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919B1 -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와 강재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Google Patents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와 강재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6919B1 KR102136919B1 KR1020170175412A KR20170175412A KR102136919B1 KR 102136919 B1 KR102136919 B1 KR 102136919B1 KR 1020170175412 A KR1020170175412 A KR 1020170175412A KR 20170175412 A KR20170175412 A KR 20170175412A KR 102136919 B1 KR102136919 B1 KR 1021369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bar
- steel
- members
- fixing plates
- dam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판 형상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는 제1,2 고정판과; 제1,2 고정판의 일정 거리를 두고 중앙부를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구성되는 일정 길이의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과;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의 일정거리 이격되는 양측에서 제1,2 고정판을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구성되며, 중앙부분에는 중앙부쪽으로 단면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경사부와 단면축소부를 갖는 일정 길이의 변형 유도 강재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2 고정판에 고정된 변형 유도 강재봉의 양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 변위를 가질 때 단면축소부가 탄성 및 소성 변형하여 구조물의 에너지를 감쇠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의 거동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를 포함한 강재 프레임형 제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를 포함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형 제진장치의 단면도이다.
11: 나사산
12: 강재봉 경사부
13: 강재봉 단면축소부
20: 제1 고정판
30: 제2 고정판
21h,31h,22h,32h: 고정홀
40: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
100 :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
110: 상부 수평부재
120: 하부 수평부재
130: 상부 수직부재
140: 하부 수직부재
131,141: 상,하부 수직부재 접합판
132,142: 상,하부 수직부재 앵커볼트
Claims (13)
- 판 형상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는 제1,2 고정판(20,30)과;
제1,2 고정판(20,30)의 일정 거리를 두고 중앙부를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구성되는 일정 길이의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과;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의 일정거리 이격되는 양측에서 제1,2 고정판(20,30)을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구성되며, 중앙부분에는 중앙부쪽으로 단면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경사부(12)와 단면축소부(13)를 갖는 일정 길이의 변형 유도 강재봉(10)과;
제1,2 고정판(20,30)의 외측에 접합되며 일단에 판 형상의 덧댐판(22,32)이 접합되는 일정 길이의 H형 롤빔 연결부재(21,31);를 포함하며,
변형 유도 강재봉(10) 및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은 양단부에 각각 나사산(11)(41)이 형성되고, 변형 유도 강재봉(10)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제1,2 고정판(20,30)에는 각각 고정홀(22h,32h)이 통공되어 형성되며, 고정홀(22h,32h)에 변형 유도 강재봉(10) 양단부가 삽입되어 너트(50)로 고정되며,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제1,2 고정판(20,30)에는 각각 양측의 변형 유도 강재봉(10)의 방향으로 긴 장공의 고정홀(21h,31h)이 통공되어 형성되며, 고정홀(21h,31h)에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 양단부가 삽입되어 너트(50)로 고정되도록 하고,
제1,2 고정판(20,30)에 고정된 변형 유도 강재봉(10)의 양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 변위를 가질 때 단면축소부(13)가 탄성 및 소성 변형하여 구조물의 에너지를 감쇠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 - 삭제
- 삭제
- 구조물의 상층 슬래브 또는 보 하면에 결합되는 상부 수평부재(110);
구조물의 하층 슬래브나 보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 수평부재(120);
상부 수평부재(110)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결합되는 상부 수직부재(130,130);
상부 수직부재에 직렬 이격되어 하부 수평부재(120)의 양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하부 수직부재(140,140);
판 형상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는 제1,2 고정판(20,30)과, 제1,2 고정판(20,30)의 일정 거리를 두고 중앙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일정 길이의 한 쌍의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과,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의 일정거리 이격되는 양측에서 제1,2 고정판(20,3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중앙부분에는 중앙부쪽으로 단면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경사부(12)와 단면축소부(13)를 갖는 일정 길이의 변형 유도 강재봉(10)과, 제1,2 고정판(20,30)의 외측에 접합되며 일단에 판 형상의 덧댐판(22,32)이 접합되는 일정 길이의 H형 롤빔 연결부재(2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부 수직부재(130,130)와 하부 수직부재(140,140) 사이에 설치되는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100)를 포함하되,
