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75266B1 -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266B1
KR102175266B1 KR1020190059673A KR20190059673A KR102175266B1 KR 102175266 B1 KR102175266 B1 KR 102175266B1 KR 1020190059673 A KR1020190059673 A KR 1020190059673A KR 20190059673 A KR20190059673 A KR 20190059673A KR 102175266 B1 KR102175266 B1 KR 102175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right
pipe
fixed
wall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주) 금강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금강씨에스 filed Critical (주) 금강씨에스
Priority to KR1020190059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벽에 관통하여 설치되어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에 배치된 입상배관과 이음되어서, 각 층에 배치된 입상배관을 정형화되게 층간벽에 간접적으로 고정하여 연결하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에 형성된 층간벽의 시공구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층간벽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입상배관과 층간벽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입상배관을 연통되게 이음하는 입상 연결관부와;
상기 층간벽의 상부면에 안착하여 고정되며, 입상 연결관부를 관통되게 고정하는 고정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부는 고정 지지판의 중앙에 입상 연결관부의 외벽을 환형 동심구조로 감싸는 입상 지지관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A piping connector for anti-seismic}
본 발명은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층간벽에 관통하여 설치되어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에 배치된 입상배관과 이음되어서, 각 층에 배치된 입상배관을 정형화되게 층간벽에 간접적으로 고정하여 연결하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이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은 각 층을 연결하도록 입상배관이 시공된다.
상기 입상배관은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슬래브(slab, 철근 콘크리트구조의 바닥면)에 입상배관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 슬리브를 장착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함으로써 관통슬리브가 슬래브에 매립되도록 한 후, 각 층을 관통하는 관통슬리브를 이용하여 입상배관이 다층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슬래브를 시공하거나 슬리브를 매립하는 과정에서 슬리브가 입상배관의 설계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고 층간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층간 입상배관의 시공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시공과정에서 작업자가 위치를 보정 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이렇게 편차가 발생한 경우 입상배관의 기밀성을 보장할 수 없다.
특히, 다층 건물의 경우에는 층간 시공편차가 미세하게라도 발생할 경우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상 그 편차폭이 매우 커지게 되므로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며, 입상 배관 슬리브가 정확한 위치에 매립되지 않으면 배관의 휘어짐이 발생하거나 시공상의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슬리브가 정확한 위치에 매립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 406563호 공보에는 입상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틀을 마련하고 고정틀이 유동가능하게 슬리브에 장착되도록 하여 입상배관의 위치를 측방으로 유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다.
KR 10-1326388 B1 KR 10-1637197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층간벽에 관통하여 설치되어, 건축물의 하부층과 상부층 사이에 배치된 입상배관과 연결함에 있어, 층간벽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입상배관들의 이음높이에 따라 입상 연결관부가 시공구를 따라 승강하여 입상배관들과의 이음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입상배관을 이음한 입상 연결관부는 층간벽에 안정되게 고정되어 지진 발생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진동에 의해 고정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는,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에 형성된 층간벽의 시공구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층간벽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입상배관과 층간벽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입상배관을 연통되게 이음하는 입상 연결관부와;
