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706B1 - Endurance tester for spring - Google Patents
Endurance tester for sp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3706B1 KR102173706B1 KR1020180077993A KR20180077993A KR102173706B1 KR 102173706 B1 KR102173706 B1 KR 102173706B1 KR 1020180077993 A KR1020180077993 A KR 1020180077993A KR 20180077993 A KR20180077993 A KR 20180077993A KR 102173706 B1 KR102173706 B1 KR 1021737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coupled
- support
- spring
- driv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40 relaxant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661 fatigu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88—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는 스프링의 압축 및 이완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스프링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베이스판의 상면 중앙에 결합되며 내측 상부에 구동부를 구비한 본체와 본체의 일측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일측은 구동부의 구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암부와 일측이 베이스판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암부의 타측 단부와 지지부의 타측 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개의 지그부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의 상,하단부가 각각 지그부에 결합되도록 암부와 지지부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구동부를 통해 암부를 회전시켜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스프링의 압축 및 이완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durability of the spring by repeatedly compressing and relaxing the spring. It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has a driving part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central part of one side of the body. The combined slide rail and one side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and the other side is the arm portion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slide rail and one sid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jig portions that ar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and the arm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arm and the suppor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pring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jig, the arm is rotated through the driving unit to repeatedly compress and relax the spring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est durabil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스프링을 다수개 배치시킨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스프링의 압축 및 이완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는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ing durability tes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prings having various lengths and diameters are arranged,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springs are repeatedly perform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test durability. It relates to a spring durability test device.
스프링은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 만든 것으로 모든 산업부품에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스프링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압축 코일 스프링과 인장 코일 스프링이 있으며, 형태에 따라서는 원뿔, 드럼, 배럴 코일스프링 등이 있다.Spring is made by spirally winding steel wire and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all industrial parts.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spring, there are compression coil springs and tension coil springs, and depending on the shape, there are cones, drums, barrel coil springs, etc.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현가장치에도 스프링이 적용되는데, 흔히 차량의 현가장치에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와 코일스프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코일 스프링과 쇽업소버의 상호 보완작용을 통하여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하게 된다.In general, a spring is also applied to a suspension system used in a vehicle, and a shock absorber and a coil spring are commonly used in the vehicle suspension system, and shock or vibration is prevented through the mutual complementation of the coil spring and the shock absorber. Will ease.
이러한 스프링은 제작한 다음에 제작된 스프링의 내구성과 스프링 상수 값이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내구성 시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스프링의 내구성 시험을 위해 스프링용 내구 시험장치가 사용된다. After fabrication of these springs, a durability test is performed to confirm how much the durability of the produced spring and the spring constant value match. At this time, the durability test device for the spring is used for the durability test of the spring.
일반적인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는 내구성 시험을 하게 될 스프링의 하단부와 스프링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스프링 하부 고정구와 스프링 상부 고정구가 구비된다. 스프링 하부 고정구와 스프링 상부 고정구에 스프링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결합되도록 스프링 하부 고정구와 스프링 상부 고정구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시킨다. 이후, 스프링 하부 고정구 또는 스프링 상부 고정구를 이동시킴으로서 스프링을 가압 및 가압 해제를 반복적으로 실행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스프링 하부 고정구와 상부 고정구의 교체가 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A general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includes a lower spring fastener and an upper spring fastener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pring to be subjected to the durability test and the upper end of the spring. A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pring fixture and the upper spring fixture so tha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spring are coupled to the lower spring fixture and the upper spring fixture. Thereafter, by moving the lower spring fixture or the upper spring fixture, the spring is repeatedly pressed and released. At this time, it wa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and upper fasteners of the spring fixing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spring were not replaced.
따라서,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스프링의 내구성 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스프링 직경에 대응되는 스프링 하부 고정구와 스프링 상부 고정구를 가지는 각각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함으로서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the durability test of springs having various diameters,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each durability test device having a lower spring fixture and an upper spring fixture corresponding to each spring diameter, so it takes a lot of cost to manufacture a spring durability test device. There was a problem of becoming.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66992 (2012. 07. 12.)호의 코일 스프링 피로시험용 쿠션 시험장치가 제안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ushion test apparatus for a coil spring fatigue test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66992 (2012. 07. 12.) has been proposed.
