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385B1 -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8385B1 KR102188385B1 KR1020200043107A KR20200043107A KR102188385B1 KR 102188385 B1 KR102188385 B1 KR 102188385B1 KR 1020200043107 A KR1020200043107 A KR 1020200043107A KR 20200043107 A KR20200043107 A KR 20200043107A KR 102188385 B1 KR102188385 B1 KR 1021883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door
- movable member
- bar
- rotatably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4656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66 ampu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05D2011/0072—Covers, e.g. for protection for the gap between hing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는, 문틀에 메인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면 방향으로 회동시 개방되고 전면 방향으로 회동시 폐쇄되는 문짝; 양단이 상기 문짝의 후면과 문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문짝의 후면과 상기 문틀 사이를 둘러싸는 후면보호부재를 포함하는 후면보호부; 및 일단이 상기 문짝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전면가동부재와, 상기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면가동부재와, 양단이 상기 제1전면가동부재 및 상기 제2전면가동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문짝의 전면과 상기 문틀 사이를 둘러싸는 전면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전면보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에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건축물의 입구 등에 사람 또는 물건 등이 드나들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구조물 중 하나로서, 문틀과 문짝 그리고 손잡이로 구성되며, 창문과 함께 창호(窓戶)로 분류된다.
이러한 도어는 개폐방식에 따라 폴딩 도어, 회전 도어, 슬라이딩 도어와 여닫이 도어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여닫이 도어는 아파트의 방문 등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개폐방식의 하나로 문짝의 일측이 문틀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문짝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 작동된다.
이때, 문짝의 개방 각도에 따라 문짝과 문틀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는 바, 이 틈새에 손가락이 인입된 상태에서 문짝이 폐쇄될 경우, 손가락에 타박상, 골절상, 심지어는 절단과 같은 심각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그 위험성은 더욱 증가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손 끼임 방지장치가 개발되었지만, 장치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부피 및 제조비용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문짝의 내외부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문짝을 가공하는 등의 복잡한 공정이 필요한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통상적인 문짝 및 문틀을 사용하더라도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손 끼임 방지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을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문짝과 문틀을 활용하면서 추가적인 가공 없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손 끼임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는, 문틀에 메인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면 방향으로 회동시 개방되고 전면 방향으로 회동시 폐쇄되는 문짝; 양단이 상기 문짝의 후면과 문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문짝의 후면과 상기 문틀 사이를 둘러싸는 후면보호부재를 포함하는 후면보호부; 및 일단이 상기 문짝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전면가동부재와, 상기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면가동부재와, 양단이 상기 제1전면가동부재 및 상기 제2전면가동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문짝의 전면과 상기 문틀 사이를 둘러싸는 전면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전면보호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면보호부는, 상기 문짝의 후면에 부착되고 일단부에 제1후면회동축이 결합되는 제1후면고정부재와, 상기 제1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면보호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후면가동부재와, 상기 문틀에 부착되고 일단부에 제2후면회동축이 결합되는 제2후면고정부재와, 상기 제2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면보호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후면가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후면가동부재, 상기 제2후면가동부재 및 상기 후면보호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후면보호부재의 양단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후면가동부재와 상기 제2후면가동부재는 상기 후면보호부재의 양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후면가동부재 및 상기 제2후면가동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후면보호부재의 양단 오목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면보호부재는, 상기 메인힌지의 회전축과 동일한 중심 축선을 갖는 곡면 형상을 이루고,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거나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후면회동축 및 상기 제2후면회동축은, 상기 메인힌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후면보호부재에는, 양단이 