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250B1 - 엔드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엔드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3250B1 KR102203250B1 KR1020170161954A KR20170161954A KR102203250B1 KR 102203250 B1 KR102203250 B1 KR 102203250B1 KR 1020170161954 A KR1020170161954 A KR 1020170161954A KR 20170161954 A KR20170161954 A KR 20170161954A KR 102203250 B1 KR102203250 B1 KR 1022032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housing
- bonding plate
- battery module
- present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하우징과 엔드 플레이트 간의 접합에 대한 용접성을 향상시킨 배터리 모듈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이차 전지를 구비하는 셀 어셈블리; 하나 이상의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 상기 셀 어셈블리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모듈 하우징; 및 메인 벽 및 상기 메인 벽의 외주로부터 상기 모듈 하우징이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측벽을 구비한 본체 프레임, 및 일측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접합 플레이트를 구비한 엔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엔드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 하우징과 엔드 플레이트 간의 접합에 대한 용접성을 향상시킨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파우치 외장재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는 적층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많이 이용된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배터리 모듈의 구성에서는 복수의 이차 전지를 수납하는 모듈 하우징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된 전단 플레이트과 후단 플레이트가 구비되었다.
여기서, 모듈 하우징은 일체형으로 제작할 경우, 주로 압출 공법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반면에, 전단 플레이트 및 후단 플레이트는 다양한 부품들이 장착되므로 복잡한 형상으로 구형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주조(die-casting) 공법을 통해 제조되었다.
그러나, 모듈 하우징을 밀폐하기 위해 전단 플레이트 및 후단 플레이트를 모듈 하우징의 단부에 레이저 용접할 경우, 주조 방식으로 제조된 전단 플레이트 및 후단 플레이트는 내부의 불규칙한 기공이 내재해 있으므로, 모듈 하우징과의 용접 중 파열이나 파단이 발생될 수 있고, 내부 균일성이 떨어져 용접 조건 설정이 어려우며 많은 용접 불량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배터리 모듈에 적용된 전단 플레이트 및 후단 플레이트를 프레스 공법을 이용하여 제작할 경우, 복잡한 형상 구현이 어려워 플레이트에 다양한 부품을 장착하거나, 기능을 부여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듈 하우징과 엔드 플레이트 간의 접합에 대한 용접성을 향상시킨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이차 전지를 구비하는 셀 어셈블리;
하나 이상의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 상기 셀 어셈블리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모듈 하우징; 및
메인 벽 및 상기 메인 벽의 외주로부터 상기 모듈 하우징이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측벽을 구비한 본체 프레임, 및 일측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접합 플레이트를 구비한 엔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과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단차를 갖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단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차부와 대면하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단차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고정 돌기가 삽입되도록 내입된 고정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차부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본체부로부터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면이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의 일부위가 매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본체부에는, 외면의 일부위가 내부 방향으로 내입되고 내입된 부위가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된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의 일부가 상기 만입부에 매입되어 매입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만입부는, 상기 단차부와 접하지 않은 상기 본체부의 측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입부는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본체부 중앙에서 양측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배터리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배터리 팩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모듈이 구비한 접합 플레이트는, 측부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을 가진 본체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나의 측벽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합 플레이트가 상기 본체 프레임과의 높은 결합력으로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모듈 하우징의 고정 돌기와 상기 단차부의 고정홈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합 플레이트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면의 정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어, 설치 공정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단차부와 상기 모듈 하우징 간의 용접이 더욱 쉬워져 용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본체 프레임을 주조 공법으로 제조함으로써, 상기 접합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프레임을 강한 결속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 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접합 플레이트 외면에 매입 고정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접합 플레이트가 상기 모듈 하우징에 삽입시, 상기 단차부가 상기 엔드 프레임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접합 플레이트가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모듈 하우징에 형성된 슬릿 또는 용접 가이드 라인은,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단차부와 상기 모듈 하우징 간에 용접 공정시에 열을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단차부까지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용접 공정의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접합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주조 방식으로 제조된 전단 플레이트 또는 후단 플레이트를 모듈 하우징과 용접 결합시킬 경우, 플레이트 