎝이다. 꽃은 4월 연한 홍색으로 개화한다. amygdalin, 지방유, 단백질, 각종 amino acid, amygdalose, prunase, pruans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는 약용으로 쓰이는데, 진해, 항종양작용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국화꽃(감국)"이란,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1m 내외이며, 잎은 난상 원형의 호생이다. 꽃은 9-11월 노란색으로 개화한다. 단맛을 지녔다는 뜻에서 감국이라고 한다. 원예용으로서 화훼나 절화용으로 사용하고, 꽃은 식용으로 국화주, 차로 마시고,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약용으로도 쓰이는데, 종기, 고혈압 등에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대추"란, 낙엽 교목으로, 1마디 위에 작은 다수의 가지가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며, 잎은 호생 단엽이고, 꽃은 양성화로 6월 개화한다. c-AMP가 일반식물보다 1000배이상 다량 함유하며 그외 당류, 유기산 등이 들어 있다. 식용으로서 생식하거나 대추밥, 대추인절미, 대추전병, 대추약밥, 조란(다과)를 만든다. 열매는 약용으로도 쓰이는데 불면증, 신경과민에 진정효과가 있고, 항종양 및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다. 또한 근력강화와 간보호기능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황금"이란,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60㎝, 식물체에 털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며, 꽃은 양성화로 7-8월 자주색으로 개화한다.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몽고, 동부시베리아에서 주로 약용으로 재배하는데, flavonoid계 성분 중 baicalein이 가장 많고 flavonoid 유도체 화합물은 미량 존재한다. 지상부는 식용으로 어린 순을 나물로 식용한다. 뿌리는 약용으로 삼국시대부터 성홍열같은 열병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생강(건강)"이란, 생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열대식물로 단자엽식물강(Monocotyledoneae) 생강목(Zingiberales)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식물이다. 생강은 향신채소로 많이 쓰이는데 생식용, 절임용, 차, 편강 또는 술을 담기도 하며, 약용 및 공업용으로도 쓰인다. 생강의 매운맛인 진저롤·쇼가올은 중추신경계를 진정시키고, 위 등 소화기관을 편안하게 하며, 디푸스와 콜레라균에도 강한 살균 작용을 한다.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떨어뜨려 혈전 형성을 억제하는 데도 일정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감초"란, 민감초(Glycyrrhiza glabra)라고도 하며, 감초속에 속한 식물이다. 이 식물의 뿌리를 리코리스(liquorice)라 하며, 이 뿌리에서 단맛을 추출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삽주(백출)"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식물이며, 해발 500m 이상 산지의 건조한 양지쪽 풀밭에 자란다. 뿌리줄기는 굵고 길며, 마디가 있고 향기가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몇 개 갈라지며, 높이가 30-80cm이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오래된 비대한 뿌리를 '창출', 어린뿌리의 껍질을 벗긴 것을 '백출'이라고 한다. 뿌리줄기에 방향성 정유 1.5%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은 아트락틸론이다. 베타 유데스몰, hyseol은 혼정(混晶)을 이루어 생약 표면에 아주 미세한 결정으로 석출되어 관찰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귤껍질(진피)"이란, 상록활엽 소교목으로, 높이 5m이며, 잎은 피침형 호생이다. 꽃은 6월 백색으로 개화한다. limonene, isopropenyl toluene, vitamin B, C 등을 함유하고 있다. 열매껍질은 약용으로 소화촉진, 이뇨 작용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강황(울금)"이란, 생강과에 속하는 열대 아시아가 원산인 다년생 숙근성 초본 식물로 약용과 관상용으로 각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뿌리는 굵고 튼튼하며 말단이 팽대하여 긴 달걀 모양 덩이뿌리 형태를 이루고 있다. 울금은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없으며, 심, 폐, 간경에 작용하고, 기의 순환을 촉진시키고 울결된 것을 풀어주며 혈액을 서늘하게 하며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동백꽃(산다화)"이란, 상록 활엽 소교목으로 높이는 7m이며, 잎은 단엽으로 호생 배열한다. 꽃은 양성화로 붉은색으로 2-4월 개화한다. 두텁고 윤기있는 잎과 아름다운 꽃이 돋보여 원예 및 조경용으로 이용한다. 꽃은 약용으로 지혈작용이 있고 연고의 재료가 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참마(산약)"란, 참마과 여러해살이 식물로 학명은 Dioscorea japonica이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핀다. 열매는 녹색으로 맺히는데 3개의 날개가 있고, 길이 15mm 내외, 폭 25-30mm이다. 식욕이 감퇴하거나 원기가 부족할 때는 백출(白朮)·연밥·인삼 등과 함께 달여 복용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솔잎(송엽)"이란, 상록성 침엽 교목으로 잎은 2엽 속생이며, 꽃은 암수 한 그루로 5월 개화한다. 휘발성 정유(10% 내외)인 α-pinene 과 수지(90% 내외)인 abietic acid를 주로 함유하고 있다. 수형이 아름다워 원예 및 조경용으로 이용하고, 잎은 식용으로 어린 순을 생식하거나 요구르트를 넣어 솔즙을 만들어 먹는다. 줄기의 마디는 약용으로 관절염 치료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이란, 낙엽 교목으로 잎은 단엽으로 호생 배열하고, 꽃은 단성화로 6월 개화한다. 여러 종류의 flavonoid, 유기산 등을 함유하고 있다. 식용으로 봄에 어린잎을 나물로 먹거나, 열매 오디를 생식한다. 열매는 약용으로 중풍의 예방이나 치료에 사용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쌀"이란, 일년생 초본으로, 높이 50-100㎝, 잎은 길이 30㎝, 폭 3-5㎜이며, 꽃은 8월 개화한다. 열매는 영과로 전분, 단백질, diastase, vitamin B 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열매는 약용으로 건위작용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인삼"이란, 진생(Ginseng)으로도 명명되며, 인삼사포닌의 배당체로서 파낙사디올과 파낙사트리올, β-시토스테롤 및 올레아놀산 등을 함유하고 있다. 인삼의 고유 향기 성분인 파나센(panacen)은 끓는 점이 낮은 부분(60-110℃)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세스퀴테르페노이드계의 화합물이다. 인삼의 줄기와 잎에는 캠페롤, 트리폴림, 파나세노이드 등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함유되어 있다. 또 인삼에는 비타민류로 B복합체와 니코틴산·판토텐산·폴산·비오틴 등이 함유되어 있고, 미량 원소로서 망간·구리·바나듐·코발트·비소·게르마늄·인·알루미늄·니켈 등이 있다. 뿌리는 식용으로 사용하며, 약용으로 원기가 부족한데 사용한다. 백삼과 홍삼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지상부"란, 식물을 구성하는 부분 중 지면(흙) 위로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지상부에 속하는 요소로는 줄기, 잎, 꽃, 수피, 열매 등이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지하부"란, 식물을 구성하는 부분 중 지면(흙) 아래 부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지하부에 속하는 요소로는 뿌리를 의미하고, 상기 뿌리는 무, 당근, 인삼, 칡, 고구마 등의 저장뿌리를 포함한다. 죽순, 토란, 연근 등과 같이 줄기이나 지면 아래 존재하는 경우에도 지하부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추출물"이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천연물을 적절한 용매로 짜내고 여과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한다. 또한,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의 정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발효법 및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득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 추출법은 물, 에탄올,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프로판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항산화"란, 산화를 억제한다는 것으로, 세포의 노화를 억제하는개념이다. 개체의 호흡을 통해 체내로 들어온 산소는 인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것과 동시에 유해한 여분의 산소인 활성산소(Free Radical)를 생성한다. 활성산소는 체내의 정상 세포를 공격하여 노화나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것이 세포의 산화(노화)를 막는 방법이며, 이러한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이 항산화이다.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는 비타민C(키위, 양배추 등에 다량 함유), 비타민E(아몬드, 해바라기씨 등에 다량 함유), 베타카로틴(당근, 토마토 등에 다량 함유), 셀레늄(각종 해산물에 다량 함유됨)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미백"이란, 피부가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멜라닌 세포가 증가하고 그로 인해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과도하게 침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기존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를 엷게 하는 기능을 일컫는다. 