각각 분할된 후면보호부재에 결합되는 연질 또는 경질의 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후면보호부재의 중앙부가 접힌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후면보호부재는, 중앙부가 분할되어 제1후면보호부재 및 제2후면보호부재로 구분되되, 제1후면보호부재의 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수부재가 형성되고, 제2후면보호부재의 단부에는 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환형관 형상의 암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수부재와 상기 암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보호부는, 상기 문짝의 전면에 부착되고 일단부에 제1전면회동축이 결합되는 제1전면고정부재와, 상기 문틀에 부착되고 일단부에 제2전면회동축이 결합되는 제2전면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면가동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제3전면회동축이 결합되며, 상기 제2전면가동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2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제4전면회동축이 결합되며, 상기 전면보호부재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3전면회동축 및 상기 제4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면가동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동바와, 일단부가 상기 제3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회동바와, 상기 제1회동바 및 상기 제3회동바의 타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1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동바 및 상기 제3회동바의 외측면과 상기 제1고정바의 오목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전면가동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2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동바와, 일단부가 상기 제4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회동바와, 상기 제2회동바 및 상기 제4회동바의 타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2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동바 및 상기 제4회동바의 외측면과 상기 제2고정바의 오목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보호부재는, 상기 제3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회동바와, 상기 제4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회동바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의 양단부에 상기 제5회동바 및 상기 제6회동바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된 보호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5회동바 및 상기 제6회동바의 외측면과 상기 보호패드의 오목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드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거나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보호패드에는, 양단이 각각 분할된 보호패드에 결합되는 연질 또는 경질의 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보호패드의 중앙부가 접힌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드는, 중앙부가 분할되어 제1보호패드 및 제2보호패드로 구분되되, 제1보호패드의 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수부재가 형성되고, 제2보호패드의 단부에는 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환형관 형상의 암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수부재와 상기 암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 및 상기 제2고정바는, 각각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거나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제1고정바 및 상기 제2고정바에는, 양단이 각각 분할된 제1고정바 또는 제2고정바에 결합되는 연질 또는 경질의 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제1고정바 및 상기 제2고정바의 중앙부가 접힌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면고정부재와 상기 문틀 사이를 매개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거나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며,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커버에는, 양단이 각각 분할된 커버에 결합되는 연질 또는 경질의 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중앙부가 접힌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후면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여 손가락이 틈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전면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더라도 보호부가 회동하면서 손가락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는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치함에 있어 종래의 문짝과 문틀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고, 시공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도어의 폐쇄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어의 개방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어의 폐쇄 상태일 때 손가락이 끼인 모습을 나타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후면보호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전면보호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연질부가 설치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연질부 및 가이드가 설치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고정부재 커버에 연질부가 설치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보호패드 