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928B1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Upper Cabinet - Google Patents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Upper Cabin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0928B1 KR102130928B1 KR1020190160269A KR20190160269A KR102130928B1 KR 102130928 B1 KR102130928 B1 KR 102130928B1 KR 1020190160269 A KR1020190160269 A KR 1020190160269A KR 20190160269 A KR20190160269 A KR 20190160269A KR 102130928 B1 KR102130928 B1 KR 1021309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door
- stopper
- mounting portion
- horizontal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 등의 진동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부 가구장의 도어 또는 가구장의 서랍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and more specifically,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to prevent the door of the upper furniture cabinet or a drawer of the furniture cabinet from opening automatically when vibrations such as earthquakes are detected. It is about the device.
일반적으로 수납가구는 각종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가구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다.Generally, the storage furniture is furniture used to store and store various items, and 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이때, 상기 도어는 가구 본체에 설치되는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여닫이 방식으로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거나, 도어의 측방향으로 밀어서 당기는 미닫이 방식으로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door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by a hinged method that rotates around a hinge installed in the furniture body, or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by sliding the door in a sliding direction.
그러나 지진 등의 상황으로 인해 큰 진동이 가구로 전달되어 가구가 흔들릴 경우, 도어가 열리고, 수납공간에 수납된 각종 물품이 외부로 쏟아져 나오게 되며, 이로 인해 물품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 아래 사람이 있을 경우 심각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However, when a larg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furniture due to an earthquake or the like, and the furniture is shaken, the door is opened, and various item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re poured out, and, of course, damage to the product may occur. Anyone under it can cause serious damage.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가구 도어의 잠금이 자체적으로 활성화되어 가구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그릇 등의 생활용품이 가구 외부로 유출되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e prior art, when a vibration occurs due to an earthquake, the locking of the furniture door is activated by itself so that household items such as dishes stored in the furniture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r falling outside the furniture. One locking device is disclosed.
구체적으로 도시된 도 1을 참조하면, 잠금장치는 가구 본체에 설치된 도어락본체유닛(10)에 제1록킹유닛(11)이 시소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어락본체유닛(10)의 내부에는 가구의 진동 발생시 낙하하면서 제1록킹유닛(11)의 한쪽 단부를 눌러줌으로서 제1록킹유닛(11)의 시소운동을 유도하는 하중부가유닛(12)이 설치되며, 상기 가구 본체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마련된 도어에는 상기 제1록킹유닛(11)의 시소운동에 의해 제1록킹유닛(11)과 결합되어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는 제2록킹유닛(미도시됨)이 설치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1, the lock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door
이러한 잠금장치는 지진으로 인한 가구의 진동시 도어락본체유닛(10)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하중부가유닛(12)이 낙하하고, 이로 인해 제1록킹유닛(11)이 작동하면서 도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지진 등의 상황에서 가구의 내부에 수납된 물품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such a locking device, when the furniture vibrates due to an earthquake, the load-adding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잠금장치의 경우, 하중부가유닛(12)의 무게를 이용하여 제1록킹유닛(11)이 작동하는 방식을 갖고 있어 작동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지진 진동 방향의 불규칙함으로 인하여 하중부가유닛(12)이 제1록킹유닛(11)의 상하이동부(13)로 낙하지 못하고 다른 위치로 떨어질 때 안정된 작동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 그리고 잠금을 풀기 위해서는 도어락본체유닛(10)에 설치된 원상회복가압유닛(14)을 사용자가 직접 눌러주어야만 하나 도어락본체유닛(10)은 가구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관계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조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locking devic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지진 등의 외력 전달시 연동작동하는 작동수단을 통해 상부 가구장을 개폐하는 도어를 고정할 수 있는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capable of fixing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 upper furniture cabinet through an operation means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external forces such as earthquakes. There is this.
