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727B1 - 펌프 장치 - Google Patents
펌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6727B1 KR102206727B1 KR1020167000466A KR20167000466A KR102206727B1 KR 102206727 B1 KR102206727 B1 KR 102206727B1 KR 1020167000466 A KR1020167000466 A KR 1020167000466A KR 20167000466 A KR20167000466 A KR 20167000466A KR 102206727 B1 KR102206727 B1 KR 1022067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mp
- working fluid
- cyclone
- centrifugal
- suction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06—Multi-stage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12—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F04D13/14—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the pumps being all of centrifugal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16—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storage reservoi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3—Shaf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7/00—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D7/02—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 F04D7/04—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 F04D7/045—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with means for comminuting, mixing stirring or otherwise tr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01—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02—Preventing vapour lock by means in the very pump
- F04D9/003—Preventing vapour lock by means in the very pump separating and removing the vapou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02F1/3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by centrifuging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yclon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물질이 혼입된 작동 유체(예를 들어, 세정 및 기계 냉각수 등의 액체)에서 이물질(예를 들어, 절삭 칩, 먼지 등)을 분리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또한, 작동 유체의 유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펌프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작동 유체 저장부보다 위쪽에 마련된 제 1 펌프와,
제 1 펌프의 회전축과 동심의 회전축을 가지면서 또한 제 1 펌프 흡입구보다 아래쪽에 마련된 제 2 펌프를 포함하며,
제 2 펌프보다 위쪽에 한편으로는 제 1 펌프 흡입구보다 아래쪽 영역에 작동 유체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원심 분리 여과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원심 분리 여과 장치는 제 2 펌프 측의 안지름이 큰 제 1 펌프 측의 안지름이 작아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는 제 2 펌프에서 토출된 작동 유체가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 내에 직접 유입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원심 분리 여과 장치의 중심축을 따라 제 1 펌프의 흡입용 배관이 제 2 펌프 근방까지 연장하고, 해당 흡입용 배관은 제 1 펌프의 흡입구에 연통하고,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의 제 1 펌프 측 단부 근방에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펌프의 회전축과 동심의 회전축을 가지면서 또한 제 1 펌프 흡입구보다 아래쪽에 마련된 제 2 펌프를 포함하며,
제 2 펌프보다 위쪽에 한편으로는 제 1 펌프 흡입구보다 아래쪽 영역에 작동 유체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원심 분리 여과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원심 분리 여과 장치는 제 2 펌프 측의 안지름이 큰 제 1 펌프 측의 안지름이 작아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는 제 2 펌프에서 토출된 작동 유체가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 내에 직접 유입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원심 분리 여과 장치의 중심축을 따라 제 1 펌프의 흡입용 배관이 제 2 펌프 근방까지 연장하고, 해당 흡입용 배관은 제 1 펌프의 흡입구에 연통하고,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의 제 1 펌프 측 단부 근방에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펌프에 관한 것으로, 이물질이 혼입된 작동 유체(예를 들어, 세척수 및 공작 기계 냉각수 등의 액체)로부터 이물질(예를 들어, 절삭 칩 : 부스러기)을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펌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펌프 장치로서, 정기적인 유지 보수가 필요 없고, 경량, 소형 펌프 장치로, 용적형 펌프와, 비용적형 펌프와, 제 1 사이클론 및 제 2 사이클론을 설치하며, 제 1 사이클론 및 제 2 사이클론은 분리된 이물질 (절삭 칩 등)을 배출하는 기구 (배출구)를 설치하고 있으며, 비용적형 펌프의 토출 유량은 상기 용적형 펌프의 토출 유량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용적형 펌프와 상기 사이클론 필터와 상기 비용적형 펌프와는 수직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결하여 배치되어 있는 펌프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관련 펌프 장치(특허 문헌 1)는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요즘, 공작 기계 냉각수 처리의 대유량화의 요청이 존재한다. 