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383B1 -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3383B1 KR102183383B1 KR1020200080183A KR20200080183A KR102183383B1 KR 102183383 B1 KR102183383 B1 KR 102183383B1 KR 1020200080183 A KR1020200080183 A KR 1020200080183A KR 20200080183 A KR20200080183 A KR 20200080183A KR 102183383 B1 KR102183383 B1 KR 1021833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display
- locker
- slider
- wind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5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comprising simultaneously pivoting double hook-lik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록커가 창틀의 스트라이커에 자동 록킹 또는 록킹해제될 때 록커와 연동하는 슬라이더에 연동하여 잠김 또는 열림표시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록커가 스트라이커에 확실하게 록킹될 때에만 잠김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록커가 스트라이커로부터 록킹해제되어 창문이 열린상태에서는 창문손잡이를 반복적으로 회전조작하여도 열림에서 잠김으로 표시부가 전환되지 않게 함으로써 잠김과 열림 상태를 정확하게 표시하여 방범창으로서의 안전성과 품질면에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는, 잠금확인수단이 구비되며, 잠금확인수단은 손잡이몸체에 관통형성되어 손잡이몸체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된 표시구멍과, 손잡이몸체에 설치되고 자동록킹조립체의 슬라이더와 상호 접촉하여 소정거리 직선운동하는 연동부재와, 손잡이몸체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동부재와 상호 접촉하여 소정각도 회전하며 일측면에 록커의 록킹 또는 록킹해제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구멍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잠금표시부와 열림표시부가 형성된 표시부재와, 연동부재와 표시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연동부재와 표시부재가 항상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는, 잠금확인수단이 구비되며, 잠금확인수단은 손잡이몸체에 관통형성되어 손잡이몸체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된 표시구멍과, 손잡이몸체에 설치되고 자동록킹조립체의 슬라이더와 상호 접촉하여 소정거리 직선운동하는 연동부재와, 손잡이몸체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동부재와 상호 접촉하여 소정각도 회전하며 일측면에 록커의 록킹 또는 록킹해제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구멍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잠금표시부와 열림표시부가 형성된 표시부재와, 연동부재와 표시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연동부재와 표시부재가 항상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문을 닫는 동작에 의해 창문이 창틀에 자동적으로 록킹되어 잠기고 창문손잡이를 조작하여 창문을 여는 동작에 의해 록킹상태를 해제시켜 창문을 열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문을 닫을 때 확실하게 자동 잠금된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는 창틀에 창문이 직선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미닫이식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이고, 이러한 미닫이 창호에는 창문을 닫을 때 창문측에 설치된 록커가 창틀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록킹되어 자동적으로 잠기고, 창문을 열기 위해 창문손잡이를 여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창틀의 스트라이커로부터 록커가 록킹 해제되어 창문을 열 수 있게 하는 자동잠금장치가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는 창문이 잠긴 상태, 즉 창틀측의 스트라이커에 창문측의 록커가 걸림유지되어 록킹된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확실하게 잠겼는지에 대한 불안감이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잠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창문을 닫은 후에 열림방향 쪽으로 창문을 직접 밀어 열리는지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것으로서,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 10-2003113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의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열림과 잠김'이 표시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를 핸들부에 설치하고, 자동록킹조립체의 구동기어에 결합된 핸들축의 소정각도 회전운동을 슬라이드부재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열림 또는 잠김이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자동록킹조립체의 구동기어와 창틀의 스트라이커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후크는 이들 사이에 설치된 로드와 스토퍼에 의해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창문을 열고 닫을 때 핸들축이 소정각도 회전하는 것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부재를 연동시킴으로써 열림 또는 잠김 표시가 전환되고, 이로써 사용자는 창문의 열림과 잠김 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구성은, 후크가 스트라이커에 록킹된 잠김 상태에서 핸들을 회전시켜 창문을 열 때에는, 핸들축의 회전이 구동기어와 로드를 통해 스토퍼에 연동되어 후크를 록킹해제시킴과 동시에, 핸들축의 회전이 슬라이딩부재를 연동시켜 '잠김'에서 '열림'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지만, 반대로 창문을 닫아 후크를 스트라이커에 자동록킹시킬 때에는, 스토퍼만 후크에 연동하여 탄력적으로 출몰동작할 뿐, 핸들축 및 구동기어의 회전과 로드의 연동은 후크의 자동 록킹동작과 연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토퍼의 동작 불량이나 창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후크가 스트라이커에 