이에 따라, 과도한 멜라닌 색소의 침착으로 생기는 기미, 주근깨, 검버섯, 및 흑색종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항염"이란, 염증을 가라앉히고 저항하는 효능을 의미한다. 화장료에 있어서 항염 기능은 피부를 보호하고 안정시키며, 소독과 살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주름"이란, 햇빛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진피 속의 콜라겐섬유, 탄력섬유 등에 변성이 일어나고, 피부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의 탄력이 떨어져 피부가 접히게 되는 현상이다. 피하 지방의 흡수도 주름을 더욱 악화시킨다. 따라서 항주름 또는 주름 억제란 주름의 생성을 지연시키거나, 억제하거나,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항산화를 억제하거나, 염증을 억제하거나, 주름 생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색소침착 및 이로 인한 다른 증세를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항산화, 미백, 항염, 및 주름 억제 효과가 있는 본원의 조성물은 피부 산화, 염증, 색소침착, 또는 주름의 초기증상 또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러한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이란, 피부 피부 산화, 염증, 색소침착, 또는 주름, 및 이로 인한 다른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워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알콜, 옥틸도데칸올, 올레일알콜, 판텐올, 라놀린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녹차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 쑥추출물, 꿀풀추출물, 질경이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사철쑥추출물, 두충추출물, 연꽃추출물, 패랭이꽃추출물, 잇꽃추출물, 살구씨추출물, 국화꽃추출물, 대추추출물, 황금추출물, 생강추출물, 감초추출물, 삽주추출물, 귤껍질추출물, 강황추출물, 동백꽃추출물, 참마추출물, 솔잎추출물, 및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녹차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 쑥추출물, 꿀풀추출물, 질경이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사철쑥추출물, 두충추출물, 연꽃추출물, 패랭이꽃추출물, 잇꽃추출물, 살구씨추출물, 국화꽃추출물, 대추추출물, 황금추출물, 생강추출물, 감초추출물, 삽주추출물, 귤껍질추출물, 강황추출물, 동백꽃추출물, 참마추출물, 솔잎추출물, 또는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은 정제수, 프로판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쌀뜨물 발효배양물, 또는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쌀뜨물 발효배양물은 쌀을 물에 침지시킨 후 수득한 상등액을 효모 균주로 액체발효한 것이며, 상기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은 냉풍삼 지상부를 프로판다이올로 추출한 지상부추출액과 냉풍삼 지하부를 물로 열수 추출한 후 락토바실러스 균주로 발효한 지하부 발효물을 혼합한 것이다.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녹차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 꿀풀추출물, 연꽃추출물, 국화꽃추출물, 솔잎추출물, 쌀뜨물 발효배양물, 및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쑥추출물, 질경이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사철쑥추출물, 두충추출물, 패랭이꽃추출물, 잇꽃추출물, 살구씨추출물, 대추추출물, 황금추출물, 생강추출물, 감초추출물, 삽주추출물, 귤껍질추출물, 강황추출물, 동백꽃추출물, 참마추출물, 및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능성은 피부 항산화, 미백, 항염, 또는 주름 억제인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워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또는 치약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a) 녹차, 복숭아꽃, 쑥, 꿀풀, 질경이, 제주조릿대잎, 사철쑥, 두충, 연꽃, 패랭이꽃, 잇꽃, 살구씨, 국화꽃, 대추, 황금, 생강, 감초, 삽주, 귤껍질, 강황, 동백꽃, 참마, 솔잎, 또는 뽕나무뿌리껍질로부터 정제수, 프로판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녹차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 쑥추출물, 꿀풀추출물, 질경이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사철쑥추출물, 두충추출물, 연꽃추출물, 패랭이꽃추출물, 잇꽃추출물, 살구씨추출물, 국화꽃추출물, 대추추출물, 황금추출물, 생강추출물, 감초추출물, 삽주추출물, 귤껍질추출물, 강황추출물, 동백꽃추출물, 참마추출물, 솔잎추출물, 및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a)단계에서의 추출물 제조는 45-80℃ 온도에서 6-48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c) 쌀뜨물 발효배양물, 또는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쌀뜨물 발효배양물은 쌀을 물에 침지시킨 후 수득한 상등액을 효모 균주로 액체발효한 것이고,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은 냉풍삼 지상부를 프로판다이올로 추출한 지상부추출액과 냉풍삼 지하부를 물로 열수 추출한 후 락토바실러스 균주로 발효한 지하부 발효물을 혼합한 것이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녹차, 복숭아꽃, 애엽을 포함한 총 26종의 복합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이 없으면서도 항산화, 미백, 항염, 및 주름 억제 등 기능성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미용 분야에서 크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기 도 1 내지 도 7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1은 녹차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는 복숭아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은 쑥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4는 꿀풀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5는 질경이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6은 제주조릿대잎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7은 사철쑥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8은 두충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9는 연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0은 패랭이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1은 잇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2는 살구씨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3은 국화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4는 대추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5는 황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6은 생강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7은 감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8은 삽주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9는 귤껍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0은 강황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1은 동백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2는 참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3은 솔잎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4는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5는 녹차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6은 복숭아꽃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7은 쑥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8은 꿀풀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9는 제주조릿대잎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0은 사철쑥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1은 두충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2는 연꽃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3은 살구씨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4는 국화꽃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5는 황금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6은 생강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7은 동백꽃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8은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9는 녹차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0은 복숭아꽃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1은 제주조릿대잎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2는 연꽃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3은 