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077B1 -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0077B1 KR102120077B1 KR1020180073989A KR20180073989A KR102120077B1 KR 102120077 B1 KR102120077 B1 KR 102120077B1 KR 1020180073989 A KR1020180073989 A KR 1020180073989A KR 20180073989 A KR20180073989 A KR 20180073989A KR 102120077 B1 KR102120077 B1 KR 1021200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pulverized
- particle control
- air inlet
- crush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날개의 회전으로 분쇄된 분쇄물이 원심력과 상승기류에 의해 입자조절공을 통해 배출통로로 배출됨과 동시에 내부공기는 공기유입공을 통해 순환되므로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분쇄효율을 높이고 공기유입통로에 차단판이 구비되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대상물이 저장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므로 고품질의 분쇄물 가공이 가능하며 입자조절공이 1열에서 4열까지 선택적으로 형성된 입자조절판이 가공안내부재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입자조절공의 열에 따라 분쇄물의 입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가공할 수 있는 다목적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verized pulverized product by the rotation of the pulverized blade is discharged through the particle control hole through the particle control hole by centrifugal force and upward air flow,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rnal air is circulat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thereby smoothing the air flow to increase the crushing efficiency. A blocking plate is provided in the air inlet passage so that the crushed object supplied from the supply part is not discharged to the storage part, so high-quality crushed materials can be processed, and a particle control plate with particle control holes selectively formed in rows 1 to 4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guide member. Since it is installed to be replaceable,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grinding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particles of the crushed material according to the heat of the particle control hole.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목적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날개의 회전으로 분쇄된 분쇄물이 원심력과 상승기류에 의해 입자조절공을 통해 배출통로로 배출됨과 동시에 내부공기는 공기유입공을 통해 순환되므로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분쇄효율을 높이고 공기유입통로에 차단판이 구비되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대상물이 저장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므로 고품질의 분쇄물 가공이 가능하며 입자조절공이 1열에서 4열까지 선택적으로 형성된 입자조절판이 가공안내부재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입자조절공의 열에 따라 분쇄물의 입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가공할 수 있는 다목적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he pulverized pulverized by the rotation of the pulverized blade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 through the particle control hole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upward air flow, and the internal air circulates through the air inlet hole. Therefore, it improves crushing efficiency by smoothing air flow, and a blocking plate is provided in the air inlet passage so that the crushed object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is not discharged to the storage unit.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that can be processed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particles of the pulverized in accordance with the heat of the particle control hole, because the particle control plate formed by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processing guide member.
일반적으로 분쇄장치는 곡물과 해초를 비롯하여 옥, 맥반석, 귀양석, 토르말린, 규사, 알루미나 등의 광물, 화학물질 및 금속재료 등의 분쇄대상물을 분쇄하여 미세한 가루로 만들기 위한 장치이다.In general, the crushing device is a device for pulverizing crushed objects such as grains and seaweed, minerals such as jade, mackerel stone, precious stone, tourmaline, quartz sand, alumina, chemical substances, and metal materials to make fine powder.
상기 분쇄장치는 내부로 투입되는 분쇄대상물을 미세하게 분쇄한 후 분쇄된 분쇄물을 이송하여 저장부로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분쇄된 분쇄물은 건축용 골재, 공업용 원료, 의료분야 및 각종 산업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된다.The pulverizing apparatus is to finely crush the object to be pulverized into the interior and transport the crushed crushed material to be stored in a storage unit. Widely used.
상기와 같은 분쇄장치는 본건 출원인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9359호로 다목적 분쇄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다.The crush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been registered by the applicant as a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9359.
