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891B1 -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2891B1 KR102142891B1 KR1020180021327A KR20180021327A KR102142891B1 KR 102142891 B1 KR102142891 B1 KR 102142891B1 KR 1020180021327 A KR1020180021327 A KR 1020180021327A KR 20180021327 A KR20180021327 A KR 20180021327A KR 102142891 B1 KR102142891 B1 KR 1021428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onry wall
- wall
- connecting rod
- brick
- vertical connec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6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4 liqu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벽에 구비되어진 연결고리와 조적벽체에 구비되어진 벽돌연결판을 서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내벽과 조적벽체간의 결속력이 향상되고, 상기 조적벽체와 연결판 하측면에 구비된 하단돌기를 통해서 상기 조적벽체와 연결판의 직접적인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측 가장자리에 있는 결속부(210)가 체결되어지도록 양측단부에 제2 관통홀(112)가 형성된 내벽브라켓(100), 상기 결속부(210) 양측 후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며,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시프트로 구성된 수직연결봉(200), 상기 수직연결봉(200) 양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연결봉(20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 연결고리(300), 상기 연결고리(300)와 강선(40)이 삽입 고정되어지도록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벽돌연결판(400), 상기 벽돌연결판(400)과 조적벽체(30)가 서로 밀착되어지도록 PVC 재질로 구성된 고정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측 가장자리에 있는 결속부(210)가 체결되어지도록 양측단부에 제2 관통홀(112)가 형성된 내벽브라켓(100), 상기 결속부(210) 양측 후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며,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시프트로 구성된 수직연결봉(200), 상기 수직연결봉(200) 양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연결봉(20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 연결고리(300), 상기 연결고리(300)와 강선(40)이 삽입 고정되어지도록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벽돌연결판(400), 상기 벽돌연결판(400)과 조적벽체(30)가 서로 밀착되어지도록 PVC 재질로 구성된 고정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벽에 구비되어진 연결고리와 조적벽체에 구비되어진 벽돌연결판을 서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내벽과 조적벽체간의 결속력이 향상되어지고, 상기 조적벽체와 벽돌연결판 하측면에 구비된 하단돌기를 통해서 상기 조적벽체와 벽돌연결판의 직접적인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을 일정한 패턴으로 쌓아서 만드는 조적벽체는 상하부 벽돌을 길이방향으로 절반씩 어긋나게 쌓으면서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접하도록 되어 있으며, 작업현장으로 운반이 편리하고 취급이 간편하기 때문에 골조 공사 후 상하방향으로 내하중이 실리지 않는 벽체시공에 많이 적용되고 있고, 조적벽체의 표면에 홈을 파내거나 천공하는 작업이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간단하여 각종 배관을 간단히 매설할 수 있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조적벽체를 구성하는 조적벽돌과 내벽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경우 조적벽돌과 내벽을 직접 접합할 수 없기 때문에 내벽과 조적벽돌을 별도의 체결장치를 이용해서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적벽 체결장치에 관한 종래기술 1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69151 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 1은 수직연결봉(52, 54)에 형성된 환영걸림홈(52g, 54g)을 이용하여 내벽(20)에 체결된 벽면고정브래킷(30)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벽면고정브래킷(30)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절개부(32c, 34c)의 양단에 구비되고 누르거나 당기는 힘에 의해 탄성력을 갖고 활모양으로 쥐면서 잠금 또는 해체상태로 전환이 가능한 토글판스프링(70)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연결봉(52, 54)을 내벽(20)에 구비된 벽면고정브래킷(30)에 밀착하게 된다.