그에 대하여, 상술한 펌프 장치에서는 이른바 "트로코이드 펌프(기어 펌프)"와 같은 용적형 펌프에 의해 작동 유체를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그 처리 유량이 적어, 냉각수 처리의 대유량화의 요청에 부응 하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물질이 혼입된 작동 유체(예를 들어, 세척수 및 공작 기계 냉각수 등의 액체)로부터 이물질(예를 들어, 절삭 칩, 먼지 등)을 분리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또한, 작동 유체의 대유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펌프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펌프 장치는, 작동 유체(예를 들어, 냉각수) 저장부(예를 들어, 냉각수 탱크)보다 위쪽에 설치된 제 1 펌프(5 : 예를 들어, 임펠러를 가진 원심 펌프)와, 제 1 펌프(5)의 회전축(8)과 동심의 회전축을 가지면서 또한 제 1 펌프(5)의 흡입구(5i)보다도 아래쪽(상류 측)에 설치된 제 2 펌프(예를 들어, 임펠러와 같은 원심 펌프 : 바닥 흡입 임펠러 1)를 포함하며, 제 2 펌프(1)보다도 위쪽에 또한 제 1 펌프(5)의 흡입구(5i)보다도 아래쪽의 영역에 작동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원심분리 여과장치(3)는 제 2 펌프(1) 측(아래쪽)의 안지름(D3)이 크게, 제 1 펌프(5) 측(위쪽)의 안지름(d3)이 작아지도록 배치되면서 또한,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3)는 제 2 펌프(1)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가 해당 원심분리 여과장치(3의 안지름이 큰 쪽의 영역 또는 제 2 펌프(1) 측의 영역) 내에 직접 유입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원심분리 여과장치(3)의 중심축을 따라(상하방향으로) 제 1 펌프(5)의 흡입용 배관(청정액 흡입관 31)이 제 2 펌프(1) 근방까지 연장하고 있으며, 해당(제 1 펌프(5)의) 흡입용 배관(31)은 제 1 펌프(5)의 흡입구(5i)에 연통하고,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3)의 제 1 펌프(5) 측(위쪽) 단부 근방에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배출구(3o)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는 제 2 펌프(1)보다도 위쪽에, 한편으로는 제 1 펌프(5)의 흡입구(5i)보다도 아래쪽 영역에 1개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3)의 제 1 펌프(5) 측(위쪽) 단부 근방에 설치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배출구(3o)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유로(9)를 통하여 이물질 배출구(68H)에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펌프(5)의 흡입용 배관(청정액 흡입관 31)은 중심축 방향(상하방향)에 안내부재(31B)가 연장하고 있으며, 해당 안내부재(31B)는 제 2 펌프 측(아래쪽) 영역(L1)은 나선형으로 연장하고, 제 1 펌프 측(위쪽) 영역(L2)은 직선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의 제 1 펌프(5) 측(위쪽)의 단부에는 원뿔형 사다리꼴부재(콘부재 32)(원뿔의 꼭지점 부위를 수평으로 절단한 형태의 형상)가 설치되며, 그것의 원뿔형의 꼭지점 측, 즉 작은 직경부 쪽이 이 제 2 펌프 측(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제 1 펌프(원심 펌프 5)의 흡입용 배관(청정액 흡입관 31)의 지름(D31)은 제 1 펌프(5)의 흡입구(5i)의 지름(D51i)의 95 % ~ 10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제 2 펌프(저부 흡입 임펠러 1)의 지름(D12)은 제 1 펌프(원심 펌프 5) 지름(D51)의 100 % ~ 11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펌프(1) 측(아래쪽)의 안지름(D3)이 크게, 제 1 펌프(5) 측(위쪽)의 안지름(d3)이 작아지도록 원심분리 여과장치 (사이클론 3)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펌프(1)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가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 부호 3의 안지름이 큰 쪽의 영역 또는 제 2 펌프(1) 측의 영역) 내에 직접 유입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펌프(1)의 작동 유체에 부가된 에너지(헤드)에 의해,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 내에 직접 유입한 작동 유체는 선회하고,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 안을 제 1 펌프(5) 측(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때, 선회하여 원심분리 여과장치(3) 안을 제 1 펌프(5) 측, 즉 위쪽으로 이동할 때에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과 작동 유체가 적절하게 분리된다.
비중이 큰 금속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에는 큰 원심력이 작동하기 때문에,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의 내주부(30i) 근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물질을 동반하지 않는 깨끗한 작동 유체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 깨끗한 작동 유체는 반지름방향 내측의 영역을 이동하고, 곧 제 2 펌프(1) 측(아래쪽)으로 방향 전환한다. 제 2 펌프(1) 측(아래쪽)으로 방향 전환한 깨끗한 작동 유체는 제 2 펌프(1) 근방 영역에서 흡입용 배관(청정액 흡입관 31) 내로 유입되고, 제 1 펌프 (5)의 흡입구(5i)에 유입된다. 그리고, 작동 유체의 토출구(66)로부터 깨끗한 작동 유체의 흐름으로서 토출된다.
상술한 종래기술(특허문헌 1)에서는 비용적형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가 제 1 사이클론의 반지름 방향 바깥쪽 영역을 상승하고 나서 제 1 사이클론 안으로 유입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펌프(1)로부터 유출된 작동 유체는 원심분리 여과장치(부호 3의 안지름이 큰 쪽 영역 또는 제 2 펌프(1) 측 영역)에 직접 유입하기 때문에, 제 2 펌프(1)의 토출 흐름(토출 선회류)을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 안의 선회류로서 이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그리고 제 2 펌프(1)에 의해 부가된 에너지(head; 수두)에 의해,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 안에는 작동 유체의 선회류가 생성되므로, 선회류의 유속이 빨라 원심분리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원심분리 여과 장치(사이클론 3)의 선회류의 유속이 빠르면서 또한, 대유량의 유체가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 안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작동 유체에 포함되는 비중이 큰 이물질도 작동 유체에 연행되어, 용이하게 제 1 펌프(5) 측(위쪽)으로 이동하여 제 1 펌프(5) 측(위쪽) 단부 근방에 설치된(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배출구(3o)로부터,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유로(9)를 통해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펌프 (5)의 흡입용 배관 (청정액 흡입관 31)의 중심 축선 방향(상하방향)에 안내부재(31B)를 연장시키면,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의 유속이 빠른 선회류를 유도하여, 작동 유체를 효율적으로 제 1 펌프(원심 펌프 5) 측의 흡입구(5i)로 유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흡입관 안지름 치수(D31)를 작게 해도 작동 유체가 제 1 펌프(5)에 흡입되는 양이 감소하지 않고, 펌프 토출량을 감소시켜 버리는 일은 없다. 그와 동시에, 흡입관 안지름 치수(D31)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이물질을 포함하는 작동 유체가 제 1 펌프(5)의 흡입용 배관(청정액 흡입관 31)으로 흡수될 가능성이 감소하여 여과율이 향상된다.