살구씨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4는 황금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5는 감초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6은 동백꽃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7은 솔잎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8은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9는 녹차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0은 제주조릿대잎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1은 연꽃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2는 잇꽃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3은 황금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4는 참마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5는 솔잎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6은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7은 녹차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8은 쑥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9는 사철쑥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60은 패랭이꽃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61은 잇꽃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62는 황금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63은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64는 녹차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이용한 주름 억제 시험 결과이다.
도 65는 연꽃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이용한 주름 억제 시험 결과이다.
도 66은 솔잎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이용한 주름 억제 시험 결과이다.
도 67은 녹차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 꿀풀추출물, 연꽃추출물, 국화꽃추출물, 솔잎추출물, 쌀뜨물 발효배양물, 및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혼합한 8종 복합성분(제조예 1)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68은 녹차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 쑥추출물, 꿀풀추출물, 질경이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사철쑥추출물, 두충추출물, 연꽃추출물, 패랭이꽃추출물, 잇꽃추출물, 살구씨추출물, 국화꽃추출물, 대추추출물, 황금추출물, 생강추출물, 감초추출물, 삽주추출물, 귤껍질추출물, 강황추출물, 동백꽃추출물, 참마추출물, 솔잎추출물, 또는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 쌀뜨물 발효배양물, 및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혼합한 26종 복합성분(제조예 2)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69는 8종 복합성분(제조예 1)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70은 26종 복합성분(제조예 2)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71은 8종 복합성분(제조예 1)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72는 26종 복합성분(제조예 2)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73은 26종 복합성분(제조예 2)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1은 녹차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는 복숭아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은 쑥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4는 꿀풀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5는 질경이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6은 제주조릿대잎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7은 사철쑥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8은 두충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9는 연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0은 패랭이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1은 잇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2는 살구씨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3은 국화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4는 대추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5는 황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6은 생강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7은 감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8은 삽주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19는 귤껍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0은 강황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1은 동백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2는 참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3은 솔잎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4는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5는 녹차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6은 복숭아꽃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7은 쑥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8은 꿀풀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29는 제주조릿대잎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0은 사철쑥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1은 두충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2는 연꽃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3은 살구씨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4는 국화꽃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5는 황금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6은 생강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7은 동백꽃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8은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39는 녹차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0은 복숭아꽃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1은 제주조릿대잎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2는 연꽃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3은 살구씨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4는 황금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5는 감초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6은 동백꽃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7은 솔잎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8은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49는 녹차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0은 제주조릿대잎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1은 연꽃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2는 잇꽃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3은 황금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4는 참마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5는 솔잎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6은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7은 녹차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8은 쑥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59는 사철쑥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60은 패랭이꽃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61은 잇꽃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62는 황금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63은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64는 녹차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이용한 주름 억제 시험 결과이다.
