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085B1 - Hypocaust h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Hypocaust he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2085B1 KR102182085B1 KR1020190025930A KR20190025930A KR102182085B1 KR 102182085 B1 KR102182085 B1 KR 102182085B1 KR 1020190025930 A KR1020190025930 A KR 1020190025930A KR 20190025930 A KR20190025930 A KR 20190025930A KR 102182085 B1 KR102182085 B1 KR 1021820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partition plate
- unit
- auxiliary partition
- cover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3/00—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N3/08—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by power-assisted systems
- F23N3/087—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by power-assisted systems using mechanica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24D11/002—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water heating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8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41/00—Applications
- F23N2241/02—Space-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화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들 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들 난방 장치는 내부에 연소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아궁이유닛과, 상기 아궁이유닛의 상부에 안착되며, 아궁이유닛에서 가열된 가열공기가 통과 통과할 수 있는 통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공기를 두 개 이상의 유로로 분배하는 분배유닛과, 상기 분배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분배유닛에서 분배된 가열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제공하며 건물의 바닥 하부에 시공되는 구들열전달유닛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uld heating device that is modularized to facilitate construction and increase heating efficiency.
The goodu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rnace unit having a combus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 passage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ed air heated in the furnace unit can pass, and the heating A distribution unit for distributing air to two or more flow paths;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들 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화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들 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odeul he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oodul heating device that is modularized to facilitate construction and increase heating efficiency.
일반적으로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화기(火氣)가 방고래를 지나면서 구들을 가열시킴으로써 실내의 난방공간을 데우는 온돌난방은 한국 고유의 난방법으로 우리 민족의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모든 민가에 사용되어 왔다.In general, ondol heating, which warms the indoor heating space by heating the bulbs as it passes through the bang whales when it is lit in a furnace, is a unique heating method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lifestyle of our people and is used in all private houses. Has been.
온돌의 채난원리(採暖原理)는 열의 전도를 이용한 것인데, 방바닥 밑에 깔린 넓적한 돌(구들장)에 화기를 도입시켜, 온도가 높아진 돌이 방출하는 열로 난방하는 것으로 전도에 의한 난방 이외에 복사난방과 대류난방을 겸하고 있다.The heating principle of the ondol is to use the conduction of heat. In addition to heating by conduction, radiant heating and convection heating are performed by introducing fire into a large stone (gudeuljang) under the floor and heating it with the heat emitted by the heated stone. I am also serving.
이러한 온돌은 한국의 독특한 난방법으로 열의 효율이 좋고 연료나 시설이 경제적이며, 고장이 별로 없을 뿐 아니라 구조체에 빈번한 손질이 필요하지 않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Such an ondol is a unique heating method in Korea, and has advantages such as high heat efficiency, economical fuel and facilities, few breakdowns, and no need for frequent maintenance on the structure.
종래 기술에 의한 구들이 적용된 가옥은 나무를 태워 화기를 생성하는 아궁이가 형성되고, 아궁이를 통해 유입된 화기는 구들장을 가열한다. 그리고 구들장이 가열됨으로 인하여 저장된 화기는 고래라고 하는 화기의 이동통로를 따라 골고루 확산되며, 고래를 순환하여 온도가 내려간 공기는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In a house to which a conventional bulb is applied, a furnace is formed that burns wood to generate fire, and the fire that flows through the furnace heats the gooduljang. And because of the heating, the stored fire spreads evenly along the path of the fire called whale, and the air that has cooled down by circulating the wha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himney.
이와 같은 화기의 순환경로가 형성되는 구들을 상세히 살펴보면 “온돌석”이라고도 하는 얇고 판판한 구들장을 두둑 위에 나누어 설치하고, 그 윗면에 진흙을 발라서 방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구들장은 내화벽돌을 쌓아 올린 두둑 위에 작은 돌(굄돌)로 네 귀를 받치는데 흔들리지 않게 놓여진다. 그리고 구들장과 구들장 사이의 빈틈을 찰흙으로 메운 다음 윗면에 수평으로 흙을 발라 방바닥을 형성한다.Looking in detail at the spheres where the circulation path of firearms is formed, a thin, flat gooduljang, also known as “ondolseok”, is installed on the dug, and mud is applied on the top to form the floor. Gudeuljang is placed on a pile of fire-resistant bricks to support your ears with small stones. Then, after filling the gap between Gudeuljang and Gudeuljang with clay, the floor is formed by applying soil horizontally on the top.
이러한 구들 난방은 지금도 전통 가옥이나 주택에서도 여전히 선택되기도 한다. Such bulb heating is still a choice for traditional houses and homes.
