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28432B1 -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432B1
KR102128432B1 KR1020200015451A KR20200015451A KR102128432B1 KR 102128432 B1 KR102128432 B1 KR 102128432B1 KR 1020200015451 A KR1020200015451 A KR 1020200015451A KR 20200015451 A KR20200015451 A KR 20200015451A KR 102128432 B1 KR102128432 B1 KR 102128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us
guide
displa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김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원 filed Critical 김동원
Priority to KR1020200015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4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노선번호, 부가 정보 및 도착 정보 이외에, 동영상이나 이미지 형태의 홍보 정보나,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버스 도착에 따른 도착 예정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취약 계층에 대한 시인성 및 가독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Bus information terminal for applying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선번호, 부가 정보 및 도착 정보 이외에, 동영상이나 이미지 형태의 홍보 정보나,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버스 도착에 따른 도착 예정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스정류소 안내기(Bus Information Terminal : BIT)는 버스의 위치, 도착 예정시간 등 버스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대기 승객들에게 알려주는 안내기이다.
이러한 버스정류소 안내기는 노선번호, 부가정보, 도착예상정보, 곧도착 버스정보에 대한 내용만을 안내하고 있어, 시인성이나 가독성에 한계가 있는 상태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2718호 [제목: 유지보수용 보조모니터를 구비한 버스정보안내 단말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노선번호, 부가 정보 및 도착 정보 이외에, 동영상이나 이미지 형태의 홍보 정보나,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버스 도착에 따른 도착 예정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착 예정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홀로그램 형태로 버스정보안내기 주변의 벽이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는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버스정류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를 교통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수집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로부터 상기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버스정류장과 관련한 유효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운행 정보는, 노선 번호, 차량 번호, 운행 방향, 현재 위치 정보, 남은 구간 정보, 도착 정보, 저상버스 여부 정보, 지선/간선/직행 버스 정보,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 첫차 시각 정보, 막차 시각 정보, 배차간격, 운행 중인 버스 수, 운행시간, 노선 번호별 빈자리 정보 및 노선 번호별 혼잡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유효 정보는, 상기 노선 번호, 상기 차량 번호, 상기 운행 방향,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남은 구간 정보, 상기 도착 정보, 상기 저상버스 여부 정보, 상기 지선/간선/직행 버스 정보, 상기 노선 번호별 빈자리 정보 및 상기 노선 번호별 혼잡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에 포함된 도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버스정보안내기가 위치한 버스정류장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홍보 정보 및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할 때,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할 때,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홀로그램 형태로 상기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버스정류장 주변의 벽이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하는 홀로그램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의 제어 방법은 통신부에 의해, 상기 통신부를 포함하는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버스정류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를 교통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집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로부터 상기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버스정류장과 관련한 유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에 포함된 도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버스정보안내기가 위치한 버스정류장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홍보 정보 및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홍보 정보의 재생이 종료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홍보 정보 및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홍보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홍보 정보 중에서 선택된 상기 홍보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상기 홍보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일측에 상기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홀로그램 생성부와 연동하여, 상기 이벤트 정보를 홀로그램 형태로 상기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버스정류장 주변의 벽이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정보의 재생이 종료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벤트 정보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상태로,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에 포함된 노선번호 내의 빈자리 정보, 혼잡도 정보, 저상 버스 여부 정보 및 방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선번호, 부가 정보 및 도착 정보 이외에, 동영상이나 이미지 형태의 홍보 정보나,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버스 