내부의 불규칙한 기공이 내재하여, 용접 중 파열이나 파단이 발생되어, 용접 불량을 일으키기 쉬웠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복잡한 구조 형성이 필요한 본체 프레임을 주조 공법으로 형성시키고, 모듈 하우징과의 용접 결합되는 접합 플레이트를 주조로 형성시키는 대신에 프레스 또는 압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모듈 하우징과 엔드 프레임 간의 용접 접합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구성들을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인 접합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모듈 하우징 및 접합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인 접합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인 엔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엔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엔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구성들을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인 접합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모듈 하우징 및 접합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인 접합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인 엔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엔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엔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구성들을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은, 셀 어셈블리(100), 모듈 하우징(220), 및 엔드 프레임(23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셀 어셈블리(100)는, 복수의 이차 전지(1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110)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110)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110)는, 전극 조립체, 전해질 및 파우치 외장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하나 이상의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극 조립체는, 하나의 양극판과 하나의 음극판이 세퍼레이터와 함께 권취된 권취형, 및 다수의 양극판과 다수의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된 스택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파우치 외장재는, 외부 절연층, 금속층 및 내부 접착층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우치 외장재는,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 등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고,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에 의한 전기 화학적 성질에 대한 보완 및 방열성 등을 제고하기 위하여 금속 박막, 이를테면 알루미늄 박막이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알루미늄 박막은,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과 같은 이차 전지(110) 내부의 구성요소나 이차 전지(110) 외부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전기적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절연물질로 형성된 절연층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특히, 파우치 외장재는, 2개의 파우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목한 형태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파우치의 내부 공간에는 전극 조립체가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파우치의 외주면에는 실링부가 구비되어 이러한 실링부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10)는, 전극 리드(1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극 리드(111)에는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가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극 리드(111)는, 파우치 외장재의 전방 또는 후방의 외주변에 위치한 실링부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극 리드(111)는, 이차 전지(110)의 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극 리드(111)가 이차 전지(1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전극 리드(111)가 이차 전지(1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이차 전지(110)에서,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 사이의 간섭이 없게 되어, 전극 리드(111)의 면적을 넓힐 수 있고,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 사이의 용접 공정 등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110)는, 배터리 모듈(200)에 복수 포함되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10)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10)는, F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2개의 넓은 면이 좌우 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부와 하부, 전방 및 후방에는 실링부가 위치하도록 대략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이차 전지(110)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전, 후, 좌, 우, 상, 하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관측자의 위치나 대상의 놓여진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F 방향으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하여, 전, 후, 좌, 우, 상, 하 등의 방향을 구분하여 나타내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110)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셀 어셈블리(100)에는, 본원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이차 전지(110)가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배터리 모듈(200)에 있어서, 외장재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배터리 모듈(200)에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고, 충격이나 물질 등 외부의 다른 물리적인 요소로부터 셀 어셈블리(100)와 같은 내부에 수납된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모듈 하우징(220)을 구성할 경우, 알루미늄의 높은 열 전도성을 이용하여 셀 어셈블리(100)에서 발생된 열을 모듈 하우징(220)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하나 이상의 측벽(220a, 220b, 220c, 220d)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벽(220a, 220b, 220c, 220d)은,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측벽(220a, 220b, 220c, 220d)은, F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셀 어셈블리(100)를 기준으로 상벽(220a), 하벽(220b), 좌측벽(220c) 및 우측벽(220d)을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벽들(220a, 220b, 220c, 220d)은 서로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상기 