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032B1 -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0032B1 KR102200032B1 KR1020190028963A KR20190028963A KR102200032B1 KR 102200032 B1 KR102200032 B1 KR 102200032B1 KR 1020190028963 A KR1020190028963 A KR 1020190028963A KR 20190028963 A KR20190028963 A KR 20190028963A KR 102200032 B1 KR102200032 B1 KR 1022000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piratory diseases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preventing
- composition
- respiratory
- Prior art date
Links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4
- 210000004081 cilia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6010001052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35285 Allergic Seasonal Rhin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06545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25678 Ciliary Motility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03883 Cystic fib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1150108366 Foxj1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13616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39085 Rhinitis allergic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00028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10105 allergic rhin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09267 bronchiecta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09266 primary ciliary dyskines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53 intravenous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1000252212 Danio rerio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101100329834 Danio rerio gja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10000002257 embryonic structur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2000029749 Microtubul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1022875 Microtubul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161 mammalian embryo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688 microtubu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99 mo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100227980 Danio rerio foxj1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34117 Oligonucleo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08091023040 Transcription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40945 Transcription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74 antisense oligo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30 antisense oligonucleotide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424 bronchial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25 immunofluorescent lab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1 maltose and sucrose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20 mucocili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LNAZSHAWQACDHT-XIYTZBAFSA-N (2r,3r,4s,5r,6s)-4,5-dimethoxy-2-(methoxymethyl)-3-[(2s,3r,4s,5r,6r)-3,4,5-trimethoxy-6-(methoxymethyl)oxan-2-yl]oxy-6-[(2r,3r,4s,5r,6r)-4,5,6-trimethoxy-2-(methoxymethyl)oxan-3-yl]oxyoxane Chemical compound CO[C@@H]1[C@@H](OC)[C@H](OC)[C@@H](COC)O[C@H]1O[C@H]1[C@H](OC)[C@@H](OC)[C@H](O[C@H]2[C@@H]([C@@H](OC)[C@H](OC)O[C@@H]2COC)OC)O[C@@H]1COC LNAZSHAWQACDHT-XIYTZBAFSA-N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GUFODBRKLSHSI-UHFFFAOYSA-N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Chemical compound O1C2=CC(Cl)=C(Cl)C=C2OC2=C1C=C(Cl)C(Cl)=C2 HGUFODBRKLSHS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15068 Acacia senegal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91 Acacia seneg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740 C57BL/6 mous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1045 Connexin 4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9241 Connexin 43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84 Gum arab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8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28043 Nucleic acid sequenc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2747 Pfu DNA polym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243 Tub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04 Tub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2 anti-sens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36 aqueou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79 axonem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75 cerebrospinal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8367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72 expect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9 expector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6493 expectorant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20 fert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5 flagell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19 mTEC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44 mal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8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3 microcrystalline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286 microcrystalline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6619 mouse monoclonal antibody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96 natural sweeten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3 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729 nucleot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87 o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70 postfert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321 prophylax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08091008146 restriction endonucle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RMAQACBXLXPBSY-UHFFFAOYSA-N silicic acid Chemical compound O[Si](O)(O)O RMAQACBXLXPB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84 small molecu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100 sperm mo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61 standard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37 trache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61 trans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189 vertebrate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운동성 섬모는 각각 점액 이동, 뇌척수액 순환, 배란된 난자의 이동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데 하나의 세포에 수십 개 혹은 백 개 이상이 동시에 존재한다. 이중체 미세 소관 9개가 동심원 구조를 이루고 중앙에 2개의 미세소관이 존재하는 9+2 축사(axoneme)구조를 지니고 있는데, 노 젓기와 유사한 운동을 한다. 정자의 운동을 담당하는 편모는 운동성 섬모와 동일한 9+2 축사를 기본으로 하는데 한 세포에 하나씩 존재하며 길기가 더 길다.
운동성 섬모는 척추동물의 발생초기에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배(embryo) 표면의 노드(node)라는 웅덩이 모양의 구조에서도 발견된다. 노드의 섬모(nodal cilia)는 한 세포에 한 개씩 존재하는데 중앙에 미세소관이 없는 9+0 축사를 지니며 회전운동을 한다. 노드에서 운동성 섬모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노드 내부에 유체 흐름을 만들어 내는데, 이러한 흐름에 의해 노드로 분비된 신호전달물질의 농도 구배가 형성되고 그 결과 내장기관의 좌우 비대칭적 발달이 유도된다.