상기 층간벽의 상부면에 안착하여 고정되며, 입상 연결관부를 관통되게 고정하는 고정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부는 층간벽의 상부면에 안착하여 고정되는 고정 지지판의 중앙에 입상 연결관부의 외벽을 환형 동심구조로 감싸는 입상 지지관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고정 지지판의 중앙부에는 입상 연결관부를 연통되게 조립하는 조립공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층간벽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의 진입경로인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입상 연결관부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층간벽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그루브 이음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입상 연결관부는 그루브 조인트를 통해 그루브 이음부가 형성된 상부 입상배관의 하단부와 하부 입상배관의 상단부에 각각 그루브 조인트 구조로 이음되고,
상기 입상 연결관부의 외벽 중간에는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상 연결관부를 감싼 입상 지지관의 내경에는 상기 입상 연결관부의 나사 체결부와 대응하는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입상 연결관부는 입상 지지관과의 나사 체결량에 따라 승강하여 하부 입상배관과 상부 입상배관의 이음높이가 설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층간벽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입상배관과 층간벽의 상부에 형성된 입상배관을 입상 연결관부를 통해 층간벽에 관통되게 이음함에 있어, 입상 지지관을 통해 입상 연결관부를 환형 동심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베이스부를 부가하여서, 고정 베이스부에 의해 입상 연결관부의 정형화된 고정상태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상 연결관부와 이를 환형 동심구조로 고정하는 입상 지지관 사이에 체결부를 마련하여, 입상 입결관부는 입상 지지관과의 체결거리에 따라 상하 승강하여서, 하부 입상배관과 상부 입상배관의 이음 높이를 현장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부 입상배관과 상부 입상배관의 이음 높이를 포함하는 현장 상황에 따라, 입상 연결관부의 이음 높이를 간편하게 설정 및 변경하여서, 하부 입상배관과 상부 입상배관의 정형화된 연결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상부 입상배관과 하부 입상배관을 이음한 입상 연결관부는 고정 베이스부의 입상 지지관에 외벽이 감싸지고, 또 체결을 통해 고정된 관계로, 지진 발생시 입상 연결관부가 상하 종방향이나 좌우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현상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지진 발생시에도 입상배관들을 정형화되게 고정하여서 지진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상 연결관부의 외벽에 직접 체결부를 마련하지 아니하고, 중공 보강블록을 부가하고 또 중공 보강블록에 체결부를 마련함으로써, 얇은 두께의 입상 연결관부를 채택하면서도 입상 연결관부는 고정 베이스부에 안정되게 체결 및 고정되어서, 향상된 내진 성능이 발휘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를 통한 입상배관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를 통한 입상배관의 시공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의 세부 구성과, 이를 통한 입상배관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9은 상기 도 8에서 'A'부분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를 통한 입상배관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를 통한 입상배관의 시공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층과 층에 배치된 입상배관(110, 120)들을 층과 층 사이에 형성된 층간벽(200)에 관통되게 고정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고정 연결체이다.
상기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1)는, 건축물의 하부층과 상부층 사이에 형성된 층간벽(200)에 형성된 시공구(210)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층간벽(2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입상배관(120)과 층간벽(2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입상배관(110)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입상 연결관부(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 연결관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와 상부에 각각 그루브홈으로 이루어진 그루브 이음부(11, 12)가 일체로 형성된 중공관체로 구성되고, 상기 입상배관(110, 120)의 상단과 하단에는 그루브 이음부(111, 121)가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상 연결관부(10)는 그루브 조인트(130)를 통해 입상배관(110, 120)의 상단 및 하단과 그루브 조인트 구조로 결속되어서, 층간벽(2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입상배관(120)과 층간벽(2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입상배관(110)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한다.