및 후면보호부재의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어의 개방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어의 폐쇄 상태일 때 손가락이 끼인 모습을 나타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후면보호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전면보호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연질부가 설치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연질부 및 가이드가 설치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고정부재 커버에 연질부가 설치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보호패드 및 후면보호부재의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도어의 폐쇄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어의 개방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어의 폐쇄 상태일 때 손가락이 끼인 모습을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후면보호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전면보호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연질부가 설치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연질부 및 가이드가 설치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고정부재 커버에 연질부가 설치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보호패드 및 후면보호부재의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는, 문틀(20)에 메인힌지(3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면 방향으로 회동시 개방되고 전면 방향으로 회동시 폐쇄되는 문짝(10), 양단이 문짝(10)의 후면과 문틀(2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문짝(10)의 후면과 문틀(20) 사이를 둘러싸는 후면보호부재(110)를 포함하는 후면보호부(100) 및 일단이 문짝(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전면가동부재(240)와, 문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면가동부재(250)와, 양단이 제1전면가동부재(240) 및 제2전면가동부재(25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문짝(10)의 전면과 문틀(20) 사이를 둘러싸는 전면보호부재(210)를 포함하는 전면보호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 상에서 문짝(10)의 후면(하측) 방향을 실내측, 문짝(10)의 전면(상측) 방향을 실외측이라 지칭하고, 문틀(20) 자체는 일체로 구성되지만, 후면보호부(100)가 설치되는 위치의 문틀(20)을 실내측 문틀로 지칭하고, 전면보호부(200)가 설치되는 위치의 문틀(20)을 실외측 문틀로 지칭하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실내/외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 문짝(10)의 후면 방향이 실외측, 문짝(10)의 전면 방향이 실내측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는 문짝(10)의 후면에 후면보호부(100)를 설치하고 문짝(10)의 전면에 전면보호부(200)를 설치하는 바, 이러한 후면보호부(100) 및 전면보호부(200)는 문짝(10)의 개폐에 따른 회동 동작과 무관하게 문짝(10)과 문틀(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항상 외부 공간으로부터 차단함으로써, 손가락(40) 등이 틈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후면보호부(100) 및 전면보호부(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후면보호부(100)는 문짝(10)의 후면에 부착되고 일단부에 제1후면회동축(131)이 결합되는 제1후면고정부재(121)와, 제1후면회동축(1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면보호부재(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후면가동부재(141)와, 실내측 문틀(20)에 부착되고 일단부에 제2후면회동축(132)이 결합되는 제2후면고정부재(122)와, 제2후면회동축(1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면보호부재(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후면가동부재(142)를 더 포함하고, 상술한 후면보호부재(110)는 대략적으로 반원 형상을 단면을 갖는 반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제1후면가동부재(141) 및 제2후면가동부재(142)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후면보호부재(110)가 메인힌지(30)의 주변을 감싸게 되고, 문짝(10)이 개방되어 문짝(10)의 후면과 실내측 문틀(20)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외부 공간으로부터 차단하게 된다.
제1후면고정부재(121) 및 제2후면고정부재(122)는 각각의 일측면이 문짝(10) 및 실내측 문틀(20)에 고정되는 바, 이는 접착제나 볼팅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제1후면고정부재(121)의 일단부에는 제1후면회동축(131)이 결합되고 제2후면고정부재(122)의 일단부에는 제2후면회동축(132)이 결합되는 바, 제1후면고정부재(121) 및 제2후면고정부재(122)의 일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제1후면회동축(131) 및 제2후면회동축(132)이 삽입될 수도 있고, 또는 제1후면고정부재(121)와 제1후면회동축(131)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2후면고정부재(122)와 제2후면회동축(132)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후면회동축(131) 및 제2후면회동축(132)이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제1후면가동부재(141) 및 제2후면가동부재(142)의 단부에도 원통형 부재가 형성되어 이 부재에 제1후면회동축(131) 및 제2후면회동축(132)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제1후면회동축(131) 및 제2후면회동축(132)이 제1후면고정부재(121) 및 제2후면고정부재(122)과 일체로 형성될 경우에는 제1후면가동부재(141) 및 제2후면가동부재(142)의 단부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 개방된 일측에 제1후면회동축(131) 및 제2후면회동축(132)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방식은 후술할 모든 회동축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별도로 삽입되는 회동축을 이용하여 두 원통형 구성간을 연결하거나, 한 