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084B1 - 강도 및 신장률이 높은 인터레이스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도 및 신장률이 높은 인터레이스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9084B1 KR102219084B1 KR1020190119656A KR20190119656A KR102219084B1 KR 102219084 B1 KR102219084 B1 KR 102219084B1 KR 1020190119656 A KR1020190119656 A KR 1020190119656A KR 20190119656 A KR20190119656 A KR 20190119656A KR 102219084 B1 KR102219084 B1 KR 1022190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wn yarn
- yarn
- partially drawn
- weight
- interlaced composi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8—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unsaturated organic esters, e.g. polyacrylic esters, polyvinyl acetate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레이스 복합사를 제조하기 위한 인터레이싱 장치의 정면 및 측면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레이스 복합사의 단면을 촬영한 SEM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레이스 복합사의 표면을 촬영한 SEM 이미지이다.
구분 | PMMA 함량 (wt%) |
상대적 함량 (중량부) |
방사속도 (mpm) |
섬도 (데니어) |
인장강도 (g/데니어) |
신장률 (%) |
제사성 |
실시예 1 | 0.5 | 0.503 | 4,000 | 101.1 | 2 | 141.2 | ◎ |
실시예 2 | 1 | 1.01 | 4,000 | 100.6 | 2.1 | 208.6 | ◎ |
실시예 3 | 1.5 | 1.52 | 4,000 | 101.3 | 1.9 | 235.1 | ◎ |
실시예 4 | 2 | 2.04 | 4,000 | 102.2 | 1.7 | 242.6 | ◎ |
실시예 5 | 2.5 | 2.56 | 4,500 | 102.7 | 1.8 | 250.9 | ◎ |
실시예 6 | 3 | 3.10 | 5,000 | 101.6 | 1.9 | 263.3 | ◎ |
실시예 7 | 4 | 4.12 | 5,000 | 101.6 | 1.9 | 283.5 | ○ |
실시예 8 | 5 | 5.2 | 5,000 | 101.6 | 1.95 | 293.9 | Х |
비교예 1 | - | - | 4,000 | 100.2 | 3.3 | 109.3 | ◎ |
비교예 2 | 0.5 | 2.56 | 6,000 | 100.4 | 2.3 | 155.1 | △ |
"-"는 그 데이터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
인터레이스 복합사 물성 | |||||||
구분 | 비수 (%) |
RES' 처음길이 |
RES' 나중길이 |
RES' 값 |
LEE' 처음길이 |
LEE' 나중길이 |
LEE' 값 |
실시예 1 | 6.78 | 50.5 | 48.3 | 4.36 | 51.1 | 49.1 | 3.91 |
실시예 2 | 7.73 | 50.9 | 48.8 | 4.13 | 51.3 | 49.2 | 4.09 |
실시예 3 | 7.53 | 50.5 | 48 | 4.95 | 51.3 | 49 | 4.48 |
실시예 4 | 7.83 | 50.3 | 47 | 6.56 | 51 | 48.9 | 4.12 |
실시예 5 | 7.45 | 50.6 | 47.8 | 5.53 | 51.2 | 49 | 4.30 |
실시예 6 | 6.87 | 51.1 | 47.8 | 6.46 | 51 | 49.1 | 3.73 |
실시예 7 | 7.98 | 50.5 | 41 | 18.81 | 51.2 | 49 | 4.30 |
실시예 8 | 8.03 | 51 | 44.9 | 11.96 | 51 | 48.7 | 4.51 |
비교예 1 | 6.78 | 50.5 | 40.2 | 20.40 | 51.1 | 47.9 | 6.26 |
비교예 2 | 8.2 | 50.1 | 40.1 | 19.96 | 51.2 | 49 | 4.30 |
20: 완전연신사 또는 제2 부분연신사
30: 인터레이스 복합사
110: 제1 공급롤러
120: 제2 공급롤러
200: 인터레이싱 장치
210: 롤러 3
220: 롤러 4
Claims (10)
- (1)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주제수지 및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1 부분연신사(Partly Oriented Yarn, POY) 조성물을 방사하여 다공성의 제1 부분연신사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제1 부분연신사를 상기 제1 부분연신사와 상이한 조성을 갖는 다공성의 제2 부분연신사와 합사 및 교락시켜 인터레이스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1) 단계는 하기 관계식 1의 조건을 만족하여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레이스 복합사 제조방법:
[관계식 1]
상기 관계식 1에서, 상기 C는 상기 제1 부분연신사 조성물 내 상기 PMMA 첨가제의 함량을 중량% 단위로 나타낸 것이며, 상기 R은 상기 (1) 단계에서 상기 제1 부분연신사의 방사 속도를 mpm(meters per minute)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방사속도는 3,000 내지 6,000 m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레이스 복합사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MMA 첨가제는 상기 제1 부분연신사 조성물 내에 상기 PET 주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레이스 복합사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1) 상기 제1 부분연신사와 2) 상기 제2 부분연신사를 4:6 내지 5:5의 중량비로 합사 및 교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레이스 복합사 제조방법. - 1) PET 주제수지 및 PMMA 첨가제를 포함하는 다공성의 제1 부분연신사가
2) 다공성의 제2 부분연신사와 합사 및 교락되어 있으되,
상기 제2 부분연신사는 상기 제1 부분연신사와 상이한 조성을 가지며,