그런데 종래의 구들 난방 장치의 경우 표준화된 시공방법이나 규격이 있지 않기 때문에 각 시공 현장에서 시공자의 판단에 따라 대략적으로 재단 및 시공되고 있기 때무넹 구들 시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비숙련자의 경우 시공 장체가 어렵고 화기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열손실이 많이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re is no standardized construction method or standar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goodul heating device, it took a lot of time and cost to construct the goodul when it is roughly cut and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constructor at each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in the case of unskilled person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heat loss occurs a lot because fire is not properly transmitted.
이러한 이유로 구들 난방 방식은 다양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거나 열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불량시공의 발생 우려 등의 이유로 시공을 기피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For this reason,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avoid construction due to concerns about the occurrence of poor construction in which time and cost are excessively expenditure or heat loss occurs in spite of various advantages of the Gudel heating metho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며, 시공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공 품질이 우수하도록 모듈화되어 구들의 시공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고, 열효율이 우수한 구들 난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easy to assemble, and is modularized so that construction quality is excellent regardless of the skill level of the builder to minimize the time and cost of construction of the spheres, and to provide a gould heating device with excellent thermal efficiency. It has its purpose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구들 난방 장치는 내부에 연소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아궁이유닛과, 상기 아궁이유닛의 상부에 안착되며, 아궁이유닛에서 가열된 가열공기가 통과 통과할 수 있는 통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공기를 두 개 이상의 유로로 분배하는 분배유닛과, 상기 분배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분배유닛에서 분배된 가열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제공하며 건물의 바닥 하부에 시공되는 구들열전달유닛을 포함한다. The goodu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rnace unit having a combus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 passage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ed air heated in the furnace unit can pass through,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urnace unit. A distribution unit for distributing air to two or more flow paths, and a good heat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heated air distributed from the distribution unit passes, and constructed under a floor of a building.
상기 아궁이유닛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후측 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후면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측면판과, 상기 양측 측면판의 전방측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측면판 중 일측에는 상기 후면판과 측면판들에 의해 형성되는 연소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급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urnace unit includes a base plate, a rear plate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ase plate so as to extend upward, two side plates extending upwardly to both side edges of the base plate, and an upper front side of the both side plates. It is preferable that a supply hole is formed on one of the two side plates and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into a combustion space formed by the rear plate and the side plates.
상기 측면판은 상기 후면판과 연결되는 후단부로부터 소정길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제1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안착홈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상면이 점점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의 단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안착홈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평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부는 상기 제1 안착홈에 양측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양측 측면판을 상호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1 커버부재의 전면에 연결되며 상기 경사부에 안착되는 제2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의 전면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부에 안착되는 제3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커버부재와 제3 커버부재는 양측 가장자리의 하면에 상기 측면판의 상면이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으로 인입 형성된 제1 지지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ide plate has a first seating groove inserted in a predetermined depth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connected to the rear plate, and as it extends forward in the front of the first seating groove An inclined portion with an upper surfac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is formed,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inclined portion, and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behind the first seating groove. The upper cover part includes a first cover member having both ends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groove and extending to interconnect the both side plates, and a first cover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and seated on the inclined part. 2 A cover member and a third cover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ver member and seated on the horizontal portion, wherein the second cover member and the third cover member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upport grooves retracted in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ide plate are formed to allow this entry.
상기 아궁이유닛은 상기 연소공간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연소감지센서와, 상기 급기홀이 형성된 측면판에 외부로부터 상기 급기홀을 통해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기를 강제 유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연소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urnace unit is a combus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fuel is burned in the combustion space, and is installed on a side plate in which the air supply hole is formed so as to forcibly introduce air into the combustion space through the air supply hol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blowing fan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combustion detection sensor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blowing fan according to the detection information.
상기 후면판은 상기 양측 측면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제2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배유닛은 하단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안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커버부재를 향해 연장되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메인구획판과, 상기 메인구획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후측 하면에 상면이 지지되고, 상기 메인구획판의 후측에 측면이 지지되며, 하면은 상기 아궁이유닛의 후면판 상면에 지지되는 후방보조구획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방측 하면에 상면이 지지되고, 상기 메인구획판의 전방측에 측면이 지지되며, 하면은 상기 아궁이유닛의 제1 커버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전방보조구획판과, 상기 전방보조구획판과 후방보조구획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면은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지지되고, 측면은 상기 메인구획판의 측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사이보조구획판과, 상기 전방보조구획판과 사이보조구획판 및 상기 후방보조구획판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상부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가열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측면커버판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ar plate has a second seating groove inserted at a predetermined depth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plates of the both sides, and the distribution unit has a lower end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inserted into the second seating groove, and the A main partition plate extending toward the first cover member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an upper plat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partition plate, and an upper surface supported on a rear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a rear side of the main partition plate The side is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is the rear auxiliary partition plat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late of the furnace unit, the upper surface is supported on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side surface is suppor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partition plate, The lower surface is installed between the front auxiliary partition plat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of the furnace unit, and the front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rear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upper surface is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side surface is the It is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subsidiary partition plate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main partition plate, and between the front sub partition plate, the cy sub partition plate and the rear sub partition plate, and the upp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heat ai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side cover plates that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an move.