상기 안내부재(31B)의 제 2 펌프(8) 측(아래쪽)의 영역(L1)은 나선형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의 선회류의 방향을(원심 펌프의) 흡입용 배관(청정액 흡입관 31)의 축선 방향으로 제 1 펌프(5) 측(위쪽)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펌프(원심 펌프 5)의 제1단(흡입 측의 제1단 51)으로 향하는 작동 유체의 흐름은, 선회류가 아닌(원주 방향 성분을 갖고 있지 않음) 흐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재(31B)의 제 1 펌프(5) 측(위쪽) 영역(L2)을 직선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직선으로 연장하는 영역에 의해 흡입용 배관(청정액 흡입관 31)을 제 1 펌프(5) 측(위쪽)으로 흐르는 유체의 원주방향 성분이 몰아내어지게 되어 선회류에서는 없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의 제 1 펌프 측(위쪽)의 단부에 원뿔형 사다리꼴부재(콘부재 32: 이는 cone의 꼭지점 부위를 수평으로 절단해 내어 상부쪽은 직경이 크고 하부쪽은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테이퍼져서 정단면 형상이 마치 사다리꼴을 이룬 형태를 말한다)를 설치하되 직경이 작아진 단부(콘을 절단하기 전 가상의 꼭지점이 위치하던 부분) 쪽이 제 2 펌프(1) 측(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하면, 제 1 펌프(5) 측(위쪽) 단부 근방에 설치된(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배출구(3o)의 반지름 방향 내측의 영역이 원뿔형 사다리꼴부재(콘부재 32)에 점유되기 때문에, 그만큼 배출구(3o)의 단면적(고리모양의 유로 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이물질을 포함하는 작동 유체가 배출구(3o)로부터 배출되는 유량이 감소하여, 제 1 펌프(3)의 토출구(66)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의 필요한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원뿔형 사다리꼴부재(콘부재 32)를 원뿔형의 꼭지점 쪽 부위, 즉 작은 직경의 단부가 제 2 펌프(1) 측(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이물질을 포함하는 작동 유체가 배출구(3o)로부터 배출되는 유량을 확보하여, 이물질이 펌프 장치 내에서 배출되기 쉽게 되어, 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펌프 장치에 있어서, 이물질 배출구(68H)에 배출 관로(미도시)를 접속하여 상기 배출 관로의 출구를 작동 유체 저장부(예를 들어, 냉각수 탱크)의 외부에 연통시키면, 원심분리 여과장치(사이클론 3)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작동 유체 저장부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있어 임펠러 및 원심분리 여과장치의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있어 청정액 흡입관 내부에 설치된 나선 안내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청정액 흡입관 및 그 내부의 나선 안내날개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있어 임펠러 및 원심분리 여과장치의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있어 청정액 흡입관 내부에 설치된 나선 안내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청정액 흡입관 및 그 내부의 나선 안내날개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관련된 펌프 장치는 전체를 부호 100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펌프 장치(100)는 저부 흡입 임펠러(제 2 펌프)(1)와, 사이클론(원심 분리기)(3)과, 하부 하우징(제 2 하우징)(4)과, 다단식 원심 펌프(제 1 펌프)(5)와, 상부 하우징(제1 하우징)(6)과, 전기 모터(7)를 구비하고 있다.
펌프 장치(100)의 저부 흡입 임펠러(1)와, 사이클론(3)과, 하부 하우징(4)과, 다단식 원심 펌프(5)는 도 2에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저부 흡입 임펠러(1)는, 임펠러 하우징(11)과, 흡입 임펠러 본체(12)를 가지고 있다. 임펠러 하우징(11)은 상부 가장자리 플랜지부(11a)와, 원통부(11b)와, 저부(11c)를 가지며, 저부(11c)의 중앙에는 관통구멍(11d)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11d)의 하단 모서리부에는 목귀질(11e, 모따기)이 되어 있다. 임펠러 하우징(11)의 외주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커버부재(2)로 덮여 있다. 커버부재(2)는 예를 들어, 다수의 작은 관통구멍을 형성한 펀칭 메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펀칭 메탈의 관통 구멍이 작으면, 입자 지름이 큰 이물질이 저부 흡입 임펠러(1)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임펠러 본체(12)는 중앙에 관통 구멍을 갖는 상부 원판(12a)과, 복수의 블레이드(12b)와, 중앙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원통부를 갖는 하부 원판(12c)을 갖고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2b)는 상부 원판(12a) 및 하부 원판(12c)에 협지되어, 균등한 피치(간격)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부 및 하부 가장자리부는 상부 원판(12a) 및 하부 원판(12c)에 고착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사이클론(3)은 케이싱(30)을 가지고 있으며, 사이클론(3)의 반지름방향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청정액 흡입관(31)이 배치되어 있으며, 사이클론(3)의 상단부에는 콘부재(원뿔형 사다리꼴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하는 것처럼, 사이클론(3)의 케이싱(30)의 내주면(30i)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의 안지름(D3)이 상단의 안지름(d3)보다도 크다(도 1 참조).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하는 것처럼, 저부 흡입 임펠러(1)에서 토출된 작동 유체가 사이클론 내에 직접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사이클론(3)의 케이싱(30)의 상단 근방에는, 계단 모양 노치(30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계단 모양 노치(30c)와 하부 하우징(4)의 내주(41i)에 따라, 사이클론(3)의 케이싱(30)의 상단 근방에 개략 둥근고리 모양의 공간이 형성된다.
사이클론(3)의 청정액 흡입관(31)의 하단(31i)은 저부 흡입 임펠러(1)의 흡입 임펠러 본체(12)의 표면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청정액 흡입관(31)의 상단(31o)은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흡입구(5i)에 연통되어 있다.
청정액 흡입관(31)의 상단(31o) 근방의 주변은, 부분 원뿔형의 콘부재(32)에 포위되어 있다. 케이싱(30) 상단의 내주면(30i)과 콘부재(32)의 외주면(32o)에 따라 환상(고리모양) 유로(3o)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상 유로(3o)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배출구로서 기능한다.
환상 유로(3o)의 반지름 방향의 폭 치수 δ(도 1 참조)는 환상 유로(3o)에서 배출되는 작동 유체가 이물질을 연행(이물질을 포함한 채 이동)하는데 필요한 유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필요 토출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사이클론 상단(30a)과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하부칸막이부재(50)의 밑면(50b)과의 상하방향 틈새(λ)(도 1 참조)도, 환상 유로(3o)에서 배출된 작동 유체가 이물질을 동행하는데 필요한 유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필요 토출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소정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4)은 원통형 하우징 본체(41)와 유로접속 커넥터(42)를 가지고 있다. 유로접속 커넥터(42)의 유로(42c)는 접속 파이프(9)를 통하여, 후술하는 상부 하우징(6)에 있어서 이물질 배출구(68H)의 수직부(68V)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속 파이프(9)는 이물질을 연행(포함, 동반)하는 작동 유체의 유로를 구성하고 있다. 하부 하우징(4)은, 사이클론(3)의 케이싱(30)과,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하부칸막이부재(50)에 도시된 예에서는 인로우(spigot) 구조에 의해 액체에 대해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다단 원심 펌프(5)는 5단의 펌프 유닛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다단식 원심 펌프(5)는 하부칸막이부재(50)와, 1단 펌프 유닛 (51)과, 2단 펌프 유닛(52)과, 3단 펌프 유닛(53)과, 4단 펌프 유닛(54)과, 5단 펌프 유닛(55)이 상하방향으로 액밀하게 적층되어 쌓아올려져 있다.
