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00032B1 -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032B1
KR102200032B1 KR1020190028963A KR20190028963A KR102200032B1 KR 102200032 B1 KR102200032 B1 KR 102200032B1 KR 1020190028963 A KR1020190028963 A KR 1020190028963A KR 20190028963 A KR20190028963 A KR 20190028963A KR 102200032 B1 KR102200032 B1 KR 102200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iratory diseases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venting
composition
respir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635A (ko
Inventor
최석용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032B1/ko
Priority to PCT/KR2020/003210 priority patent/WO2020184921A1/ko
Publication of KR2020010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Novel compound an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운동성 섬모는 각각 점액 이동, 뇌척수액 순환, 배란된 난자의 이동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데 하나의 세포에 수십 개 혹은 백 개 이상이 동시에 존재한다. 이중체 미세 소관 9개가 동심원 구조를 이루고 중앙에 2개의 미세소관이 존재하는 9+2 축사(axoneme)구조를 지니고 있는데, 노 젓기와 유사한 운동을 한다. 정자의 운동을 담당하는 편모는 운동성 섬모와 동일한 9+2 축사를 기본으로 하는데 한 세포에 하나씩 존재하며 길기가 더 길다.
운동성 섬모는 척추동물의 발생초기에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배(embryo) 표면의 노드(node)라는 웅덩이 모양의 구조에서도 발견된다. 노드의 섬모(nodal cilia)는 한 세포에 한 개씩 존재하는데 중앙에 미세소관이 없는 9+0 축사를 지니며 회전운동을 한다. 노드에서 운동성 섬모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노드 내부에 유체 흐름을 만들어 내는데, 이러한 흐름에 의해 노드로 분비된 신호전달물질의 농도 구배가 형성되고 그 결과 내장기관의 좌우 비대칭적 발달이 유도된다.
비강의 점액층 호흡기 상피세포 또는 기관지 상피세포(tracheal epithelial cell)에 존재하는 운동성 섬모(motile cilia)는 공기 중의 미생물, 독성물질 및 불순물 등의 유해물질을 정렬된 움직임을 통하여 1차적으로 걸러주어 감염증을 억제하는 주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몸을 보호하는 중요한 방어기전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피세포에서 분비하는 점액(mucus)은 공기 중 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점액섬모청소(mucociliary clearance)라고 지칭한다. 운동성 섬모의 점액섬모청소능이 저하되는 경우, 호흡계 감염이 유발될 수 있다. 이를 회복시키기 위해 점액작용제(거담제, expectorants)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점액섬모청소능의 핵심 요소인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키는 촉진제로서의 화합물을 동정하였으며, 상기 화합물이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킴에 있어서 월등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25976182-pat00001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호흡기 질환예방, 치료 및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호흡기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키는 화합물을 동정하고, 이를 호흡기 상피세포에 적용함으로써 상피세포에서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25976182-pat00002
.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25976182-pat00003
.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급성 호흡기 곤란 증후군, 건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 폐쇄성 폐 질환,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원발성 섬모운동이상증(Primary ciliary dyskinesia) 및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호흡기 상피세포의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비강 점막 상피세포 또는 기관지 상피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Foxj1의 활성 강화를 통해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에어로졸, 정맥주사제 및 태블릿(table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0.00005 내지 10.0 uM, 0.00005 내지 8.0 uM, 0.00005 내지 5.0 uM, 0.00005 내지 3.0 uM, 0.0001 내지 10.0 uM, 0.0001 내지 8.0 uM, 0.0001 내지 5.0 uM, 0.0001 내지 3.0 uM, 0.001 내지 10.0 uM, 0.001 내지 8.0 uM, 0.001 내지 5.0 uM, 0.001 내지 3.0 uM, 0.01 내지 10.0 uM, 0.01 내지 8.0 uM, 0.01 내지 5.0 uM, 0.01 내지 3.0 uM, 0.1 내지 10.0 uM, 0.1 내지 8.0 uM, 0.1 내지 5.0 uM, 0.1 내지 3.0 uM, 1.0 내지 10.0 uM, 1.0 내지 8.0 uM, 1.0 내지 5.0 uM, 1.0 내지 3.0 uM, 2.0 내지 10.0 uM, 2.0 내지 8.0 uM, 2.0 내지 5.0 uM 또는 1.0 내지 3.0 uM, 예를 들어, 2.5 uM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합물의 농도는 10.0 uM을 초과하는 경우 독성이 발생할 수 있고, 0.00005 uM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효능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상기 화합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100 내지 400 mg/kg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25976182-pat00004
.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급성 호흡기 곤란 증후군, 건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폐쇄성 폐 질환,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원발성 섬모운동이상증(Primary ciliary dyskinesia) 및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호흡기 상피세포의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비강 점막 상피세포 또는 기관지 상피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Foxj1의 활성 강화를 통해 호흡기 질환의 개선 효과를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0.00005 내지 10.0 uM, 0.00005 내지 8.0 uM, 0.00005 내지 5.0 uM, 0.00005 내지 3.0 uM, 0.0001 내지 10.0 uM, 0.0001 내지 8.0 uM, 0.0001 내지 5.0 uM, 0.0001 내지 3.0 uM, 0.001 내지 10.0 uM, 0.001 내지 8.0 uM, 0.001 내지 5.0 uM, 0.001 내지 3.0 uM, 0.01 내지 10.0 uM, 0.01 내지 8.0 uM, 0.01 내지 5.0 uM, 0.01 내지 3.0 uM, 0.1 내지 10.0 uM, 0.1 내지 8.0 uM, 0.1 내지 5.0 uM, 0.1 내지 3.0 uM, 1.0 내지 10.0 uM, 1.0 내지 8.0 uM, 1.0 내지 5.0 uM, 1.0 내지 3.0 uM, 2.0 내지 10.0 uM, 2.0 내지 8.0 uM, 2.0 내지 5.0 uM 또는 1.0 내지 3.0 uM, 예를 들어, 2.5 uM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합물의 농도는 10.0 uM을 초과하는 경우 독성이 발생할 수 있고, 0.00005 uM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효능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브라피쉬 배아에 HC-2를 처리한 경우 운동성 섬모에서 발현되는 형광 발광 정도를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 사진이다.