상기 메인구획판은 전방측 하단에 상기 제1 커버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된 제1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상기 사이보조구획판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보조구획판의 형성위치와 두께에 대응하는 제2 지지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보조구획판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아궁이유닛의 측면판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커버판은 상기 후방보조구획판과 사이보조구획판 및 전방보조구획판들의 사이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된 진입부와, 진입부의 외측면에 상기 후방보조구획판과 사이보조구획판 및 전방보조구획판들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보조구획판과 사이보조구획판 및 전방보조구획판의 외측면에 걸리는 제3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partition plate has a first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at a lower front side thereof, and the inter-assisted partition plate so that the inter-assisted partition plate can be inserted in the side surface. The second support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position and thickness of are formed,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plate of the furnace unit is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intermediary partition plate, and the side surface The cover plate includes an entry portion capable of entering the space between the rear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inter-assisted partition plate and the front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rear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inter-assisted partition plate and the front auxiliary part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try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auxiliary partition plate, the intermediate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third locking protrusion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ront auxiliary partition plate by being formed to have a width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lates.
상기 구들열전달유닛은 양측이 개구된 내부중공을 갖는 사각기둥 형태의 단위부재와, 상기 단위부재의 일측 개구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판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단위부재는 일측 측면에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부재는 중공이 상호 연통되도록 다른 단위부재와 연결되거나 일측 중공의 개구가 차단되도록 상기 차단판이 결합되며, 단위부재의 일단은 상기 분배유닛의 측면커버판과 상부판의 사이 통로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oodul heat transfer unit is formed by mutually connecting a unit member in the form of a square column having an inner hollow having an opening on both sides and a blocking plate capable of blocking the opening of one side of the unit member, and the unit member has an exhaust hole on one side thereof. And the unit member is connected to another unit member so that the hollow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the blocking plate is coupled to block an opening of one side of the unit member, and one end of the unit member is a passage between the side cover plate and the top plate of the distribution unit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또한 본 발명의 구들 난방 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아궁이유닛과 분배유닛, 구들열전달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경유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관을 포함하는 온수공급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oodeul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for storing water and the storage tank and is extended to pass through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furnace unit, the distribution unit, and the Gudeul heat transfer unit,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A hot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heat exchange tube for heating wate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구들 난방 장치는 모듈화 되어 시공자의 숙련도에 상관 없이 용이하게 조립 및 시공할 수 있으며, 열효율이 뛰어난 난방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goodle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ular, so that i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constructed regardless of the skill level of the constructor, an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heating means having excellent thermal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들 난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들 난방 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구들 난방 장치의 아궁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아궁이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5는 분배유닛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분배유닛의 분리사시도,
도 7은 구들열전달유닛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온수탱크와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구들 난방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gould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oodul heat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urnace unit of the goodul heating device of Figure 1,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urnace uni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 of the distribution unit,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tribution unit,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 of the Goodeul heat transfer unit,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gould heating apparatus further including a hot water tank and a heat exchang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들 난방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goodeul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it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compared to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들 난방 장치(10)는 아궁이유닛(100)과 분배유닛(200), 구들열전달유닛(3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7, the
상기 아궁이유닛(100)은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베이스판(110)과, 베이스판(110)의 후측단부 상면에 연결되는 후면판(120), 베이스판(110)의 양측 가장자리 상면에 연결되는 측면판(130) 및, 측면판(1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커버부(140)를 포함한다. The
