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74740B1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740B1
KR102174740B1 KR1020160001684A KR20160001684A KR102174740B1 KR 102174740 B1 KR102174740 B1 KR 102174740B1 KR 1020160001684 A KR1020160001684 A KR 1020160001684A KR 20160001684 A KR20160001684 A KR 20160001684A KR 102174740 B1 KR102174740 B1 KR 102174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processor
electronic device
camera
live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089A (ko
Inventor
박현섭
김대명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76,630 priority Critical patent/US9936138B2/en
Publication of KR20170015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089A/ko
Priority to US15/915,696 priority patent/US10645292B2/en
Priority to US16/834,848 priority patent/US10701273B1/en
Priority to US16/890,480 priority patent/US11284003B2/en
Priority to KR1020200142850A priority patent/KR102308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되면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 시에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Out Bending을 통해 디스플레이가 전자 장치의 뒷면까지 확장된 전자 장치(Half Round Display)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전자 장치의 뒷면에 구비되고, 전자 장치의 뒷면에도 디스플레이가 제공됨에 따라 셀피 촬영 등이 좀더 용이하게 되었다. 또한, 하나의 카메라만을 구비하더라도 후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촬영 상태를 확인하면서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촬영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 후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확보해 줄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 상황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라이브 뷰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되면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는 상기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되면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는 상기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는 상기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터치에 응답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 내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방향에 대응되도록 촬영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라이브 뷰에서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라이브 뷰에 포함된 얼굴 영역을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라이브 뷰의 일 영역을 크롭(crop)하여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라이브 뷰에 사람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판단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움직임 및 사용자의 그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라이브 뷰에서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거나, 상기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는 상태에서 상기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라이브 뷰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되면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는 상기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되면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는 상기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는 상기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터치에 응답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표시영역 내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방향에 대응되도록 촬영 설정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라이브 뷰에서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라이브 뷰에 포함된 얼굴 영역을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라이브 뷰의 일 영역을 크롭(crop)하여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라이브 뷰에 사람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판단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움직임 및 사용자의 그립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움직임 및 사용자의 그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브 뷰에서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거나, 상기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는 상태에서 상기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다양한 촬영 상황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c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메인 표시영역, 서브 표시영역 및 라운드 표시영역 중 하나만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메인 표시영역, 서브 표시영역 및 라운드 표시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각 영역과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표시영역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를 변경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메인 표시영역을 통해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 모두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표시영역에 라이브 뷰를 서브 표시영역에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 변경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촬영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운드 표시영역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카메라가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기타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는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디스플레이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나 중요도에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표현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나 중요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 또는 통신적으로(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연결(coupled)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하는 것은, 각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disclosure)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임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수 표현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표현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의 좌측 도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을 나타내고, 도 1a의 우측 도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는 전면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에는 후면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가 배치된다. 전면 디스플레이 및 후면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후면 디스플레이는 전면 디스플레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면 디스플레이 및 후면 디스플레이는 동일한 크기일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면 디스플레이를 메인 표시영역(10), 후면 디스플레이를 서브 표시영역(20)으로 설명한다.
도 1b의 좌측 도면은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이 연결된 전체 디스플레이의 전면도를 나타내고, 도 1b의 우측 도면은 전체 디스플레이의 후면도를 나타낸다.
서브 표시영역(20)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서브 표시영역(20)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구부러진 영역은 곡면 형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 각을 이룰 수도 있다.
라운드 표시영역(30)은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연결하는 영역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운드 표시영역(30)은 곡면 형상일 수도 있고, 각진 형상일 수도 있다. 라운드 표시영역(30)은 경계 라인(30-1, 30-2)에 의해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과 구분된다.