또한, 복수개로 구성된 조적벽돌(22) 상면에 구비된 벽돌연결판(40)은 수직연결봉(52, 54)하단부에 구비된 벽돌연결고리(50)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강선(27)을 수용하여 내벽(20)과, 조적벽돌(22)간의 결속력이 증대되어지도록 하기 위해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홈이 형성된 직선걸림홈(42)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은 수평방향으로 오목하게 홈이 형성된 직선걸림홈(42)에 상기 벽돌연결고리(50)와 강선을(27)을 수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강선(27)과 벽돌연결판(40)의 결속력이 증대되지 못함과 동시에 상기 강선(27)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벽돌연결고리(50)가 직선걸림홈(42)에 삽입 체결하기도 전에 상기 조적벽돌(22) 상단부에 구비된 벽돌연결판(40)이 서로 어긋나게 되어 상기 조적벽돌(22)과 벽돌연결판(40)이 밀착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조적벽 체결장치에 관한 종래기술 2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39996 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 2는 조적벽돌(20) 상부에 구비되어지고 전후방향으로 거리를 두어 대칭된 한 쌍의 강선고정부(30, 40)와, 상기 강선고정부(30, 40)에 좌우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강선(24, 26)이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이 있는 강선삽입홈(31, 41) 및 상기 강선삽입홈(31, 41)의 안쪽 벽에 형성되어 상기 강선(24, 26) 중간에 형성된 벤딩부(24b, 26b)가 걸리는 벤딩홈(31b, 41b)를 이용하여 상기 강선(24, 26)을 고정시키고, 쐐기(60) 상단부에 구비된 헤드부(62)의 측면에서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고리삽입구멍(64)과 상기 쐐기(60) 상면에 구비되되 상부개방형으로 형성된 걸림홈(66)에 내벽(28)에 구비된 벽돌연결고리(29)의 일측단(29a)과 타측단(29b)이 삽입되어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 2는 상기 벽돌연결고리(29)를 수용하기 위한 쐐기(60)의 형상이 상기 조적벽돌(20)에 형성된 벽돌구멍(22)의 직경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상기 쐐기(60)가 상기 벽돌구멍(22)에 삽입되어지지 않고 상기 벽돌구멍(22) 상단부에 걸쳐져 그에 따른 상기 조적벽돌(20)과 상기 벽돌연결고리(29)를 체결한 상기 쐐기(60)간의 결속이 저하되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해 상기 종래기술 2에 대한 상용화가 점차 감소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조적벽체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장치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연결고리와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패널을 통해서 내벽과 조적벽체간의 결속력이 증대되어지고, 조적벽체 홈에 대응되는 고정부재를 추가로 삽입하여 상기 조적벽체 상측면에 구비된 벽돌연결판이 조적벽체에 밀착 고정하는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측 가장자리에 있는 결속부(210)가 체결되어지도록 양측단부에 제2 관통홀(112)가 형성된 내벽브라켓(100); 상기 결속부(210) 양측 후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며,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수직연결봉으로 구성된 수직연결봉(200); 상기 수직연결봉(200) 양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연결봉(20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 연결고리(300); 상기 연결고리(300)와 강선(40)이 삽입 고정되어지도록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벽돌연결판(400); 상기 벽돌연결판(400)과 조적벽체(30)가 서로 밀착되어지도록 PVC 재질로 구성된 고정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연결봉(200)은 상기 연결고리(300) 후단부에 구비되며, 상측면이 개방되되 속이 빈 중공의 원통공으로 형성된 제1 수직연결봉(220)과, 하측면은 상기 제1 수직연결봉(221)의 내경에 삽입되어지고 상측면이 개방되되 속이 빈 중공의 원통공으로 형성된 제2 수직연결봉(230)과, 하측면은 상기 제2 수직연결봉(230)의 내경에 삽입되어지고 상측면 일측단부에는 상기 결속부(210)가 구비되어지는 제3 수직연결봉(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제3 수직연결봉(230, 240)의 외경에는 상기 제1, 제2 수직연결봉(220, 230)의 상측면 내경에 쉽게 삽탈이 가능하도록 제2, 제3 탄성부재(232, 242)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벽브라켓(100)에 구비된 제2 관통홀(112)에 탈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결속부(210)의 외주면에는 일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돌출부재(211)와, 상기 돌출부재(212) 일측에는 U자 형상으로 절개되어진 절개부(212)와, 상기 돌출부재(211) 상측단 외경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볼록하게 형성된 체결부재(2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는 하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된 제1 돌기부(410)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돌연결판(400) 상측면에는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복수개의 삽입홈(421)과, 상기 