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23969B1 - 전동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969B1
KR102123969B1 KR1020180115216A KR20180115216A KR102123969B1 KR 102123969 B1 KR102123969 B1 KR 102123969B1 KR 1020180115216 A KR1020180115216 A KR 1020180115216A KR 20180115216 A KR20180115216 A KR 20180115216A KR 102123969 B1 KR102123969 B1 KR 102123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oll
sealing
orbiting scroll
fixed sc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727A (ko
Inventor
성상훈
박정훈
박경준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5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969B1/ko
Priority to EP19196482.4A priority patent/EP3643920A1/en
Priority to CN201921517064.3U priority patent/CN211449027U/zh
Priority to US16/584,171 priority patent/US20200102956A1/en
Publication of KR2020003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04C2230/602Gap; Cl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70Use of multiplicity of similar components;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8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for other than working fluid, i.e. the sealing arrangements are not between working chambers of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압축기는, 모터실을 구비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모터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 사이에서 선회운동을 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정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스크롤;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스크롤과 프레임 사이에 배압실을 형성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의 사이 및 상기 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축기에 대한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압축기{MOTOR OPERATED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롤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 자동차 부품의 전장화 추세에 따라 모터를 이용하여 전기로 구동되는 전동식 압축기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동식 압축기는 고압축비 운전에 적합한 스크롤 압축 방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크롤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이하, 전동식 압축기로 약칭함)는 특허문헌(미국공개특허 US 2011/0243777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전동식 압축기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주요 부품들이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알루미늄 소재는 주철에 비해 무게는 가볍지만 상대적으로 연성이어서 마모에 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마찰 부위에는 강판 재질의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마모를 줄이고 있다.
특히, 배압실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 플레이트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비하여 배압실의 배압력 외에 플레이트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선회스크롤을 고정스크롤쪽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 사이가 이격되는 것을 억제하여 압축효율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동식 압축기는, 케이싱의 내부를 실링하기 위해서는 실링부재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 실링부재는 앞서 설명한 플레이트와는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허문헌에 제시된 전동식 압축기는 플레이트와 실링부재가 독립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부품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조립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전동식 압축기는, 케이싱의 체결시 그 케이싱의 내주면에 의해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이 간접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나, 이는 케이싱과 프레임, 그리고 고정스크롤에 대한 높은 가공정도를 요구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것은 물론 가공오차 또는 조립오차로 인해 실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었다.
또, 종래의 전동식 압축기는,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이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압축기의 동일 외경 대비 고정스크롤의 외경이 제한되면서 압축용량을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허문헌): US 2011/0243777 A1(2011.10.06.)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줄여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나아가, 선회스크롤과 프레임 사이의 마모를 방지하는 플레이트와 케이싱의 내부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단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나아가, 플레이트와 실링부재를 단일체로 형성하면서도 선회스크롤과 프레임 사이의 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케이싱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싱을 포함한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나아가, 케이싱을 포함한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의 조립시 가공오차 또는 조립오차에 의해 부품들 사이에서의 실링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실을 가지는 메인 하우징, 상기 모터실의 일측을 복개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고정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스크롤, 상기 압축실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토출실을 이루는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에서, 상기 전동식 압축기의 내부를 실링하는 부분과 상기 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사이를 윤활하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동식 압축기를 실링하는 부분은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식 압축기를 실링하는 부분은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부분, 상기 메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실을 구비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모터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 사이에서 선회운동을 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정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스크롤; 및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의 사이 및 상기 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을 마주보는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면에는 상기 선회스크롤과 프레임 사이에 배압실을 형성하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실링부는 상기 실링부재가 접하는 부위보다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슬라이딩부는 상기 실링부재가 접하는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외부에서 그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스크롤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스크롤에는 상기 압축실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수용하도록 토출실을 형성하는 리어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에는 상기 메인 하우징, 프레임, 고정스크롤 및 리어 하우징을 체결하는 볼트가 관통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스크롤이 삽입되는 리어 하우징이 결합되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에는 상기 메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을 체결하는 볼트가 관통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에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스크롤에 결합되는 기준핀이 삽입되도록 기준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스크롤의 일측면을 마주보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면을 마주보는 제2 부분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축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선회스크롤의 자전을 방지하는 자전방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자전방지부재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과 선회스크롤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와 슬라이딩부는 축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와 슬라이딩부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에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스크롤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에 