상기 선등록된 발명은, 호퍼로 투입되는 분쇄대상물이 공급부를 통해 분쇄부로 공급되고, 분쇄부로 공급된 분쇄대상물은 분쇄부재가 타격하여 분쇄하게 됨과 동시에 원심력에 의해 외곽으로 튕겨져 나가게 되며 분쇄망의 분쇄공에 유입 및 배출됨을 반복하여 충돌되면서 분쇄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과정으로 분쇄된 분쇄물은 안내덕트에 안내되어 저장부의 저장통으로 배출된다.In the pre-registered invention, the object to be pulverized fed into the hopper is supplied to the pulverization unit through the supply unit, and the object to be pulverized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is crushed by a crushing member hitting it, and at the same time, it is bounced outward by centrifugal force and crushed by the crushing net The crushing is performed while repeatedly colliding with the ball in and out, and the pulverized material pulverized in this process is guided to the guide duct and discharged to the storage container.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선 등록된 발명은,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분쇄대상물이 공기유입공을 통해 저장부 측으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균일한 입자의 분쇄물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invention that has been pre-registe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a pulverized object supplied through the hopper is discharged to the storage part through an air inlet hole, and thus it is difficult to obtain a pulverized product of uniform particles.
또한, 분쇄대상물이 분쇄망과 분쇄부재 사이에서 고르게 분쇄되지 않고 원심력에 의해 큰 입자의 분쇄물이 분쇄망의 분쇄공을 통해 저장부로 바로 배출되므로 미분의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object to be pulverized is not evenly crushed between the crushing net and the crushing member, the pulverized particles of large particles are discharged directly to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crushing hole of the crushing net,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process fine powder.
또한, 상기 분쇄부재의 회전으로 분쇄망 내측면이 마모되면서 분쇄물의 입자가 커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원하는 입자의 분쇄물을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분쇄망을 통째로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상승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the inner surface of the crushing net wears out due to the rotation of the crushing member, particles of the pulverized particles become large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pulverized particles of the desired particles. There was an uneconomical problem.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분쇄날개의 회전으로 분쇄된 분쇄물이 원심력과 상승기류에 의해 입자조절공을 통해 배출통로로 배출됨과 동시에 내부공기는 공기유입공을 통해 순환되므로 원활한 공기흐름으로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소음을 최소화하는 다목적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efects, and the purpose thereof is that the crushed pulverized product by the rotation of the crushing blade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 through the particle control hole by centrifugal force and upward airflow,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rnal air It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grinding device that minimizes noise while preventing overload with a smooth air flow because it is circulat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공기가 순환되는 공기유입통로에 차단판이 구비되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대상물이 저장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므로 분쇄효율을 높이면서 고품질의 분쇄물을 가공할 수 있는 다목적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ing plate in the air inlet passage through which internal air is circulated, so that the crushed object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is not discharged to the storage unit. In providing a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자조절공이 1열에서 4열까지 선택적으로 형성된 입자조절판이 가공안내부재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입자조절공의 열에 따라 분쇄물의 입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가공할 수 있는 다목적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article control plate is selectively formed in rows 1 to 4, so that the particle control plate is replaceably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processing guide member. It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grinding device that ca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부로 저장되는 분쇄물 중 공중으로 비산되는 미세입자를 여과망이 여과시켜 분쇄물의 손실을 방지하는 다목적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to prevent the loss of the pulverized by the filtration net to filter the fine particles scattered into the air among the crushed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본 발명 다목적 분쇄장치는, 호퍼의 일측에 고정되어 분쇄대상물을 공급공을 통해 가공부로 공급되는 공급부와;The multi-purpose cru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opper, and a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object to be crushed to the processing unit through a supply hole;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대상물이 분쇄날개의 회전으로 가공망과 충돌되면서 미세하게 분쇄되어 분말화되며 가공된 분쇄물은 원심력과 상승기류에 의해 입자조절공과 배출공으로 상승하여 저장부로 배출되는 가공부;The pulverized object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is finely pulverized and powdered as it collides with the processing network by the rotation of the crushing blade, and the processed pulverized material is raised to a particle control hole and a discharge hole by a centrifugal force and an upward air flow to be discharged to a storage unit;
상기 가공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가공부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물을 저장하면서 저장통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mounted on one side of the processing unit and detachably fixed to allow separ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while storing pulveriz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processing unit;