확실하게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슬라이딩부재는 핸들축의 회전에 연동하므로 '열림'에서 '잠김'으로 전환하여 표시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잠김 표시만 보고 창문이 확실하게 잠긴 것으로 오인할 수 있어 방범창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안전성과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핸들축의 회전조작에 의해 슬라이딩부재가 연동하므로, 후크가 스트라이커에서 록킹해제 된 창문의 '열림' 표시 상태에서, 창문을 닫지 않고 핸들의 회전조작만 반복하여도, '열림' 또는 '잠김'표시가 반복하여 전환될 수 있어 품질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록킹조립체의 록커가 창틀의 스트라이커에 자동 록킹 또는 록킹해제될 때 록커와 연동하는 슬라이더에 연동하여 잠김 또는 열림표시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록커가 스트라이커에 확실하게 록킹될 때에만 잠김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록커가 스트라이커로부터 록킹해제되어 창문이 열린상태에서는 창문손잡이를 반복적으로 회전조작하여도 열림에서 잠김으로 표시부가 전환되지 않게 함으로써 잠김과 열림 상태를 정확하게 표시하여 방범창으로서의 안전성과 품질면에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문틀 내측에 설치되고, 창틀에 설치된 스크라이커와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커와, 상기 록커를 록킹시키는 잠금위치와 록킹해제시키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자동록킹조립체; 및 창문틀 바깥면에 설치되고, 상기 록커를 록킹해제시키기 위한 창문손잡이가 설치된 손잡이몸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몸체에 창문의 잠김 또는 열림을 표시하기 위한 잠금확인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확인수단은, 손잡이몸체에 관통형성되어 손잡이몸체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된 표시구멍; 상기 손잡이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록킹조립체의 슬라이더와 상호 접촉하여 소정거리 직선운동하는 연동부재; 상기 손잡이몸체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동부재와 상호 접촉하여 소정각도 회전하며, 일측면에 록커의 록킹 또는 록킹해제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구멍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잠금표시부와 열림표시부가 형성된 표시부재; 및 상기 연동부재와 표시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연동부재의 일끝면과 이에 대향하는 표시부재의 대향면이 항상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더와 연동부재의 접촉구조는, 슬라이더의 일측에 연동부재를 슬라이더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경사면과 연동부재의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면을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연이어 형성하고, 슬라이더가 록커를 록킹시키는 잠금위치에 있을 때에는 연동부재의 끝단이 경사면에 위치하여 접촉하고, 록커를 록킹해제시키는 열림위치에서는 연동부재의 끝단이 유지면에 위치하여 접촉하도록 된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연동부재는 손잡이몸체의 외측면에 자동록킹조립체쪽으로 돌출형성한 가이드통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재의 일축은 손잡이몸체의 내측면에 가이드통체를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한 지지벽에 회전지지시키며, 상기 연동부재가 슬라이더의 경사면에 위치할 때의 연동부재와 표시부재의 연동을 위한 접촉위치는 상기 일축의 회전중심연장선과 연동부재의 이동방향연장선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지점으로 설정되고, 상기 표시부재의 잠금표시부와 열림표시부가 형성되는 일측면은 상기 일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창틀의 스트라이커에 록커가 확실하게 록킹되어 잠긴 상태에서만 잠금표시부가 손잡이몸체의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는 잠금표시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창문이 확실하게 잠겼음을 안심하고 믿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잠김에 대한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창문손잡이를 정,역방향 회전조작하여도 열림표시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항상 잠김상태와 열림 상태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어 기능 및 품질면에서도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확인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기존에 구성된 슬라이더와 연동하는 연동부재 및 표시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성이 매우 간소화되고 부품수가 감소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욱이 연동구조가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져 오동작 및 고장을 방지함에 따라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자동록킹조립체의 커버를 제거하고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나타낸 자동록킹조립체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도 1에서 손잡이몸체를 나타낸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잠금확인수단을 나타낸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잠금확인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도 6에 나타낸 잠금확인수단의 동작상태도.
도 8의 (a) 및 (b)는 도 6의 A-A선 단면도로서, 잠금확인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자동록킹조립체의 커버를 제거하고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나타낸 자동록킹조립체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도 1에서 손잡이몸체를 나타낸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잠금확인수단을 나타낸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잠금확인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도 6에 나타낸 잠금확인수단의 동작상태도.