코일 스프링 피로시험용 쿠션 시험장치의 특징 요소는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11)과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래킷(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스프링 가압용 암(12)과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13)와 상기 스프링 가압용 암(12)에 의해 가압되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도록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 하부 고정구(14)와 상기 스프링 가압용 암(1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의 상단부를 스프링 가압용 암(12)에 고정시키는 스프링 상부 고정구(15)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스프링 가압용 암(12)에 설치된 스프링 상부 고정구(15)를 가압하는 가압용 상하 이동판(16) 및 상기 가압용 상하 이동판(16)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용 상하 이동판(16)을 한 쌍의 가이드(13)를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실린더(17)로 구성된다.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coil spring fatigue test cushion test apparatus include a pair of fixing brackets 1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러한 구성을 가진 코일 스프링 피로시험용 쿠션 시험장치는 이동실린더(17)에 의해 상하 이동판(16)이 가이드(13)를 따라 하강할 경우 브래킷(11)에 연결된 가압용 암(12)이 하방으로 회전되게 된다. 가압용 암(12)이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면, 가압용 암(12)에 설치된 스프링 상부 고정부(15)와 베이스(10)에 설치된 스프링 하부 고정구(15)에 고정된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때, 스프링 상부 고정구(14)와 스프링 하부 고정구(15)를 용이하게 교체함으로서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의 내구성 시험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In the coil spring fatigue test cushion test apparatus having this configuration, when the vertical moving plate 16 descends along the guide 13 by the moving cylinder 17, the pressing arm 12 connected to the bracket 11 moves downward. It will be rotated. When the pressing arm 12 rotates downward, the coil spring fixed to the spring upper fixing part 15 installed on the pressing arm 12 and the spring lower fixing part 15 installed on the
하지만, 스프링 하부 고정부(14)와 스프링 상부 고정부(15)에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이 가압용 암(12)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압축 및 이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코일 스프링의 밀림으로 접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compressing and relaxing the coil spring fixed to the lower spring fixing part 14 and the upper spring fixing part 15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ressing arm 12, a folding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pushing of the coil spring. There was a problem.
또한, 가압용 암(12)의 길이와 이동판(16)의 승강 높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다양한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의 내구성 시험을 하는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pressing arm 12 and the lifting height of the moving plate 16 are limited,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in performing durability tests of coil springs having various lengths.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프링의 상,하단부가 각각 지그부에 결합되도록 암부와 지지부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구동부를 통해 암부를 회전시켜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스프링의 압축 및 이완을 수행토록 하여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는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 a state in which the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arm part and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pring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jig part, the arm part is rotated through the driving part to compress the spring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capable of testing durability by performing relaxation.
또한, 지그부를 스프링의 형상 및 직경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형상 및 직경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서, 내구성 시험을 하고자 하는 스프링에 따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는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jig portion to have different shapes and diameters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diameter of the spr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that can be freely replaced according to the spring to be tested for durability.
또한, 스프링의 길이에 따라 암부와 지지부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스프링의 내구성 시험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는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capable of more easily performing a durability test of springs having different lengths by configuring the arm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o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pring.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판(10)의 상면 중앙에 결합되며 내측 상부에 구동부(21)가 구비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중앙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일(30)과 일측은 상기 구동부(21)의 구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의 상부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암부(40)와 일측이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부(50) 및 상기 암부(40)의 타측 단부와 상기 지지부(50)의 타측 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개의 지그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암부(40)는 일측이 상기 구동부(21)의 구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의 일측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암부(41)와 일측이 상기 제 1 암부(4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 2 암부(42) 및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 2 암부(42)의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일단면에는 상기 지그부(6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지그부홈(433)이 형성되는 가이드부(43)를 포함하되, 상기 암부(40)가 상기 본체(20)의 상부 일측면 및 타측면에 한 쌍으로 결합되되, 상기 본체(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 1 암부(41)의 타측이 위치한 방향을 상호 반대로 하여, 상호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부(43)를 교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 1 암부(41)는 상기 제 1 암부(41)의 내측을 천공하는 내부홈(411)과 일측면이 상기 내부홈(411)으로 삽입되는 연동수단(412)과 일단이 상기 제 1 암부(41)의 일단에서 상기 내부홈(411)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암부(41)에 결합되는 가이드봉(413) 및 상기 제 2 암부(42)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수단(412)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회전핀(414)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봉(413)은 상기 연동수단(412)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홈(411)에 삽입된 상기 연동수단(412)의 일측면 일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판51)과 상면에 상기 지그부(6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지그부홈(521)이 형성되는 지지대(52)와 상기 지지대(5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대(52)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지지판(51)의 상면 중앙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강지지대(53) 및 상기 지지대(52)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강지지대(53)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재(5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은 상기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암부(40)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림부(31)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구동부(21)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80)가 포함된다. In addition, a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구동부(21)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82)와 상기 컨트롤러(82)의 설정상태 및 구동부(21)의 구동 상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83)와 상기 구동부(21)의 정지여부를 감지하는 동작감지모듈(84) 및 상기 동작감지모듈(84)에서 상기 구동부(21)의 정지여부를 감지함에 따른 알림이 가능한 알림유닛(85)을 포함하되, 상기 동작감지모듈(84)은 상기 구동부(21)의 정지를 감지할 경우 상기 구동부(21)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컨트롤러(82)를 제어하고, 동시에 알림유닛(85)에서 알림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컨트롤러(82)는 상기 구동부(21)에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구동부(21)의 회전수, 회전속도, 회전방향, 회전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유닛(811)과 상기 구동부(21)의 구동을 수동 모드 및 자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구동전환유닛(812) 및 상기 구동부(21)를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강제정지유닛(813)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그부를 스프링의 형상 및 직경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형상 및 직경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서, 내구성 시험을 하고자 하는 스프링에 따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jig portion to have different shapes and diameters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diameter of the spr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freely replaced according to the spring to be tested for durability.
