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87331B1 -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331B1
KR102187331B1 KR1020190008416A KR20190008416A KR102187331B1 KR 102187331 B1 KR102187331 B1 KR 102187331B1 KR 1020190008416 A KR1020190008416 A KR 1020190008416A KR 20190008416 A KR20190008416 A KR 20190008416A KR 102187331 B1 KR102187331 B1 KR 102187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t
user
wrist
arm
muscle streng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304A (ko
Inventor
박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온웰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온웰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온웰니스
Priority to KR1020190008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3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33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wrist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63B21/402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to the wr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과 손목에 있는 뼈들이 정상적으로 정렬되어, 근육들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지거나 반대로 짧아지고 근육의 꼬임 현상이 발생되는 부정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는, 손목뼈들의 정렬을 위하여 사용자가 주먹을 쥔채로 상하 방향으로 팔의 일부분 까지 진입시킬 수 있는 손수용부(100); 상기 손수용부(100)가 수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손수용부(100)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하우징부(200); 및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손수용부(100)에 연결되어 손수용부(100)에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는 공기주입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APPARATUS FOR MUSCULAR STRENGTHENING OF WRIST JOINT}
본 발명은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과 손목에 있는 뼈들이 정상적으로 정렬되어, 근육들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지거나 반대로 짧아지고 근육의 꼬임 현상이 발생되는 부정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목은 인체에서 가장 자주 활용하는 부위 중 하나인 만큼 다양한 요인으로 인한 부상이 잦다. 특히 스포츠 경기 도중 손목을 다치는 일이 많으며 이는 모든 스포츠 손상의 3~9%에 달한다.
손목 손상은 완전히 자란 어른보다 골격이 성숙하지 못한 유소년들에게 자주 발생하고 손상 직후에는 적절한 치료 후에 지속적인 재활 훈련을 통해 원래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운동이나 일상생활의 실수에 의한 일시적인 손목 손상은 비교적 치료 기간이 짧지만, 손목을 거의 쓰지 못하는 뇌졸중 환자나 컴퓨터 앞에서 오랜 시간 작업하는 근무 환경 때문에 손목에 터널증후군 등의 질병이 발생한 직장인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재활 훈련이 필요하다.
실제로 터널 증후군은 매년 10% 이상씩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나 물리 치료사의 부족으로 정상적인 프로그램에 의한 재활 치료를 받는 이가 드문 실정이다.
이는 물리 치료사가 한 번에 단 한명의 환자만을 돌볼 수 있고 재활 치료에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다양한 원인과 질병에 의해 손목이 마비되거나 그에 준하는 상태의 환자에게는 꾸준한 재활훈련이 필요하지만 전문적인 재활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실생활에서 이를 실현하기는 쉽지 않다.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또는 재활을 하면서 스트레칭을 겸하고 있는데, 스트레칭은 신체의 유연성을 증대시키고 근육 경직을 완화하거나 예방하고 재활에 도움이 되는 등 여러 가지 효과로 인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신체 근육을 풀어주기 위한 스트레칭은 건강한 사람뿐만 아니라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근육이 과다하게 경직된 사람에게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손목의 운동을 별도로 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손목의 근력이 약해져 손목관절의 통증이 유발되거나 퇴행성 관절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손목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손목에 형성되는 여러개의 뼈가 정렬되었다가 펼쳐지도록하는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데 이렇게 손목의 운동을 시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손목의 뼈들이 정렬되기 위해서는 검지와 중지에 압박이 되어야 하고, 약지와 소지에는 압박력의 전달이 최소화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운동을 잘못할 경우 삼각섬유연골에 악영향을 미쳐 손목을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168776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는, 손목 뼈들을 반복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기를 통하여 손목근력을 강화시켜 손목관절의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예방하고 손목부위에 퇴행성 관절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는, 손목에 형성되는 여러개의 뼈가 정렬되었다가 펼쳐지도록하는 동작을 원활하게 반복할 수 있는 기기를 통하여 협소한 장소에서 손목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는, 손의 검지와 중지에 압박이 가해지고 약지와 소지에는 압박력이 최소화 되도록 하면서 손목의 뼈들이 정렬되어 손목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는, 손목뼈들의 정렬을 위하여 사용자가 주먹을 쥔채로 상하 방향으로 팔의 일부분 까지 진입시킬 수 있는 손수용부(100); 상기 