베이스판(110)은 연소될 연료들을 지지하며, 후술하는 후면판(120)과 측면판(1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로부터 후면판(120)과 측면판(130)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내측으로 인입된 지점에서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가이드돌기(111)가 형성되어 있다. The
후면판(120)은 상술한 것처럼 베이스판(110)의 후측단부 상면에 연결되는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고, 상면에는 중앙에 제2 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안착홈(121)은 후술하는 분배유닛(200)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The
상기 측면판(130)은 베이스판(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두 개가 설치된다. Two of the
상기 측면판(130)은 상기 후면판(12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후면판(120)과 인접하는 후단부는 후면판(120)의 상면과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제1 수평부(131)가 형성되고, 제1 수평부(131)의 전단에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있는 제1 안착홈(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안착홈(132)의 전방에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부(1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133)의 전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평부(134)가 형성된다. The
상기 상부커버부(140)는 측면판(130)의 전방부 상면에 형성된다. The
상기 상부커버부(140)는 상기 제1 안착홈(132)에 장착되는 제1 커버부재(141)와, 상기 경사부(133)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커버부재(142)와, 제2 수평부(134)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3 커버부재(143)를 포함한다. The
제1 커버부재(141)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가 상기 제1 안착홈(132)에 끼워진다. 제1 커버부재(141)는 상면이 상기 제1 수평부(131)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수평부(131)와 제1 커버부재(141) 사이에 걸림턱이 형성된다. The
상기 제2 커버부재(142)와 제3 커버부재(143)는 각각 경사부(133)와 제2 수평부(134)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양측 가장자리의 하면에 측면판(130)의 상부가 진입할 수 있도록 측면판(130)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으로 인입되어 있는 제1 지지홈(144)들이 형성되어 있다. The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면판(130)의 후방부와 후면판(120)의 사이에 연소공간에서 가열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측면판(130)의 전방부 즉, 아궁이유닛(100)의 전방부 상면은 상부커버부(140)에 의해 막히게 된다. As can be seen in FIG. 3, a passage through which air heated in the combustion space can move is formed between the rear portion of the
연소공간의 전방측에서 가열된 가열공기는 경사부(133)에 안착되는 제2 커버부재(142)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됨으로써 가열공기의 배출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eated air he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combustion space is guided to move backward by the
아울러 상기 두 개의 측면판(130) 중 하나에는 연소공간의 내부로 공기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급기홀(135)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n
상기 급기홀(135)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판(130)에는 급기홀(135)을 개폐하거나 급기홀(135)의 개방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를 통해 급기홀(135)을 통한 공기 유입을 제어함으로써 연료의 연소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An adjustment memb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물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아궁이유닛(100)에 설치되어 연소공간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연소감지센서(161)를 설치하고, 상기 급기홀(135)에는 송풍팬(163)을 설치하며, 연소감지센서(161)의 측정값에 따라 송풍팬(163)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2)를 마련해 자동으로 연소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Of course, as shown in FIG. 4, a
본 발명의 아궁이유닛(100)은 연소공간이 개폐도어(150)에 의해 닫혀 있어 연소공간 내부로 공기가 과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연소공간으로 투입된 연료가 일시에 모두 연소되어버리는 기존의 아궁이와는 달리 공기의 투입량 조절에 따라 연소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또 장시간 균일하게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상기 측면판(130)의 전방측 단부에는 연소공간으로 연통되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150)를 설치하여 불을 지피거나 연료를 투입할 때에는 연소공간을 개방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개구를 닫도록 한다. At the front end of the
상기 분배유닛(200)은 상기 아궁이유닛(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며, 아궁이유닛(1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열공기를 후술하는 구들열전달유닛(300)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The
분배유닛(200)은 메인구획판(210)과, 메인구획판(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판(220), 메인구획판(210)의 전단과 후단에 결합되는 전방보조구획판(230)과 후방보조구획판(240), 그리고 전방보조구획판(230)과 후방보조구획판(240)의 사이에 설치되는 사이보조구획판(250)들을 포함한다. The
상기 메인구획판(210)은 상기 측면판(130)들의 사이에서 측면판(130)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방으로 연장된다. 메인구획판(210)은 후측 하단이 상기 후면판(120)의 제2 안착홈(121)에 안착되며, 전방측 하단에는 상기 제1 커버부재(141)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커버부재(141)에 대응하는 제1 걸림턱(211)이 형성되어 있다. The
아울러 메인구획판(210)의 측면에는 상기 사이보조구획판(250)들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지지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상기 상부판(220)은 메인구획판(210)의 상면에 안착되며, 아궁이유닛(100)으로부터 토출된 가열공기가 상방으로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상부판(220)에서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The
상기 후방보조구획판(240)은 상면이 상부판(220)의 후측 하면에 지지되고, 측면이 메인구획판(210)의 측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후방보조구획판(240)의 하면은 아궁이유닛(100)의 후면판(120)의 상면에 지지된다. 후방보조구획판(240)은 메인구획판(21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두 개가 형성된다. The rear
전방보조구획판(230)은 상면이 상부판(220)의 전방측 하면에 지지되고, 메인구획판(210)의 전방 측면에 측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전방보조구획판(230)도 메인구획판(210)을 중심으로 양측에 하나씩 두 개가 마련되며, 전방보조구획판(230)의 하면은 아궁이유닛(100)의 제1 커버부재(141)의 상부에 안착된다. The front
상기 전방보조구획판(230)과 후방보조구획판(240)의 사이에는 두 쌍의 사이보조구획판(250)이 설치된다. Between the front
상기 사이보조구획판(250)은 상면이 상부판(220)의 하면에 지지되고, 측면이 상기 제2 지지홈(212)에 끼워진다. 그리고 사이보조구획판(25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제2 걸림턱(251)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2 걸림턱(251)이 아궁이유닛(100)의 측면판(130) 상면에 안착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전방보조구획판(230)과 후방보조구획판(240)의 사이에 두 개의 사이보조구획판(250)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예와는 달리 사이보조구획판(250)이 전방보조구획판(230)과 후방보조구획판(240)의 사이에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wo cy-assisted
상기 후방보조구획판(240)과 사이보조구획판(250)들 및 전방보조구획판(230)들의 사이에는 측면커버판(260)들이 설치된다.