또한, 제 1 암부의 길이와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스프링의 내구성 시험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first arm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can be adjusted,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test the durability of springs formed of different lengths.
또한, 구동부의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형성됨으로서, 스프링의 압축 및 이완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 및 직경을 갖는 스프링에 적합한 내구성 시험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control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is formed, the degree of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spring can be adjusted, so that a durability test suitable for springs having various shapes and diameters can be performed.
또한,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에 구비된 구동부에 결함 발생이 감지될 경우 자동으로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경보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로부터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a defect is detected in the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the driving unit is automatically stopped and alarmed,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dvance.
또한, 하나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상 및 직경을 갖는 스프링에 대한 내구성 시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 시험에 따른 장비 구매 비용뿐만 아니라 내구 시험 시간 등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durability test on springs having different shapes and diameters using one durability test devic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not only the equipment purchase cost according to the durability test, but also the durability test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가 하우징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내구성 장치가 하우징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housin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ring durabilit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housing.
8 is a block diagram of a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가 하우징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내구성 장치가 하우징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rm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t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 housing, and Figure 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ring durability device according to the example i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of the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exemplary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1)는 스프링의 압축 및 이완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스프링의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판(10)과 베이스판(10)의 상면 중앙에 결합되고, 내측 상부에 구동부(21)가 구비되는 함체 형상의 본체(20)와 본체(20)의 중앙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일(30)과 본체(20)의 상부 일측면에 구동부(21)의 구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 1 암부(41)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암부(41)의 타측에 제 2 암부(42)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일측이 슬라이드 레일(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 2 암부(42)의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부(43)로 구성된 암부(40)와 베이스판(10)의 상면 일측에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판(51)이 결합되고, 지지대(52)를 사이에 두고 지지대(52)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51)의 상면 중앙에 보강지지대(53)가 결합되고, 지지대(52)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보강지지대(53)의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재(54)로 구성된 지지부(50)로 이루어지되, 가이드부(43)의 일단면과 지지대(52)의 상면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개의 지그부(60)를 포함하여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1)가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spring
베이스판(10)은 사각의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판(10)의 형상은 사각형이 일반적이나 원형, 다각형 또는 원형과 다각형이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본체(20)는 베이스판(10)의 상면 중앙에 결합되고 내측 상부에 구동부(21)가 구비되는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이때, 구동부(21)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한다. 또한, 구동부(21)는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에 의하여 암부(40)와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부(21)의 구동력은 구동부(21)에 구비된 회전축에 의하여 암부(40)에 전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riving
아울러, 구동부(21)는 모터(21a)와 구동수단(21b)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riving
모터(21a)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하며, 구동수단(21b)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21b)과 결합될 수 있다. The
구동수단(21b)은 모터(21a)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내부에 회전축을 구비한다. 이때, 구동수단(21b)은 회전축에 의하여 암부(40)와 연결되며, 모터(21a)의 구동력이 구동수단(21b)의 회전축에 의하여 암부(40)에 전달될 수 있다. The driving means 21b can rotate with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슬라이드 레일(30)은 본체(20)의 중앙부 일측면에 결합되어 암부(4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30)은 본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암부(40)의 타측이 슬라이드 레일(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서, 슬라이드 레일(30)을 따라 암부(40)의 일측이 슬라이드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3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암부(40)의 타측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인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암부(40)가 슬라이드 레일(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레일(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드 레일(30)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걸림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30)은 본체(20)의 일측면 및 타측면 중앙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The