도 2는 유전적으로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를 감소시킨 제브라피쉬 배아에 HC-2를 처리한 후 운동성 섬모에서 발현되는 형광 발광 정도를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 사진이다.
도 3은 마우스 호흡기에서 채취한 상피세포에 HC-2를 처리한 경우 운동성 섬모에서 발현되는 형광 발광 정도를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이다.
실시예 1: 운동성 섬모를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운동성 섬모에 대한 촉진제를 동정하기 위하여, 형질전환 제브라피쉬 모델을 이용하였다. 전사인자인 Foxj1a는 운동성 섬모 생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로서, foxj1a 리포터(reporter) 제브라피쉬(Tg(foxj1a:egfp), Grimes DT et al., Zebrafish models of idiopathic scoliosis link cerebrospinal fluid flow defects to spine curvature. Science. 2016 Jun 10;352(6291):1341-4.)가 존재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실험동물로서 야생형 제브라피쉬(대조군 스트레인)는 제브라피쉬 인터네셔널 리소스 센타(Eugene, USA)로부터 얻었고, 종래의 표준절차를 사용하여 유지하였다(Westerfield et al., THE ZEBRAFISH BOOK: A guide for the laboratory use of zebrafish 5 (Danio rerio), 5 ed. University of Oregon Press. 2007).
Pfu DNA 중합효소 및 제한적 엔도뉴클레아제(restriction endonucleases)는 각각 바이오니아(대전, 한국)과 뉴잉글랜드바이오랩(Ipswich, USA)에서 구입하였고,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모든 시약은 시그마-알드리치(St. Louis,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0 hpf의 Tg(foxj1a:egfp) 제브라피쉬 배아를 DMSO에 용해된 10 nM TCDD(catalog number: 48599; Sigma Aldrich)를 갖는 E3 배지(5 mM NaCl, 0.17 mM KCl, 0.33 mM CaCl2·2H2O 및 0.4 mM MgCl2·6H2O, pH 7.2)를 함유한 96-웰 플레이트에 두었다. 각 웰은 3 개의 배아와 200 uL의 배지를 포함하였다.
DMSO에 용해된 8,400종의 소분자 라이브러리(small molecule library, 한국화합물은행)로 HTS를 수행하여 배아 기형이나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8종의 화합물을 동정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을 5 uM씩 개별적으로 웰에 첨가하여 수정 후 2일 된(days post-fertilization; 2 dpf) Tg(foxj1a:egfp) 제브라피쉬 배아에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아에서의 EGFP 발현은 형광 실체 현미경(MZ16 FA, Leica)으로 평가하였다. 히트 화합물(hit compounds) 및 DMSO에 용해된 그 유도체의 효능을 웰 당 세마리의 배아를 함유하는 96-웰 플레이트에서 시험하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적색 사각형 내의 뇌실막세포(ependymal cell)에서 관찰되는 운동성 섬모의 개수가 증가한 경우, 처리한 물질이 운동성 섬모의 길이와 개수를 증가시키고 또한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도 증가시킬 수 있는 화합물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물질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HC-2를 동정하였고, 분자량은 333.395 Da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25976182-pat00005
실시예 2: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가 감소한 제브라피쉬 배아의 준비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가 감소한 동물 모델을 준비하기 위하여, cx43(Connexin-43) 유전자에 대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ntisense oligonucleotide)인 cx43 MO(morphant)를 제작하여 제브라피쉬 야생형(wild-type) 배아에 5 ng 주입함으로써 cx43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 개체를 준비하였다. cx43 MO의 핵산 서열은 하기 표 1과 같다.