도 1b에 도시된 경계 라인(30-1, 30-2)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경계 라인(30-1, 30-2)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경계 라인(30-1, 30-2)은 제조사에 의해 제조 시에 결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경계 라인(30-1, 30-2)이 변경되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의 영역 크기가 변경되고,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상측을 감싸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하측,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어느 하나를 감싸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측면이 아닌 복수의 측면을 감싸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는 터치패드를 감싸고, 디스플레이와 터치패드는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패드 역시 디스플레이와 유사하게 구부러지게 되어, 터치 입력이 사용자가 생각하는 것과는 반대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인 표시영역(10)의 한 지점으로부터 위쪽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와 서브 표시영역(10)의 한 지점으로부터 위쪽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 터치 영역의 차이 외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터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패드는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메인 표시영역(10)의 한 지점으로부터 위쪽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와 서브 표시영역(10)의 한 지점으로부터 위쪽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의 방향을 반대로 입력받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어느 한 영역의 터치 입력의 방향을 반대로 인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생략한다.
한편,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각종 센서 및 리시버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측면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고, 특히 지향성 리서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동 가능한 일체형 커버에 리시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리시버가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전화 통화 시에 상하를 반전시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서브 표시영역(20)이 메인 표시영역(10)으로부터 곡면 형상의 라운드 표시영역(30)을 거쳐 연장된 구조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에 카메라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다른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 대하여도 실시 예를 확장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으로부터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향하는 방향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 그 반대쪽을 아래쪽으로 설명한다. 좌측 및 우측은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표시영역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는 경우와 서브 표시영역(20)을 바라보는 경우의 좌측 및 우측을 반대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카메라(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a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기능 및 제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a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 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10),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20) 및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을 연결하는 라운드 표시영역(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서브 표시영역(2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을 전부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면 및 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단어이고, 특별히 단어의 의미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특정 전자 장치에 대하여는 일 측면 및 타 측면일 수도 있다. 한편,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의 모든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 전체를 디스플레이로 덮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서브 표시영역(20)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되어 후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측면에서 바라보면 'U'자와 같이 연결 부분이 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측면에서 바라보면 'ㄷ'자와 같이 연결 부분이 90°의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형태에 기초하여 다양한 연결 부위가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라이브 뷰,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애니메이션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 각각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두 영역을 연동시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1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동영상과는 무관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별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12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20)는 특정 시점에서의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나, 연속적으로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카메라(120)는 획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10)로 제공하며,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적어도 하나에 라이브 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카메라(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에 따라 사용자를 촬영하거나 배경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카메라(120)는 렌즈, 셔터, 조리개, 고체 촬상 소자, AFE(Analog Front End), TG(Timing Generator)를 포함한다. 셔터는 피사체에 반사된 빛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들어오는 시간을 조절하고, 조리개는 빛이 들어오는 개구부의 크기를 기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렌즈에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고체 촬상 소자는 피사체에 반사된 빛이 광전하로 축적되면, 광전하에 의한 상을 전기 신호로 출력한다. TG는 고체 촬상 소자의 픽셀 데이터를 리드아웃 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며, AFE는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화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된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되면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카메라(120)에 의해 획득된 라이브 뷰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판단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 뿐만 아니라 특정 방향으로의 이동, 흔들기 등을 통해 라이브 뷰가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변경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며, 추가적으로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촬영을 위한 GUI 외에도 갤러리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GUI, 영상 보정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GUI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표시영역(10)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방법에는 디스플레이(11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방법, 디스플레이(110)를 블랙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표시영역(10)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의 터치 기능을 활성화시켜둘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사용자 터치에 응답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내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방향에 대응되도록 촬영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며, 라이브 뷰에서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면, 라이브 뷰에 포함된 얼굴 영역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라이브 뷰의 일 영역을 크롭(crop)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며, 라이브 뷰에 사람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작으면 라이브 뷰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하고, 판단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움직임 및 사용자의 그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에서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거나,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는 상태에서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b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카메라(120), 프로세서(130), GPS 칩(135), 스토리지(140), 감지부(145), 통신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마이크(182)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감지부(145)에 포함된 터치 감지부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정전식 방식과 감압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정전식은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패널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펜 인식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펜 근접 이벤트 값 또는 펜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 별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에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이 모두 구비되고,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터치 패널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특정 패널의 전원을 차단하여 특정 패널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며 터치 또는 펜 입력을 수신하나, 소프트웨어적으로 특정 패널에 대한 입력을 무시하여 특정 패널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표시영역(1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손 터치 및 펜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만을 활성화시켜 펜 터치 입력은 받지 않고 손 터치 입력만을 받거나 펜 인식 패널만을 활성화시켜 손 터치 입력은 받지 않고 펜 터치 입력만을 받을 수도 있다.
