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417B1 - 난간시스템 - Google Patents
난간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7417B1 KR102157417B1 KR1020180024607A KR20180024607A KR102157417B1 KR 102157417 B1 KR102157417 B1 KR 102157417B1 KR 1020180024607 A KR1020180024607 A KR 1020180024607A KR 20180024607 A KR20180024607 A KR 20180024607A KR 102157417 B1 KR102157417 B1 KR 1021574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ing
- main frame
- crossbar
- fixing
- rece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 E04H2017/1452—
-
- E04H2017/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난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면에 구축되어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난간지주, 상기 난간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와 상기 난간지주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가로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 및 목교는 교각 상단에 고정한 철제골조 위에 상판목을 얹어 시공되는 것으로서, H-빔(H-beam)으로 형성된 철제골조와 목재인 상판목 재질의 차이로 인하여 이를 연결 고정하기 위하여 철제골조와 상판목에 상호 일치되는 구멍을 뚫어 볼트로 체결하거나 또는 여러가지의 고정구를 사용하였었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을 할 때 많은 공구와 부품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고, 세월이 흘러 상판목이 훼손되었을 경우 상판목을 보수하는데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의 철제골조와 목재인 상판목이 접한 부문에 상호 재질의 차이로 인하여 밀착되지 못하고 중간 중간에 틈새가 벌어지게 되어 상기 틈새로 목재를 갉아 먹는 해충이 기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목교가 쉽게 파손되고 목교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철제골조와 상판목이 접한 부분이 그대로 노출되어 보이는 관계로 시각적으로 깔끔하지 못한 문제점이 생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경사진 지면에서도 난간의 설치가 용이한 난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면에 구축되어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난간지주, 상기 난간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와 상기 난간지주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가로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간지주는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측면부재, 상기 측면부재와 수직하게 위치하며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과 연결되는 보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면부재와 맞닿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게 위치하고 상기 보조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단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부재는 측면에 끼움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이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이 상기 끼움홀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 사이에 내입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로대와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가로대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도변환홀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을 연결하는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도변환홀은, 원형 또는 U형으로 형성되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각도변환홀의 상측에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는 반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후면 또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 다각형 형상의 보강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은 여러가지 각도로 가변이 가능한 결합부로 난간지주와 가로대 사이를 고정시킴으로써 경사진 지면에서도 난간지주와 가로대 사이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난간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로대와 결합된 난간지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V-V 선을 따라 결합부를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 따른 체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로대와 결합된 난간지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V-V 선을 따라 결합부를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 따른 체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로대와 결합된 난간지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1000)은 난간지주(300), 가로대(400) 및 결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난간시스템(1000)이 호수 등에 설치될 경우 철제골조(100) 및 바닥데크(2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난간시스템(1000)이 호수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철제골조(100)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철제골조(100)는 적어도 한 쌍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 지면으로부터 구축될 수 있다.
바닥데크(200)는 한 쌍의 철제골조(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바닥데크(200)는 원통형의 목재가 판재 형상으로 가공 처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즉, 바닥데크(200)는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로드(road)를 형성할 수 있다.
난간지주(300)는 지면으로부터 구축될 수 있으며 지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1000)은 호수
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1000)의 난간지주(300)는 적어도 한 쌍이 바닥데크(200)의 양측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난간지주(300)는 바닥데크(200)의 규격 즉 길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난간지주(300)는 로드(road)가 형성된 방향으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난간지주(300)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난간지주(300)는 철제와 목재가 접목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난간지주(300)는 자체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난간시스템(1000)에 전달되는 큰 충격이나 힘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다. 또한, 난간지주(300)는 외관이 목재로 자연환경에 어울리도록 설계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난간지주(300)는 중공부(320a)가 형성된 본체프레임(320), 본체프레임(320)의 외측에 결합되는 측면부재(340), 측면부재(340)와 수직하게 위치하는 보조부재(360) 및 연결부재(380)를 포함할 수 있다.
