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360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0360B1 KR102140360B1 KR1020167020263A KR20167020263A KR102140360B1 KR 102140360 B1 KR102140360 B1 KR 102140360B1 KR 1020167020263 A KR1020167020263 A KR 1020167020263A KR 20167020263 A KR20167020263 A KR 20167020263A KR 102140360 B1 KR102140360 B1 KR 1021403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in
- posts
- beam member
- post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2—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and additional ground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35—Spatial arrang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8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mounted on a bracket,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ting of the lamps on the vehicl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5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a shaft, e.g. telescop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800/00—Features related to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Q2800/20—Utility vehicles, e.g. for agriculture, construction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을 희생시키는 일이 없고, 캐빈(7) 내로부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함과 아울러, 코스트 다운뿐 아니라 탑승하기 용이함이나 내부에서의 쾌적성 향상의 요청에도 대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행 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306)를 갖는다. 주행 기체(2)에 탑재한 엔진(5)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테일 파이프(135)를 주행 기체(2)의 좌우 일방에 구비한다. 지붕체(306)의 내부를 전후 2실로 구획하고, 후실(363)측에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고, 지붕체(306)의 좌우 측부 중 테일 파이프(229)와 반대측에 후실(363)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구(366)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본원 발명은 농작업용의 트랙터 또는 토목작업용의 휠 로더(wheel loader)라고 하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농업용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은 주행 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등 참조). 특허문헌 1의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과, 캐빈 프레임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를 갖고 있다. 캐빈 프레임은 지주(필러)나 보부재(빔)를 조합시킨, 소위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고, 지주 및 보부재에 의해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 종류의 작업 차량에서는 전 복합등 및 작업등이라고 한 등구 부재를 캐빈에 부착하지만, 등구 부재의 설치에 있어서는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을 희생하는 경우가 없고, 캐빈내에서의 전후 좌우의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캐빈의 구조에 관해서는 코스트 다운뿐만 아니라, 탑승하기 용이함이나 내부에서의 쾌적성 향상의 요청도 강하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재의 상태를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주행 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과, 상기 캐빈 프레임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를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에 탑재한 엔진의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테일 파이프를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일방에 구비하고, 상기 지붕체의 내부를 전후 2실로 구획하고, 후실측에 공기 조화기를 수용하고, 상기 지붕체의 좌우 측부 중 상기 테일 파이프와 반대측에, 상기 후실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구를 형성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은 좌우 한쌍의 전 지주와, 좌우 한쌍의 후 지주와, 상기 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와, 상기 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 지주와 상기 후 지주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 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붕체의 후실을 상기 후 보부재보다도 후방에 돌출시키고, 상기 후실을 상기 후 보부재로 지지하고, 상기 각 후 지주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에 후 상단 작업등을 부착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등구 부재를 부착한 지지 스테이를 상기 캐빈 프레임에 설치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은 좌우 한쌍의 전 지주와, 좌우 한쌍의 후 지주와, 상기 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와, 상기 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 지주와 상기 후 지주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 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전 지주의 상하 중도부에 설치한 상기 지지 스테이에,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전 복합등 및 전 중단 작업등을 부착하고, 상기 각 후 지주의 하부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에는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후 복합등 및 후 하단 작업등을 부착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은 좌우 한쌍의 전 지주와, 좌우 한쌍의 후 지주와, 상기 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와, 상기 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 지주와 상기 후 지주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 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 보부재의 길이 중도부에 설치한 좌우 한쌍의 지지 스테이에 전 상단 작업등을 각각 부착하는 한편, 상기 각 후 지주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에는 후 상단 작업등을 부착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각 전 상단 작업등을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전 보부재와 겹치도록 위치시키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주행 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과, 상기 캐빈 프레임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를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에 탑재한 엔진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테일 파이프를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일방에 구비하고, 상기 지붕체의 내부를 전후 2실로 구획하고, 후실측에 공기 조화기를 수용하고, 상기지붕체의 좌우 측부 중 상기 테일 파이프와 반대측에, 상기 후실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테일 파이프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상기 외기 도입구로 도입할 우려를 각별히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빈 프레임은 좌우 한쌍의 전 지주와, 좌우 한쌍의 후 지주와, 상기 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와, 상기 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 지주와 상기 후 지주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 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붕체의 후실을 상기 후 보부재보다도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후실을 상기 후 보부재로 지지하고, 상기 각 후 지주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에 후 상단 작업등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빈의 전고를 높게 하지 않고 상기 지붕체 내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를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붕체의 전실에 상기 공기 조화기를 수용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제한한다고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후 지주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에 후 상단 작업등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지붕체의 후실측의 배치 스페이스를 상기 양 후 상단 작업등용의 상기 지지 스테이의 사이에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등구 부재를 부착한 지지 스테이를 상기 캐빈 프레임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빈 프레임에 상기 등구 부재를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기여해서 코스트 다운을 도모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빈 프레임은 좌우 한쌍의 전 지주와, 좌우 한쌍의 후 지주와, 상기 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와, 상기 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 지주와 상기 후 지주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 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전 지주의 상하 중도부에 설치한 상기 지지 스테이에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전 복합등 및 전 중단 작업등을 부착하고, 상기 각 후 지주의 하부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에는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후 복합등 및 후 하단 작업등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각 전 지주측의 지지 스테이에는 전 복합등 및 전 중단 작업등을 통합해서 부착할 수 있고, 상기 각 후 지주측의 지지 스테이에는 후 복합 등 및 후 하단 작업등을 통합해서 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지지 스테이를 상기 복수의 등구 부재에 대한 지지 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어 부품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등구 부재에 대한 케이블류의 감기도 간단화할 수 있다. 상기 캐빈내로부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의 확보도 용이하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빈 프레임은 좌우 한쌍의 전 지주와, 좌우 한쌍의 후 지주와, 상기 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와, 상기 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 지주와 상기 후 지주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 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 보부재의 길이 중도부에 설치한 좌우 한쌍의 지지 스테이에 전 상단 작업등을 각각 부착하는 한편, 상기 각 후 지주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에는 후 상단 작업등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전 보부재에 상기 전 상단 작업등을 직접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후 보부재에 상기 후 상단 작업등을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기여하여 코스트 다운을 도모한다. 게다가, 상기 지붕체에 상기 각 상단 작업등을 부착하거나 케이블류를 감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캐빈 프레임에 대한 상기 지붕체의 조립 작업도 간소화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도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공헌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전 상단 작업등을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전 보부재와 겹치도록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조종 좌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상기 각 전 상단 작업등이 차단할 우려를 각별히 저감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좌 측면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트랙터의 우 측면도이다.
도 4는 트랙터를 우측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주행 기체의 좌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주행 기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좌 측면 설명도이다.
도 7은 주행 기체를 좌측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주행 기체의 우 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주행 기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우 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주행 기체를 우측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캐빈의 좌 측면도이다.
도 12는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캐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캐빈의 우 측면도이다.
도 15는 캐빈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캐빈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캐빈 프레임의 좌 측면도이다.
도 18은 캐빈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캐빈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캐빈 프레임의 우 측면도이다.
도 21은 캐빈 프레임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캐빈 프레임을 좌측으로부터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캐빈 프레임을 좌측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캐빈의 방진 지지 구조를 좌측으로부터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캐빈의 방진 지지 구조를 우측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우측 전 지주 및 전 보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7은 우측 후 지주 및 후 보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8은 지붕체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이너 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의 좌 측면도이다.