1단 ~ 5단의 펌프 유닛(51 ~ 55)는, 상술한 저부 흡입 임펠러(1)의 흡입 임펠러 본체(12)와 같은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원통형 하우징과, 상부 원판과, 복수개의 블레이드와, 중앙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원통부를 갖는 하부 원판을 가지고있다. 그에 더하여, 복수개의 안내판을 갖는 원반 모양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청정액 흡입관(31)의 지름(D31)은,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흡입구의 지름(D51i)의 95 % ~ 105 %로 설정되어 있다. 청적액 흡입관(31)의 지름 (D31)이 작으면 여과율은 향상되지만, 청정 흡입관(3) 내의 부압이 커져 원심 펌프 (5)에서 작동 유체를 흡입할 수 없게 되어, 원심 펌프(5)의 토출 유량이 감소한다. 한편, 청정액 흡입관(3)의 지름(D31)이 크면, 청정액 흡입관(3) 내의 부압이 작아지기 때문에 원심 펌프(5)의 토출 유량은 증가하지만, 여과율이 저하된다. 여과율과 원심 펌프(5)의 토출 유량의 균형을 잡기 위해서는, 청정액 흡입관(31)의 지름 (D31)과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흡입구 지름(D51i)이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청정액 흡입관(31)의 지름(D31)과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흡입구 지름(D51i)의 경우에는 ± 5 %의 범위 안이라면, 여과율과 원심 펌프(5)의 토출 유량의 균형을 잡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때문에 상술한 것처럼, 청정액 흡입관(31)의 지름(D31)은 다단식 원심 펌프(5) 흡입구의 지름(D51i)의 95 % ~ 105 %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저부 흡입 임펠러(1)의 지름(D12)은 다단식 원심 펌프(5)의 임펠러 지름(D51)의 100 % ~ 11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심 펌프(5)에 요구되는 토출 유량을 확보하면서 또한, 저부 흡입 임펠러(1)에서 토출된 작동 유체에 의해 사이클론(3) 내의 선회류를 강하게 하여 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저부 흡입 임펠러(1)의 지름(D12)은 다단식 원심 펌프(5)의 임펠러 지름(D51)보다도 약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저부 흡입 임펠러(1)의 지름(D12)이 다단식 원심 펌프(5)의 임펠러 지름(D51)의 100 % ~ 110 %이면, 원심 펌프(5)의 필요한 토출 유량을 확보하면서 또한, 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6)은 원통형 중공부(61)를 가지며, 원통형 중공 부(61)는 도 1의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원통형 중공부(61)에는 커플링(CP)이 수용되어 있으며, 커플링(CP)은 전기 모터(7)의 출력 축(미도시)과 펌프 축(8)을 연결하고 있다. 펌프 축(8)에는, 공지 수단(예를 들어, 잠금 너트(LN), 제1 가압부재 (14), 제2 가압부재(15), 삽입 볼트(16))에 의해 다단식 원심 펌프(5)와 저부 흡입 임펠러(1)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6)의 원통형 중공부(61)의 하부에는, 씰부재 격납용 중공부(63)를 형성하고 있다.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씰부재 격납용 중공부(63)에는 예를 들어 미캐니컬 씰, 오일 씰, 스러스트 베어링이 격납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6)의 씰부재 격납용 중공부(63)의 꼭지점 방향 바깥쪽 영역에는 작동 유체 토출유로(64)가 형성되며, 작동 유체 토출유로(64)는 작동 유체 토출구(66)에 연통하고 있다. 여기서 작동 유체 토출구(66)는 하우징(6)의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5)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6)에 있어서, 작동 유체 토출구(66)의 반대측(도 2에서는 좌측)에도 반지름방향 바깥쪽에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에는 배출구(이물질 배출구)(68H)가(반지름방향 바깥쪽을 향해) 개구하고 있다. 이물질 배출구(68H)를 경유하여, 이물질을 연행하는 작동 유체가 펌프 장치(100) 밖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 배출구(68H)는 수직부(68V)와 연통하고, 수직부(68V)는 접속 파이프(9)에 연통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6)의 상단 플랜지(6f)는 볼트(B1), 너트(N1)에 의해 전기 모터(7)의 플랜지(7f)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단식 원심 펌프(5), 하부 하우징(4), 사이클론(3), 저부 흡입 임펠러(1)는 복수개의 관통볼트(끼움볼트) (B2) 및 너트(N2)에 의해, 상부 하우징(6)에 고정되어 있다.
청정액 흡입관(31)의 상세한 내용을 나타내는 도 3, 도 4에 있어서, 청정액 흡입관(31)에는 흡입관 본체(31A)와, 안내 부재(이하 "가이드 플레이트'라고 함) (31B)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플레이트(31B)는 도시의 예에서는 흡입관 본체(31A)의 내부에 고착하도록 2장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가이드 플레이트(31B)는 저부 흡입 임펠러(1) 측(도 3의 아래쪽 : 도 3에서 부호 L1로 표시된 영역)가 나선형으로 비틀린 형상이며, 다단식 원심 펌프(5) 측(도 3의 위쪽 : 도 3에서 부호 L2로 표시된 영역)이 직선적(스트레이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31B)의 저부 흡입 임펠러(1) 측(부호 L1로 표시된 영역)을 나선형으로 비틀린 형상으로 되게 하여, 다단식 원심 펌프(5) 측(부호 L2로 표시된 영역)을 직선적(스트레이트)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사이클론(3)의 선회류(F4)가 다단식 원심 펌프(5)에 효율적으로 진입한다. 사이클론(3)의 선회류(F4)는 사이클론(3) 내를 선회하는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성분을 이용하여 선회류(F4)를 구성하는 작동 유체를 흡입관 본체(31A)에 유입하기 때문에, 가이드 플레이트(31B)는 나선형으로 비틀린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단식 원심 펌프(5)의 제1 단(도 2의 최하단 51 : 흡입 측의 제1단(51))에 흡입되는 작동 유체는 원주방향 성분을 갖지 않는(선회류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플레이트(31B)의 다단식 원심 펌프(5) 측의 영역(L2)을 직선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하면, 가이드 플레이트 (31B)의 직선으로 연장하는 영역에 의해 작동 유체의 원주방향 성분을 상쇄할 수 있고, 청정액 흡입관(31)으로부터 다단식 원심 펌프(5) 내에 흡입되는 작동 유체로부터 원주방향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로 도 2를 기초로 하여, 그리고 도 1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서의 작동 유체의 흐름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작동 유체의 공작 기계 냉각액인 냉각제를 예시한다. 상기 냉각수는 공작 기계에 의한 절삭 후의 절삭 칩 등의 이물질을 포함한다. 전기 모터(7)를 기동하여, 펌프 장치(100)의 회전수가 소정 값에 도달하면, 다수의 작은 관통구멍을 형성한 커버 부재(2)를 통하여, 저부 흡입 임펠러(1)가 냉각수를 흡입한다(도 2의 유선 F1). 저부 흡입 임펠러(1)에 흡입된 냉각수는 저부 흡입 임펠러(1)의 회전에 의해 사이클론(3)의 저부 내주에 나선형으로 토출되며, 나선형의 유선(F2)을 따라서 사이클론(3) 내를 상승한다.