셀 어셈블리(100)를 수납하도록 상기 측벽(220a, 220b, 220c, 220d)에 의해 한정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공간은, 셀 어셈블리(100)의 외관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대략적인 전체 형상이 직육면체로 형성된 셀 어셈블리(1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상벽(220a) 및 하벽(220b)이 좌측벽(220c) 및 우측벽(220d)과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상벽(220a), 하벽(220b), 좌측벽(220c) 및 우측벽(220d) 중, 하나 이상이 셀 어셈블리(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과 접하도록 내부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측벽(220a, 220b, 220c, 220d)과 셀 어셈블리(100)의 외면이 직접 접촉하는 면적이 커질수록 셀 어셈블리(100)에 생성된 열이 효과적으로 모듈 하우징(220)으로 전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셀 어셈블리(100)의 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과 접하도록 상벽(220a), 하벽(220b), 좌측벽(220c) 및 우측벽(220d)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상기 내부 공간이 양쪽 방향으로 개방된 중공 구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공 구조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될 때, 배터리 모듈(200)의 배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개방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상벽(220a), 하벽(220b), 좌측벽(220c) 및 우측벽(220d)이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된 모노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화된 형태는, 주조 방법 등을 이용해, 하나의 몸체를 구성된 형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상벽(220a), 하벽(220b), 좌측벽(220c) 및 우측벽(220d)의 양 단부들이 서로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하우징(220)은, 전후 방향이 개방되고 상벽(220a), 하벽(220b), 좌측벽(220c) 및 우측벽(220d)의 양 단부들이 서로 연결된 사각 관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배터리 모듈(200)의 충방전시 상기 셀 어셈블리(100)에서 생성된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열 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엔드 프레임(230)은, 본체 프레임(232) 및 접합 플레이트(23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프레임(232)은, 메인 벽(232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벽(232a)은 상하 방향으로 직립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벽(232a)에는 상기 셀 어셈블리(100)와 외부 디바이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이루도록 모듈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프레임(232)은, 상기 메인 벽(232a)의 외주로부터 상기 모듈 하우징(220)이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측벽(233)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 프레임(232)은, F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상기 메인 벽(232a)이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벽(233a), 하측벽(233b), 좌측벽(233c) 및 우측벽(233d)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측벽들(233a, 233b, 233c, 233d)은 서로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본체 프레임(232)은, 배터리 모듈(200)에 있어서, 외장재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 프레임(232)은, 배터리 모듈(200)에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고, 충격이나 물질 등 외부의 다른 물리적인 요소로부터 셀 어셈블리(100)와 같은 내부에 수납된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 프레임(232)은,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는 일측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측벽(233)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 상에서 소정 위치의 좌우 방향의 선을 기준하여, 전방 부위와 후방 부위로 나눌 수 있고,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측벽(233)의 외면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는,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전방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측벽(233)의 외면에 결합 고정될 경우, 후방부는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전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후방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측벽(233)의 외면에 결합 고정될 경우, 전방부는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후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는,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A'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인 접합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는,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측벽(233)과 결합되는 본체부(237)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37)는, 상하면이 측면들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4개의 측벽(233a, 233b, 233c, 233d) 각각에는 4개의 접합 플레이트(236)의 본체부(237)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는, 측부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을 가진 본체부(237)가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하나의 측벽(233)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가 상기 본체 프레임(232)과의 높은 결합력으로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는, 상기 본체부(237)로부터 상기 엔드 프레임(23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단차 구조를 가진 단차부(239)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239)는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부(237)의 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상측벽(233a)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는, 본체부(237) 및 상기 본체부(237)로부터 연장된 단차부(23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차부(239)는 상면이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모듈 하우징 및 접합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 3의 모듈 하우징(220)의 구성과 비교하여, 상기 단차부(239A)와 대면하는 상기 모듈 하우징(220A)의 내면에는, 상기 