신장률이 140% 이상인 인터레이스 복합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MMA 첨가제는 상기 제1 부분연신사 내에 PET 주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레이스 복합사.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 제1 부분연신사와 2) 제2 부분연신사는 4:6 내지 5:5의 중량비로 합사 및 교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레이스 복합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9656A KR102219084B1 (ko) | 2019-09-27 | 2019-09-27 | 강도 및 신장률이 높은 인터레이스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9656A KR102219084B1 (ko) | 2019-09-27 | 2019-09-27 | 강도 및 신장률이 높은 인터레이스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9084B1 true KR102219084B1 (ko) | 2021-02-22 |
Family
ID=7468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9656A Active KR102219084B1 (ko) | 2019-09-27 | 2019-09-27 | 강도 및 신장률이 높은 인터레이스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9084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29536A (ja) * | 1998-10-26 | 2000-05-09 | Teijin Ltd | 捲取性の改善された、高伸度ポリエステル紡出糸の製造方法 |
KR20020007569A (ko) * | 2000-07-18 | 2002-01-29 | 조민호 |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 및 그 제조방법 |
KR20030016880A (ko) * | 2001-08-22 | 2003-03-03 | 주식회사 효성 | 폴리에스터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
KR20120055966A (ko) * | 2010-11-24 | 2012-06-01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농담효과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KR101908901B1 (ko) | 2018-07-11 | 2018-10-16 | 이종만 | Pet 원착사를 이용한 ity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환편 니트 원단 |
-
2019
- 2019-09-27 KR KR1020190119656A patent/KR10221908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29536A (ja) * | 1998-10-26 | 2000-05-09 | Teijin Ltd | 捲取性の改善された、高伸度ポリエステル紡出糸の製造方法 |
KR20020007569A (ko) * | 2000-07-18 | 2002-01-29 | 조민호 |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 및 그 제조방법 |
KR20030016880A (ko) * | 2001-08-22 | 2003-03-03 | 주식회사 효성 | 폴리에스터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
KR20120055966A (ko) * | 2010-11-24 | 2012-06-01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농담효과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KR101908901B1 (ko) | 2018-07-11 | 2018-10-16 | 이종만 | Pet 원착사를 이용한 ity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환편 니트 원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3562B1 (ko) | 섬유의 제조 방법, 섬유 및 섬유로 제조된 원사 | |
KR101801121B1 (ko) |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 |
KR101543113B1 (ko) |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 |
KR101866688B1 (ko) |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
EP0958414B1 (en) | Bicomponent fibers in a sheath-core structure comprising fluoropoly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
KR102219084B1 (ko) | 강도 및 신장률이 높은 인터레이스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
CN114008255A (zh) | 具有良好伸缩性的聚酯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 |
KR101151596B1 (ko) | 이색조 경량직물용 나일론 6/염기성염료 가염형 나일론 6 필라멘트사의 균일혼섬방사방법 | |
CN1092721C (zh) | 高支长丝细聚酯纱的制造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产品 | |
JPS5920775B2 (ja) | コンセンシノセイゾウホウホウ | |
KR101590231B1 (ko) | 연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그 제조방법 | |
JPS59130309A (ja) | 異収縮混繊糸の製造方法 | |
KR100883286B1 (ko) | 필라멘트 재봉사 | |
KR101555098B1 (ko) |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 |
JP4081338B2 (ja) | ポリプロピレン系流体撹乱加工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850628B1 (ko) |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고신축성의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
JP2005179815A (ja) | ポリアミド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及びポリアミド混繊加工糸 | |
JPS6245326B2 (ko) | ||
JPS61113852A (ja) | タイヤ補強用織物 | |
JP2715190B2 (ja) | 長短複合糸の製造方法 | |
JP3346575B2 (ja) | 高フィラメントカウント細フィラメントポリエステル糸の製法 | |
JPH07189058A (ja) | 異染混繊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160080532A (ko) | 원단의 유연성을 개선한 자연스러운 염색 농담차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60914B1 (ko) | 연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 제조방법 | |
JP2003336137A (ja) | ポリエステル異収縮混繊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