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449B1 - Bever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Beverage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7449B1 KR102147449B1 KR1020180138708A KR20180138708A KR102147449B1 KR 102147449 B1 KR102147449 B1 KR 102147449B1 KR 1020180138708 A KR1020180138708 A KR 1020180138708A KR 20180138708 A KR20180138708 A KR 20180138708A KR 102147449 B1 KR102147449 B1 KR 1021474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up
- closing
- cup body
- beve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65D47/28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용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는: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컵몸체와, 컵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는 컵커버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컵커버의 하측에 연결되며 컵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for a beverage container is disclosed.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p body that forms an inner space in which beverages are stored, the upper side is opened, a cup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cup body, and an elastic material,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up cov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가 컵몸체와 컵커버의 사이로 흘러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capable of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beverage flows out between the cup body and the cup cover.
일반적으로, 테이크 아웃 전문점 등에서 판매되는 커피나 음료수는 음료용기에 저장된 상태로 판매되거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음료용기를 구매하여 음용하기 위한 음료를 보관하거나 음용하기도 한다.In general, coffee or beverages sold in take-out specialty stores are sold in a state stored in a beverage container, or a user individually purchases a beverage container to store or drink beverages for drinking.
음료용기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컵이나 텀블러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음료 용기에 컵 커버가 구비된 경우, 컵 커버는 출렁이는 음료가 넘치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컵을 들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컵 커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Beverage containers are made of various shapes such as cups or tumblers with an open upper side. When a beverag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cup cover, the cup cover prevents spilling or spilling of a floating beverage and allows the cup to be held and safely moved. In addition, a user can easily consume a beverage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cup cover.
종래에는 컵몸체에 들어 있는 음료가 컵몸체와 컵커버의 사이를 통해 외측으로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body flows outwar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up body and the cup cover.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5217호(2013.08.27 공개, 발명의 명칭: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에 게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3-0095217 (published on August 27, 2013, title of invention: cup lid and its portable protective ca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가 컵몸체와 컵커버의 사이로 흘러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capable of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flowing out between the cup body and the cup cover.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컵몸체와, 컵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는 컵커버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컵커버의 하측에 연결되며 컵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p body that forms an inner space in which beverages are stored and has an open upper side, a cup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cup body, and an elastic material,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up cov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또한 컵커버는, 컵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덮는 커버플레이트와, 커버플레이트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윙부재와, 윙부재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개폐부를 통과한 음료가 컵몸체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p cover includes a cover plate covering the opening of the cup body, a wing member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cover plate, and a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wing member, and the beverag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up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groove that forms a passage for being.
또한 컵커버는, 커버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p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fixing portion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cover plate and made of a hook shape.
또한 개폐부는, 커버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의 막을 형성하는 개폐몸체와, 개폐몸체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커버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돌기부 및 개폐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부고정부에 걸리는 후크 형상의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part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plate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opening/closing body and the opening/closing body forming a convex film toward the upper side, the operation protrus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opening/closing body and protruding upward of the cover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shaped lower fixing portion that is hooked to the upper fix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컵몸체에 장착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음료의 배출 유형을 조절하는 배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up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discharge type of the beverage by the rotating operation.
