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66594B1 - Vehicle body for vehicle - Google Patents

Vehicle body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594B1
KR102166594B1 KR1020180172574A KR20180172574A KR102166594B1 KR 102166594 B1 KR102166594 B1 KR 102166594B1 KR 1020180172574 A KR1020180172574 A KR 1020180172574A KR 20180172574 A KR20180172574 A KR 20180172574A KR 102166594 B1 KR102166594 B1 KR 102166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front side
battery pack
vehicle
bottom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5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2206A (en
Inventor
이동열
노진이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2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594B1/en
Publication of KR2020008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2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용 차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차체는: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텀 플로어부; 바텀 플로어부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바텀 플로어부의 폭방향 양측에 바텀 플로어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실부; 및 사이드실부의 전방측에 각각 연결되고, 사이드실부 사이의 거리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차체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프론트 사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n invention for a vehicle body for an automobile. The vehicle body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floor portion disposed under the vehicle body; Side seal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floo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ttom floor por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ttom floor portion; And a front side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ide seal portion, each formed to have a width narrow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seal portions, and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so as to be gathered toward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Description

자동차용 차체{VEHICLE BODY FOR VEHICLE}Vehicle body {VEHICLE BODY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차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륜의 조향공간을 확보하고, 차체 전방측의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차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capable of securing a steering space for a wheel and improving the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at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모터부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한다. 전기차에는 모터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배터리팩이 설치된다. 배터리팩은 전기차의 바텀 플로어 등에 설치된다. 배터리팩에는 전기에너지가 미리 충전된다.In general, electric vehicles travel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unit. In electric vehicles, a battery pack is installed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motor. Battery pack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floor of electric vehicles. The battery pack is pre-charged with electric energy.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27047호(2015. 06. 02 등록, 발명의 명칭: 후륜서스펜션의 모듈화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527047 (registered on June 02, 2015, title of the invention: modular structure of a rear wheel suspens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륜의 조향공간을 확보하고, 차체 전방측의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capable of securing a steering space of a wheel and improving the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at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는: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텀 플로어부; 상기 바텀 플로어부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바텀 플로어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바텀 플로어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실부; 및 상기 사이드실부의 전방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실부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차체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프론트 사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floor portion disposed under the vehicle body; Side seal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floo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ttom floor por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ttom floor portion; And a front side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ide seal portion, each formed to have a width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ide seal portion, and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so as to be gathered toward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상기 프론트 사이드부재는 상기 사이드실부에서 상기 차체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 및 상기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에서 상기 차체의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side member may include a front side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seal portion toward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front side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front side extension portion to a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상기 프론트 사이드부재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프론트 크로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sid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ront cross portion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o connect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상기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차체의 폭방향 길이의 50%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may be 50% or less of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상기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의 폭은 상기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front side extension may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side slope.

상기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의 폭은 상기 선단부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may be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side.

상기 바텀 플로어부는 배터리팩이 탑재되고, 상기 사이드실부에 결합되는 마운트 패널부; 및 상기 배터리팩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실부에 결합되는 플로어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ttom floor unit includes a mount panel unit on which a battery pack is mounted and coupled to the side seal unit; And a floor panel part disposed above the battery pack and coupled to the side seal part.

상기 사이드실부는 상기 마운트 패널부의 에지부에 안착되고, 상기 마운트 패널부와 상기 플로어 패널부에 결합되는 사이드빔; 및 상기 사이드빔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사이드빔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빔을 포함할 수 있다.A side beam mounted on an edge portion of the mount panel portion and coupled to the mount panel portion and the floor panel portion; And a reinforcing beam disposed inside the side beam to support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beam.

상기 사이드실부는 상기 마운트 패널부의 에지부, 상기 사이드빔 및 상기 보강빔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seal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mber installed to penetrate the edge portion of the mount panel portion, the side beam, and the reinforcing beam.

상기 보강빔은 "ㄷ"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빔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빔의 내측 벽면을 지지하고, 상기 보강빔의 중심부 측은 상기 사이드빔의 외측 벽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beam is formed in a "c" shape, and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eam support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side beam, and a central side of the reinforcement beam may support an outer wall surface of the side beam.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바텀 플로어부의 후방측에 상기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배터리팩부; 상기 바텀 플로어부의 폭방향 중심부에 상기 바텀 플로어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2 배터리팩부; 및 상기 바텀 플로어부에서 상기 제1 배터리팩부의 전방측 배치되고, 상기 제1 배터리팩부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3 배터리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pack includes: a first battery pack portion arranged along a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t a rear side of the bottom floor portion; A second battery pack part arrang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ttom floor part in a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floor part; And a third battery pack part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battery pack part on the bottom floor part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attery pack part.