벽돌연결판(400) 상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복수개의 고정패널(422)이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500) 상측면에는 상기 조적벽체(30) 관통홀(31)에 형성된 수용홈(32)에 안착되어지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안착부재(510)와, 상기 제1 돌기부(410)가 삽입되어지도록 속이 빈 중공의 관통홀이 형성된 관통부재(511)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500) 하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하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돌기부(5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2 돌기부(520)는 상기 제1 돌기부(410)에 의해 가압 시 상기 조적벽체(30)의 관통홀(31)에 밀착되어지는 밀착부재(521)와, 상기 밀착부재(521) 외주면에 형성되되 일부 절개된 상태로 절개되어진 복수개의 절개부재(522)와, 상기 제1 돌기부(410)의 외주면을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5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공 방법은 내벽(10) 일측면에 구비되어진 단열재(20)에 사각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S100); 상기 단열재(20) 일측면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진 조적벽체(30) 상측면에 형성되어진 하나 이상의 관통홀(31)에 대응되는 고정부(500)를 삽입하는 단계(S200); 상기 고정부(500) 상측면에 구비된 관통부재(511)에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벽돌연결판(400)이 삽입되어지는 단계(S300); 상기 벽돌연결판(400) 삽입홈(421)에 강선(40)과 연결고리(300)가 삽입되어지는 단계(S400); 상기 내벽(10) 일측면에 설치된 내벽브라켓(100)에 연결고리(300)를 포함하는 수직연결봉(200)이 삽입 체결되어지는 단계(S500); 상기 사각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진 단열재(20)에 우레탄 폼(600)으로 마감처리 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는 상기 조적벽체(30)와 밀착되어지도록 점도가 낮은 액상의 고무풀(431)를 포함하는 보관부(430)가 더 포함되어지며, 상기 보관부(430)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돌기부(410)가 상기 관통부재(511)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조적벽체(30) 상측면에 구비되어진 제1 돌출부(34)가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 구비되어진 저장관체(430)를 손상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보관부(430)에 저장되어진 고무풀(431)이 외부로 유출되어 상기 벽돌연결판(400)과 상기 조적벽체(30)가 밀착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34)를 삽입되어지도록 하기위해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는 상기 제1 돌출부(34)와 대응되는 홈이 구비된 결합홈(432)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벽돌연결판에 내벽에 구비된 연결고리와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강선을 수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벤딩부에 수용된 연결고리와 강선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고정부재 하단부에는 일부 절개된 홈이 구비된 복수개의 밀착부재가 상기 돌기부에 의해 확장 개폐되어짐으로써,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는 조적벽체와 상기 돌기부를 포함하는 벽돌연결판이 밀착되어 직접적인 결속력이 증대되어지며, 상기 조적벽체가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상기 조적벽체 홈 내부에 구비된 감지부재는 상기 밀착부재가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조적벽체 홈에 밀착되어지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외부에서도 상기 조적벽체와 벽돌연결판이 밀착 고정되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봉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봉의 단면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부 양측단에 구비된 체결구를 확장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연결판의 상부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연결판에 연결고리 및 강선이 삽입되어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가 조적벽체에 삽입되어지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에 삽입되어진 고정부재와 벽돌연결판 하단부에 구비된 돌기부가 삽입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봉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봉의 단면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부 양측단에 구비된 체결구를 확장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연결판의 상부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연결판에 연결고리 및 강선이 삽입되어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가 조적벽체에 삽입되어지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에 삽입되어진 고정부재와 벽돌연결판 하단부에 