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046B1 - 2차원 및 3차원 공간 상에서의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Google Patents
2차원 및 3차원 공간 상에서의 가상 음상 정위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9046B1 KR102149046B1 KR1020140083959A KR20140083959A KR102149046B1 KR 102149046 B1 KR102149046 B1 KR 102149046B1 KR 1020140083959 A KR1020140083959 A KR 1020140083959A KR 20140083959 A KR20140083959 A KR 20140083959A KR 102149046 B1 KR102149046 B1 KR 1021490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tual sound
- loudspeakers
- loudspeaker
- sound source
- panning coeffici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7—Two-channel systems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1—Positioning of individual sound objects, e.g. moving airplane, within a sound fie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음상 정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음상 정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그룹핑 기반의 패닝 기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K가 3일 때 공간 그룹핑 기반의 패닝 기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 그룹핑 기반의 패닝 기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K가 4일 때 공간 그룹핑 기반의 패닝 기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02: 라우드스피커 렌더러
103: 결정부
104: 렌더링부
Claims (20)
- 입력 채널에 대응하는 가상 음원을 재생하기 위해 출력 채널에서 사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스피커들의 재생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렌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라우드스피커들의 재생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라우드스피커들로 구성된 재생 영역을 삼각형 형태의 복수의 세부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가상 음원이 위치하는 세부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세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라우드스피커들의 패닝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패닝 계수는, 백터 기반 진폭 패닝(vector based amplitude panning: VBAP)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패닝 계수는,
3차원 공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라우드스피커로 구성된 재생 영역을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가상 음원이 재생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세부 영역과 관련된 라우드스피커에 파워를 할당할 수 있도록 결정되고,
상기 패닝 계수는,
상기 라우드스피커가 표준화된 출력 포맷에서 정의하는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우드스피커의 수평각과 수직각 및 상기 라우드스피커에 매핑되는 출력 신호들이 재생되는 라우드스피커들에 대한 거리 차이(distance variation)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스피커들은, 2차원 공간 또는 3차원 공간에 존재하는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라우드스피커가 2개인 경우, 상기 2개의 라우드스피커들을 연결하는 원주에 대응하는 재생 영역을 복수의 세부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상기 가상 음원이 위치하는 세부 영역을 판단하는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라우드스피커가 K개(K>3)인 경우, 상기 라우드스피커들로 구성된 재생 영역을 X개(X≥K)의 세부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상기 가상 음원이 위치하는 세부 영역을 판단하는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출력 채널에서 사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스피커들로 구성된 재생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재생 영역을 삼각형 형태의 복수의 세부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가상 음원이 위치한 세부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세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닝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렌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패닝 계수는, 백터 기반 진폭 패닝(vector based amplitude panning: VBAP)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패닝 계수는,
3차원 공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라우드스피커로 구성된 재생 영역을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가상 음원이 재생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세부 영역과 관련된 라우드스피커에 파워를 할당할 수 있도록 결정되고,
상기 패닝 계수는,
상기 라우드스피커가 표준화된 출력 포맷에서 정의하는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우드스피커의 수평각과 수직각 및 상기 라우드스피커에 매핑되는 출력 신호들이 재생되는 라우드스피커들에 대한 거리 차이(distance variation)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스피커들은, 2차원 공간 또는 3차원 공간에 존재하는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라우드스피커가 2개인 경우, 상기 2개의 라우드스피커들을 연결하는 원주에 대응하는 재생 영역을 복수의 세부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상기 가상 음원이 위치하는 세부 영역을 판단하는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라우드스피커가 K개(K>3)인 경우, 상기 라우드스피커들로 구성된 재생 영역을 X개(X≥K)의 세부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상기 가상 음원이 위치하는 세부 영역을 판단하는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평면 상에 위치한 라우드스피커들을 이용하여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상에 위치한 라우드스피커를 이용하여 패닝 계수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 수평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평면 상에 위치한 라우드스피커를 이용하여 패닝 계수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 수직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패닝 계수는,
3차원 공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라우드스피커로 구성된 재생 영역을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가상 음원이 재생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세부 영역과 관련된 라우드스피커에 파워를 할당할 수 있도록 결정되고,
상기 패닝 계수는,