또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구비되고, 일부 영역의 펜 인식 패널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대응되는 펜 인식 패널만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이 하나의 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를 통해 터치 입력 및 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이 하나의 패널로 구현된 경우, 입력 종류 및 입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펜 입력과 같은 특정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펜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140)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30)의 동작은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리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촬영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PS 칩(145)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프로세서(13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145)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 무선 통신 칩(153), NFC 칩(154)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이나 블루투스 칩(15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53)은IEEE,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5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전자 장치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상술한 디스플레이(11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감지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그립 센서 등을 포함한다. 감지부는 상술한 터치 이외에,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그립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그 밖에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이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터치 센서 대신 마그네틱과 자기장 센서, 광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터치 오브젝트의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지자기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는 둘 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구비된 터치 센서와는 별개로, 후면, 테두리,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는 터치 센서 외에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8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마이크(182)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 밖에, 도 2b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c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의 소프트웨어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2c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는 OS(191), 커널(192), 미들웨어(193), 어플리케이션(194)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191)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191)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192)은 디스플레이(11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193)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19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2c에 따르면, 미들웨어(193)는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윈도우 매니저(193-2),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 보안 모듈(193-4), 시스템 매니저(193-5), 연결 매니저(193-6), X11 모듈(193-7), APP 매니저(193-8),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9)를 포함한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는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영역(10)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는 서브 표시영역(20)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93-2)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93-2)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감지부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보안 모듈(193-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193-5)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193-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93-6)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193-6)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X11 모듈(193-7)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193-8)는 스토리지(14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193-8)는 X11 모듈(193-7)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즉, APP 매니저(193-8)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선택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9)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9)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c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스토리지(14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액자 장치, TV, PC,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b 및 도 2c에서 설명한 구성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본 구성과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하나만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어느 한 영역에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다른 두 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는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원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전화 또는 문자를 수신하는 경우,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전원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시선에 가까운 영역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제공되는 정보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정보가 제공될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서브 표시영역(20)의 일 영역을 연속하여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동일한 정보라 하더라도 디스플레이될 영역에 따라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별로 홈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에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키면, 프로세서(130)는 홈 화면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제공할 정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정보를 제공할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오브젝트 뿐만 아니라 오브젝트의 크기, 내용 및 레이아웃을 모두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분할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두 영역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두 영역에 서로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두 영역에 서로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도 4와 같이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전화 수신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서브 표시영역(20)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화 수신 UI를 터치하여 전화가 연결되면, 전화 통화 UI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하고 동영상을 계속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동영상을 음소거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동영상일 일시 정지해둘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전부를 이용하여 서로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동영상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전부를 이용하여 서로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두 영역에 서로 관련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나머지 하나의 영역에는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조합하거나 분할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동일한 사용자 터치 입력이 감지되더라도 터치 영역에 따라 설정 값의 조절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동영상이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 또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드래그 조작의 방향에 따라 재생 시간 또는 볼륨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드래그 조작이 메인 