상기 제3 배터리팩부는 상기 제2 배터리팩부 보다 높게 적층되고, 상기 제1 배터리팩부는 상기 제3 배터리팩부 보다 높게 적층될 수 있다.The third battery pack part may be stacked higher than the second battery pack part, and the first battery pack part may be stacked higher than the third battery pack part.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론트 사이드부재가 차체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모아지도록 배치되므로, 차체에서 차륜의 조향공간을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side members are arranged so as to be gathered toward the cen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steering space of the wheels can be formed in the vehicle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론트 사이드부재가 차체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차량의 옵셋 충돌시 및 정면 충돌시 프론트 사이드부재가 사다리꼴 형태로 차량의 충격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side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to be narrower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the front side member can support the impact load of the vehicle in a trapezoidal shape during an offset collision and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론트 사이드부재가 차체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차량의 정면 충돌시 및 옵셋 충돌시 프론트 사이드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름지면서 무너지는 압괴 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정면 충돌시 및 옵셋 충돌시 프론트 사이드부재에서 충격 하중의 흡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side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the front side member is sequentially corru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ring a frontal collision and an offset collision of the vehicle, leading to a collapse phenomenon. I ca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impact load in the front side member during a frontal collision and an offset collision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론트 사이드부재가 차체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차량의 스몰 오버랩 충돌시 충돌대상물이 프론트 사이드부재의 측면부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되므로, 차체의 충격 하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충돌대상물에 의한 충격 하중이 프론트 사이드부재의 선단부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장 가혹한 시험인 스몰 오버랩 충돌시에도 차체의 전방측이 차체의 실내공간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side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the collision object slides along the side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during a small overlap collis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impact load of the vehicle body is significantly reduced. I can make it.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pact load caused by the collision object from being applied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from being pushe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ody even in the case of a small overlap collision, which is the most severe tes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에서 여유 있는 공간을 활용하여 제1 배터리팩부, 제2 배터리팩부 및 제3 배터리팩부를 배치시키므로, 배터리팩의 설치 용량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의 설치 용량이 증가됨에 따라 전기차의 주행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battery pack unit, the second battery pack unit, and the third battery pack unit are disposed using a space available in the vehicle body, the installation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can be remarkably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installation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increases, the driving distance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exten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의 정면 충돌시 충격 하중의 전달 경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의 옵셋 충돌시 충격 하중의 전달 경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에서 스몰 오버랩 충돌시 충격 하중의 전달 경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의 바텀 플로어부와 사이드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의 사이드실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의 배터리팩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transmission path of an impact load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transmission path of an impact load during an offset collision of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transmission path of an impact load during a small overlap collision in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floor portion and a side seal portion of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de seal of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of a battery pack of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자동차용 차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의 정면 충돌시 충격 하중의 전달 경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의 옵셋 충돌시 충격 하중의 전달 경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에서 스몰 오버랩 충돌시 충격 하중의 전달 경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의 바텀 플로어부와 사이드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의 사이드실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의 배터리팩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transmission path of an impact load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transmission path of an impact load during an offset collision of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impact during a small overlap collision in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loa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floor portion and a side seal portion of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seal portion of a vehicle body for use,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of a battery pack of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체(100)는 바텀 플로어부(110), 사이드실부(120) 및 프론트 사이드부재(130)를 포함한다.1 to 7, a vehicle body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floor unit 110, a side seal unit 120, and a front side member 130.

바텀 플로어부(110)는 차체(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바텀 플로어부(110)의 내부에는 배터리팩(140)이 내장된다. 바텀 플로어부(110)는 차체(100)의 하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된다. 배터리팩(140)에는 전기에너지가 충전된다. The bottom floor unit 110 is disposed under the vehicle body 100, and a battery pack 140 is embedded in the bottom floor unit 110. The bottom floor unit 110 is installed to shield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100. Electric energy is charged in the battery pack 140.

사이드실부(120)(side sill)는 바텀 플로어부(11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바텀 플로어부(110)의 폭방향 양측 에지부(113a)에 바텀 플로어부(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된다. 사이드실부(120)는 차량의 양측 도어(미도시)의 하측에 배치된다. 사이드실부(120)는 바텀 플로어부(110)의 양측에 체결부재(129)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실부(120)가 바텀 플로어부(110)의 양측에 바텀 플로어부(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차체(100)의 전방 측에서 전달되는 충격 하중이 사이드실부(120)에 전달되더라도 사이드실부(120)가 길이방향으로 거의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시 차체(100)의 실내 공간(거주 공간) 측으로 찌그러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Side sills 120 are dispos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ttom floor unit 110 on both edge portions 113a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floor unit 110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ttom floor unit 110 do. The side seals 120 are disposed under both doors (not shown) of the vehicle. The side seal unit 12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ttom floor unit 110 by fastening members 129. Since the side seal portion 120 is dispos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ttom floor portion 110 on both sides of the bottom floor portion 110, even if an impact load transmitt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100 is transmitted to the side seal portion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de seal part 120 from being substantially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distortion or deformation toward the interior space (residential space) side of the vehicle body 100 when a vehicle crashes.

사이드실부(120)가 바텀 플로어부(110)의 양측에 배치되므로, 차체(100)의 측방향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측면 충돌시 배터리팩(140)이 사이드실부(12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Since the side seal portions 12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floor portion 110, the lateral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100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battery pack 140 may be protected by the side seal unit 120 in the event of a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프론트 사이드부재(130)는 사이드실부(120)의 전방측에 각각 연결되고, 사이드실부(120)의 거리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차체(100)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프론트 사이드부재(130)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차체(100)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모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배치된다. 프론트 사이드부재(130)는 사이드실부(120)의 전방측에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side members 130 ar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ide seal unit 120, respectively, are formed to have a width narrower than the distance of the side seal unit 120, and are arrang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gathered toward the central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0. In this case, the front side member 130 is disposed in a trapezoidal shape that is coll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100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front side. The front side memb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ide seal unit 120 by welding.