또한, 부품이 조립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고, 부품의 손상시 해당되는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that can be easily combined or separated as the parts are configured in an assembly structure and replace the corresponding parts when the parts are damag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자동잠금장치는 상부 가구장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하부 끝단에 장착되고, 도어 결합공이 형성되는 수평면과 상기 도어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수직면이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도어 걸림 고정구; 상기 상부 가구장의 하부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상부 하우징 장착부가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기 도어 걸림 고정구의 수평면이 삽입되는 고정구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 장착부와 대응하는 내부에 하부 하우징 장착부가 형성되며, 외측에는 잠금수단 장착부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상하부 하우징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가구장에 전달되는 충격에 따른 볼의 이동시 작동하는 작동수단;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잠금수단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시 스톱퍼가 수직상승되어, 상기 수평면의 도어 결합공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한다.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interior of the upper furniture cabinet, the horizontal surface on which the door coupling hole is formed and the vertical surface fixed through the fastener to the door are formed in a right angle shape A door lock fixture; An upper housing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urniture cabinet, an upper housing mounting portion formed therein, and an outer fixed space for inserting a horizontal surface of the door locking fixture; A lower hous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a lower housing mounting portion formed inside corresponding to the upper housing mounting portion, and a locking means mounting portion formed outside; An operating means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housing mounting portions and operating when the ball is moved according to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upper furniture cabinet; And a locking means mounted on the locking means mounting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and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when the stopper is vertically raised when the operating means is operated, so as to fit into the door engaging hole of the horizontal surface.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구획벽을 기준으로 일 측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도어 걸림 고정구를 구성하는 수평면이 삽입되는 고정구 삽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하부 끝단에 상부 수평면과 스톱퍼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수평면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의 장착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 벽과 상기 상부 본체의 구획벽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안내홈이 구비된 수직 가이드로 구성되는 상부 하우징 장착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 장착부의 외부에 위치한 상부 본체의 장착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하우징 체결돌기로 구성되는 상부 하우징 체결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has an upper horizontal surface and a stopper through hol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so that a mounting space is formed inside one side based on the partition wall, and a fastener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horizontal surface constituting the door locking fixture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 upper body on which a lower horizontal surface is formed; An upper housing mounting portion formed in a mounting space of the upper body and composed of a vertical guide with a guide wall for limit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operating means and a guide groove vertically mounted to the partition wall of the upper body; It includes; and the upper housing fastening portion consisting of a housing fastening protrusions are formed spaced apart in the mounting space of the upper body located outside the upper housing mount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hole is coupled.
여기서, 상기 상부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 수평면의 끝단에 수직 걸림돌기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 본체를 구성하는 구획벽의 중앙에는 하부 하우징에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 돌출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at the end of the upper horizontal surface constituting the upper body, vertical locking projections are proj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 projecting guide into which a part is inserted into the lower housing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artition wall constituting the upper body.
또한, 상기 도어 걸림 고정구를 구성하는 수평면의 도어 결합공과 상부 본체의 스톱퍼 관통공 및 스톱퍼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끝단은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oor engaging hole of the horizontal surface constituting the door locking fixture and the stopper through hole and stopper of the upper body may be formed in a planar rectangular shape, and both ends may be protruded toward the outside or the inside.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통로가 형성되는 구획벽을 기준으로 일 측 내부에 상부 하우징 장착부를 구성하는 가이드 벽과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 가이드 벽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잠금수단 장착공간과 간격을 두고 스프링 지지돌기가 형성된 잠금수단 장착부가 형성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하부 가이드 벽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작동 가이드 홈이 형성되면서 끝단 부분에 회전구 장착홈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장착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 장착부의 외부에 위치한 하부 본체의 장착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하우징 체결돌기로 구성되는 하부 하우징 체결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has a lower guide wall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guide wall constituting an upper housing mounting portion inside one side based on a partition wall in which a passage is formed, and a spring is supported at a distance from the locking means mounting space on the other side. A lower body on which a locking means mounting portion having a projection is formed; A lower housing mounting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lower guide wall of the lower body, and an operating guide groove being formed in the center, and a rotating hole mounting groove formed at an end portion; It includes; and a lower housing fastening portion consisting of a housing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spaced apart in the mounting space of the lower body located outside the lower housing mount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hole is coupled.
여기서, 상기 작동 가이드 홈과 대응하는 가이드 벽과 하부 가이드 벽에는 스톱퍼 지지홈이 형성된 상하부 스톱퍼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스톱퍼 지지부는 하부 스톱퍼 지지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upper and lower stopper supports having stopper support grooves are formed on the guide wall and the lower guide w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guide groove, and the upper stopper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stopper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회전구 장착홈은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가압 지지구의 작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대칭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 지지구의 끝단 부분에는 지지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ry groove mounting groove is formed to be symmetrically inclined to limit the operating range of the pressure support constituting the operation means, the end portion of the pressure support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그리고 상기 작동수단은 측면상 "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 작동구의 수직면에는 스프링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볼 작동구의 수평면의 끝단에는 고정 지지홈이 형성되는 볼 작동구; 일 단이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가이드 벽에 지지되고 타측은 볼 작동구의 스프링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작동 스프링; 상기 수직 가이드구의 회전구 장착홈에 배치되고, 볼이 수직 가이드구의 내부에서만 작동되도록 하는 가압 지지구; 및 상기 볼 작동구와 가압 지지구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작동 가이드 홈의 상부에 설치되고, 진동 및 충격에 따라 상기 작동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압 지지구의 볼 접촉판을 작동시키는 구 형상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operating means is formed in a "b" shaped on the side, a spring support projection is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ball operating tool, a ball operating tool having a fixed support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ball operating tool; One end is supported by the guide wall of the lower housing and the other side is an operating spring supported by a spring support projection of the ball actuator; A pressing support which is disposed in a rotating hole mounting groove of the vertical guide hole and allows the ball to operate only inside the vertical guide hole; And a ball having a spherical shape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ball operating tool and the pressing support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guide groove and moves along the operating guide groove according to vibration and impact to operate the ball contact plate of the pressing support.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 끝단에는 고정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스톱퍼; 및 일 측이 상기 스톱퍼의 상부 내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잠금수단 장착부의 스프링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means is a lower opening is opene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a stopper is formed on the inner lower end fixed stop projection; And a plurality of springs, one side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topp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upported by a spring support projection of the locking means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는 지진 등의 외력 전달시 연동작동하는 작동수단을 통해 상부 가구장을 개폐하는 도어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가구장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fix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upper furniture cabinet through an operation means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external forces such as earthquakes, but also prevents damage to the goods received inside the upper furniture cabine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inimized.