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회동축에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 부재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제1후면가동부재(141), 제2후면가동부재(142) 및 후면보호부재(11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고, 후면보호부재(110)의 양단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후면가동부재(141)와 제2후면가동부재(142)는 후면보호부재(110)의 양단부에 삽입되되, 제1후면가동부재(141) 및 제2후면가동부재(142)의 외측면과, 후면보호부재(110)의 양단 오목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제1후면가동부재(141) 및 제2후면가동부재(142)와 후면보호부재(110)의 결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시키거나, 결합면을 열융착시킴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접착제 및 열융착을 이용한 결합 방법은, 상세한 설명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하는 모든 억지끼움 결합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후면가동부재(141), 제2후면가동부재(142)와 후면보호부재(110)는 별도의 볼팅, 본딩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고, 단순히 작업자의 손으로 억지끼움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간편화될 수 있다. 이때, 후면보호부재(110)의 외측 단부는 제1후면회동축(131) 및 제2후면회동축(132)에 인접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제1후면가동부재(141), 제2후면가동부재(142)와 후면보호부재(110)의 결합부를 후면보호부재(110)의 내측면에 숨김으로써, 외부에 결합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후면보호부재(110)의 형상은, 메인힌지(30)의 회전축과 동일한 중심 축선을 갖는 곡면 형상을 이루고, 일체형 또는 분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보호부재(110) 전체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경우 중앙부에 연질부(F)가 마련되어 이 부위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중앙부가 분할된 2분할 형태로 마련될 경우 두 개의 조각을 연결하는 경질 또는 연질의 가이드(G)가 마련되는데, 이때 가이드(G)가 연질로 이루어지면 이 가이드(G) 자체가 휘어지도록 변형되고, 가이드(G)가 경질로 이루어지면 가이드(G)와 후면보호부재(110)의 결합부가 휘어지면서 후면보호부재(110)의 중앙부의 분할된 부위가 접히도록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손가락(40) 등 외부의 힘이 제거될 경우, 연질부(F) 또는 가이드(G)가 원래 형태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하여 후면보호부재(110)의 중앙부가 다시 펼쳐지면서 원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제1후면회동축(131) 및 제2후면회동축(132)은 메인힌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메인힌지를 중심으로 서로 동일 간격 이격됨으로써, 문짝(10)이 개방되더라도 후면보호부재(110)의 양단부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문짝(10)의 개폐 동작 중에 후면보호부재(110)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문짝(10)의 개폐 각도가 90도를 초과한다면, 제1후면회동축(131) 및 제2후면회동축(13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후면보호부재(110)의 중앙부가 구부러지거나 접히는 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후면보호부(100)의 작동을 더 자세히 설명하면, 문짝(10)이 개방됨에 따라 제1후면가동부재(141) 및 제2후면가동부재(142)가 동시에 회동하고, 이에 따라 후면보호부재(110)가 그 각도만큼 회동하면서, 문짝(10)과 문틀(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후면보호부재(110), 제1후면가동부재(141), 제2후면가동부재(142)가 가로막아 차단함으로써, 손가락 등의 신체 부위가 문 틈새에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기재한대로, 전면보호부(200)는 일단이 문짝(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전면가동부재(240)와, 실외측 문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면가동부재(250)와, 양단이 제1전면가동부재(240) 및 제2전면가동부재(25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문짝(10)의 전면과 문틀(20) 사이를 둘러싸는 전면보호부재(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 바람직하게는 문짝(10)의 전면에 부착되고 일단부에 제1전면회동축(231)이 결합되는 제1전면고정부재(221)와, 실외측 문틀(20)에 부착되고 일단부에 제2전면회동축(232)이 결합되는 제2전면고정부재(222)를 더 포함하게 된다.
제1전면고정부재(221) 및 제2전면고정부재(222)는 각각 문짝(10)의 전면과 실외측 문틀(20)에 고정되는 바, 이는 접착제나 볼팅 등의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제1전면고정부재(221) 및 제2전면고정부재(222) 각각의 일단부에는 제1전면회동축(231) 및 제2전면회동축(232)이 결합되는 바, 앞서 설명한 제1후면고정부재(121)와 제1후면회동축(131)의 경우와 같이, 별도의 회동축을 삽입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고정부재와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전면가동부재(240)는, 일단부가 제1전면회동축(2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3전면회동축(243)에 결합되는 구성이고, 제2전면가동부재(250)는, 일단부가 제2전면회동축(2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4전면회동축(253)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제1전면가동부재(240) 및 제2전면가동부재(25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전면가동부재(240)는 제1회동바(241), 제3회동바(242), 제1고정바(244)로 구분될 수 있고, 제1회동바(241)는 일단부가 제1전면회동축(2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고정바(244)의 일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제3회동바(242)는 일단부가 제3전면회동축(24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고정바(244)의 타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구성이다.