도 31은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트랙터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트랙터의 우 측면도이다.
도 34는 트랙터의 배면도이다.
도 35는 트랙터의 저면도이다.
도 36은 캐빈 프레임을 좌측으로부터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트랙터의 우 측면도이다.
도 4는 트랙터를 우측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주행 기체의 좌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주행 기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좌 측면 설명도이다.
도 7은 주행 기체를 좌측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주행 기체의 우 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주행 기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우 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주행 기체를 우측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캐빈의 좌 측면도이다.
도 12는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캐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캐빈의 우 측면도이다.
도 15는 캐빈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캐빈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캐빈 프레임의 좌 측면도이다.
도 18은 캐빈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캐빈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캐빈 프레임의 우 측면도이다.
도 21은 캐빈 프레임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캐빈 프레임을 좌측으로부터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캐빈 프레임을 좌측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캐빈의 방진 지지 구조를 좌측으로부터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캐빈의 방진 지지 구조를 우측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우측 전 지주 및 전 보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7은 우측 후 지주 및 후 보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8은 지붕체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이너 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의 좌 측면도이다.
도 31은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트랙터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트랙터의 우 측면도이다.
도 34는 트랙터의 배면도이다.
도 35는 트랙터의 저면도이다.
도 36은 캐빈 프레임을 좌측으로부터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작업 차량인 트랙터를 예로 들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트랙터(1)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1)의 주행 기체(2)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쌍의 전 차륜(3)과 동일한 좌우 한쌍의 후 차륜(4)으로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부에 탑재한 동력원으로서의 커먼레일식의 디젤 엔진(5)(이하, 단지 엔진이라고 한다)으로 후 차륜(4) 및 전 차륜(3)을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5)은 보닛(6)으로 덮여져 있다. 주행 기체(2)의 상면에는 캐빈(7)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7)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8)과, 조향함으로써 전 차륜(3)의 조향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 조종 핸들(원형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의 좌우 하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10)이 설치되어 있다. 캐빈(7)의 바닥부보다 하측에는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11)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2)는 전 범퍼(12) 및 전 차축 케이스(13)를 갖는 엔진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의 후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 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 단측으로부터 외향으로 전 차축(16)을 회전 가능하게 돌출시키고 있다. 전 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에 전 차축(16)을 통하여 전 차륜(3)을 부착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5)의 후부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적당하게 변속해서 전후 사륜(3, 3, 4, 4)에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17)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및 미션 케이스(17)의 하면측에는 좌우 외향으로 돌출한 저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 판상의 탱크 프레임(18)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11)는 좌우 2개로 나눠져 있다. 탱크 프레임(18)의 좌우 돌출부의 상면측에, 좌우의 연료 탱크(11)를 나눠서 탑재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좌우 외측면에는 좌우의 후 차축 케이스(19)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 차축 케이스(19)에는 좌우의 후 차축(20)을 회전 가능하게 내삽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에 후 차축(20)을 통하여 후 차륜(4)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 차륜(4)의 상방은 좌우의 리어 펜더(21)에 의해 덮여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부 상면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 경운기라고 한 작업기를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식 승강 기구(22)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는 좌우 한쌍의 로어 링크(23) 및 탑 링크(24)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 기구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17)의 후부에 연결된다. 미션 케이스(17)의 후측면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축(25)을 후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엔진(5)의 후측면으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하는 엔진 출력 축(도시 생략)에는 플라이 휠(26)을 직결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양 단에 자재 이음쇠를 갖는 동력 전달 축(29)을 통하여 플라이 휠(26)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한 주 동축(27)과, 미션 케이스(17) 전면측에서 전향으로 돌출한 주 변속 입력축(28)을 연결하고 있다(도 1, 도 7 및 도 10 참조). 미션 케이스(17)내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 전후진 스위칭 기구, 주행 부 변속 기어 기구 및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배치하고 있다. 엔진(5)의 회전 동력은 주 동축(27) 및 동력 전달 축(29)을 경유해서 미션 케이스(17)의 주 변속 입력축(28)에 전달되어,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 변속 기어 기구에 의해 적당하게 변속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 동력이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통해서 좌우의 후 차륜(4)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의 전면 하부로부터 전향으로 돌출한 전 차륜 출력 축(30)에는 전 차륜 구동축(31)을 통해서,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도시 생략)를 내장하는 전 차축 케이스(13)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한 전 차륜 전달 축(도시 생략)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내의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 변속 기어 기구에 의한 변속 동력은 전 차륜 출력 축(30), 전 차륜 구동축(31) 및 전 차륜 전달 축으로부터 전 차축 케이스(13)내의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경유하고, 좌우의 전 차륜(3)에 전달된다.
다음에 도 1∼도 4을 참조하면서, 캐빈(7) 내부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캐빈(7)내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스티어링 컬럼(32)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은 캐빈(7)내부의 전면측에 배치한 대시보드(33)의 배면측에 매설하는 것 같은 상태에서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 핸들축의 상단측에,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조종 핸들(9)을 부착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의 우측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를 최상승 위치나 최하강 위치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원터치 승강 레버(34)와, 주행 기체(2)를 제동 조작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브레이크 패달(35)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의 좌측에는 주행 기체(2)의 진행 방향을 전진과 후진으로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리버스 레버)와, 동력 계단용의 클러치(도시 생략)를 차단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패달(37)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의 좌측에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의 하방에는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를 따라서 연장되는 오조작 방지체(38)(리버스 가드)를 배치하고 있다. 접촉 방지구인 오조작 방지체(38)를 전후진 스위칭 레버(36)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트랙터(1)에 승강할 때에, 오퍼레이터가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에 부주의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대시보드(33)의 배면 상부측에는 액정 패널을 내장한 조작 표시판(39)을 설치하고 있다.
캐빈(7)내에 있는 조종 좌석(8) 전방의 바닥판(40)에 있어서 스티어링 컬럼(32)의 우측에는 엔진(5)의 회전 속도 또는 차속을 제어하는 액셀 패달(41)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바닥판(40) 상면의 대략 전체는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는 사이드 컬럼(42)을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과 좌사이드 컬럼(42)의 사이에는 좌우 양 후 차륜(4)을 제동 상태로 유지하는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 레버(43)와, 트랙터(1)의 주행 속도(차속)를 강제적으로 대폭 저감시키는 초저속 레버(44)(크리프 레버)와, 미션 케이스(17)내의 주행 부 변속 기어 기구의 출력 범위를 스위칭하기 위한 부 변속 레버(45)와, PTO축(25)의 구동 속도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PTO 변속 레버(46)를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하방에는 좌우 양 후 차륜(4)의 차동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디프 락 패달(47)을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후방 좌측에는 PTO축(25)을 역전 구동시키는 조작을 실행하는 역전 PTO 레버(48)를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과 조종 좌석(8)과 좌사이드 컬럼(42)의 사이에는 조종 좌석(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팔이나 팔 꿈치를 두기 위한 암레스트(49)를 설치하고 있다. 암레스트(49)는 조종 좌석(8)과는 별개로 구성함과 아울러, 트랙터(1)의 주행속도를 증감속시키는 주 변속 레버(50)와, 로터리 경운기라고 한 작업기의 높이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 조절하는 다이얼식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51)(승강 다이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암레스트(49)는 후단 하부를 지점으로서 복수 단계로 상승시키는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사이드 컬럼(42)에는 전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엔진(5)의 회전 속도를 설정 유지하는 스로틀 레버(52)와, PTO 축(25)으로부터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을 계단 조작하는 PTO 클러치 스위치(53)와, 미션 케이스(17)의 상면측에 배치하는 유압 외부 인출 밸브(서브 컨트롤 밸브, 도시 생략)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 조작 레버(54)(SCV 레버)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유압 외부 인출 밸브는 트랙터(1)에 뒤에 설치되는 프론트 로더라고 하는 별도의 작업기에 작동유를 공급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외부 인출 밸브의 수(4련)에 따라서 유압 조작 레버(54)를 4개 배치하고 있다.