또한,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는 조립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품의 손상시 해당되는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is composed of an assembly structure, so that it is not only easy to combine or separate, but also has the effect of replacing the corresponding parts when the parts are damaged.
도 1은 종래의 가구용 자동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의 저면도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하우징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작동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8의 볼 작동구와 가압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잠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잠금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housing constituting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and 5 (b) is a bottom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housing constituting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housing constituting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 and 7 (b)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housing constituting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means constituting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ll operating tool and the pressing support of Figure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ans constitut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cking means constitut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or “comprising” mean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의 저면도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하우징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작동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8의 볼 작동구와 가압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잠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잠금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housing constitut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are automatic locking devices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housing constituting th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housing constituting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7 (a) and 7 (b) is an upper por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8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wer housing constitut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 furniture cabinet, and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operating means constitut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of FIG.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tool and a pressing support,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ans constitut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lock form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eans.
본원발명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100)는 도어 걸림 고정구(200), 상부 하우징(300), 하부 하우징(400), 작동수단(500), 잠금수단(600)을 포함한다. The
상기 도어 걸림 고정구(200)는 도어(20)에 장착된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걸림 고정구(200)는 상부 가구장(10)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20)의 하부 끝단에 장착된다. 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도어 걸림 고정구(200)는 도어 결합공(222)이 형성되는 수평면(220)과 상기 도어(20)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수직면(240)이 직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즉, 상기 도어 걸림 고정구(200)은 수평면(220)과 수직면(240)이 직각으로 절곡형성되면서 상기 수직면(240)이 도어(20)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도어(20)의 작동시 함께 이동하게 된다. That is, the
상기 상부 하우징(300)은 상부 가구장(10)의 하부에 장착된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300)은 도어 걸림 고정구(20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상부 가구장(10)의 하부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300)은 구획벽(311)을 기준으로 일 측 내부에 장착공간(31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도어 걸림 고정구(200)를 구성하는 수평면(220)이 삽입되는 고정구 삽입공간(34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하부 끝단에 상부 수평면(313)과 스톱퍼 관통공(315)이 형성된 하부 수평면(314)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310)와 상기 상부 본체(310)의 장착공간(312)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수단(500)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 벽(321)과 상기 상부 본체(310)의 구획벽(311)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안내홈(323)이 구비된 수직 가이드(322)로 구성되는 상부 하우징 장착부(320) 및 상기 상부 하우징 장착부(320)의 외부에 위치한 상부 본체(310)의 장착공간(312)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332)이 형성된 하우징 체결돌기(331)로 구성되는 상부 하우징 체결부(330)로 구성된다. And the
즉, 상기 상부 하우징(300)은 구획벽(311)과 장착공간(312)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310)의 장착공간(312)으로 상부 하우징 장착부(32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 장착부(320)의 외부에 위치한 장착공간(312)에는 체결구를 통해 상부 가구장(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332)이 구비된 하우징 체결돌기(331)를 형성하며,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부 수평면(313)과 하부 수평면(314)을 통해 상기 도어 걸림 고정구(200)의 수평면(220)이 삽입되는 고정구 삽입공간(340)을 형성하게 된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상부 본체(310)를 구성하는 상부 수평면(313)의 끝단에는 수직 걸림돌기(316)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즉, 상기 상부 본체(310)는 상부 수평면(313)의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수직 걸림돌기(316)를 통해 상부 가구장(10)에 상부 본체(310)를 밀착 지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본체(310)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상부 본체(310)를 구성하는 구획벽(311)의 중앙에는 하부 하우징(400)에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 돌출 가이드(317)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즉, 상기 상부 상부 본체(310)는 구획벽(311)에 형성되는 하부 돌출 가이드(317)를 통해서 하부 하우징(400)과 결합시 결합 위치를 안내하면서도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when the upper