상기 라우드스피커가 표준화된 출력 포맷에서 정의하는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우드스피커의 수평각과 수직각 및 상기 라우드스피커에 매핑되는 출력 신호들이 재생되는 라우드스피커들에 대한 거리 차이(distance variation)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삭제
- 삭제
- 라우드스피커들이 2차원 공간 또는 3차원 공간 상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패닝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라우드스피커들이 2차원 공간에 위치한 경우, 수평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패닝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라우드스피커들이 3차원 공간에 위치한 경우, 수직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패닝 계수는,
3차원 공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라우드스피커로 구성된 재생 영역을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가상 음원이 재생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세부 영역과 관련된 라우드스피커에 파워를 할당할 수 있도록 결정되고,
상기 패닝 계수는,
상기 라우드스피커가 표준화된 출력 포맷에서 정의하는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우드스피커의 수평각과 수직각 및 상기 라우드스피커에 매핑되는 출력 신호들이 재생되는 라우드스피커들에 대한 거리 차이(distance variation)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출력 채널에서 사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스피커들로 구성된 재생 영역을 분할한 삼각형 형태의 세부 영역에 기초하여 가상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패닝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렌더링하는 렌더링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패닝 계수는, 백터 기반 진폭 패닝(vector based amplitude panning: VBAP)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패닝 계수는,
3차원 공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라우드스피커로 구성된 재생 영역을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가상 음원이 재생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세부 영역과 관련된 라우드스피커에 파워를 할당할 수 있도록 결정되고,
상기 패닝 계수는,
상기 라우드스피커가 표준화된 출력 포맷에서 정의하는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우드스피커의 수평각과 수직각 및 상기 라우드스피커에 매핑되는 출력 신호들이 재생되는 라우드스피커들에 대한 거리 차이(distance variation)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라우드스피커 렌더러. - 평면 상에 위치한 라우드스피커들을 이용하여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패닝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렌더링하는 렌더링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라우드스피커들이 2차원 공간에 위치한 경우, 수평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라우드스피커들이 3차원 공간에 위치한 경우, 수직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패닝 계수는,
3차원 공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라우드스피커로 구성된 재생 영역을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가상 음원이 재생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세부 영역과 관련된 라우드스피커에 파워를 할당할 수 있도록 결정되고,
상기 패닝 계수는,
상기 라우드스피커가 표준화된 출력 포맷에서 정의하는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우드스피커의 수평각과 수직각 및 상기 라우드스피커에 매핑되는 출력 신호들이 재생되는 라우드스피커들에 대한 거리 차이(distance variation)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라우드스피커 렌더러. - 라우드스피커들이 2차원 공간 또는 3차원 공간 상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패닝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렌더링하는 렌더링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라우드스피커들이 2차원 공간에 위치한 경우, 수평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라우드스피커들이 3차원 공간에 위치한 경우, 수직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음원을 위한 패닝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패닝 계수는,
3차원 공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라우드스피커로 구성된 재생 영역을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세부 영역들 중 재생하고자 하는 가상 음원이 재생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세부 영역과 관련된 라우드스피커에 파워를 할당할 수 있도록 결정되고,
상기 패닝 계수는,
상기 라우드스피커가 표준화된 출력 포맷에서 정의하는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우드스피커의 수평각과 수직각 및 상기 라우드스피커에 매핑되는 출력 신호들이 재생되는 라우드스피커들에 대한 거리 차이(distance variation)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라우드스피커 렌더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711353960.6A CN107968985B (zh) | 2013-07-05 | 2014-07-07 | 在二维及三维空间上的虚拟声像定位方法 |
US14/758,719 US20160112820A1 (en) | 2013-07-05 | 2014-07-07 | Virtual sound image localization method for two dimensional and three dimensional spaces |
CN201480008005.7A CN104982040B (zh) | 2013-07-05 | 2014-07-07 | 在二维及三维空间上的虚拟声像定位方法 |
PCT/KR2014/006053 WO2015002517A1 (ko) | 2013-07-05 | 2014-07-07 | 2차원 및 3차원 공간 상에서의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9116 | 2013-07-05 | ||
KR20130079263 | 2013-07-05 | ||
KR1020130079263 | 2013-07-05 | ||
KR20130079116 | 2013-07-05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5612A Division KR20200105455A (ko) | 2013-07-05 | 2020-08-21 | 2차원 및 3차원 공간 상에서의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5477A KR20150005477A (ko) | 2015-01-14 |
KR102149046B1 true KR102149046B1 (ko) | 2020-08-28 |
Family
ID=524772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3959A Active KR102149046B1 (ko) | 2013-07-05 | 2014-07-04 | 2차원 및 3차원 공간 상에서의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KR1020200105612A Ceased KR20200105455A (ko) | 2013-07-05 | 2020-08-21 | 2차원 및 3차원 공간 상에서의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5612A Ceased KR20200105455A (ko) | 2013-07-05 | 2020-08-21 | 2차원 및 3차원 공간 상에서의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112820A1 (ko) |
KR (2) | KR102149046B1 (ko) |
