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70464B1 - 도어 개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464B1
KR102170464B1 KR1020200024533A KR20200024533A KR102170464B1 KR 102170464 B1 KR102170464 B1 KR 102170464B1 KR 1020200024533 A KR1020200024533 A KR 1020200024533A KR 20200024533 A KR20200024533 A KR 20200024533A KR 102170464 B1 KR102170464 B1 KR 10217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or
opening
clo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윤아
김광현
김형일
이형민
정소원
Original Assignee
권윤아
김광현
김형일
이형민
정소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윤아, 김광현, 김형일, 이형민, 정소원 filed Critical 권윤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D)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부(10)와, 도어(D)의 개폐를 차단 제어하는 도어록 구동부(30)와, 상기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도어(D)가 개폐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도어록 구동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되어, 도어(D)가 개폐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도어(D)가 개폐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록 구동부(30)를 작동하여 도어록(310)이 도어(D)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D)를 닫는 과정에서 닫힘이 완료되기 이전에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출입하는 순간에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도어를 열고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개폐 제어 장치{Device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도어의 개폐를 차단 제어하는 도어록 구동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도어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도어가 개폐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록 구동부를 작동하여 도어록이 도어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닫힘이 완료되기 이전에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출입하는 순간에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도어를 열고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주거침입 범죄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주거 침입을 방지하고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잠금장치로부터 지문인식, 홍체인식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잠금장치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7592호 무선 디지털 도어 자물쇠 개폐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 장치는 자물쇠 개폐 장치와, 외측에 설치되는 키패드 입력 단자, 그리고 리모콘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장치들은 각각의 컨트롤을 위한 회로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 자물쇠 개폐 장치의 회로는 무선 RF수신부와 모터 드라이브부와 메모리 저장부와 개폐 장치 마이콤부와 각종 센서 입력부와 동작 신호음 발생부와 개폐 장치 전원부와 기계장치 위치 해독부로 구성되며, 외장 장치는 모터와 잠금 슬라이더와 접촉 스위치와 잠금 스위치와 수동 노브와 건전지 하우징과 자동 버튼과 고정문틀에 설치되는 걸림쇠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키패드 입력 단자 회로는 키입력 및 각종 표시 단자와 동작음 출력부와 마이콤부와 LED 및 스피커 제어부와 비상 제어부와 전원부와 송신 RF 출력부로 구성되며, 외장부는 입력 키패드와 콜버튼과 LED 표시장치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자물쇠 개폐 장치는 디지털 키패드 입력 방식으로, 무선 연결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 작동 방법에 있어서는 외측에서의 도어 잠금 해제는 비밀번호 입력으로 가능하고, 내측에서의 도어 잠금 해제는 리모콘, 수동 노브, 자동 열림 버튼으로 동작하게 되며, 도어의 잠금은 도어의 닫힘과 동시에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고, 도어 내측에서는 별도의 수동 이중 잠금을 위한 장치들을 구비하는 것이다.
다른 일례의 장치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5303호의 디지털 도어록이다.
이 장치는 현관 출입문 도어 내측에 실내측 도어록을 가지며 이를 괘해정하는 키입력장치를 도어 외측에 갖는 한편 상기 키입력장치를 가지며, 상기 키입력 장치는 숫자(0~9)와 기호(*, #)로 된 보턴키입력부나 메모리칩(EEPROM)이 내장된 전자키나 마그네틱부나 IC칩을 갖는 출입 카드나 지문이나 홍체, 혈관 등 신체의 특정부위를 암호로 설정시켜 접촉하는 전자식 도어 해정 수단을 선택적으로 가지며, 현관 출입문 도어 내측에는 장착되는 실내측 도어록은 데드볼트를 작동하는 수동레버와 자동 개폐 버튼을 갖는 통상의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실내측 도어록에 전자식 도어 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전자식 도어 해정 수단으로는 메모리칩(EEPROM)이 내장된 전자키 메모리칩 인식부와 자동 개폐 버튼을 2~3개 구비하여 이 버튼을 누르거나 순차적으로 미리 설정한 순서대로 번호(암호)를 누를 경우 실내측 도어록이 해정 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 터치부, IC칩이 내장된 카드식 키 인식부, 마그네틱 키인식부, 인체에 흐르는 미세한 전기(정전기)를 감지하는 정전기 인식부 등으로 도어록을 해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들 도어록 장치들은 사용자가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도어록이 작동을 하여 도어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주거 침입 사례를 보면, 위와 같은 잠금수단을 개방할 수 없는 침입자들이 현관에서 대기하고 있거나, 미행을 시도하여 현관문에 도달한 다음, 사용자가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는 순간에 뒤를 따라 들어가며 침입하는 수법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침입행위는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도어의 개폐가 자유로운 상태에서 순식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불측의 피해를 입게 된다.