여기서, 상기 수평면(220)의 도어 결합공(222)은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끝단은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잠금수단(600)을 구성하는 스톱퍼(62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것이다. Here, the
상기 하부 하우징(400)은 상부 하우징(300)의 하부에 결합된다. The
즉, 상기 하부 하우징(400)은 상부 하우징(300)과 결합되면서 내부에 잠금수단(600)을 수용하게 된다. That is, the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400)은 통로(412)가 형성되는 구획벽(411)을 기준으로 일 측 내부에 상부 하우징 장착부(320)를 구성하는 가이드 벽(321)과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 가이드 벽(41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잠금수단 장착공간(415)과 간격을 두고 스프링 지지돌기(416)가 형성된 잠금수단 장착부(414)가 형성되는 하부 본체(410)와 상기 하부 본체(410)의 하부 가이드 벽(413)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작동 가이드 홈(421)이 형성되면서 끝단 부분에 회전구 장착홈(422)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 및 상기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의 외부에 위치한 하부 본체(410)의 장착공간(417)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432)이 형성된 하우징 체결돌기(431)로 구성되는 하부 하우징 체결부(430)로 구성된다. And the
즉, 상기 하부 하우징(400)은 일 측에 통로(412)와 구획벽(4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잠금수단 장착공간(415)과 스프링 지지돌기(416)이 형성되는 잠금수단 장착부(414)로 하부 본체(410)를 형성한 후 상기 하부 본체(410)의 하부 가이드 벽(413)에 작동 가이드 홈(421)과 회전구 장착홈(422)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를 형성하게 된다. 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작동 가이드 홈(421)과 대응하는 가이드 벽(321)과 하부 가이드 벽(413)에는 스톱퍼 지지홈(352, 443)이 형성된 상하부 스톱퍼 지지부(351, 442)가 형성된다. Here, upper and lower stopper supports 351 and 442 having
이때, 상기 상부 스톱퍼 지지부(352)는 하부 스톱퍼 지지부(442)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스톱퍼 지지부(442)는 상부 스톱퍼 지지부(35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상기 상부 스톱퍼 지지부(35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 스톱퍼 지지부(44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Specifically, the lower
또한, 상기 회전구 장착홈(422)은 대칭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회전구 장착홈(422)에 장착되는 작동수단(500)을 구성하는 가압 지지구의 작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rotating
상기 작동수단(500)은 상하부 하우징(300, 400)에 설치된다. The operation means 500 is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housing (300, 400).
즉, 상기 작동수단(500)은 상하부 하우징(300, 400)을 구성하는 상하부 하우징 장착부(320, 420)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가구장(10)에 전달되는 충격에 따라 이동하는 볼을 통해 작동하게 된다. That is, the operating means 500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housing mounting parts (320, 420) constituting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300, 400) to operate through a ball moving in response to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upper furniture cabinet (10). do.
그리고 상기 작동수단(500)은 측면상 "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 작동구 수직면(511)에는 스프링 지지돌기(512)가 형성되며, 상기 볼 작동구 수평면(513)의 끝단에는 고정 지지홈(514)이 형성되는 볼 작동구(510)와, 일 단이 상기 하부 하우징(400)의 하부 가이드 벽(413)에 지지되고 타측은 볼 작동구(510)의 스프링 지지돌기(512)에 지지되는 작동 스프링(520)과, 상기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의 회전구 장착홈(422)에 배치되고, 볼(540)이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의 내부에서만 작동되도록 하는 가압 지지구(530) 및 상기 볼 작동구(510)와 가압 지지구(530)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작동 가이드 홈(421)의 상부에 설치되고, 진동 및 충격에 따라 상기 작동 가이드 홈(42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볼 작동구(510) 또는 가압 지지구(530)와 접촉하는 구 형상의 볼(540)으로 구성된다. And the operating means 500 is formed in a "b" shaped on the side, a
즉 상기 작동수단(500)은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에 볼(540)을 장착하고, 상기 볼(540)을 기준으로 양측에 볼 작동구(510)와 가압 지지구(530)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볼(540)의 작동에 따라 볼 작동구(510)는 수평운동하고, 상기 가압 지지구(530)은 볼(54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That is, the operating means 500 is mounted on the lower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수단(500)은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에 위치하는 볼(540)이 볼 작동구(510)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볼 작동구(510)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작동 스프링(520)을 압축시키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이때, 상기 볼 작동구 수평면(513)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 지지홈(514)도 연동작동하여 이동하고, 상기 스톱퍼(620)의 고정 멈춤돌기(622)는 고정 지지홈(514)에 벗어남으로써 스톱퍼(620)는 스프링(640)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xed
반대로, 상기 작동수단(500)은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에 위치하는 볼(540)이 가압 지지구(530)로 이동할 경우, 상기 가압 지지구(530)에 지지 또는 충돌된 후 상기 볼 작동구(510)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볼 작동구(510)는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게 된다. Conversely, when the
그리고 상기 가압 지지구(530)의 끝단 부분은 상기 회전구 장착홈(422)에 원활하게 삽입되면서도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끝단 부분에 지지부 돌기(532)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end portion of the
여기서, 상기 지지부 돌기(532)는 볼 작동구(510)를 구성하는 돌기 지지홈(515)에 삽입장착되어, 상기 볼 작동구(510)의 작동시 가압 지지구(530)와 연동작동하게 된다. Here, the
상기 잠금수단(600)은 하부 하우징(400)의 잠금수단 장착부(414)에 장착된다. The locking means 600 is mounted on the locking means mounting