도 65는 연꽃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이용한 주름 억제 시험 결과이다.
도 66은 솔잎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이용한 주름 억제 시험 결과이다.
도 67은 녹차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 꿀풀추출물, 연꽃추출물, 국화꽃추출물, 솔잎추출물, 쌀뜨물 발효배양물, 및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혼합한 8종 복합성분(제조예 1)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68은 녹차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 쑥추출물, 꿀풀추출물, 질경이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사철쑥추출물, 두충추출물, 연꽃추출물, 패랭이꽃추출물, 잇꽃추출물, 살구씨추출물, 국화꽃추출물, 대추추출물, 황금추출물, 생강추출물, 감초추출물, 삽주추출물, 귤껍질추출물, 강황추출물, 동백꽃추출물, 참마추출물, 솔잎추출물, 또는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 쌀뜨물 발효배양물, 및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혼합한 26종 복합성분(제조예 2)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69는 8종 복합성분(제조예 1)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70은 26종 복합성분(제조예 2)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이다.
도 71은 8종 복합성분(제조예 1)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72는 26종 복합성분(제조예 2)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73은 26종 복합성분(제조예 2)의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효과 시험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단일성분 식물 추출물의 제조
하기와 같이 녹차잎(다엽), 복숭아꽃(도화), 쑥(애엽), 꿀풀(하고초), 질경이(차전초), 제주조릿대잎, 사철쑥(인진호), 두충, 연꽃(연화), 패랭이꽃(구맥), 잇꽃(홍화), 살구씨(행인), 국화꽃(감국), 대추, 황금, 생강(건강), 감초, 삽주(백출), 귤껍질(진피), 강황(울금), 동백꽃(산다화), 참마(산약), 솔잎(송엽), 또는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추출물과 쌀뜨물 발효배양물, 및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 녹차추출물
녹차잎(다엽)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2) 복숭아꽃추출물
복숭아꽃(도화)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3) 쑥추출물
쑥(애엽)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4) 꿀풀추출물
꿀풀(하고초)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5) 질경이추출물
질경이(차전초)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6)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제주조릿대잎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7) 사철쑥추출물
사철쑥(인진호)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8) 두충추출물
두충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9) 연꽃추출물
연꽃(연화)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로 45-80℃에서 6-2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10) 패랭이꽃추출물
패랭이꽃(구맥)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11) 잇꽃추출물
잇꽃(홍화)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12) 살구씨추출물
살구씨(행인)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13) 국화꽃추출물
국화꽃(감국)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14) 대추추출물
대추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로 45-80℃에서 6-2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15) 황금추출물
황금은 100-200℃에서 10-30분 동안 초법(炒法)하여 균일하게 볶은 후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로 45-80℃에서 6-2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16) 생강추출물
생강(건강)은 100-200℃에서 10-30분 동안 초법(炒法)하여 균일하게 볶은 후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로 45-80℃에서 6-2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17) 감초추출물
감초은 100-200℃에서 10-30분 동안 초법(炒法)하여 균일하게 볶은 후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로 45-80℃에서 6-2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18) 삽주추출물
삽주(백출)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19) 귤껍질추출물
귤껍질(진피)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20) 강황추출물
강황(울금)은 100-200℃에서 10-30분 동안 초법(炒法)하여 균일하게 볶은 후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로 45-80℃에서 6-2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21) 동백꽃추출물
동백꽃(산다화)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22) 참마추출물
참마(산약)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로 45-80℃에서 6-2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23) 솔잎추출물
솔잎(송엽)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 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24)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의 추출 비는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부인 것을 정제수와 프로판다이올의 혼합용매의 프로판다이올 농도는 10-50%인 용매로 45-80℃의 온도로 6-48 시간 동안 한의학과 동양의학에서 사용해온 전통 추출 소재인 세라믹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25) 쌀뜨물 발효배양물
쌀을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40 중량%를 물에 침지시키고 25℃에서 1-3시간 동안 100-150 rpm으로 교반하여 얻은 상등액을 121℃에서 20분간 고압 멸균하여 수소이온농도 pH 6-8, 고형분 함량 0.1 내지 3.0의 쌀뜨물을 수득하였다. 제조한 쌀뜨물 조제물을 이용한 발효배양물을 제조하기 위해 2-5 L 발효조를 이용하여 멸균한 쌀뜨물 조제물에 갈락토미세스(Galactomyces)속 또는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속 효모 균주를 2-5% 접종하고 2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에서 1-4일간 100-300 rpm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rpm에서 교반하여 액체발효시켰다. 상기 효모균주의 배양이 끝나면 90-121℃에서 5-20분간 가압멸균 후 여과공정을 거쳐 쌀뜨물 발효배양물을 수득하였다.