표시영역(10)인 경우보다 서브 표시영역(20)인 경우에 재생 시간 또는 볼륨 등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의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은 서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대한 동작은 얼마든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각 영역과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일 영역에서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드래그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드래그 입력 전에 서브 표시영역(20)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에,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제공되는 정보를 더 이상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제공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영역(10) 또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따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정보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제공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특정 영역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방송 컨텐츠가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라운드 표시영역(30)을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방송 컨텐츠의 채널 또는 음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10),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20) 및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을 연결하는 라운드 표시영역(30)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후면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20)를 구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먼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에 카메라(120)가 구비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 카메라(120)가 구비된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프로세서(130)는 카메라(110)를 통해 획득된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의 상측 도면은 프로세서(130)가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한 도면이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영역에 디스플레이할지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되면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하측 도면은 프로세서(130)가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이상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면 라이브 뷰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한 도면이다. 카메라(120)가 촬영하는 영상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라이브 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변경되면, 해당 영역에 대응되도록 소프트키, 제어 GUI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라이브 뷰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촬영을 위한 GUI를 메인 표시영역(10)의 우측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서브 표시영역(20)에 라이브 뷰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촬영을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는 경우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촬영 설정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표시영역(10)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상측 도면의 경우,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도 6의 하측 도면의 경우,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서(130)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모두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하나의 영역을 검은색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하나의 영역의 디스플레이(11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하나의 영역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라도, 터치 기능은 활성화시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촬영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피사체가 가까운 곳에 있다고 인식되면, 셀피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셀피 촬영 모드는 셀피 촬영에 최적화된 모드로, 자동으로 사용자의 피부를 보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피사체가 먼 곳에 있다고 인식되면, 배경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배경 촬영 모드는 풍경 촬영에 최적화된 모드로, 자동으로 콘트라스트 및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촬영 모드에 따라 화각을 달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셀피 촬영 모드에서는 화각을 좁게 하고, 배경 촬영 모드에서는 화각을 넓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촬영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UI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셀피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피부를 보정하는 기능, 적목 감소 기능 등을 포함하는 UI를 제공하고, 배경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콘트라스트 조절 기능, 화이트 밸런스 조절 기능 등을 포함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표시영역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를 변경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영 조작을 하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카메라(120)를 통해 인식되는 이미지의 일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즉, 프로세서(130)는 도 7a에 도시된 이미지를 촬영하나,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의 일부만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프로세서(130)는 촬영된 이미지 전체를 90도 회전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라이브 뷰가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로 촬영이 수행되더라도, 프로세서(130)는 전체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7b와 같이 구도를 잡아 셀피 촬영을 하더라도, 프로세서(13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 뿐만 아니라 상체까지도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갤러리 앱 등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따라 저장된 이미지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상체까지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얼굴만을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원본 이미지와 부분 이미지를 모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원본 이미지만을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서브 표시영역(20)에 대응되도록 이미지를 크롭(crop)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본 이미지는 크롭될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도 8a 및 도 8b는 메인 표시영역(10)을 통해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표시영역(10)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8a는 메인 표시영역(10)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표시영역(10)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사용자 터치에 응답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기설정된 영역(11)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기설정된 영역(11)은 제조사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중 기설정된 영역(11)의 터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메인 표시영역(10)의 다른 영역의 터치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도 8b는 메인 표시영역(10)을 이용하여 촬영 설정 값을 변경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표시영역(10)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 내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방향에 대응되도록 촬영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기설정된 영역(11) 내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촬영 설정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기설정된 영역은 제조사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중 기설정된 영역(10)의 터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메인 표시영역(10)의 다른 영역의 터치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좌우 방향(810-1, 810-2)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노출 값을 변경하여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하 방향(820-1, 820-2)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 스와이프 인터랙션을 통해 