또한 배출제어부는, 컵몸체의 내측에 걸리는 제어몸체 및 제어몸체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음료의 배출 유형에 따라 다른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body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up body and a control body install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rol body and forming a groove of a different shap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discharge.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개폐부가 컵몸체의 입구를 개폐하므로 음료가 컵몸체와 컵커버의 사이로 흘러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 which elastic deformation is made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of the cup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beverage flows out between the cup body and the cup co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제어부에 구비된 복수의 배출부 위치에 따라 음료의 배출 유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dispensing type of beverage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discharging units provided in the discharging control unit,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컵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음료의 배출 통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ecaus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beverage is made easily according to the slide movement of the cup co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가 컵몸체의 입구를 차폐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가 컵몸체와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상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하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배출홈부가 컵몸체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에 배출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hields the entrance of the cup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cup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cup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up cover is slid and moved so that the discharge groove portion is located above the cup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가 컵몸체의 입구를 차폐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가 컵몸체와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상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하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배출홈부가 컵몸체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에 배출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hields the entrance of the cup body,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cup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ccording to,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cup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groove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p body by sliding the cup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perspective view,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는,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컵몸체(10)와, 컵몸체(10)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는 컵커버(40)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컵커버(40)의 하측에 연결되며 컵몸체(10)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60) 및 컵몸체(10)에 장착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음료의 배출 유형을 조절하는 배출제어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10, the
컵몸체(10)는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컵몸체(10)는 제1부재(12)와 걸림턱(14)과 제2부재(16)와 걸림단부(18)를 포함한다.The
제1부재(12)는 컵몸체(10)의 하부를 형성하며, 물이나 음료 등이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한다. 제1부재(12)는 컵의 형상을 하며, 제1부재(12)의 상측에는 걸림턱(14)이 구비된다. 걸림턱(14)은 제1부재(12)와 단차를 이루며 제1부재(12)의 상단에서 제1부재(1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The
제2부재(16)는 걸림턱(14)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측이 개구되어 물이나 음료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2부재(16)의 상단에 구비되는 걸림단부(18)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부재(16)의 상단에서 제2부재(16)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컵커버(40)와 결합되어 컵커버(4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을 안내한다.The
배출제어부(20)는 컵몸체(10)에 장착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음료의 배출 유형을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제어부(20)는 제어몸체(24)와 조절부(30)를 포함한다.The
제어몸체(24)는 탄성을 가지는 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몸체(24)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거나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몸체(24)는 컵몸체(10)의 내측에 수평방향이나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의 막을 형성하며, 컵몸체(10)의 내측에 걸리는 형상으로 설치된다.The
조절부(30)는 제어몸체(24)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음료의 배출 유형에 따라 다른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제어몸체(24)는 상측을 향하여 볼록하거나 평평한 원판 형상이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30)는 제1배출부(32)와 제2배출부(34)와 제3배출부(36)를 포함한다. 제1배출부(32)의 배출홀부는 제2배출부(34)의 배출홀부 보다 구멍의 크기가 크며, 제2배출부(34)의 배출홀부는 제3배출부(36)의 배출홀부 보다 구멍의 크기가 크게 형성된다.The