상기 저장부 하부의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레버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편심캠이 고정판을 가압하면서 저장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A fixing part mounted on a frame under the storage part to rotate the eccentric cam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xing lever while fixing the storage part while pressing the fixing plate;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장착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는 분쇄물 중 공중으로 비산되는 미세입자를 여과망이 여과하면서 내부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ltering unit that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to filter the fine particles scattered into the air among the crushed mat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ile the filtering network filters the internal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분말가공부는,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 고정되어 분쇄날개가 회전하는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 일측에는 공기안내공과 배출공이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하우징;The powder processing part, the housing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ly portion is rotated crushing blade is closed, the upper one side of the air guide hole and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hrough the top and bottom;
상기 하우징의 하부 내주면에 고정되어 다수의 분쇄공이 형성되는 분쇄망체;A grinding network body fixed to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to form a plurality of grinding holes;
상기 분쇄망체 내측의 결합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며 끝단부가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분쇄대상물을 분쇄하여 가공하는 분쇄날개;A crushing blade mounted on at least one or more coupling holes on the inside of the crushing mesh, and having an end portion bent to one side to crush and process the crushed object;
상기 분쇄날개 상부의 하우징 내측에 장착되어 분쇄대상물을 분쇄날개 측으로 안내하면서 분쇄물은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 내부공기는 공기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되어 순환되게 하는 가공안내부재;A processing guide member mounted inside the housing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rinding blade to guide the grinding object to the grinding blade side, so that the grinding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and internal air is introduced and circulated through the air inlet passage;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고정되어 회전축에 장착된 결합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구비된다.A driving motor that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rotates a coupling hole mounted on a rotating shaft is provided.
또한, 상기 가공안내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어 중앙이 관통되며 공기유입통로와 연통되도록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몸체;In addition, the processing guide member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center is penetrated and the air inlet hole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let passage;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측은 공기유입공과 연통되고 타측은 공기유입공과 연통되어 내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통로;I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inside communicates with the air inlet hole,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air inlet hole, an air inlet passage through which the inside air flows;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출공과 연통되며 입자조절공을 통해 상승된 분쇄물이 저장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통로;A discharge passag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hole and allowing the pulverized material raised through the particle control hole to be discharged to the storage unit;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어 분쇄날개에서 분쇄된 분쇄물의 배출을 안내하면서 상기 분쇄날개에서 분쇄되는 분쇄물의 입자를 조절하도록 방사상으로 입자조절공이 형성되는 입자조절판이 구비된다.A particle control plate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form a particle control hole radially to control the particles of the pulverized pulverized by the pulverized blade while guiding the discharge of the crushed pulverized from the pulverized wing.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공은 소정의 폭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Here, a plurality of air inlet holes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입자조절공은 1열에서 4열까지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자조절공이 1열일 경우 배출통로의 내측으로 연통되어 미분의 가공이 가능하게 하고 입자조절공의 열이 늘어날수록 배출통로의 외측으로 연통되어 조분의 가공이 가능하다.The particle control holes are selectively formed in rows 1 to 4, and when the particle control holes are in one row, they are communicated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assage to enable processing of fines an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assage as the heat of the particle control holes increases. In communication, coarse powder can be processed.
또한, 상기 배출통로는 입자조절판에 형성되는 입자조절공의 열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assage is formed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heat of the particle control hole formed in the particle control plate.
또한, 상기 공기유입통로에 장착되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대상물이 저장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판이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 blocking plate is mounted on the air inlet passage to prevent the crushed object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storage unit.
상기 차단판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분쇄대상물이 차단판에 부딪히더라도 분쇄날개 측으로 낙하하여 공급된다.The blocking plate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nd is supplied by falling to the grinding blade side even when the object to be crushed hits the blocking plate.
상기 차단판의 상단부는 공기유입공보다 상부에 위치되어 분쇄대상물의 배출을 차단하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is located above the air inlet hole to block the discharge of the crushed object.
본 발명은 분쇄날개의 회전으로 분쇄된 분쇄물이 원심력과 상승기류에 의해 입자조절공을 통해 배출통로로 배출됨과 동시에 내부공기는 공기유입공을 통해 순환되므로 원활한 공기흐름으로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소음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verized pulverized material is rot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upward airflow to the discharge passage through the particle control hole,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rnal air is circulat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또한, 본 발명은 내부공기가 순환되는 공기유입통로에 차단판이 구비되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대상물이 저장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므로 분쇄효율을 높이면서 고품질의 분쇄물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locking plate in the air inlet passage through which internal air is circulated, so that the crushed object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is not discharged to the storage unit.