손수용부(100)가 수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손수용부(100)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하우징부(200); 및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손수용부(100)에 연결되어 손수용부(100)에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는 공기주입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손수용부(100)는, 상기 하우징부(200)의 상부에 한 쌍이 천공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왼쪽과 오른쪽 주먹과 팔꿈치까지 각각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홀인 삽입홀(110)과, 각각의 상기 삽입홀(11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수용된 채로 내부에 진입되는 주먹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탄성가드(120)와, 상기 탄성가드(120)를 감싸면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수용된 채로 사용자의 주먹으로 가해지는 압박력에 의해 주먹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공압튜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가드(120)는, 사용자 주먹의 검지와 중지가 밀착되는 부위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122)과, 사용자 주먹의 약지와 소지가 밀착되는 부위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4)과, 사용자의 주먹과 손목전까지 감싸면서 탄력을 갖는 보호탄력면(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110)은, 토시 형태로 사용자의 팔꿈치 관절까지 감싸면서 팔과 주먹이 수직을 이루도록 안내하는 팔가이드띠(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부(300)는,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압튜브(130)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310)과, 상기 공기주입관(310)에 공급되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펌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110)은, 상기 팔가이드띠(112)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공기펌프(3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통하여 팔이 주먹과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안내하는 팔가이드튜브(114)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부(300)는, 상기 공기펌프(3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팔가이드튜브(114)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팔공기주입관(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하우징부(200)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과 손목의 수직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210)과, 상기 탄성가드(12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주먹으로 누루는 힘을 측정하는 로드셀(220)과, 상기 로드셀(220)과 연결되면서 하우징부(200)의 외면에 구비되어 로드셀(220)의 측정값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230)와, 상기 디스플레이(230)와 공기주입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전원선(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는, 손목근력을 강화시켜 손목관절의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예방하고 손목부위에 퇴행성 관절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는, 협소한 장소에서 손목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을 용이하게 반복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는, 손의 검지와 중지에 압박이 가해지고 약지와 소지에는 압박력이 최소화 되도록 하면서 손목의 뼈들이 정렬되어 손목의 근력을 강화시켜 손목의 근력을 강화운동을 시행하면서도 손목 부위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손과 손목에 있는 뼈들이 정상적으로 정렬되어, 근육들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지거나 반대로 짧아지고 근육의 꼬임 현상이 발생되는 부정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특히, 손수용부, 공기주입부]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는, 손목뼈들의 정렬을 위하여 사용자가 주먹을 쥔채로 상하 방향으로 팔의 일부분 까지 진입시킬 수 있는 손수용부(100); 상기 손수용부(100)가 수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손수용부(100)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하우징부(200); 및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손수용부(100)에 연결되어 손수용부(100)에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는 공기주입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손수용부(100)는, 사용자가 주먹을 쥔채로 손가락 부위를 가압하여 손목뼈들이 정렬을 반복하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먹쥔 손가락이 올바르게 놓인채로 가압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주먹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손수용부(100)는, 상기 하우징부(200)의 상부에 한 쌍이 천공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왼쪽과 오른쪽 주먹과 팔꿈치까지 각각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홀인 삽입홀(110)과, 각각의 상기 삽입홀(11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수용된 채로 내부에 진입되는 주먹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탄성가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수용부(100)는, 상기 탄성가드(120)를 감싸면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수용된 채로 사용자의 주먹으로 가해지는 압박력에 