다음에 도 11∼도 27을 참조하면서, 캐빈(7)의 상세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주행 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을 구비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은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전 지주(301)와, 조종 좌석(8)의 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후 지주(302)와, 전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303)와, 후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된 전 지주(301)와 후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측 보부재(305)를 구비한 대략 상자 프레임상의 것이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 즉 전 보부재(303), 후 보부재(304) 및 좌우의 측 보부재(305)로 구성한 직사각형 프레임 상에는 지붕체(306)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각 전 지주(301)의 하단측에는 좌우 내향으로 연장되는 전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좌우 외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좌우 양 전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좌우 내단측에, 대시보드(33)를 고정 지지하는 세로 길이의 보드 지지판(308)을 연결하고, 좌우 양 전 지주(301)의 사이에 보드 지지판(308)을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한편, 좌우 양 후 지주(302)의 하단부 사이에는 후 보 부재(304)와 평행상으로 연장되는 후 중간 보부재(309)를 연결하고 있다. 후 중간 보부재(309)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후 하부 프레임(310)의 상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전후로 배열된 전 하부 플레이트판(307)과 후 하부 프레임(301)의 하단측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저부 프레임(311)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각 후 지주(302)의 하단측에는 리어 펜더(21)의 형상을 따라서 측면에서 볼 때 전방 또한 상방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한 펜더 프레임(312)의 후단 상부측을 연결하고 있다. 각 펜더 프레임(312)의 전단 하부측은 대응하는 전 지주(301)의 하부로부터 후향으로 돌출된 사이드 프레임(313)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각 사이드 프레임(313)에는 전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좌우 외단측도 연결되어 있다. 각 펜더 프레임(312)의 좌우 외면측 및 이것에 대응하는 후 하부 프레임(310)의 좌우 외면측에, 좌우의 리어 펜더(21)를 부착하고 있다.
후 중간 보부재(309)와 좌우의 후 하부 프레임(310)에는 후 중간 보부재(309) 및 좌우의 후 하부 프레임(310)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을 덮는 후 커버판(314)을 부착하고 있다. 후 커버판(314)의 하단측과 좌우의 저부 프레임(311)에는 측면에서 볼 때 L자 판상의 좌석 지지판(315)을 부착하고 있다. 좌석 지지판(315) 상에 조종 좌석(8)이 배치된다.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 후 하부 프레임(310) 및 저부 프레임(311)에는 후 차륜(4)의 전부 내면측을 따른 팽출(膨出) 형상의 펜더 내판(316)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펜더 내판(316) 상에 사이드 컬럼(42)이 배치된다. 좌우의 전 하부 플레이트판(307), 저부 프레임(311)의 전부측, 사이드 프레임(313) 및 좌석 지지판(315)의 전단측에 바닥판 지지 플레이트(317)를 부착해서 지지하고 있다. 좌우의 바닥판 지지 플레이트(317) 상에 바닥판(40)이 배치된다.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의 전단 하부측과 이것에 대응하는 저부 프레임(311)의 전후 중도부는 좌우 가로 길이의 보조 프레임(318)으로 연결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전면측, 즉 좌우의 전 지주(301), 전 보부재(303) 및 좌우의 전 하부 플레이트판(307)으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는 프론트 글래스(321)를 배치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후면측, 즉 좌우의 후 지주(302), 후 보 부재(304) 및 후 중간 보부재(309)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는 리어 글래스(322)를 배치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좌우 측면측, 즉 전후로 배열된 전 지주 및 후 지주, 측 보부재, 펜더 프레임 및 사이드 프레임으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는 투명한 글래스로 구성된 사이드 도어(323)를 배치하고 있다. 각 사이드 도어(323)는 대응하는 후 지주(302)에 상하 한쌍의 힌지(324)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24∼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전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전부측은 방진 부재로서의 전 방진 고무체(98)를 통하여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에 부착된 전부 지지대(9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후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연결부에는 좌우 외향으로 돌출된 베이스 브래킷(327)을 설치하고 있다. 좌우의 베이스 브래킷(327)은 방진 부재로서의 후방진 고무체(99)를 통하여 좌우의 후 차축 케이스(19) 상에 부착된 후부 지지대(9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 기체(2)는 복수의 방진 고무체(98, 99)를 통해서 캐빈(7)을 방진 지지하고 있다.