나선형으로 사이클론(3) 내에서 상승하는 냉각수(유선 F2)에 있어서, 절삭 칩 등의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깨끗한 냉각수는 비중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유선(F2)을 따라 흐를 때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영향은 적다. 사이클론(3)의 케이싱( 30)의 내주면(30i)은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클론(3)의 내부 공간 및 출구(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배출구)(3o)의 단면적은 감소한다. 그 때문에, 케이싱 내주면(30i)을 나선형으로 상승하는 작동 유체에 있어서, 사이클론의 특성인 선회 중심에 가까운 깨끗한 냉각수는, 사이클론(3) 내에서 반전하고(유선 F3), 청정액 흡입관(31)은 하강하며(유선 F4), 청정액 흡입관(31)의 주위를 선회하면서, 청정액 흡입관(31)의 하단(31i)에서 청정액 흡입관(31) 내에 진입한다(유선 F5).
청정액 흡입관(31) 내에 진입한 깨끗한 냉각수는 청정액 흡입관(31)의 가이드 플레이트(31B) 영역 L1(도 3 참조)에 의해 선회류의 원주방향 성분이 수직 성분으로 변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31B) 안을 나선형으로 상승한다(유선 F61).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31B) 영역 L2(도 3 참조)에 의해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흡입구(5i) 근방에서 위쪽으로 직진하고(유선 F62),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흡입구(5i)에서 1단 펌프 유닛(51)의 임펠러에 진입한다(유선 F7). 다단식 원심 펌프(5)에 진입한 냉각수는 각 단에서 승압되고(유선 F8), 5단 펌프 유닛(55)의 토출구에서 상부 하우징(6)의 작동 유체 토출유로(64)에 유입되어(유선 F9), 하우징(6)의 토출구 (66)에서 펌프 장치(100) 외부로 토출된다(유선 F10).
한편, 사이클론(3) 내에 있어서, 냉각수 안의 절삭 칩 등의 비중이 큰 이물질은, 유선 F2로 나타내는 냉각수의 선회류에 연행되어, 원심력에 의해 사이클론(3)의 케이싱 내주면(30i)에 밀어 붙여져, 위로 향하는 강한 흐름에 의해 케이싱 내주면(30i)을 따라서 상승한다(유선 Fc11). 유선 Fc11에 표시된 것처럼 케이싱 (30)의 내주면(30i)을 따라서 상승한 냉각수(이물질을 연행하는 냉각수)는 케이싱( 30) 상단의 이물질 배출구(3o)에서 사이클론(3) 외부로 유출된다(유선 Fc12 ).
여기서, 케이싱(30) 상단의 이물질 배출구(3o)에서 사이클론(3) 외부로 유출되는 냉각수는(유선 Fc12), 하부 하우징(4)의 환상 공간(노치)(30c)을 경유하여 접속 파이프(9) 안으로 흐른다(유선 Fc13). 그때에, 환상의 공간(노치)(30c)은 케이싱(30) 상단의 이물질 배출구(3o)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비중이 큰 이물질이 유선 Fc12에 의해 표시된 냉각수의 흐름을 거슬러, 사이클론 (3) 내에 역류할 우려는 없다. 그리고, 이물질을 연행하는 냉각수 상부 하우징(6) 의 이물질 배출구(68H)로부터 펌프 장치(100) 밖으로 배출된다(유선 Fc14). 여기서, 저부 흡입 임펠러(1)의 토출류가 직접 사이클론(3)에 유입하고, 저부 흡입 임펠러(1)에 의해 부가된 에너지(헤드)에 의해 사이클론(3) 내의 선회류를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비중이 큰 이물질이 환상의 공간(노치)(30c)에 침전하지 않고, 접속 파이프(9) 안을 경유하여 이물질 배출구(68H)에서 확실하게 배출되는 유량의 냉각수를 확보할 수 있다.
도시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사이클론(3)의 저부 흡입 임펠러(1) 측의 안지름(D3)(도 1 참조)이 크고, 다단식 원심 펌프(5) 측의 안지름(d3)(도 1 참조)이 작아지도록 사이클론(3)이 배치되어 있으며, 저부 흡입 임펠러(1)에서 토출된 냉각수가 사이클론(3)의 저부 흡입 임펠러(1) 측(도 1, 도 2의 아래쪽)의 영역 내에 직접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저부 흡입 임펠러(1)에서 에너지(헤드)가 부가된 냉각수가 사이클론(3) 내에 직접 유입되고, 저부 흡입 임펠러(1)에서 부가된 에너지(헤드)에 의해 냉각수가 사이클론(3) 내에서 선회한다(유선 F2 ). 저부 흡입 임펠러(1)에 의해, 냉각수에 대하여 사이클론(3) 내를 상승하는데 필요하면서 또한 충분한 에너지(헤드: 수두)가 직접 부가되기 때문에, 냉각수는 다단식 원심 펌프(5) 측으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이동한다. 그리고, 사이클론(3) 내를 상승하는데 필요하면서 또한 충분한 에너지(헤드)가 직접 부가되어 회전하는 냉각수는, 사이클론(3) 내를 다단 원심 펌프(5) 측으로 이동 (상승)할 때에, 그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과 깨끗한 냉각수가 확실하게 분리된다. 그 때문에, 사이클론(3)의 여과율이 향상된다.