초점을 변경하거나 화이트 밸런스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의 기설정된 영역(11)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 메인 표시영역(10) 전체의 터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메인 표시영역(10)의 한 지점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을 복수의 기설정된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마다 다른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터치 및 스와이프 인터랙션 외에도 드래그 앤 드랍 인터랙션, 멀티 터치 인터랙션 및 두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인터랙션 등 다양한 인터랙션에 대하여도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인터랙션 및 그에 대응되는 기능은 제조사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a 및 도 8b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서브 표시영역(20)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사용자 터치에 응답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 내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방향에 대응되도록 촬영 설정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모두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영역의 반대쪽에 위치한 영역을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영역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a 및 도 8b에서는 카메라(120)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영역의 반대쪽에 위치한 영역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브 표시영역(20)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을 통해 채널 또는 볼륨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이용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하나와 라운드 표시영역(30)을 이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 모두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며, 라이브 뷰에서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면, 라이브 뷰에 포함된 얼굴 영역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피사체와의 거리가 먼 경우,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프로세서(130)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라이브 뷰에서 사람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라이브 뷰를 이용하여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의 특정 정지 영상을 복수의 픽셀 블럭 단위로 구분하고, 각 픽셀 블럭 별로 대표 픽셀 값을 산출한다. 대표 픽셀 값은 픽셀 블럭 내에 포함되는 전체 픽셀들의 평균값으로 산출될 수도 있고, 최대 분포 값이나 중간 값, 최대 값 등으로 산출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각 픽셀 블럭의 대표 픽셀 값을 서로 비교하여 유사 범위의 대표 픽셀 값을 가지는 픽셀 블럭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연속적으로 배치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그 픽셀 블럭들이 하나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프로세서(130)는 오브젝트로 판단된 픽셀 블럭들 중에서 사람의 피부색과 유사한 픽셀 값 범위를 갖는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프로세서(130)는 이러한 오브젝트가 존재하면, 그 오브젝트를 사람의 얼굴 영역이나 기타 신체 영역으로 인식하고, 나머지 부분은 주변 배경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라이브 뷰의 일 영역(910)을 크롭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가로 세로 비율을 유지하면서 라이브 뷰의 일 영역(910)을 크롭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에 포함된 얼굴 영역이 서브 표시영역(2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라이브 뷰의 일 영역(910)을 크롭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도 9에 도시된 라이브 뷰의 일 영역(910)보다 작은 영역을 크롭하고, 크롭한 영역을 확대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에서 복수의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면, 복수의 사람의 얼굴 중 가장 가까이에 있는 사람의 얼굴 영역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사람의 얼굴 중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방향으로 시선을 유지하는 사람의 얼굴 영역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사람이 모두 나오도록 라이브 뷰의 일 영역을 크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람이 많은 경우에는 크롭 없이 라이브 뷰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사람은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라이브 뷰를 통해 촬영될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촬영되고 있는 사람은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크롭된 라이브 뷰의 일 영역을 통해 촬영될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모두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셀피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서브 표시영역(20)에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표시영역(10)에는 셀피 촬영 중임을 알리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표시영역(10)에 라이브 뷰를 서브 표시영역(20)에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며, 라이브 뷰에 사람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에 어린이가 인식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또는 동물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로써, 촬영되고 있는 사람의 시선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에 인식된 사람의 연령대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에 인식된 사람이 여자인 경우, 서브 표시영역(20)에 귀금속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에서 복수의 사람이 인식되면, 복수의 사람 중 가장 가까이에 있는 사람을 기준으로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사람 중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시선을 유지하는 사람을 기준으로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의 중심 영역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사람을 기준으로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라이브 뷰에서 사람 또는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동물 등이 라이브 뷰에서 인식되더라도 서브 표시영역(20)에 라이브 뷰의 일 영역 또는 애니메이션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브 표시영역(20)에 라이브 뷰의 일 영역 또는 애니메이션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작으면 라이브 뷰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하고, 판단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a는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 11b는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를 나타낸다. 프로세서(130)는 오토 포커싱을 이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의 특정 시점의 정지 영상을 분석하여 피사체의 윤곽에 기초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을 바라보며 사용자 자신을 촬영하는 경우, 서브 표시영역(20)에 라이브 뷰가 디스플레이되어 촬영될 영상을 확인하며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을 바라보며 다른 사람 또는 풍경 등을 촬영하는 경우, 메인 표시영역(10)에 라이브 뷰가 디스플레이되어 촬영될 영상을 확인하며 촬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방법과 반대의 영역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모두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를 인식하여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홍채 인식을 통해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라이브 뷰의 영상이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움직임 및 사용자의 그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지자기 센서에 의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및 자이로 센서에 의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각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특정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90°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에서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거나,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는 상태에서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2는 라이브 뷰의 복수의 정지 영상을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제1 정지 영상(1210)은 사람이 없는 영상이고, 제2 내지 제4 정지 영상(1220-1240)은 사람이 있는 영상이며, 제5 정지 영상(1250)은 다시 사람이 없는 영상이다. 