변형 유도 강재봉(10) 및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은 양단부에 각각 나사산(11)(41)이 형성되고, 변형 유도 강재봉(10)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제1,2 고정판(20,30)에는 각각 고정홀(22h,32h)이 통공되어 형성되며, 고정홀(22h,32h)에 변형 유도 강재봉(10) 양단부가 삽입되어 너트(50)로 고정되며,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제1,2 고정판(20,30)에는 각각 양측의 변형 유도 강재봉(10)의 방향으로 긴 장공의 고정홀(21h,31h)이 통공되어 형성되며, 고정홀(21h,31h)에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 양단부가 삽입되어 너트(5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하부 수평 부재(110,120)와 상,하부 수직부재(130,140)는 H형 단면으로 압연 주조되는 H형 롤빔으로 구성되고,
상,하부 수직부재(130,140)의 연결부에 접합판(131,141)이 설치되며,
H형 롤빔 연결부재(21,31)의 덧댐판(22,32)과 접합판(131,141)이 서로 볼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하부 수평 부재(110,120)와 상,하부 수직부재(130,140)는 철근콘크리트로 구성되며, 상부 수평부재(110)와 상부 수직부재(130,130)가 ㄷ자 형상으로 일체로 제작되고, 하부 수평부재(120)와 하부 수직부재(140,140)가 ㄷ자 형상으로 일체로 제작되며,
상,하부 수직부재(130,140)에는 앵커볼트(132,142)의 일단이 상,하부 수직부재(130,140)에 미리 매립되고 앵커볼트(132,142)의 타단이 상,하부 수직부재(130,14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H형 롤빔 연결부재(21,31)의 덧댐판(22,32)에서 돌출된 앵커볼트(132,142)가 너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 (a) 판 형상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는 제1,2 고정판(20,30)과, 제1,2 고정판(20,30)의 일정 거리를 두고 중앙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일정 길이의 한 쌍의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과,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의 일정거리 이격되는 양측에서 제1,2 고정판(20,3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중앙부분에는 중앙부쪽으로 단면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경사부(12)와 단면축소부(13)를 갖는 일정 길이의 변형 유도 강재봉(10)과, 제1,2 고정판(20,30)의 외측에 접합되며 일단에 판 형상의 덧댐판(22,32)이 접합되는 일정 길이의 H형 롤빔 연결부재(21,31)를 포함하되, 변형 유도 강재봉(10) 및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은 양단부에 각각 나사산(11)(41)이 형성되고, 변형 유도 강재봉(10)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제1,2 고정판(20,30)에는 각각 고정홀(22h,32h)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고정홀(22h,32h)에 변형 유도 강재봉(10) 양단부가 삽입되어 너트(50)로 고정되며,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제1,2 고정판(20,30)에는 각각 양측의 변형 유도 강재봉(10)의 방향으로 긴 장공의 고정홀(21h,31h)이 통공되어 형성되며, 고정홀(21h,31h)에 연직하중 지지 강재봉(40) 양단부가 삽입되어 너트(50)로 고정되는 강재댐퍼(100) 및 상부 수평부재(110), 상부 수평부재(110)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결합되는 상부 수직부재(130,130)와 하부 수평부재(120), 하부 수평부재(120)의 양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하부 수직부재(140,140)를 제작하는 단계;
(b) 상부 수평부재(110)를 구조물의 상층 슬래브 또는 보 하면에 결합하고 하부 수평부재(120)를 구조물의 하층 슬래브 또는 보 상면에 결합하는 단계; 및
(c) 강재댐퍼(100)를 상부 수직부재(130,130)와 하부 수직부재(140,140)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제진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삭제
- 삭제
- 청구항 9에 있어서,
(a) 단계에서,
상,하부 수평 부재(110,120)와 상,하부 수직부재(130,140)는 H형 단면으로 압연 주조되는 H형 롤빔으로 구성되고, 상,하부 수직부재(130,140)의 연결부에 접합판(131,141)이 설치되며,
(c) 단계에서,
H형 롤빔 연결부재(21,31)의 덧댐판(22,32)과 접합판(131,141)이 서로 볼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제진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a) 단계에서,
상,하부 수평 부재(110,120)와 상,하부 수직부재(130,140)는 철근콘크리트로 구성되며, 상부 수평부재(110)와 상부 수직부재(130,130)가 ㄷ자 형상으로 일체로 제작되고, 하부 수평부재(120)와 하부 수직부재(140,140)가 ㄷ자 형상으로 일체로 제작되며,
(c) 단계에서,
상,하부 수직부재(130,140)에는 앵커볼트(132,142)의 일단이 상,하부 수직부재(130,140)에 미리 매립되고 앵커볼트(132,142)의 타단이 상,하부 수직부재(130,14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H형 롤빔 연결부재(21,31)의 덧댐판(22,32)에서 돌출된 앵커볼트(132,142)가 너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제진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5412A KR102136919B1 (ko) | 2017-12-19 | 2017-12-19 |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와 강재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5412A KR102136919B1 (ko) | 2017-12-19 | 2017-12-19 |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와 강재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4051A KR20190074051A (ko) | 2019-06-27 |