상기 측면커버판(260)들은 상부판(220)으로부터 소정거리 하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상단이 위치하게 되는데, 하면은 아궁이유닛(100)의 측면판(130) 상면에 안착되며, 전방보조구획판(230)과 후방보조구획판(240) 및 사이보조구획판(250)들의 사이공간 하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The
측면커버판(260)은 결합상태를 기준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의 폭이 상기 후방보조구획판(240)과 사이보조구획판(250) 및 전방보조구획판(230)들의 사이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은 후방보조구획판(240)과 사이보조구획판(250) 및 전방보조구획판(230)들의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진입하는 부분과 외주면 사이에는 제3 걸림턱(261)이 형성된다. The
아궁이유닛(100)의 후방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가열공기는 상기 분배유닛(200)에 의해 분배되어 여러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메인구획판(210)과 사이보조구획판(250)들 및 전방보조구획판(230)과 후방보조구획판(240)들에 의해 공기통로는 6개의 통로로 분배되며, 이렇게 분배된 통로를 통해 가열공기는 상부판(220)과 측면커버판(260)의 사이 공간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The he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rear discharge port of the
특히 분배유닛(200)은 상술한 것처럼 아궁이유닛(100)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아궁이유닛(100)에서 연소열이 토출되는 토출면적보다 분배유닛(200)에 마련되는 연소열의 통과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다. 다시 말해 분배유닛(200)의 내부 통로는 상기 메인구획판(210) 및 사이보조구획판(250)들에 의해 통과면적이 작아지게 되는데, 이렇게 분배유닛(200) 내에서 연소열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의 단면적이 작아짐에 따라 분배유닛(200) 내에서의 연소열의 통과 속도가 아궁이유닛(100)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빨라지면서 강한 상승기류가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분배유닛(200)에서는 연소열의 통과속도가 빨라지고, 또 여섯 개의 통로를 통해 열기가 분배되어 빠져나가게 되므로 난방이 이루어져야 하는 대상 면적에 고르게 열이 전달된다. 따라서 종래 구들난방에서 흔히 '아랫목'이라고 칭하는 열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고 난방 효율이 높아진다.In the
상기 구들열전달유닛(300)은 분배유닛(200)에 결합되며 분배유닛(200)을 통해 분배되어 토출되는 가열공기의 열을 구들 전체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The gooseul
구들열전달유닛(300)은 단위부재(310)와 차단판(320)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다. The goodle
단위부재(310)는 양측이 개구된 내부 중공(311)을 갖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측면에 배기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차단판(320)은 단위부재(310)의 일측 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단위부재(310)의 단면 형상과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blockin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부재(310)는 먼저 분배유닛(200)의 상부판(220)과 후방보조구획판(240), 전방보조구획판(230) 및 사이보조구획판(250)들과 측면커버판(260)의 사이 배출구에 일측 개구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단위부재(310)들이 일렬로 연장되면서 가열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본 실시예와 같이 단위부재(310)들이 3열로 배치되며, 1열은 한 개, 2열은 두 개 및 3열은 세 개의 단위부재(310)가 연장되도록 한 다음 각 열의 최단부 단위부재(310)의 외측에는 개구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차단판(320)을 장착한다. 그리고 차단판(320)이 설치된 각 단위부재(310)들의 배기홀(312)에 구들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전달통로(미도시)를 연결함으로써 분배유닛(200)에서 분배된 가열공기가 고르게 구들 전체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공기의 통로 단부에는 연통을 설치하여 외부로 연기가 빠져나가도록 한다. As in this embodiment, the
아울러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구들 난방 장치(10)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공급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온수공급유닛(400)은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410)와 저수탱크(4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아궁이유닛(100)과 분배유닛(200) 및 구들열전달유닛(300)을 경유해 다시 저수탱크(410)로 연결되는 열교환관(4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t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열교환관(420)의 일측에는 저수탱크(410)의 물을 열교환관(420)을 통해 순환시키기 위한 워터펌프가 마련되어 있고, 아궁이유닛(100)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동안 아궁이유닛(100)과 분배유닛(200) 및 구들열교환유닛의 표면을 통해 발산되는 열에 의해 열교환관(420)의 내부를 순환하는 물이 가열되도록 한다. 이렇게 저주탱크에 저수된 물을 가열한 다음 난방용수나 급탕용수로 공급해 사용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water pump for circulating water in the