눌려져 밀착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링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돌기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에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된 코팅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실을 구비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모터실에 고정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 상기 선회스크롤에 결합되며, 상기 선회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스크롤; 상기 고정스크롤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실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토출실이 형성되는 리어 하우징; 상기 선회스크롤과 프레임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며, 상기 선회스크롤과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및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회스크롤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미끄러지게 구비되어 상기 상기 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배압실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상기 선회스크롤과 함께 배압실을 이루도록 축방향으로 함몰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바깥쪽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은 동일한 축방향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배압실을 실링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재가 미끄러지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와 슬라이딩부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의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 및 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부가 단일체로 형성된 가스켓 플레이트가 제공됨으로써, 압축기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조립공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실링부에는 실링돌기 또는 탄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실링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슬라이딩부는 조도를 높여 선회스크롤 또는 선회스크롤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가스켓 플레이트와 실링부재 사이에서의 실링효과가 향상됨에 따라, 배압실의 압력이 고르게 유지되어 선회스크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메인 하우징, 프레임, 고정스크롤, 리어 하우징을 일괄 체결함에 따라, 압축기의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과 고정스크롤 사이에 가스켓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함께 체결함에 따라, 가스켓 플레이트의 조립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부재들 사이에서의 실링력이 높일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과 고정스크롤 사이 또는 메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사이에 가스켓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함께 체결함에 따라, 가스켓 플레이트에 대한 조립공수를 줄이면서도 가스켓 플레이트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를 조립하여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에 에 따른 압축부에서 프레임, 선회스크롤, 그리고 고정스크롤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 플레이트가 조립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에서 "Ⅴ-Ⅴ"선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가 프레임과 ㄱ고정스크롤 사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a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에서 실링돌기가 구비된 예를 보인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Ⅵ-Ⅵ"선단면도,
도 10a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에서 코팅면이 구비된 예를 보인 평면도,
도 10b는 도 10a의 "Ⅶ-Ⅶ"선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를 조립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이하, 전동식 압축기로 약칭함)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모듈(101)과, 압축기 모듈(101)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압축기 모듈(101)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버터 모듈(20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축기 모듈(101)과 인버터 모듈(201)은 연속으로 조립되거나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후자를 대표예로 삼아 설명하지만, 전자와 후자가 혼합된 형태로 압축기 모듈과 인버터 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작되되 연속하여 조립될 수도 있다.
압축기 모듈(101)은 내부공간이 모터실(S1)이 형성되는 메인 하우징(110), 메인 하우징(110)의 모터실(S1)에 고정되는 전동부인 구동모터(120)와, 구동모터(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 하우징(110)에 결합되고 후술할 회전축(125)과 선회스크롤(140)을 지지하는 프레임(130), 메인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구동모터(120)의 일측에 구비되고 그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105), 압축부(105)를 중심으로 구동모터(120)의 타측에 결합되어 토출실(S2)을 형성하는 리어 하우징(160)을 포함한다.
메인 하우징(110)은, 지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구동모터(120)와 압축부(105)는 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편의상 도 2의 좌측을 전방측, 우측을 후방측으로 지정하여 설명한다.
메인 하우징(110)은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단은 개구되고 후방단은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반밀폐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메인 하우징의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단 부근에는 냉매를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로 안내하는 흡기구(111)가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모터실(S1)은 일종의 흡입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냉매가 모터실(S1)을 이루는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압축부(105)로 흡입되는 저압식 압축기를 형성하게 된다.
또,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단은 후술할 인버터 하우징(210)이 결합되어 밀봉되고, 메인 하우징(110)의 후방단은 압축부(105)를 지지하는 프레임(130)이 결합되어 거의 밀봉된다.
또, 메인 하우징(130)의 후방단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홈(112)이 형성되고, 체결홈(112)보다 안쪽에는 실링홈(111a)이 형성된다. 실링홈(111a)에는 프레임(130)과의 사이를 실링할 수 있도록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108a)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전동부를 이루는 구동모터(120)는 메인 하우징(110)의 모터실(S1)에 압입되어 결합된다. 구동모터(120)는 메인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자(121)와, 고정자(121)의 내부에 위치하고 그 고정자(121)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자(122)를 포함한다. 회전자(122)에는 그 회전자(122)와 함께 회전하면서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을 압축부(105)에 전달하는 회전축(125)이 결합된다.
고정자(121)는 고정자 코어(1211)가 메인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열박음(열간압입)되어 고정되고, 회전자(122)는 회전자 코어(1221)가 고정자 코어(1211)의 내주면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삽입된다.
회전축(125)의 전방단을 이루는 축부(125a)는 회전자(122)에 일체로 결합되고, 회전축(125)의 후방단을 이루는 메인 베어링부(125b)와 서브 베어링부(125c)는 각각 프레임(130)에 구비되는 제1 베어링(171)과 고정스크롤(150)에 구비되는 제2 베어링(17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125)은 후방단이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에 회전가능하게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는 반면, 전방단은 회전자(122)에 결합된 상태로 자유단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125)은 외팔보 형태로 지지된다.
또, 회전축(125)은 메인 베어링부(125b)와 서브 베어링부(125c)에 편심부(125d)가 축중심에 대해 편심지게 형성되고, 편심부(125d)는 선회스크롤(140)의 회전축 결합부(143)에 구비된 제3 베어링(173)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을 선회스크롤(140)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선회스크롤(140)은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또, 회전축(125)의 후방단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깊이만큼 급유홈(125e)이 형성되고, 급유홈(125e)의 중간에는 각 베어링부(125a,125b,125c)의 외주면을 향해 관통되는 복수 개의 급유구멍(125f1,125f2,125f3)이 각각 형성된다. 급유홈(125e)은 후술할 고정스크롤(150)의 급유공간(157a)에 수용되어 급유안내구멍(158a)을 통해 토출실(S2)에 연통된다. 따라서, 급유홈(125e)과 급유구멍(125f1,125f2,125f3), 급유공간(157a)과 급유안내구멍(158a)은 연속으로 연통되는 급유통로를 이루게 된다.