즉, 도 12는 카메라 앵글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왼쪽으로 이동시킨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도 12와 같이 제2 정지 영상(1220)이 디스플레이되는 순간 및 제5 정지 영상(1250)이 디스플레이되는 순간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사람의 얼굴이 아닌 다른 사물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라이브 뷰의 특정 정지 영상으로부터 미끄럼틀의 윤곽을 추출하고, 순차적으로 다음 정지 영상의 미끄럼틀의 윤곽을 추출하여, 미끄럼틀의 윤곽이 라이브 뷰 상의 기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구비하고 있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절대 자세를 연속적으로 감지하고,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기준 자세를 결정하고, 기준 자세로부터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자세가 변경되는 경우,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자세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때의 자세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 변경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촬영 기능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갤러리 앱이 실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약 180° 회전하는 경우 갤러리 앱을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촬영 기능과 전혀 무관한 전화 기능, 인터넷 기능 등을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촬영 기능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촬영이 수행되어 서브 표시영역(2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경우 갤러리 앱 또는 보정을 위한 앱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촬영이 수행되면 순차적으로 촬영된 영상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는 동작으로 영상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3b는 동영상 촬영 기능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동영상 촬영 기능이 중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b의 상측 도면에는 촬영 시간, 동영상 촬영을 종료시키기 위한 GUI(1310) 및 동영상 촬영을 일시정지시키기 위한 GUI(1320)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동영상 촬영을 종료시키기 위한 GUI(1310)를 터치하여 동영상 촬영을 종료시킬 수도 있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을 변경시켜 동영상 촬영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도 13b의 하측 도면에는 현재 촬영이 종료된 동영상의 썸 네일 이미지를 나타내며, 동영상을 실행시키기 위한 GUI(1330)를 터치하여 동영상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동영상 촬영 중에 메인 표시영역(10)을 터치하여 동영상 촬영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종료시킬 수도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촬영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촬영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터치하는 외에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 촬영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4a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촬영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잠금 화면이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촬영 기능을 실행시키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촬영 기능을 실행시키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4b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촬영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잠금 화면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거나 서브 표시영역(20)에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서브 표시영역(20)에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촬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4b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을 나타냈으나, 특정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와이프 인터랙션 뿐만 아니라 다른 인터랙션을 통해 촬영 기능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a 및 도 14b의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촬영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이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하여 촬영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특정 영역이 활성화되는 시점의 사용자의 얼굴, 사용자의 제스처 및 그립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촬영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V" 자 모양을 만들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촬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운드 표시영역(30)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표시영역(30)은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 사이에 있다. 라운드 표시영역(30)에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프로세서(13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기 위한 GUI(15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기 위한 GUI(1520)를 터치하는 경우,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의 좌우 방향(1510-1, 1510-2)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노출 값을 변경하여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 스와이프 인터랙션을 통해 초점을 변경하거나 화이트 밸런스를 변경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대한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촬영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터치하여 라이브 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특정 알림을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피사체에 대한 초점이 맞춰지지 않은 경우, 해당 내용을 알리기 위한 알림을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알림을 터치하면,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설정 등을 변경하거나 재시도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 카메라(120)가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아래쪽에 카메라(12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 예의 대부분의 동작이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을 반대로 하여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도 유사한 동작이 가능하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기타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는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된 시점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절대 자세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이 테이블하고 닿아 있는 경우에 서브 표시영역(20)에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사용자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된 시점의 사용자의 위치를 카메라(120)를 통해 인식하고, 사용자가 인식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으면 메인 표시영역(10)에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 또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영역(10)을 통해 문자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중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을 변경하여 서브 표시영역(20)을 보는 경우, 서브 표시영역(20)에 문자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거나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 변경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되면, UI를 변경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UI에 포함되는 정보량, 정보 종류 및 레이아웃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문자 메시지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문자 메시지의 내용 뿐만 아니라 새로운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UI, 상대방 정보 등을 추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문자 메시지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문자 메시지의 내용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문자 메시지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문자 메시지의 일부 내용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제공하는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답장 메시지 입력 기능, 수신 메시지 저장 기능, 수신 메시지 삭제 기능 등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나,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수신된 문자 메시지 내용만을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도 18a 및 도 18b는 디스플레이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접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접혀서 뒤집어진 영역(1810)은 서브 표시영역(20)에 대응되고, 접혀지지 않은 영역(1820)은 메인 표시영역(10)에 대응된다.