난간지주(300)의 골조를 이루는 본체프레임(320)은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321) 및 지지부(321)와 수직하게 위치하는 돌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21)는 본체프레임(320)과 본체프레임(320)의 외측에 결합되는 측면부재(3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321)는 본체프레임(320)으로부터 돌출되어 측면부재(340)에 맞닿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부(321)는 측면부재(340)를 지지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측면부재(340)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321)는 복수개가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22)는 지지부(321)와 수직하게 위치하며 보조부재(36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22)는 본체프레임(320)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22)는 단부에 삽입홀(322a)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22)는 본체프레임(3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320)의 양측에 위치한 돌출부(322)에 의하여 돌출부(322)와 본체프레임(320)의 사이에 끼움홈(320b)이 본체프레임(3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재(340)는 목재 재질이며 본체프레임(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본체프레임(32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측면부재(340)는 본체프레임(3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321)와 맞닿을 수 있다. 측면부재(340)는 본체프레임(320)의 외측에 결합되어 친환경적인 조화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측면부재(340)를 본체프레임(3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돌출부(322)의 내면에 복수개의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에 피스가 끼워지게 되면서 측면부재(340)를 본체프레임(320)의 외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스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측면부재(340)를 용접에 의하지 않고 피스로 고정시킴으로써 용접으로 인한 불량이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프레임(320)에 측면부재(3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부재(340)와 수직한 위치에 형성된 끼움홈(320b)에 보조부재(360) 및 결합부(500)가 될 수 있다. 이때, 보조부재(360)의 폭은 측면부재(34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재(360)는 목재 재질이며 끼움대(361) 및 끼움홀(362)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부재(360)는 '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프레임(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끼움대(361)의 일측은 돌출부(322) 사이에 끼워지면서 본체프레임(320)과 맞닿을 수 있다.
즉, 끼움대(361)는 끼움홈(320b)에 끼워지면서 끼움홀(362)의 위치는 돌출부(322)의 삽입부(322a)와 수직한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한편, 보조부재(360)은 본체프레임(320)과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연결부재(38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380)는 탄성 재질일 수 있으며 일측(381)이 본체프레임(320)의 삽입홀(322a)에 끼워지고 연결부재(380)의 타측(382)이 보조부재(360)의 끼움홀(362)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380)의 일측(381)과 타측(382)은 서로 직교하며 본체프레임(32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80)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80)는 보조부재(360) 및 본체프레임(320)과 더욱 밀착 고정될 수 있으며 보조부재(360)와 본체프레임(320) 간의 고정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가로대(400)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목재일 수 있으며, 결합부(500)를 매개로 난간지주(300)의 골조인 본체프레임(320)과 연결되면서 난간시스템(1000)이 이뤄질 수 있다. 가로대(400)가 결합부(500)를 매개로 난간지주(300)와 연결될 때, 발생되는 틈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부가 절개될 수도 있다. 즉, 가로대(400)는 난간지주(300)를 중심으로 경사져 연결될 수 있으며 가로대(400)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힘이 난간지주(300)에 전달될 수 있다.