도 8의 (a) 및 (b)는 도 6의 A-A선 단면도로서, 잠금확인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잠금장치는, 창문손잡이(10)가 설치된 손잡이몸체(20) 및 자동록킹조립체(30)를 포함한다.
손잡이몸체(20)는 창문틀 외측에 고정설치되고, 시각적으로 잘 보이는 위치에 후술하는 잠금확인수단의 표시구멍(21)이 구비되어 있다. 자동록킹조립체(30)는 창문틀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창문손잡이(10)의 회전축(11)과 후술하는 잠금확인수단의 가이드통체(22)는 길게 형성되어 자동록킹조립체(30)와 연결되고, 손잡이몸체(20)와 자동록킹조립체(30) 사이를 막고 있는 창문틀에는 회전축(11)과 가이드통체(22)의 관통을 위한 구멍을 뚫어야 한다.
도 2는 록커(33)가 스트라이커(S)에 록킹된 잠금상태에서 자동록킹조립체(3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록킹조립체(30)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체(32), 록커(33) 및 슬라이더(34)를 구비한다.
하우징(31)은 내부에 상기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쪽면이 개방되어 커버(31a)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하우징(31)에 설치되는 록커(33)는,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S)와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구성으로, 하우징(31)에 축지지되어 스트라이커(S)에 록킹되는 위치(도 2의 위치)와 스트라이커(S)로부터 록킹해제되는 위치(도 3의 (a)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록커(33)와 하우징(31) 사이에는 토션스프링(33a)이 설치되어 록커(33)를 스트라이커(S)로부터 록킹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체(32)에는 창문손잡이(10)의 회전축(11)과 결합되는 축구멍(32a)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체(32)와 록커(33) 사이에는 슬라이더(34)가 설치되어 회전체(3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34)는 록커(33)가 스트라이커(S)에 록킹되는 잠금위치와 록킹해제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하게 된다.
즉, 슬라이더(34)는 록커(33)가 스트라이커(S)에 록킹된 위치에서 록커(33)의 걸림턱(33b)과 걸림유지되어 록커(33)의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위치(도 2의 위치)와 록커(33)의 걸림턱(33b)에서 걸림해제되어 록커(33)를 록킹해제시키는 열림위치(도 3의 (a)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더(34)와 하우징(31) 사이에는 탄성부재(35)가 설치되고, 탄성부재(35)는 상기 슬라이더(34)가 회전체(32)쪽으로 이동하는 방향, 즉 잠금위치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31) 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34)와 록커(33)는 회전체(32)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 대칭되게 배치함으로써 스트라이커(S)의 상,하 양단에서 한 쌍의 록커(33)가 록킹 및 록킹해제 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미닫이 창호의 록킹 성능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동록킹조립체(30)에는 창문을 열기 위해 창문손잡이(10)를 회전조작할 때 드는 힘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조열림수단을 구비한다.
보조열림수단은 회전체(32)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된 슬라이더(34)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한 슬라이더(34)의 직선운동에 연동하는 회전아암(36)과 링크부재(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아암(36)은 하우징(31) 내에 고정끝단이 일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자유끝단은 회전체(32)쪽을 향하여 배치되어 하우징(31) 내에 삽입되는 창문닫힘위치(도 2의 위치)와 하우징(31) 외부로 돌출하여 창틀을 밀어냄으로써 창문을 창틀로부터 이격시키는 창문열림위치(도 3의 (a)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아암(36)과 하우징(31) 사이에는 회전아암(36)이 항상 창문닫힘위치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도시 안됨)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링크부재(37)는 슬라이더(34)와 회전아암(36)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의 제1 핀(37a)은 상기 슬라이더(34)와 연동하고, 타측의 제2 핀(37b)은 회전아암(36)과 연동하여 슬라이더(34)의 직선운동을 회전아암(36)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회전아암(36)과 연결되는 제2 핀(37b)의 위치는 슬라이더(34)에 연결되는 제1 핀(37a)의 직선이동방향에서 회전아암(36)의 회전방향쪽으로 소정각도 벗어난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제1 핀(37a)의 직선운동시 제2 핀(37b)이 회전아암(36)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운동궤적을 만들수 있다.