프레임(130)은 메인 하우징(110)의 후방단에 결합된다. 프레임(13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 하우징(110)의 후방단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30)은 메인 하우징(110)의 외경과 동일한 진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0)의 전방면 중앙에는 제1 축수부(131)가 구동모터(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축수부(131)의 중심에는 축수구멍(13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축수구멍(132)에는 회전축(125)의 메인 베어링부(125b)를 지지하는 제1 베어링(171)이 결합된다. 도면에서 제1 베어링(171)은 부시베어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프레임(130)의 후방면 중앙부에는 올담링(180)이 안착되는 올담링 안착홈(133)이 형성되고, 올담링 안착홈(133)의 중앙부에는 밸런스 웨이트(124)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밸런스웨이트 수용홈(13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130)의 후방면 중앙부에는 올담링 안착홈(133)과 밸런스웨이트 수용홈(134)이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연속하여 단차지게 형성된다. 올담링 안착홈(133)과 밸런스웨이트 수용홈(134)은 앞서 설명한 배압실(S3)을 형성하게 된다.
또,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에는 모터실(S1)의 냉매를 압축실(V)을 이루는 흡입실로 안내하기 위한 흡입통로(135)가 형성되고, 흡입통로(135)보다 바깥쪽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구멍(136)이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한편, 압축부(10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130)에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140)과, 선회스크롤(140)과 맞물려 결합되며 프레임(130)의 후방단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스크롤(또는, 비선회스크롤)(150)을 포함한다. 선회스크롤(140)과 고정스크롤(150)의 사이에는 선회스크롤(140)의 선회운동시 두 개 한 쌍의 압축실(V)을 형성하게 된다.
선회스크롤(140)은 프레임(130)의 후방면에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프레임(130)과 선회스크롤(140)의 사이에는 선회스크롤(140)의 자전을 방지하는 자전방지기구로서의 올담링(180)이 구비된다. 올담링(180)은 프레임(130)의 올담링 안착홈(133)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자전방지기구는 올담링 뿐만 아니라 핀과 링으로 된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 선회스크롤(140)은 선회스크롤 경판부(이하, 선회경판부)(141)가 대략 원판모양으로 형성되고, 선회경판부(141)의 전방면에는 후술할 고정랩(153)과 맞물려 그 고정랩(153)을 기준으로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압축실(V)을 이루는 선회랩(142)이 형성된다.
선회경판부(141)에는 배압실(S3)과 중간압축실(V)을 연통시키는 배압구멍(141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압실(S3)의 압력과 중간압축실의 압력 간 차이에 따라 오일 또는 냉매가 배압실(S3)과 중간압축실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또, 선회경판부(141)의 중심에는 회전축(125)의 편심부(125d)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부(143)가 관통 형성된다. 회전축 결합부(14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축 결합부(143)의 내부에는 회전축(125)의 편심부(125d)와 베어링면을 이루는 제3 베어링(173)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 결합부(또는 제3 베어링)(143)는 선회랩(142)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회전축 결합부(143)는 가장 안쪽에 형성되는 선회랩(142)의 일부가 된다.
한편, 고정스크롤(15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프레임(130)의 후방면에 결합된다. 이 경우,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 사이에는 오링 또는 가스켓과 같은 실링부재(108b)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프레임(130)과 선회스크롤(140) 사이에 가스켓 플레이트(19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그 가스켓 플레이트(190)가 연장되어 일종의 가스켓 역할을 하는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실링부재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실링부의 양측에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고정스크롤(150)은 고정스크롤 경판부(이하, 고정경판부)(151)가 대략 원판모양으로 형성되고, 고정경판부(151)의 전방측 가장자리에는 프레임(130)의 후방측 지지면(이하, 지지면으로 약칭함)(130a)에 결합되는 스크롤 측벽부(152)가 형성된다.
스크롤 측벽부(152)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스크롤 측벽부(152)의 외주면은 고정스크롤(150)의 외벽을 이루며, 스크롤 측벽부(152)의 전방면(152a)은 후술할 실링부재(108c)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에 결합된다. 스크롤 측벽부에 대해서는 실링부재와 함께 다시 설명한다.