사이클론(3) 안을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냉각수 선회류에 있어서, 비중이 큰 금속 절삭 칩 등의 이물질(또는 상기 이물질을 연행하는 냉각수)에는 큰 원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사이클론(3)의 케이싱 내주면(30i) 근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물질이 분리된 냉각수와, 깨끗한 냉각수는 사이클론(3)의 반지름방향 내측 영역을 이동하여, 유선 F3으로 표시된 것처럼, 저부 흡입 임펠러(1) 측(아래쪽)으로 방향 전환한다. 저부 흡입 임펠러(1) 측(아래쪽)으로 방향 전환한 깨끗한 작동 유체는 유선 F4로 표시된 것처럼 하강하며, 저부 흡입 임펠러(1) 근방 영역에서 유선 F5로 표시된 것처럼 청정액 흡입관(31) 내로 유입한다. 그리고,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흡입구(5i)에 유입된다(유선 F61, F62, F7). 그리고,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토출구(66)에서 깨끗한 작동 유체의 흐름으로서 토출된다(유선 F8, F9, F10).
도시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저부 흡입 임펠러(1)에서 유출된 냉각수가 사이클론(3) 내에 직접 유입하면서 또한, 저부 흡입 임펠러(1)의 토출 흐름(토출 선회류)은 직접 사이클론(3) 내의 선회류가 된다. 그리고 저부 흡입 임펠러(1)에 의해 부가된 에너지(헤드)에 의해, 사이클론(3) 내에는 냉각수의 선회류가 생성되기 때문에, 선회류의 유속이 빠르고, 원심분리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도시한 제1 실시 예는 상술한 종래기술(특허문헌 1), 즉 비용적형 펌프에서 토출된 작동 유체가 제1 사이클론의 반지름 방향 바깥쪽 영역을 상승하고 나서 제1 사이클론 내에 유입하는 펌프 장치에 비교하여, 저부 흡입 임펠러(1)에 의해 부가된 에너지(헤드)의 손실이 적고, 효율적이다.
또한, 도시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사이클론(3)의 선회류의 유속이 빠르면서 또한, 대유량의 냉각수가 사이클론(3) 내로 유입하기 때문에, 비중이 큰 이물질도 냉각수에 연행되어 용이하게 다단식 원심 펌프(5) 측(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다단식 원심 펌프(5) 측(위쪽) 단부의 근방에 설치된 배출구(3o)(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배출구)에서, 접속 파이프(9)를 통하여 사이클론(3)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시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다단식 원심 펌프(5)의 청정액 흡입관(31)의 중심축선방향(상하 방향)에 가이드 플레이트(31B)를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수를 효율적으로 사이클론(3) 내의 선회류를 청정액 흡입관(31) 내로 유도하여, 다단 원심 펌프(5)의 흡입구(5i)로 유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청정액 흡입관(31)의 지름(D31)이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흡입구 지름(D51i)의 95 % ~ 105 %이면, 상기 지름(D31)을 크게 하지 않아도, 냉각수가 원심 펌프(5)에 흡입되는 양은 감소하지 않아, 원심 펌프(5)의 토출량이 감소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청정액 흡입관(31)의 지름(D31)이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흡입구 지름(D51i)의 95 % ~ 105 %이면, 이물질을 포함하는 냉각수가 청정액 흡입관(31) 또는 다단식 원심 펌프(5)로 흡입될 가능성이 감소하여, 여과율이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도시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청정액 흡입관(31) 내에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31B)의 저부 흡입 임펠러(1) 측(아래쪽) 영역 L1에 의해, 사이클론(3) 내의 냉각수 선회류를 청정액 흡입관(31) 내로 유도하여, 다단식 원심 펌프(5) 측(위쪽)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31B)의 다단식 원심 펌프(5) 측(위쪽) 영역 L2에 의해, 청정액 흡입관(31) 내를 원심 펌프(5) 측으로 이동하는 냉각수 흐름의 원주방향 성분을 무시할 수 있다.
도시한 제1 실시예에서는, 사이클론(3)의 다단식 원심 펌프(5) 측(위쪽)의 단부에 콘부재(32)를 배치하고 있으며, 콘부재(32)의 작은 직경의 단부 측이 저부 흡입 임펠러(1) 측(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다단식 원심 펌프(5) 측 (위쪽) 단부 근방에 설치된 이물질 배출구(3o)의 반지름방향 내측의 영역이 콘부재 (32)에 점유되어, 그만큼 배출구(3o)의 단면적(환상의 유로 면적)이 작아진다. 그 결과, 이물질을 포함하는 작동 유체가 배출구(3o)에서 배출되는 유량을 감소하여 다단식 원심 펌프(5)의 토출구(66)에서 토출되는 작동 유체의 필요한 유량을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콘부재(32)를 작은 직경의 단부 측이 저부 흡입 임펠러(1) 측(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물질을 포함하는 작동 유체가 배출구(3o)에서 배출되는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물질이 펌프 장치(100) 내에서 배출되기 쉽게 되어, 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이물질 배출구(68H)에 배출관로(미도시)를 접속하여, 상기 도시하지 않은 배출관로의 출구를 작동 유체 저장부(예를 들어 냉각수 탱크 : 미도시)의 외부에 연통시키면, 사이클론(3)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작동 유체 저장부(미도시)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저부 흡입 임펠러(1)는 1 단 뿐이며, 다단식 원심 펌프(5)가 5단으로 되어 있는 반면, 도 5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저부 흡입 임펠러가 2단으로 되며, 다단식 원심 펌프(5A)가 4단으로 되어 있다. 도시는 되어 있지 않지만, 저부 흡입 임펠러는 3단 이상이어도 바람직하다. 이하에, 도 5에 기초로 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장치 전체를 부호 100A으로 나타낸 제2 실시예의 펌프 장치는, 도 1 ~ 도 4의 제1 실시예의 펌프 장치(100)에 대하여, 제1 하우징(6)과 전기 모터(7)가 공통(동일한 유닛)이다. 제1 실시예의 펌프 장치의 사이클론(3)의 외주가 원통형인 반면, 제2 실시예의 사이클론(3A)의 외주면(30Ao)은 내주면(30Ai)과 평행으로 하여 두께를 감소하고 있으며, 이로써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2 실시예의 사이클론(3A) 콘부재(32A)는, 대략 제1 실시예의 사이클론(3)의 콘부재 (32)와 동일하다. 제2 실시예의 하부 하우징(4A)은 하단의 형상이 제1 실시예의 하부 하우징(4)과는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그리고 제2 실시예의 하부 하우징(4A)을 제1 실시예의 하부 하우징(4)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있어서, 저부 흡입 임펠러(1A)는, 임펠러 하우징(11A)과, 2개의 흡입 임펠러 본체(12)를 가지고 있다. 임펠러 하우징(11A)은 상부 가장자리 플랜지부(11Aa)와, 원통부(11Ab)와, 테이퍼 코너부(11Af)와, 저부(11Ac)를 가지며, 저부( 11c)의 중앙에는 관통구멍(11Ad)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흡입 임펠러 본체(12) 사이에는 슬리브(17)와 가이드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슬리브(17)는 2개의 흡입 임펠러 본체(12)끼리의 간격을 일정 거리를 유지 작용을 나타내는 부재이다. 가이드부재(19)는 임펠러 하우징(11A) 측에 고정되어 있다.