구비된 돌기부가 삽입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는 외장을 이루는 조적벽체(30)와 그 내부에서 건물을 지탱해 주는 내벽(10)과, 상기 조적벽체(30)와 내벽(10)사이에는 단열성이 구비된 PVC 재질로 이루어진 단열재(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10)과 조적벽체(30)를 서로 이음결합하기 위해 연결고리(300)가 구비된 수직연결봉(200)과 상기 연결고리(300)와 강선(40)이 삽입 고정되어지도록 ∧형상으로 이루어진 벽돌연결판(400)과 상기 벽돌연결판(400)과 조적벽체(30)를 삽입하여 밀착되도록 하는 고정부(500)가 포함된 체결장치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내벽(10) 외측면에 구비되되 ㄷ형상으로 형성되어진 상기 내벽브라켓(100)은 상기 수직연결봉(200) 상단부 좌우측 가장자리에 있는 결속부(210)가 체결되어지도록 상기 내벽브라켓(100) 양측단부에 제2 관통홀(112)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내벽브라켓(100) 정면에는 상기 내벽(10)에 결합되어지도록 소정의 크기만큼 형성되어진 제1 관통홀(1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홀(111)에 나사부재(110)가 삽입되어 체결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으로 체결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봉(200)은 돌,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을 쌓아 올려 건물의 외장을 이룬 조적벽체(30)의 높이에 맞게 상기 결속부(210) 양측 후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지며 제1 수직연결봉(220), 제2 수직연결봉(230), 제3 수직연결봉(240)으로 구비되어진 수직연결봉(200)을 통해서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직연결봉(200)의 외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연결봉(200) 가장자리에 형성되어진 연결고리(300)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복수개의 삽입홈(421)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며, 자세한 내용을 추후에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수직연결봉(220)의 내경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와 소정의 길이만큼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되, 주름형식으로 형성되어진 제1 주름부(224)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연결봉(230)은 상기 제1 수직연결봉(220)의 제1 삽입홀(221)에 삽입되어지도록 상기 제1 수직연결봉(220)의 일측단부에 근접되어지고, 상기 제1 수직연결봉(220)의 내경에 구비되어진 제1 주름부(224)와 대응되며, 외경에는 내측으로 속이 빈 중공부를 포함하는 제2 탄성부재(232)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탄성부재(232)는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주름부(224)의 형상에 의해 탄성복원력을 갖고 활 모양으로 오목 또는 볼록 상태로 휘어짐으로써, 제1 수직연결봉(220)과 제2 수직연결봉(230)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진 조적벽체(30)의 높이에 따라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2 수직연결봉(220)의 내경에는 상기 제3 수직연결봉(240) 외주면에 구비되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지고, 내측으로 속이 빈 중공부를 포함하는 제3 탄성부재(242)가 삽입되어지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와 소정의 길이만큼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되, 주름형식으로 형성되어진 제3 주름부(244)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탄성부재(242)는 상기 제2 수직연결봉(230)의 제2 삽입홀(231)에 삽입되어지도록 상기 제2 수직연결봉(230)의 일측단부에 근접되어지고, 상기 제2 수직연결봉(230)의 내경에 구비되어진 제2 주름부(234)와 대응된다.
즉, 상기 제3 탄성부재(242)는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주름부(234)의 형상에 의해 탄성복원력을 갖고 활 모양으로 오목 또는 볼록 상태로 휘어짐으로써, 제2 수직연결봉(230)과 제3 수직연결봉(240)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진 조적벽체(30)의 높이에 따라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직연결봉(230) 및 제3 수직연결봉(240) 외주면에 구비되어진 제2 탄성부재(232)와 제3 탄성부재(242)에 구비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수직연결봉(220) 및 제2 수직연결봉(230)의 내경에 쉽게 삽입 또는 탈착되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3 수직연결봉(240) 일측단부에 구비되어진 상기 결속부(210)는 상기 내벽브라켓(100) 양측단부에 구비되어진 제2 관통홀(112)에 삽입 체결되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210)는 상기 제3 수직연결봉(240) 상단부에 구성되되 탄성의 재질로 구성하게 되며, 상기 결속부(210)의 외주면에는 일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돌출부재(211)와, 상기 돌출부재(210) 일측에는 U자 형상으로 절개되어진 절개부(212)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돌출부재(211) 상측단 외경에는 상기 제2 관통홀(112)에 쉽게 삽입 또는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크기만큼 볼록하게 형성되어진 체결부재(211)가 더 포함하게 된다.