또한 제2 핀(37b)의 위치는 회전아암(36)의 회전중심과 자유끝단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일축(36a)과 자유끝단 사이에서 제2 핀(37b)이 회전아암(36)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잠금확인수단이 구비된 손잡이몸체(20)를 나타낸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잠금확인수단은 창문의 잠김 또는 열림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몸체(20)에 관통형성되어 손잡이몸체(20)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된 표시구멍(21)을 구비한다. 표시구멍(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잠금확인수단은 손잡이몸체(20)에 설치되는 연동부재(23), 표시부재(24) 및 탄성부재(25)를 구비하며, 손잡이몸체(20)는 상기 구성요소를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후면커버(20a)를 착탈가능하게 분리형성하고 있다.
연동부재(23)는, 자동록킹조립체(30)의 슬라이더(34)와 상호 접촉하여 소정거리 직선운동하도록 된 것으로, 손잡이몸체(20)의 후면커버(20a) 외측면에 돌출형성하여 자동록킹조립체(30)와 연결되는 가이드통체(22) 내에 설치되며, 가이드통체(22)의 양끝으로 연동부재(23)의 양 끝단이 노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더(34)와 연동부재(23)의 접촉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4)의 일측에 연동부재(23)를 슬라이더(34)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경사면(34a)과 연동부재(23)의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면(34b)을 슬라이더(34)의 이동방향으로 연이어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슬라이더(34)가 록커(33)를 록킹시키는 잠금위치(도 6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연동부재(23)의 끝단이 경사면(34a)에 위치하여 접촉함으로써 연동부재(23)를 슬라이더(3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록커(33)를 록킹해제시키는 열림위치(도 7의 (a) 위치)에서는 연동부재(23)의 끝단이 유지면(34b)에 위치하여 접촉함으로써 연동부재(23)를 슬라이더(34)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표시부재(24)는, 손잡이몸체(20)에 일축(2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동부재(23)의 일끝면(23a)과 이에 대향하는 표시부재(24)의 대향면(24b)이 상호 접촉하여 소정각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표시부재(24)의 일측면에는 록커(33)의 록킹 또는 록킹해제상태에 따라 표시구멍(21)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개폐상태를 외부에 나타내는 잠금표시부(26a)와 열림표시부(26b)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25)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축코일스프링의 양단을 연동부재(23)와 표시부재(24) 사이에 탄력설치함으로써 상기 연동부재(23)의 일끝면(23a)과 이에 대향하는 표시부재(24)의 대향면(24b)이 항상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재(24)는 일축(24a)이 손잡이몸체(20)의 후면커버(20a) 내측면에 가이드통체(22)를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한 지지벽(27)에 회전지지되고, 상기 연동부재(23)가 슬라이더(34)의 경사면(34a)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동부재(23)와 표시부재(24)의 연동을 위한 접촉위치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축(24a)의 회전중심연장선(Y-Y)과 연동부재(23)의 이동방향연장선(A-A)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지점으로 설정하여 연동부재(23)의 직선운동을 표시부재(24)의 회전운동으로 확실하게 연동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표시부재(24)의 잠금표시부(26a)와 열림표시부(26b)가 형성되는 일측면은 상기 일축(24a)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잠금표시부(26a) 또는 열림표시부(26b)가 표시구멍(21)의 동일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표시부(26a)와 열림표시부(26b)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현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문자나 그림으로 표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록커(33)가 스트라이커(S)에 록킹되어 창문이 잠긴 상태에서는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34)가 회전체(32)쪽으로 이동한 잠금위치에 있고, 잠금확인수단의 연동부재(23)는 도 6 및 도 8의 (a)에서와 같이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34)쪽으로 이동하여 끝단이 슬라이더(34)의 경사면(34a)에 접촉하여 위치하며, 표시부재(24)의 잠금표시부(26a)는 표시구멍(21)를 통해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출되어 현재 잠금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확인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창문이 잠긴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을 열기 위해 창문손잡이(10)를 회전조작하여 도 3의 (a)에서와 같이 회전체(32)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더(34)가 열림위치로 이동하여 록커(33)의 걸림턱(33b)과 걸림해제됨과 동시에, 록커(33)는 토션스프링(33a)에 의해 스트라이커(S)로부터 록킹해제되는 위치로 회전하여 창문을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열림수단의 링크부재(37)는 슬라이더(34)에 연동하여 회전아암(36)을 가압함으로써 회전아암(36)의 자유끝단이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창틀을 밀어내어 창문을 소정거리 이격시키게 되므로, 사용자가 창문손잡이(10)를 회전시켜 창문을 여는 동작을 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잠금확인수단의 연동부재(23)는, 도 7의 (a)에서와 같이, 슬라이더(34)가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그 끝단이 슬라이더(34)의 유지면(34b)으로 안내되므로, 연동부재(23)는 슬라이더(3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8의 (a) 및 (b)에서와 같이, 연동부재(23)의 끝단이 표시부재(24)를 밀어 일축(24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표시구멍(21)을 통해 노출된 잠금표시부(26a)는 열림표시부(26b)로 전환되어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를 눈으로 확인하여 창문이 열림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손잡이(10)를 놓게 되면, 창문손잡이(10)가 원위치하므로 도 3의 (b)에서와 같이 회전체(32)도 회전하여 원위치하고, 슬라이더(34)는 탄성부재(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체(32)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지만, 슬라이더(34)의 일측이 록킹해제위치에 있는 록커(33)의 일측에 걸려 정지함으로써 완전히 원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7의 (b)에서와 같이 잠금확인수단의 연동부재(23)는 슬라이더(34)의 유지면(34b)에 계속 위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손잡이몸체(20)의 표시구멍(21)를 통해 표출되는 열림표시부(26b)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창문손잡이(10)를 정,역방향으로 조작하여도 슬라이더(34)가 잠금위치로 완전히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열림 표시에서 잠김 표시로 전환되는 일은 없다.