전기차(미도시)는 모터부(미도시)의 특성상, 모터부의 초기 구동시 모터부의 회전수(RPM)가 증가되더라도 모터부의 최대 구동 토크가 높게 유지된다. 또한, 전기차의 차체(100)에는 배터리팩(140)이 설치되므로, 차량의 중량이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증가된다. 따라서, 전기차의 경우 기존 내연기관 차량 대비 출발 및 정지시 관성력을 극복하기 위해 큰 마찰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차에는 기존의 내연기관 타이어에 비해 광폭 및 대형 타이어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전기차에 광폭 및 대형 타이어가 설치될 경우, 차륜(20)의 조향공간(차륜(20)의 거동공간)이 증가되어야 한다.In electric vehicles (not show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unit (not shown), the maximum driving torque of the motor unit is maintained high even if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motor unit is increased when the motor unit is initially driven. 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pack 140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00 of the electric vehicle, the weight of the vehicl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Therefore, 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a large frictional force is required in order to overcome the inertial force when starting and stopping compared to a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For this reason, electric vehicles can have wider and larger tires than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tires. When wide and large tires are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the steering space of the wheel 20 (moving space of the wheel 20) must be increased.

또한, 전기차에서 모터부와 컨버터(미도시)의 부피는 내연기관 차량에서 엔진룸의 부피 보다 대략 30% 정도 작게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차에서 프론트 사이드부재(130)가 차체(100)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차용 프론트 사이드부재(130)가 차체(100)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대략 50-300mm 정도 이동될 수 있다. 프론트 사이드부재(130)가 차체(100)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이동됨에 광폭 타이어가 설치된 차륜(20)의 조향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motor unit and the converter (not shown) in the electric vehicle occupies approximately 30%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engine room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Accordingly, in the electric vehicle, the front side member 130 may be designed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0. For example, the front side member 130 for an electric vehicle may be moved approximately 50-300mm toward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100 in the width direction. Since the front side member 130 is moved toward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100 in the width direction, a steering space of the wheel 20 on which the wide tire is installed can be sufficiently sec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론트 사이드부재(130)가 차체(100)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전기차에서 차륜(20)의 조향공간(차륜(20)의 거동공간)을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차륜(20)의 조향공간이 충분히 증가되므로, 차륜(20)이 프론트 사이드부재(13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운전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륜(20)의 조향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광폭 타이어나 대형 타이어가 전기차에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side member 130 is dispos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gathered toward the cen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0, the steering space (moving space of the wheel 20) of the wheel 20 in an electric vehicle is Can be formed larger. Since the steering space of the wheel 20 is sufficiently increa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heel 20 from interfering with the front side member 130 and increase the driving convenience of the vehicle. In addition, since the steering space of the wheel 20 is sufficiently secured, a wide tire or a large tire can be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또한, 양측의 프론트 사이드부재(130)가 차체(100)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프론트 사이드부재(130)가 차체(100)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side members 130 on both sides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100 in the width direction, the front side members 130 may be arranged in a trapezoidal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100.

한편, 차량의 안전 기준의 강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충돌시험이 요구된다. 충돌시험에는 정면 충돌시험, 옵셋 충돌시험 및 스몰 오버랩 충돌시험 등이 있다. 정면 충돌시험은 차체(100)의 폭방향 길이(L) 정도의 정면 충돌 장벽(B1)에 차량이 대략 64Km/h의 속도로 충돌하는 시험이다. 옵셋 충돌시험은 차체(100)의 폭방향 길이(L)의 대략 40%(0.40L)의 옵셋 충돌 장벽(B2)에 차량이 대략 64Km/h의 속도로 충돌되는 시험이다. 스몰 오버랩 충돌시험은 차체(100)의 폭방향 길이(L)의 대략 25%(0.25L)의 오프셋폴(B3)에 대략 64Km/h의 속도로 충돌하는 시험이다. 이러한 충돌시험은 장벽의 폭이 작은 순서대로, 즉 정면 충돌시험, 옵셋 충돌시험 및 스몰 오프셋 충돌시험 순서대로 충돌시험의 가혹성이 증가된다.Meanwhile, various types of crash tests are required as the safety standards of vehicles are strengthened. Collision tests include frontal collision test, offset collision test and small overlap collision test. The frontal collision test is a test in which a vehicle collides with a frontal collision barrier B1 having a length 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0 at a speed of approximately 64Km/h. The offset collision test is a test in which a vehicle collides with an offset collision barrier B2 of approximately 40% (0.40L) of the width direction length L of the vehicle body 100 at a speed of approximately 64 km/h. The small overlap collision test is a test in which an offset pole B3 of approximately 25% (0.25L) of the width direction length L of the vehicle body 100 is collided at a speed of approximately 64 km/h. In this crash test, the severity of the crash test is increased in the order of the smallest width of the barrier, that is, in the order of the frontal crash test, the offset crash test and the small offset crash test.