암부(40)는 일측이 구동부(21)의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본체(20)의 상부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암부(40)의 타측은 슬라이드 레일(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암부(40)는 동일한 구성으로 본체(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한 쌍으로 각각 결합될 경우에는 제 1 암부(41) 타측의 방향이 상호 반대로 되는 것이다.The
이러한, 암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암부(41), 제 2 암부(42), 가이드부(43)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제 1 암부(41)는 일측이 구동수단(21b)의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본체(20)의 상부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암부(41)는 일측이 구동수단(21b)의 회전함에 따라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 1 암부(41)의 내측에는 내부홈(411)이 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암부(41)는 연동수단(412), 가이드봉(413), 제 1 회전핀(414)을 포함한다. The
연동수단(412)은 일측면 일부가 내부홈(411)의 일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내부홈(411)이 제 1 암부(4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면, 연동수단(412)의 일측면 일부가 내부홈(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 The interlocking means 412 may have a part of one sid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제 1 회전핀(414)은 연동수단(412)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회전핀(414)에 제 2 암부(42)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서, 제 2 암부(42)의 일측이 제 1 회전핀(414)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가이드봉(413)은 일단이 제 1 암부(41)의 일단부에서 내부홈(411)을 관통하여 제 1 암부(41)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봉(413) 일단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서, 제 1 암부(4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봉(413)은 일단이 제 1 암부(41)의 일단부와 내부홈(411)을 관통하는 과정에서는 내부홈(411)의 일측으로 삽입된 연동수단(412)의 일측면 일부를 관통함으로서, 연동수단(412)과 결합된 상태가되고 제 1 암부(4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동수단(412)이 가이드봉(413)을 따라 제 1 암부(41)의 내부홈(411)에서 이동될 수 있다. The
한편, 연동수단(412)이 가이드봉(413)을 따라 내부홈(411)에서 이동되는 것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연동수단(412)의 일측면에는 가압편(415)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면 일부가 내부홈(411)의 타측으로 삽입되고 연동수단(412)의 일측면 일부와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나사를 조임에 따라 연동수단(412)이 제 1 암부(41)의 타측면을 가압하고 가압편(415)이 제 1 암부(41)의 일측면을 가압하게되므로 연동수단(412)의 이동이 정지되게 된다. Meanwhile, a
제 2 암부(42)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암부의(42)는 일측이 제 1 암부(4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가이드부(43)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암부(42)의 일측이 연동수단(412)의 제 1 회전핀(4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서, 제 2 암부(42)는 제 1 암부(41)의 회전됨에 따라서 회전할 수 있다. The
가이드부(43)는 일측이 슬라이드 레일(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3)의 타측에는 제 2 암부(42)의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43)는 제 2 회전핀(431), 가이드홈(432), 제 1 지그부홈(433), 제 1 고정구홈(445)을 포함한다. One side of the
제 2 회전핀(431)은 가이드부(43)의 타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회전핀(431)에 제 2 암부(42)의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서, 제 2 암부(42)의 타측이 제 2 회전핀(431)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가이드홈(432)은 가이드부(43)의 일측에서 내부로 형성되되, 가이드부(43)가 슬라이드 레일(30)의 인입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인입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제 1 지그부홈(433)은 지그부(6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43)의 일단면에서 내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그부(60)가 제 1 지그부홈(433)으로 삽입될 경우 스프링(S)의 상단부를 지그부(60)에 끼움 결합하여 가이드부(43)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first jig portion groove 433 may be formed inside from one end surface of the
제 1 고정구홈(445)은 제 1 지그부홈(433)과 연통되도록 가이드부(43)의 일단 외측에서 내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70)가 제 1 고정구홈(445)으로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The
지지부(50)는 일측이 베이스판(1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된다. 또한, 지지부(50)는 베이스판(10)의 상면 일측 및 타측에 암부(40)와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51), 지지대(52), 제 2 지그부홈(521), 제 2 고정구홈(522), 보강지지대(53), 받침부재(54)를 포함한다.One side of the
지지판(51)은 사각의 플레이트형상으로 베이스판(1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판(51)의 형상은 사각형이 일반적이나 원형, 다각형 또는 원형과 다각형이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지지대(52) 상면에는 제 2 지그부홈(5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그부홈(521)은 지그부(6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대(52)의 상면에서 내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그부(60)가 제 2 지그부홈(521)으로 삽입될 경우 스프링(S)의 하단부를 지그부(60)에 끼움 결합하여 지지대(52)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대(52) 저면은 상면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제 2 고정구홈(522)은 제 2 지그부홈(521)과 연통되도록 지지대(52) 일측면 상부에서 내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70)가 제 2 고정구홈(522)으로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The
보강지지대(53)는 지지대(52)를 사이에 두고 지지대(52)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지지판(51)의 상면 중앙에 결합된다.The reinforcing
받침부재(54)는 형성되며, 지지대(52) 저면을 지지하도록 보강지지대(53)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재(54)의 일측면은 타측면으로 갈수록 경사지는 형성되되, 지지대(52)의 저면과 형상이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받침부재(54)가 보강지지대(53)의 사이에서 지지대(52)의 저면으로 이동할 경우 받침부재(54)가 지지대(5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지지대(52)의 저면을 밀어 올리기 때문에 지지대(52)가 상승될 수 있다. The