그리하여, 상기 층간벽(2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입상배관(110)과, 층간벽(2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입상배관(220)은 층간벽(200)을 관통하는 입상 연결관부(10)와 탄력적인 유동이 가능한 그루브 조인트 구조를 통해 연결되어서, 지진 발생시 탄력적인 유동을 통해 진동을 흡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그루브 조인트(130)를 통해 입상배관(110, 120)들을 연결한 입상 연결관부(10)를 층간벽(200)에 승강구조로 설치하여, 도 5와 같이 이음을 요하는 하부 입상배관(110)과 상부 입상배관(120)의 이음높이에 따라 입상 연결관부(10)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시공에 따른 정밀성을 확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110)과 상부 입상배관(120)들을 연결한 입상 연결관부(10)를 층간벽(200)에 정형화되게 관통하여 고정함으로써, 지진 발생시 좌우 횡방향과, 상하 종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서 입상배관(110, 120)이 상하로 유동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지진 발생 등에 의해 입상배관(110, 120)들과 입상 연결관부(10) 사이의 이음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층간벽(20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층간벽(200)을 관통한 입상 연결관부(10)를 정형화되게 고정하는 고정 베이스부(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베이스부(20)는 층간벽(200)의 상부면에 안착하여 고정되는 고정 지지판(21)과, 상기 고정 지지판(21)의 중앙부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어 층간벽(200)을 관통한 입상 연결관부(10)의 외벽을 환형 동심구조로 감싸는 입상 지지관(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공(21a)이 형성된 고정 지지판(21)의 중앙부에 입상 지지관(22)을 직립되게 배치한 다음, 상기 입상 지지관(10)을 조립공(21a)의 가장자리부에 용접을 통해 고정하여서, 고정 지지판(21)의 중앙부에 입상 지지관(22)이 배치된 고정 베이스부(20)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지지판(21)의 외측에는 복수의 고정공(21b)들이 형성되어, 상기 층간벽(200)의 상부면에 안착된 고정 지지판(21)은 고정공(21b)을 따라 진입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B)를 통해 층간벽(200)의 상부면에 정형화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입상 연결관부(10)는 고정 베이스부(20)에 형성된 입상 지지관(22)을 통해 환형 동심구조로 감싸져 좌우 횡방향으로 안정되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상기 동심구조로 조립된 입상 연결관부(10)와 입상 지지관(22) 사이에 승강 조립구조를 마련하여서, 입상배관(110, 120)을 조립한 입상 고정관부(10)는 하부 입상배관(110)과 상부 입상배관(120)의 시공 높이를 포함하는 시공상황에 따라 현장에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상 지지관(22)의 내경면에는 내경 체결부(22a)를 형성하고, 이와 마주하는 입상 연결관부(10)의 외경면에는 입상 지지관(22)에 형성된 내경 체결부(22a)와 대응하여 체결되는 외경 체결부(13b)를 각각 형성하여서, 상기 입상 지지관(22)을 관통하는 입상 연결관부(10)는 입상 지지관(22) 내에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부 입상배관(120)과 하부 입상배관(110)에 그루브 조인트(130)를 통해 그루브 조인트 구조를 통해 이음되는 입상 연결관부(10)가 고정 베이스부(20)에 체결을 통해 고정되면, 도 6과 같이 상기 입상 지지관(22)에 의해 외경이 감싸진 입상 연결관부(10)는 체결에 의해 상하 종방향으로 안정되게 체결되어 지진 발생시 상하 종방향으로 흔들림이 방지되고, 상기 입상 지지관(22)과의 체결거리에 따라 상하 높낮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상 연결관부(10) 및 이를 통해 상하 이음된 입상배관(110, 120)이 고정 베이스부(20)에 상하 안정되게 고정되어 지진 발생시 상하로 유동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상 지지관(22)을 통해 입상 연결관부(10)의 외경을 물리적으로 압박하여 고정하지 아니하고, 체결을 통해 입상 연결관부(10)를 입상 지지관(22)에 고정하여서, 지진 발생시 상하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진동에 의해 입상 연결관부(10) 및 이를 통해 상하 이음된 입상배관(110, 120)이 상하로 유동하여서 이들 사이의 연결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입상 연결관부(10)를 고정 베이스부(20)에 형성된 입상 지지관(22)에 체결을 통해 고정하면, 입상 연결관부(10)는 외경 압박에 의해 물리적으로 변경되거나 파열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안정적이 내구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상 연결관부(10)의 외벽에 외경 체결부를 직접 형성하지 아니하고, 도 3과 같이 상기 연결관부(10)의 외벽에 연결관부(10)의 외벽을 국부적으로 보강하는 중공 보강블록(13)을 더 배치하여, 연결관부(10)의 전체적인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아니하면서도 안정된 지지력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입상 연결관부(1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아니하고 입상 연결관부(10)의 외경에 중공 보강블록(13)을 동심구조로 조립하여 용접 형성하면, 상기 중공 보강블록(13)이 형성된 입상 연결관부(10)는 구간 보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입상 연결관부(10)의 외벽에 동심구조로 설치된 중공 보강블록(13)의 외경에는 외경 체결부(13b)를 형성하여, 입상 연결관부(10)의 외벽에 동심구조로 고정된 중공 보강블록(13)은 고정 브라켓부(20)에 형성된 입상 지지관(22)의 내경에 체결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입상 연결관부(10)는 외벽에 동심구조로 배치된 중공 보강블록(13)을 통해 강도가 국부적으로 보강되고, 또 외벽을 보강한 중공 보강블록(13)을 통해 입상 지지관(22)과 정형화되게 체결되어서, 체결량에 따라 연결관부(1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본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1)는, 도 5와 같이 하부층과 상부층에 형성된 입상배관(110, 120)들의 시공높이에 따라 입상 연결관부(10)가 체결에 의해 상하 승강하여 정형화되게 높낮이가 조절된다.