프론트 사이드부재(130)가 사다리꼴 형태로 차체의 전방을 지지하므로, 차량의 정면 충돌시 충격 하중이 프론트 사이드부재(130)의 양측에 거의 균일하게 가해진다(도 2 참조). 따라서, 차량의 정면 충돌시 프론트 사이드부재(130)가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름지면서 무너지는 압괴 현상(stable collapse)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정면 충돌시 프론트 사이드부재(130)에서 충격 하중의 흡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차량의 정면 충돌시 차체(100)의 전방측이 차체(100)의 실내공간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탑승객의 안전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Since the front side member 130 supports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in a trapezoidal shape, an impact load is applied almost uniformly to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member 130 when the vehicle is in a frontal collision (see FIG. 2 ).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collides in the front, the front side member 130 may induce a stable collapse in which the front side member 130 is sequentially corru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bsorbing performance of the impact load in the front side member 130 when the vehicle collides in the front. Furthermore, sin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100 from being pushe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ody 100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safety of the occupant can be further secured.

또한, 차량의 옵셋 충돌시 프론트 사이드부재(130)의 일측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이 타측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에 비해 증가된다(도 3 참조). 이때, 타측의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가 중심부 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일측의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를 지지하므로, 프론트 사이드부재(130)의 강성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옵셋 충돌시 프론트 사이드부재(130)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이 프론트 사이드부재(130)의 양측으로 분산되면서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옵셋 충돌시 차체(100)의 전방측이 차체(100)의 실내공간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탑승객의 안전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pact load applied to one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130 during an offset collision of the vehicl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impact load applied to the other side (see FIG. 3). At this time, since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 on the other side supports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on one side in a state inclined toward the center, the rigidity of the front side member 130 can be further increased. Accordingly, the shock load applied to the front side member 130 during an offset collision of the vehicle may be absorbed while being distribut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member 13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100 from being pushe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ody 100 during an offset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by further secur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

또한, 차량의 스몰 오버랩 충돌시 오버랩폴(B3)이 프론트 사이드부재(130)의 선단부(133a)를 회피한 후 프론트 사이드부재(130)의 측면부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되므로(slid by), 차체(100)의 충격 하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오버랩폴(B3)에 의한 충격 하중이 프론트 사이드부재(130)의 선단부(133a)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장 가혹한 시험인 스몰 오버랩 충돌시에도 차체(100)의 전방측이 차체(100)의 실내공간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verlap pole B3 avoids the front end portion 133a of the front side member 130 during a small overlap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hen slides along the side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130 (slid by), the vehicle body ( 100)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impact load (see Fig. 4).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pact load caused by the overlap pole (B3) from being applied to the front end portion (133a) of the front side member 130,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100 is the vehicle body even in the case of a small overlap collision, which is the most severe test. It can prevent from being pushed into the indoor space of (100).

프론트 사이드부재(130)는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131) 및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를 포함한다.The front side member 130 includes a front side extension 131 and a front side slope 133.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131)는 사이드실부(120)에서 차체(100)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연장된다.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131)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연장되므로,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131)에서 충격 하중의 전달방향이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변경되게 된다. 또한,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연장된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131)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131)에서 충격 하중이 완충된 후 사이드실부(120)와 바텀 플로어부(110)에 분산되므로, 차체(100)가 실내공간(탑승자의 탑승공간)을 침범하도록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front side extension part 131 extends inclined or rounded from the side seal part 120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0. Since the front side extension 131 extends inclined or rounded,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impact load in the front side extension 131 is changed to be inclined or rounded. In addition, the front side extension 131 extending to be inclined or rounded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herefore, after the shock load is buffered in the front side extension part 131, it is distributed to the side seal part 120 and the bottom floor part 110, so that the vehicle body 100 is damaged or damaged to invade the interior space (the passenger's boarding space). It can mitigate deformation.

또한,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131)는 차체(100)의 전방측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131)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차륜(20)의 직경이 증가됨에 따라 차륜(20)의 구동축이 높아지더라도 차륜(20)의 구동축이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131)에 충분히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side extension 131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100. Since the front side extension part 131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even if the drive shaft of the wheel 20 increases as the diameter of the wheel 20 increases, the drive shaft of the wheel 20 is sufficient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extension part 131 Can be.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는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131)에서 차체(100)의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의 전방측 단부에는 범퍼빔(137)이 설치된다.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100 from the front side extension portion 131. A bumper beam 137 is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가 차량의 전방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의 정면 충돌시 및 옵셋 충돌시,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가 사다리꼴 형태로 차체(100)의 전방측을 지지하므로,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가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름지면서 무너지는 압괴 현상(stable collapse)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정면 충돌시 및 옵셋 충돌시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에서 충격 하중의 흡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is disposed in a form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Therefore, during a frontal collision and an offset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supports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100 in a trapezoidal shape, so that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is sequentially corruga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It can lead to stable collaps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impact load at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during a frontal collision and an offset collision of the vehicle.

프론트 사이드부재(130)는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를 연결하도록 차체(1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프론트 크로스부(135)를 더 포함한다. 프론트 크로스부(135)는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를 연결하도록 차체(1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프론트 크로스부(135)는 범퍼빔(137)과 바텀 플로어부(110)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The front side member 130 further includes a front cross portion 135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0 to connect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The front cross portion 135 is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0 to connect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The front cross part 135 is disposed between the bumper beam 137 and the end of the bottom floor part 110.