도착에 따른 도착 예정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취약 계층에 대한 시인성 및 가독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착 예정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홀로그램 형태로 버스정보안내기 주변의 벽이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을 증대시키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음성 출력부(140), 홀로그램 생성부(15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버스정보안내기(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버스정보안내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버스정보안내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는 특정 버스정류장(또는 버스정류소)의 일측에 설치되며, 고유 버스 정류장 번호가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교통정보 시스템(미도시), 서버(미도시), 단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교통정보 시스템, 상기 서버, 상기 단말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가 설치된 버스정류장(또는 버스정류소)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를 상기 교통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또는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운행 정보는 노선 번호(또는 버스 번호), 차량 번호(또는 차량 고유 식별 정보), 운행 방향(또는 종점/회차 정보), 현재 위치 정보(또는 현재 위치한 버스정류장 정보), 남은 구간 정보, 도착 예정 시각 정보(또는 도착 정보), 저상버스 여부 정보, 지선/간선/직행 버스 정보,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 첫차 시각 정보, 막차 시각 정보, 배차간격(예를 들어 평일, 토요일, 휴일 배차간격 등 포함), 운행 중인 버스 수, 운행시간(예를 들어 평일, 토요일, 휴일 운행시간 등 포함), 노선 번호별(또는 버스별) 빈자리 정보, 노선 번호별 혼잡도 정보(예를 들어 혼잡, 보통, 여유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교통정보 시스템은 서울특별시에서 운영 중인 토피스(https://topis.seoul.go.kr), 각 시도군에서 운영 중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버스정보안내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버스정보안내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버스정보안내기(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버스정보안내기(100)에 설치되어, 제어부(160)에 의하여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스정보안내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집된(또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또는 디스플레이 장치/표시부)(13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광고 영상 재생을 위한 전용 디스플레이로, 필름 광고나 LCD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판의 단점을 보완한 고해상도 LED 디스플레이 광고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집된(또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 등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전자 버스노선 안내판으로 구성하여, 노선의 변경 시 직접 정류장의 노선 안내판을 제거하거나 스티커를 이용해서 수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14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집된(또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 등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또는 음향 효과)를 출력한다.
상기 홀로그램 생성부(150)는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의 일측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홀로그램 생성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와 연동하여, 상기 제어부(160)에서 생성된 정보(예를 들어 이벤트 정보 등 포함)에 홀로그램 기능(또는 효과)을 적용하여, 홀로그램(hologram)이 적용된 정보를 출력한다.
즉, 상기 홀로그램 생성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와 연동하여,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홀로그램 형태로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가 설치된 버스정류장 주변의 벽이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controller, 또는 MCU(microcontroller unit)(160)는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버스정보안내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12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수집된(또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로부터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가 위치한 버스정류장과 관련한 유효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유효 정보는 노선 번호(또는 버스 번호), 차량 번호(또는 차량 고유 식별 정보), 운행 방향(또는 종점/회차 정보), 현재 위치 정보(또는 현재 위치한 버스정류장 정보), 남은 구간 정보, 도착 예정 시각 정보(또는 도착 정보), 저상버스 여부 정보, 지선/간선/직행 버스 정보, 노선 번호별(또는 버스별) 빈자리 정보, 노선 번호별 혼잡도 정보(예를 들어 혼잡, 보통, 여유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는 노선 번호, 도착 예정 시각 정보(또는 도착 정보), 저상버스 여부 정보(또는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기상청 서버(미도시)로부터 현재 날씨, 미세먼지 농도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 날씨, 미세먼지 농도 등의 정보를 상기 유효 정보 중 일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30)의 일측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정보는 버스 종류(예를 들어 일반 버스, 광역 버스, 마을 버스, 저상 버스 등 포함)를 포함하며, 버스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버스 형태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음성 출력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에 포함된 도착 정보(또는 도착 예정 시각 정보)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또는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도착 정보를 근거로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가 위치한 버스정류장에 