도 11∼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 프레임(300)에는 등구 부재 부착용의 각종 지지 스테이(331, 335, 338, 343)를 설치하고 있다. 즉, 전 보부재(303)의 길이 중도부에는 좌우 한쌍의 전 상단 지지 스테이(331)를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전 상단 지지 스테이(331)는 전방으로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된 박판상의 것이다. 각 전 상단 지지 스테이(331)에는 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전 부착편(332)을 통해서 등구 부재의 일례인 전 상단 작업등(333)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전 상단 작업등(333)은 트랙터(1)의 전방을 조명하는 것이다. 좌우의 전 상단 작업등(333)은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정면에서 볼 때 전 보부재(303)와 겹치도록 위치되어 있다. 지붕체(306)의 전부측에는 각 전 상단 작업등(333)이 끼워지도록 상향으로 패인 오목부(334)(팽출부라고도 할 수 있다)를 형성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에 지붕체(306)를 부착할 때는 전부측의 각 오목부(334)에 전 상단 작업등(333)이 들어가기 때문에 지붕체(306)와 각 전 상단 작업등(333)이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좌우의 후 지주(302)의 상단측에는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평면에서 볼 때 후 보부재(304) 및 좌우의 측 보부재(305)의 양방으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외향의 후방으로 돌출한 후 상단 지지 스테이(335)의 기단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후 상단 지지 스테이(335)의 선단측에, 후향으로 연장되는 후 부착편(336)을 통하여, 등구 부재의 일례인 후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 상단 작업등(337)은 트랙터(1)의 후방(작업기 등)을 조명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후 보부재(304)가 아니라 각 후 지주(302)의 상단측에 후 상단 지지 스테이(335)를 설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하면서, 좌우의 후상단 지지 스테이(335)의 사이에, 지붕체(306)의 후부측의 배치 스페이스(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는 후부 커버(363)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좌우 전 지주(301)의 상하 중도부에는 전 중단 지지 스테이(338)의 기단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전 중단 지지 스테이(338)의 선단측에, 등구 부재의 일례인 전 복합등(339) 및 전 중단 작업등(340)을 부착하고 있다. 각 전 중단 지지 스테이(338)는 전 복합등(339) 및 전 중단 작업등(340)이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평면에서 볼 때 전 보부재(303) 및 좌우의 측 보부재(305)의 양방으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외향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길이 중도부로부터 전향으로 연장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전 복합등(339)은 트랙터(1)의 전방에 있는 차나 사람에 대하여 트랙터(1)의 차폭 및 좌우 회동 등의 의사를 나타내는 것이고, 실시형태 전 복합등(339)은 방향 지시등과 차폭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좌우의 전 중단 작업등(340)은 트랙터(1)의 전방을 조명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각 전 중단 지지 스테이(338)의 선단측에 상하 길이의 부착 브래킷(341)을 설치하고, 부착 브래킷(341)의 전면측에 전 복합등(339)을 부착하고 있다. 부착 브래킷(341)의 상단측에 전 중단 작업등(340)을 부착하고 있다. 또한, 좌우 전 지주(301)에 있어서 전 중단 지지 스테이보다 상방에는 미러 스테이(341)를 통해서 사이드미러(342)를 부착하고 있다. 미러 스테이(341)도,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평면에서 볼 때 전 보부재(303) 및 좌우의 측 보부재(305)의 양방으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외향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우의 후 지주(302)의 하부에는 상하 길이의 후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전면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후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후면측에, 등구 부재의 일례인 후 복합등(344) 및 후 하단 작업등(345)을 부착하고 있다. 각 후 하단 지지 스테이(343)는 후 복합등(344) 및 후 하단 작업등(345)이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배면에서 볼 때 좌우의 후 지주(302)로부터 좌우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 복합등(344)은 트랙터(1)의 후방에 있는 차나 사람에 대하여 트랙터(1)의 감속, 정지, 후퇴 및 좌우 회동 등의 의사를 나타내는 것이고, 실시형태의 후 복합등(344)은 미등과 제동등과 후퇴등과 방향 지시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후 하단 작업등(345)은 트랙터(1)의 좌우 측방을 조명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각 후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전면측에 후 복합등(344)을 부착하고 있다. 후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상단측에 후 하단 작업등(345)을 부착하고 있다. 전 복합등(339)과 후 복합등은 거의 동일한 정도의 상하 높이 위치에 설정하고 있다.
또한,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지만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프레임(300)을 중공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공상의 내부를 케이블류 삽입통과용의 배선 통로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지주(301, 302), 보부재(303, 304) 및 지지 스테이에 형성한 노치 구멍(도시 생략)으로부터 케이블을 인출하고, 상기 케이블을 각 등구 부재(333, 337, 339, 340, 344, 345)에 접속하고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11∼도 2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2)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306)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등구 부재(333, 337, 339, 340, 344, 345)를 부착한 지지 스테이(331, 335, 338, 343)를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상기 등구 부재(333, 337, 339, 340, 344, 345)를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기여해서 코스트 다운을 도모한다.
또한, 상기 캐빈 프레임(300)은 좌우 한쌍의 전 지주(301)와, 좌우 한쌍의 후 지주(302)와, 상기 전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303)와, 상기 후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 지주(301)와 상기 후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 보부재(305)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전 지주(301)의 상하 중도부에 설치한 상기 지지 스테이(338)에,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전 복합등(339) 및 전 중단 작업등(340)을 부착하고, 상기 각 후 지주(302)의 하부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43)에는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후 복합등(344) 및 후 하단 작업등(345)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각 전 지주(301)측의 지지 스테이(338)에는 전 복합등(339) 및 전 중단 작업등(340)을 통합해서 부착할 수 있고, 상기 각 후 지주(302)측의 지지 스테이(343)에는 후 복합등(344) 및 후 하단 작업등(345)을 통합해서 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지지 스테이(338, 343)를 상기 복수의 등구 부재(339, 340, 344, 345)에 대한 지지 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어 부품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등구 부재(339, 340, 344, 345)에 대한 케이블류의 감기도 간단화할 수 있다. 상기 캐빈(7)내로부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의 확보도 용이하다.
상기의 기재 및 도 11∼도 2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306)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300)은 좌우 한쌍의 전 지주(301)와, 좌우 한쌍의 후 지주(302)와, 상기 전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303)와, 상기 후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304)와, 전후에 배열된 상기 전 지주(301)와 상기 후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 하는 측 보부재(305)를 구비하고, 상기 전 보부재(303)의 길이 중도부에 설치한 좌우 한쌍의 지지 스테이(331)에 전 상단 작업등(333)을 각각 부착하는 한편, 상기 각 후 지주(302)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35)에는 후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전 보부재(303)에 상기 전 상단 작업등(333)을 직접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후 보부재(304)에 상기 후 상단 작업등(337)을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기여하고, 코스트 다운을 도모한다. 게다가, 상기 지붕체(306)에 상기 각 상단 작업등(333, 337)을 부착하거나 케이블류를 감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대한 상기 지붕체(306)의 조립 작업도 간소화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도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상기 각 전 상단 작업등(333)을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전 보부재(303)와 겹치도록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조종 좌석(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상기 각 전 상단 작업등(333)이 가릴 우려를 각별히 저감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도 23을 참조하면서, 캐빈(7)의 좌우 하부에 설치한 스텝(10)의 상세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에 배열된 전 차륜(3)과 후 차륜(4)의 사이에서 캐빈(7)의 좌우 하부측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10)을 매달아 설치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스텝(10)은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실시형태에서는 2단)와, 이들 발판 단차부(351)에 연결하는 전후의 측판부(352, 35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는 하단으로 갈수록 후 차륜(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쪽이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51)보다도 전방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전 측판부(352)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L자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전 측판부(352)에 있어서의 세로 길이부(354)의 상단측은 각 전 지주(301)의 하단측에 용접 고정한 브래킷편(355)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전 측판부(352)에 있어서의 세로길이부(354)의 상하 중도 개소에는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전 측판부(352)의 하단 수평부(356)에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전 측판부(352)의 하단 수평부(356)는 세로길이부보다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후 측판부(353)의 상단측은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과 저부 프레임(311)을 연결시키는 보조 프레임(318)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후 측판부(353)의 상하 중도부에는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후 측판부(353)의 하단측에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후 측판부(353)는 전방으로 비스듬히 하향으로 경사하고 있어서 상하 중도부 부근에서 더욱 전향으로 굴곡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캐빈(7)에 승차하는 오퍼레이터의 이동 방향을 조종 좌석(8)을 향하는 후방으로 비스듬히 상향으로 향하기 쉬워진다(각 발판 단차부(351)의 어긋남 배치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동선을 조종 좌석(8)을 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캐빈(7)으로의 승강성을 각별히 향상할 수 있다.