제1고정바(244)는 대략 H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H 자의 상하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H자 형상의 좌우측 변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고, 이렇게 변의 길이가 불균등하게 형성될 경우 문짝 또는 문틀에 가까운 측의 변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회동바(241) 및 제3회동바(242)의 타단부는 제1고정바(244)의 양단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되는데, 제1고정바(244)의 오목홈 내측면과 제1회동바(241) 및 제3회동바(242)의 외측면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전면가동부재(250)는, 대략 H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고정바(254), 일단부가 제2전면회동축(2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고정바(254)의 일단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 고정되는 제2회동바(251) 및 일단부가 제4전면회동축(25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고정바(254)의 타단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 고정되는 제4회동바(252)로 구성된다.
이때 제1고정바(244) 및 제2고정바(254)의 중앙부가 연질부(F)로 구성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연질부(F)가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면서 충격을 감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면보호부재(210)는 양단이 각각 제3전면회동축(243) 및 제4전면회동축(25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외측면이 대략 사반원 형상의 곡면을 이루고 내측면 양단부에 각각 오목홈이 형성된 보호패드(211)와, 일단부가 제3전면회동축(24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보호패드 일단부의 오목홈에 삽입 고정되는 제5회동바(212)와, 일단부가 제4전면회동축(25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보호패드(211) 타단부의 오목홈에 삽입 고정되는 제6회동바(2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5회동바(212) 및 제6회동바(213)의 외측면과 보호패드(211)의 오목홈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패드(211)는 앞서 설명한 후면보호부(100)의 후면보호부재(110)와 유사하게, 전체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는 등 변화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거나, 중앙부가 분할된 2분할 형태로 마련되어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중앙부가 접히도록 변형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보호패드(211)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경우 중앙부가 연질부(F)로 마련되어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고, 분할형으로 형성될 경우 두 개의 조각을 별도의 연질 또는 경질의 가이드(G)가 연결하여 이 가이드(G)가 휘어지거나 가이드(G)와 보호패드(211) 사이의 결합부가 휘어지면서 보호패드(211)의 중앙부가 휘어질 수 있다.
전면보호부(200)의 작동을 더 자세히 설명하면, 문짝(10)이 개방됨에 따라 제1전면가동부재(240)가 문짝(10)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2전면가동부재(250)가 실외측 문틀(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1전면가동부재(240), 전면보호부재(210), 제2전면가동부재(250)가 나란하게 정렬되면서 문짝(10)과 문틀(2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이후,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이 폐쇄될 때 손가락(40)을 전면보호부(200)에 인접시킬 경우, 손가락(40)이 인입된 방향의 가동부재가 회전하면서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경우와 같이 제2전면가동부재(250)와 문틀(20) 사이에 손가락(40)이 인입될 경우, 제2전면가동부재(250)가 회동되면서 손가락(4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이 과정에서 보호패드(211)의 중심부가 휘어지거나 꺾이고, 제2전면가동부재(250)의 중앙 연질부(F)가 휘어지면서 2차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손가락(40)이 제1전면가동부재(240)와 문짝(10) 사이에 인입되더라도, 제1전면가동부재(240)가 회동되면서 보호패드(211) 및 제1전면가동부재(240)가 변형되어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해서, 손가락(40)이 인입되더라도, 이 손가락(40)은 제1전면가동부재(240) 및 제2전면가동부재(250)를 넘어서 문짝(10)과 문틀(20) 사이의 틈새까지 도달할 수는 없기 때문에, 치명적인 부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손가락(40)이 이탈되면, 연질부(F)의 복원력에 의해 보호패드(211)와 제1전면가동부재(240) 및 제2전면가동부재(250)가 원래 형태로 복원되면서, 문짝(10) 및 문틀(20)과 후면보호부(200)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가 다시 차단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제1후면고정부재(121), 제2후면고정부재(122), 제1전면고정부재(221), 제2전면고정부재(222)는 직접적으로 문짝(10) 또는 문틀(20)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커버(C)를 문짝(10)또는 문틀(20)에 고정시킨 이후, 이 커버(C)에 상기 구성들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커버(C)를 사용할 경우, 커버(C)과 각 구성들 