의해 주먹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공압튜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110)은, 사용자의 주먹 및 손목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팔꿈치 까지 진입시킬 수 있는 진입로의 역할을 담당하면서, 상기 삽입홀(110)은 사용자의 주먹이 상기 탄성가드(120)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 및 팔꿈치를 감싸면서 사용자의 주먹과 손목 및 팔꿈치아래 팔이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홀(110)은, 토시 형태로 사용자의 팔꿈치 관절까지 감싸면서 팔과 주먹이 수직을 이루도록 안내하는 팔가이드띠(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가이드띠(112)는, 상기 삽입홀(110)과 하우징부(20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부(200)의 상부로 노출되게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팔가이드띠(112)는, 사용자의 팔꿈치 관절부터 팔꿈치 아래의 팔을 감싸면서 사용자의 팔이 견고하게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팔가이드띠(112)는, 탄성을 갖되 팔이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가드(120)는, 상기 삽입홀(110)을 통해 진입된 사용자의 주먹과 손목을 감싸면서 주먹의 손가락으로 탄성가드(120)를 압박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가드(120)는, 사용자 주먹의 검지와 중지가 밀착되는 부위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122)과, 사용자 주먹의 약지와 소지가 밀착되는 부위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4)과, 사용자의 주먹과 손목전까지 감싸면서 탄력을 갖는 보호탄력면(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주먹의 손가락은 상기 탄성가드(120)에 밀착된 상태로 탄성가드(120)를 반복적으로 가압하는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손목뼈를 정렬하는 운동을 시행하게 되된다.
이때, 상기 탄성가드(120) 중 평면(122)은 사용자 주먹의 검지와 중지가 밀착된 채로 가압받게 되고, 경사면(124)은 사용자 주먹의 약지와 소지가 밀착된 채로 가압받게 된다.
더불어, 상기 보호탄력면(126)은 상기 평면(122)에 사용자 주먹의 검지와 중지가 밀착된 채로 가압받게 되고, 경사면(124)에 사용자 주먹의 약지와 소지가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주먹을 감싸 주먹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가드(120) 중 상기 평면(122)과 경사면(124)은 탄력을 갖으면서 각각 주먹진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약지와 소지가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주먹과 손목 및 팔이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주먹의 압박을 분산하여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호탄력면(126)을 통하여 사용자의 주먹이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탄성가드(120) 중 상기 평면(122)은 사용자 주먹의 검지와 중지가 밀착된 채로 가압력을 받게 되고, 상기 경사면(124)은 사용자 주먹의 약지와 소지가 밀착된 채로 가압력을 받아 손목뼈 정렬 운동을 시행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보호탄력면(126)을 통하여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공압튜브(130)는, 상기 공기주입부(300)를 통하여 내부에 공기를 공급받으면서 팽창하게 되고, 상기 공압튜브(130) 내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팽창된 채로 상기 탄성가드(120)를 감싸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먹이 공압튜브(130)에 의해 보호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하우징부(200)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과 손목의 수직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210)과, 상기 탄성가드(12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주먹으로 누루는 힘을 측정하는 로드셀(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로드셀(220)과 연결되면서 하우징부(200)의 외면에 구비되어 로드셀(220)의 측정값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230)와, 상기 디스플레이(230)와 공기주입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전원선(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창(210)은 상기 하우징부(200)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과 손목의 수직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투명창(210)은, 투명한 유리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로드셀(220)은, 상기 디스플레이(23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주먹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측정하여 외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가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손목뼈의 정렬을 위한 바람직한 주먹의 가압력을 안내하여 올바른 손목 근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30)는 상기 전원선(240)을 통하여 전원을 인가 받고, 상기 로드셀(220)을 통하여 사용자의 운동능력을 측정하면서 운동량과 주먹의 가압력을 문자나 숫자로 표시 및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주입부(300)는,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압튜브(130)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310)과, 상기 공기주입관(310)에 공급되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펌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관(310)은 상기 공압튜브(130)와 공기펌프(320)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펌프(3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압튜브(130)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공기펌프(320)는, 