곧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어느 하나의 홍보 정보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홍보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홍보 정보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순서(또는 스케줄)에 따라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홍보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홍보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수신된/선택된 홍보 정보 및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홍보 정보는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시간 및/또는 반복 횟수가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수신된/선택된 홍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일측에 표시하고,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다른 일측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는 노선 번호, 도착 예정 시각 정보(또는 도착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상기 홍보 정보(또는 홍보 화면)와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홍보 정보의 재생이 완료되면 다시 초기 화면(예를 들어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표시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는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효과(또는 기능)를 포함하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파워포인트에서 제공하는 나타내기 효과(예를 들어 밝기 변화, 날라오기, 올라오기 등 포함), 강조 효과(예를 들어 펄스, 색 파동, 흔들기, 회전 등 포함), 끝내기 효과(예를 들어 사라지기, 밝기 변화, 시계 방향 등 포함), 이동 경로 효과(예를 들어 선, 타원, 회전, 도형 등 포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에 포함된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을 감지하는 동작 인식 센서(Motion Recognition Sensor)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인식 센서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하는 센서, 지자기 센서(Geomagnetism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관성 센서(Inertial Sensor), 고도계(Altimeter), 진동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하며, 동작 인식에 관련된 센서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객체가 상기 홍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상기 홍보 정보 및 상기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전면에 상기 유효 정보 중 일부를 표시하는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일측에 표시되는 홍보 정보의 재생(또는 플레이/play)이 종료되는 경우(예를 들어 홍보 정보가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 재생 시간이 종료되는 경우, 홍보 정보가 이미지인 경우 이미지 표시 시간이 종료되는 경우 등 포함), 상기 제어부(160)는 애니메이션 효과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일측 화면에 표시되던 홍보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다른 일측 화면에 표시되던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사라지게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전면에 상기 유효 정보 중 일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또는 도착 정보를 근거로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또는 도착 예정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또는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상태로,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에 포함된 해당 노선번호 내의 빈자리 정보, 혼잡도 정보, 저상 버스 여부 정보, 방면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도착 예정인 복수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랜덤하게(또는 도착 정보에 따른 도착 시각이 빠른 순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각각 순차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또는 도착 정보를 근거로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곧 도착 예정인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의 재생이 완료되면 다시 초기 화면(예를 들어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표시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을 해당 도착 예정인 복수의 버스 수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화면 각각에 해당 도착 예정인 복수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각각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에 포함된 상기 센서부를 통해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을 감지하고,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이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 객체가 상기 이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상기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며,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전면에 상기 유효 정보 중 일부를 표시하는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홀로그램 생성부(150)와 연동하여,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홀로그램 형태로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가 설치된 버스정류장 주변의 벽이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가 해당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경우 또는 상기 이벤트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 표시(또는 출력)되는 경우(또는 상기 이벤트 정보의 재생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앞서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를 필요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글을 읽지 못하는 취약 계층을 위한 시인성을 개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의 전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버스도착정보를 