사이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융착, 접착 등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D)의 중앙부에 연질부(F)를 설치함으로써, 추가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관절부를 마련하여 손가락(40)이 인입된 상태로 문짝(10)이 폐쇄될 때 손가락(40)에 가해지는 힘을 더욱 감소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보호부재(110)는 제1후면보호부재(111) 및 제2후면보호부재(112)로 분리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후면보호부재(111)와 제2후면보호부재(112)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제1후면보호부재(111)의 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수부재(113)가 형성되고, 제2후면보호부재(112)의 단부에는 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환형관 형상의 암부재(114)가 형성되어, 수부재(113)와 암부재(114)가 맞물린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제1후면보호부재(111)와 제2후면보호부재(112)가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손가락 등 외부의 힘에 의해 후면보호부재(110)의 중앙부가 꺾이듯이 변형되면, 소정의 탄성을 갖는 제1후면보호부재(111)의 수부재(113) 및 제2후면보호부재(112)의 암부재(114)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에 의하여 후면보호부재(110)가 원래의 반원통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보호패드(211)는 중앙부가 분할되어 제1보호패드(211a) 및 제2보호패드(211b)로 구분될 수 있고, 제1보호패드(211a)의 단부에 형성된 수부재(211c) 및 제2보호패드(211b)의 단부에 형성된 암부재(211d)가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어, 앞서 설명한 제1후면보호부재(111) 및 제2후면보호부재(112)와 유사하게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원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문짝 20: 문틀
30: 메인힌지 40: 손가락
100: 후면보호부 110: 후면보호부재
121: 제1후면고정부재 122: 제2후면고정부재
131: 제1후면회동축 132: 제2후면회동축
141: 제1후면가동부재 142: 제2후면가동부재
200: 전면보호부 210: 전면보호부재
211: 보호패드 212: 제5회동바
213: 제6회동바 221: 제1전면고정부재
222: 제2전면고정부재 231: 제1전면회동축
232: 제2전면회동축 240: 제1전면가동부재
241: 제1회동바 242: 제3회동바
243: 제3전면회동축 244: 제1고정바
250: 제2전면가동부재 251: 제2회동바
252: 제4회동바 253: 제4전면회동축
254: 제2고정바 C: 커버
F: 연질부 G: 가이드
D: 커버
30: 메인힌지 40: 손가락
100: 후면보호부 110: 후면보호부재
121: 제1후면고정부재 122: 제2후면고정부재
131: 제1후면회동축 132: 제2후면회동축
141: 제1후면가동부재 142: 제2후면가동부재
200: 전면보호부 210: 전면보호부재
211: 보호패드 212: 제5회동바
213: 제6회동바 221: 제1전면고정부재
222: 제2전면고정부재 231: 제1전면회동축
232: 제2전면회동축 240: 제1전면가동부재
241: 제1회동바 242: 제3회동바
243: 제3전면회동축 244: 제1고정바
250: 제2전면가동부재 251: 제2회동바
252: 제4회동바 253: 제4전면회동축
254: 제2고정바 C: 커버
F: 연질부 G: 가이드
D: 커버
Claims (13)
- 문틀에 메인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면 방향으로 회동시 개방되고 전면 방향으로 회동시 폐쇄되는 문짝;
양단이 상기 문짝의 후면과 문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문짝의 후면과 상기 문틀 사이를 둘러싸는 후면보호부재를 포함하는 후면보호부; 및
일단이 상기 문짝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전면가동부재와, 상기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면가동부재와, 양단이 상기 제1전면가동부재 및 상기 제2전면가동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문짝의 전면과 상기 문틀 사이를 둘러싸는 전면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전면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보호부는, 상기 문짝의 후면에 부착되고 일단부에 제1후면회동축이 결합되는 제1후면고정부재와, 상기 제1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면보호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후면가동부재와, 상기 문틀에 부착되고 일단부에 제2후면회동축이 결합되는 제2후면고정부재와, 상기 제2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면보호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후면가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후면가동부재, 상기 제2후면가동부재 및 상기 후면보호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후면보호부재의 양단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후면가동부재와 상기 제2후면가동부재는 상기 후면보호부재의 양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후면가동부재 및 상기 제2후면가동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후면보호부재의 양단 오목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보호부재는, 상기 메인힌지의 회전축과 동일한 중심 축선을 갖는 곡면 형상을 이루고,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거나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후면회동축 및 상기 제2후면회동축은, 상기 메인힌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후면보호부재에는, 양단이 각각 