고정경판부(151)의 전방면에는 선회랩(142)과 맞물려 압축실(V)을 이루는 고정랩(153)이 형성된다. 고정랩(153)은 선회랩(142)과 함께 인볼류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랩(153)은 선회랩(142)은 회전축(125)이 선회스크롤(140)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경우에는 최종 압축실이 편심진 위치에 형성되면서 압축실 간 압력차가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축관통 스크롤 압축기의 경우 최종 압축실이 스크롤의 중심으로부터 편심지게 형성되면서 한 쪽 압축실의 압력이 다른 쪽 압축실의 압력에 비해 크게 낮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관통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본 실시예와 같이 선회랩(142)과 고정랩(153)을 비 인벌류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 스크롤 측벽부(152)에는 프레임(130)의 프레임측 흡입구멍(135)과 연통되어 냉매를 흡입실로 안내하는 스크롤측 흡입구멍(154)이 형성된다. 스크롤측 흡입구멍(154)은 고정랩(153)과 선회랩(142)이 비대칭형인 경우에는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대칭형인 경우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 고정경판부(151)의 중앙부분에는 최종 압축실(V)을 후술할 토출실(S2)과 연통시켜 냉매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구(155)가 형성된다. 토출구(155)는 압축실(V)에서 토출실(S3)을 향해 고정경판부(151)의 축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55)는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에 모두 연통되도록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에 독립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 고정경판부(151)의 후방면에는 토출구(155)를 개폐하는 토출밸브(156)가 설치된다. 토출밸브(156)는 토추구(155)가 복수 개인 경우 낱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고정경판부(151)의 중심에는 회전축(125)의 서브 베어링부(125c)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제2 축수부(157)가 형성된다. 제2 축수부(157)는 고정경판부(151)에서 리어 하우징(160)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고정경판부(151)의 두께를 두껍게 확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는 고정스크롤(150)의 무게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부분까지 두껍게 형성되면서 토출구(155)의 길이가 길어져 사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와 같이 고정경판부(151)의 일부를 돌출시키되, 예를 들어 토출구(155)가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축방향으로 돌출시켜 제2 축수부(15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축수부(157)는 후방면이 막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는 회전축(125)의 서브 베어링부(125c)와 베어링면을 이루는 제2 베어링(172)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2 베어링(172)은 부시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니들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제2 축수부(157)의 일측에는 회전축(125)의 후방단과 일정 정도 간격을 둔 급유공간(157a)이 형성되고, 급유공간(157a)은 고정경판부(151)에 구비되는 급유안내구멍(158a)을 통해 모터실(S1)에 연통될 수 있다. 급유안내구멍(158a)은 고정경판부(151)의 후방면에 구비되는 돌출부(158)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58)는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스크롤 측벽부(152)의 가장자리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복수 개의 체결구멍(159)이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리어 하우징(160)은 고정스크롤(150)의 후방면에 결합된다. 리어 하우징(160)의 전방면에는 고정스크롤(150)의 후방면과 함께 토출실(S2)을 형성한다. 리어 하우징(160)에는 토출실(S2)과 연통되어 그 토출실(S2)로 토출된 냉매를 배출하는 배기구(161)가 형성되며, 배기구(161)에는 유분리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60)의 가장가리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구멍(162)이 형성된다.
한편, 메인 하우징(110)의 양단 중에서 리어 하우징(160)의 반대쪽, 즉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단에는 인버터 하우징(210)이 결합되어 복개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인버터 하우징(210)은 인버터 모듈(201)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인버터 하우징(210)은 인버터 커버(220)와의 사이에 인버터실(S4)을 형성하게 된다.
인버터실(S4)에는 기판 및 인버터 소자와 같은 인버터 부품(230)을 수용하게 되고, 인버터 하우징(210)과 인버터 커버(220)는 볼트 체결된다. 인버터 커버(220)는 인버터 하우징(210)이 메인 하우징(110)에 먼저 조립된 후 나중에 인버터 하우징(210)에 조립될 수도 있고, 인버터 하우징(210)과 인버터 커버(220)가 먼저 조립된 후에 인버터 하우징(210)을 메인 하우징(1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전자와 후자는 인버터 하우징(210)을 메인 하우징(110)에 조립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08d는 실링부재, 152c는 기준구멍이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구동모터(120)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축(125)이 회전자(122)와 함께 회전을 하면서 선회스크롤(14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선회스크롤(140)은 올담링(180)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압축실(V)은 중심측을 향해 지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체적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면, 냉매는 흡기구(111)를 통해 흡입공간인 모터실(S1)로 유입되고, 모터실(S1)로 유입된 냉매는 구동모터를 통과하여 압축실(V)로 흡입된다.