즉, 상기 결속부(210)는 상기 결속부(210)의 외경보다 작게 관통되어진 상기 제2 관통홀(112)에 삽입하게 되면,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있는 돌출부재(211)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제2 관통홀(112)에 쉽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 관통홀(112)에 삽입되어진 상기 결속부(210)는 상기 돌출부재(211) 상단부 양측 끝단에 구비된 체결부재(213)에 의해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쉽게 탈착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벽돌연결판(400)은 ∧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 구비되어진 제1 돌기부(410)는 상기 조적벽체(30) 상측면에 구비되어진 관통홀(31)에 삽입되어지도록 하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벽돌연결판(400) 상측면에는 상기 연결고리(300)와 강선(40)이 삽입 고정되어지도록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복수개의 삽입홈(421)과 상기 벽돌연결판(400) 상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복수개의 고정패널로(422)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패널(422)의 양측단부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배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진 제1 고정패널(422a)와 정단부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정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진 제2 고정패널(422b)으로 구성하게 된다.
즉, 복수개의 삽입홈(421)에 삽입되어진 상기 강선(40)과 연결고리(300)는 ∧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개의 고정패널(422)에 의해 밀착 고정되어 상기 강선(40)과 연결고리(3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장점이 있다.
도 10 내지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30)의 내부에 삽입되어진 고정부(500)와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 구비되어진 제1 돌기부(410)가 삽입되어진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500)는 PVC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적벽체(30)의 관통홀(31)에 형성된 수용홈(32)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500) 상단 외경에는 상기 수용홈(32)에 대응되는 만큼 돌출 형성된 안착부재(510)와, 상기 고정부(500) 하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하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진 제2 돌기부(520)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500) 상측면에는 상기 제1 돌기부(410)가 삽입되어지도록 속이 빈 중공의 관통홀이 형성된 관통부재(511)가 구비되되 상기 관통부재(511)는 소정의 길이만큼 하측방향으로 상기 제2 돌기부(520)의 내경까지 형성하게 된다.
상기 관통부재(511)는 상기 제2 돌기부(520)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일부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진 절개부재(522)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 구비된 제1 돌기부(410)는 상기 고정부(500)의 관통부재(511)에 삽입되되, 상기 관통부재(511)에 삽입 후 상기 제2 돌기부(520)로부터 일정거리 더 돌출되어지도록 그 길이가 한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돌기부(410)는 상기 고정부(500) 상측면에 구비되어진 관통부재(511)에 삽입되어지고, 상기 제2 돌기부(520)에 구비되어진 밀착부재(521)는 상기 제1 돌기부(410)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짐으로써, 일부 절개되어진 절개부재(522)를 벌어지게 하여 상기 제2 돌기부(520)에 구비되어진 밀착부재(521)가 상기 조적벽체(30) 관통홀(31)에 밀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돌기부(410)를 포함하는 벽돌연결판(400)이 상기 고정부(500)를 수용하는 조적벽체(30)와 밀착하게 되면, 상기 밀착부재(521)는 상기 제2 돌기부(520)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진 제1 돌기부(410)에 의해 일부 절개되어진 절개부재(522)를 벌어지게 하여 상기 조적벽체(30) 관통홀(31)에 밀착되어지고, 상기 제2 돌기부(520) 내경에 형성되어진 고정부재(523)는 상기 제1 돌기부(410)가 더 이상 삽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돌기부(410)의 외경을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500) 하측면에 구비된 제2 돌기부(520)는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 구비되어진 제1 돌기부(410)에 의해 상기 조적벽체(30)의 관통홀(31)에 밀착되어짐으로써, 상기 조적벽체(30)와 벽돌연결판(400)간 직접적인 결속력이 증대되어지며, 상기 조적벽체(30)가 미세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적벽체(30) 관통홀(31)에 구비되어진 감지센서(33)에 의해 외부에서도 상기 조적벽체(30)와 벽돌연결판(400)이 밀착 고정된 것을 확인 할 수가 있다.