그리고 상기 잠금수단(600)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621)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 끝단에는 고정 멈춤돌기(622)가 형성되는 스톱퍼(620) 및 일 측이 상기 스톱퍼(620)의 상부 내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잠금수단 장착부(414)의 스프링 지지돌기(416)에 지지되는 스프링(640)으로 구성된다. And the locking means 600, the lower opening is opened, the receiving
즉, 상기 잠금수단(600)은 직사각형의 박스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되는 스톱퍼(620)의 내부에 수용공간(621)을 형성하고, 일 측에는 고정 멈춤돌기(622)을 형성하여, 상기 볼 작동구(5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스톱퍼(620)가 스프링(640)에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locking means 600 forms a receiving
여기서, 상기 고정 몸춤돌기/(622)는 스톱퍼(620)의 고정 및 작동 이외에도 상기 볼 작동구(510)의 작동에 따른 상승시 상기 하부 돌출 가이드(317)에 지지되어서 상기 스톱퍼(620)의 작동구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Here, in addition to the fixing and oper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embodiment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부 가구장(10)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20)의 하부 끝단에 도어 결합공(222)이 형성되는 수평면(220)과 상기 도어(20)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수직면(240)이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도어 걸림 고정구(200)를 장착한다. First, the
다음으로, 통로(412)가 형성되는 구획벽(411)을 기준으로 일 측 내부에 상부 하우징 장착부(320)를 구성하는 가이드 벽(321)과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 가이드 벽(41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잠금수단 장착공간(415)과 간격을 두고 스프링 지지돌기(416)가 형성된 잠금수단 장착부(414)가 형성되는 하부 본체(410)와 상기 하부 본체(410)의 하부 가이드 벽(413)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작동 가이드 홈(421)이 형성되면서 끝단 부분에 회전구 장착홈(422)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 및 상기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의 외부에 위치한 하부 본체(410)의 장착공간(417)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432)이 형성된 하우징 체결돌기(431)로 구성되는 하부 하우징 체결부(430)로 구성되는 하부 하우징(400)을 형성한다. Next, the
여기서, 상기 작동 가이드 홈(421)과 대응하는 가이드 벽(321)과 하부 가이드 벽(413)에는 스톱퍼 지지홈(352, 443)이 형성된 상하부 스톱퍼 지지부(351, 442)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구 장착홈(422)은 대칭 경사지게 형성한다. Here, the
이후, 상기 하부 하우징(400)을 구성하는 구획벽(4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장착공간(417)에 측면상 "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 작동구 수직면(511)에는 스프링 지지돌기(512)가 형성되며, 상기 볼 작동구 수평면(513)의 끝단에는 고정 지지홈(514)이 형성되는 볼 작동구(510)와, 일 단이 상기 하부 하우징(400)의 하부 가이드 벽(413)에 지지되고 타측은 볼 작동구(510)의 스프링 지지돌기(512)에 지지되는 작동 스프링(520)과, 상기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의 회전구 장착홈(422)에 배치되고, 볼(540)이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의 내부에서만 작동되도록 하는 가압 지지구(530) 및 상기 볼 작동구(510)와 가압 지지구(530)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작동 가이드 홈(421)의 상부에 설치되고, 진동 및 충격에 따라 상기 작동 가이드 홈(42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볼 작동구(510) 또는 가압 지지구(530)와 접촉하는 구 형상의 볼(540)으로 구성되는 작동수단(500)을 장착한다. Subsequently, in the mounting
그리고 상기 잠금수단 장착부(414)에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621)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 끝단에는 고정 멈춤돌기(622)가 형성되는 스톱퍼(620) 및 일 측이 상기 스톱퍼(620)의 상부 내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잠금수단 장착부(414)의 스프링 지지돌기(416)에 지지되는 스프링(640)으로 구성되는 잠금수단(600)을 장착한다. And the lower portion is opened to the locking means mounting
다음으로 상기 작동수단(500)이 장착된 하부 하우징(400)의 상부에 구획벽(311)을 기준으로 일 측 내부에 장착공간(31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도어 걸림 고정구(200)를 구성하는 수평면(220)이 삽입되는 고정구 삽입공간(34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하부 끝단에 상부 수평면(313)과 스톱퍼 관통공(315)이 형성된 하부 수평면(314)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310)와 상기 상부 본체(310)의 장착공간(312)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수단(500)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 벽(321)과 상기 상부 본체(310)의 구획벽(311)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안내홈(323)이 구비된 수직 가이드(322)로 구성되는 상부 하우징 장착부(320) 및 상기 상부 하우징 장착부(320)의 외부에 위치한 상부 본체(310)의 장착공간(312)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332)이 형성된 하우징 체결돌기(331)로 구성되는 상부 하우징 체결부(330)로 구성되는 상부 하우징(300)을 장착하면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100)의 조립은 완료된다.Next, the mounting
이때, 상기 상부 본체(310)를 구성하는 상부 수평면(313)의 끝단에 수직 걸림돌기(316)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구획벽(311)의 중앙에는 하부 하우징(400)에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 돌출 가이드(317)를 형성한다. At this time, a
여기서, 상기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진행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it is revealed that the assembly order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다음으로, 상기 도어 걸림 고정구(200)를 제외한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100)를 상부 가구장(10)의 하부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한다. Next, the
즉, 상기 도어 걸림 고정구(200)와 대응되는 상부 가구장(10)을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300)을 밀착시킨 후, 상기 수직 걸림돌기(316)를 상부 가구장(10)의 끝단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 하우징(400)의 하부 하우징 체결부(430)와 상기 상부 하우징(300)의 상부 하우징 체결부(330)에 체결구를 체결하여 상부 가구장(10)에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100)를 고정하게 된다. That is, after adhering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가구장(10)을 개폐하는 도어(20)는 회전작동을 통해 상부 가구장(10)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In this state, the