제때 읽지 못하는 취약 계층을 위한 가독성을 개선하고, 기존의 버스정보안내기에서 동영상 효과를 표현하기가 어려워 화면 전환과 같은 변화가 필요할 시 깜박임이나 스크롤의 효과만 가능했던 부분을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가독성과 시인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노선 전체의 경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여, 목적지와의 거리, 환승 등과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여정을 미리 계획하고 예상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노선 번호(또는 노선 정보), 부가 정보(예를 들어 남은 자석수 등 포함), 도착 예상 시간뿐만 아니라, 해당 노선 번호가 운행하는 경로 정보(800)를 함께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에 인접한 단말(미도시)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목적지 또는 노선 번호(또는 버스 번호)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수신된 목적지 또는 노선 번호에 대응하는 버스가 곧 도착 예정인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목적지 또는 노선 번호에 대응하는 버스가 곧 도착 예정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홀로그램 생성부(150)와 연동하여, 해당 목적지 또는 노선 번호에 대응하는 곧 도착 예정인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홀로그램 형태로(또는 홀로그램 기능이 적용된 이벤트 정보를)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가 설치된 버스정류장 주변의 벽이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목적지 또는 노선 번호에 대응하는 버스가 곧 도착 예정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푸시 메시지 형태로 해당 목적지 또는 노선 번호에 대응하는 곧 도착 예정인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또는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목적지 또는 노선 번호에 대응하는 곧 도착 예정인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민원 사항 발생 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의 일측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민원인과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를 관리하는 담당자 간의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여 민원 접수 및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는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의 일측에 택시 호출 버튼(미도시)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의 일측에 구비된 택시 호출 버튼이 선택(또는 클릭)되는 경우,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예를 들어 위치 정보 등 포함)를 근거로 택시 호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에 구비된 카메라 및/또는 마이크(미도시) 등을 통해, 택시 운전사와의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에 전자발찌, 전자팔찌 등의 전자감시(또는 전자감독) 장치를 착용 중인 사용자가 있는 경우, 해당 전자감시 장치를 착용 중인 사용자가 주변에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선번호, 부가 정보 및 도착 정보 이외에, 동영상이나 이미지 형태의 홍보 정보나,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버스 도착에 따른 도착 예정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도착 예정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홀로그램 형태로 버스정보안내기 주변의 벽이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통신부(110)는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가 설치된 버스정류장(또는 버스정류소)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를 교통정보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또는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운행 정보는 노선 번호(또는 버스 번호), 차량 번호(또는 차량 고유 식별 정보), 운행 방향(또는 종점/회차 정보), 현재 위치 정보(또는 현재 위치한 버스정류장 정보), 남은 구간 정보, 도착 예정 시각 정보(또는 도착 정보), 저상버스 여부 정보, 지선/간선/직행 버스 정보,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 첫차 시각 정보, 막차 시각 정보, 배차간격(예를 들어 평일, 토요일, 휴일 배차간격 등 포함), 운행 중인 버스 수, 운행시간(예를 들어 평일, 토요일, 휴일 운행시간 등 포함), 노선 번호별(또는 버스별) 빈자리 정보, 노선 번호별 혼잡도 정보(예를 들어 혼잡, 보통, 여유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교통정보 시스템은 서울특별시에서 운영 중인 토피스(https://topis.seoul.go.kr), 각 시도군에서 운영 중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차병원방면으로 역삼역 7번 출구 부근의 고유 버스 정류장 번호가 23281인 역삼역/GS타워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제 1 버스정보안내기(100)는 해당 역삼역/GS타워 버스 정류장을 운행하는 차병원 방향의 간선버스 147번, 간선버스 463번 및 지선버스 4211번의 운행 정보를 상기 교통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한다(S410).
이후, 제어부(160)는 상기 수집된(또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로부터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가 위치한 버스정류장과 관련한 유효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유효 정보는 노선 번호(또는 버스 번호), 차량 번호(또는 차량 고유 식별 정보), 운행 방향(또는 종점/회차 정보), 현재 위치 정보(또는 현재 위치한 버스정류장 정보), 남은 구간 정보, 도착 예정 시각 정보(또는 도착 정보), 저상버스 여부 정보, 지선/간선/직행 버스 정보, 노선 번호별(또는 버스별) 빈자리 정보, 노선 번호별 혼잡도 정보(예를 들어 혼잡, 보통, 여유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는 노선 번호, 도착 예정 시각 정보(또는 도착 정보), 저상버스 여부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수집된 해당 역삼역/GS타워 버스 정류장을 운행하는 차병원 방향의 간선버스 147번, 간선버스 463번 및 지선버스 4211번의 운행 정보를 근거로 해당 역삼역/GS타워 버스 정류장과 관련한 간선버스 147번과 관련한 제 1 유효 정보(예를 들어 노선번호 147, 차량번호 3011, 제 1 운행 방향인 월계동 방향, 제 1 현재 위치 정보인 한티역 7번 출구, 남은 구간인 5 정거장, 제 1 도착 예정 시각 정보/제 1 도착 정보인 8분, 저상버스 아님, 간선 버스 등 포함), 간선버스 463번과 관련한 제 2 유효 정보(예를 들어 노선번호 463, 차량번호 9877, 제 2 운행 방향인 국회의사당 방향, 제 2 현재 위치 정보인 삼익아파트앞, 남은 구간인 3 정거장, 제 2 도착 예정 시각 정보/제 2 도착 정보인 6분, 저상버스, 간선 버스 등 