분할된 후면보호부재에 결합되는 연질 또는 경질의 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후면보호부재의 중앙부가 접힌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면보호부재는, 중앙부가 분할되어 제1후면보호부재 및 제2후면보호부재로 구분되되, 제1후면보호부재의 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수부재가 형성되고, 제2후면보호부재의 단부에는 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환형관 형상의 암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수부재와 상기 암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보호부는, 상기 문짝의 전면에 부착되고 일단부에 제1전면회동축이 결합되는 제1전면고정부재와, 상기 문틀에 부착되고 일단부에 제2전면회동축이 결합되는 제2전면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면가동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제3전면회동축이 결합되며,
상기 제2전면가동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2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제4전면회동축이 결합되며,
상기 전면보호부재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3전면회동축 및 상기 제4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가동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동바와, 일단부가 상기 제3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회동바와, 상기 제1회동바 및 상기 제3회동바의 타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1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동바 및 상기 제3회동바의 외측면과 상기 제1고정바의 오목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전면가동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2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동바와, 일단부가 상기 제4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회동바와, 상기 제2회동바 및 상기 제4회동바의 타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2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동바 및 상기 제4회동바의 외측면과 상기 제2고정바의 오목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면보호부재는, 상기 제3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회동바와, 상기 제4전면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회동바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의 양단부에 상기 제5회동바 및 상기 제6회동바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된 보호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5회동바 및 상기 제6회동바의 외측면과 상기 보호패드의 오목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드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거나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보호패드에는, 양단이 각각 분할된 보호패드에 결합되는 연질 또는 경질의 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보호패드의 중앙부가 접힌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드는, 중앙부가 분할되어 제1보호패드 및 제2보호패드로 구분되되, 제1보호패드의 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수부재가 형성되고, 제2보호패드의 단부에는 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환형관 형상의 암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수부재와 상기 암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바 및 상기 제2고정바는, 각각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거나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제1고정바 및 상기 제2고정바에는, 양단이 각각 분할된 제1고정바 또는 제2고정바에 결합되는 연질 또는 경질의 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제1고정바 및 상기 제2고정바의 중앙부가 접힌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전면고정부재와 상기 문틀 사이를 매개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거나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며,
중앙부가 분할되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커버에는, 양단이 각각 분할된 커버에 결합되는 연질 또는 경질의 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중앙부가 접힌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3107A KR102188385B1 (ko) | 2020-04-09 | 2020-04-09 |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3107A KR102188385B1 (ko) | 2020-04-09 | 2020-04-09 |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8385B1 true KR102188385B1 (ko) | 2020-12-08 |
Family