또한, 본 발명은 입자조절공이 1열에서 4열까지 선택적으로 형성된 입자조절판이 가공안내부재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입자조절공의 열에 따라 분쇄물의 입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가공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rticle control plate is formed to be replaceable at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guide member, the particle control plate is selectively formed in rows 1 to 4, so that the particles of the pulverized particles can be selectively adjusted and processed according to the heat of the particle control hol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은 저장부로 저장되는 분쇄물 중 공중으로 비산되는 미세입자를 여과망이 여과시켜 분쇄물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pulverized material by filtering the fine particles scattered into the air among the crushed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가공안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가공안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가공안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 공급부를 통해 분쇄대상물을 공급하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분쇄날개의 회전으로 분쇄대상물이 분쇄되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이 상승기류에 의해 배출됨과 동시에 내부공기가 순환되는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분쇄과정의 완료 후 고정부를 작동시켜 저장통의 가압력이 해제되는 상태도
도 10은 가압력이 해제된 저장통이 저장부로부터 외측으로 분리되는 상태도1 is a fron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ing guid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ing guide member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ing guide member
Figure 6 is a state diagram for supplying the object to be crush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supply unit
7 is a state diagram of the object to be crushed by the rotation of the crushing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internal air is circulated at the same time that the pulverized material crush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harged by an upward air flow
9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pressing force of the reservoir is released by operating the fixing unit after completion of the grin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pressure-releasing reservoir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part to the outsid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다목적 분쇄장치(100)는, 공급부(110), 분말가공부(120), 저장부(130), 고정부(140), 여과부(150)으로 이루어진다.The multi-purpose crushing
먼저, 상기 공급부(110)는 호퍼(20)의 내측에 축핀(111')에 의해 공급도어(111)가 결합되며, 상기 공급도어(111)는 분쇄대상물이 공급되면 공급공(110')을 개방하고 분쇄대상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자중에 의해 공급공(110')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First, the
상기 분말가공부(120)는 크게 하우징(121), 분쇄망체(122), 분쇄날개(123), 가공안내부재(124), 구동모터(125)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하우징(121)은 측면과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부는 가공안내부재(124)가 고정되도록 개방되며, 상부 일측으로는 배출공(121a)과 공기안내공(121b)이 상,하로 위치하도록 각각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분쇄망체(122)는 하우징(121)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다수의 분쇄공(122a)이 형성되어 분쇄대상물을 분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rushing
상기 분쇄날개(123)는 하우징(121)의 내측 하부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결합구(125a)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며 끝단부가 일측으로 절곡형성되어 분쇄물을 분쇄하여 분말화시키게 된다.The crushing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안내부재(124)는 분쇄대상물의 공급을 안내하면서 분쇄물은 배출통로(124c)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 내부공기는 공기유입통로(124b)를 통해 유입되어 순환되게 하는 것으로, 몸체(124a), 공기유입통로(124b), 배출통로(124c), 입자조절판(124d)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상기 몸체(124a)는 하우징(121)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며, 분쇄대상물이 분쇄날개(123)에 공급되도록 중앙부가 관통형성된다.The
상기 몸체(124a)의 상부에는 공기유입통로(124b)가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내부공기를 순환시키게 되며, 상기 몸체(124a)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공(124a')은 공기유입통로(124b)와 연통된다.An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공(124a')은 소정의 폭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공기유입공(124a')은 공급되는 분쇄대상물의 크기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몸체(124a)의 하부에는 입자조절판(124d)이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입자조절판(124d)에는 적어도 1열 이상 방사상으로 입자조절공(124d')이 형성되어 분쇄물의 입자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상기 입자조절판(124d)은 몸체(124a)와 볼트/너트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으며, 몸체(12a)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판의 하부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몸체(124a)의 하부와 입자조절판(124d) 사이에는 하우징(121)에 형성된 배출공(121a)과 연통되도록 배출통로(124c)가 형성되어 원심력과 상승기류에 의해 상기 입자조절공(124d')을 통해 상승한 분쇄물을 저장부(130)로 배출하게 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공기유입통로(124b)에는 차단판(124e)이 고정되어 분쇄대상물이 저장부(130) 측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a blocking