도 18a에서는 뒤집어진 영역(1810)의 면적이 접혀지지 않은 영역(1820)의 면적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정확히 반으로 접어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 중 라운드 표시영역(30)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실시 예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하며,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한다. 다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두 번 접어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형성하는 경우, 상술한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대한 실시 예도 적용 가능하다.
도 18b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앞뒤로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18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대응되고, 후면 디스플레이(184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실시 예 중 라운드 표시영역(30)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실시 예가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앞뒤로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적용 가능하며,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라이브 뷰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한다(S1910).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되면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한다(S1920).
여기서,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910)는 메인 표시영역에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92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되면 서브 표시영역에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표시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420)는 서브 표시영역에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표시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메인 표시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사용자 터치에 응답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표시영역 내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방향에 대응되도록 촬영 설정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920)는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며, 라이브 뷰에서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면, 라이브 뷰에 포함된 얼굴 영역을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서브 표시영역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라이브 뷰의 일 영역을 크롭(crop)하여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920)는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며, 라이브 뷰에 사람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면 서브 표시영역에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910)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작으면 라이브 뷰를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판단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움직임 및 사용자의 그립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92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움직임 및 사용자의 그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920)는 라이브 뷰에서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거나,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는 상태에서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다양한 촬영 상황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촬영 기능이 실행된 경우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메인 표시영역에 잠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되면 기설정해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메인 표시영역에 전화가 수신되고 있는 UI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되면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화 중에 사용자 단말 장치가 귀에서 멀어지는 경우, 연락처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특정 게임이나 음악 어플 등의 실행 상태를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메인 표시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필수 기능을 표시하는 UI를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변경되는 방향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측 방향, 하측 방향, 우측 방향, 좌측 방향 각각의 회전에 대하여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시계 방향, 시계 반대 방향인지에 따라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orientation)이 변경되면 라이브 뷰를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0 : 메인 표시영역 20 : 서브 표시영역
30 : 라운드 표시영역 120: 카메라
130 : 프로세서 140 : 스토리지
145 : GPS 칩 150 : 통신부
155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60 : 오디오 처리부
170 : 비디오 처리부 180 : 스피커
181 : 버튼 182 : 마이크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측면에 배치된 제1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측면의 반대측인 제2 측면에 배치된 제2 터치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제1 측면에 배치된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제1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1 촬영 모드의 라이브 뷰(live view) 기능에 대응되며 상기 제1 촬영 모드에 대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스크린을 상기 제1 터치 디스플레이에 제공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뒤집힘(flip)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제2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2 촬영 모드의 라이브 뷰 기능에 대응되며 상기 제2 촬영 모드에 대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2 스크린을 상기 제2 터치 디스플레이에 제공하고,
    상기 제1 터치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터치 디스플레이 중 하나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제3 이미지를 캡처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서로 상이한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셀피 촬영 모드(selfie photography mode)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촬영 모드와 상이한 모드인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스크린의 뷰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2 스크린의 뷰와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촬영 모드의 라이브 뷰 기능에 대응되는 제1 스크린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의 피부 색조를 보정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촬영 모드의 라이브 뷰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스크린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제2 이미지의 콘트라스트 및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터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스크린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추가적인 뒤집힘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제4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1 촬영 모드의 라이브 뷰 기능에 대응되며 상기 제1 촬영 모드에 대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스크린을 상기 제1 터치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터치 디스플레이 중 하나에 표시된 촬영 모드 버튼 상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1 스크린에만 제공되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2 스크린에만 제공되는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다른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카메라는 상기 제2 측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터치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터치 