다단식 원심 펌프(5A)는, 제1 실시예의 다단 원심 펌프(5)와는 단수가 다르다. 제1 실시예와는 단수가 다르기 때문에, 다단식 원심 펌프(5A)의 높이 치수도 제1 실시예와는 다르며, 이물질을 포함하는 냉각수가 흘러넘치는 접속 파이프(9A)의 길이도, 제1 실시예의 접속 파이프(9)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 축 (8A)의 각 부분의 길이방향 치수도 제1 실시예의 펌프 축과는 다르다.
제2 실시예의 펌프 장치(100A)에 의하면, 저부 흡입 임펠러를 2단 또는 그 이상의 다단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 배출구(68H)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청정액 흡입관(31)의 흡입 부압을 줄일 수 있다. 도 5의 제2 실시예의 기타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도 1 ~ 도 4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시한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의 기술은 아님을 부기한다. 예를 들어,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제 1 펌프는 비용적형 펌프(예를 들어, 임펠러가 있는 원심 펌프)이지만, 제 1 펌프를 용적형 펌프(예를 들어, 기어 펌프 혹은 이른 바 "트로코이드 펌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냉각수를 퍼 올리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그 이외의 용도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 도 5는 저부 흡입 임펠러가 1단의 경우와 2단의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저부 흡입 임펠러를 3단 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저부 흡입 임펠러
2 : 커버 부재
3 : 사이클론
4 : 하부 하우징
5 : 다단식 원심 펌프
6 : 상부 하우징
7 : 전기 모터
8 : 펌프 축
9 : 접속 파이프
11 : 임펠러 하우징
12 : 흡입 임펠러 본체
30 : 케이싱
31 : 청정액 흡입관
32 : 콘부재
51 : 1단 펌프 유닛
66 : 작동 유체 토출구
68H :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배출구
2 : 커버 부재
3 : 사이클론
4 : 하부 하우징
5 : 다단식 원심 펌프
6 : 상부 하우징
7 : 전기 모터
8 : 펌프 축
9 : 접속 파이프
11 : 임펠러 하우징
12 : 흡입 임펠러 본체
30 : 케이싱
31 : 청정액 흡입관
32 : 콘부재
51 : 1단 펌프 유닛
66 : 작동 유체 토출구
68H :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배출구
Claims (4)
- 작동 유체 저장부보다도 상부에 설치된 제 1 펌프와,
제 1 펌프의 회전축과 동심의 회전축을 가지면서 또한 제 1 펌프 흡입구보다도 하부에 설치된 제 2 펌프를 포함하며,
제 2 펌프보다도 상부이면서 또한 제 1 펌프 흡입구보다도 하부 영역에 작동 유체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 여과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는 제 2 펌프 측의 안지름이 제 1 펌프 측의 안지름보다 크고, 또한,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는 제 2 펌프에서 토출된 작동 유체가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 내에 직접 유입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원심분리 여과장치의 중심축을 따라 제 1 펌프의 흡입 배관이 제 2 펌프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흡입 배관은 제 1 펌프의 흡입구에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의 제 1 펌프 측 단부 근방에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고,
제 1 펌프의 흡입배관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안내부재가 연장하고 있고, 상기 안내부재는 제 2 펌프 측의 영역은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펌프 측 영역은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 여과장치의 제 1 펌프 측 단부 근방에 설치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배출구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유로를 통해 이물질 배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심분리 여과장치의 제 1 펌프 측의 단부에는 꼭지점 측이 수평으로 잘린 형태의 콘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콘부재는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단부 측이 제 2 펌프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155324A JP6080720B2 (ja) | 2013-07-26 | 2013-07-26 | ポンプ装置 |
JPJP-P-2013-155324 | 2013-07-26 | ||
PCT/JP2014/068562 WO2015012126A1 (ja) | 2013-07-26 | 2014-07-11 | ポンプ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4284A KR20160034284A (ko) | 2016-03-29 |
KR102206727B1 true KR102206727B1 (ko) | 2021-01-25 |
Family
ID=5239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0466A KR102206727B1 (ko) | 2013-07-26 | 2014-07-11 | 펌프 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690150B2 (ko) |
EP (1) | EP3026270B1 (ko) |
JP (1) | JP6080720B2 (ko) |
KR (1) | KR102206727B1 (ko) |
CN (1) | CN105378296B (ko) |
DK (1) | DK3026270T3 (ko) |
TW (1) | TWI611842B (ko) |
WO (1) | WO201501212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2015004587T5 (de) * | 2015-03-20 | 2017-12-21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 Kompressorsystem, und Befestigungsstruktur für Zentrifugalabscheider |
TWI558462B (zh) * | 2015-07-09 | 2016-11-21 | Everinn Internat Co Ltd | Tornado filter |
JP6832540B2 (ja) * | 2017-05-16 | 2021-02-24 | 靖 平田 | ポンプ |
CN108507172B (zh) * | 2018-04-02 | 2020-05-15 | 李为松 | 一种空气能热水器结构 |
CN110307181B (zh) * | 2019-07-11 | 2020-12-08 | 宁波建工建乐工程有限公司 | 一种承台内抽水用水泵吸水装置 |
JP7446668B2 (ja) | 2019-08-23 | 2024-03-11 | 株式会社ディスコ | 加工廃液処理装置 |
IT201900023883A1 (it) * | 2019-12-13 | 2021-06-13 | Nuovo Pignone Tecnologie Srl | Compressore con un sistema per rimuovere liquido dal compressore |