한편, 받침부재(54)의 타측에는 받침부재(5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5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56)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편(55)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부재(56)가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일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일단이 받침부재(54)의 타측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받침편(55)은 지지판(51)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이동부재(54)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홈(551)이 형성된다. 또한, 받침편(55)은 이동부재의 외면을 깜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부재(56)는 받침편(55)의 삽입홈(551)에 끼워져 받침편(55)에 지지되며 받침편(55)에 의하여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56)를 이동시킴으로서 받침부재(54)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a moving
지그부(60)의 일단이 암부(40)의 타측 단부와 지지부(50)의 타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다수개로 형성되는 지그부(60)는 가이드부(43)의 제 1 지그부홈(433)과 지지부(50)의 제 2 지그부홈(521)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지그부(60)는 스프링(S)의 형상 및 직경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형상 및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자유롭게 지그부(60)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형상 및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스프링(S)에 대한 내구성 시험으로 발생되는 장비 구매 비용, 내구성 시험 등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지그부(60)에는 지그부(60)의 타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6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그부(60)의 타단으로 스프링(S)의 상,하단부가 끼움 결합이되며, 걸림돌기(61)에 의하여 지그부(60)의 타단에 스프링(S)의 상,하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고정구(70)의 일단이 걸릴 수 있도록 지그부(60)의 일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걸림홈(62)이 형성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고정구(70)는 가이드부(43)의 타측면과 지지대(50)의 일측면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다수개로 형성되는 고정구(70)는 가이드부(43)의 제 1 고정구홈(445)과 지지부(50)의 제 2 고정구홈(522)에 각각 삽입된다. 고정구(70)는 고정구(70)의 일단이 지그부(60)의 걸림홈(62)에 걸리도록 제 1 고정구홈(445)과 제 2 고정구홈(522)에 각각 삽입함으로서, 지그부(60)가 가이드부(43)와 지지부(5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하단부에 별도의 고리가 형성되는 스프링을 내구성 시험할 경우에는 고리를 고정구(70)에 걸어 스프링(S)의 상,하단부를 고정구(7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The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The spr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1)는 암부(40)의 일측이 구동부(21)의 정, 역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회전하게 되면, 타측은 슬라이드 레일(30)을 따라서 슬라이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 when one side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스프링(S)을 암부(40)와 지지부(5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스프링(S)의 상단부를 암부(40)에 삽입되는 지그부(60)의 타단에 결합하고 스프링(S)의 하단부를 지지부(50)에 삽입되는 지그부(60)의 타탄데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구동부(21)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부(21)를 구동시킴으로서, 구동수단(21b)의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이때, 제 1 암부(41)의 일측이 구동수단(21b)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1 암부(41)는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일측이 제 1 암부(41)의 제 1 회전핀(414)에 결합되고 타측이 가이드부(43)의 제 2 회전핀(431)에 결합되어 있는 제 2 암부(42)도 제 1 암부(4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 2 암부(42)가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부(43)는 슬라이드 레일(3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spring (S) is disposed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예를들면, 모터(21a)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수단(21b)의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 1 암부(41)의 타측이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2 암부(42)도 함께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 2 암부(42)에 의하여 가이드부(43)가 슬라이드 레일(30)을 따라서 승강하게 된다. 반대로, 제 1 암부(41)의 타측이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제 2 암부(42)에 의하여 가이드부(43)가 하강하게 된다. For example, if the other side of the
결과적으로 암부(40)는 내구성 시험 대상 스프링(S)의 압축 및 이완을 반복하도록 가압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암부(41)의 타측이 위치한 방향을 상호 반대로 함으로서, 상호 대응되는 가이드부(43)를 교대로 승,하강시킨다. 즉, 본체(20)의 일측면에서 제 1 암부(41)에 의하여 가이드부(43)가 승강하게되면, 본체(20)의 타측면에서는 제 1 암부(41)에 의하여 가이드부(43)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이때, 일측면에 위한 가이드부(43)가 승강함에 따라 내구성 시험 대상 스프링(S)을 강제적으로 인장시킬 경우에는 가이드부(43)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 1 암부(41)의 회전에 저항력이 상승된다. 또한, 타측면에 위치한 가이드부(43)는 하강함에 따라 강제로 인장된 스프링(S)의 복원력이 더해짐으로서, 가이드부(43)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 1 암부(41)의 회전에는 저항력이 감소된다. At this time, when the spring (S) to be subjected to the durability test is forcibly tensioned as the
따라서, 가이드부(43)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 1 암부(41)에 구동력이 편중되어 분산됨으로서, 제 1 암부(41)의 보다 원활한 회전으로 가이드부(43)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일측면과 타측면에 위치한 제 1 암부(41) 모두에 과도한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구동부(21)의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driving force is biased and distributed to the
한편, 제 1 암부(41)의 연동수단(412)을 이동시키면 암부(40)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이 되기 때문에 가이드부(43)의 승,하강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지지부(50)에서 지지대(52)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하게 되면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는 스프링(S)을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1)에 배치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rlocking means 412 of the