그러면, 냉매는 선회스크롤(140)과 고정스크롤(150)에 의해 압축되어 토출구(155)를 통해 토출실(S2)로 토출되고, 이 냉매는 토출실(S2)에서 오일이 분리되며, 냉매는 배기구(161)를 통해 냉동사이클로 배출되는 반면 오일은 미스트 상태로 급유통로를 통해 각각의 베어링면으로 공급되며, 이 오일의 일부는 배압실(S3)로 유입되어 선회스크롤(140)을 고정스크롤(150)쪽으로 지지하는 배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면, 선회스크롤(140)은 배압실(S3)의 배압력에 의해 고정스크롤(150)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되어 선회스크롤(140)과 고정스크롤(150) 사이의 압축실(V)을 실링하게 된다. 이때, 배압실(S3)의 오일 중에서 일부 오일은 선회경판부(141)에 구비된 배압구멍(141a)을 통해 압축실(V)로 유입되어 압축실을 윤활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후방면과 이에 대응하는 고정스크롤의 전방면 사이에는 흡입유로가 형성됨에 따라, 프레임의 후방면과 고정스크롤의 전방면 사이에는 가스켓과 같은 실링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아울러, 프레임의 후방면과 선회스크롤의 전방면 사이에는 선회스크롤을 지지하는 동시에 윤활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실시예들에서는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의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와 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가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부품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조립공수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실링부재와 플레이트를 단일화하여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에 에 따른 압축부에서 프레임, 선회스크롤, 그리고 고정스크롤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 플레이트가 조립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130)의 후방면 중앙부는 올담링 안착홈(133)과 밸런스웨이트 수용홈(134)이 연속하여 단차지게 형성되고, 프레임(130)의 후방면 가장자리부는 선회스크롤(140)과 고정스크롤(15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130a)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스크롤(150)의 스크롤 측벽부(152)를 마주보는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은 올담링 안착홈(133)이 시작되는 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지지면(130a)은 올담링 안착홈(133)이 시작되는 면에서 프레임(130)의 외주면까지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지지면(130a) 전체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까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지지면(130a)에는 모터실(S1)과 흡입실 사이를 연통하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흡입통로(135)가 관통 형성된다. 흡입통로(135)는 후술할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흡입통공(191c)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개수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지지면(130a)에는 리어 하우징(160)과 고정스크롤(150) 그리고 메인 하우징(110)을 볼트 체결하기 위한 볼트구멍(136)이 형성된다. 볼트구멍(136)은 흡입통로(135)보다 바깥쪽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 볼트구멍(136) 역시 가스켓 플레이트(190)에 구비되는 관통구멍(191a)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개수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지지면(130a)에는 고정스크롤(150)의 조립위치를 정렬하는 기준핀(137)이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기준핀(137)은 볼트구멍(136)의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될 수 있다.
또, 지지면(130a)에는 환형으로 된 프레임측 실링홈(130b)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측 실링홈(130b)에는 오링과 같은 제1 실링부재(108a)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108a)는 후술할 가스켓 플레이트(190)와 지지면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측 실링홈(108a)은 흡입통로(35)와 볼트구멍(136)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실링부재(108a)는 경우에 따라서는 배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실링부(191)가 프레임(130)과 가스켓 플레이트(190) 사이를 긴밀하게 실링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1 실링부재(108a)를 배제할 수 있다.
한편, 고정스크롤(15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경판부(151)의 전방면 가장자리에서 스크롤 측벽부(152)가 환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스크롤 측벽부(152)의 전방면(152a)은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을 마주볼 수 있도록 고정랩(153)의 랩길이보다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스크롤 측벽부(152)의 전방면(152a)에는 환형으로 된 실링홈(152b)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홈(152b)에는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108c)가 삽입될 수 있다. 실링부재(108c)는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후방면(190b)과 스크롤 측벽부(152)의 전방면(152a)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따라서, 스크롤 측벽부(152)의 실링홈(152b)은 볼트구멍(159)보다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스크롤 측벽부(152)와 가스켓 플레이트(1190)의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108c)는 경우에 따라서는 배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실링부(191)가 고정스크롤(150)과 가스켓 플레이트(190) 사이를 긴밀하게 실링할 수 있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실링부재(108c)를 배제할 수 있다.
또, 스크롤 측벽부(152)의 내경은 선회경판부(14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선회스크롤(140)은 배압실(S3)의 압력에 따라 고정스크롤(150)의 스크롤 측벽부(152) 안에서 선회랩(142)이 고정경판부(151)에 접촉하는 범위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회경판부(141)의 외경은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선회경판부(141)의 전방면(141b)은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에 축방향으로 마주보게 된다. 선회스크롤(140)이 선회운동을 할 때 그 선회경판부(141)의 전방면(141b)이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30)과 선회스크롤(140)의 사이에는 배압실(S3)이 형성되므로, 프레임(130)과 선회스크롤(140)의 사이에는 배압실(S3)을 형성하기 위한 배압실 실링부재(이하, 배압 실링부재)(145)가 구비된다. 다만, 프레임(130)과 선회스크롤(140) 사이에는 후술할 가스켓 플레이트(190)가 구비되므로, 배압 실링부재(145)는 선회스크롤(140)에 구비되는 배압실 실링홈(141c)에 삽입되어 선회스크롤(140)과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사이에 구비된다.