특히, 상기 상부 입상배관(120)과 하부 입상배관(110)을 그루브 조인트 구조로 이음한 입상 연결관부(10)는 고정 베이스부(20)에 형성된 입상 지지관(22)에 직접 체결하여 고정되지 아니하고, 동심구조로 조립된 중공 보강블록(13)을 통해 입상 지지관(22)에 체결하여 고정되므로, 지진 발생시 입상 지지관(22)에 고정된 입상 연결배관(10)나, 연결관부(10)에 형성된 체결부가 손상되거나, 상기 연결관부가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입상배관(110, 120)들과 그루브 조인트 구조로 이음된 입상 연결관부(10)는 중공 보강블록(13)과 입상 지지관(22) 사이에 형성된 체결부에 의한 체결에 의해 상하 유동 발생이 억제되고, 또 입상 지지관(22)에 의해 외경이 감싸져 좌우 유동 발생이 억제되어서, 지진 발생시 입상배관들이 건축물과 분리하여 상하 및 좌우로 유동하는 현상이 안정되게 예방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의 세부 구성과, 이를 통한 입상배관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9은 상기 도 8에서 'A'부분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입상배관 연결구(1')는, 도 7 내지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상 연결관부(10)와, 상기 입상 연결관부(10)의 외경을 분할되게 감싸 고정하는 고정 베이스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베이스부(30)는 층간벽(20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층간벽(200)을 관통한 입상 연결관부(10)를 정형화되게 고정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베이스부(30)를 둘 이상의 분할 베이스(31A, 31B)로 구성하고, 상기 분할 베이스(31A, 31B)에는 층간벽을 관통한 입상 연결관부(10)의 외경면을 분할되게 감싸는 호형의 분할 지지커버(32)를 직립되게 마련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각 분할 베이스(31A, 31B)는 층간벽(200)의 상부면에 앵커볼트(B)를 통해 고정되며, 분할된 분할 베이스(31A, 31B)들은 관통하는 조립볼트(B')에 의해 상호 밀착되는 이음편(34)들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베이스부(30)를 구성하는 분할 베이스(31A, 31B)들은 조립볼트(B')에 의해 상호 밀착되는 이음편(34)들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단일 구조체를 형성하며, 단일 구조체를 형성한 고정 베이스부(30)는 앵커볼트(B)를 통해 층간벽의 상부면에 정형화되게 고정된다.