도 13, 도 19,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 측판부(353)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전 측판부(352)(세로길이부(354))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넓게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오퍼레이터가 각 발판 단차부(351)에 발을 위치시킬 때에 전 측판부(352)(세로길이부(354))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고, 이 점에서도 캐빈(7)으로의 승강성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후측판부(353)가 폭이 넓기 때문에, 후 측판부(353)의 존재에 의해 후 차륜(4)의 흙의 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11∼도 2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엔진(5)을 탑재한 주행 기체(2)와, 상기 주행 기체(2)를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전 차륜(3) 및 후 차륜(4)과, 상기 주행 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과, 상기 캐빈(7)내에 승강하기 위한 스텝(10)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 차륜(3)과 상기 후 차륜(4)의 사이에서 상기 캐빈(7)의 좌우 하부측에, 상기 스텝(10)을 매달아서 설치한 구조이고, 상기 스텝(10)은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와 이들 발판 단차부(351)에 연결하는 전후의 측판부(352, 353)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는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후 차륜(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빈(7)내외를 향하는 오퍼레이터의 동선에 따라 상기 각 발판 단차부(351)를 위치시키는 것이 되어 상기 캐빈(7)으로의 승강성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후 측판부(353)의 좌우 방향의 폭을 상기 전 측판부(352)(세로길이부(354))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넓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상기 각 발판 단차부(351)에 발을 위치시킬 때에 상기 전 측판부(352)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고, 이 점에서도 상기 캐빈(7)으로의 승강성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상기 후 측판부(353)가 폭이 넓기 때문에, 상기 후 측판부(353)의 존재에 의해 상기 후 차륜(4)의 흙의 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 도 2, 도 11, 도 14,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서, 지붕체(306) 내외의 공조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에 부착한 지붕체(306)는 외장인 아우터 루프(361)와 캐빈(7)의 천장을 구성하는 이너 루프(362)와, 후 보부재(304)보다도 후방으로 돌출한 후부 커버(363)를 구비하고 있다. 이너 루프(362) 및 후부 커버(363)를 아우터 루프(361)로 상방으로부터 덮음으로써 지붕체(306) 내부를 중공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아우터 루프(361)의 후부측도 후 보부재(304)보다 후방으로 연장되고 있다. 각 전 상단 작업등(333)이 끼워지는 오목부(334)(팽출부)는 아우터 루프(361)의 전부측에 형성하고 있다.
지붕체(306) 내부는 이너 루프(362)와 후부 커버(363)에 의하여 전후 2실로 구획하고 있다. 이너 루프(362)측의 공간이 전실에 상당하고, 후부 커버(363)측의 공간이 후실에 상당한다. 지붕체(306) 내부의 후실측(후부 커버(363)측)에는 캐빈(7)내의 공조를 관리하는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364)는 엔진(5)의 냉각수를 이용한 난방이나, 엔진에 의해 구동하는 컴프레서, 콘덴서 및 에바포레이터 등을 이용한 냉방에 의해, 캐빈(7)내의 공조(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364)를 후 보부재(304)보다도 후방으로 돌출한 후부 커버(363)측에 배치함으로써, 캐빈(7)의 전고가 필요 이상으로 높게 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특히 실시형태에서는 후 보부재(304)가 아니라 각 후 지주(302)의 상단측에 후 상단 지지 스테이(335)를 설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하면서, 좌우의 후 상단 지지 스테이(335)의 사이에, 지붕체(306)의 후부측의 배치 스페이스(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는 후부 커버(363)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후부 커버(363)는 캐빈 프레임(300)의 후 보부재(30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후부 커버(363) 및 공기 조화기(364)는 캐빈 프레임(300)의 후 보부재(304)로 지지하고 있다. 후부 커버(363)의 가장자리부에는 시일재(365)를 부착하고 있다. 이너 루프(362) 및 후부 커버(363) 상에 아우터 루프(361)를 씌워서 부착한 상태에서는 아우터 루프(361)의 내면측에 시일재(365)가 밀착하고, 지붕체(306) 내부의 후실측(후부 커버(363)측)이 밀폐상이 된다.
아우터 루프(361)의 좌우 측부는 좌우 내측을 향하는 경사 하향으로 잘라낸 것 같이 경사하고 있다. 아우터 루프(361)의 좌우 측부 중 엔진(5)의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테일 파이프(229)(도 1∼도 10 참조)와 반대측의 측부에는 지붕체(306) 내부의 후실측(후부 커버(363)측)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구(366)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테일 파이프(229)는 캐빈(7)의 전방 우측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우측 전 지주(301)를 따라 연장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외기 도입구(366)는 아우터 루프(361) 좌측부의 후부측(후부 커버(363)과 대응하는 개소)에 형성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366)는 후부 커버(363)의 좌 측벽부에 형성한 연통구(도시생략)를 통하여, 후부 커버(363)내의 공기 조화기(364)에 좌측방으로부터 임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366)에는 격자상의 통기 프레임체(367)를 장착하고 있다. 상세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후부 커버(363)의 좌측 벽부에 형성한 연통구에는 제진 필터를 부착하고 있다. 한편, 조종 좌석(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후두부에 대치하는 이너 루프(362)의 후부측에는 후부 커버(363)내와 캐빈(7)내를 연통시키는 내기 도입구(368)를 형성하고 있다. 내기 도입구(368)에는 격자상의 통기 프레임체(369)를 장착하고 있다.
후부 커버(363)내에는 후부 커버(363)의 좌측 벽부에 형성한 연통구를 개폐하는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을 배치하고 있다.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은 액츄에이터(371)의 구동에 의해 개폐 회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을 개방 이동시키면, 후부 커버(363)의 연통구가 개방되고, 후부 커버(363)내의 공기 조화기(364)의 구동에 의해, 외기 도입구(366)로부터 연통구를 통해서 후부 커버(363)내에 외부 공기가 안내된다.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을 폐지 이동시키면, 후부 커버(363)의 연통구가 폐지되어서 외기 도입구(366)로부터 외부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되고, 공기 조화기(364)의 구동에 의해, 내기 도입구(368)로부터 후부 커버(363)내에 캐빈(7)내의 공기가 안내된다. 실시형태에서는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의 개도(개폐 정도)에 의해, 후부 커버(363)내의 공기 조화기(364)로 안내되는 외기와 내기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364)의 전면측에 형성한 조정 공기 방출구(372)에는 후실측(후부 커버(363)측)으로부터 전실측(이너 루프(362)측)에 조정 공기를 안내하는 평면에서 볼 때 두 갈래상의 공조 덕트(373)의 상류측을 접속하고 있다. 공조 덕트(373)의 상류측은 내기 도입구(368)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서, 후부 커버(363)의 전면측과 이너 루프(362)의 후면측을 관통하고 나서 좌우로 두 갈래상으로 분기되고 있다. 공조 덕트(373)의 두 갈래상의 덕트부(374)는 전 보부재(303), 후 보 부재(304) 및 좌우의 측 보부재(305)로 구성한 직사각형 프레임을 따라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공조 덕트(373)의 각 덕트부(374)의 중도부분에는 이너 루프(362)의 좌우 양측부에 설치한 냉난방용 취출구(375)와 덕트부(374)의 연통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셔터판(376)을 배치하고 있다. 좌우의 조절 셔터판(376)은 액츄에이터(377) 및 푸쉬 풀 와이어(378)에 의해 연동해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조 덕트(373)의 각 덕트부(374)의 하류측은 이너 루프(362)의 전부에 설치한 김서림 제거용 취출구(379)에 연통하고 있다. 각 취출구(375, 379)에는 공기 조화기(364)로부터의 조정 공기의 풍량이나 풍향을 변경 조절하는 핀(도시생략)을 설치하고 있다.