이어서, 사용자가 창문을 닫게 되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창문이 창틀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록커(33)가 스트라이커(S)에 밀려 회전하면서 록킹되고, 보조열림수단의 회전아암(36)도 창틀에 접촉하여 하우징(31) 내부로 원위치하여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록커(33)에 걸려 있던 슬라이더(34)는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위치, 즉 회전체(32)쪽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록커(33)의 걸림턱(33b)이 슬라이더(34)에 걸림유지되므로, 록커(33)가 스트라이커(S)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34)가 잠금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해야만 록커(33)가 스트라이커(S)에 록킹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34)가 잠금위치로 이동하면, 도 6 및 도 8의 (a)에서와 같이 잠금확인수단의 연동부재(23)는 슬라이더(34)의 유지면(34b)에서 경사면(34a)으로 접촉위치가 변경되어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3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표시부재(24)는 일축(24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표시구멍(21)에는 열림표시부(26b)에서 잠금표시부(26a)로 전환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잠금확인수단은 실질적으로 창문의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자동록킹조립체(30)의 록커(33)에 연동하는 슬라이더(34)와 연동하여 동작되고, 슬라이더(34)가 확실하게 동작되어야만 록커(33)의 록킹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므로, 창문이 확실하게 잠긴 상태, 즉 록커(33)가 스트라이커(S)에 확실하게 록킹된 상태에서만 잠금 표시를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잠금상태 표시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창문이 확실하게 잠겼음을 안심하고 믿을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창문손잡이 11 : 회전축
20 : 손잡이몸체 21 : 표시구멍
22 : 가이드통체 23 : 연동부재
24 : 표시부재 24a : 일축
25 : 탄성부재 26a : 잠금표시부
26b : 열림표시부 27 : 지지벽
30 : 자동록킹조립체 31 : 하우징
32 : 회전체 32a : 축구멍
33 : 록커 34 : 슬라이더
34a : 경사면 34b : 유지면
35 : 탄성부재 36 : 회전아암
37 : 링크부재 S : 스트라이커
20 : 손잡이몸체 21 : 표시구멍
22 : 가이드통체 23 : 연동부재
24 : 표시부재 24a : 일축
25 : 탄성부재 26a : 잠금표시부
26b : 열림표시부 27 : 지지벽
30 : 자동록킹조립체 31 : 하우징
32 : 회전체 32a : 축구멍
33 : 록커 34 : 슬라이더
34a : 경사면 34b : 유지면
35 : 탄성부재 36 : 회전아암
37 : 링크부재 S : 스트라이커
Claims (3)
- 창문틀 내측에 설치되고, 창틀에 설치된 스크라이커와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커와, 상기 록커를 록킹시키는 잠금위치와 록킹해제시키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자동록킹조립체; 및 창문틀 바깥면에 설치되고, 상기 록커를 록킹해제시키기 위한 창문손잡이가 설치된 손잡이몸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몸체에 창문의 잠김 또는 열림을 표시하기 위한 잠금확인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확인수단은,
상기 손잡이몸체에 관통형성되어 손잡이몸체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된 표시구멍;
상기 손잡이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록킹조립체의 슬라이더와 상호 접촉하여 소정거리 직선운동하는 연동부재;
상기 손잡이몸체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동부재와 상호 접촉하여 소정각도 회전하며, 일측면에 록커의 록킹 또는 록킹해제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구멍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잠금표시부와 열림표시부가 형성된 표시부재; 및
상기 연동부재와 표시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연동부재의 일끝면과 이에 대향하는 표시부재의 대향면이 항상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연동부재의 접촉구조는,