프론트 크로스부(135)가 양측의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를 연결하므로, 차체(100)의 전방측이 대략 "A"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정면 충돌시 및 옵셋 충돌시 일측의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이 프론트 크로스부(135)를 통해 타측의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옵셋 충돌시에도 양측의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에 충격 하중이 분산되므로, 차량의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Since the front cross portion 135 connects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s 133 on both sides,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100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A" shape. Accordingly, an impact load applied to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on one side during a frontal collision and offset collision of the vehicle may be transmitted to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on the other side through the front cross portion 135. That is, even in the case of an offset collision of the vehicle, since the impact load is distributed to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s 133 on both sides,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can be further secured.

또한, 프론트 크로스부(135)가 양측의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를 지지하므로, 프론트 크로스부(135)가 차량의 정면 충돌시와 옵셋 충돌시에 양측의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체(100)의 전방 강성이 더욱 보강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cross portion 135 supports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s 133 on both sides, the front cross portion 135 is divided into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s 133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during a frontal collision and an offset collision.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the front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100 may be further reinforced.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의 선단부(133a) 사이의 거리는 차체(100)의 폭방향 길이(L)의 50% 이하로 형성된다(도 4 참조). 따라서, 차량의 스몰 오버랩 충돌시 오버랩폴(B3)이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0)의 선단부(133a)를 회피한 후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의 측면부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되므로, 차체(100)의 충격 하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오버랩폴(B3)에 의한 충격 하중이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의 선단부(133a)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장 가혹한 시험인 스몰 오버랩 충돌시에도 차체(100)의 전방측이 차체(100)의 실내공간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portions 133a of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s 133 is formed to be 50% or less of the length 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0 (see FIG. 4). Therefore, in the event of a small overlap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overlap pole B3 is moved while sliding along the side portion of the front side slope portion 133 after avoiding the front end portion 133a of the front side slope portion 130, so that the vehicle body 100 The impact load of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pact load from the overlap pole (B3) from being applied to the front end portion (133a) of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100 is also in the case of a small overlap collision, which is the most severe tes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body 100 from being pushed into the interior space.

또한,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131)의 폭(t3)은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의 폭(t1,t2)보다 넓게 형성된다.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의 폭(t1,t2)은 선단부(133a)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된다(t1<t2). 따라서,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의 강성은 선단부(133a)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므로, 차량의 전방충돌시 및 옵셋 충돌시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순차적으로 붕괴되면서 압괴될 수 있다.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가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압괴되므로,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에서 충격 흡수 성능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의 강성이 후방측으로 갈수록 증가되므로, 차량의 스몰 오버랩 충돌시 오버랩폴(B3)이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133)에서 외측으로 튕겨나갈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t3 of the front side extension portion 131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s t1 and t2 of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The widths t1 and t2 of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are gradually wider from the front end portion 133a to the rear side (t1<t2). Therefore, the stiffness of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end portion 133a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collapses sequentially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during a front collision and an offset collision of the vehicle. It can be crushed. Since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is sequentially crus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in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stiffness of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increases toward the rear side, the overlap pole B3 may bounce outward from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133 when a vehicle has a small overlap collision. Therefore, the impact load applied to the vehicle can be further reduced.

바텀 플로어부(110)는 마운트 패널부(111)와 플로어 패널부(113)를 포함한다.The bottom floor unit 110 includes a mount panel unit 111 and a floor panel unit 113.

마운트 패널부(111)에는 배터리팩(140)이 탑재되고, 마운트 패널부(111)는 사이드실부(120)에 결합된다. 마운트 패널부(111)는 바텀 플로어부(110)의 하면을 이룬다. 플로어 패널부(113)는 배터리팩(140)의 상측에 배치되고, 사이드실부(120)에 결합된다. 마운트 패널부(111)와 플로어 패널부(113)가 사이드실부(120)에 결합되므로, 사이드실부(120)에 전달되는 충격 하중이 마운트 패널부(111)와 플로어 패널부(113)에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실부(120)가 충격 하중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ttery pack 140 is mounted on the mount panel part 111, and the mount panel part 111 is coupled to the side seal part 120. The mount panel part 111 forms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floor part 110. The floor panel unit 113 is disposed above the battery pack 140 and is coupled to the side seal unit 120. Since the mount panel portion 111 and the floor panel portion 113 are coupled to the side seal portion 120, the impact load transmitted to the side seal portion 120 is distributed to the mount panel portion 111 and the floor panel portion 113. I ca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de seal part 120 from being redu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impact load.

사이드실부(120)는 사이드빔(121)과 보강빔(126)을 포함한다.The side seal part 120 includes a side beam 121 and a reinforcing beam 126.