다음으로, 상기 상부 가구장(10)에 지진 또는 충격이 전달되면 작동수단(500)을 구성하는 볼(540)은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Next, when an earthquake or shock is transmitted to the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수단(500)은 하부 하우징 장착부(420)에 위치하는 볼(540)이 볼 작동구(510)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볼(540)은 볼 작동구(510)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작동 스프링(520)을 압축시키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이때, 상기 볼 작동구 수평면(513)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 지지홈(514)도 연동작동하여 이동하고, 상기 스톱퍼(620)의 고정 멈춤돌기(622)는 고정 지지홈(514)에 벗어남으로써 스톱퍼(620)는 스프링(640)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xed
다음으로, 상기 스톱퍼(620)는 상부 본체(310)를 구성하는 하부 수평면(314)의 스톱퍼 관통공(315)을 관통한 후 상기 도어 걸림 고정구(200)를 구성하는 수평면(220)의 도어 결합공(222)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Next, the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는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상부 가구장(10)을 개방하는 도어(20)를 고정하여, 상기 가구장(10)의 내부 구성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which is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ex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spirits equivalent to or within the equivalent range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상부 가구장 20 : 도어
100 :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200 : 도어 걸림 고정구 220 : 수평면
222 : 도어 결합공 240 : 수직면
300 : 상부 하우징 310 : 상부 본체
311 : 구획벽 312 : 장착공간
313 : 상부 수평면 314 : 하부 수평면
315 : 스톱퍼 관통공 316 : 수직 걸림돌기
317 : 하부 돌출 가이드 320 : 상부 하우징 장착부
321 : 가이드 벽 322 : 수직 가이드
323 : 안내홈 330 : 상부 하우징 체결부
331 : 하우징 체결돌기 332 : 체결공
340 : 고정구 삽입공간 400 : 하우 하우징
410 : 하부 본체 411 : 구획벽
412 : 통로 413 : 하부 가이드 벽
414 : 잠금수단 장착부 415 : 잠금수단 장착공간
416 : 스프링 지지돌기 417 : 장착공간
420 : 하부 하우징 장착부 421 : 작동 가이드 홈
422 : 회전구 장착홈 430 : 하부 하우징 체결부
442 : 하부 스톱퍼 지지부
443 : 스톱퍼 지지홈 500 : 작동수단
510 : 볼 작동구 511 : 볼 작동구 수직면
512 : 스프링 지지돌기 513 : 볼 작동구 수평면
514 : 고정 지지홈 520 : 작동 스프링
530 : 가압 지지구 532 : 지지부 돌기
540 : 볼 600 : 잠금수단
620 : 스톱퍼 621 : 수용공간
622 : 고정 멈춤돌기 640 : 스프링10: upper furniture cabinet 20: door
100: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upper furniture cabinet
200: door jam fixture 220: horizontal plane
222: door engaging hole 240: vertical plane
300: upper housing 310: upper body
311: partition wall 312: mounting space
313: upper horizontal plane 314: lower horizontal plane
315: stopper through-hole 316: vertical locking projection
317: lower protrusion guide 320: upper housing mounting portion
321: guide wall 322: vertical guide
323: guide groove 330: upper housing fastening
331: housing fastening projection 332: fastener
340: Fixture insertion space 400: How housing
410: lower body 411: partition wall
412: passage 413: lower guide wall
414: locking means mounting portion 415: locking means mounting space
416: spring support projection 417: mounting space
420: lower housing mounting portion 421: operation guide groove
422: rotary hole mounting groove 430: lower housing fastening
442: lower stopper support
443: stopper support groove 500: operating means
510: ball tool 511: ball tool vertical surface
512: spring support projection 513: ball operating tool horizontal plane
514: fixed support groove 520: operating spring
530: pressurized support 532: support projection
540: ball 600: locking means
620: stopper 621: accommodation space
622: fixed stopper 640: spring
Claims (9)
상기 상부 가구장의 하부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상부 하우징 장착부가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기 도어 걸림 고정구의 수평면이 삽입되는 고정구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 장착부와 대응하는 내부에 하부 하우징 장착부가 형성되며, 외측에는 잠금수단 장착부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상하부 하우징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가구장에 전달되는 충격에 따른 볼의 이동시 작동하는 작동수단;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잠금수단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시 스톱퍼가 수직상승되어, 상기 수평면의 도어 결합공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구획벽을 기준으로 일 측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도어 걸림 고정구를 구성하는 수평면이 삽입되는 고정구 삽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하부 끝단에 상부 수평면과 스톱퍼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수평면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의 장착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 벽과 상기 상부 본체의 구획벽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안내홈이 구비된 수직 가이드로 구성되는 상부 하우징 장착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 장착부의 외부에 위치한 상부 본체의 장착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하우징 체결돌기로 구성되는 상부 하우징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It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interior of the upper furniture cabinet, the door locking fixture is formed in a right angle shape of the horizontal surface is formed through the fastener and the horizontal surface on which the door coupling hole is formed;
An upper housing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urniture cabinet, an upper housing mounting portion formed therein, and an outer fixed space for inserting a horizontal surface of the door locking fixture;
A lower hous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a lower housing mounting portion formed inside corresponding to the upper housing mounting portion, and a locking means mounting portion formed outside;
