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293B1 - 이미지 촬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촬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8293B1 KR102158293B1 KR1020130105938A KR20130105938A KR102158293B1 KR 102158293 B1 KR102158293 B1 KR 102158293B1 KR 1020130105938 A KR1020130105938 A KR 1020130105938A KR 20130105938 A KR20130105938 A KR 20130105938A KR 102158293 B1 KR102158293 B1 KR 1021582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device
- touch
- focusing
- touch event
- user inte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또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블록 구성도;
도 3a내지 도 3c는 일반 촬영에서의 포커싱 레벨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야간 촬영에서의 포커싱 레벨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제1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제2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제1동영상의 제1대상물과 상기 제2동영상의 제2대상물이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의 거리가 기준거리 이상이라는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2동영상의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제1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1터치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자동 포커싱 화면과 함께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여기에서 상기 자동 포커싱 화면은 상기 제2동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보다 작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는 상기 제2동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제2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제2터치 이벤트에 따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영상의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이 기 저장된 특정 단계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터치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탭(tab) 동작, 탭 앤 홀드(tab and hold) 동작, 및 다중 탭(multi tab)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제1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제2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여기에서 상기 제1동영상의 제1대상물과 상기 제2동영상의 제2대상물이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의 거리가 기준거리 이상이고; 상기 제2동영상의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제1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1터치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자동 포커싱 화면과 함께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여기에서 상기 자동 포커싱 화면은 상기 제2동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보다 작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는 상기 제2동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제2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제2터치 이벤트에 따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영상의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이 기 저장된 특정 단계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터치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탭(tab) 동작, 탭 앤 홀드(tab and hold) 동작, 및 다중 탭(multi tab)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제1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제2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여기에서 상기 제1동영상의 제1대상물은 상기 제2동영상의 제2대상물과 다르며; 상기 제2동영상의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제1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1터치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자동 포커싱 화면과 함께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여기에서 상기 자동 포커싱 화면은 상기 제2동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보다 작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는 상기 제2동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제2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제2터치 이벤트에 따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영상의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이 기 저장된 특정 단계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터치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탭(tab) 동작, 탭 앤 홀드(tab and hold) 동작, 및 다중 탭(multi tab)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300, 400: 배경이미지 320, 410: 포커싱 화면
330, 420: 포커싱 레벨 오브젝트
Claims (20)
-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이미지의 제1영역에 대한 제1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1터치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자동 포커싱 화면과 함께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제2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제2터치 이벤트에 따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이 기 저장된 특정 단계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터치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탭(tab) 동작, 탭 앤 홀드(tab and hold) 동작, 및 다중 탭(multi tab)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이동 거리와 대응하는 상기 포커싱 레벨을 단계별로 대응시켜 저장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포커싱 화면은 상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화면보다 작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는 상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 이벤트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탭(tab) 동작, 플리킹(flicking) 동작,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동작, 탭 앤 홀드(tab and hold) 동작, 다중 탭(multi tab)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상기 자동 포커싱 화면은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최적의 포커싱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VCM(Voice Coil Motor) 방식, 피에조(piezo) 방식, liquid 렌즈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를 이동하거나 전기적 특성에 의한 물성 변화에 따라 상기 포커싱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이미지의 제1영역에 대한 제1터치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제1터치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자동 포커싱 화면과 함께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제2터치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제2터치 이벤트에 따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을 기 저장된 특정 단계로 이동하며,
상기 제2터치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탭(tab) 동작, 탭 앤 홀드(tab and hold) 동작, 및 다중 탭(multi tab)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이동 거리와 대응하는 상기 포커싱 레벨을 단계별로 대응시켜 저장하는 전자 장치.
- 삭제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동 포커싱 화면을 상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화면보다 작게 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상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탭(tab) 동작, 플리킹(flicking) 동작,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동작, 탭 앤 홀드(tab and hold) 동작, 다중 탭(multi tab)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상기 제1터치 이벤트로 감지하는 전자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상기 자동 포커싱 화면을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최적의 포커싱을 적용하는 전자 장치.