사이드빔(121)은 마운트 패널부(111)의 양측 에지부(113a)에 안착되고, 마운트 패널부(111)와 플로어 패널부(113)에 결합된다. 사이드빔(121)의 단면은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빔(121)이 마운트 패널부(111)의 에지부(113a)에 안착되므로, 사이드빔(121)이 마운트 패널부(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빔(121)과 마운트 패널부(111)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므로, 자동차용 차체(100)의 강성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The side beams 121 are seated on both edge portions 113a of the mount panel portion 111 and are coupled to the mount panel portion 111 and the floor panel portion 113. The cross section of the side beam 121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Since the side beam 121 is seated on the edge portion 113a of the mount panel portion 111, the side beam 121 may be supported by the mount panel portion 111. Accordingly,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ide beam 121 and the mount panel 111 is increased, the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100 for a vehicle may be further increased.

보강빔(126)은 사이드빔(121)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사이드빔(121)의 내부에 배치된다. 보강빔(126)은 사이드빔(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보강빔(126)이 사이드빔(121)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사이드빔(121)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차체(100)의 폭방향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바텀 플로어부(12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바텀 플로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운팅부재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마운팅부재의 설치가 생략됨에 따라 배터리팩(140)의 설치 공간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The reinforcing beam 126 is disposed inside the side beam 121 to support the inner side of the side beam 121. The reinforcing beam 126 is disposed elonga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ide beam 121. Since the reinforcing beam 126 is installed inside the side beam 121 to support the inner side of the side beam 121, the stiffnes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0 may be reinforced. In addit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ttom floor unit 120, a mounting member may not b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floor unit 110. In addition, as the installation of the mounting member is omitte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battery pack 140 may be increased.

사이드실부(120)는 마운트 패널부(111)의 에지부(113a), 사이드빔(121) 및 보강빔(126)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체결부재(129)를 더 포함한다. 체결부재(129)는 사이드실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체결부재(129)가 마운트 패널부(111)의 에지부(113a), 사이드빔(121) 및 보강빔(126)을 한꺼번에 결합시키므로, 자동차용 차체의 강성이 더욱 보강되고, 사이드실부(120)에 전달되는 충격 하중이 보다 넓게 분산될 수 있다.The side seal part 120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member 129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edge part 113a, the side beam 121 and the reinforcing beam 126 of the mount panel part 111.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29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seal part 120. Since the fastening member 129 couples the edge portion 113a, the side beam 121 and the reinforcing beam 126 of the mount panel portion 111 together, the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is further reinforced, and the side seal portion 120 The impact load transmitted to the can be distributed more widely.

사이드빔(121)은 이너 사이드빔(122)과 아우터 사이드빔(123)을 포함한다.The side beam 121 includes an inner side beam 122 and an outer side beam 123.

이너 사이드빔(122)은 마운트 패널부(111)의 에지부(113a)에 안착되고, "ㄷ"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아우터 사이드빔(123)은 이너 사이드빔(122)의 외측에 배치되고, 이너 사이드빔(122)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ㄷ"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이너 사이드빔(122)에 용접된다. 이너 사이드빔(122)의 개구부와 아우터 사이드빔(123)의 개구부에는 용접 편의성을 확보하도록 용접 플랜지부(124)가 형성된다. 용접 플랜지부(124)는 사이드빔(121)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다. 이너 사이드빔(122)과 아우터 사이드빔(123)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 용접되고, 내부에 이너 사이드빔(122)과 아우터 사이드빔(123)을 지지하도록 보강빔(126)이 설치되므로, 사이드빔(121)의 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e inner side beam 122 is seated on the edge portion 113a of the mount panel portion 111 and has a cross section of a "c" shape. The outer side beam 123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side beam 122 and has a cross section of a "c" shape so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inner side beam 122 and is welded to the inner side beam 122. A welding flange portion 124 is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inner side beam 122 and the opening of the outer side beam 123 to secure welding convenience. The welding flange portion 124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ide beam 121. Since the inner side beam 122 and the outer side beam 123 are welded in a butted state, and a reinforcing beam 126 is installed to support the inner side beam 122 and the outer side beam 123, the side The rigidity of the beam 121 may be further improved.

보강빔(126)은 "ㄷ" 형태로 형성되고, 보강빔(126)의 양단부는 사이드빔(121)의 내측 벽면을 지지하고, 보강빔(126)의 중심부 측은 사이드빔(121)의 외측 벽면을 지지한다. 보강빔(126)의 개구부 측의 양단부는 사이드빔(121)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도록 밀착리브(127)가 형성된다. 밀착리브(127)와 사이드빔(121)의 중심부 측은 용접이나 체결볼트 등에 의해 사이드빔(121)에 고정될 수 있다. 보강빔(126)의 폐쇄된 중심부 측이 사이드빔(121)의 외측 벽면을 지지하므로, 차체(100)의 측면 충돌시 차체(100)가 폭방향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reinforcing beam 126 is formed in a "c" shape,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eam 126 suppor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ide beam 121, and the central side of the reinforcing beam 126 is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ide beam 121 Support. Close contact ribs 127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opening side of the reinforcing beam 126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ide beam 121. The center side of the contact rib 127 and the side beam 121 may be fixed to the side beam 121 by welding or fastening bolts. Since the closed center side of the reinforcing beam 126 supports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ide beam 121, the vehicle body 100 may increase the stiffness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vehicle body 100 collides with the side.