상기 차단판(124e)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분쇄대상물이 공기유입공(124a')을 통과하여 차단판(124e)에 부딪히더라도 경사면을 따라 분쇄날개(123) 측으로 자동 낙하하여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124e)의 상단부는 공기유입공(124a')의 상단부보다 상부에 위치되어 분쇄대상물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blocking
상기 하우징(121)의 하부에는 분쇄날개(123)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25)가 고정되며, 상기 구동모터(125)의 축에는 결합구(125a)가 고정되어 분쇄날개(123)를 고정시키게 된다.A driving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통로(124c)는 입자조절판(124d)에 형성되는 입자조절공(124d')의 열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배출공(121a)과 연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to 5, the
즉, 상기 입자조절공(124d')이 1열일 경우, 배출통로(124c)의 폭이 1열로 형성된 입자조절공(124d')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자조절공(124d')의 열이 4열일 경우, 배출통로(124c)의 폭이 4열의 입자조절공(124d')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배출공(121a)과 연통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분말가공부(120)의 일측에 고정되며 내부에 안내덕트(131a)가 형성되는 저장몸체(131)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안내덕트(131a)는 분말가공부(120)에서 분말화된 분쇄물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저장부(130)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내부 공기는 가공안내부재(124)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상기 저장몸체(131)의 하부에는 분쇄날개(123)에 의해 분말화된 분쇄물을 저장하도록 저장통(132)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저장몸체(131)의 하부와 저장통(132) 상부에 장착되어 저장통(132)을 밀폐시키는 패킹(133)이 구비된다.In the lower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고정부(140)는 구동모터(125)가 고정된 프레임(10)의 내측 하부에 편심캠(141a)이 장착되는 고정레버(141)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In addition, in the fixing
상기 프레임(10)에는 고정레버(14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 내측에 축(14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편심캠(141a)의 회전시 저장통(132)의 하부를 가압하는 고정판(142)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레버(141)에 형성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양측의 프레임(10)에 고정레버(141)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재(143)가 고정된다.The
또한, 상기 여과부(150)는 저장부(130)의 상부에 여과망(151)이 장착되어 저장부(130)로 저장되는 분쇄물 중 공중으로 비산되는 미세입자가 여과되며, 내부공기는 여과망(1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저장몸체(131) 상부의 여과망(151) 외측에는 상기 여과망(151)을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보호커버(152)가 고정될 수 있다.A
또한, 상기 저장부(130) 하부의 프레임(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유동방지부(160)가 고정되어 저장통(132)의 유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들 중 분말가공부(120)를 제외한 공급부(110), 저장부(130), 고정부(140), 여과부(150)의 구성은 본건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제10-1619359호의 구조와 동일하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in detail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10)에 분쇄대상물을 투하하여 공급도어(111) 측으로 밀어 공급하게 되면, 분쇄대상물은 공급공(110')을 통해 호퍼(20) 내측으로 낙하하게 됨과 동시에 분말가공부(120)의 분쇄공간으로 공급된다.First, as shown in FIGS. 6 to 7, when the crushed object is dropped into the
상기 공급도어(111)는 호퍼(20) 내측에 축핀(1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분쇄대상물이 공급될 때는 공급도어(111)가 축핀(1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공급공(110')을 개방하게 되고, 분쇄대상물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공급도어(111)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공급공(110')을 폐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호퍼(20)의 상부는 뚜껑으로 덮어 내부 청소시 뚜껑을 개방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이 분쇄대상물이 분말가공부(120) 측으로 낙하하여 공급될 때, 가공안내부재(124)의 공기유입통로(124b)에 차단판(124e)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쇄대상물이 저장부(130) 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분쇄날개(123) 측으로 낙하하여 공급되는 것이다.When the object to be crushed is supplied to the
상기 분말가공부(120)로 분쇄대상물이 공급되면, 구동모터(125)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분쇄날개(123)가 분쇄대상물을 타격하여 분쇄하게 됨과 동시에 원심력에 의해 회전중심 외곽으로 튕겨져 나가게 되며 1cm이하의 직경이 작은 분쇄공(122a)에 유입 및 배출됨을 반복하여 충돌되면서 미세하게 분쇄가 이루어진다.When the object to be pulverized is supplied to the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날개(123) 상부에는 입자조절공(124d')이 형성된 입자조절판(124d)이 가공안내부재(124)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분쇄날개(123)의 회전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이 상승기류를 타고 상승하여 입자조절공(124d')을 통해 배출통로(124c)로 배출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여기서, 상기 입자조절판(124d)은 입자조절공(124d')이 1열에서 4열까지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교체가능하며, 상기 입자조절공(124d')이 1열일 경우 분쇄망체(122)로부터 먼 방향의 배출통로(124c)의 내측으로 입자조절공(124d')이 연통된다.Here, the particle control plate (124d) is a particle control hole (124d') is selectively formed in rows 1 to 4 can be replaced, and if the particle control hole (124d') is one row away from the grinding