결합부(500)는 돌출부(322) 사이에 내입되어 본체프레임(32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결합부(500)는 끼움홈(320b)에 내입될 수 있으며, 끼움홈(320b)에 끼워진 보조부재(360)와 인접한 보조부재(36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부(500)는 끼움홈(320b)에 내입된 상태에서 보조부재(360)에 의하여 상하로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결합부(5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V-V 선을 따라 결합부를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결합부(500)는 돌출부(322) 사이에 내입되어 본체프레임(320)에 연결되는 고정부(510) 및 가로대(400)와 결합하여 고정부(510)에 체결되는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510)는 고정대(511) 및 수용부(512)를 포함하며, 상술한 난간지주(300) 즉 본체프레임(320)의 끼움홈(320b)에 내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대(511)는 'U' 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U' 형 고정대(511)는 제1 고정대(511a) 및 제2 고정대(511b)로 나눠질 수 있으며 하측에 제3 고정대(511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320)에 고정대(511)를 피스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고정대(511a), 제2 고정대(511b) 및 제3 고정대(511c)에는 고정홀(h)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320)의 끼움홈(320b)에 고정대(511)를 내입시켜 고정시킬 때 제1 고정대(511a), 제2 고정대(511b) 및 제3 고정대(511c)에 의하여 힘이 분배되어 한쪽으로 처짐을 방지 할 수 있다. 고정대(511)는 본체프레임(320)의 끼움홈(320b)에 내입되어 끼움홈(320b)의 내면에 피스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510)는 체결부(520)를 수용하는 수용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부(512)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대(51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수용부(512)는 바닥부재(512a), 한 쌍의 판부재(512b) 및 전면부재(512c)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재(512a)는 판 형상으로 고정대(511)의 하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판부재(512b)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부재(512a)의 양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면부재(512c)는 만곡진 면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바닥부재(512a)와 한 쌍의 판부재(512b)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A)의 전방을 감싸면서 바닥부재(512a) 및 한 쌍의 판부재(512b)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면부재(512c)의 중앙부에는 각도변환홀(513) 및 절개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
각도변환홀(513)은 수용부(512)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각도변환홀(513)은 양측에는 수직하게 형성되되 아래측에는 만곡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U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520)는 각도변환홀(51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체결부(520)는 각도변환홀(513)의 원주면과 맞닿게 되고 각도변환홀(513) 내에서 각도가 변환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1000)은 여러가지 각도로 가변이 가능한 결합부(500)로 난간지주(300)와 가로대(400) 사이를 고정시킴으로써 경사진 지면에서도 난간지주(300)와 가로대(400) 사이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별도의 공구 없이도 난간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체결부(520)는 몸체부(521) 및 삽입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21)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대(4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512)의 수용공간(A)에 수용될 수 있다. 삽입부(522)는 몸체부(52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개의 나사산(522a)으로 이뤄질 수 있다. 삽입부(522)는 가로대(400)의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 따른 체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5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521')는 반 구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각형 형상의 보강편(523)이 몸체부(52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강편(523)은 몸체부(521')와 삽입부(5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편(523)은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체결부(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편(523)에 의해 체결부(50)는 가로대(400)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체결부(50)의 보강편(523)은 펜치와 같은 공구에 의해 가로대(400)에 회전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수용부(512)의 전면부재(512c)는 각도변환홀(513)이 형성되고, 각도변환홀(513)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도변환홀(513)의 상단에는 체결부(5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부(514)는 각도변환홀(513)의 상측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514)를 통하여 고정부(510)는 체결부(52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절개부(514)의 폭(t1)은 후술할 체결부(520)의 삽입부(522) 폭(t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522)가 절개부(514)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512)에 수용된 체결부(520)가 수용부(51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절개부(514)는 고정부(510)가 외력에 의해 오므라들거나 벌어질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0: 난간시스템
100: 철제골조 200: 바닥데크
300: 난간지주 320: 본체프레임
320a: 중공부 320b: 끼움홈
321: 지지부 322: 돌출부
322a: 삽입홀 340: 측면부재
360: 보조부재 361: 끼움대
362: 끼움홀 380: 연결부재
400: 가로대 500: 결합부
510: 고정부 511: 고정대
511a: 제1 고정대 511b: 제2 고정대
511c: 제3 고정대 512: 수용부
512a: 바닥부재 512b: 판부재
512c: 전면부재 513: 각도변환홀