비강의 점액층 호흡기 상피세포 또는 기관지 상피세포(tracheal epithelial cell)에 존재하는 운동성 섬모(motile cilia)는 공기 중의 미생물, 독성물질 및 불순물 등의 유해물질을 정렬된 움직임을 통하여 1차적으로 걸러주어 감염증을 억제하는 주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몸을 보호하는 중요한 방어기전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피세포에서 분비하는 점액(mucus)은 공기 중 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점액섬모청소(mucociliary clearance)라고 지칭한다. 운동성 섬모의 점액섬모청소능이 저하되는 경우, 호흡계 감염이 유발될 수 있다. 이를 회복시키기 위해 점액작용제(거담제, expectorants)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점액섬모청소능의 핵심 요소인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키는 촉진제로서의 화합물을 동정하였으며, 상기 화합물이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킴에 있어서 월등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호흡기 질환예방, 치료 및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호흡기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키는 화합물을 동정하고, 이를 호흡기 상피세포에 적용함으로써 상피세포에서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화학식 1>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다:
<화학식 1>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급성 호흡기 곤란 증후군, 건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 폐쇄성 폐 질환,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원발성 섬모운동이상증(Primary ciliary dyskinesia) 및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호흡기 상피세포의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비강 점막 상피세포 또는 기관지 상피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Foxj1의 활성 강화를 통해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에어로졸, 정맥주사제 및 태블릿(table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0.00005 내지 10.0 uM, 0.00005 내지 8.0 uM, 0.00005 내지 5.0 uM, 0.00005 내지 3.0 uM, 0.0001 내지 10.0 uM, 0.0001 내지 8.0 uM, 0.0001 내지 5.0 uM, 0.0001 내지 3.0 uM, 0.001 내지 10.0 uM, 0.001 내지 8.0 uM, 0.001 내지 5.0 uM, 0.001 내지 3.0 uM, 0.01 내지 10.0 uM, 0.01 내지 8.0 uM, 0.01 내지 5.0 uM, 0.01 내지 3.0 uM, 0.1 내지 10.0 uM, 0.1 내지 8.0 uM, 0.1 내지 5.0 uM, 0.1 내지 3.0 uM, 1.0 내지 10.0 uM, 1.0 내지 8.0 uM, 1.0 내지 5.0 uM, 1.0 내지 3.0 uM, 2.0 내지 10.0 uM, 2.0 내지 8.0 uM, 2.0 내지 5.0 uM 또는 1.0 내지 3.0 uM, 예를 들어, 2.5 uM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합물의 농도는 10.0 uM을 초과하는 경우 독성이 발생할 수 있고, 0.00005 uM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효능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상기 화합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100 내지 400 mg/kg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다:
<화학식 1>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급성 호흡기 곤란 증후군, 건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폐쇄성 폐 질환,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원발성 섬모운동이상증(Primary ciliary dyskinesia) 및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호흡기 상피세포의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비강 점막 상피세포 또는 기관지 상피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Foxj1의 활성 강화를 통해 호흡기 질환의 개선 효과를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0.00005 내지 10.0 uM, 0.00005 내지 8.0 uM, 0.00005 내지 5.0 uM, 0.00005 내지 3.0 uM, 0.0001 내지 10.0 uM, 0.0001 내지 8.0 uM, 0.0001 내지 5.0 uM, 0.0001 내지 3.0 uM, 0.001 내지 10.0 uM, 0.001 내지 8.0 uM, 0.001 내지 5.0 uM, 0.001 내지 3.0 uM, 0.01 내지 10.0 uM, 0.01 내지 8.0 uM, 0.01 내지 5.0 uM, 0.01 내지 3.0 uM, 0.1 내지 10.0 uM, 0.1 내지 8.0 uM, 0.1 내지 5.0 uM, 0.1 내지 3.0 uM, 1.0 내지 10.0 uM, 1.0 내지 8.0 uM, 1.0 내지 5.0 uM, 1.0 내지 3.0 uM, 2.0 내지 10.0 uM, 2.0 내지 8.0 uM, 2.0 내지 5.0 uM 또는 1.0 내지 3.0 uM, 예를 들어, 2.5 uM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합물의 농도는 10.0 uM을 초과하는 경우 독성이 발생할 수 있고, 0.00005 uM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효능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 또는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브라피쉬 배아에 HC-2를 처리한 경우 운동성 섬모에서 발현되는 형광 발광 정도를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 사진이다.
도 2는 유전적으로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를 감소시킨 제브라피쉬 배아에 HC-2를 처리한 후 운동성 섬모에서 발현되는 형광 발광 정도를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 사진이다.
도 3은 마우스 호흡기에서 채취한 상피세포에 HC-2를 처리한 경우 운동성 섬모에서 발현되는 형광 발광 정도를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 사진이다.
도 2는 유전적으로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를 감소시킨 제브라피쉬 배아에 HC-2를 처리한 후 운동성 섬모에서 발현되는 형광 발광 정도를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 사진이다.
도 3은 마우스 호흡기에서 채취한 상피세포에 HC-2를 처리한 경우 운동성 섬모에서 발현되는 형광 발광 정도를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이다.