(26)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
용매 프로판다이올을 지상부와 1:100(v/v)이 되도록 혼합하여 60℃에서 24시간 추출하여 실온 보관하고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이를 지상부 추출물로 명명하였다.
냉풍삼의 뿌리와 증류수를 1:10(w/w) 비율로 혼합하여 60℃에서 2시간 열수추출한 후 121℃/20분간 멸균을 수행하였다. 무균대로 이동하여 1%(v/v)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접종하여 37℃에서 16-20시간 배양한 다음 121℃/20분간 생균을 사멸하여 보관하고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이를 지하부 발효물로 명명하였다.
최종적으로, 다수의 실험결과 지하부 발효추출액과 지상부 열수추출액의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1:0.4(v/v)가 compound K 함유량 및 기타 Rg3, Rb2, F1, F2, Re, Rg1 함유량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지상부 추출물과 지하부 발효물을 1:0.4(v/v)로 배합하여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단일성분 식물 추출물의 피부 항산화, 미백, 항염, 또는 주름 억제 효과 확인
상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녹차잎(다엽), 복숭아꽃(도화), 쑥(애엽), 꿀풀(하고초), 질경이(차전초), 제주조릿대잎, 사철쑥(인진호), 두충, 연꽃(연화), 패랭이꽃(구맥), 잇꽃(홍화), 살구씨(행인), 국화꽃(감국), 대추, 황금, 생강(건강), 감초, 삽주(백출), 귤껍질(진피), 강황(울금), 동백꽃(산다화), 참마(산약), 솔잎(송엽), 또는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추출물, 쌀뜨물 발효배양물, 또는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의 피부 항산화, 미백, 항염, 또는 주름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1. 단일성분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실시예 2-1-1.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확인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well당 0.2 mM DPPH 시약과 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 녹차추출물
녹차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4%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2) 복숭아꽃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5%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3) 쑥추출물
쑥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6%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4) 꿀풀추출물
꿀풀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14%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5) 질경이추출물
질경이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9%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6)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9.6%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7) 사철쑥추출물
사철쑥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2%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8) 두충추출물
두충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5%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9) 연꽃추출물
연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12%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10) 패랭이꽃추출물
패랭이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3.2%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11) 잇꽃추출물
잇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5%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12) 살구씨추출물
살구씨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3%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13) 국화꽃추출물
국화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0%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14) 대추추출물
대추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2.2%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15) 황금추출물
황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4%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16) 생강추출물
생강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16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6%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17) 감초추출물
감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17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7.7%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18) 삽주추출물
삽주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18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08%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19) 귤껍질추출물
귤껍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19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9.5%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20) 강황추출물
강황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20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5%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21) 동백꽃추출물
동백꽃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21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39%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22) 참마추출물
참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2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5.9%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23) 솔잎추출물
솔잎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2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1%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24)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24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5%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1-2.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확인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에 H2O2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Black 96-well plate에 well 당 1.5x104 cell이 되도록 분주한 다음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Overnight 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PBS로 세척하고 H2O2와 DCFH-DA를 처리하여 37℃ microplate reader에서 485 nm에서 excitation, 530 nm에서 emission 파장을 측정하며 5분에 한번씩 30분 동안 측정하였다.
(1) 녹차추출물
녹차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25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55.7%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2) 복숭아꽃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26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21.3%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3) 쑥추출물
쑥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27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14.7%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4) 꿀풀추출물
꿀풀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28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31.8%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5)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29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12.9%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6) 사철쑥추출물
사철쑥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30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38.4%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7) 두충추출물
두충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31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21.7%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8) 연꽃추출물
연꽃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3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20.0%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9) 살구씨추출물
살구씨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3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23.9%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10) 국화꽃추출물
국화꽃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34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15.9%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11) 황금추출물
황금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35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25.9%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12) 생강추출물
생강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36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18.0%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13) 동백꽃추출물
동백꽃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37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32.0%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14)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도 38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30.9%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실시예 2-2. 단일성분 식물 추출물의 미백 효과
실시예 2-2-1. 티로시나아제를 이용한 미백 활성 확인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을 이용하여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well 당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80 μL과 추출물 40 μL 및 Tyrosianse from Mushroom 40 μL를 혼합하여 37℃ 3분간 반응시킨다. 반응 후 5 mM L-DOPA 40 μL 추가한 뒤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 녹차추출물
녹차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결과를 도 39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6.4%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2) 복숭아꽃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결과를 도 40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5.4%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3)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결과를 도 41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8.8%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4) 연꽃추출물
연꽃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결과를 도 4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6%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5) 살구씨추출물
살구씨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결과를 도 4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0%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6) 황금추출물
황금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결과를 도 44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5.7%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7) 감초추출물
감초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결과를 도 45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8.4%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8) 동백꽃추출물
동백꽃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결과를 도 46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2%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9) 솔잎추출물
솔잎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결과를 도 47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3.5%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10)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결과를 도 48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1%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2-2.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활성 확인
B16F1 cell(Mus musculus skin melanoma)에 α-MSH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24-well plate에 well 당 2x104 cell이 되도록 분주한 다음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Overnight 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10% DMSO가 함유된 1 N NaOH를 처리하여 60℃에서 세포 내의 멜라닌을 녹여주었다. 이 액을 96-well plate에 넣어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 녹차추출물
녹차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결과를 도 49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29.4%의 저해율로 미백 효능을 보였다.