KR102136919B1 true KR102136919B1 (ko) | 2020-07-22 |
Family
ID=6705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5412A Expired - Fee Related KR102136919B1 (ko) | 2017-12-19 | 2017-12-19 |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와 강재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69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54363B (zh) * | 2021-01-07 | 2022-04-22 | 西安建筑科技大学 | 一种钢管防屈曲耗能支撑 |
CN114197674A (zh) * | 2021-12-14 | 2022-03-18 | 河北震安减隔震技术有限公司 | 双向剪切阻尼器 |
US12180741B2 (en) * | 2022-10-17 | 2024-12-31 | Luis Miguel Bozzo Rotondo | Buckling delayed shear link |
CN115749030B (zh) * | 2022-11-28 | 2024-04-09 | 西安建筑科技大学 | 一种带耗能棒的自复位支撑装置 |
CN116479877B (zh) * | 2023-05-15 | 2025-03-21 | 中南大学 | 一种纵横双向耗能减震的装配式锚杆及其施工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5055A (ja) * | 2001-04-03 | 2002-10-09 | Nissan Construction Co Ltd | 建造物に用いる鋼棒制振装置 |
KR100589289B1 (ko) * | 2006-01-06 | 2006-06-14 | 우경건설 주식회사 | 환봉을 이용한 교량용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내진보강공법 |
KR101243024B1 (ko) * | 2011-12-09 | 2013-03-12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칸막이 벽체 시공용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 |
KR101705318B1 (ko) * | 2016-05-23 | 2017-02-09 | 주식회사 유니크내진시스템 | 창호 개방 간주형 건축물 제진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6275A (ja) * | 1991-07-18 | 1993-02-02 | Kajima Corp | 弾塑性ダンパー |
KR100718294B1 (ko) | 2006-07-04 | 2007-08-10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냉간성형강을 이용한 슬림 바닥판용 철골 보 |
-
2017
- 2017-12-19 KR KR1020170175412A patent/KR10213691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5055A (ja) * | 2001-04-03 | 2002-10-09 | Nissan Construction Co Ltd | 建造物に用いる鋼棒制振装置 |
KR100589289B1 (ko) * | 2006-01-06 | 2006-06-14 | 우경건설 주식회사 | 환봉을 이용한 교량용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내진보강공법 |
KR101243024B1 (ko) * | 2011-12-09 | 2013-03-12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칸막이 벽체 시공용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 |
KR101705318B1 (ko) * | 2016-05-23 | 2017-02-09 | 주식회사 유니크내진시스템 | 창호 개방 간주형 건축물 제진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4051A (ko) | 2019-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6919B1 (ko) |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강재댐퍼와 강재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
KR102083066B1 (ko) | 고감쇠 고무 및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복합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
KR101321224B1 (ko) | 전단벽형 제진장치 | |
US20080022610A1 (en) | Composite energy absorbing structure | |
CN110835951A (zh) | 抗震韧性钢管混凝土柱与型钢混凝土梁框架及构建方法 | |
CN107989180B (zh) | 一种偏心支撑框架 | |
JP5908688B2 (ja) |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 | |
JP2014194116A (ja) | 建物の制振構造 | |
JP6791818B2 (ja) | 制震構造物 | |
KR101319698B1 (ko) | 캔틸레버 거동식 강재 댐퍼 | |
JP4664997B2 (ja) | 接合金物を有する建築物 | |
KR102331331B1 (ko) | 건축물의 제진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301143B1 (ko) | 필로티 구조물의 내진보강구조 | |
JP4070117B2 (ja) | 制震装置 | |
JP2010216611A (ja) | 制震用金属板 | |
KR101242978B1 (ko) | 슬릿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칸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 |
KR101487134B1 (ko) | 베어링을 사용한 캔틸레버형 제진장치 | |
KR20130075453A (ko) | 캔틸레버 거동식 콘형 강재 댐퍼 | |
KR102074039B1 (ko) | 파형 웨브가 구성된 강재댐퍼와 강재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
KR20200025362A (ko) |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콘크리트 구조물 | |
KR102074040B1 (ko) | 고감쇠 고무 및 파형 웨브가 구성된 복합댐퍼와 복합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
JP5251933B2 (ja) | 接合金物を有する建築物 | |
JP2011202420A (ja) | 軸部材とrc部材との接合構造及び方法 | |
CN211472842U (zh) | 抗震韧性钢管混凝土柱与型钢混凝土梁框架 | |
KR101438305B1 (ko) | 기둥형 제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9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4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3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9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