제1배출부(32)는 작은 얼음 등 비교적 체적이 큰 내용물을 배출할 때 사용하거나, 한번에 많은 유체를 배출하려 할 때 사용한다. 제2배출부(34)는 얼음이나 찻잎 등을 제외한 물만 배출하기 원할 때 사용한다. 제3배출부(36)는 소량의 물을 배출하기 원할 때 사용한다.The
이러한 배출제어부(20)는 일체로 형성되며,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된다.The
또한 컵커버(40)는, 컵몸체(10)의 개구된 입구를 덮는 커버플레이트(42)와, 커버플레이트(42)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윙부재(44)와, 윙부재(44)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개폐부(60)를 통과한 음료가 컵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홈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컵커버(40)는, 커버플레이트(42)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고정부(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컵커버(40)는 컵몸체(10)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며, 컵몸체(10)의 상측 단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음료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40)는, 커버플레이트(42)와 윙부재(44)와 배출홈부(46)와 제1테두리부재(48)와 가이드돌기(52)와 제2테두리부재(54)와 연결홀부(55)와 상부고정부(56)를 포함한다.The
커버플레이트(42)는 컵몸체(10)의 개구된 입구를 덮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42)는 컵커버(40)의 몸체를 형성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필요에 따라 입체감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플레이트(42)는 컵몸체(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컵커버(40)는 개폐부(60)의 상측에 위치하며, 개폐부(60)의 조작돌기부(64)가 컵몸체(1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42)는 컵몸체(10)의 상단 형상에 대응하게 원판 형상에 가깝게 형성된다.The
커버플레이트(42)에서 돌출된 윙부재(44)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커버플레이트(42)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윙부재(44)는 커버플레이트(42)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윙부재(44)의 사이에는 배출홈부(46)가 구비된다.Two
따라서 컵커버(4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컵몸체(10)의 상부를 커버하는 경우에는 커버플레이트(42)가 컵몸체(10)의 상부를 차폐한다. 또는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 컵커버(40)가 컵몸체(10)의 상측 일부를 개방할 경우, 컵커버(4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배출홈부(46)가 컵몸체(10)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때 윙부재(44)에 연결된 제1테두리부재(48)는 컵몸체(10)의 걸림단부(18)에 걸려서 컵커버(40)의 추가 이동을 구속한다.Therefore, when the
배출홈부(46)는 윙부재(44)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배출제어부(20)를 통과한 음료가 컵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홈부(46)는 윙부재(44)의 사이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The
제1테두리부재(48)는 윙부재(44)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굽어지며, 배출홈부(46)가 컵부재의 입구에 위치한 상태에서 컵커버(40)의 상측 단부에 걸려서 커버플레이트(42)의 일측 방향 이동을 구속한다. 제1테두리부재(48)는 윙부재(44)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굽어져서 컵몸체(10)의 걸림단부(18) 외측에 걸린다. 제1테두리부재(48)는 배출홈부(46)가 컵몸체(1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걸림단부(18)의 외측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되므로, 컵커버(4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The
제2테두리부재(54)는 커버플레이트(42)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굽어지며, 커버플레이트(42)가 컵부재의 입구를 차폐한 상태에서 컵커버(40)의 상측 단부에 걸려서 커버플레이트(42)의 타측 방향 이동을 구속한다. 제1테두리부재(48)와 제2테두리부재(54)는 서로 연결되며, 컵커버(40)의 슬라이드 이동시 컵커버(40)가 설정된 지점 이상으로 이동됨을 구속하여 컵커버(40)의 슬라이드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The
가이드돌기(52)는 제1테두리부재(48)와 제2테두리부재(54)의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컵몸체(10)의 걸림단부(18) 하측에 걸려서 커버플레이트(42)의 수평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돌기(52)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걸림단부(18)의 하측에 걸린 상태로 설치된다.The
커버플레이트(42)의 중앙에는 연결홀부(55)가 형성된다. 커버플레이트(4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결홀부(55)를 통해 개폐부(60)의 조작돌기부(64)가 상측으로 돌출된다.A
커버플레이트(42)부의 내측에는 개폐부(60)의 하부고정부(65)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고정부(56)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고정부(56)는, 커버플레이트(42)의 하측에서 개폐부(60)를 향한 하부로 연장되는 상부고정몸체(57)와, 상부고정몸체(57)의 단부와 마주하는 외측면에 후크 형상의 돌기를 형성하는 상부돌기(58)를 포함한다.An upper fixing
상부고정몸체(57)는 원호 형상을 따라 곡면을 형성하며 하측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고정몸체(57)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The
그리고 상부고정몸체(57)의 외측면에는 상부돌기(58)가 설치되므로 개폐부(60)가 상부돌기(58)에 걸려서 고정된다.And since the
개폐부(6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컵커버(40)의 하측에 연결되며, 컵몸체(10)의 입구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60)는, 개폐몸체(62)와 조작돌기부(64)와 하부고정부(65)를 포함한다.The opening/closing
개폐몸체(62)는 커버플레이트(42)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의 막을 형성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조작돌기부(64)는 개폐몸체(62)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커버플레이트(42)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이다. 조작돌기부(64)는 커버플레이트(42)의 연결홀부(55)를 통해 커버플레이트(4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The
하부고정부(65)는 개폐몸체(6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부고정부(56)에 걸리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고정부(65)는, 개폐몸체(62)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하부고정몸체(66)와, 하부고정몸체(66)의 상측에서 내측으로 굽어져서 상부돌기(58)에 걸리는 하부돌기(67)를 포함한다.The