즉, 상기 관통홀(31)에 구비된 감지센서(33)는 상기 조적벽체(30)에 삽입되어진 상기 밀착부재(521)가 관통홀(31)에 밀착되어진 것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센서(33)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밀착부재(521)가 관통홀(31)에 밀착된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외부에서도 상기 조적벽체(30)와 벽돌연결판(400)이 밀착 고정된 것을 확인 할 수가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500)를 수용한 조적벽체(30)와 상기 벽돌연결판(400)이 밀착 고정되어지도록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 구비되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보관부(430)와 상기 벽돌연결판(400)이 상기 고정부(500)에 삽입 시 고무풀(431)을 포함하고 있는 보관부(430)를 손상시키기 위해 상기 조적벽체(30)에 형성되어진 제1 돌출부(34)는 상측면에 구비되되 소정의 위치에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관부(430)는 상기 제1 돌출부(34)에 의해 손상되어질 수 있도록 PVC 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지는 것이 가장 선호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보관부(430)에 수용되어진 고무풀(431)은 점도가 낮은 액상재질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 구비되어진 상기 결합홈(432)는 상기 제1 돌출부(34)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3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벽돌연결판(400)과 조적벽체(30)가 밀착되어지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 구비되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진 잉크부재(433)가 더 포함되어지며, 상기 잉크부재(433)는 상기 벽돌연결판(400)이 상기 조적벽체(30)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조적벽체(30)의 까칠한 면과 상기 벽돌연결판(400)이 하측방향으로 가압되어짐으로써 상기 잉크부재(433)가 손상을 입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잉크부재(432)가 외부로 유출되어진다.
즉, 상기 조적벽체(30) 상측면에 구비된 제1 돌출부(34)가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 구비된 보관부(430)를 손상함과 동시에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 구비되어진 결합홈(432)에 삽입되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보관부(430)에 저장되어진 고무풀(431)이 상기 제1 돌출부(34)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어 상기 벽돌연결판(400)과 조적벽체(30)가 밀착 고정되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벽돌연결판(430) 하측면에 구비되어진 잉크부재(432)가 상기 조적벽체(30)의 까칠한 면 때문에 손상되어 상기 잉크부재(432)에 보관된 색상이 외부로 유출되어짐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조적벽체(30)와 벽돌연결판(400)이 밀착 고정되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내벽(10) 일측면에 구비되어진 단열재(20)에 사각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S100); 상기 단열재(20) 일측면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진 조적벽체(30) 상측면에 형성되어진 하나 이상의 관통홀(31)에 대응되는 고정부(500)를 삽입하는 단계(S200); 상기 고정부(500) 상측면에 구비된 관통부재(511)에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벽돌연결판(400)이 삽입되어지는 단계(S300); 상기 벽돌연결판(400) 삽입홈(421)에 강선(40)과 연결고리(300)가 삽입되어지는 단계(S400); 상기 내벽(10) 일측면에 설치된 브라켓(100)에 연결고리(300)를 포함하는 수직연결봉(200)이 삽입 체결되어지는 단계(S500); 상기 사각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진 단열재(20)에 우레탄 폼(600)으로 마감처리 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열재(20)에 사각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S100)에서는 내벽(10)과 조적벽체(3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해 상기 내벽(10) 일측면에 구비된 단열재(20)에 사각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사각형상의 홈이 형성된 내벽(10) 일측면에는 ㄷ형상으로 형성되어진 내벽브라켓(100)을 설치한 후, 고정부(500)를 삽입하는 단계(S200)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진 조적벽체(30) 상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진 관통홀(31)의 크기에 대응되는 고정부(500)를 삽입하게 된다.