좌우 양 조절 셔터판(376)에 의해, 각 덕트부(374)의 하류측으로의 유동(각김서림 제거용 취출구(379)로의 흐름)을 막으면, 공기 조화기(364)로부터의 조정 공기는 좌우의 냉난방용 취출구(375)만으로부터 캐빈(7)내에 취출한다. 좌우 양 조절 셔터판(376)에 의해, 좌우의 냉난방용 취출구(375)로의 유동을 막으면, 공기 조화기(364)로부터의 조정 공기는 좌우의 김서림 제거용 취출구(379)만으로부터 캐빈(7)내에 취출한다. 좌우 양 조절 셔터판(376)의 회동 각도에 따라, 냉난방용 취출구(375)로부터의 조정 공기의 풍량과, 김서림 제거용 취출구(379)로부터의 조정 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1, 도 2, 도 11, 도 14, 도 28 및 도 2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306)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2)에 탑재한 엔진(5)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테일 파이프(135)를 상기 주행 기체(2)의 좌우 일방에 구비하고, 상기 지붕체(306)의 내부를 전후 2실로 구획하고, 후실(363)측에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고, 상기 지붕체(306)의 좌우 측부 중 상기 테일 파이프(229)와 반대측에, 상기 후실(363)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구(366)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테일 파이프(229)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상기외기 도입구(366)에 도입할 우려를 각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빈 프레임(300)은 좌우 한쌍의 전 지주(301)와, 좌우 한쌍의 후 지주(302)와, 상기 전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303)와, 상기 후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 지주(301)와 상기 후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 보부재(305)를 구비하고, 상기 지붕체(306)의 후실(363)을 상기 후 보부재(304)보다도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후실(363)을 상기 후 보부재(304)로 지지하고, 상기 각후 지주(302)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35)에 후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빈(7)의 전고를 높게 하는 일없이 상기 지붕체(306) 내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364)를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붕체(306)의 전실(362)에 상기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제한한다고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후 지주(302)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35)에 후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지붕체(306)의 후실(363)측의 배치 스페이스를 상기 양 후 상단 작업등(337)용의 상기 지지 스테이(335)의 사이에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30∼도 36은 다른 실시형태의 트랙터(380)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이하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의 트랙터(380)에 있어서 구성 및 작용이 앞선 실시형태와 같은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기체(2)의 후부를 후 차륜(4)으로 지지하는 것을 대신해서 주행 크롤러 장치(381)로 지지하도록 한 점에서, 앞선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다.
이 경우, 좌우의 후 차축 케이스(19)로부터 좌우 외향으로 돌출한 후 차축(20)에, 구동륜체(382)와, 후 차축(20) 둘레에 전후 요동 가능한 요동 링크(383)를 부착하고 있다. 요동 링크(383)의 하부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랙 프레임(384)을 설치하고 있다. 후 차축(20)에 요동 링크(383)를 통해서 트랙 프레임(384)을 전후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트랙 프레임(384)의 전단측에 텐션 조절 기구(385)를 통하여 전 종동륜체(386)를 부착하고 있다. 트랙 프레임(384)의 후단측에 후 종동륜체(387)를 지지축(388)에 부착하고 있다. 구동륜체(382)와 전 종동륜체(386)와 후 종동륜체(387)의 3자에는 크롤러인 합성 고무제의 주행 크롤러(389)를 대략 삼각형상으로 감아 걸고 있다. 구동륜체(382)(후 차축(20))를 적당 속도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고, 주행 크롤러(389)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가 전진 주행 또는 후퇴 주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트랙 프레임(384)에는 복수의 전동륜(390)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전후로 배열되는 전 차륜(3)과 주행 크롤러 장치(381)의 사이에서 캐빈(7)의 좌우 하부측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391)을 매달아서 설치하고 있다. 다른 실시형태의 스텝(10)은 복수의 발판 단차부(392)(실시형태에서는 2단)와, 이들 발판 단차부(392)를 지지하는 전후의 측판부(393, 394)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발판 단차부(392)는 하단으로 갈수록 주행 크롤러 장치(381)로부터 멀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92)쪽이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92)보다도 전방에 어긋난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전 측판부(393)의 상단측은 각 전 지주(301)의 하단측에 용접 고정한 브래킷편(355)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전 측판부(393)의 상하 중도부에,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92)의 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전 측판부(393)의 하단측에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92)의 전후 중도부를 고정하고 있다. 다른 실시형태의 후 측판부(394)는 발판 단차부(392)의 수에 따라서 상하 둘로 분할되어 있다. 상단측의 후 측판부(394a)의 상단측은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과 저부 프레임(311)을 연결시키는 보조 프레임(318)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상단측의 후 측판부(394a)의 하단측에는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92)의 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하단측의 후 측판부(394b)의 상단측은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92)의 하면에 고정하고 있다. 하단측의 후 측판부(394b)의 하단측에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92)의 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92)는 전 측판부(393) 및 하단측의 후 측판부(394b)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캐빈(7)에 승차하는 오퍼레이터의 이동 방향을 조종 좌석(8)을 향하는 후방으로 비스듬히 상향으로 향하기 쉬워진다(각 발판 단차부(351)의 어긋남 배치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동선을 조종 좌석(8)을 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캐빈(7)으로의 승강성을 각별히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스텝(391)에 대한 주행 크롤러 장치(381)(주행 크롤러(389))의 간섭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양 후 측판부(394a, 394b)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전 측판부(393)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넓게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오퍼레이터가 각 발판 단차부(392)에 발을 위치시킬 때에 전 측판부(393)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고, 이 점에서도 캐빈(7)으로의 승강성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상하 양 후 측판부(394a, 394b)가 폭이 넓기 때문에, 상하 양 후 측판부(394a, 394b)의 존재에 의해 주행 크롤러 장치(381)의 흙의 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7)의 바닥부보다 하측에 배치한 좌우 2개의 연료 탱크(11) 중 좌측의 연료 탱크(11)는 평면에서 볼 때에 캐빈(7)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좌측의 연료 탱크(11)의 돌출 부분은 주행 기체(2)(좌 기체 프레임(15))과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9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돌출 부분의 상부측에, 상향으로 돌출하는 급유구(283)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급유구(283)의 옆으로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92)가 위치하는 것이 되고,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92) 상에 급유 용기를 적재한 상태에서 연료 탱크(11)에 급유할 수 있다. 급유 용기를 높게 들어 올릴 필요가 없고, 노동력을 경감해서 급유하기 쉬워진다. 