이에 주거 침입을 막기 위한 도어 개폐 제어 장치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는 잠금장치 이외에, 또는 이들 잠금장치와 더불어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출입하는 과정에서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전, 또는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타인에 의해 도어가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KR 20-0257592 Y1 (2001. 12. 04.) KR 20-2008-0005303 U (2008. 11. 12.) KR 20-2008-0005303 U (2008. 11. 12.)
본 발명은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출입하는 과정에서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도어를 열고 침입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닫힘이 완료되기 이전에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출입하면서 도어가 닫히기 전에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순간적으로 도어를 열고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 방향과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과 개폐 상태를 판단하 제어부와; 상기 도어가 설치되는 실외측 바닥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록을 구동하여 도어의 열림을 차단하는 도어록 구동부(30)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서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도어록 구동부의 작동신호를 출력하고, 구동부는 도어록을 작동하여 도어의 재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는 실외측에서 도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보다 도어에서 멀리 설치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도어록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되, 제1 센서로부터 제2 센서로 도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순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센서로부터 제1 센서로 도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순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록을 돌출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며,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록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제어장치는 도어가 개폐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록 구동부를 작동하여 도어록이 도어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닫힘이 완료되기 이전에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출입하는 순간에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도어를 열고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구동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어가 개폐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시스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감지부(10), 제어부(20) 및 도어록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부(10)는 도어(D)의 개폐 방향과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록 구동부(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상기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도어(D)가 개폐되는 방향과 개폐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도어록 구동부(30)를 제어한다.
도어록 구동부(30)는 상기 도어(D)가 설치되는 실외측 바닥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록(310)을 구동하여 도어(D)가 닫히는 도중 다시 열리는 것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0)는 도어(D)의 개폐 방향과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및 제3 센서(13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는 도어(D)가 설치되는 실외측 바닥에 설치되어 도어(D)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30)로 출력한다.
제1 센서(110)는 실외측 바닥면에서 도어(D)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제2 센서(120)는 실외측 바닥면에서 제1 센서(110) 보다 도어(D)에서 멀리 설치된다.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의 위치는 감지 가능 범위에 따라 설정된다.
제3 센서는(130)는 도어(D)의 문틀에 설치되어 도어(D)의 개폐 상태, 즉, 도어(D)가 닫힌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30)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및 제3 센서(130)는 도어(D)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그네틱 센서, 적외선 센서, 포토센서와 같이 도어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마그네틱 센서일 수 있다. 이는 센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도어(D)의 개폐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20)는 센서부(10)에서 송신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D)가 닫히는 것을 감지하면, 도어록 구동부(30)를 작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도어(D)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어부(20)는 도어(D)의 움직임이 제1 센서(110)를 경과하여 제2 센서(120)에 도달하는 순서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도어(D)가 열리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D)의 움직임이 제2 센서(120)를 경과하여 제1 센서(110)에 도달하는 순서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가 도어록 구동부(30)를 작동하여 도어(D)의 재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도어(D)가 완전히 닫히면 제3 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20)는 구동부(30)를 원상복귀하게 됨으로써 이후에 도어(D)의 열림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어가 개폐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도어록 구동부(30)는 솔레노이드(300)와 도어록(310)으로 구성된다.