단차부(239A)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225)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접합 플레이트(236A)는, 상기 도 3의 접합 플레이트(236)의 구성과 비교할 때, 상기 단차부(239A)에는, 상기 모듈 하우징(220A)의 고정 돌기(225)가 삽입되도록 내입된 고정홈(239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모듈 하우징(220A)의 고정 돌기(225)와 상기 단차부(239A)의 고정홈(239a)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가 상기 모듈 하우징(220A)의 내면의 정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어, 설치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돌기(225) 및 상기 고정홈(239a)의 결합 구조는 엔드 프레임(230)이 상기 모듈 하우징(220A)과 결합된 이후에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인 접합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와 함께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A2)는, 상기 단차부(239A2)가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내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A2)의 본체부(237)로부터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내면이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A2)는,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상측벽(233)에 결합될 수 있고, 단차부(239A2)가 상기 본체부(237)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A)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A2)는,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될 경우,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상기 단차부(239A2)가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내면을 상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237)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된 단차부(239A2)는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내면을 가압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단차부(239A2)가 상기 모듈 하우징(220)의 내면에 보다 밀착될 수 있고, 상기 단차부(239A2)와 상기 모듈 하우징(220) 간의 용접이 더욱 쉬워져 용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인 엔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B-B'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엔드 프레임(230)의 본체 프레임(232)은, 주조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주조는, 예를 들면, 다이 주조일 수 있고, 이러한 다이 주조는, 금속 재료를 가열하여 녹인 다음 원하는 모양의 형틀에 주입하여 주물을 제조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조로 본체 프레임(232)을 제조할 경우, 추가적인 다듬질 작업없이 복잡한 구조를 정밀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는, 상기 본체 프레임(232)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을 이용한 제조 방법은,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가, 상기 본체 프레임(232)을 주조하기 위한 금형 내부에 미리 접합 플레이트(236)를 배치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용융된 재료를 상기 금형에 주입한 뒤,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본체부(237)가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측벽(233)과 결합하도록 고화 시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는, 프레스 또는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를 상기 본체 프레임(232)과 함께 인서트 사출 성형할 경우,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용융된 재료의 온도가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외면에 전도되면서,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측벽(233)의 소재와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본체부(237)의 소재가 서로 혼합된 형태로 용융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 프레임(232)에 주조 공법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을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프레스 또는 압출 성형된 접합 플레이트(236)를 상기 본체 프레임(232)과 결합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모듈 하우징(220)과 엔드 프레임(230) 간의 용접 공정에서 발생되는 불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본체부(237)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237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237a)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측벽(233)의 일부가 매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고정홀(237a)은,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본체부(237)와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측벽(233)이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 프레임(232)이 주조 공법을 통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를 인서트 사출 성형할 경우,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고정홀(237a)의 내부에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용융 재료가 매입된 뒤 경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본체부(237)에는 5개의 고정홀(237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홀(237a)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232)의 측벽(233)의 일부위가 매입되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와의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본체 프레임(232)을 주조 공법으로 제조함으로써,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와 상기 본체 프레임(232)을 강한 결속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 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엔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C-C'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B)의 본체부(237B)에는, 외면의 일부위가 내부 방향으로 내입되고 내입된 부위가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된 만입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만입부(235)는,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B)의 본체부(237B)의 일부위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만입부(235)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232B)의 측벽(233)의 일부가 매입되어 매입 고정부(234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B)를 상기 본체 프레임(232B)과 인서트 사출 