하부고정부(65)가 상부고정부(56)에 걸리므로 조작돌기부(64)를 하측으로 가압할 때 하부고정부(65)는 하측으로 이동됨이 구속되고, 상측으로 볼록한 개폐몸체(62)가 평평하게 변형되거나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변형된다.Since the lower fixin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state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커버(40)의 하측에 설치된 개폐부(60)가 컵몸체(10)의 내측에 접하며 컵몸체(10)와 컵커버(40)의 사이로 음료가 배출됨을 차단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돌기부(64)를 하측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개폐몸체(62)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컵커버(40)의 내측으로 개폐몸체(62)가 이동된다.And as shown in Figure 4, the shape of the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커버(4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배출홈부(46)가 컵몸체(10)의 입구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되며, 배출홈부(46)를 통해 컵몸체(10)에 담긴 음료를 마실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9, by the operation of sliding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스 음료 등을 마실 때 얼음이 배출제어부(20)에 걸려서 컵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됨을 차단한다. 또한 잎을 우려내서 먹는 녹차를 포함한 차 음료를 먹을 경우에도 차의 잎이 배출제어부(20)에 걸려서 컵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됨을 차단한다.As shown in FIG. 10, when drinking an iced beverage, the ice is caught by the
컵몸체(10)에 얼음을 포함한 음료가 있을 경우, 배출홈부(46) 보다 작은 크기의 얼음과 함께 음료를 마시고 싶을 경우, 제1배출부(32)가 배출홈부(46)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컵커버(40)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1배출부(32)와 배출홈부(46)가 마주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제1배출부(32)를 통해 얼음과 함께 음료를 마신다.When there is a drink containing ice in the
따라서 사용자가 배출제어부(20)를 돌리는 동작만으로 컵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음료의 배출 유형을 조절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control the type of discharge of the beverag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개폐부(60)가 컵몸체(10)의 입구를 개폐하므로 음료가 컵몸체(10)와 컵커버(40)의 사이로 흘러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제어부(20)에 구비된 복수의 배출부 위치에 따라 음료의 배출 유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컵커버(4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음료의 배출 통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ing/clos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음료용기
10: 컵몸체 12: 제1부재 14: 걸림턱 16: 제2부재 18: 걸림단부
20: 배출제어부 24: 제어몸체 30: 조절부 32: 제1배출부 34: 제2배출부 36: 제3배출부
40: 컵커버 42: 커버플레이트 44: 윙부재 46: 배출홈부 48: 제1테두리부재 52: 가이드돌기 54: 제2테두리부재 55: 연결홀부
56: 상부고정부 57: 상부고정몸체 58: 상부돌기
60: 개폐부 62: 개폐몸체 64: 조작돌기부 65: 하부고정부 66: 하부고정몸체 67: 하부돌기1: beverage container
10: cup body 12: first member 14: locking jaw 16: second member 18: locking end
20: discharge control unit 24: control body 30: control unit 32: first discharge unit 34: second discharge unit 36: third discharge unit
40: cup cover 42: cover plate 44: wing member 46: discharge groove 48: first frame member 52: guide protrusion 54: second frame member 55: connection hole
56: upper fixing part 57: upper fixing body 58: upper protrusion
60: opening and closing part 62: opening and closing body 64: operating protrusion 65: lower fixing portion 66: lower fixing body 67: lower protrusion
Claims (6)
상기 컵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는 컵커버;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컵커버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컵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컵커버는,
상기 컵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덮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플레이트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윙부재;
상기 윙부재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폐부를 통과한 음료가 상기 컵몸체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홈부;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A cup body that forms an inner space in which a beverage is stored and has an upper side open;
A cup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inlet of the cup body; And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up cove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cup body,
The cup cover,
A cover plate covering the opened inlet of the cup body;
A wing member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cover plate;
A discharge groove part forming a groove on a side surface of the wing member and forming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cup body; And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an upper fixing portion extending to a lower side of the cover plate and having a hook shape.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의 막을 형성하는 개폐몸체;
상기 개폐몸체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돌기부; 및
상기 개폐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고정부에 걸리는 후크 형상의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 opening and closing body positioned under the cover plate and forming a convex film toward the upper side;
A manipulation protrus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ver plate; And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a hook-shaped lower fix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and being hooked to the upper fixing portion.