서열번호 명칭 서열(5'-3')
1 cx43 안티센스 뉴클레오타이드 TCCCAACGCACTCCAGTCACCCATC
cx43 MO 주입 48시간 후, 상기 배아에 HC-2를 5 uM 처리한 다음 항-아세틸화 α-튜불린(anti-acetylated α-tubulin) 항체(Sigma-Aldrich; Catalog number: T6793)로 면역형광염색하였고, 이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브라피쉬에서 cx43을 녹다운(knock-down)시킨 경우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가 감소하였으며, 상기 cx43 녹다운 제브라피쉬에 HC-2를 처리한 결과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 또한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가 회복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운동성 섬모 촉진 효과의 검증
마우스(C57BL/6 mice)의 기도(trachea)에서 상피세포(mouse tracheal epithelial cells, mTEC)를 분리하여, 증식 배지(PLUS, DMEM/F12)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에 HC-2를 2.5 uM 처리하고 ALI(air-liquid interface) 환경에서 7일 동안 더 배양하였다. 아세틸화 a-튜불린 마우스 단일 클론 항체(acetylated a-tubulin mouse monoclonal antibody, Sigma-Aldrich; Catalog number: T6793, 1:500)를 이용하여 면역형광염색하고, 이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으로 섬모를 관찰하였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마우스 상피세포에 HC-2를 처리한 경우에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 또한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가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Scale bar: 20 uM).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Chonnam University <120> Novel compound an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comprising the same <130> PN190087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x43 antisense oligonucleotide <400> 1 tcccaacgca ctccagtcac ccatc 25

Claims (12)

  1. 삭제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25976182-pat00007
    .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급성 호흡기 곤란 증후군, 건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폐쇄성 폐 질환,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원발성 섬모운동이상증(Primary ciliary dyskinesia) 및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호흡기 상피세포의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Foxj1의 활성 강화를 통해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에어로졸, 정맥주사제 및 태블릿(table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0.00005 내지 10.0 uM 포함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25976182-pat00008
    .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급성 호흡기 곤란 증후군, 건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폐쇄성 폐 질환,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원발성 섬모운동이상증(Primary ciliary dyskinesia) 및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호흡기 상피세포의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인,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Foxj1의 활성 강화를 통해 호흡기 질환의 개선 효과를 달성하는 것인,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0.00005 내지 10.0 uM 포함하는 것인,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90028963A 2019-03-13 2019-03-13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0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63A KR102200032B1 (ko) 2019-03-13 2019-03-13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20/003210 WO2020184921A1 (ko) 2019-03-13 2020-03-06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63A KR102200032B1 (ko) 2019-03-13 2019-03-13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35A KR20200109635A (ko) 2020-09-23
KR102200032B1 true KR102200032B1 (ko) 2021-01-08

Family

ID=7242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963A KR102200032B1 (ko) 2019-03-13 2019-03-13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0032B1 (ko)
WO (1) WO202018492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7025A1 (en) * 2000-01-31 2001-08-09 Pfizer Products Inc. Pyrimidine carboxamides useful as inhibitors of pde4 isozymes
CN101910158A (zh) * 2007-10-25 2010-12-08 阿斯利康(瑞典)有限公司 可用于治疗细胞增殖性病症的吡啶衍生物和吡嗪衍生物
KR100979439B1 (ko) * 2008-04-10 2010-09-02 한국화학연구원 신규 피라졸 및 벤즈옥사졸 치환된 피리딘 유도체 또는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상세포 성장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40292A (ko) * 2012-08-10 2015-04-14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btk) 억제제로서의 헤테로방향족 화합물
WO2015108893A1 (en) * 2014-01-14 2015-07-23 Yale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irway cell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0, 제20권, 페이지 4223-42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921A1 (ko) 2020-09-17
KR20200109635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745B1 (ko)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및 이의 용도
EP356050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digo pulverata levis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20100189827A1 (en) Antiviral composition comprising alnus japonica extracts
CN111467363A (zh) 索非布韦在制备预防和治疗冠状病毒的药物中的应用
US10765655B2 (en) Composition containing monoacetyldiglyceride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KR102597757B1 (ko) 천연물 유래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
KR102200032B1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18351A (ko) 렘데시비르와 면역조절제 병용투여법을 통한 자가면역류마티스 질환 치료용 조성물
CN111467355A (zh) 膦甲酸钠在制备预防和治疗冠状病毒的药物中的应用
CN108309983B (zh) 卡马西平在制备治疗黄病毒属病毒感染的药物中的应用
KR102573565B1 (ko) 플라보노이드 계열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
KR20230096817A (ko) 핵산 유래 뉴클레오사이드 아날로그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551027B1 (ko) 장수진흙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110086473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3cl 프로테아제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2641010B1 (ko) 실미타세르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5550734B2 (ja) シナアブラギリまたはコショウノキの抽出物、またはその分画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抗ウイルス用組成物
KR102433506B1 (ko) 좀쉬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0516059C (zh) 治疗剂
US20240082208A1 (en) Antivi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teroid sulfatase inhibitor
CN111374966B (zh) 米屈肼在制备治疗百草枯中毒的药物的应用及药剂
KR102137147B1 (ko) 벤질 알파-d-갈락토피라노사이드 또는 (-)-세코이소라리시레시놀-9&#39;-o-베타-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125047A (ko)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코르디세핀
CN117338880A (zh) 小儿风热清合剂在制备抗冠状病毒药物上的应用
Kaur et al. Rift Valley Fever in Livestock Wildlife and Humans: A Review
KR101376206B1 (ko) 수수 천연색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박테리아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