상기와 같이 입자조절공(124d')이 1열일 경우, 분쇄대상물이 배출통로(124c)로 곧바로 배출되지 못하면서 분쇄공간에서 반복적으로 분쇄되기 때문에 미분의 가공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또한, 입자조절판(124d)의 입자조절공(124d')이 4열일 경우, 상대적으로 1열일 때보다 분쇄시간이 짧아 분쇄물이 상승기류에 의해 배출통로(124c)로 곧바로 배출되므로 입자가 큰 조분의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상기와 같이 배출통로(124c)로 배출된 분쇄물은 분쇄과정에서 생성되는 내부공기와 함께 배출공(121a)을 통과하면서 안내덕트(131a)에 안내되어 저장부(130) 측으로 배출되며, 내부공기 중 일부는 공기안내공(121b)과 공기유입공(124a')을 통해 유입되어 분쇄공간으로 순환된다.The pulverized material discharged to the
상기 안내덕트(131a)를 통해 배출된 분쇄물이 저장되는 저장통(132)은 저장몸체(131)의 하부에 장착된 패킹(133)에 밀착되어 밀폐되므로 미세입자의 분쇄물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기 저장통(132)을 저장몸체(131)의 하부에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부(140)의 고정레버(141)를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레버(141)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편심캠(141a)이 회전하면서 고정판(142)을 상부로 가압하여 저장통(132)의 하부를 들어올리게 된다.In order to seal the
이때, 상기 저장통(132)의 상단부는 저장몸체(131)의 하부에 장착된 패킹(133)에 밀착되면서 저장통(132)이 밀폐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상기와 같이 저장통(132)이 패킹(133)에 밀착되어 밀폐되면 프레임(10)에 장착된 유동방지부(160)는 저장통(132) 하단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저장통(132)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또한, 상기 저장부(130)에 분쇄물이 저장되는 과정에서 분쇄물의 일부 미세입자는 내부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저장몸체(131)를 통해 여과부(150) 측의 공중으로 비산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crushed material in the
상기와 같이 저장부(130)로부터 비산되는 미세입자는 저장몸체(131)의 상부에 고정끈이나 밴드를 이용하여 장착된 여과망(151)에 의해 여과됨과 동시에 여과된 내부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ne particles scattered from the
상기 여과망(151)에 여과된 미세입자는 여과망(151)을 흔들어주거나 여과망(151)의 외측에서 타격을 주게 되면 여과망(151)으로부터 분리되어 저장통(132)으로 떨어져 저장된다.The fine particles filtered on the
한편, 상기 여과망(151)의 외측에는 여과망(151)이 손상되거나 외부요인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도록 보호커버(152)를 설치하여 저장부(130)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a
상기 보호커버(152)의 상부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내부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분쇄대상물의 분쇄가 완료된 상태에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고정레버(141)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고정레버(141)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편심캠(141a)이 회전하면서 고정판(142)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grinding of the object to be crushed is completed, as shown in FIGS. 9 to 10, when the fixed
이때, 상기 고정판(142)은 축(142a)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면서 저장통(132)의 하부에서 떨어지게 되며, 상기 저장통(132)이 저장몸체(131)의 하부에 장착된 패킹(133)으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편심캠(141a)은 제어부재(143)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이 멈추게 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이 상태에서 상기 저장통(132)의 양측을 파지하여 상기 저장통(132)을 저장부(130)로부터 분리시키면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two sides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as a match meaning and concept.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100: 다목적 분쇄장치 110: 공급부
111: 공급도어 120: 분말가공부
121: 하우징 122: 분쇄망체
123: 분쇄날개 124: 가공안내부재
125: 구동모터 130: 저장부
131: 저장몸체 132: 저장통
133: 패킹 140: 고정부
141: 고정레버 142: 고정판
143: 제어부재 150: 여과부
151: 여과망 152: 보호커버
160: 유동방지부100: multi-purpose grinding device 110: supply unit
111: supply door 120: powder processing unit
121: housing 122: grinding network
123: grinding blade 124: processing guide member
125: drive motor 130: storage unit
131: storage body 132: storage box
133: packing 140: fixing part
141: fixed lever 142: fixed plate
143: control unit 150: filter unit
151: filter screen 152: protective cover
160: flow prevention unit
Claims (9)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대상물이 분쇄날개의 회전으로 분쇄망체와 충돌되면서 미세하게 분쇄되어 분말화되며 분말화된 분쇄물은 원심력과 상승기류에 의해 입자조절공과 배출공으로 상승하여 저장부로 배출되는 분말가공부;