(2)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결과를 도 50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22.7%의 저해율로 미백 효능을 보였다.
(3) 연꽃추출물
연꽃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결과를 도 51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45.5%의 저해율로 미백 효능을 보였다.
(4) 잇꽃추출물
잇꽃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결과를 도 5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20.1%의 저해율로 미백 효능을 보였다.
(5) 황금추출물
황금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결과를 도 5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12.5%의 저해율로 미백 효능을 보였다.
(6) 참마추출물
참마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결과를 도 54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21.0%의 저해율로 미백 효능을 보였다.
(7) 솔잎추출물
솔잎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결과를 도 55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32.2%의 저해율로 미백 효능을 보였다.
(8)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결과를 도 56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12.6%의 저해율로 미백 효능을 보였다.
실시예 2-3. 단일성분 식물 추출물의 항염 효과
RAW 264.7 cell(murine macrophage cells)에 염증 유발 물질인 LPS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염증 억제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96-well plate에 well 당 2x105 cell이 되도록 분주한 다음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Overnight 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환해주고 LPS(1 ug/mL)와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 상층액을 취해 13,000 rpm에서 3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 모은 후, Griess 시약과 1:1로 반응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 녹차추출물
녹차추출물의 항염 결과를 도 57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37.9%의 NO 생성 억제 효능을 보였다.
(2) 쑥추출물
쑥추출물의 항염 결과를 도 58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18.2%의 NO 생성 억제 효능을 보였다.
(3) 사철쑥추출물
사철쑥추출물의 항염 결과를 도 59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47.5%의 NO 생성 억제 효능을 보였다.
(4) 패랭이꽃추출물
패랭이꽃추출물의 항염 결과를 도 60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15.5%의 NO 생성 억제 효능을 보였다.
(5) 잇꽃추출물
잇꽃추출물의 항염 결과를 도 61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11.7%의 NO 생성 억제 효능을 보였다.
(6) 황금추출물
황금추출물의 항염 결과를 도 6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16.0%의 NO 생성 억제 효능을 보였다.
(7)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의 항염 결과를 도 6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12.8%의 NO 생성 억제 효능을 보였다.
실시예 2-4. 단일성분 식물 추출물의 주름 억제 효과
100 mM Tris-HCl buffer 130 μL, 2 unit Elastase (Sigma Aldrich) 20 μL를 96-well plate에 넣고 37℃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시료를 각 용매에 희석하여 10 μL씩 넣고 20 mM의 N-Succinyl-Ala-Ala-Ala-pnitroanilide를 40 μL 넣어 총 양이 200 μL가 되도록 하였다.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로 40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 녹차추출물
녹차추출물의 주름 억제 시험 결과를 도 64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Elast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9.7%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2) 연꽃추출물
연꽃추출물의 주름 억제 시험 결과를 도 65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Elast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7%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3) 솔잎추출물
솔잎추출물의 주름 억제 시험 결과를 도 66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Elast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1%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복합성분 식물 추출물의 제조
상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단일성분 식물 추출물 중에서 녹차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 꿀풀추출물, 연꽃추출물, 국화꽃추출물, 솔잎추출물, 쌀뜨물 발효배양물, 및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동량으로 혼합하여 8종 복합성분(제조예 1)을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단일성분 전체, 즉 녹차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 쑥추출물, 꿀풀추출물, 질경이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사철쑥추출물, 두충추출물, 연꽃추출물, 패랭이꽃추출물, 잇꽃추출물, 살구씨추출물, 국화꽃추출물, 대추추출물, 황금추출물, 생강추출물, 감초추출물, 삽주추출물, 귤껍질추출물, 강황추출물, 동백꽃추출물, 참마추출물, 솔잎추출물, 또는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 쌀뜨물 발효배양물, 및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동량으로 혼합하여 26종 복합성분(제조예 2)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복합성분 식물 추출물의 피부 항산화, 미백, 항염, 또는 주름 억제 효과 확인
상시 실시예 3의 제조예 1(8종), 및 제조예 2(26종)의 피부 항산화, 미백, 항염, 또는 주름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4-1. 복합성분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실시예 4-1-1.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확인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well당 0.2 mM DPPH 시약과 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각각 도 67과 도 68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제조예 1과 제조예 2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제조예 1은 6.1%, 제조예 2는 1.3%의 SC50(50% Scavenging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1-2.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확인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에 H2O2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Black 96-well plate에 well 당 1.5x104 cell이 되도록 분주한 다음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Overnight 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PBS로 세척하고 H2O2와 DCFH-DA를 처리하여 37℃ microplate reader에서 485 nm에서 excitation, 530 nm에서 emission 파장을 측정하며 5분에 한번씩 30분 동안 측정하였다.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시험 결과를 각각 도 69과 도 70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제조예 1은 21.1%, 제조예 2는 26.2%의 저해율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실시예 4-2. 복합성분 식물 추출물의 미백 효과