포함) 및 지선버스 4211번과 관련한 제 3 유효 정보(예를 들어 노선번호 4211, 차량번호 7037, 제 3 운행 방향인 한양대 동문앞 방향, 제 3 현재 위치 정보인 총지사, 남은 구간인 2 정거장, 제 3 도착 예정 시각 정보/제 3 도착 정보인 4분, 저상버스 아님, 지선 버스 등 포함)를 각각 추출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된 간선버스 147번과 관련한 제 1 유효 정보 중 일부(예를 들어 노선번호 147, 제 1 도착 정보인 8분, 저상버스 아님 등 포함), 간선버스 463번과 관련한 제 2 유효 정보 중 일부(예를 들어 노선번호 463, 제 2 도착 정보인 6분, 저상버스 등 포함) 및 지선버스 4211번과 관련한 제 3 유효 정보 중 일부(예를 들어 노선번호 4211, 제 3 도착 정보인 4분, 저상버스 아님 등 포함)(50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각각 표시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저상버스인 경우에 대해서만 '저상'으로 표시하고, 저상버스가 아닌 경우에는 부가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미표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S42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에 포함된 도착 정보(또는 도착 예정 시각 정보)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또는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도착 정보를 근거로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가 위치한 버스정류장에 곧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 1 도착 정보(예를 들어 8분), 상기 제 2 도착 정보(예를 들어 6분) 및 상기 제 3 도착 정보(예를 들어 4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각각 확인한다(S430).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어느 하나의 홍보 정보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홍보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홍보 정보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순서(또는 스케줄)에 따라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홍보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홍보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수신된/선택된 홍보 정보 및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홍보 정보는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시간 및/또는 반복 횟수가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수신된/선택된 홍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일측에 표시하고,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다른 일측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는 노선 번호, 도착 예정 시각 정보(또는 도착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에 포함된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을 감지하고,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이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 객체가 상기 홍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상기 홍보 정보 및 상기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함께 표시하며,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전면에 상기 유효 정보 중 일부를 표시하는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일측에 표시되는 홍보 정보의 재생(또는 플레이/play)이 종료되는 경우(예를 들어 홍보 정보가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 재생 시간이 종료되는 경우, 홍보 정보가 이미지인 경우 이미지 표시 시간이 종료되는 경우 등 포함), 상기 제어부(160)는 애니메이션 효과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일측 화면에 표시되던 홍보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다른 일측 화면에 표시되던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사라지게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전면에 상기 유효 정보 중 일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는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효과(또는 기능)를 포함하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파워포인트에서 제공하는 나타내기 효과(예를 들어 밝기 변화, 날라오기, 올라오기 등 포함), 강조 효과(예를 들어 펄스, 색 파동, 흔들기, 회전 등 포함), 끝내기 효과(예를 들어 사라지기, 밝기 변화, 시계 방향 등 포함), 이동 경로 효과(예를 들어 선, 타원, 회전, 도형 등 포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역삼역/GS타워 버스 정류장을 운행하는 차병원 방향의 간선버스 147번, 간선버스 463번 및 지선버스 4211번의 각각의 운행 정보로부터 추출된 유효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도착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분) 이내에 포함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홍보 정보 중에서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른 동영상 형태의 제 7 홍보 정보를 선택(또는 확인)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 형태의 제 7 홍보 정보(61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좌측에 표시하고, 상기 추출된 간선버스 147번과 관련한 제 1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예를 들어 노선번호 147, 제 1 도착 정보인 11분 등 포함), 간선버스 463번과 관련한 제 2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예를 들어 노선번호 463, 제 2 도착 정보인 10분 등 포함) 및 지선버스 4211번과 관련한 제 3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예를 들어 노선번호 4211, 제 3 도착 정보인 13분 등 포함)(62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우측에 각각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 7 홍보 정보의 재생이 완료될 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분할된 좌/우 화면에 각각 표시되던 제 7 홍보 정보(610) 및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620)를 미리 설정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의해 사라지게 하고, 앞선 간선버스 147번과 관련한 제 1 유효 정보 중 일부, 간선버스 463번과 관련한 제 2 유효 정보 중 일부 및 지선버스 4211번과 관련한 제 3 유효 정보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S440).