An operating means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housing mounting portions and operating when the ball is moved according to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upper furniture cabinet; And
It includes a locking means mounted on the locking means mounting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the stopper is vertically raised when the operation means is operated, and prevents the door from being opened as it is fitted into the door engaging hole of the horizontal surface.
The upper housing,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side one side based on the partition wall, and an upper horizontal surface and a lower horizontal surface formed with a stopper through-hole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so that a fixture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horizontal surface constituting the door locking fixture is inserted is formed. Upper body;
An upper housing mounting portion formed in a mounting space of the upper body and composed of a vertical guide with a guide wall for limit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operating means and a guide groove vertically mounted to the partition wall of the upper body; And
Automatic locking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upper housing fastening part consisting of a housing fastening projections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space of the upper body located outside the upper housing mount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hole is coupled to the fastener is formed Device.
상기 상부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 수평면의 끝단에 수직 걸림돌기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 본체를 구성하는 구획벽의 중앙에는 하부 하우징에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 돌출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upper horizontal surface constituting the upper body,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a lower protruding guide in which a part is inserted into the lower housing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artition wall constituting the upper body.
상기 도어 걸림 고정구를 구성하는 수평면의 도어 결합공과 상부 본체의 스톱퍼 관통공 및 스톱퍼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끝단은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engaging hole of the horizontal surface constituting the door locking fixture and the stopper through hole and stopper of the upper body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 a plan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projected toward the outside or the inside.
통로가 형성되는 구획벽을 기준으로 일 측 내부에 상부 하우징 장착부를 구성하는 가이드 벽과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 가이드 벽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잠금수단 장착공간과 간격을 두고 스프링 지지돌기가 형성된 잠금수단 장착부가 형성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하부 가이드 벽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작동 가이드 홈이 형성되면서 끝단 부분에 회전구 장착홈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장착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 장착부의 외부에 위치한 하부 본체의 장착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하우징 체결돌기로 구성되는 하부 하우징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housing,
The lower guide wall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wall constituting the upper housing mounting portion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on which the passage is formed, and the locking means on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spring support protrusion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means mounting space. A lower body on which a mounting portion is formed;
A lower housing mounting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lower guide wall of the lower body, and an operating guide groove being formed in the center, and a rotating hole mounting groove formed at an end portion; And
Automatic locking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comprising: a lower housing fastening part consisting of a housing fastening protrusion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to which a fastening hole to which a fastener is coupled is arranged at a distance in a mounting space of the lower body located outside the lower housing mounting part Device.
상기 작동 가이드 홈과 대응하는 가이드 벽과 하부 가이드 벽에는 스톱퍼 지지홈이 형성된 상하부 스톱퍼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스톱퍼 지지부는 하부 스톱퍼 지지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upper and lower stopper supports having stopper support grooves are formed on the guide wall and the lower guide w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guide groove,
The upper stopper support is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stopper support.
상기 회전구 장착홈은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가압 지지구의 작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대칭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 지지구의 끝단 부분에는 지지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rotary groove mounting groove is formed to be symmetrically inclined to limit the operating range of the pressing support constituting the operating means, and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ing part projection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pressing support.