ID=7377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3107A KR102188385B1 (ko) | 2020-04-09 | 2020-04-09 |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838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4367B1 (ko) | 2022-03-30 | 2022-06-02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여닫이 도어용 전면 손끼임 방지장치 |
KR102426836B1 (ko) | 2022-04-01 | 2022-07-29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끼임 방지장치 |
KR102431936B1 (ko) | 2022-04-21 | 2022-08-12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끼임 방지장치 |
KR102431937B1 (ko) | 2022-05-25 | 2022-08-12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 끼임 방지장치 |
KR102576000B1 (ko) | 2022-05-13 | 2023-09-07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끼임 방지장치 |
KR20230158992A (ko) | 2022-05-13 | 2023-11-21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여닫이 도어용 전면 손끼임 방지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9131B1 (ko) | 2018-09-14 | 2019-01-16 | 동화케이팀 주식회사 | 손 끼임 방지 문 |
KR102003713B1 (ko) * | 2018-11-01 | 2019-07-25 | 서원상협(주) | 기설치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부재 |
KR102015284B1 (ko) * | 2019-03-20 | 2019-08-28 | 구본춘 |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
-
2020
- 2020-04-09 KR KR1020200043107A patent/KR1021883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9131B1 (ko) | 2018-09-14 | 2019-01-16 | 동화케이팀 주식회사 | 손 끼임 방지 문 |
KR102003713B1 (ko) * | 2018-11-01 | 2019-07-25 | 서원상협(주) | 기설치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부재 |
KR102015284B1 (ko) * | 2019-03-20 | 2019-08-28 | 구본춘 |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4367B1 (ko) | 2022-03-30 | 2022-06-02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여닫이 도어용 전면 손끼임 방지장치 |
KR102426836B1 (ko) | 2022-04-01 | 2022-07-29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끼임 방지장치 |
KR102431936B1 (ko) | 2022-04-21 | 2022-08-12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끼임 방지장치 |
KR102576000B1 (ko) | 2022-05-13 | 2023-09-07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끼임 방지장치 |
KR20230158992A (ko) | 2022-05-13 | 2023-11-21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여닫이 도어용 전면 손끼임 방지장치 |
KR102431937B1 (ko) | 2022-05-25 | 2022-08-12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 끼임 방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8385B1 (ko) |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 |
KR101244792B1 (ko) | 안전 여닫이문 | |
KR102280385B1 (ko) | 여닫이 문 틈새 끼임 방지장치 | |
CA2914942A1 (en) | Accordion shutter hinge assembly | |
US20080282502A1 (en) | Device for guiding cables between a frame and a wing | |
KR102404367B1 (ko) | 여닫이 도어용 전면 손끼임 방지장치 | |
KR102210864B1 (ko) | 손 끼임 방지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연결장치 | |
CA2268514A1 (en) | Hinge, e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
KR20210048897A (ko) | 부착형 손끼임 방지장치 | |
DK1266115T3 (da) | Beslagenhed til et vindue eller en dør | |
KR102248737B1 (ko) | 손끼임 방지용 텐션부재가 구비된 안전출입문 | |
KR102244145B1 (ko) | 경첩의 힌지가 위치된 문의 후면 틈새를 가려주는 손끼임 방지 장치 | |
KR20230158992A (ko) | 여닫이 도어용 전면 손끼임 방지장치 | |
KR102431937B1 (ko) |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 끼임 방지장치 | |
KR102505561B1 (ko) | 여닫이 도어용 손끼임 방지장치 | |
KR102282213B1 (ko) |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 |
KR102576000B1 (ko) | 여닫이 도어용 후면 손끼임 방지장치 | |
JP5455580B2 (ja) | 指詰め防止装置 | |
KR102703893B1 (ko) |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 |
EP0661185A1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protective devices for shutters | |
NL8501481A (nl) | Sponningsstrip voor het afschermen van de sponningsruimte aan de scharnierzijde van een raam of een deur. | |
WO1995025868A1 (en) | Articulated joint means | |
PL179392B1 (pl) | Skrzydlo bramy PL | |
KR20210000582A (ko) | 손가락 끼임 방지 커버 | |
KR102497150B1 (ko) | 손 끼임 방지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