상기 컵몸체에 장착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음료의 배출 유형을 조절하는 배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 or 4,
A beverage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ing control unit mounted on the cup body and controlling a discharging type of beverage by a rotating operation.
상기 컵몸체의 내측에 걸리는 제어몸체; 및
상기 제어몸체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음료의 배출 유형에 따라 다른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charge control unit,
A control body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up body; And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n adjustment unit install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rol body and forming a groove having a different shap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dischar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8708A KR102147449B1 (en) | 2018-11-13 | 2018-11-13 | Beverage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8708A KR102147449B1 (en) | 2018-11-13 | 2018-11-13 | Beverage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5266A KR20200055266A (en) | 2020-05-21 |
KR102147449B1 true KR102147449B1 (en) | 2020-08-24 |
Family
ID=7091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8708A KR102147449B1 (en) | 2018-11-13 | 2018-11-13 | Beverage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7449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1442B1 (en) * | 2011-11-18 | 2013-10-22 | 이진규 | Cover apparatus for cup |
KR101814199B1 (en) * | 2016-07-08 | 2018-01-02 | 주식회사 비비앤티티 | Beverage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1022A (en) * | 2008-04-21 | 2009-10-26 | 한철수 | Cup with cap |
-
2018
- 2018-11-13 KR KR1020180138708A patent/KR10214744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1442B1 (en) * | 2011-11-18 | 2013-10-22 | 이진규 | Cover apparatus for cup |
KR101814199B1 (en) * | 2016-07-08 | 2018-01-02 | 주식회사 비비앤티티 | Beverage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5266A (en) | 2020-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K2690995T3 (en) | Container closure device | |
JP5442006B2 (en) | Plunger filter beverage manufacturer with liquid inlet that can be closed | |
US5680951A (en) | Flow control cover for a cup | |
AU2005226867B2 (en) | Container lid | |
US6101924A (en) | Coffee maker | |
USRE45375E1 (en) | Cooking vessel top to prevent boil over of liquids | |
US6216903B1 (en) | Bi-directional operating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 |
US8727163B2 (en) | Splash resistant lids, container assemblies including such lids and related methods | |
AU2010251119A1 (en) | Dispensing cap | |
KR102050965B1 (en) | Tumbler | |
US6481337B1 (en) | Controlling mechanism of beverage infusion container | |
US20080223222A1 (en) | Baking or Heating Pot Provided With Adjustable Device For Inner Vapours Breathing | |
US4942976A (en) | Container closure with spigot valve | |
KR102147449B1 (en) | Beverage container | |
EP2455326B1 (en) | Improved, portable beverage-dispensing device for use by groups | |
CN112027301A (en) | Carafe lid and extension assembly, system and method | |
WO1985004086A1 (en) | Drinking vessel | |
KR20090000477U (en) | A cup lid | |
KR101814199B1 (en) | Beverage container | |
KR200488128Y1 (en) | A cup lid | |
US7222759B2 (en) | Beverage container with one-way valve assembly | |
US20190127124A1 (en) | Beverage Container Cover | |
KR20170052358A (en) | Tumbler | |
KR102250271B1 (en) | Beverage container | |
EP4327700A2 (en) | Tumbler with vent shiel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