514: 절개부 520,520": 체결부
521, 521': 몸체부 522: 삽입부
522a: 나사산 523: 보강편
100: 철제골조 200: 바닥데크
300: 난간지주 320: 본체프레임
320a: 중공부 320b: 끼움홈
321: 지지부 322: 돌출부
322a: 삽입홀 340: 측면부재
360: 보조부재 361: 끼움대
362: 끼움홀 380: 연결부재
400: 가로대 500: 결합부
510: 고정부 511: 고정대
511a: 제1 고정대 511b: 제2 고정대
511c: 제3 고정대 512: 수용부
512a: 바닥부재 512b: 판부재
512c: 전면부재 513: 각도변환홀
514: 절개부 520,520": 체결부
521, 521': 몸체부 522: 삽입부
522a: 나사산 523: 보강편
Claims (10)
- 지면에 구축되어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난간지주;
상기 난간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와 상기 난간지주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가로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난간지주는,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측면부재;
상기 측면부재와 수직하게 위치하며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과 연결되는 보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면부재와 맞닿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게 위치하고 상기 보조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난간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단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부재는 측면에 끼움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이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이 상기 끼움홀에 끼워지는 난간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 사이에 내입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로대와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난간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가로대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도변환홀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을 연결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난간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변환홀은,
원형 또는 U형으로 형성되는 난간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각도변환홀의 상측에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난간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난간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반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보강편이 형성되는 난간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4607A KR102157417B1 (ko) | 2018-02-28 | 2018-02-28 | 난간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4607A KR102157417B1 (ko) | 2018-02-28 | 2018-02-28 | 난간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3771A KR20190103771A (ko) | 2019-09-05 |
KR102157417B1 true KR102157417B1 (ko) | 2020-09-17 |
Family
ID=6794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4607A KR102157417B1 (ko) | 2018-02-28 | 2018-02-28 | 난간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741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9268B1 (ko) * | 2021-09-07 | 2022-09-01 | 주식회사 엘리스우드 | 각도 조절이 용이한 확장형 천연목재 모듈난간 |
KR102486824B1 (ko) * | 2021-12-03 | 2023-01-10 | 합자회사 세가온 | 경사지에 설치가 용이한 확장형 천연목재 난간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1527Y1 (ko) * | 2006-04-28 | 2006-07-14 | 더남마을 주식회사 |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
KR200467788Y1 (ko) * | 2011-01-25 | 2013-07-05 | 동림지앤텍(주) | 난간 고정구 |
-
2018
- 2018-02-28 KR KR1020180024607A patent/KR1021574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1527Y1 (ko) * | 2006-04-28 | 2006-07-14 | 더남마을 주식회사 |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
KR200467788Y1 (ko) * | 2011-01-25 | 2013-07-05 | 동림지앤텍(주) | 난간 고정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3771A (ko) | 2019-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7733B1 (ko) |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 |
KR102157417B1 (ko) | 난간시스템 | |
KR101702348B1 (ko) |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 |
JP6846098B2 (ja) |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 |
KR101385630B1 (ko) |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 |
KR20150088123A (ko) |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 | |
JP2007321499A (ja) | 木造軸組家屋の補強装置 | |
KR20220026192A (ko) | 조립식 타일 데크로드 구조체 | |
CA3113196A1 (en) | Support system for raised floors | |
KR101642110B1 (ko) | 탈형 데크 플레이트 | |
KR20150134852A (ko) | 목재 데크 구조물 | |
US20060016637A1 (en) | Elevated work platform | |
KR101663825B1 (ko) |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 |
KR102459395B1 (ko) |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 |
JP5270950B2 (ja) | 階段、階段用の踏板取付金具 | |
KR200497022Y1 (ko) | 벤치 | |
KR100642327B1 (ko) | 조립식 인공암벽 | |
KR102637555B1 (ko) | 유로폼용 조인트 바 | |
KR200152024Y1 (ko) | 가두리양식장 구축용 각재 | |
KR200346487Y1 (ko) | 선박벽체 공사용 족장판의 보조발판. | |
JP2005200907A (ja) | 接合用板金物およびこの接合用板金物を用いた柱と梁の接合方法 | |
JP3174807U (ja) | 木造建築の筋交いの補強構造及び筋交い交差部の固定金具 | |
CN109563710A (zh) | 改进的模板组件 | |
KR200196679Y1 (ko) | 거푸집지지용 스틸바 | |
JP2000253954A (ja) | 縁 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