- 삭제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VCM(Voice Coil Motor) 방식, 피에조(piezo) 방식, liquid 렌즈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를 이동하거나 전기적 특성에 의한 물성 변화에 따라 상기 포커싱 레벨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제1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제2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제1동영상의 제1대상물과 상기 제2동영상의 제2대상물이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의 거리가 기준거리 이상이라는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2동영상의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제1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1터치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자동 포커싱 화면과 함께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여기에서 상기 자동 포커싱 화면은 상기 제2동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보다 작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는 상기 제2동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제2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제2터치 이벤트에 따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영상의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이 기 저장된 특정 단계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터치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탭(tab) 동작, 탭 앤 홀드(tab and hold) 동작, 및 다중 탭(multi tab)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제1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제2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여기에서 상기 제1동영상의 제1대상물과 상기 제2동영상의 제2대상물이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의 거리가 기준거리 이상이고;
상기 제2동영상의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제1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1터치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자동 포커싱 화면과 함께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여기에서 상기 자동 포커싱 화면은 상기 제2동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보다 작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는 상기 제2동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제2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제2터치 이벤트에 따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영상의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이 기 저장된 특정 단계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터치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탭(tab) 동작, 탭 앤 홀드(tab and hold) 동작, 및 다중 탭(multi tab)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제1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제2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여기에서 상기 제1동영상의 제1대상물은 상기 제2동영상의 제2대상물과 다르며;
상기 제2동영상의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제1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1터치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자동 포커싱 화면과 함께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여기에서 상기 자동 포커싱 화면은 상기 제2동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보다 작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는 상기 제2동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제2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제2터치 이벤트에 따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영상의 상기 제2대상물에 대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의 포커싱 레벨이 기 저장된 특정 단계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터치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탭(tab) 동작, 탭 앤 홀드(tab and hold) 동작, 및 다중 탭(multi tab)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 1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non-transient)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5938A KR102158293B1 (ko) | 2013-09-04 | 2013-09-04 | 이미지 촬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5938A KR102158293B1 (ko) | 2013-09-04 | 2013-09-04 | 이미지 촬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7502A KR20150027502A (ko) | 2015-03-12 |
KR102158293B1 true KR102158293B1 (ko) | 2020-09-21 |
Family
ID=5302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5938A Expired - Fee Related KR102158293B1 (ko) | 2013-09-04 | 2013-09-04 | 이미지 촬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829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61541A1 (zh) * | 2020-09-22 | 2022-03-31 |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 控制方法、手持云台、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22618A (ja) * | 2005-02-09 | 2006-08-24 | Casio Comput Co Ltd | カメラ装置、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音声制御方法 |
JP2010237911A (ja) * | 2009-03-31 | 2010-10-21 | Sanyo Electric Co Ltd | 電子機器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9171B1 (ko) * | 2010-10-11 | 2016-1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방법 |
KR101663225B1 (ko) * | 2010-01-19 | 2016-10-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
-
2013
- 2013-09-04 KR KR1020130105938A patent/KR10215829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22618A (ja) * | 2005-02-09 | 2006-08-24 | Casio Comput Co Ltd | カメラ装置、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音声制御方法 |
JP2010237911A (ja) * | 2009-03-31 | 2010-10-21 | Sanyo Electric Co Ltd | 電子機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7502A (ko) | 2015-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5268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ing fingerprint information | |
EP3695300B1 (en) | Managing and mapping multi-sided touch | |
EP2975838B1 (en) | Image shooting parameter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 |
US10001910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or creating shortcut of executing application | |
EP3163404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accidental touch of terminal with touch screen | |
US20150301595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eye-gaze input method | |
US2015027772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Operating Modes of an Electronic Device | |
KR102187236B1 (ko) | 프리뷰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 |
KR102075117B1 (ko) |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
EP3232301B1 (en) | Mobile terminal and virtual key processing method | |
US20210165670A1 (en) | Method, apparatus for adding shortcut plug-in, and intelligent device | |
KR20150045637A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EP3182256B1 (en) | Touch control button, touch control panel and touch control terminal | |
KR102125525B1 (ko) |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JP7244231B2 (ja) |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 |
KR102203131B1 (ko) | 파일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US20150042589A1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nnection | |
KR102185204B1 (ko) | 적외선을 이용한 센서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158293B1 (ko) | 이미지 촬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WO2017035794A1 (zh) | 显示器操作的方法、装置、用户界面及存储介质 | |
US20160154566A1 (en) | Adaptive running mode | |
KR102120449B1 (ko) |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150026395A (ko) | 이미지 촬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190055871A (ko) |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어방법 | |
JP2020017218A (ja) |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