배터리팩(140)은 제1 배터리팩부(141), 제2 배터리팩부(142) 및 제3 배터리팩부(143)를 포함한다.The battery pack 140 includes a first battery pack part 141, a second battery pack part 142, and a third battery pack part 143.

제1 배터리팩부(141)는 바텀 플로어부(110)의 후방측에 차체(1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2 배터리팩부(142)는 바텀 플로어부(110)의 폭방향 중심부에 바텀 플로어부(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3 배터리팩부(143)는 바텀 플로어부(110)에서 제1 배터리팩부(141)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바텀 플로어부(110)와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3 배터리팩부(143)는 제2 배터리팩부(142) 보다 높게 적층되고, 제1 배터리팩부(141)는 제3 배터리팩부(143) 보다 높게 적층된다. 제1 배터리팩부(141), 제2 배터리팩부(142) 및 제3 배터리팩부(143)는 복수 층의 배터리가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텀 플로어부(110)에서 제1 배터리팩부(141), 제2 배터리팩부(142) 및 제3 배터리팩부(143)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는 제2 배터리팩부(142)보다 낮은 높이의 제4 배터리팩부(144)가 설치된다. The first battery pack part 141 i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0 on the rear side of the bottom floor part 110. The second battery pack part 142 is arrang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ttom floor part 110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floor part 110. The third battery pack unit 143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battery pack unit 141 in the bottom floor unit 110 and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floor unit 110. The third battery pack unit 143 is stacked higher than the second battery pack unit 142, and the first battery pack unit 141 is stacked higher than the third battery pack unit 143. The first battery pack part 141, the second battery pack part 142, and the third battery pack part 143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ayers of batteries. A fourth battery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battery pack unit 142 in the bottom floor unit 110 where the first battery pack unit 141, the second battery pack unit 142, and the third battery pack unit 143 are not installed. The pack part 144 is installed.

제1 배터리팩부(141)는 공간적으로 가장 여유가 있는 연료탱크의 상측 공간에 배치된다. 제2 배터리팩부(142)는 탑승자의 발이 위치되지 않는 부분을 회피하여 배치된다. 제2 배터리팩부(142)는 동력전달 샤프트(미도시)가 통과하는 공간인 터널부(미도시)를 활용하여 배치된다. 제3 배터리팩부(143)는 전방좌석 하측의 여유 공간에 배치된다. 바텀 플로어부(110)에서 제1 배터리팩부(141), 제2 배터리팩부(142) 및 제3 배터리팩부(143)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탑승자의 발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차체(100)에서 여유 있는 공간을 활용하여 제1 배터리팩부(141), 제2 배터리팩부(142) 및 제3 배터리팩부(143)를 배치시키므로, 배터리팩(140)의 설치 용량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140)의 설치 용량이 증가됨에 따라 전기차의 주행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다.The first battery pack part 141 is disposed in the upper space of the fuel tank having the most space. The second battery pack unit 142 is disposed to avoid a portion where the passenger's foot is not located. The second battery pack part 142 is disposed using a tunnel part (not shown), which is a space through which a power transmission shaft (not shown) passes. The third battery pack part 143 is disposed in a free space below the front seat. A portion of the bottom floor unit 110 in which the first battery pack unit 141, the second battery pack unit 142, and the third battery pack unit 143 are not installed is a part where the passenger's foot is located. Since the first battery pack part 141, the second battery pack part 142, and the third battery pack part 143 are disposed using the space available in the vehicle body 100, the installation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140 will be significantly increased. I can. In addition, as the installation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140 increases, the driving distance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extend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0: 차체 110: 바텀 플로어부
111: 마운트 패널부 113: 플로어 패널부
113a: 에지부 120: 사이드실부
121: 사이드빔 122: 이너 사이드빔
123: 아우터 사이드빔 124: 용접 플랜지부
126: 보강빔 127: 밀착리브
129: 체결부재 130: 프론트 사이드부재
131: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 133: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
135: 프론트 크로스부 137: 범퍼빔
140: 배터리팩 141: 제1 배터리팩부
142: 제2 배터리팩부 143: 제3 배터리팩부
144: 제4 배터리팩부 B1: 정면 충돌 장벽
B2: 옵셋 장벽 B3: 오프셋폴
100: body 110: bottom floor
111: mount panel portion 113: floor panel portion
113a: edge portion 120: side seal portion
121: side beam 122: inner side beam
123: outer side beam 124: welding flange portion
126: reinforcing beam 127: contact rib
129: fastening member 130: front side member
131: front side extension 133: front side slope
135: front cross part 137: bumper beam
140: battery pack 141: first battery pack unit
142: second battery pack unit 143: third battery pack unit
144: fourth battery pack part B1: frontal collision barrier
B2: Offset barrier B3: Offset pole