이러한,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하우징(9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과 길이로 형성되는 스프링(S)을 다수개 배치하여 대량으로 스프링(S)의 내구성 시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S) 내구성 시험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1)는 하우징(90)에 설치된 제어부(80)에 의하여 제어된다. As shown in FIGS. 6 and 7, a plurality of spring
제어부(80)는 하우징(90)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80)는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1)의 구동부(21)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구동부(2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제어부(80)를 구동부(21)와 무선으로 연결할 무선통신을 통해 구동부(21)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구동부(21)에 전원 공급은 물론, 구동부(21)의 회전수, 회전속도, 회전방향, 회전시간, 구동전환, 강제정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1)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암부(41)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가이드부(43)의 과도한 승,하강으로 스프링(S)에 압력이 지나치게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1)가 하우징(90)에 다수개 배치될 경우 각각의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1)의 구동부(2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8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81)에 설치되는 컨트롤러(82), 디스플레이부(83), 동작감지모듈(84), 알림장치(85)를 포함한다. The
컨트롤러(82)는 케이스(81)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부(2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82)는 제어유닛(811), 구동전환유닛(812), 강제정지유닛(813)으로 이루어진다. The
제어유닛(811)은 구동부(21)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구동부(21)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구동부(21)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811)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구동부(21)의 회전수, 회전속도, 회전방향, 회전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구동전환유닛(812)은 구동부(21)의 구동을 수동 모드 및 자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전환유닛(812)을 수동 모드 및 자동 모드로 전환에 의하여 수동 모드 신호 및 자동 모드 신호가 발생된다. 수동 모드 신호 및 자동 모드 신호가 제어유닛(811)으로 전달되면 구동부(21)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동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전환유닛(812)을 수동 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수동 모드 신호가 제어유닛(811)으로 전달되어 제어유닛(811)으로 구동부(21)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전환유닛(812)을 자동 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자동 모드 신호가 제어유닛(811)으로 전달되어 제어유닛(811)으로 설정한 설정값으로 구동부(21)를 자동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설정값은 구동부(21)의 회전수, 회전속도, 회전방향, 회전시간 등인 것이다. The
강제정지유닛(813)은 구동부(21)의 구동을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강제정지유닛(813)에 의하여 생성된 강제정지신호가 제어유닛(811)으로 전달되면, 제어유닛(811)으로부터 제어신호가 생성이 된다. 이때, 제어유닛(811)의 제어신호가 구동부(21)로 전달됨으로서, 구동부(21)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The forced
따라서, 사용자는 컨트롤러(82)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구동부(21)를 제어할 수 있으며, 내구성 시험 대상이 되는 스프링(S)에 대응되도록 구동부(21)의 내구성 시험을 실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driving
디스플레이부(83)는 케이스(81)의 타측에 설치되어 컨트롤러(82)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표시한다. 즉, 컨트롤러(82)의 설정상태나 구동부(21)의 회전수, 회전속도, 회전방향, 회전시간 등의 구동 상황을 표시한다. 따라서, 컨트롤러(82)의 설정상태 및 구동부(21)의 구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e
동작감지모듈(84)은 구동부(21)의 정지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1)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구동부(21)의 구동 또는 정지여부를 감지하여 제어유닛(811)과 알림유닛(85)에 전달될 수 있도록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The
알림유닛(85)은 동작감지모듈(84)에 의하여 구동부(21)의 정지를 감지할 경우 소리 또는 빛을 발생시켜 정지 신호를 알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알림유닛(85)은 스피커가 내장된 LED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소리는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가상의 음원을 출력하여 주변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빛은 적어도 하나의 LED로 다양한 색상을 발광시키거나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점등 및 소등을 하는 것으로 구동부(21)의 정지 신호를 알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따라서, 동작감지모듈(84)에서 구동부(21)의 정지를 감지할 경우에는 컨트롤러(82)를 제어하여 구동부(21)를 정지시킨다. 즉, 컨트롤러(82)의 제어유닛(811)으로 동작감지모듈(84)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가 전달됨으로서, 구동부(21)가 정지되는 것이다. 이때, 동작감지모듈(84)의 감지신호는 알림모듈(85)에도 전달되기 때문에 구동부(21)의 정지와 함께 알림모듈(85)에서 소리 또는 빛을 발생시켜 정지 신호를 알릴 수 있다. 이로서, 구동부(21)의 오작동으로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1)가 파손되거나, 오작동이 지속되어 구동부(21)에 과부하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10 : 베이스판 20 : 본체
21 : 구동부 21a : 모터
21b : 구동수단 30 : 슬라이드 레일
40 : 암부 41 : 제 1 암부
42 : 제 2 암부 43 : 가이드부
50 : 지지부 60 : 지그부
70 : 고정구 80 : 제어부
90 : 하우징 S : 스프링10: base plate 20: main body
21:
21b: drive means 30: slide rail
40: arm 41: first arm
42: second arm portion 43: guide portion
50: support part 60: jig part
70: fixture 80: control unit
90: housing S: spring
Claims (8)
상기 본체(20)의 중앙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일(30);
일측은 상기 구동부(21)의 구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의 상부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암부(40);
일측이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부(50); 및