상기 전원선(240)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를 발생시킨 후 상기 공기주입관(310)을 통하여 공압튜브(13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삽입홀(110)은, 상기 팔가이드띠(112)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공기펌프(3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통하여 팔이 주먹과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안내하는 팔가이드튜브(1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부(300)는, 상기 공기펌프(3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팔가이드튜브(114)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팔공기주입관(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팔공기주입관(330)은 상기 팔가이드튜브(114)와 상기 공기펌프(320)를 상호 연결하며 형성되어, 상기 공기펌프(320)로부터 발생되는 공기를 팔공기주입관(330)을 통하여 상기 팔가이드튜브(114)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팔가이드튜브(114)는 상기 공기펌프(320)로부터 발생되는 공기를 상기 팔공기주입관(330)을 통하여 공급받아 상기 팔가이드띠(112)와 더불어 사용자의 팔이 상기 하우징부(200)에 진입되어 상기 로드셀(220)을 가압하는 주먹과 수직을 이루도록 안내하면서 사용자의 팔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일 실시 예로, 사용자가 손목 뼈들을 정렬시켜 손목의 근력을 향상시키는 운동을 실시하는 것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왼손과 오른손 주먹을 쥔 채로 상기 삽입홀(110)을 통하여 상기 로드셀(220) 및 탄성가드(120)에 밀착되도록 하고, 손목과 팔이 수직을 이루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탄성가드(120) 중 상기 평면(122)에는 사용자 주먹의 검지와 중지가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경사면(124)에는 사용자 주먹의 약지와 소지가 밀착되도록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공기펌프(320)를 가동시켜 상기 공압튜브(130)와 팔가이드튜브(114) 내에 공기가 공급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공압튜브(130)는 상기 탄성가드(120)를 감싸도록 하고, 상기 팔가이드튜브(114)는 팔가이드띠(112)를 감싸도록 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공압튜브(130)가 팽창되면서 탄성가드(120)를 감쌀 경우, 상기 탄성가드(120)의 평면(122)에는 사용자 주먹의 검지와 중지가 견고하게 밀착되게 되고, 상기 탄성가드(120)의 경사면(124)에는 사용자 주먹의 약지와 소지가 견고하게 밀착되게 되며, 상기 보호탄력면(126)에는 사용자의 주먹과 손목 부위가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팔가이드튜브(114)가 팽창되면서 팔가이드띠(112)를 감쌀 경우, 상기 팔가이드띠(112)에는 사용자의 팔 부위가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주먹과 손목 및 팔은 수직을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주먹으로 상기 탄성가드(120)의 평면(122)과 경사면(124) 및 평면(122)과 경사면(124)에 구비되는 로드셀(220)을 반복 가압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목뼈가 반복 정렬되면서 사용자의 손목 근력 운동이 실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목 근력 운동을 실행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손목 근력운동의 상황과 성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손목근력을 강화시켜 손목관절의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예방하고 손목부위에 퇴행성 관절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협소한 장소에서 손목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을 용이하게 반복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손의 검지와 중지에 압박이 가해지고 약지와 소지에는 압박력이 최소화 되도록 하면서 손목의 뼈들이 정렬되어 손목의 근력을 강화시켜 손목의 근력을 강화운동을 시행하면서도 손목 부위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손목뼈들의 정렬을 위하여 사용자가 주먹을 쥔채로 상하 방향으로 팔의 일부분 까지 진입시킬 수 있는 손수용부(100);
    상기 손수용부(100)가 수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손수용부(100)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하우징부(200); 및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손수용부(100)에 연결되어 손수용부(100)에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는 공기주입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손수용부(100)는,
    상기 하우징부(200)의 상부에 한 쌍이 천공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왼쪽과 오른쪽 주먹과 팔꿈치까지 각각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홀인 삽입홀(110)과,
    각각의 상기 삽입홀(11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수용된 채로 내부에 진입되는 주먹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탄성가드(120)와,
    상기 탄성가드(120)를 감싸면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수용된 채로 사용자의 주먹으로 가해지는 압박력에 의해 주먹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공압튜브(13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가드(120)는,
    사용자 주먹의 검지와 중지가 밀착되는 부위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122)과,
    사용자 주먹의 약지와 소지가 밀착되는 부위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4)과,
    사용자의 주먹과 손목전까지 감싸면서 탄력을 갖는 보호탄력면(126)을 더 포함하는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110)은,