측면상 "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면에는 스프링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수평면의 끝단에는 고정 지지홈이 형성되는 볼 작동구;
일 단이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가이드 벽에 지지되고 타측은 볼 작동구의 스프링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작동 스프링;
상기 하부 하우징 장착부의 회전구 장착홈에 배치되고, 볼이 수직 가이드구의 내부에서만 작동되도록 하는 가압 지지구; 및
상기 볼 작동구와 가압 지지구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하부 하우징을 구성하는 작동 가이드 홈의 상부에 설치되고, 진동 및 충격에 따라 상기 작동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압 지지구의 볼 접촉판을 작동시키는 구 형상의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ng means,
Ball actuation device is formed in a "b" shaped on the side, a spring support projection is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a fixed support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surface;
One end is supported by the guide wall of the lower housing and the other side is an operating spring supported by a spring support projection of the ball actuator;
A pressing support disposed in the rotating housing mounting groove of the lower housing mounting part and allowing the ball to operate only inside the vertical guide opening;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ball operating tool and the pressing support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guide groove constituting the lower housing, and moves along the operating guide groove according to vibration and shock to operate the ball contact plate of the pressing support. Ball;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upper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 끝단에는 고정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스톱퍼; 및
일 측이 상기 스톱퍼의 상부 내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잠금수단 장착부의 스프링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means,
A stopper in which a lower portion is opened,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side, and a fixed stopper is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And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n upper furnitur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prings supported on the spring support projection of one side is support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topper and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means mount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0269A KR102130928B1 (en) | 2019-12-05 | 2019-12-05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Upper Cabin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0269A KR102130928B1 (en) | 2019-12-05 | 2019-12-05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Upper Cabin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0928B1 true KR102130928B1 (en) | 2020-07-06 |
Family
ID=7157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0269A Active KR102130928B1 (en) | 2019-12-05 | 2019-12-05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Upper Cabin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092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0803B1 (en) * | 2021-09-24 | 2022-04-01 | 신태영 주식회사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Upper Cabinet |
KR102585803B1 (en) | 2023-05-19 | 2023-10-06 | 주식회사 닥터매직 | Wallflex furinture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URS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9693A (en) * | 1998-02-18 | 1999-08-24 | Okuda Seisakusho:Kk | Housing box having locking function and device in an earthquake |
JP3598160B2 (en) * | 1995-12-22 | 2004-12-08 | 株式会社奥田製作所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storage box with wing |
KR20160051014A (en) | 2014-10-31 | 2016-05-11 | 삼성물산 주식회사 | Door lock apparatus for a furniture |
-
2019
- 2019-12-05 KR KR1020190160269A patent/KR1021309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98160B2 (en) * | 1995-12-22 | 2004-12-08 | 株式会社奥田製作所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storage box with wing |
JPH11229693A (en) * | 1998-02-18 | 1999-08-24 | Okuda Seisakusho:Kk | Housing box having locking function and device in an earthquake |
KR20160051014A (en) | 2014-10-31 | 2016-05-11 | 삼성물산 주식회사 | Door lock apparatus for a furnitur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0803B1 (en) * | 2021-09-24 | 2022-04-01 | 신태영 주식회사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Upper Cabinet |
KR102585803B1 (en) | 2023-05-19 | 2023-10-06 | 주식회사 닥터매직 | Wallflex furinture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URS constru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0928B1 (en)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Upper Cabinet | |
US7980644B2 (en) | Damper and home-bar door apparatus for refrigerator using the same | |
EP3023719A1 (en) | Refrigerator | |
KR100814358B1 (en) | Home Bar Lock | |
KR102055102B1 (en)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furniture | |
CN109696020B (en) | Refrigerator with a door | |
KR102380803B1 (en)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Upper Cabinet | |
KR100689999B1 (en) | Opening shock absorbers for building doors | |
EP3488732B1 (en) | Furniture assembly including a safety device | |
KR101823359B1 (en) | Vibration-responsive automatic locking apparatus and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 |
KR20160051014A (en) | Door lock apparatus for a furniture | |
KR200440800Y1 (en) | Slide rail | |
KR102293778B1 (en) | Door lock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loads in cupboard and household sink | |
JP2006169958A (en) | Earthquake resistant lock device | |
JP3533395B1 (en) | Closer with locking device | |
JP2005336992A (en) | Closing device | |
JP3482438B2 (en) |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 case of earthquake | |
JP3135383U (en) | Stopper for hinged door | |
US5267742A (en) | Shock mount for doors | |
JP2957151B2 (en) | Latch tool | |
KR102617737B1 (en) | A cabinet | |
KR100366505B1 (en) | The damping structure for a chest-type refrigerator | |
KR102617746B1 (en) | A cabinet | |
JP4619696B2 (en) | Seismic latch | |
KR20060038844A (en) | Home Bar Door Opera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