성형할 경우, 상기 본체 프레임(232B)의 일부가 상기 만입부(235)에 매입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만입부(235)는, 본체부(237B)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됨으로써, 상기 매입 고정부(234B)가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B)의 본체부(237B)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232B)의 측벽(233)과 연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만입부(235)는, 상기 단차부(239B)와 접하지 않은 상기 본체부(237B)의 측단부(238)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만입부(235)는, 상기 단차부(239B)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B)의 본체부(237B)의 측단부(238)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상기 만입부(235)는,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B)의 본체부(237B)의 좌우 방향의 좌 측단부(238c) 및 우 측단부(238d)에 형성될 경우, 상기 매입 고정부(234B)는, 상기 본체 프레임(232B)의 측벽(233)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B)의 좌 측단부(238c) 및 우 측단부(238d)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입부(235)는, 상기 단차부(239B)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인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B)의 본체부(237B)의 전방을 향한 측단부(238)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입 고정부(234B)는, 상기 본체 프레임(232B)의 측벽(233)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B)의 본체부(237B)의 전방을 향한 측단부(238)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매입 고정부(234B)가 상기 본체 프레임(232B)과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B)가 상기 모듈 하우징(220)에 삽입될 경우, 상기 단차부(239B)가 상기 엔드 프레임(230)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B)가 상기 본체 프레임(232B)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엔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D-D'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만입부(235C)는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C)의 본체부(237C) 외표면 중앙에서 좌측단부(238c) 및 우측단부(238d)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입 고정부(234C)는,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C)의 중앙에서 좌측단부(238c) 및 우측단부(238d)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232C)의 측벽(233)과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만입부(235C)는,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C)의 본체부(237C)의 외표면 중앙에서 좌우 방향의 좌측단부(238c) 및 우측단부(238d)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입 고정부(234C)는,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C)의 중앙에서 좌우 방향의 좌측단부(238c) 및 우측단부(238d)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232C)의 측벽(233)과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도 9의 매입 고정부(234C)와 비교하여,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C)의 본체부(237C)의 중앙에 형성된 매입 고정부(234C)는,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C)가 상기 본체 프레임(232C)의 측벽(233)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단차부(239)와 용접되는 상기 모듈 하우징(220B)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복수의 슬릿(2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227)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 또는 상기 모듈 하우징(220B)의 측벽(233)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하우징(220B)의 4개의 측벽(233)의 전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슬릿(22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슬릿(227)은,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단차부(239)와 상기 모듈 하우징(220B) 간에 용접 공정시에 열을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단차부(239)까지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용접 공정의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접합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단차부(239)와 용접되는 상기 모듈 하우징(220C)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용접 가이드 라인(229)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접 가이드 라인(229)은, 상기 모듈 하우징(220C)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나머지 부분 보다 두께가 얇은 부위가 선형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 가이드 라인(229)은, 상기 모듈 하우징(220C)의 측벽(233)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하우징(220C)의 4개의 측벽(233) 각각에 용접 가이드 라인(22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접 가이드 라인(229)이 상기 모듈 하우징(220C)의 측벽(233)의 전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용접 가이드 라인(229)은, 작업자의 용접 공정을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모듈 하우징(220C)의 일부위는 보다 빠르게 상기 접합 플레이트(236)의 단차부(239)와 용접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의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200)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200)을 수납하기 위한 팩 케이스, 배터리 모듈(200)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00: 배터리 모듈 230: 엔드 프레임
100: 셀 어셈블리 232: 본체 프레임
110: 이차 전지 234: 매입 고정부
111: 전극 리드 236: 접합 플레이트
220: 모듈 하우징 237: 본체부
225: 고정 돌기 239: 단차부
237a: 고정홀
100: 셀 어셈블리 232: 본체 프레임
110: 이차 전지 234: 매입 고정부
111: 전극 리드 236: 접합 플레이트
220: 모듈 하우징 237: 본체부
225: 고정 돌기 239: 단차부
237a: 고정홀
Claims (10)
- 복수의 이차 전지를 구비하는 셀 어셈블리;
하나 이상의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 상기 셀 어셈블리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모듈 하우징; 및