물론 상기 열교환관(420)은 저수탱크(410)의 내부에서 저수탱크(410)의 내부공간과 구획된 상태를 유지하고, 물 또는 열교환매체가 열교환관(420)에 충진되어 있으면서 아궁이유닛(100)과 분배유닛(200) 및 구들열전달유닛(300) 측에서 열교환매체가 가열된 후 저수탱크(410)의 내부에서 저수된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저수탱크(410)의 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열교환관(420)이 아궁이유닛(100)과 분배유닛(200) 및 구들열전달유닛(300)을 모두 경유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아궁이유닛(100)이나 분배유닛(200), 구들열전달유닛(3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만을 경유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도시된 것처럼 아궁이유닛(100)의 외부에서 아궁이유닛(100)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단열을 위해 내화벽돌로 형성된 단열벽(500)이 더 마련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an insulating
상기 단열벽(500)은 아궁이유닛(100)으로부터 발상되는 열이 외부로 발산되어 난방에 사용되지 못하고 소실되는 열손실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며, 바궁이유닛(100)과 단열벽(5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단열을 위한 열전달 차단층의 역할을 함에 따라 아궁이유닛(100)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해 형성되는 열기가 최대한 손실되지 않고 난방에 사용될 수 있어 난방효율이 높아진다.The insulat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들 난방 장치(10)는 아궁이유닛(100)과 분배유닛(200) 및 구들열전달유닛(300)이 각각 모듈형태로 형성되어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하며, 자재를 운반 및 보관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규격화되고 모듈화되어 있는 부재들을 현장 시공하는 것이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효율적인 구들 난방 장치(10)를 시공할 수 있다.The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 구들 난방 장치
100: 아궁이유닛
110: 베이스판 111: 가이드돌기
120: 후면판 121: 제2 안착홈
130: 측면판 131: 제1 수평부
132: 제1 안착홈 133: 경사부
134: 제2 수평부 135: 급기홀
140: 상부커버부 141: 제1 커버부재
142: 제2 커버부재 143: 제3 커버부재
144: 제1 지지홈 150: 개폐도어
161: 연소감지센서 162: 제어부
163: 송풍팬
200: 분배유닛
210: 메인구획판 211: 제1 걸림턱
212: 제2 지지홈 220: 상부판
230: 전방보조구획판 240: 후방보조구획판
250: 사이보조구획판 251: 제2 걸림턱
260: 측면커버판 261: 제3 걸림턱
300: 구들열전달유닛
310: 단위부재 311: 중공
312: 배기홀 320: 차단판
400: 온수공급유닛
410: 저수탱크 420: 열교환관
500: 단열벽10: Goodle heating
100: Agung Unit
110: base plate 111: guide protrusion
120: rear panel 121: second mounting groove
130: side plate 131: first horizontal portion
132: first seating groove 133: inclined portion
134: second horizontal part 135: air supply hole
140: upper cover part 141: first cover member
142: second cover member 143: third cover member
144: first support groove 150: opening and closing door
161: combustion detection sensor 162: control unit
163: blower fan
200: distribution unit
210: main partition plate 211: first locking jaw
212: second support groove 220: upper plate
230: front auxiliary partition plate 240: rear auxiliary partition plate
250: cy-assisted partition plate 251: second locking jaw
260: side cover plate 261: third locking jaw
300: Gudeul heat transfer unit
310: unit member 311: hollow
312: exhaust hole 320: blocking plate
400: hot water supply unit
410: storage tank 420: heat exchange tube
500: insulation wall
Claims (8)
상기 아궁이유닛의 상부에 안착되며, 아궁이유닛에서 가열된 가열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공기를 두 개 이상의 유로로 분배하는 분배유닛과;
상기 분배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분배유닛에서 분배된 가열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제공하며 건물의 바닥 하부에 시공되는 구들열전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아궁이유닛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후측 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후면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측면판과,
상기 양측 측면판의 전방측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측면판 중 일측에는 상기 후면판과 측면판들에 의해 형성되는 연소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급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판은 상기 후면판과 연결되는 후단부로부터 소정길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제1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안착홈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상면이 점점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의 단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안착홈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평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부는 상기 제1 안착홈에 양측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양측 측면판을 상호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1 커버부재의 전면에 연결되며 상기 경사부에 안착되는 제2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의 전면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부에 안착되는 제3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커버부재와 제3 커버부재는 양측 가장자리의 하면에 상기 측면판의 상면이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으로 인입 형성된 제1 지지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 난방 장치.