상기 분할 베이스(31A, 31B)들의 이음에 의해, 상기 층간벽(200)에 관통한 입상 연결관부(10)는 단일 구조체를 형성하는 각 분할 베이스(31A, 31B)의 분할 지지커버(32)에 의해 외경이 분할되게 감싸진 상태로 고정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베이스부(30)를 구성하는 각 분할 베이스(31A, 31B)의 분할 지지커버(32)의 내벽에는 요돌출턱(33)들을 상하 이격되게 형성하고, 상기 각 분할 지지커버(32)의 내경면에 의해 감싸지는 입상 연결관부(10)의 외경면에는 환형의 요돌출림(14)을 대응되게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요돌출림(14)과 요돌축턱(33)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진입되면서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사다리꼴형, 아크형, 테이퍼형 등으로 이루어져, 분할 베이스들이 상호 밀착되면서 요돌출림(14)과 요돌축턱(33)의 고정유격이 감소되어 고정 베이스부(30)와 입상 연결관부(10)의 정형화된 조립 고정상태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입상 연결관부(10)의 외경면에 형성된 환형 요돌출림(14)과, 상기 각 분할 지지커버(32)의 내벽에 형성된 요돌출턱(33)들은 상하 규합되어 상하 다단으로 견착된 상태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환형 이음되는 분할 베이스(31A, 31B)들에 형성된 분할 지지커버(32)들에 의해 입상 연결관부(10)는 분할 베이스(31A, 31B)들에 의해 외경이 환형으로 감싸져 좌우로 지지되고, 또 상하 다단으로 규합 및 견착된 요돌출림(14)과 요돌출턱(33)에 의해 상하로 안정되게 고정된다.
1, 1'.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
10. 입상 연결관부 11, 12. 그루브 이음부
13. 중공 보강블록 13a. 용접층
13b. 외경 체결부 14. 요돌출림
20. 고정 베이스부 21. 고정 지지판
21a. 조립공 21b. 고정공
22. 입상 지지관 22a. 내경 체결부
30. 고정 베이스부 31A, 31B. 분할 베이스
32. 분할 지지커버 33, 요돌출턱
34. 이음편
B. 앵커볼트 B'. 조립볼트
110. 하부 입상배관 111. 그루브 이음부
120. 상부 입상배관 121. 그루브 이음부
130. 그루브 조인트
200. 층간벽 210. 시공구

Claims (5)

  1.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에 형성된 층간벽의 시공구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층간벽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입상배관과 층간벽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입상배관을 연통되게 이음하는 입상 연결관부와; 상기 층간벽에 고정되며, 입상 연결관부를 관통되게 고정하는 고정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부는 층간벽의 상부면에 안착하여 고정되는 고정 지지판의 중앙에 입상 연결관부의 외벽을 환형 동심구조로 감싸는 입상 지지관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고정 지지판의 중앙부에는 입상 연결관부를 연통되게 조립하는 조립공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층간벽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의 진입경로인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입상 연결관부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층간벽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그루브 이음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입상 연결관부는 그루브 조인트를 통해 그루브 이음부가 형성된 상부 입상배관의 하단부와 하부 입상배관의 상단부에 각각 그루브 조인트 구조로 이음되고,
    상기 입상 연결관부의 외벽 중간에는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상 연결관부를 감싼 입상 지지관의 내경에는 상기 입상 연결관부의 나사 체결부와 대응하는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입상 연결관부는 입상 지지관과의 나사 체결량에 따라 승강하여 하부 입상배관과 상부 입상배관의 이음높이가 설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에 형성된 층간벽의 시공구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층간벽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입상배관과 층간벽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입상배관을 연통되게 이음하는 입상 연결관부와;
    상기 층간벽에 고정되며, 입상 연결관부를 관통되게 고정하는 고정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부는 층간벽의 상부면에 안착하여 고정되는 둘 이상의 분할 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각 분할 베이스에는 층간벽을 관통한 입상 연결관부의 외경면을 분할되게 감싸는 호형의 분할 지지커버가 직립되게 형성되며,