메인 벽 및 상기 메인 벽의 외주로부터 상기 모듈 하우징이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측벽을 구비한 본체 프레임, 및 일측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접합 플레이트를 구비한 엔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의 일부와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일부가 서로 혼합된 형태로 용융 접합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측벽으로부터 연장된 일부가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단부 외면을 매입된 형태로 감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과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단차를 갖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단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와 대면하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단차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고정 돌기가 삽입되도록 내입된 고정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본체부로부터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면이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의 일부위가 매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본체부에는, 외면의 일부위가 내부 방향으로 내입되고 내입된 부위가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된 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의 일부가 상기 만입부에 매입되어 매입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는, 상기 단차부와 접하지 않은 상기 본체부의 측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는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본체부 중앙에서 양측단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9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1954A KR102203250B1 (ko) | 2017-11-29 | 2017-11-29 | 엔드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
JP2019562343A JP7038738B2 (ja) | 2017-11-29 | 2018-10-31 | エンドフレームを備え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
US16/494,031 US11374282B2 (en) | 2017-11-29 | 2018-10-31 | Battery module provided with end frame |
EP18883426.1A EP3621129B1 (en) | 2017-11-29 | 2018-10-31 | Battery module provided with end frame |
PL18883426T PL3621129T3 (pl) | 2017-11-29 | 2018-10-31 | Moduł akumulatorowy wyposażony w ramę końcową |
CN201880020213.7A CN110447125B (zh) | 2017-11-29 | 2018-10-31 | 设置有端部框架的电池模块 |
PCT/KR2018/013132 WO2019107764A1 (ko) | 2017-11-29 | 2018-10-31 | 엔드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1954A KR102203250B1 (ko) | 2017-11-29 | 2017-11-29 | 엔드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3109A KR20190063109A (ko) | 2019-06-07 |
KR102203250B1 true KR102203250B1 (ko) | 2021-01-13 |
Family
ID=6666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1954A KR102203250B1 (ko) | 2017-11-29 | 2017-11-29 | 엔드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374282B2 (ko) |
EP (1) | EP3621129B1 (ko) |
JP (1) | JP7038738B2 (ko) |
KR (1) | KR102203250B1 (ko) |
CN (1) | CN110447125B (ko) |
PL (1) | PL3621129T3 (ko) |
WO (1) | WO201910776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90198952A1 (en) * | 2017-12-26 | 2019-06-27 | Sk Innovation Co., Ltd. |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464824B1 (ko) * | 2019-06-25 | 2022-11-0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KR102398574B1 (ko) * | 2019-10-10 | 2022-05-1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KR102480736B1 (ko) * | 2019-10-25 | 2022-12-2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KR20210077415A (ko) | 2019-12-17 | 2021-06-25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 |
KR20210079190A (ko) * | 2019-12-19 | 2021-06-2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WO2021125659A1 (ko) * | 2019-12-19 | 2021-06-2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KR20210129773A (ko) | 2020-04-20 | 2021-10-29 | 주식회사 삼기 | 배터리 모듈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KR20220059678A (ko) * | 2020-11-03 | 2022-05-1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CN112563635B (zh) * | 2020-12-10 | 2023-04-25 | 兰钧新能源科技有限公司 | 电池模组和汽车 |
JP7501454B2 (ja) | 2021-06-11 | 2024-06-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池ケース |
KR20230045376A (ko) * | 2021-09-28 | 2023-04-0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자동차, 및 배터리 모듈의 제조방법 |
CN114447494B (zh) * | 2021-11-25 | 2024-07-26 |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池包及用电装置 |
KR102570792B1 (ko) | 2023-07-13 | 2023-08-28 |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
KR102574499B1 (ko) | 2023-04-10 | 2023-09-06 |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
KR102677972B1 (ko) | 2023-11-22 | 2024-06-25 |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
KR102672157B1 (ko) | 2023-11-22 | 2024-06-05 |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
KR102647909B1 (ko) | 2023-11-22 | 2024-03-15 |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97471B2 (ja) * | 2010-09-30 | 2016-03-30 | 三洋電機株式会社 | 組電池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61954B1 (ko) | 1996-07-13 | 1999-03-30 | 구자홍 | 전기화학식 면역 바이오센서 |
JP2001093497A (ja) | 1999-07-19 | 2001-04-06 | Toshiba Battery Co Ltd | 扁平電池の収容ケ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
JP3719496B2 (ja) | 2000-08-28 | 2005-11-2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軽量ケースの製造方法及び電池ケースの製造方法 |
KR100382917B1 (ko) | 2000-11-28 | 2003-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압축기의 부품 가공조립방법 |
JP2003262192A (ja) | 2002-03-07 | 2003-09-19 | Daikin Ind Ltd | 密閉型圧縮機 |
CN101012523A (zh) | 2007-01-24 | 2007-08-08 | 胡金高 | 无油烟锅专用铝铁锰钛合金 |