다음으로, 벽돌연결판(400)을 삽입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벽돌연결판(400)이 상기 고정부(5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500) 상측면에 구비된 관통부재(511)에 대응되는 제1 돌기부(410)가 상기 관통부재(511)에 삽입된 후, 강선(40)과 연결고리(300)가 삽입되어지는 단계(S400)에서는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421)에 상기 강선(40) 또는 연결고리(300)가 삽입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수직연결봉(200)이 내벽브라켓(100)에 삽입 체결되어지는 단계(S500)에서는 상기 수직연결봉(200) 상측 후단부에 구비된 체결부재(211)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벽브라켓(100) 양측단부에 형성된 제2 관통홀(112)에 삽입 체결되어진 후, 단열재(20)를 마감하는 단계(S600)에서는 상기 사각형상의 홈에 대응 되는 우레탄 폼(600)을 삽입하고 상기 단열재(20)와 우레탄 폼(600)사이에 우레탄으로 덧칠하여 체결장치에 의해 체결되어진 조적벽체(30)와 내벽(20)의 시공을 마무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내벽브라켓 200 : 수직연결봉
300 : 연결고리 400 : 벽돌연결판
500 : 고정부 600 : 우레탄 폼
300 : 연결고리 400 : 벽돌연결판
500 : 고정부 600 : 우레탄 폼
Claims (9)
-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측 가장자리에 있는 결속부(210)가 체결되어지도록 양측단부에 제2 관통홀(112)이 형성된 내벽브라켓(100);
상기 결속부(210) 양측 후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며,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직연결봉(200);
상기 수직연결봉(200) 양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연결봉(20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 연결고리(300);
상기 연결고리(300)와 강선(40)이 삽입 고정되어지도록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벽돌연결판(400);
상기 벽돌연결판(400)과 조적벽체(30)가 서로 밀착되어지도록 구성된 고정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벽돌연결판(400) 상측면에는,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421)과, 수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패널(4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봉(200)은
상기 연결고리(300) 후단부에 구비되며, 상측면이 개방되되 속이 빈 중공의 원통공으로 형성된 제1 수직연결봉(220)과,
하측면은 상기 제1 수직연결봉(220)의 내경에 삽입되어지고 상측면이 개방되되 속이 빈 중공의 원통공으로 형성된 제2 수직연결봉(230)과,
하측면은 상기 제2 수직연결봉(230)의 내경에 삽입되어지고 상측면 일측단부에는 상기 결속부(210)가 구비되어지는 제3 수직연결봉(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3 수직연결봉(230, 240)의 외경에는 상기 제1, 제2 수직연결봉(220, 230)의 상측면 내경에 쉽게 삽탈이 가능하도록 제2, 제3 탄성부재(232, 242)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연결판(400) 하측면에는 하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된 제1 돌기부(410)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0) 상측면에는 상기 조적벽체(30) 관통홀(31)에 형성된 수용홈(32)에 안착되어지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안착부재(510)와,
상기 제1 돌기부(410)가 삽입되어지도록 속이 빈 중공의 관통홀이 형성된 관통부재(511)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
- 내벽(10) 일측면에 구비되며, 좌우측 가장자리에 있는 결속부(210)가 체결되도록 제2 관통홀(112)이 형성된 내벽브라켓(100)과, 상기 결속부(210) 후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며,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직연결봉(200)과, 상기 수직연결봉(200)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연결봉(20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 연결고리(300)와, 상기 연결고리(300)와 강선이 삽입 고정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된 벽돌연결판(400)과, 상기 벽돌연결판(400)과 조적벽체(30)가 서로 밀착되어지도록 구성된 고정부(500)를 포함하는 조적벽체를 시공하기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은,
내벽(10) 일측면에 구비되어진 단열재(20)에 사각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S100);
상기 단열재(20) 일측면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진 조적벽체(30) 상측면에 형성되어진 하나 이상의 관통홀(31)에 대응되는 고정부(500)를 삽입하는 단계(S200);
상기 고정부(500) 상측면에 구비된 관통부재(511)에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벽돌연결판(400)이 삽입되어지는 단계(S300);
상기 벽돌연결판(400) 삽입홈(421)에 강선(40)과 연결고리(300)가 삽입되어지는 단계(S400);
상기 내벽(10) 일측면에 설치된 내벽브라켓(100)에 연결고리(300)를 포함하는 수직연결봉(200)이 삽입 체결되어지는 단계(S500);