실시예 1: 운동성 섬모를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운동성 섬모에 대한 촉진제를 동정하기 위하여, 형질전환 제브라피쉬 모델을 이용하였다. 전사인자인 Foxj1a는 운동성 섬모 생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로서, foxj1a 리포터(reporter) 제브라피쉬(Tg(foxj1a:egfp), Grimes DT et al., Zebrafish models of idiopathic scoliosis link cerebrospinal fluid flow defects to spine curvature. Science. 2016 Jun 10;352(6291):1341-4.)가 존재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실험동물로서 야생형 제브라피쉬(대조군 스트레인)는 제브라피쉬 인터네셔널 리소스 센타(Eugene, USA)로부터 얻었고, 종래의 표준절차를 사용하여 유지하였다(Westerfield et al., THE ZEBRAFISH BOOK: A guide for the laboratory use of zebrafish 5 (Danio rerio), 5 ed. University of Oregon Press. 2007).
Pfu DNA 중합효소 및 제한적 엔도뉴클레아제(restriction endonucleases)는 각각 바이오니아(대전, 한국)과 뉴잉글랜드바이오랩(Ipswich, USA)에서 구입하였고,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모든 시약은 시그마-알드리치(St. Louis,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0 hpf의 Tg(foxj1a:egfp) 제브라피쉬 배아를 DMSO에 용해된 10 nM TCDD(catalog number: 48599; Sigma Aldrich)를 갖는 E3 배지(5 mM NaCl, 0.17 mM KCl, 0.33 mM CaCl2·2H2O 및 0.4 mM MgCl2·6H2O, pH 7.2)를 함유한 96-웰 플레이트에 두었다. 각 웰은 3 개의 배아와 200 uL의 배지를 포함하였다.
DMSO에 용해된 8,400종의 소분자 라이브러리(small molecule library, 한국화합물은행)로 HTS를 수행하여 배아 기형이나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8종의 화합물을 동정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을 5 uM씩 개별적으로 웰에 첨가하여 수정 후 2일 된(days post-fertilization; 2 dpf) Tg(foxj1a:egfp) 제브라피쉬 배아에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아에서의 EGFP 발현은 형광 실체 현미경(MZ16 FA, Leica)으로 평가하였다. 히트 화합물(hit compounds) 및 DMSO에 용해된 그 유도체의 효능을 웰 당 세마리의 배아를 함유하는 96-웰 플레이트에서 시험하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적색 사각형 내의 뇌실막세포(ependymal cell)에서 관찰되는 운동성 섬모의 개수가 증가한 경우, 처리한 물질이 운동성 섬모의 길이와 개수를 증가시키고 또한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도 증가시킬 수 있는 화합물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물질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HC-2를 동정하였고, 분자량은 333.395 Da였다.
<화학식 1>
실시예 2: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가 감소한 제브라피쉬 배아의 준비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가 감소한 동물 모델을 준비하기 위하여, cx43(Connexin-43) 유전자에 대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ntisense oligonucleotide)인 cx43 MO(morphant)를 제작하여 제브라피쉬 야생형(wild-type) 배아에 5 ng 주입함으로써 cx43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 개체를 준비하였다. cx43 MO의 핵산 서열은 하기 표 1과 같다.
서열번호 | 명칭 | 서열(5'-3') |
1 | cx43 안티센스 뉴클레오타이드 | TCCCAACGCACTCCAGTCACCCATC |
cx43 MO 주입 48시간 후, 상기 배아에 HC-2를 5 uM 처리한 다음 항-아세틸화 α-튜불린(anti-acetylated α-tubulin) 항체(Sigma-Aldrich; Catalog number: T6793)로 면역형광염색하였고, 이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브라피쉬에서 cx43을 녹다운(knock-down)시킨 경우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가 감소하였으며, 상기 cx43 녹다운 제브라피쉬에 HC-2를 처리한 결과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 또한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가 회복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운동성 섬모 촉진 효과의 검증
마우스(C57BL/6 mice)의 기도(trachea)에서 상피세포(mouse tracheal epithelial cells, mTEC)를 분리하여, 증식 배지(PLUS, DMEM/F12)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에 HC-2를 2.5 uM 처리하고 ALI(air-liquid interface) 환경에서 7일 동안 더 배양하였다. 아세틸화 a-튜불린 마우스 단일 클론 항체(acetylated a-tubulin mouse monoclonal antibody, Sigma-Aldrich; Catalog number: T6793, 1:500)를 이용하여 면역형광염색하고, 이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으로 섬모를 관찰하였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마우스 상피세포에 HC-2를 처리한 경우에 운동성 섬모의 길이 및 개수, 또한 운동성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수가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Scale bar: 20 uM).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Chonnam University
<120> Novel compound an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comprising the same
<130> PN190087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x43 antisense oligonucleotide
<400> 1
tcccaacgca ctccagtcac ccatc 25