슬라이더의 일측에 연동부재를 슬라이더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경사면과 연동부재의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면을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연이어 형성하고, 슬라이더가 록커를 록킹시키는 잠금위치에 있을 때에는 연동부재의 끝단이 경사면에 위치하여 접촉하고, 록커를 록킹해제시키는 열림위치에서는 연동부재의 끝단이 유지면에 위치하여 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손잡이몸체의 외측면에 자동록킹조립체쪽으로 돌출형성한 가이드통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재의 일축은 손잡이몸체의 내측면에 가이드통체를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한 지지벽에 회전지지시키며, 상기 연동부재가 슬라이더의 경사면에 위치할 때의 연동부재와 표시부재의 연동을 위한 접촉위치는 상기 일축의 회전중심연장선과 연동부재의 이동방향연장선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지점으로 설정되고, 상기 표시부재의 잠금표시부와 열림표시부가 형성되는 일측면은 상기 일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183A KR102183383B1 (ko) | 2020-06-30 | 2020-06-30 |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183A KR102183383B1 (ko) | 2020-06-30 | 2020-06-30 |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3383B1 true KR102183383B1 (ko) | 2020-11-26 |
Family
ID=7367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0183A KR102183383B1 (ko) | 2020-06-30 | 2020-06-30 |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338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3524B1 (ko) * | 2017-01-13 | 2018-03-02 | 주식회사 대현상공 | 잠금식별이 가능한 창호용 잠금장치 |
KR20180090471A (ko) * | 2017-02-03 | 2018-08-13 | (주)엘지하우시스 | 보조잠금부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
KR20200022685A (ko) * | 2018-08-23 | 2020-03-04 | (주)엘지하우시스 |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
-
2020
- 2020-06-30 KR KR1020200080183A patent/KR1021833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3524B1 (ko) * | 2017-01-13 | 2018-03-02 | 주식회사 대현상공 | 잠금식별이 가능한 창호용 잠금장치 |
KR20180090471A (ko) * | 2017-02-03 | 2018-08-13 | (주)엘지하우시스 | 보조잠금부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
KR20200022685A (ko) * | 2018-08-23 | 2020-03-04 | (주)엘지하우시스 |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6565B1 (ko) | 개선된 회전식 차단 장치 | |
JP7085879B2 (ja) | 電気錠 | |
US20080211240A1 (en) | Apparatus for effecting an initial, predetermined translation of a closed sliding door | |
KR101012498B1 (ko) | 레버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 |
KR102183385B1 (ko) |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 |
KR102183383B1 (ko) |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 |
JPH08135279A (ja) | 左右兼用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 |
KR102151087B1 (ko) | 반자동 잠금 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핸들조립체 | |
KR200352026Y1 (ko) | 모티스 록킹 장치 | |
KR102172797B1 (ko) | 다기능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 |
KR102151085B1 (ko) |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핸들조립체 | |
KR101862511B1 (ko) |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 |
JP4373886B2 (ja) | 引き戸錠の室内側操作装置 | |
JP3710883B2 (ja) | 扉用ハンドル装置 | |
KR101407437B1 (ko) | 푸쉬-풀 타입 도어록 | |
JP3775700B2 (ja) | 建設機械のドアロック装置 | |
KR200442766Y1 (ko) | 락카용 문 쇄정장치 | |
KR102654720B1 (ko) |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 |
JP3544199B2 (ja) | 引戸用密閉ロックハンドル装置 | |
KR100542641B1 (ko) | 모티스록 잠금장치 | |
KR200319587Y1 (ko) | 냉장고 도어용 록킹장치 | |
KR102136225B1 (ko) |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 |
JP3075412U (ja) | 開閉扉の施錠装置 | |
KR200382919Y1 (ko) | 도어록의 도어 닫힘 감지구조 및 도어록이 도어 닫힘을감지하기 위한 스트라이크 어셈블리 | |
JP4587141B2 (ja) | 施解錠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