상기 사각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진 단열재(20)에 우레탄 폼(600)으로 마감처리 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돌연결판(400) 상측면에는,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421)과, 수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패널(4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시공 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1327A KR102142891B1 (ko) | 2018-02-22 | 2018-02-22 |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1327A KR102142891B1 (ko) | 2018-02-22 | 2018-02-22 |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1240A KR20190101240A (ko) | 2019-08-30 |
KR102142891B1 true KR102142891B1 (ko) | 2020-08-28 |
Family
ID=6777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1327A KR102142891B1 (ko) | 2018-02-22 | 2018-02-22 |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28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2117B1 (ko) * | 2021-07-30 | 2022-01-18 |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조적벽 내진 보강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44974A (ja) * | 1998-11-13 | 2000-05-26 | O P Syst Kk | 煉瓦の積み上げ方法とスペーサ目地部材 |
US20140075856A1 (en) * | 2012-09-15 | 2014-03-20 | Mitek Holdings, Inc. | Pullout resistant pintle and anchoring system utilizing the same |
US20140215958A1 (en) * | 2011-09-09 | 2014-08-07 | Hendrik Duyvejonck | Holder for a wall ti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2009U (ko) * | 1999-06-30 | 2001-01-26 | 박도환 | 콘크리트 옹벽의 치장벽돌을 조적하기 위한 연결보강장치 |
KR101639996B1 (ko) | 2016-02-29 | 2016-07-18 | 에이앤유건축사사무소(주) |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
KR101669151B1 (ko) | 2016-06-09 | 2016-10-25 |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조적벽 결속장치 |
-
2018
- 2018-02-22 KR KR1020180021327A patent/KR1021428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44974A (ja) * | 1998-11-13 | 2000-05-26 | O P Syst Kk | 煉瓦の積み上げ方法とスペーサ目地部材 |
US20140215958A1 (en) * | 2011-09-09 | 2014-08-07 | Hendrik Duyvejonck | Holder for a wall tie |
US20140075856A1 (en) * | 2012-09-15 | 2014-03-20 | Mitek Holdings, Inc. | Pullout resistant pintle and anchoring system utiliz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1240A (ko) | 2019-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2445B1 (ko) | 벽돌 건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88832B1 (ko) | 건축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 |
KR102142891B1 (ko) | 조적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체결장치 및 방법 | |
KR100888209B1 (ko) | 알루미늄폼 거푸집 지지용 지지바 고정장치 | |
KR100938493B1 (ko) |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 |
KR20080025107A (ko) | 개량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0459087Y1 (ko) | 거푸집 연결용 조인트 | |
JP5058743B2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構築体 | |
KR102195278B1 (ko) | 현장 맞춤형 지하 이중벽 고정 구조 및 그 방법 | |
KR100430530B1 (ko) | 옹벽용 블록 | |
KR200418414Y1 (ko) | 건축용 칸막이 패널 | |
JP4058049B2 (ja) | 建築用型枠の緊結部材 | |
JP3029919U (ja) | 突張部材 | |
KR200258921Y1 (ko) | 흙막이용 벽체 패널의 설치구조 | |
US7128078B2 (en) | Tent pole assembly for shoring up | |
KR200439812Y1 (ko) | 조립식 바닥재 | |
JP5001823B2 (ja) | 化粧柱構造 | |
KR101639996B1 (ko) |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 |
KR101678486B1 (ko) | 목재데크의 결합구조 | |
KR101738126B1 (ko) | 강관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기초공법 | |
JP5460954B2 (ja) | 排水管継手および基礎貫通配管構造 | |
JP5767961B2 (ja) | 屋根構造及び屋根施工方法 | |
KR200362840Y1 (ko) |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구 | |
JP3984617B2 (ja) | 外壁板用の留め付け金具および該留め付け金具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と外壁施工方法 | |
JP5435321B2 (ja) | 縦葺き外装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