Claims (12)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텀 플로어부;
상기 바텀 플로어부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바텀 플로어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바텀 플로어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실부; 및
상기 사이드실부의 전방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실부 사이의 거리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차체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프론트 사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플로어부는,
배터리팩이 탑재되고, 상기 사이드실부에 결합되는 마운트 패널부; 및
상기 배터리팩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실부에 결합되는 플로어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실부는,
상기 마운트 패널부의 에지부에 안착되고, 상기 마운트 패널부와 상기 플로어 패널부에 결합되는 사이드빔; 및
상기 사이드빔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사이드빔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빔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실부는 상기 마운트 패널부의 에지부, 상기 사이드빔 및 상기 보강빔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빔은 "ㄷ"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빔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빔의 내측 벽면을 지지하고,
상기 보강빔의 중심부 측은 상기 사이드빔의 외측 벽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
A bottom floor portion disposed under the vehicle body;
Side seal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floo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ttom floor por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ttom floor portion; And
A front side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ide seal portion, each formed to have a width narrow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seal portions, and disposed at an inclined manner so as to be gathered toward a central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bottom floor part,
A mount panel portion on which a battery pack is mounted and coupled to the side seal portion; And
A floor panel par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ttery pack and coupled to the side seal part,
The side seal portion,
A side beam mounted on an edge portion of the mount panel portion and coupled to the mount panel portion and the floor panel portion; And
It includes a reinforcing beam disposed inside the side beam to support the inner side of the side beam,
The side seal portion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member installed to penetrate the edge portion of the mount panel portion, the side beam and the reinforcing beam,
The reinforcing beam is formed in a "c" shape,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eam suppor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ide beam,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side of the reinforcing beam supports an outer wall surface of the side bea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부재는,
상기 사이드실부에서 상기 차체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 및
상기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에서 상기 차체의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side member,
A front side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seal portion toward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nd a front side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front side extension portion to a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부재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프론트 크로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side member,
And a front cross portion disposed along a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o connect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차체의 폭방향 길이의 5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
The method of claim 3,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s of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s is formed to be less than 50% of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연장부의 폭은 상기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vehicle bod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front side extension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경사부의 폭은 선단부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
The method of claim 5,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front side inclined portion is formed gradually wider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바텀 플로어부의 후방측에 상기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배터리팩부;
상기 바텀 플로어부의 폭방향 중심부에 상기 바텀 플로어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2 배터리팩부; 및
상기 바텀 플로어부에서 상기 제1 배터리팩부의 전방측 배치되고, 상기 제1 배터리팩부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3 배터리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pack,
A first battery pack part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on a rear side of the bottom floor part;
A second battery pack part arrang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ttom floor part in a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floor part; And
And a third battery pack part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battery pack part on the bottom floor part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attery pack par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터리팩부는 상기 제2 배터리팩부 보다 높게 적층되고,
상기 제1 배터리팩부는 상기 제3 배터리팩부 보다 높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체.
The method of claim 11,
The third battery pack part is stacked higher than the second battery pack part,
The vehicle bod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attery pack portion is stacked higher than the third battery pack portion.
KR1020180172574A 2018-12-28 2018-12-28 Vehicle body for vehicle KR102166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74A KR102166594B1 (en) 2018-12-28 2018-12-28 Vehicle bod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74A KR102166594B1 (en) 2018-12-28 2018-12-28 Vehicle body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206A KR20200082206A (en) 2020-07-08
KR102166594B1 true KR102166594B1 (en) 2020-10-16

Family

ID=7160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574A KR102166594B1 (en) 2018-12-28 2018-12-28 Vehicle body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5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165A (en)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쎄보모빌리티 Body frame for micro electric c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150957A1 (en) * 2021-07-16 2023-01-17 Nat Electric Vehicle Sweden Ab Structural Rechargeable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1862A (en) * 2001-10-16 2003-07-09 Toyota Motor Corp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2017193287A (en) * 2016-04-21 2017-10-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Battery-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477Y2 (en) * 1990-08-07 1997-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Suspension mounting structure
KR101273080B1 (en) * 2011-07-21 2013-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Mounting structure for battery in electric vehicle
KR101947831B1 (en) * 2012-06-14 2019-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igh voltage battery pack for vehicle
US9849914B2 (en) * 2016-03-24 2017-12-26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Front body structure of a vehicle for enhanced crash prot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1862A (en) * 2001-10-16 2003-07-09 Toyota Motor Corp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2017193287A (en) * 2016-04-21 2017-10-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Battery-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165A (en)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쎄보모빌리티 Body frame for micro electric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206A (en)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04557B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CN109204496B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KR102673165B1 (en) Downward Movement Space Type 2attery Pack Mounting Module
WO2013121890A1 (en) Vehicle body bottom structure
KR101565981B1 (en) Floor panel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N109204465B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WO2006092971A1 (en) Structure of vehicle end section
CN109204505B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CN114228833B (en) Energy absorption structure for small offset collision of automobile and automobile
CN109204567B (en) Electric automobile and body structure thereof
US20230264758A1 (en) Floor Structure for a Body of a Vehicle, Body for a Vehicle, and Vehicle
KR102166594B1 (en) Vehicle body for vehicle
KR102371247B1 (en) Under body for electric vehicle
CN109204462B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JPH0781623A (en) Floor structure for electric automobile
CN109204470B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CN109204493B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JP7329684B2 (en) Electric vehicle floor structure
KR102446656B1 (en) Side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CN109204509B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US20230311795A1 (en) Vehicle
WO2024016514A1 (en) Front cabin and vehicle
CN109204530B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CN114954676B (en) Front cabin structure of vehicle and vehicle
KR20240093636A (en) Car body underbody structure and side sil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