또한, 연료 탱크(11) 측면에 어떠한 장해물이 접촉·충돌할 우려를 스텝(391)(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92))의 존재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30∼도 3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엔진(5)을 탑재한 주행 기체(2)와, 상기 주행 기체(2)의 전부를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전 차륜(3)과, 상기 주행 기체(2)의 후부를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 장치(381)와, 상기주행 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과, 상기 캐빈(7)내에 승강하기 위한 스텝(391)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380)에 있어서,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 차륜(3)과 상기 주행 크롤러 장치(381)의 사이에서 상기 캐빈(7)의 좌우 하부측에, 상기 스텝(391)을 매달아서 설치한 구조이며, 상기 스텝(391)은 복수의 발판 단차부(392)와, 이들 발판 단차부(392)를 지지하는 측판부(393, 394(394a,394b))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판 단차부(392)는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주행 크롤러 장치(381)로부터 멀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의 위치가 어긋나고,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92)를 상기 측판부(393, 394(394b))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빈(7) 내외를 향하는 오퍼레이터의 동선에 따라 상기 각 발판 단차부(392)를 위치시키는 것이 되고, 상기 캐빈(7)으로의 승강성을 각별히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스텝(391)에 대한 상기 주행 크롤러 장치(381)의 간섭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캐빈(7)의 좌우 하방에 연료 탱크(11)를 배치하고, 상기 주행 기체(2)와 상기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92)의 사이에 상기 연료 탱크(11)의 급유구(28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급유구(283)의 옆으로 상기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92)가 위치하는 것이 되고, 상기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92) 상에 급유 용기를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연료 탱크(11)에 급유할 수 있다. 상기 급유 용기를 높게 들어 올릴 필요가 없어 노동력을 경감해서 급유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연료 탱크(11) 측면에 어떠한 장해물이 간섭할 우려를 상기 스텝(391)의 존재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1 : 트랙터 2 : 주행 기체
3 : 전 차륜 4 : 후 차륜
7 : 캐빈 8 : 조종 좌석
10 : 스텝 11 : 연료 탱크
14 : 엔진 프레임 15 : 기체 프레임
17 : 미션 케이스 229 : 테일 파이프
283 : 급유구 300 : 캐빈 프레임
301 : 전 지주 302 : 후 지주
303 : 전 보부재 304 : 후 보부재
305 : 측 보부재 306 : 지붕체
331 : 전 상단 지지 스테이 333 : 전 상단 작업등
335 : 후 상단 지지 스테이 336 : 후 부착편
337 : 후 상단 작업등 338 : 전 중단 지지 스테이
339 : 전 복합등 340 : 전 중단 작업등
343 : 후 하단 지지 스테이 344 : 후 복합등
345 : 후 하단 작업등 351 : 발판 단차부
352 : 전 측판부 353 : 후 측판부
361 : 아우터 루프 362 : 이너 루프
363 : 후부 커버 364 : 공기 조화기
366 : 외기 도입구 380 : 트랙터
381 : 주행 크롤러 장치 389 : 주행 크롤러
391 : 스텝 392 : 발판 단차부
393 : 전 측판부 394a : 상단측의 후 측판부
394b : 하단측의 후 측판부
3 : 전 차륜 4 : 후 차륜
7 : 캐빈 8 : 조종 좌석
10 : 스텝 11 : 연료 탱크
14 : 엔진 프레임 15 : 기체 프레임
17 : 미션 케이스 229 : 테일 파이프
283 : 급유구 300 : 캐빈 프레임
301 : 전 지주 302 : 후 지주
303 : 전 보부재 304 : 후 보부재
305 : 측 보부재 306 : 지붕체
331 : 전 상단 지지 스테이 333 : 전 상단 작업등
335 : 후 상단 지지 스테이 336 : 후 부착편
337 : 후 상단 작업등 338 : 전 중단 지지 스테이
339 : 전 복합등 340 : 전 중단 작업등
343 : 후 하단 지지 스테이 344 : 후 복합등
345 : 후 하단 작업등 351 : 발판 단차부
352 : 전 측판부 353 : 후 측판부
361 : 아우터 루프 362 : 이너 루프
363 : 후부 커버 364 : 공기 조화기
366 : 외기 도입구 380 : 트랙터
381 : 주행 크롤러 장치 389 : 주행 크롤러
391 : 스텝 392 : 발판 단차부
393 : 전 측판부 394a : 상단측의 후 측판부
394b : 하단측의 후 측판부
Claims (6)
- 주행 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과, 상기 캐빈 프레임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를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지붕체는, 외장인 아우터 루프와, 상기 캐빈의 천장을 구성하는 이너 루프와, 후부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에 탑재한 엔진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테일 파이프를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일방에 구비하고, 상기 지붕체의 내부를 상기 이너 루프와 상기 후부 커버에 의하여 전후 2실로 구획하고, 상기 후부 커버측이 되는 후실측에 공기 조화기를 수용하고, 상기 아우터 루프의 좌우 측부 중 상기 테일 파이프와 반대측에 있어서의 후부측에, 상기 후실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기 프레임체를 장착한 외기 도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아우터 루프의 측부로의 개구부가 하향으로 경사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우터 루프의 좌우 방향의 단부보다, 상기 외기 도입구가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작업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은 좌우 한쌍의 전 지주와, 좌우 한쌍의 후 지주와, 상기 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와, 상기 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 지주와 상기 후 지주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 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붕체의 후실을 상기 후 보부재보다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후실을 상기 후 보부재로 지지하고, 상기 각 후 지주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에 후 상단 작업등을 부착하고 있는 작업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등구 부재를 부착한 지지 스테이를 상기 캐빈 프레임에 설치하고 있는 작업 차량.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은 좌우 한쌍의 전 지주와, 좌우 한쌍의 후 지주와, 상기 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와, 상기 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 지주와 상기 후 지주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 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전 지주의 상하 중도부에 설치한 상기 지지 스테이에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전 복합등 및 전 중단 작업등을 부착하고, 상기 각 후 지주의 하부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에는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후 복합등 및 후 하단 작업등을 부착하고 있는 작업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은 좌우 한쌍의 전 지주와, 좌우 한쌍의 후 지주와, 상기 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 보부재와, 상기 후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 보부재와, 전후로 배열되는 상기 전 지주와 상기 후 지주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 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 보부재의 길이 중도부에 설치한 좌우 한쌍의 지지 스테이에 전 상단 작업등을 각각 부착하는 한편, 상기 각 후 지주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에는 후 상단 작업등을 부착하고 있는 작업 차량.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 상단 작업등을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전 보부재와 겹치도록 위치시키고 있는 작업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070505 | 2014-03-28 | ||
JP2014070506A JP2015189450A (ja) | 2014-03-28 | 2014-03-28 | 作業車両 |
JPJP-P-2014-070506 | 2014-03-28 | ||
JP2014070505A JP2015189449A (ja) | 2014-03-28 | 2014-03-28 | 作業車両 |
JPJP-P-2014-071937 | 2014-03-31 | ||
JP2014071937A JP2015193306A (ja) | 2014-03-31 | 2014-03-31 | 作業車両 |
PCT/JP2015/059524 WO2015147233A1 (ja) | 2014-03-28 | 2015-03-26 | 作業車両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1666A Division KR20200092427A (ko) | 2014-03-28 | 2015-03-26 | 작업 차량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0584A KR20160140584A (ko) | 2016-12-07 |