상기 분말가공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분말가공부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물을 저장하면서 저장통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 하부의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레버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편심캠이 고정판을 가압하면서 저장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장착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는 분쇄물 중 공중으로 비산되는 미세입자를 여과망이 여과하면서 내부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말가공부는,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 고정되어 분쇄날개가 회전하는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 일측에는 공기안내공과 배출공이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 내주면에 고정되어 다수의 분쇄공이 형성되는 분쇄망체; 상기 분쇄망체 내측의 결합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며 끝단부가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분쇄대상물을 분쇄하여 가공하는 분쇄날개; 상기 분쇄날개 상부의 하우징 내측에 장착되어 분쇄대상물을 분쇄날개 측으로 안내하면서 분쇄물은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 내부공기는 공기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되어 순환되게 하는 가공안내부재;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고정되어 회전축에 장착된 결합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가공안내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어 중앙이 관통되며 공기유입통로와 연통되도록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측은 공기유입공과 연통되고 타측은 공기유입공과 연통되어 내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통로;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출공과 연통되며 입자조절공을 통해 상승된 분쇄물이 저장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통로;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어 분쇄날개에서 분쇄된 분쇄물의 배출을 안내하면서 상기 분쇄날개에서 분쇄되는 분쇄물의 입자를 조절하도록 방사상으로 입자조절공이 형성되는 입자조절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분쇄장치.
A supply part fixed to one side of the hopper and supplied to the powder processing part through a supply hole;
As the object to be pulverized supplied from the supply part collides with the crushing mesh by the rotation of the crushing blade, it is finely pulverized and powdered. ;
A storage unit mounted on one side of the powder processing unit and detachably fixed to allow separ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while storing the pulveriz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powder processing unit;
A fixing part mounted on a frame under the storage part to rotate the eccentric cam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xing lever while fixing the storage part while pressing the fixing plate;
It is composed of a filtering unit that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to filter the fine particles scattered into the air among the crushed mat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ile the filtering net filters the inside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powder processing part, the housing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ly portion is rotated crushing blade is closed, the upper one side of the air guide hole and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hrough the top and bottom; A grinding network body fixed to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to form a plurality of grinding holes; A crushing blade mounted on at least one or more coupling holes on the inside of the crushing mesh, and having an end portion bent to one side to crush and process the crushed object; A processing guide member mounted inside the housing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rinding blade to guide the grinding object to the grinding blade side so that the grinding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and internal air is introduced and circulated through the air inlet passage; It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coupling hole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The processing guide member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center is penetrated and the air inlet hole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let passage; I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inside communicates with the air inlet hole,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air inlet hole, an air inlet passage through which the inside air flows; A discharge passag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hole and allowing the pulverized material raised through the particle control hole to be discharged to the storage unit; Multi-purpose equipped with a particle control plate in which a particle control hole is formed radially to control the particles of the pulverized pulverized by the pulverized blade while guiding the discharge of the crushed pulverized from the pulverized wing, which is replaceably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Crushing device.