배압 실링부재(145)는 다른 실링부재(108a,108b,108c, 108d)와는 다르게 윤활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테프론 재질로 된 환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압 실링부재(145)는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프레임(130)과 선회스크롤(140)이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프레임(130)과 선회스크롤(140)의 사이에 강판으로 된 가스켓 플레이트(190)가 설치된다. 알루미늄 소재로 된 프레임(130)과 선회스크롤(140) 사이에 강판으로 된 가스켓 플레이트(190)가 설치되면 동일 재질 간 마모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배압 실링부재(145)는 선회경판부(141)의 전방면(141b)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전방면(190a)은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에 밀착되어 실링되는 반면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후방면(190b)은 배압 실링부재(145)에 밀착되어 실링되어, 배압실(S3)이 밀봉 형성될 수 있다. 배압 실링부재(145)는 배압실(S3)에서 유입되는 중간압의 오일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고, 배압실 실링홈(141c)에 구비되는 오링과 같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에서 "Ⅴ-Ⅴ"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가 프레임과 ㄱ고정스크롤 사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19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130) 또는 선회스크롤(140)보다 강성이 큰 강판 재질로 형성된다.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내경은 올담링 안착홈(133)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켓 플레이트(190)는 올담링 안착홈(133)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가스켓 플레이트(190)는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과 고정스크롤(150)의 스크롤 측벽부(15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과 선회스크롤(140)의 전방면(141b) 사이에 위치하여 선회스크롤(140)이 미끄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환형으로 형성되되, 가장자리를 이루는 외측부는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과 스크롤 측벽부(152)의 전방면(152a) 사이를 실링할 수 있도록 실링부(191)가, 외측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앙부를 이루는 내측부는 선회스크롤(더 정확하게는, 배압 실링부재)이 미끄러지도록 슬라이딩부(19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스켓 플레이트(190)는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의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191) 및 실링부(191)에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130)과 선회스크롤(140) 사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부(1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부(191)와 슬라이딩부(192)는 축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실링부(191)와 슬라이딩부(192)는 동일한 두께(t)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191)에는 메인 하우징(110), 프레임(130), 고정스크롤(150) 그리고 리어 하우징(16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01)가 관통하도록 복수 개의 플레이트측 관통구멍(191a)이 형성되고, 플레이트측 관통구멍(191a)의 사이에는 기준핀(137)이 관통하도록 플레이트측 기준구멍(191b)이 형성되며, 플레이트측 관통구멍(191a)보다 안쪽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통로(135)와 연통되는 흡입통공(191c)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92)는 미끄러운 면을 이루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부(192)의 전방면은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슬라이딩부(192)의 후방면은 선회스크롤(140)의 전방면(141b)에 미끄러지게 지지된다.
슬라이딩부(192)는 올담링(180)의 선회운동 범위 밖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192)의 내경은 선회스크롤(140)의 전방면(141b)에 구비되어 올담링(180)의 키가 삽입되는 키홈(141d)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가상선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과 고정스크롤(150)의 스크롤 측벽부(152)의 전방면(152a) 사이에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실링부(191)가 삽입됨에 따라,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 사이가 긴밀하게 실링될 수 있다.
나아가, 실링부(191)의 내주에서 슬라이딩부(192)가 연장되어 선회스크롤(140)과 프레임(130)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선회스크롤(140)과 프레임(130)이 동일 재질인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더라도 선회스크롤(140)과 프레임(130)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회스크롤(140)과 프레임(130)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선회스크롤(140)에 구비되는 배압 실링부재(145)가 상대적으로 조도가 좋은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슬라이딩부(192)에 접촉되어 미끄럼운동을 함에 따라, 배압 실링부재(145)의 마모를 방지하는 동시에 배압 실링부재(145)와 접촉되는 면에서의 실링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압실(S3)의 압력이 고르게 유지되어 선회스크롤(1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실링부(191)와 슬라이딩부(192)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 사이를 실링하는 부재와 프레임(130)과 선회스크롤(140) 사이를 미끄러지게 지지하는 부재를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것에 비해, 부품수를 줄이는 동시에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실링부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실링부에 실링력을 배가하기 위한 실링돌기 또는 코팅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9a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에서 실링돌기가 구비된 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Ⅵ-Ⅵ"선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실링부(191)에는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에 눌려져 밀착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링돌기(195)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돌기(195)는 프레임(130)의 지지면(130a) 또는 고정스크롤(150)의 스크롤 측벽부(152)의 전방면(152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실링돌기(195)는 다수 개의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실링력을 고려하여 평면투영시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실링돌기(195)는 관통구멍(191a)과 흡입구멍(191c) 사이 및 흡입구멍(191c)보다 안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실링돌기(195)는 관통구멍(191a)과 흡입구멍(191c) 사이 또는 흡입구멍(191c)보다 안쪽에 한 개만 형성되거나, 또는 관통구멍(191a)보다 바깥쪽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실링돌기(195)는 관통구멍들(191a) 사이 또는 흡입구멍들(191c)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돌기(195)가 관통구멍들(191a) 사이 또는 흡입구멍들(191c)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관통구멍들(191a) 또는 흡입구멍들(191c)들을 감싸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실링돌기(195)는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의 사이에서 양측면이 접하는 부위면 어디나 족하다.