또한,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또는 도착 정보를 근거로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또는 도착 예정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또는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상태로,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에 포함된 해당 노선번호 내의 빈자리 정보, 혼잡도 정보, 저상 버스 여부 정보, 방면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도착 예정인 복수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랜덤하게(또는 도착 정보에 따른 도착 시각이 빠른 순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각각 순차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을 해당 도착 예정인 복수의 버스 수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화면 각각에 해당 도착 예정인 복수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각각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버스정보안내기(100)에 포함된 상기 센서부를 통해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을 감지하고,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이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 객체가 상기 이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상기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며,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또는 객체)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전면에 상기 유효 정보 중 일부를 표시하는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홀로그램 생성부(150)와 연동하여,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홀로그램 형태로 해당 버스정보안내기(100)가 설치된 버스정류장 주변의 벽이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가 해당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경우 또는 상기 이벤트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 표시(또는 출력)되는 경우(또는 상기 이벤트 정보의 재생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앞서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역삼역/GS타워 버스 정류장을 운행하는 차병원 방향의 지선버스 4211번의 운행 정보로부터 추출된 유효 정보에 포함된 제 3 도착 정보(예를 들어 4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분) 이내에 포함될 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지선버스 4211번과 관련한 제 3 버스 내의 빈자리 정보(예를 들어 11자리 남음), 제 3 혼잡도 정보(예를 들어 여유), 제 3 저상 버스 여부 정보(예를 들어 저상 버스 아님), 제 3 방면 정보(예를 들어 한양대 동문앞 방향) 등을 포함하는 제 3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 3 이벤트 정보(70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홀로그램 생성부(150)와 연동하여, 홀로그램 기능(또는 효과)을 적용한 곧 도착 예정인 지선버스 4211번과 관련한 제 3 이벤트 정보를 상기 제 1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해당 역삼역/GS타워 버스 정류장 주변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한다(S45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노선번호, 부가 정보 및 도착 정보 이외에, 동영상이나 이미지 형태의 홍보 정보나,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버스 도착에 따른 도착 예정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여, 취약 계층에 대한 시인성 및 가독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착 예정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홀로그램 형태로 버스정보안내기 주변의 벽이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증대시키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음성 출력부
150: 홀로그램 생성부 160: 제어부

Claims (10)

  1.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버스정류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를 교통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버스정보안내기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수집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로부터 상기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버스정류장과 관련한 유효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에 포함된 도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버스정보안내기가 위치한 버스정류장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있던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 대신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홍보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일측에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하며,
    상기 홍보 정보의 재생이 종료될 때, 상기 홍보 정보 및 상기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가 표시되기 직전 상태인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버스정보안내기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때, 상기 객체가 상기 홍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홍보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일측에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정보는,
    노선 번호, 차량 번호, 운행 방향, 현재 위치 정보, 남은 구간 정보, 도착 정보, 저상버스 여부 정보, 지선/간선/직행 버스 정보,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 첫차 시각 정보, 막차 시각 정보, 배차간격, 운행 중인 버스 수, 운행시간, 노선 번호별 빈자리 정보 및 노선 번호별 혼잡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유효 정보는,
    상기 노선 번호, 상기 차량 번호, 상기 운행 방향,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남은 구간 정보, 상기 도착 정보, 상기 저상버스 여부 정보, 상기 지선/간선/직행 버스 정보, 상기 노선 번호별 빈자리 정보 및 상기 노선 번호별 혼잡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할 때,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할 때,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홀로그램 형태로 상기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버스정류장 주변의 벽이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하는 홀로그램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6. 통신부에 의해, 상기 통신부를 포함하는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버스정류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를 교통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집된 하나 이상의 버스의 운행 정보로부터 상기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버스정류장과 관련한 유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에 포함된 도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버스정보안내기가 위치한 버스정류장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있던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 대신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홍보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일측에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단계;
    센서부를 통해 상기 버스정보안내기 주변에서의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있던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 대신에, 상기 객체가 상기 홍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홍보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일측에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홍보 정보의 재생이 종료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홍보 정보 및 상기 유효 정보 중 다른 일부가 표시되기 직전 상태인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의 제어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인 버스가 존재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곧 도착 예정인 하나 이상의 버스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홀로그램 생성부와 연동하여, 상기 이벤트 정보를 홀로그램 형태로 상기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버스정류장 주변의 벽이나 보도블록 위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정보의 재생이 종료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 중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상태로, 상기 추출된 유효 정보에 포함된 노선번호 내의 빈자리 정보, 혼잡도 정보, 저상 버스 여부 정보 및 방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의 제어 방법.