이 도어록 구동부(30)는 실외측의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사이에서 바닥면 내부에 위치된다.
솔레노이드(300)는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사이의 바닥면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한다.
도어록(310)은 바닥면에 형성되는 홈(H)에 출몰 가능하게 되어 솔레노이드(300)의 작동에 따라 홈(H)으로부터 출몰하며 도어(D)가 개폐될 수 있게 한다.
즉,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D)의 움직임이 제1 센서(110)를 경과하여 제2 센서(120)에 도달하는 순서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0)는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록 구동부(3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지 않는다.
이후에,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D)의 움직임이 제2 센서(120)를 경과하여 제1 센서(110)에 도달하는 순서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0)는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록 구동부(3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고, 이 작동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300)가 작동하면, 도어록(310)이 상승하여 홈(H)에서 돌출되어 도어(D)가 열리는 방향으로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도어(D)가 닫히는 도중 재열림이 방지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키입력장치, 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 장치, 예를 들면 지문, 홍체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잠금장치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장치 없이 독자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의 설명에서는 도어(D)가 개폐되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가 실외측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통상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의 회전시 발생하는 펄스를 감지하는 장치, 또는, 도어(D)의 개폐에 따라 전기적으로 ON/OFF되는 스위칭 수단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도어(D)가 개폐되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D)가 개폐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3 센서(130)의 경우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의 회전시 발생하는 펄스를 감지하는 장치, 또는, 도어(D)의 개폐에 따라 전기적으로 ON/OFF되는 스위칭 수단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도어(D)가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변경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 3b는 도어록 구동부(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도어록(310a)이 고정축(3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출몰하는 구성으로, 솔레노이드(300a)가 작동하는 동력이 기어 전동부(320)를 통해 도어록(310a)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어 전동부(320)는 래크(321)와 피니언(322)으로 구성되어, 래크(321)는 솔레노이드(300a)에 의해 진퇴 작동하고, 래크(321)에 치합되는 피니언(322)에는 고정축(322)이 고정되어 도어록(310a)을 회전시켜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어록(310, 310a)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 솔레노이드(300, 300a) 이외에 모터를 사용하고, 모터의 회전동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줄 수 있는 기어 전동부를 구성하여 도어록(310)을 승강이동시킬거나,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전동부를 구성하여 도어록(310a)을 회전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감지부 20: 제어부
30: 도어록 구동부 110: 제1 센서
120: 제2 센서 130: 제3 센서
300, 300a: 솔레노이드 310, 310a: 도어록
320: 기어 전동부 321: 래크
322: 피니언

Claims (3)

  1.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도어(D)의 개폐 방향과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0)와;
    상기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도어(D)가 개폐되는 방향과 개폐 상태를 판단하 제어부(20)와;
    상기 도어(D)가 설치되는 실외측 바닥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록(310을 구동하여 도어(D)의 열림을 차단하는 도어록 구동부(30)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20)에서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는 도어록 구동부(30)의 작동신호를 출력하고, 구동부(20)는 도어록(310, 310a)을 작동하여 도어(D)의 재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0)는,
    실외측에서 도어(D)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제1 센서(110)와, 상기 제1 센서(110)보다 도어(D)에서 멀리 설치되는 제2 센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도어록 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하되,