KR102140360B1 true KR102140360B1 (ko) | 2020-08-03 |
Family
ID=541957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0263A KR102140360B1 (ko) | 2014-03-28 | 2015-03-26 | 작업 차량 |
KR1020207021666A KR20200092427A (ko) | 2014-03-28 | 2015-03-26 | 작업 차량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1666A KR20200092427A (ko) | 2014-03-28 | 2015-03-26 | 작업 차량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315709B2 (ko) |
EP (1) | EP3127787B1 (ko) |
KR (2) | KR102140360B1 (ko) |
CN (1) | CN106103248B (ko) |
WO (1) | WO201514723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30559A (ja) | 2014-07-30 | 2016-03-07 | ヤンマー株式会社 | 作業車両 |
JP6946206B2 (ja) * | 2018-02-08 | 2021-10-06 |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作業車両 |
JP6562428B1 (ja) * | 2018-03-27 | 2019-08-21 | 三菱ロジスネクスト株式会社 | 産業車両および照明装置 |
JP6529100B1 (ja) * | 2018-03-30 | 2019-06-12 | 三菱ロジスネクスト株式会社 | 産業車両 |
JP7159083B2 (ja) * | 2019-03-06 | 2022-10-24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車両 |
JP7307523B2 (ja) * | 2019-09-27 | 2023-07-12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自動車 |
JP7031652B2 (ja) * | 2019-12-26 | 2022-03-08 | 井関農機株式会社 | 作業車両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7902A (ja) * | 2001-10-19 | 2003-05-08 | Kubota Corp | 作業車の運転部構造 |
JP2007308031A (ja) * | 2006-05-18 | 2007-11-29 | Kubota Corp | 作業車の外気導入構造 |
JP2008273248A (ja) * | 2007-04-25 | 2008-11-13 | Iseki & Co Ltd | キャビン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4686U (ja) * | 1993-10-14 | 1995-05-09 | 三菱農機株式会社 | キャビン型トラクタにおける走行用補助備品の取付フレーム |
JP3138386B2 (ja) | 1994-07-08 | 2001-02-26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車の操縦パネル |
US5634525A (en) * | 1994-10-05 | 1997-06-03 |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 Split engine hood for tractors |
US5495910A (en) * | 1994-10-05 | 1996-03-05 |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 Radiator seals for rear hinged tractor hood |
JPH08133123A (ja) | 1994-11-07 | 1996-05-28 | Kubota Corp | キャビンのアウタールーフ |
JP3269992B2 (ja) | 1997-08-25 | 2002-04-02 | 株式会社クボタ | キャビン付トラクタ |
US6167977B1 (en) * | 1999-01-15 | 2001-01-02 | Case Corporation | Easy-install, two-position tractor hood |
JP4499897B2 (ja) | 2000-09-04 | 2010-07-07 | ヤンマー株式会社 | 空気調和機を取り付けるキャビンの構造 |
JP3625757B2 (ja) * | 2000-09-20 | 2005-03-02 | 株式会社クボタ | 農用トラクター |
JP2002347435A (ja) | 2001-05-25 | 2002-12-04 | Toyota Industries Corp | 産業車両用通気装置 |
WO2003036138A1 (fr) * | 2001-10-22 | 2003-05-01 | Yanmar Agricultural Equipment Co.,Ltd. | Vehicule a transmission hydraulique |
JP2004345367A (ja) | 2003-05-20 | 2004-12-09 | Yanmar Co Ltd | 農作業車 |
US7575081B2 (en) * | 2004-03-29 | 2009-08-18 | Kubota Corporation | Work vehicle |
JP4387965B2 (ja) * | 2004-08-31 | 2009-12-24 | ヤンマー株式会社 | トラクタ |
JP4531627B2 (ja) * | 2005-05-19 | 2010-08-25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フレーム構造体およびフレーム構造体の連結部材 |
US8033899B2 (en) * | 2005-08-31 | 2011-10-11 | Kubota Corporation | Cabin for a work vehicle |
US7836982B2 (en) * | 2005-10-27 | 2010-11-23 | Yanmar Co., Ltd. | Compact crawler type tractor |
JP2008007055A (ja) | 2006-06-30 | 2008-01-17 | Iseki & Co Ltd | キャビンの空調装置 |
US8100212B2 (en) * | 2008-03-24 | 2012-01-24 | Kubota Corporation | Tractor |
JP5184387B2 (ja) * | 2009-01-09 | 2013-04-17 | ヤンマー株式会社 | ボンネット構造 |
JP5374222B2 (ja) * | 2009-03-09 | 2013-12-25 | ヤンマー株式会社 | アウタールーフ用防水構造 |
JP2011042304A (ja) * | 2009-08-24 | 2011-03-03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作業車両 |
JP2011046303A (ja) * | 2009-08-27 | 2011-03-10 | Iseki & Co Ltd | トラクタのキャビン |
JP5653740B2 (ja) | 2010-12-14 | 2015-01-14 | 三菱農機株式会社 | 作業車両における作業灯及びアンテナの配置構造 |
JP2012126346A (ja) | 2010-12-17 | 2012-07-05 | Iseki & Co Ltd | トラクタキャビンの防音装置 |
JP5911758B2 (ja) * | 2011-07-29 | 2016-04-27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車の排気装置 |
JP5678872B2 (ja) * | 2011-11-29 | 2015-03-04 | 井関農機株式会社 | 作業車両 |
JP5840098B2 (ja) * | 2012-09-26 | 2016-01-06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車の排気処理装置接続構造 |
-
2015
- 2015-03-26 EP EP15769530.5A patent/EP3127787B1/en active Active
- 2015-03-26 KR KR1020167020263A patent/KR10214036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3-26 CN CN201580013284.0A patent/CN10610324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3-26 KR KR1020207021666A patent/KR20200092427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5-03-26 WO PCT/JP2015/059524 patent/WO201514723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
- 2016-09-28 US US15/278,277 patent/US1031570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7902A (ja) * | 2001-10-19 | 2003-05-08 | Kubota Corp | 作業車の運転部構造 |
JP2007308031A (ja) * | 2006-05-18 | 2007-11-29 | Kubota Corp | 作業車の外気導入構造 |
JP2008273248A (ja) * | 2007-04-25 | 2008-11-13 | Iseki & Co Ltd | キャビン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315709B2 (en) | 2019-06-11 |
EP3127787A1 (en) | 2017-02-08 |
WO2015147233A1 (ja) | 2015-10-01 |
KR20160140584A (ko) | 2016-12-07 |
KR20200092427A (ko) | 2020-08-03 |
CN106103248A (zh) | 2016-11-09 |
CN106103248B (zh) | 2019-04-30 |
EP3127787B1 (en) | 2018-12-19 |
US20170015368A1 (en) | 2017-01-19 |
EP3127787A4 (en) | 2018-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0360B1 (ko) | 작업 차량 | |
KR102155404B1 (ko) | 작업 차량 | |
KR102140429B1 (ko) | 작업 차량 | |
JP2015112880A (ja) | キャビンのルーフ構造 | |
JP6216281B2 (ja) | トラクタ | |
JP6346001B2 (ja) | トラクタ | |
WO2015147231A1 (ja) | 作業車両 | |
JP6177176B2 (ja) | 作業車両 | |
JP2015189450A (ja) | 作業車両 | |
JP2015189449A (ja) | 作業車両 | |
JP2015193306A (ja) | 作業車両 | |
JP2008184016A (ja) | クローラ式作業車両 | |
JP6309363B2 (ja) | 作業車両 | |
JP6258796B2 (ja) | 作業車両 | |
KR20200035487A (ko) | 작업 차량 | |
JP6148612B2 (ja) | キャビンのフロントガラス取付構造 | |
JP6148611B2 (ja) | キャビンのフレーム構造 | |
JP2016145038A (ja) | 作業車 | |
JP2013126876A (ja) | 作業車 | |
JP2016008036A (ja) | 作業車両 | |
JP2011046380A (ja) | 作業車 | |
JP2013126875A (ja) | 作業車 | |
JP2008080871A (ja) | 作業車の排水構造 | |
JP2015112881A (ja) | キャビンのドア構造 | |
JP2015112882A (ja) | キャビンの空調ダクト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