상기와 같이, 실링부(191)에 실링돌기(195)가 형성되게 되면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이 체결볼트(107)에 의해 체결되는 과정에서 실링돌기(195)가 눌려져 밀착되면서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 사이가 더욱 긴밀하게 실링될 수 있다. 그러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130)과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사이 또는 고정스크롤(150)과 가스켓 플레이트(190) 사이의 실링부재들(108b)(108c)은 배제될 수도 있다. 하지만, 실링력을 고려하면 상기의 위치에 각각 실링부재(108b)(108c)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가스켓 플레이트가 강판으로만 형성되어 실링부와 슬라이딩부의 표면이 금속면을 이루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실링부의 표면에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코팅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a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에서 코팅면이 구비된 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Ⅶ-Ⅶ"선단면도이다.
도 10a 및 10b를 참조하면,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실링부(191)에 코팅면(196)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면(196)은 수지와 같이 강판보다는 상대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실링부(191)의 표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앞선 실시예와 같이 실링돌기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실링부(191)의 양쪽 면 또는 적어도 한쪽 면에 코팅면(196)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을 체결할 때 실링부(191)의 표면에 구비된 코팅면(196)이 눌려져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에 각각 압착되게 된다. 그러면, 가스켓 플레이트(190)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의 사이를 긴밀하게 실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이 메인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됨에 따라, 리어 하우징과 고정스크롤과 프레임 그리고 메인 하우징을 체결볼트로 일괄 체결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리어 하우징(160), 고정스크롤(150), 프레임(130)에는 체결구멍(162)(159)(136)이 각각 형성되고, 메인 하우징(110)에는 체결구멍에 대응되도록 체결홈(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체결볼트(107)가 리어 하우징(160)과 고정스크롤(150), 프레임(130)의 각 체결구멍(162)(159)(136)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메인 하우징(110)의 체결홈(112)에 체결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부재들(110)(130)(150)(160)을 일괄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동식 압축기의 외관을 이루는 리어 하우징(160)과 고정스크롤(150)과 프레임(130)과 메인 하우징(110)을 긴 체결볼트(107)를 이용하여 일괄 체결함에 따라, 앞서 설명한 부재들의 체결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공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리어 하우징(160)과 고정스크롤(150)과 프레임(130)과 메인 하우징(110)이 전동식 압축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 부재들 사이, 즉 리어 하우징(160)과 고정스크롤(150)의 사이, 고정스크롤(150)과 프레임(130)의 사이(더 정확하게는 고정스크롤과 가스켓 플레이트 사이 및 가스켓 플레이트와 프레임의 사이), 프레임(130)과 메인 하우징(110)의 사이에는 각각 오링 또는 가스켓과 같은 실링부재(108d)(108c)(108b)(108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동식 압축기의 내부공간을 긴밀하게 실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이 메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결합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는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이 메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레임(130)은 메인 하우징(110)에, 고정스크롤(150)은 리어 하우징(160)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 경우에도 프레임(130)과 선회스크롤(140)의 사이에는 가스켓 플레이트(19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19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고, 그에 따른 작용 효과 역시 대동소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190)는 실링부(191)와 슬라이딩부(192)가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191)는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의 사이에서 그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슬라이딩부(192)는 프레임(130)과 선회스크롤(140) 사이에서 선회스크롤(140)에 구비된 배압 실링부재(145)가 미끄러지게 접촉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프레임(130)이 메인 하우징(110)에, 고정스크롤(150)이 리어 하우징(160)에 각각 삽입되어, 메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60)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실링부(191)는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의 사이 외에 메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60)의 사이까지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 플레이트(190)의 실링부(191)는 프레임(130)과 고정스크롤(150) 사이에 제1 실링부(1911)가, 메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60)의 사이에 제2 실링부(1912)가 형성되고, 제1 실링부(1911)와 제2 실링부(1912)는 서로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실링부(1911)와 제2 실링부(1912)에는 각각 실링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코팅면(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실링부(1911)와 제2 실링부(1912) 중에서 어느 한 쪽 실링부에만 실링돌기 또는 코팅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앞서 설명한 전동식 압축기와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가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케이싱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동식 스크롤 압축기를 살펴보았으나, 케이싱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일반적인 스크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이 흡입공간을 이루는 저압식 스크롤 압축기를 살펴보았으나, 케이싱의 내부공간이 토출공간을 이루는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모터실을 구비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에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모터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리어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 사이에서 선회운동을 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정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스크롤; 및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의 사이 및 상기 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실링부 및 상기 제1 실링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정스크롤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선회스크롤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에는 상기 메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을 체결하는 볼트가 관통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마주보는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면에는 상기 선회스크롤과 프레임 사이에 배압실을 형성하는 배압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의 실링부는 상기 배압 실링부재가 접하는 부위보다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의 슬라이딩부는 상기 배압 실링부재가 접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에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스크롤에 결합되는 기준핀이 삽입되도록 기준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스크롤의 일측면을 마주보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면을 마주보는 제2 부분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축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선회스크롤의 자전을 방지하는 자전방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을 마주보는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면에는 상기 선회스크롤과 프레임 사이에 배압실을 형성하는 배압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배압 실링부재는 상기 자전방지부재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10. 