CN (2) | CN10498204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82184A1 (ko) * | 2015-05-08 | 2016-11-1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입체 음향 재생 방법 및 장치 |
US9942687B1 (en) | 2017-03-30 | 2018-04-10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ystem for localizing channel-based audio from non-spatial-aware applications into 3D mixed or virtual reality space |
CN109391896B (zh) * | 2018-10-29 | 2021-05-18 | 中国传媒大学 | 一种音效生成方法及装置 |
CN109286888B (zh) * | 2018-10-29 | 2021-01-29 | 中国传媒大学 | 一种音视频在线检测与虚拟声像生成方法及装置 |
EP3709171A1 (en) * | 2019-03-13 | 2020-09-16 | Nokia Technologies Oy | Audible distractions at locations external to a device |
CN111954146B (zh) * | 2020-07-28 | 2022-03-01 | 贵阳清文云科技有限公司 | 虚拟声环境合成装置 |
CN118678286B (zh) * | 2024-08-06 | 2024-11-26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72370A1 (en) * | 2001-05-15 | 2002-11-21 | Akitaka Ito | Surround sound field reproduction system and surround sound field reproduction method |
US20080232617A1 (en) * | 2006-05-17 | 2008-09-25 | Creative Technology Ltd | Multichannel surround format conversion and generalized upmix |
US20090129603A1 (en) * | 2007-11-15 | 2009-05-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to decode audio matrix |
JP2011211312A (ja) * | 2010-03-29 | 2011-10-20 | Panasonic Corp | 音像定位処理装置及び音像定位処理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646055A1 (de) * | 1996-11-07 | 1998-05-14 | Thomson Brandt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bildung von Schallquellen auf Lautsprecher |
EP1761110A1 (en) * | 2005-09-02 | 2007-03-07 | E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 Method to generate multi-channel audio signals from stereo signals |
JP2009077379A (ja) * | 2007-08-30 | 2009-04-09 | Victor Co Of Japan Ltd | 立体音響再生装置、立体音響再生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EP2154911A1 (en) * | 2008-08-13 | 2010-02-17 |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patial output multi-channel audio signal |
US20130003998A1 (en) * | 2010-02-26 | 2013-01-03 | Nokia Corporation | Modifying Spatial Image of a Plurality of Audio Signals |
-
2014
- 2014-07-04 KR KR1020140083959A patent/KR102149046B1/ko active Active
- 2014-07-07 CN CN201480008005.7A patent/CN10498204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7-07 CN CN201711353960.6A patent/CN107968985B/zh active Active
- 2014-07-07 US US14/758,719 patent/US2016011282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0
- 2020-08-21 KR KR1020200105612A patent/KR20200105455A/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72370A1 (en) * | 2001-05-15 | 2002-11-21 | Akitaka Ito | Surround sound field reproduction system and surround sound field reproduction method |
US20080232617A1 (en) * | 2006-05-17 | 2008-09-25 | Creative Technology Ltd | Multichannel surround format conversion and generalized upmix |
US20090129603A1 (en) * | 2007-11-15 | 2009-05-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to decode audio matrix |
JP2011211312A (ja) * | 2010-03-29 | 2011-10-20 | Panasonic Corp | 音像定位処理装置及び音像定位処理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5455A (ko) | 2020-09-07 |
CN107968985A (zh) | 2018-04-27 |
CN104982040B (zh) | 2018-01-12 |
US20160112820A1 (en) | 2016-04-21 |
CN107968985B (zh) | 2020-03-10 |
CN104982040A (zh) | 2015-10-14 |
KR20150005477A (ko) | 2015-0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9046B1 (ko) | 2차원 및 3차원 공간 상에서의 가상 음상 정위 방법 | |
JP7493559B2 (ja) | 空間的に拡散したまたは大きなオーディオ・オブジェクトの処理 | |
KR102561608B1 (ko) |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 |
KR102380192B1 (ko) | 다채널 오디오 신호의 바이노럴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
IL290671B1 (en) | Transform audio objects with visible size into arbitrary speaker arrays | |
CN111869241B (zh) | 用于使用多通道扬声器系统的空间声音再现的装置和方法 | |
EP3332557B1 (en) | Processing object-based audio signals | |
EP3318070B1 (en) | Determining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from stereo recordings | |
KR102323529B1 (ko) | 복합 차수 앰비소닉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
US11032639B2 (en) | Determining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from stereo recordings | |
US20240235511A9 (en) | Rendering method of preventing object-based audio from clipping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
US20230345197A1 (en) | Method of rendering object-based audio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 |
WO2018211984A1 (ja) | スピーカアレイ、および信号処理装置 | |
CN118511545A (zh) | 用于上混/重混/下混应用的多声道音频处理 | |
KR20150009426A (ko) |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스 및 채널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
HK1255002B (en) | Determining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from stereo record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12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905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7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7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