US9184425B2 (en) | 2009-01-13 | 2015-11-10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JP2010165879A (ja) | 2009-01-16 | 2010-07-29 | Fujifilm Corp | スクライブ加工装置、及びスクライブ加工方法 |
KR101100993B1 (ko) | 2009-12-17 | 2011-12-2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드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보호회로기판 |
KR101305224B1 (ko) * | 2010-12-28 | 2013-09-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CN103386735B (zh) | 2012-05-08 | 2016-11-23 | 贝尔罗斯(广州)电子部件有限公司 | 一种形成一体组件的方法及所形成的一体组件 |
KR101947831B1 (ko) | 2012-06-14 | 2019-02-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팩 |
KR101965398B1 (ko) | 2012-10-26 | 2019-04-03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리튬이차전지의 셀 탭 커팅장치 및 이를 갖는 전지팩 |
JP5873210B2 (ja) | 2013-02-18 | 2016-03-01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電池ブロック及び二次電池モジュ−ル |
JP5718396B2 (ja) | 2013-03-14 | 2015-05-13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バッテリターミナル |
KR102046122B1 (ko) | 2013-05-21 | 2019-11-19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Pcb접속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전지모듈제작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된 전지모듈 |
JP6103136B2 (ja) | 2014-03-31 | 2017-03-29 | 日本電気株式会社 | 蓄電池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蓄電池装置 |
DE102014011599A1 (de) | 2014-08-02 | 2016-02-04 | Audi Ag | Verfahren zum Fügen zumindest zweier Bauteile |
DE112015005088B4 (de) | 2014-11-10 | 2023-09-21 |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 Batteriemodul |
WO2016204339A1 (en) | 2015-06-19 | 2016-12-22 | Tianjin M&C Electronics Co., Ltd. | Metal 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tal fram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101717545B1 (ko) | 2015-06-19 | 2017-03-17 | 천진엠앤씨전자유한공사 | 압출가공 및 다이캐스팅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금속프레임 |
JP2017027796A (ja) | 2015-07-22 | 2017-02-02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
KR102383192B1 (ko) * | 2015-08-07 | 2022-04-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102065104B1 (ko) * | 2015-09-10 | 2020-01-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
US10658716B2 (en) | 2015-09-24 | 2020-05-19 | Lg Chem, Ltd. | Battery module |
PL3340336T3 (pl) * | 2015-11-05 | 2019-10-31 | Lg Chemical Ltd | Moduł akumulatorowy |
KR101846648B1 (ko) | 2016-03-15 | 2018-04-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접합구조를 갖는 복합재 부품 |
JP2017201587A (ja) | 2016-05-02 | 2017-11-09 | 株式会社東芝 |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CN106654103B (zh) * | 2017-01-20 | 2019-10-22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电池模组端板及电池模组 |
-
2017
- 2017-11-29 KR KR1020170161954A patent/KR10220325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10-31 US US16/494,031 patent/US11374282B2/en active Active
- 2018-10-31 CN CN201880020213.7A patent/CN110447125B/zh active Active
- 2018-10-31 PL PL18883426T patent/PL3621129T3/pl unknown
- 2018-10-31 WO PCT/KR2018/013132 patent/WO2019107764A1/ko unknown
- 2018-10-31 JP JP2019562343A patent/JP7038738B2/ja active Active
- 2018-10-31 EP EP18883426.1A patent/EP36211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97471B2 (ja) * | 2010-09-30 | 2016-03-30 | 三洋電機株式会社 | 組電池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PL3621129T3 (pl) | 2021-11-29 |
EP3621129B1 (en) | 2021-07-07 |
US11374282B2 (en) | 2022-06-28 |
CN110447125A (zh) | 2019-11-12 |
CN110447125B (zh) | 2022-12-27 |
US20210126313A1 (en) | 2021-04-29 |
JP7038738B2 (ja) | 2022-03-18 |
KR20190063109A (ko) | 2019-06-07 |
EP3621129A4 (en) | 2020-07-29 |
WO2019107764A1 (ko) | 2019-06-06 |
JP2020520062A (ja) | 2020-07-02 |
EP3621129A1 (en) | 2020-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3250B1 (ko) | 엔드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 |
KR100824898B1 (ko) | 팩 전지 | |
KR102198848B1 (ko) | 센싱 어셈블리 및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
EP1901365B1 (en) | Battery cell with small groove at surfac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100824873B1 (ko) | 리튬이온 이차전지 | |
EP2498318B1 (en) | Battery pack | |
KR102209769B1 (ko) | 배터리 모듈 | |
US8936860B2 (en) | Battery pack with reinforcing member | |
US10003049B2 (en) |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safety | |
US11342631B2 (en) | Battery module having a bus bar with a main frame and metal plates | |
KR101937943B1 (ko) |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 |
JP7285946B2 (ja) |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 |
KR102057620B1 (ko) | 배터리 모듈 | |
KR20210093637A (ko) | 배터리 모듈 | |
KR20210155786A (ko) | 배터리 팩,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 |
KR102722633B1 (ko) | 버스 바 모듈과 그 제조 방법 | |
KR102088976B1 (ko) | 접속 슬롯부를 구비한 이차전지 팩 | |
KR20170040988A (ko) | 이차전지 팩 | |
KR101118700B1 (ko) | 이차전지 | |
CN220830034U (zh) | 一种电池包 | |
CN220527148U (zh) | 电池芯包、电池模组和电池包 | |
KR101867650B1 (ko) | 만입형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102350769B1 (ko) | 이차 전지 | |
KR20050076067A (ko) | 이차 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