제1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과 선회스크롤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와 슬라이딩부는 축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와 슬라이딩부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에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스크롤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에 눌려져 밀착되도록 환형으로 된 복수 개의 실링돌기가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실링돌기의 사이에는 상기 모터실에서 상기 압축실로 냉매를 안내하는 흡입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표면에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된 코팅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15. 모터실을 구비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모터실에 고정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
    상기 선회스크롤에 결합되며, 상기 선회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스크롤;
    상기 고정스크롤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실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토출실이 형성되는 리어 하우징;
    상기 선회스크롤과 프레임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며, 상기 선회스크롤과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 플레이트; 및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회스크롤에 구비되고,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에 미끄러지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배압실을 실링하는 배압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는, 상기 배압실을 실링하는 실링부 및 상기 배압 실링부재가 미끄러지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와 슬라이딩부는 단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에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스크롤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에 눌려져 밀착되도록 환형으로 된 복수 개의 실링돌기가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실링돌기의 사이에는 상기 모터실에서 상기 압축실로 냉매를 안내하는 흡입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상기 선회스크롤과 함께 배압실을 이루도록 축방향으로 함몰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바깥쪽에는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가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은 동일한 축방향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KR1020180115216A 2018-09-27 2018-09-27 전동식 압축기 KR10212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216A KR102123969B1 (ko) 2018-09-27 2018-09-27 전동식 압축기
EP19196482.4A EP3643920A1 (en) 2018-09-27 2019-09-10 Motor operated compressor
CN201921517064.3U CN211449027U (zh) 2018-09-27 2019-09-11 电动式压缩机
US16/584,171 US20200102956A1 (en) 2018-09-27 2019-09-26 Motor operated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216A KR102123969B1 (ko) 2018-09-27 2018-09-27 전동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727A KR20200035727A (ko) 2020-04-06
KR102123969B1 true KR102123969B1 (ko) 2020-06-26

Family

ID=6792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216A KR102123969B1 (ko) 2018-09-27 2018-09-27 전동식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02956A1 (ko)
EP (1) EP3643920A1 (ko)
KR (1) KR102123969B1 (ko)
CN (1) CN21144902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7746B4 (de) * 2019-10-15 2021-07-29 Hanon Systems Vorrichtungen zum Verdichten eines dampfförmigen Fluid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orrichtung
JP7523370B2 (ja) 2021-01-22 2024-07-26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7552473B2 (ja) * 2021-03-26 2024-09-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102630534B1 (ko) * 2022-01-14 202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JP2023113348A (ja) * 2022-02-03 2023-08-16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7438A (zh) * 2013-12-30 2015-07-01 上海三电贝洱汽车空调有限公司 涡旋压缩机
JP2018013210A (ja) * 2016-07-22 2018-01-25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筐体のシール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流体機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8377A (ja) * 1995-06-12 1996-12-24 Nippondenso Co Ltd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5201113B2 (ja) 2008-12-03 2013-06-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10190074A (ja) * 2009-02-17 2010-09-02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12207547A (ja) * 2011-03-29 2012-10-25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6135126B2 (ja) * 2012-12-26 2017-05-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102008939B1 (ko) * 2014-07-07 2019-08-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배압실 밀봉용 밀봉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7438A (zh) * 2013-12-30 2015-07-01 上海三电贝洱汽车空调有限公司 涡旋压缩机
JP2018013210A (ja) * 2016-07-22 2018-01-25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筐体のシール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流体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727A (ko) 2020-04-06
US20200102956A1 (en) 2020-04-02
EP3643920A1 (en) 2020-04-29
CN211449027U (zh)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3969B1 (ko) 전동식 압축기
US5447418A (en) Scroll-type fluid machine having a sealed back pressure chamber
AU749353B2 (en) Stepped annular intermediate pressure chamber for axial compliance in a scroll compressor
US4548555A (en)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nonuniform scroll height
KR20130102356A (ko) 횡형 스크롤 압축기
CN114439746B (zh) 涡旋式压缩机
CN109690082B (zh) 涡旋压缩机
KR102191126B1 (ko) 전동식 압축기
CN109113990B (zh) 涡旋压缩机
KR20180093693A (ko) 스크롤 압축기
US20200080557A1 (en) Motor-operated compressor
KR20190085407A (ko) 스크롤 압축기
US11359629B2 (en) Motor operated compressor
US20190242384A1 (en) Motor operated compressor
CN215409189U (zh) 涡旋式压缩机
US20200040893A1 (en) Motor-operated compressor
US20200332798A1 (en) Motor-operated compressor
US20200158108A1 (en) Motor operated compressor
KR20200108706A (ko) 전동식 압축기
KR102701866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2191130B1 (ko) 전동식 압축기
KR20200141287A (ko) 전동식 압축기
KR102060477B1 (ko) 전동식 압축기
KR102060476B1 (ko) 전동식 압축기
KR20230072575A (ko) 스크롤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