실시예 4-2-1. 티로시나아제를 이용한 미백 활성 확인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을 이용하여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well 당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80 μL과 추출물 40 μL 및 Tyrosianse from Mushroom 40 μL를 혼합하여 37℃ 3분간 반응시킨다. 반응 후 5 mM L-DOPA 40 μL 추가한 뒤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결과를 각각 도 71과 도 7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제조예 1과 제조예 2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제조예 1은 2.8%, 제조예 2는 6.1%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2-2. 피부 흑색종 세포를 이용한 미백 활성 확인
B16F1 cell(Mus musculus skin melanoma)에 α-MSH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24-well plate에 well 당 2x104 cell이 되도록 분주한 다음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Overnight 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10% DMSO가 함유된 1 N NaOH를 처리하여 60℃에서 세포 내의 멜라닌을 녹여주었다. 이 액을 96-well plate에 넣어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2의 멜라닌 생성 억제 결과를 도 7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2% 농도에서 38.0%의 저해율로 미백 효능을 보였다.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항산화 | 미백 | |||
DPPH scavenging activity | Intracellular ROS inhibition activity |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ctivity | |
제조예 1 | ○ | ○ | ○ | - |
SC50: 6.1% | 21.1% | IC50: 2.8% | - | |
제조예 2 | ○ | ○ | ○ | ○ |
SC50: 1.3% | 26.2% | IC50: 6.1% | 38.0%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26종 식물 추출물이 개별적인 각각의 성분으로도 피부 항산화, 미백, 항염, 또는 주름 억제 효과가 있으나, 이들을 복합하여 사용할 경우 그 효과가 더욱 증대되면, 8종 복합보다는 26종 복합에서 더욱 항산화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 녹차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 꿀풀추출물, 연꽃추출물, 국화꽃추출물, 솔잎추출물, 쌀뜨물 발효배양물, 및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또는 미백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은 냉풍삼 지상부를 프로판다이올로 추출한 지상부추출액과 냉풍삼 지하부를 물로 열수 추출한 후 락토바실러스 균주로 발효한 지하부 발효물을 혼합한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추출물, 복숭아꽃추출물, 꿀풀추출물, 연꽃추출물, 국화꽃추출물, 또는 솔잎추출물은 정제수, 프로판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쌀뜨물 발효배양물은 쌀을 물에 침지시킨 후 수득한 상등액을 효모 균주로 액체발효한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쑥추출물, 질경이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사철쑥추출물, 두충추출물, 패랭이꽃추출물, 잇꽃추출물, 살구씨추출물, 대추추출물, 황금추출물, 생강추출물, 감초추출물, 삽주추출물, 귤껍질추출물, 강황추출물, 동백꽃추출물, 참마추출물, 및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워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또는 치약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a) 녹차, 복숭아꽃, 꿀풀, 연꽃, 국화꽃, 및 솔잎으로부터 정제수, 프로판다이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물에 쌀뜨물 발효배양물, 및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또는 미백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냉풍삼 뿌리 발효물 함유 전초추출물은 냉풍삼 지상부를 프로판다이올로 추출한 지상부추출액과 냉풍삼 지하부를 물로 열수 추출한 후 락토바실러스 균주로 발효한 지하부 발효물을 혼합한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의 추출물 제조는 45-80℃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의 추출물 제조는 6-48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c) 쑥추출물, 질경이추출물, 제주조릿대잎추출물, 사철쑥추출물, 두충추출물, 패랭이꽃추출물, 잇꽃추출물, 살구씨추출물, 대추추출물, 황금추출물, 생강추출물, 감초추출물, 삽주추출물, 귤껍질추출물, 강황추출물, 동백꽃추출물, 참마추출물, 및 뽕나무뿌리껍질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쌀뜨물 발효배양물은 쌀을 물에 침지시킨 후 수득한 상등액을 효모 균주로 액체발효한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0474A KR102212305B1 (ko) | 2020-04-27 | 2020-04-27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PCT/KR2021/005230 WO2021221405A1 (ko) | 2020-04-27 | 2021-04-26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N202180001903.XA CN113873997B (zh) | 2020-04-27 | 2021-04-26 | 一种含有植物提取物为活性成分的功能性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0474A KR102212305B1 (ko) | 2020-04-27 | 2020-04-27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2305B1 true KR102212305B1 (ko) | 2021-02-05 |
Family
ID=7455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0474A KR102212305B1 (ko) | 2020-04-27 | 2020-04-27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2305B1 (ko) |
CN (1) | CN113873997B (ko) |
WO (1) | WO2021221405A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21405A1 (ko) * | 2020-04-27 | 2021-11-04 |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N113773910A (zh) * | 2021-09-30 | 2021-12-10 | 梵申兰科技(上海)有限公司 | 一种促进皮肤细胞新生的青蒿精油、白茶精油及它们的组合物 |
KR20220151361A (ko) * | 2021-05-06 | 2022-11-15 |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 'dkmex'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KR20230000893A (ko) * | 2021-06-25 | 2023-01-03 | 코스맥스 차이나. 인코포레이티드 | 항 광노화, 진정 및 쿨링 효과를 가지는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응용 |
KR102581367B1 (ko) * | 2023-01-19 | 2023-09-25 | 주식회사 가인미가그룹 | 피부 탄력 및 주름을 개선하는 리프팅 앰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692059B1 (ko) * | 2023-12-28 | 2024-08-06 | (주)엔비바이오컴퍼니 | 사철쑥 추출물, 갯강활 추출물 및 띠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을 함유한 항산화, 항염증,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세포 보호 효과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88233B (zh) * | 2021-12-02 | 2023-09-01 |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 一种促进老化皮肤新陈代谢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5040458A (zh) * | 2022-07-27 | 2022-09-13 | 广州安若希医药科技有限公司 | 一种抗皱组合物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
CN116196246B (zh) * | 2023-02-27 | 2023-10-17 | 广州宏众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控油、舒缓、清除自由基功效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
CN116549474B (zh) * | 2023-06-07 | 2023-10-20 | 广东植肤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治疗黄褐斑的组合物及其乳膏 |
CN118304245A (zh) * | 2024-04-09 | 2024-07-09 | 诺德溯源(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敏感肌适用的植物防晒组合物及其应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2565A (ko) * | 2010-12-06 | 2012-06-14 |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 항산화능이 우수한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