A furnace unit having a combustion space formed therein;
A distribution unit that is seated on the top of the furnace unit, has a passage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ed air heated in the furnace unit passes, and distributes the heated air to two or more passages;
It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and provide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heated air distributed from the distribution unit passes, and includes a goodel heat transfer unit installed under the floor of the building,
The furnace unit is a base plate,
A rear plate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ase plate so as to extend upward,
Two side plates extending upward on both side edges of the base plate,
It includes an upper cover portion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side plates,
One side of the two side plates has an air supply hole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space formed by the rear plate and the side plates,
The side plate has a first seating groove inserted in a predetermined depth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connected to the rear plate, and as it extends forward in the front of the first seating groove An inclined portion with an upper surfac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is formed,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inclined portion, and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behind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upper cover part includes a first cover member having both ends inserted into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extending to interconnect the both side plates,
A second cover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and seated on the inclined portion,
And a third cover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ver member and seated on the horizontal portion,
The second cover member and the third cover member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grooves are formed in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ide plat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plate can enter the lower surface of both edges.
Goodle heating.
상기 아궁이유닛은 상기 연소공간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연소감지센서와,
상기 급기홀이 형성된 측면판에 외부로부터 상기 급기홀을 통해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기를 강제 유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연소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 난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urnace unit includes a combus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fuel is burned in the combustion space,
A blowing fan installed on the side plate on which the air supply hole is formed to force air into the combustion space through the air supply hole from the outside;
Receiv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combustion detection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blowing fan according to the detection information.
Goodle heating.
상기 후면판은 상기 양측 측면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제2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배유닛은 하단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안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커버부재를 향해 연장되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메인구획판과,
상기 메인구획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후측 하면에 상면이 지지되고, 상기 메인구획판의 후측에 측면이 지지되며, 하면은 상기 아궁이유닛의 후면판 상면에 지지되는 후방보조구획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방측 하면에 상면이 지지되고, 상기 메인구획판의 전방측에 측면이 지지되며, 하면은 상기 아궁이유닛의 제1 커버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전방보조구획판과,
상기 전방보조구획판과 후방보조구획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면은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지지되고, 측면은 상기 메인구획판의 측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사이보조구획판과,
상기 전방보조구획판과 사이보조구획판 및 상기 후방보조구획판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상부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가열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측면커버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 난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plate has a second seating groove inserted in a predetermined depth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h side plates,
The distribution unit includes a main partition plate having a lower end of one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extending toward the first cover member,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An upper plat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partition plate,
The upper surface is supported on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 side surface is support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partition plate, and the lower surface is a rear auxiliary partition plat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late of the furnace unit,
The upper surface is supported on the front sid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 side surface is suppor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partition plate, and the lower surface is a front auxiliary partition plat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of the furnace unit;
At least one inter-assisted partition plate installed between the front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rear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upper surface is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side surface is suppor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partition plate,
And a side cover plate disposed between the front auxiliary partition plate, the intermediate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rear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having an upper e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heated air can move. With
Goodle heating.
상기 메인구획판은 전방측 하단에 상기 제1 커버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된 제1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상기 사이보조구획판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보조구획판의 형성위치와 두께에 대응하는 제2 지지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보조구획판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아궁이유닛의 측면판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커버판은 상기 후방보조구획판과 사이보조구획판 및 전방보조구획판들의 사이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된 진입부와, 진입부의 외측면에 상기 후방보조구획판과 사이보조구획판 및 전방보조구획판들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보조구획판과 사이보조구획판 및 전방보조구획판의 외측면에 걸리는 제3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 난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main partition plate has a first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at the lower front side thereof, and the side auxiliary partition plate so that the cy auxiliary partition plate can be inserted. The second support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position and thickness of are forme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plate of the furnace unit is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cy-assisted partition plate,
The side cover plate includes an entry portion configured to enter the space between the rear auxiliary partition plate, the inter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front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rear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inner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the front si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try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have a width relatively lar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uxiliary parti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auxiliary partition plate, the intermediate auxiliary partition plate, and a third locking projection that is caugh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auxiliary partition plate is formed.
Goodle heating.