    토시 형태로 사용자의 팔꿈치 관절까지 감싸면서 팔과 주먹이 수직을 이루도록 안내하는 팔가이드띠(112)를 더 포함하는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부(300)는,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압튜브(130)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310)과,
    상기 공기주입관(310)에 공급되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펌프(320)를 포함하는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110)은,
    상기 팔가이드띠(112)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공기펌프(3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통하여 팔이 주먹과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안내하는 팔가이드튜브(114)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부(300)는,
    상기 공기펌프(3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팔가이드튜브(114)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팔공기주입관(330)을 더 포함하는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하우징부(200)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과 손목의 수직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210)과,
    상기 탄성가드(12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주먹으로 누루는 힘을 측정하는 로드셀(220)과,
    상기 로드셀(220)과 연결되면서 하우징부(200)의 외면에 구비되어 로드셀(220)의 측정값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230)와,
    상기 디스플레이(230)와 공기주입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전원선(240)을 포함하는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
KR1020190008416A 2019-01-22 2019-01-22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2187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416A KR102187331B1 (ko) 2019-01-22 2019-01-22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416A KR102187331B1 (ko) 2019-01-22 2019-01-22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304A KR20200091304A (ko) 2020-07-30
KR102187331B1 true KR102187331B1 (ko) 2020-12-04

Family

ID=7183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416A Expired - Fee Related KR102187331B1 (ko) 2019-01-22 2019-01-22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0858A (zh) * 2021-12-22 2022-04-12 中国农业银行股份有限公司山东省分行 一种敏捷机器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1971A1 (en) * 2001-10-29 2004-09-02 Arvik Enterprises, Llc Powered antithrombotic foot mobility device with therapeutic massage
WO2008044400A1 (fr) * 2006-10-10 2008-04-17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Nagoya University chambre a pression positive pour les extrémités
JP2016000089A (ja) * 2014-06-11 2016-01-07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下肢用マッサージ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768B1 (ko) 2015-01-15 2016-12-2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악력 및 손목운동용 재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1971A1 (en) * 2001-10-29 2004-09-02 Arvik Enterprises, Llc Powered antithrombotic foot mobility device with therapeutic massage
WO2008044400A1 (fr) * 2006-10-10 2008-04-17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Nagoya University chambre a pression positive pour les extrémités
JP2016000089A (ja) * 2014-06-11 2016-01-07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下肢用マッサージ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304A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081B2 (en) Elastic training apparatus
US5373585A (en) Therapeutic glove
US20080090705A1 (en) Multi-use powerful guiding band
US6908475B2 (en) Device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US12059588B2 (en) Flexible exercise and rehabilitation bar
KR102187331B1 (ko) 손목관절 근력 강화 운동장치
KR101933518B1 (ko) 자가 스트레칭용 탄력수건
US20070276304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r minimizing tendinitis
US5662554A (en) Neck exercise device
CN212212750U (zh) 一种运动按摩护膝
US2014022817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rengthening the thenar muscles
KR200389554Y1 (ko) 손목보호대
KR200447163Y1 (ko) 손보호용장갑과 팔목보호대가 일체로 형성된 검도대련용 보호구
KR102197331B1 (ko) 신체 구동식 착용형 가변 임피던스 장치
KR20180041308A (ko)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US4988091A (en) Elbow and forearm rehabilitation device
CN205796406U (zh) 手功能锻炼手套
KR20110075579A (ko) 헬스용장갑
CN206045332U (zh) 一种跆拳道教学用力量训练装置
CN204671869U (zh) 一种防护加强型护腿
CN217489674U (zh) 一种骨科病人肌肉恢复锻炼用训练装置
CN222400181U (zh) 一种保护器
TWI706734B (zh) 護具結構
CN208943380U (zh) 一种安全型臂力器
CN209714239U (zh) 一种分段式护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