상기 암부(40)의 타측 단부와 상기 지지부(50)의 타측 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개의 지그부(60)로 구성되되, 상기 암부(40)는 일측이 상기 구동부(21)의 구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의 일측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암부(41)와, 일측이 상기 제 1 암부(4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 2 암부(42) 및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 2 암부(42)의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일단면에는 상기 지그부(6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지그부홈(433)이 형성되는 가이드부(43)를 포함하며, 상기 암부(40)가 상기 본체(20)의 상부 일측면 및 타측면에 한 쌍으로 결합되되, 상기 본체(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 1 암부(41)의 타측이 위치한 방향을 상호 반대로 하여, 상호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부(43)를 교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
A main body 20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and provided with a driving part 21 at the upper inner side;
A slide rail 30 coupled to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20;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so as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1, the other side is an arm 40 coupled to the slide rail 30 so as to be slidably moved;
A support part 50 having one side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An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jig portions 60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arm 40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50, the arm 40 has one side of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1 A first arm part 41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so that it can be rotated, and a second arm part rotatably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rm part 41 ( 42) and one side is slidably coupled to the slide rail 30,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arm 42 is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the jig portion 60 is detachable on one end It includes a guide portion 43 in which a first jig portion groove 433 is form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 a way, and the arm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upp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20 in a pai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rm 41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0 is positioned is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guide parts 43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alternately slide-moved. Spring durability test device.
상기 제 1 암부(41)는,
상기 제 1 암부(41)의 내측을 천공하는 내부홈(411);
일측면이 상기 내부홈(411)으로 삽입되는 연동수단(412);
일단이 상기 제 1 암부(41)의 일단에서 상기 내부홈(411)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암부(41)에 결합되는 가이드봉(413); 및
상기 제 2 암부(42)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수단(412)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회전핀(414);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봉(413)은 상기 연동수단(412)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홈(411)에 삽입된 상기 연동수단(412)의 일측면 일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rm part 41,
An inner groove 411 for perforating the inside of the first arm 41;
An interlocking means 412 whose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411;
A guide rod 413 whose one end passes through the inner groove 411 at one end of the first arm part 41 and is coupled to the first arm part 41; And
A first rotation pin 414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interlocking means 412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arm 42 can be hinged rotatably; including,
The guide rod 41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asses through a part of one side of the interlocking means 412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411 so that the interlocking means 412 can move along the slide rail 30. Spring durability test device.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판(51);
상면에 상기 지그부(6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지그부홈(521)이 형성되는 지지대(52);
상기 지지대(5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대(52)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지지판(51)의 상면 중앙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강지지대(53); 및
상기 지지대(52)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강지지대(53)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art 50,
A support plate 51 coupled to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A support 52 in which a second jig portion groove 521 is formed so that the jig portion 60 can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A pair of reinforcing supports 53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1 so as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52 with the support 5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d a support member (54) provided between the reinforcing support (53)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52).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은,
상기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암부(40)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레일(3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림부(3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e rail 30,
The slide rail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and prevents the arm part 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lide rail 30 during the slide movement along the slide rail 30. 30)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31) coupled to each of the both ends.