    상기 입상 연결관부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층간벽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그루브 이음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입상 연결관부는 그루브 조인트를 통해 그루브 이음부가 형성된 상부 입상배관의 하단부와 하부 입상배관의 상단부에 각각 그루브 조인트 구조로 이음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각 분할 베이스의 분할 지지커버의 내벽에는 요돌출턱들이 다단으로 상하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각 분할 지지커버의 내경면에 의해 감싸지는 입상 연결관부의 외경면 중간에는 상기 요돌출턱에 대응되는 환형의 요돌출림이 형성되어, 상기 요돌출턱과 요돌출림간의 규합에 의해 분할 지지커버의 내벽과 입상 연결관부의 외경면 사이에 정형화된 조립 고정상태가 형성되되, 상기 입상 연결관부의 환형 요돌출림과 상기 분할 지지커버의 요돌출턱의 상하 규합 위치에 따라 입상 연결관부의 설치 높이가 단계적으로 승강하여 하부 입상배관과 상부 입상배관의 이음높이가 설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분할 베이스들은 상기 입상 연결관부의 외경면을 감싼 상태로 상호 조립되어 단일 구조체를 형성하며, 단일 구조체를 형성한 고정 베이스부는 앵커볼트를 통해 층간벽의 상부면에 정형화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
KR1020190059673A 2019-05-21 2019-05-21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 KR102175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73A KR102175266B1 (ko) 2019-05-21 2019-05-21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73A KR102175266B1 (ko) 2019-05-21 2019-05-21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266B1 true KR102175266B1 (ko) 2020-11-06

Family

ID=7357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673A KR102175266B1 (ko) 2019-05-21 2019-05-21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2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262Y1 (ko) * 2007-04-02 2007-07-13 주식회사 제일테크 높이가 미세조절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연결밴드겸용 고정지지부재
KR200440679Y1 (ko) * 2007-08-30 2008-06-25 홍호원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101326388B1 (ko) 2011-09-20 2013-11-11 노상언 건축물의 관통부용 플라스틱 파이프에 내화충전구조를 시공하는 방법
KR20140072571A (ko) * 2012-12-05 2014-06-13 고경화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637197B1 (ko) 2015-01-13 2016-07-07 (주)이화인터내셔널 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262Y1 (ko) * 2007-04-02 2007-07-13 주식회사 제일테크 높이가 미세조절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연결밴드겸용 고정지지부재
KR200440679Y1 (ko) * 2007-08-30 2008-06-25 홍호원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101326388B1 (ko) 2011-09-20 2013-11-11 노상언 건축물의 관통부용 플라스틱 파이프에 내화충전구조를 시공하는 방법
KR20140072571A (ko) * 2012-12-05 2014-06-13 고경화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637197B1 (ko) 2015-01-13 2016-07-07 (주)이화인터내셔널 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1518B2 (ja) 鋼管杭と鉄骨柱の接合構造
JP4793643B2 (ja) 基礎杭の応力低減構造及び応力低減方法
JP2022018840A (ja) 鉄塔基礎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175266B1 (ko) 내진용 층간 입상배관 연결구
KR20190048500A (ko) 볼트 체결식 결합부재를 이용해 연결된 phc 말뚝과 강관으로 이루어진 복합말뚝
JP2018096188A (ja) 免震装置と鋼管柱との接合構造および免震建物
JP2009280985A (ja) 杭と柱との結合構造体
KR101254983B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JP2018100585A (ja) 基礎構造体
JP2018084035A (ja) 杭頭免震接合構造
JP2017214717A (ja) 柱梁接合部と梁との連結構造
JP2005306445A (ja) プレキャストpcタンク用側壁部材及び側壁部材と底版との接合部構造
JP2012057431A (ja) 杭と鉄骨柱との接合構造
JP5077865B2 (ja) 既製杭及び基礎杭構造
KR101701495B1 (ko) 수직, 수평 보강재를 갖는 각형강관 기둥을 이용한 탑다운공법
JP2018204172A (ja) 杭と基礎梁との接合部の構造
JP6905927B2 (ja) 免震建物、免震構造の構築方法
JP2012057432A (ja) 杭と鉄骨柱との接合構造
KR101413131B1 (ko) 밴드형 관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JP2021063340A (ja) 杭基礎構造
WO2023195292A1 (ja) 鉄骨部材、継手構造、合成構造体、および合成構造体の施工方法
KR102727096B1 (ko) Pc 하프 벽체를 이용한 리모델링 벽체의 증타 방법 및 증타 구조
JP7340416B2 (ja) 鉄骨柱の柱脚構造
KR20200025800A (ko) 강관일체형 하이브리드 기성 콘크리트 말뚝 및 그 생산방법
KR101413134B1 (ko) 십자형연결재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