상기 구들열전달유닛은 양측이 개구된 내부중공을 갖는 사각기둥 형태의 단위부재와, 상기 단위부재의 일측 개구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판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단위부재는 일측 측면에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부재는 중공이 상호 연통되도록 다른 단위부재와 연결되거나 일측 중공의 개구가 차단되도록 상기 차단판이 결합되며,
단위부재의 일단은 상기 분배유닛의 측면커버판과 상부판의 사이 통로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 난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goodul heat transfer unit is formed by interconnecting a unit member in the form of a square column having an inner hollow with both sides open and a blocking plate capable of blocking the opening of one side of the unit member,
The unit member has an exhaust hole formed on one side thereof,
The unit member is connected to another unit member so that the hollow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the blocking plate is coupled to block the opening of one side of the hollow,
One end of the uni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passage between the side cover plate and the top plate of the distribution unit
Goodle heating.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아궁이유닛과 분배유닛, 구들열전달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경유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관을 포함하는 온수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 난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4 to 7,
A storage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heat exchange tub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and extended to pass through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furnace unit, distribution unit, and Gudeul heat transfer unit to heat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t water supply unit comprising
Goodle heat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5930A KR102182085B1 (en) | 2019-03-06 | 2019-03-06 | Hypocaust h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5930A KR102182085B1 (en) | 2019-03-06 | 2019-03-06 | Hypocaust he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7188A KR20200107188A (en) | 2020-09-16 |
KR102182085B1 true KR102182085B1 (en) | 2020-11-23 |
Family
ID=7266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5930A KR102182085B1 (en) | 2019-03-06 | 2019-03-06 | Hypocaust he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208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2863B1 (en) * | 2021-05-27 | 2022-02-15 | 박창욱 | Loess gooduljang |
KR102690679B1 (en) * | 2022-08-31 | 2024-08-05 | 주식회사 안병연구들명가 | Heat exchanger that circulates air using the heat from the furna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0334B1 (en) * | 2015-06-24 | 2016-10-28 | 박진수 | Flat stone type residential heating system with air circulation |
KR101741209B1 (en) * | 2015-08-13 | 2017-05-29 | 주식회사 밸리구들 | hypocaust heating apparatus using the biomas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790001912Y1 (en) * | 1978-09-01 | 1979-11-19 | 현영일 | Assembled korean ondol device |
KR100742351B1 (en) * | 2005-01-28 | 2007-07-24 |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 boiler and control method of unnormal burning situation using air pressure sensor and flame detector |
KR20130006404U (en) | 2012-04-27 | 2013-11-06 | 영 김 | prefabricated yellow soil heating floor |
-
2019
- 2019-03-06 KR KR1020190025930A patent/KR10218208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0334B1 (en) * | 2015-06-24 | 2016-10-28 | 박진수 | Flat stone type residential heating system with air circulation |
KR101741209B1 (en) * | 2015-08-13 | 2017-05-29 | 주식회사 밸리구들 | hypocaust heating apparatus using the biomas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7188A (en) | 2020-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2085B1 (en) | Hypocaust heating apparatus | |
KR102198606B1 (en) | A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 |
KR101696802B1 (en) | korean hypocaust for heating system | |
KR101622275B1 (en) | a portable korean underfloor heating boiler | |
JP4644177B2 (en) | Solid fuel combustion equipment | |
KR101670334B1 (en) | Flat stone type residential heating system with air circulation | |
US4445497A (en) | Fireplace heating unit | |
KR102505786B1 (en) | Ondol system | |
KR100777393B1 (en) | A indirectness heating fireplace with hot-water supplying and indirectness heating | |
KR20130033057A (en) | Improved structure for korean floor heating system | |
EP3859215B1 (en) | Heating apparatus | |
KR100828382B1 (en) | Composition boiler | |
KR101348697B1 (en) | Structure of smoke-exhaust channel for ondol hot floor | |
KR20100019836A (en) | Apparatus of fireplace having heating air | |
KR102337803B1 (en) | Heating device having boiler and hypocaust | |
WO2011152691A2 (en) | Fireplace also having a boiler function | |
RU2337274C2 (en) | Heating device | |
CN201018908Y (en) | Natural draft ventilation intensive tobacco roasting room rebuilt from ordinary natural ventilation tobacco roasting room | |
KR102134556B1 (en) | the heating system for a korean floor type heater bed | |
KR102463614B1 (en) | Korean floor heating system | |
KR101625984B1 (en) | Complex heating system | |
KR102100556B1 (en) | Fabricated building with floor heating member | |
KR102710626B1 (en) | Ondol system | |
KR101712042B1 (en) |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 |
CN219845003U (en) | Integrated new energy tobacco flue-curing house capable of being disassembled and reassembled and avoiding id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