CN111765098B (zh) * | 2020-07-22 | 2024-10-01 | 广东瑞荣泵业有限公司 | 分段式井用潜水泵 |
CN114135495B (zh) * | 2021-10-15 | 2023-08-22 | 江苏大学 | 一种带有冷却系统的屏蔽式主循环泵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9609A (ja) | 2004-03-31 | 2005-10-13 | World Chemical Co Ltd | 液体サイクロン装置 |
WO2012004873A1 (ja) | 2010-07-08 | 2012-01-12 | 日本オイルポンプ株式会社 | フィルター機構 |
WO2012053066A1 (ja) | 2010-10-20 | 2012-04-26 | 日本オイルポンプ株式会社 | ポンプ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1349706A (fr) * | 1963-03-01 | 1964-01-17 | Abrasive Dev |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pompes centrifuges |
DE3409827A1 (de) * | 1984-03-17 | 1985-09-19 | Reber Systematic GmbH, 7410 Reutlingen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nellklaeren von fluessigkeiten |
JPH0784872B2 (ja) * | 1989-11-27 | 1995-09-13 | 三菱石油株式会社 | 気体除去機能付液体流送用回転ポンプ |
FR2726775B1 (fr) * | 1994-11-16 | 1997-07-18 | Snecma | Dispositif de separation et de filtration de particules dans un debit de fluide |
KR100577679B1 (ko) * | 2005-03-29 | 2006-05-10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
KR100652840B1 (ko) * | 2006-06-28 | 2006-12-01 | 고균희 | 사이클론을 이용한 물 정화장치 |
EP2228538B1 (de) * | 2009-03-10 | 2015-09-16 | Grundfos Management A/S | Mehrstufiges Kreiselpumpenaggregat |
JP4621802B1 (ja) * | 2010-02-09 | 2011-01-26 | 株式会社ワールドケミカル | 自吸式固液分離装置 |
-
2013
- 2013-07-26 JP JP2013155324A patent/JP6080720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07-11 CN CN201480037606.0A patent/CN105378296B/zh active Active
- 2014-07-11 DK DK14829898.7T patent/DK3026270T3/da active
- 2014-07-11 EP EP14829898.7A patent/EP3026270B1/en active Active
- 2014-07-11 KR KR1020167000466A patent/KR1022067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7-11 US US14/907,390 patent/US10690150B2/en active Active
- 2014-07-11 WO PCT/JP2014/068562 patent/WO201501212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7-25 TW TW103125436A patent/TWI611842B/zh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9609A (ja) | 2004-03-31 | 2005-10-13 | World Chemical Co Ltd | 液体サイクロン装置 |
WO2012004873A1 (ja) | 2010-07-08 | 2012-01-12 | 日本オイルポンプ株式会社 | フィルター機構 |
WO2012053066A1 (ja) | 2010-10-20 | 2012-04-26 | 日本オイルポンプ株式会社 | ポンプ装置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FR 1349706A (1964.01.17.)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K3026270T3 (da) | 2020-04-27 |
JP6080720B2 (ja) | 2017-02-15 |
WO2015012126A1 (ja) | 2015-01-29 |
EP3026270A1 (en) | 2016-06-01 |
CN105378296B (zh) | 2017-04-05 |
TWI611842B (zh) | 2018-01-21 |
US20160169250A1 (en) | 2016-06-16 |
EP3026270B1 (en) | 2020-03-25 |
JP2015025417A (ja) | 2015-02-05 |
TW201515712A (zh) | 2015-05-01 |
CN105378296A (zh) | 2016-03-02 |
EP3026270A4 (en) | 2017-03-29 |
US10690150B2 (en) | 2020-06-23 |
KR20160034284A (ko) | 2016-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6727B1 (ko) | 펌프 장치 | |
EP1692397B1 (en) | Centrifugal pump | |
JPWO2016088725A1 (ja) | 気液分離装置 | |
US9422926B2 (en) | Pump device | |
WO2016121659A1 (ja) | 気液分離装置 | |
WO2013144623A1 (en) | Froth pump and method | |
US20190060917A1 (en) | Centrifugal filter | |
JP2017180193A (ja) | ディフューザ、及び多段ポンプ装置 | |
CN102606483B (zh) | 一种可输送多相流介质的水平中开式多级泵 | |
RU2526068C1 (ru) | Погружной сепаратор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 |
JP5300508B2 (ja) | ポンプの羽根車およびポンプ | |
WO2016025259A1 (en) | Centrifugal pump with integral filter system | |
JPH07253095A (ja) | 回転ポンプ用ポンプハウジング | |
KR101933342B1 (ko) | 만곡된 날개구조를 갖는 수중펌프용 임펠러 및 이것이 적용된 수중펌프 | |
RU208344U1 (ru) | Скважинный газосепаратор погружной установки с лопастным насосом 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м | |
RU2827420C1 (ru) | Способ добычи пластовой жидкости с повышенным содержанием газа и абразивных частиц и погружная установка с мультивихревым газосепаратором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RU2610803C1 (ru) | Рабочее колесо центробежного насоса | |
RU2610802C1 (ru) | Рабочее колесо центробежного насоса | |
JP5550414B2 (ja) | クーラントポンプ | |
RU2518769C1 (ru) | Турбонасос для двух текучих сред | |
US11512701B2 (en) | Cutting system for a grinding pump and related grinding pump | |
KR101133885B1 (ko) |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오수처리용 펌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