상기 공기유입공은 소정의 폭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분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ulti-purpose gr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let hole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widths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입자조절공은 1열에서 4열까지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자조절공이 1열일 경우 배출통로의 내측으로 연통되어 미분의 가공이 가능하게 하고 입자조절공의 열이 늘어날수록 배출통로의 외측으로 연통되어 조분의 가공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분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rticle control holes are selectively formed in rows 1 to 4, and when the particle control holes are in one row, they are communicated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assage to enable processing of fine powder an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assage as the heat of the particle control holes increases. Multi-purpose gr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coarse powder in communication.
상기 배출통로는 입자조절판에 형성되는 입자조절공의 열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분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passage is a multi-purpose gr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heat of the particle control hole formed in the particle control plate.
상기 공기유입통로에 장착되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대상물이 저장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분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ulti-purpose gr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on the air inlet passage is further provided with a blocking plate to prevent the crushed object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is discharged to the storage unit.
상기 차단판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분쇄대상물이 차단판에 부딪히더라도 분쇄날개 측으로 낙하하여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분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blocking plate has a triangular shape, and is a multi-purpose gr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lied by falling to the grinding blade side even if the object to be crushed hits the blocking plate.
상기 차단판의 상단부는 공기유입공보다 상부에 위치되어 분쇄대상물의 배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분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Multi-purpose gr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is located above the air inlet hole to block the discharge of the crushed objec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3989A KR102120077B1 (en) | 2018-06-27 | 2018-06-27 |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3989A KR102120077B1 (en) | 2018-06-27 | 2018-06-27 |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252A KR20200001252A (en) | 2020-01-06 |
KR102120077B1 true KR102120077B1 (en) | 2020-06-08 |
Family
ID=6915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3989A Active KR102120077B1 (en) | 2018-06-27 | 2018-06-27 |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007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1546B1 (en) | 2020-02-17 | 2022-02-10 | 김몽필 | Fiber minuteness pulverization apparatus |
CN115445730B (en) * | 2022-09-15 | 2024-03-15 | 宁夏青铜峡水泥股份有限公司 | Mineral crush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9359B1 (en) * | 2015-11-05 | 2016-05-10 | 몽 필 김 |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
-
2018
- 2018-06-27 KR KR1020180073989A patent/KR1021200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9359B1 (en) * | 2015-11-05 | 2016-05-10 | 몽 필 김 |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252A (en) | 2020-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359461T3 (en) | PROCEDURE AND APPLIANCE FOR MANUFACTURING GRANULAR AND POWDER RUBBER. | |
US8316762B2 (en) | Juice extractors | |
KR101368945B1 (en) | grinding device of cereals | |
KR102120077B1 (en) |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 |
JP2010517739A5 (en) | ||
KR101560334B1 (en) | grinding device | |
KR101619359B1 (en) | multipurpose crushing device | |
KR101984388B1 (en) | A device for separating iron from grains using a magnet device inside the cyclone | |
KR10128169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metal from waste material | |
CN206304867U (en) | Cracker for medicine | |
KR101932088B1 (en) | Coffee bean grinding apparatus | |
CN110740815B (en) | Biomass grinding machine | |
KR102361546B1 (en) | Fiber minuteness pulverization apparatus | |
CN215197265U (en) | Full-automatic pulverizer | |
CN209476388U (en) | A beating device for crude rutile titanium dioxide | |
JPS6235820B2 (en) | ||
CN212142885U (en) | Pharmacy rubbing crusher | |
CN222019672U (en) | Plant grinder | |
RU66229U1 (en) | CORN GRINDER | |
JP2002086005A (en) | Chaff grinding apparatus | |
KR20030080461A (en) | the crusher and refine apparatus for powder | |
JP4888321B2 (en) | Stone drilling machine | |
CN108672037B (en) | Superfine pulverizing device | |
KR20090003632U (en) | Grain grinding device with wind discharge means | |
KR101619315B1 (en) | A dispersion mill of easy cleaning ty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