상기 구동부(21)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pring durability test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80) to control the driving unit (21).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구동부(21)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82);
상기 컨트롤러(82)의 설정상태 및 구동부(21)의 구동 상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83);
상기 구동부(21)의 정지여부를 감지하는 동작감지모듈(84); 및
상기 동작감지모듈(84)에서 상기 구동부(21)의 정지여부를 감지함에 따른 알림이 가능한 알림유닛(85);을 포함하되,
상기 동작감지모듈(84)은 상기 구동부(21)의 정지를 감지할 경우 상기 구동부(21)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컨트롤러(82)를 제어하고, 동시에 알림유닛(85)에서 알림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80,
A controller 82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21;
A display unit 83 for displaying a setting state of the controller 82 and a driving state of the driving unit 21;
A motion detection module 84 for detecting whether the driving unit 21 is stopped; And
Including; a notification unit 85 capable of notifying according to whether the motion detection module 84 detects whether or not the driving unit 21 is stopped;
The motion detection module 84 is formed to control the controller 82 to stop the driving unit 21 when it detects the stop of the driving unit 21, and to generate a notification in the notification unit 85 at the same time. Spring durability t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상기 컨트롤러(82)는,
상기 구동부(21)에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구동부(21)의 회전수, 회전속도, 회전방향, 회전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유닛(811);
상기 구동부(21)의 구동을 수동 모드 및 자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구동전환유닛(812); 및
상기 구동부(21)를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강제정지유닛(8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ler 82,
A control unit 811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21 and the number of rotations, rotational speed,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 time of the driving unit 21;
A drive conversion unit 812 capable of converting the drive unit 21 into a manual mode and an automatic mode; And
Spring durability testing apparatus comprising a; forced stop unit (813) capable of forcibly stopping the driving unit (2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7993A KR102173706B1 (en) | 2018-07-05 | 2018-07-05 | Endurance tester for sp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7993A KR102173706B1 (en) | 2018-07-05 | 2018-07-05 | Endurance tester for spr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4957A KR20200004957A (en) | 2020-01-15 |
KR102173706B1 true KR102173706B1 (en) | 2020-11-03 |
Family
ID=6915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7993A Expired - Fee Related KR102173706B1 (en) | 2018-07-05 | 2018-07-05 | Endurance tester for spr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370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8001A (en) | 2021-11-15 | 2021-12-07 | 황용안 | Device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
CN118392425B (en) * | 2024-06-28 | 2024-09-24 | 厦门立洲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 Spring fixing seat of fine-tuning spring tension detection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72508A (en) | 2003-12-09 | 2005-06-30 | Shimadzu Corp | Test method for springy specimens |
KR101717900B1 (en) | 2015-10-29 | 2017-03-21 | 대원강업주식회사 | Coil springs Durability Test Equipment |
KR101925729B1 (en) | 2017-11-07 | 2019-02-26 | 황철호 | Multipurpose tester for spring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33864A (en) * | 1991-11-11 | 1993-05-28 | Kunimitsu Spring Kogyo Kk | Life tester of spring |
KR100188408B1 (en) | 1995-12-14 | 1999-06-01 | 양재신 | Endurance tester of a gas spring |
KR101195644B1 (en) * | 2010-10-26 | 2012-10-30 | 대원강업주식회사 |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diameter of asymmetrical coil spring |
KR101166992B1 (en) | 2010-10-29 | 2012-07-24 | 대원강업주식회사 | Cushion type testing jig for coil spring fatigue testing |
KR101236823B1 (en) * | 2011-03-23 | 2013-02-25 | 유한회사 아이티더블유대림 | Jig for measuring tensile force of spring in inside handle |
-
2018
- 2018-07-05 KR KR1020180077993A patent/KR1021737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72508A (en) | 2003-12-09 | 2005-06-30 | Shimadzu Corp | Test method for springy specimens |
KR101717900B1 (en) | 2015-10-29 | 2017-03-21 | 대원강업주식회사 | Coil springs Durability Test Equipment |
KR101925729B1 (en) | 2017-11-07 | 2019-02-26 | 황철호 | Multipurpose tester for spr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4957A (en) | 2020-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3706B1 (en) | Endurance tester for spring | |
CN106239166A (en) | A kind of band steel curved drilling equipment | |
CN110082022B (en) | Safety net and belt comprehensive test system | |
KR101996385B1 (en) | Valve assembling device | |
CN107248686B (en) | A kind of panel jack automatic assembling machine | |
CN111504813A (en) |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impact resistance of plastic pipe | |
CN105151941B (en) | A kind of elevator governor lifting force test device and method | |
KR20190007640A (en) | Test equipment for bolts and nuts | |
CN101844719A (en) | Photosensitizing type sensor safety device of elevator | |
KR101717900B1 (en) | Coil springs Durability Test Equipment | |
CN111307428B (en) | Auxiliary tool for detecting trailer hook | |
CN104297090A (en) | Tester used for testing abrasion resistance of abrasion-resistant layers of automotive rubber strips | |
CN117387928B (en) | Spring fatigue strength test equipment | |
KR101053397B1 (en) | Length adjustment device of crane replacement wire to facilitate hook level adjustment | |
CN201864406U (en) | Photosensitizing type sensor safety device of elevator | |
CN112730030A (en) | Loading machine, loading system and loading test method of sickbed | |
CN108711506B (en) | Mechanical automatic tracking winder | |
CN208508647U (en) | A kind of servo motor mounting base with shock-absorbing function | |
CN208476680U (en) | Pocket adhesive tape tensile test apparatus | |
KR101690461B1 (en) | Ceiling type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 |
CN117782807A (en) | Full-automatic tensile and compressive testing machine | |
CN110823600A (en) | Test detection system of light automobile traction device | |
CN103343864A (en) | Projector power-driven lifting frame | |
CN215678726U (en) | Magnetic track remanence test device | |
KR20040058464A (en) | Impact Tester for bea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