KR101718465B1 (ko) * | 2016-01-08 | 2017-03-21 | 강희철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 1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한 인삼 발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80111738A (ko) * | 2018-10-01 | 2018-10-11 |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 쌀뜨물 발효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및 보습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190025863A (ko) * | 2019-02-27 | 2019-03-12 | 매일유업 주식회사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90070081A (ko) * | 2017-12-12 | 2019-06-20 | 한국콜마주식회사 | 강황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7148B1 (ko) * | 2007-12-21 | 2010-03-12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제주조릿대로부터 파라-쿠마린산의 정제 방법과 상기파라-쿠마린산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및 약학적 조성물 |
KR20160062401A (ko) * | 2014-11-25 | 2016-06-02 | (주)컬러핑크알앤디 | 밀싹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101805872B1 (ko) * | 2016-01-22 | 2018-01-25 | 배용태 | 엽록소가 제거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CN105861381B (zh) * | 2016-05-17 | 2019-07-12 | 吉林农业大学 | 一种植物乳杆菌发酵人参液方法 |
KR20170143053A (ko) * | 2016-06-17 | 2017-12-29 |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 쌀뜨물 발효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및 보습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180007834A (ko) * | 2016-07-14 | 2018-01-24 | (주)아모레퍼시픽 |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 재생용 조성물 |
KR102212305B1 (ko) * | 2020-04-27 | 2021-02-05 |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2020
- 2020-04-27 KR KR1020200050474A patent/KR1022123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4-26 CN CN202180001903.XA patent/CN113873997B/zh active Active
- 2021-04-26 WO PCT/KR2021/005230 patent/WO202122140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2565A (ko) * | 2010-12-06 | 2012-06-14 |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 항산화능이 우수한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
KR101718465B1 (ko) * | 2016-01-08 | 2017-03-21 | 강희철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 1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한 인삼 발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90070081A (ko) * | 2017-12-12 | 2019-06-20 | 한국콜마주식회사 | 강황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20180111738A (ko) * | 2018-10-01 | 2018-10-11 |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 쌀뜨물 발효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및 보습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190025863A (ko) * | 2019-02-27 | 2019-03-12 | 매일유업 주식회사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21405A1 (ko) * | 2020-04-27 | 2021-11-04 |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20151361A (ko) * | 2021-05-06 | 2022-11-15 |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 'dkmex'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KR102566894B1 (ko) * | 2021-05-06 | 2023-08-14 |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 'dkmex'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KR20230000893A (ko) * | 2021-06-25 | 2023-01-03 | 코스맥스 차이나. 인코포레이티드 | 항 광노화, 진정 및 쿨링 효과를 가지는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응용 |
KR102654331B1 (ko) | 2021-06-25 | 2024-04-04 | 코스맥스 차이나. 인코포레이티드 | 항 광노화, 진정 및 쿨링 효과를 가지는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응용 |
CN113773910A (zh) * | 2021-09-30 | 2021-12-10 | 梵申兰科技(上海)有限公司 | 一种促进皮肤细胞新生的青蒿精油、白茶精油及它们的组合物 |
KR102581367B1 (ko) * | 2023-01-19 | 2023-09-25 | 주식회사 가인미가그룹 | 피부 탄력 및 주름을 개선하는 리프팅 앰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692059B1 (ko) * | 2023-12-28 | 2024-08-06 | (주)엔비바이오컴퍼니 | 사철쑥 추출물, 갯강활 추출물 및 띠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을 함유한 항산화, 항염증,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세포 보호 효과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221405A1 (ko) | 2021-11-04 |
CN113873997B (zh) | 2024-09-06 |
CN113873997A (zh) | 2021-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2305B1 (ko)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68050B1 (ko) |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1805004B1 (ko) |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1405429B1 (ko) | 야생초 화장품 | |
KR101146206B1 (ko) |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1073678B1 (ko) | 한약재를 이용한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87308B1 (ko) |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101829892B1 (ko) |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87113A (ko) | 꽃을 함유하는 화장품 | |
JP2016145233A (ja) | コウゾを含む天然木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の組成物および化粧品 | |
JPH10295325A (ja) | 健康食品 | |
KR101829891B1 (ko) |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37465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2257448B1 (ko) |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977673B1 (ko) |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37412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00092922A (ko) |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69123B1 (ko) |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99368B1 (ko) | 트리트먼트 기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 |
KR102644064B1 (ko) |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680423B1 (ko) | 식물 고주파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KR102208482B1 (ko) |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36150B1 (ko)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 |
KR102119823B1 (ko) | 가새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998684B1 (ko) | 눈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