Claims (12)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급성 호흡기 곤란 증후군, 건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폐쇄성 폐 질환,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원발성 섬모운동이상증(Primary ciliary dyskinesia) 및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호흡기 상피세포의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Foxj1의 활성 강화를 통해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에어로졸, 정맥주사제 및 태블릿(table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0.00005 내지 10.0 uM 포함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급성 호흡기 곤란 증후군, 건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폐쇄성 폐 질환,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원발성 섬모운동이상증(Primary ciliary dyskinesia) 및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호흡기 상피세포의 운동성 섬모의 길이 또는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인,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Foxj1의 활성 강화를 통해 호흡기 질환의 개선 효과를 달성하는 것인,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0.00005 내지 10.0 uM 포함하는 것인,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8963A KR102200032B1 (ko) | 2019-03-13 | 2019-03-13 |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CT/KR2020/003210 WO2020184921A1 (ko) | 2019-03-13 | 2020-03-06 |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8963A KR102200032B1 (ko) | 2019-03-13 | 2019-03-13 |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9635A KR20200109635A (ko) | 2020-09-23 |
KR102200032B1 true KR102200032B1 (ko) | 2021-01-08 |
Family
ID=7242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8963A KR102200032B1 (ko) | 2019-03-13 | 2019-03-13 |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0032B1 (ko) |
WO (1) | WO2020184921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57025A1 (en) * | 2000-01-31 | 2001-08-09 | Pfizer Products Inc. | Pyrimidine carboxamides useful as inhibitors of pde4 isozymes |
CN101910158A (zh) * | 2007-10-25 | 2010-12-08 | 阿斯利康(瑞典)有限公司 | 可用于治疗细胞增殖性病症的吡啶衍生物和吡嗪衍生物 |
KR100979439B1 (ko) * | 2008-04-10 | 2010-09-02 | 한국화학연구원 | 신규 피라졸 및 벤즈옥사졸 치환된 피리딘 유도체 또는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상세포 성장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KR20150040292A (ko) * | 2012-08-10 | 2015-04-14 |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btk) 억제제로서의 헤테로방향족 화합물 |
WO2015108893A1 (en) * | 2014-01-14 | 2015-07-23 | Yale University |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irway cells |
-
2019
- 2019-03-13 KR KR1020190028963A patent/KR1022000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3-06 WO PCT/KR2020/003210 patent/WO202018492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0, 제20권, 페이지 4223-422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84921A1 (ko) | 2020-09-17 |
KR20200109635A (ko) | 2020-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4745B1 (ko) |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
EP3560506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digo pulverata levis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 |
US20100189827A1 (en) | Antiviral composition comprising alnus japonica extracts | |
CN111467363A (zh) | 索非布韦在制备预防和治疗冠状病毒的药物中的应用 | |
US10765655B2 (en) | Composition containing monoacetyldiglyceride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
KR102597757B1 (ko) | 천연물 유래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 | |
KR102200032B1 (ko) |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30018351A (ko) | 렘데시비르와 면역조절제 병용투여법을 통한 자가면역류마티스 질환 치료용 조성물 | |
CN111467355A (zh) | 膦甲酸钠在制备预防和治疗冠状病毒的药物中的应用 | |
CN108309983B (zh) | 卡马西平在制备治疗黄病毒属病毒感染的药物中的应用 | |
KR102573565B1 (ko) | 플라보노이드 계열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 | |
KR20230096817A (ko) | 핵산 유래 뉴클레오사이드 아날로그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 |
KR102551027B1 (ko) | 장수진흙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 |
KR20110086473A (ko) |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3cl 프로테아제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 |
KR102641010B1 (ko) | 실미타세르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JP5550734B2 (ja) | シナアブラギリまたはコショウノキの抽出物、またはその分画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抗ウイルス用組成物 | |
KR102433506B1 (ko) | 좀쉬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CN100516059C (zh) | 治疗剂 | |
US20240082208A1 (en) | Antivi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teroid sulfatase inhibitor | |
CN111374966B (zh) | 米屈肼在制备治疗百草枯中毒的药物的应用及药剂 | |
KR102137147B1 (ko) | 벤질 알파-d-갈락토피라노사이드 또는 (-)-세코이소라리시레시놀-9'-o-베타-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060125047A (ko) |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코르디세핀 | |
CN117338880A (zh) | 小儿风热清合剂在制备抗冠状病毒药物上的应用 | |
Kaur et al. | Rift Valley Fever in Livestock Wildlife and Humans: A Review | |
KR101376206B1 (ko) | 수수 천연색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박테리아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