디스플레이 중 하나에 표시된 캡처 버튼 상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3 이미지를 캡처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측면에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제1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1 촬영 모드의 라이브 뷰(live view) 기능에 대응되며 상기 제1 촬영 모드에 대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스크린을 상기 제1 측면에 배치된 제1 터치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뒤집힘(flip)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제2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2 촬영 모드의 라이브 뷰 기능에 대응되며 상기 제2 촬영 모드에 대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2 스크린을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측면의 반대측인 제2 측면에 배치된 제2 터치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터치 디스플레이 중 하나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제3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서로 상이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셀피 촬영 모드(selfie photography mode)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촬영 모드와 상이한 모드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스크린의 뷰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2 스크린의 뷰와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제1 촬영 모드의 라이브 뷰 기능에 대응되는 제1 스크린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의 피부 색조를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제2 촬영 모드의 라이브 뷰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스크린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제2 이미지의 콘트라스트 및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스크린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추가적인 뒤집힘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제4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1 촬영 모드의 라이브 뷰 기능에 대응되며 상기 제1 촬영 모드에 대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스크린을 상기 제1 터치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터치 디스플레이 중 하나에 표시된 촬영 모드 버튼 상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1 스크린에만 제공되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2 스크린에만 제공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카메라와 다른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카메라는 상기 제2 측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터치 디스플레이 중 하나에 표시된 캡처 버튼 상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3 이미지를 캡처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001684A 2015-07-29 2016-01-0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4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76,630 US9936138B2 (en) 2015-07-29 2016-06-08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915,696 US10645292B2 (en) 2015-07-29 2018-03-08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834,848 US10701273B1 (en) 2015-07-29 2020-03-30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890,480 US11284003B2 (en) 2015-07-29 2020-06-02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00142850A KR102308201B1 (ko) 2015-07-29 2020-10-30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98360P 2015-07-29 2015-07-29
US62/198,360 2015-07-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850A Division KR102308201B1 (ko) 2015-07-29 2020-10-30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089A KR20170015089A (ko) 2017-02-08
KR102174740B1 true KR102174740B1 (ko) 2020-11-06

Family

ID=581555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684A KR102174740B1 (ko) 2015-07-29 2016-01-0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00142850A KR102308201B1 (ko) 2015-07-29 2020-10-30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850A KR102308201B1 (ko) 2015-07-29 2020-10-30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74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398B1 (ko) 2018-11-29 2023-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WO2021015337A1 (ko) * 2019-07-24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전후면 카메라를 전환하는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CN112839115B (zh) 2019-11-22 2022-04-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柔性屏模组、终端设备及拍摄方法
KR20220017284A (ko)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KR20220058202A (ko) * 2020-10-30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촬영 안내 방법 및 장치
US11983355B2 (en) 2020-11-18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8676A (ja) * 2001-12-28 2003-07-11 Kenwood Corp 携帯端末装置
JP2014060501A (ja) * 2012-09-14 2014-04-03 Canon Inc 撮影制御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4161066A (ja) * 2014-04-09 2014-09-04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におけるモード切換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7289B2 (ja) * 2008-11-05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KR101634247B1 (ko) * 2009-12-04 2016-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피사체 인식을 알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61526B1 (ko) * 2012-04-08 201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8676A (ja) * 2001-12-28 2003-07-11 Kenwood Corp 携帯端末装置
JP2014060501A (ja) * 2012-09-14 2014-04-03 Canon Inc 撮影制御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4161066A (ja) * 2014-04-09 2014-09-04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におけるモード切換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201B1 (ko) 2021-10-05
KR20200128493A (ko) 2020-11-13
KR20170015089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273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03268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08201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418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41688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07580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115712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95384B2 (en) Method of receiving user input by detecting movement of user and apparatus therefor
US1124368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28400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30628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285469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brightness thereof,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for same
EP328788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92182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287887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053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0968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