    제1 센서(110)로부터 제2 센서(120)로 도어(D)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순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도어(D)가 열리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센서(120)로부터 제1 센서(110)로 도어(D)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순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3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록(310, 310a)을 돌출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도어(D)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여 도어(D)가 완전히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록(310, 310a)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KR1020200024533A 2020-02-10 2020-02-27 도어 개폐 제어 장치 KR102170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344 2020-02-10
KR20200015344 2020-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464B1 true KR102170464B1 (ko) 2020-10-28

Family

ID=7301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533A KR102170464B1 (ko) 2020-02-10 2020-02-27 도어 개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4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2091B1 (ko) * 2023-02-28 2024-08-06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도어 개폐 장치
KR102731068B1 (ko) 2023-03-17 2024-11-14 강철규 자동 개방식 출입문의 작동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592Y1 (ko) 2001-07-09 2001-12-24 강태수 무선 디지털 도어 자물쇠 개폐 장치
KR200417599Y1 (ko) * 2006-03-14 2006-06-02 장희성 피스톤식 도어스톱
KR20080005303U (ko) 2007-05-08 2008-11-12 인영식 실내측에도 다양한 전자식 키입력수단을 갖는 디지털도어록
KR20110062324A (ko) * 2009-12-03 2011-06-10 박영호 여닫이 도어의 개폐속도를 완화할 수 있는 오일댐퍼
KR20110078460A (ko) * 2009-12-31 2011-07-07 신재혁 출입문의 급속개폐 방지용 안전장치
KR20150127623A (ko) * 2013-03-14 2015-11-17 예일 시큐리티 인코포레이티드 도어 클로저
KR20180129499A (ko) * 2017-05-26 2018-12-05 박지원 방범용 도어클로저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592Y1 (ko) 2001-07-09 2001-12-24 강태수 무선 디지털 도어 자물쇠 개폐 장치
KR200417599Y1 (ko) * 2006-03-14 2006-06-02 장희성 피스톤식 도어스톱
KR20080005303U (ko) 2007-05-08 2008-11-12 인영식 실내측에도 다양한 전자식 키입력수단을 갖는 디지털도어록
KR20110062324A (ko) * 2009-12-03 2011-06-10 박영호 여닫이 도어의 개폐속도를 완화할 수 있는 오일댐퍼
KR20110078460A (ko) * 2009-12-31 2011-07-07 신재혁 출입문의 급속개폐 방지용 안전장치
KR20150127623A (ko) * 2013-03-14 2015-11-17 예일 시큐리티 인코포레이티드 도어 클로저
KR20180129499A (ko) * 2017-05-26 2018-12-05 박지원 방범용 도어클로저 제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2091B1 (ko) * 2023-02-28 2024-08-06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도어 개폐 장치
KR102731068B1 (ko) 2023-03-17 2024-11-14 강철규 자동 개방식 출입문의 작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4859A1 (en) Door lock control system integrated with sensing and audio/image identification functions
GB2447660A (en) Control system integrated with sensing and audio/image identification functions which control a door lock and/or an engine ignition
KR102170464B1 (ko) 도어 개폐 제어 장치
KR101952522B1 (ko)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CN108590364A (zh) 一种智能锁
CN208650667U (zh) 一种智能锁
KR20080005303U (ko) 실내측에도 다양한 전자식 키입력수단을 갖는 디지털도어록
KR20050106339A (ko)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도어락
CN208518477U (zh) 一种具有检测门扇与门框重合的智能锁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101980861B1 (ko) 경보기능을 구비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지문인식 전자자물쇠 시스템 및 그 자물쇠시스템을 이용한 보안관리방법
KR200257592Y1 (ko) 무선 디지털 도어 자물쇠 개폐 장치
US1156073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oor and components related to the same
JP4328179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392382Y1 (ko) 도어록 장치
CN109763738B (zh) 一种自动门
KR200392381Y1 (ko) 도어록 장치
KR200448138Y1 (ko)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20020059293A (ko) 방범 도어 시스템
KR101633394B1 (ko) 보안성이 향상된 스토퍼를 구비한 3중 락킹시스템
US2023037482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oor and Components Related to the Same
US1173956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oor and components related to the same
KR102650483B1 (ko) 실내 및 실외 지문인식모듈을 구비한 도어락장치
KR200407889Y1 (ko) 홈오토메이션의 모드선택기능이 구비된 전자식 도어록 장치
KR200289619Y1 (ko) 방범 도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