KR1020200015451A 2020-02-10 2020-02-10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 Active KR102128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451A KR102128432B1 (ko) 2020-02-10 2020-02-10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451A KR102128432B1 (ko) 2020-02-10 2020-02-10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432B1 true KR102128432B1 (ko) 2020-06-30

Family

ID=7112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451A Active KR102128432B1 (ko) 2020-02-10 2020-02-10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613394B2 (ja) 2022-02-15 2025-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車両システ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71B1 (ko) * 2009-04-06 2010-02-10 (주)경봉 버스정보시스템의 버스 도착 시간 표출 장치 및 방법
KR20120076487A (ko) * 2010-11-26 2012-07-09 김인숙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10393A (ko) * 2011-07-18 2013-01-28 주식회사 네비웨이 버스정보 안내시스템
KR20130010394A (ko) * 2011-07-18 2013-01-28 주식회사 네비웨이 버스정보 안내시스템
KR101742718B1 (ko) 2016-08-08 2017-06-01 (주)키삭 유지보수용 보조모니터를 구비한 버스정보안내 단말장치
KR20190050214A (ko) * 2017-11-02 2019-05-10 최용범 버스광고제공시스템
KR20190134551A (ko) * 2019-11-15 2019-12-04 박현욱 홀로그램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차양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71B1 (ko) * 2009-04-06 2010-02-10 (주)경봉 버스정보시스템의 버스 도착 시간 표출 장치 및 방법
KR20120076487A (ko) * 2010-11-26 2012-07-09 김인숙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10393A (ko) * 2011-07-18 2013-01-28 주식회사 네비웨이 버스정보 안내시스템
KR20130010394A (ko) * 2011-07-18 2013-01-28 주식회사 네비웨이 버스정보 안내시스템
KR101742718B1 (ko) 2016-08-08 2017-06-01 (주)키삭 유지보수용 보조모니터를 구비한 버스정보안내 단말장치
KR20190050214A (ko) * 2017-11-02 2019-05-10 최용범 버스광고제공시스템
KR20190134551A (ko) * 2019-11-15 2019-12-04 박현욱 홀로그램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차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613394B2 (ja) 2022-02-15 2025-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車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93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digital signage
US105696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n-vehicle device, and terminal device for privacy management
CN112550309B (zh) 自动驾驶车辆、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GB2524496A (en) Dynamic tracking and control of passenger travel progress
KR101994521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KR102215885B1 (ko) 정차 및 무정차 버스 관리를 위한 버스 정류장 운영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701311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154478B2 (ja) コンテンツを表示するサイネージ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102128432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001434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3810887B (zh) 一种公交班次信息显示方法及系统
CN115943409A (zh) 利用车辆外部显示器的基于数字智能化信息共享的广告系统及方法
KR20170030210A (ko) 미디어보드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및 교통정보 제공방법
KR20130110729A (ko) 통합 지역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566934B1 (ko)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CN114396961A (zh) 车辆的领航辅助方法、装置、设备及产品
JP655216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誘導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4298772A (zh) 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50044062A (ko) 셔틀버스 운행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437472B1 (ko) 휴대폰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중계기로 활용한 버스 정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시스템
KR101027420B1 (ko) 열차 운행안내 시스템
CN103886772A (zh) 在即时通信中显示报站信息的方法和系统
JP695208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誘導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3069141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表示方法、及び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