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27526B1 - 선형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선형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526B1
KR102127526B1 KR1020190162613A KR20190162613A KR102127526B1 KR 102127526 B1 KR102127526 B1 KR 102127526B1 KR 1020190162613 A KR1020190162613 A KR 1020190162613A KR 20190162613 A KR20190162613 A KR 20190162613A KR 102127526 B1 KR102127526 B1 KR 102127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vibration motor
upper case
linear vibr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957A (ko
Inventor
정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62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5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100)는, 하부가 개구된 상부 케이스(20a) 및 상기 상부 케이스(20a)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20b)를 포함하는 케이스(20),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20b) 상에 배치되는 고정자(30),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고정자(30)의 하부 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20b)와 일면이 결합되는 탄성부재(40), 상기 탄성부재(40)의 타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자(30)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고리형 자석(52)을 포함하는 진동자(50) 및 상기 고리형 자석(52)의 상부에 도포되는 자성 유체(F)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20a)는, 상기 하부 케이스(20b)와 대향되는 내측면에 상기 고리형 자석(5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고리형 돌출부(2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형 진동모터{LINEAR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선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진동모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선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에는 통화 착신 등의 인터페이싱은 물론, 키 입력, 이벤트 발생, 앱 실행 등을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진동 기능(햅틱, Haptic)이 구현된다.
이러한 진동 기능을 구현하는 진동 모터는 전자기력을 기계적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구동 방식과 형태에 따라 크게 평판형(flat/coin type) 진동모터와 선형(linear type) 진동모터로 구분될 수 있다.
평판형 진동모터의 경우, 내부 질량체의 회전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키며, 회전에 따른 관성이 잔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바, 빠른 응답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에서는 회전 관성이 없는 선형 진동모터가 주로 이용된다.
한편, 선형 진동모터는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탄성부재가 제공하는 물리적 탄성력이 상호 공진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되는데, 가변 특성을 가지는 특정 주파수의 전원이 코일에 인가되어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발생된 전자기력과 탄성력이 상호 작용하여 진동자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하지만 선형 진동모터의 진동자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과정에서, 진동 강도가 증가하는 경우, 진동자의 진동 이음(noise)이 발생하여 선형 진동모터의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선형 진동모터의 내부에 진동자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자의 일측에 자성 유체를 도포하는 방식이 개시되었으나, 선형 진동모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자성 유체의 물리적 특성 상 자성 유체가 퍼지게 되어,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선형 진동모터 내 자성 유체의 이동을 방지하여 선형 진동모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3105호(발명의 명칭 : 선형 진동 발생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형 진동모터 내 진동자에 도포된 자성 유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선형 진동모터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는, 하부가 개구된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상기 하부 케이스에 배치되는 고정자,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고정자의 하부 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일면이 결합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타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자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고리형 자석을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리형 자석의 상부에 도포되는 자성 유체;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대향되는 내측면에 상기 고리형 자석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고리형 돌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리형 돌출부는, 상기 고리형 자석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자는, 상기 고리형 자석을 둘러싸며 배치되며, 진동을 증폭시키는 고리형 중량체 및 상기 고리형 중량체 및 상기 고리형 자석 사이에서 자기 폐회로를 형성하는 고리형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형 돌출부의 최소 내경은, 상기 고리형 요크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리형 돌출부는, 고리형 돌출부재이며, 상기 고리형 돌출부재가 상기 하부 케이스와 대향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리형 돌출부재는, 상기 상부 케이스보다 연질 소재 또는 강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리형 돌출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오목한 고리형 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대향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상기 고리형 자석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고리형 돌출부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은 지름을 가지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는, 평판형 완충부재이며, 상기 평판형 완충부재가 상기 하부 케이스와 대향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판형 완충부재는, 상기 상부 케이스보다 연질 소재 또는 강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오목한 평판형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형 진동모터 내 자성 유체의 이동을 물리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선형 진동모터의 자성 유체가 도포된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진동자가 진동하는 과정에서 케이스 내부에 가해지는 물리적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하 진동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선형 진동모터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진동자가 일정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 선형 진동모터의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선형 진동모터 내 자성 유체의 이동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의 선형 진동모터가 진동하여 자성 유체가 이동된 실물 사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돌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 내 자성 유체의 이동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가 진동하여 자성 유체가 이동된 실물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a는 종래의 선형 진동모터(1) 내 자성 유체(6)의 이동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의 선형 진동모터(1)가 진동하여 자성 유체(6)가 이동된 실물 사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선형 진동모터(1)는 케이스(2), 고정자(3), 탄성부재(4), 진동자(5), 자성 유체(6) 및 기판(7)을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와 연결된 기판(7)을 통해 고정자(3)에 전류가 공급되어, 전자기력이 발생하고, 고정자(3)의 둘레에 배치된 진동자(5) 및 탄성부재(4)가 상하 진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하 진동하는 진동자(5)가 케이스(2)에 충돌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자성 유체(6)가 자석(5a)의 상면에 도포되었으나, 진동자(5)가 상부로 진동하는 과정에서 케이스(2)와 충돌한 자성 유체(6)가 퍼지게 되어, 본래의 충돌 방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선형 진동모터(1) 구조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자성 유체(6)가 빗금 표시된 환형 모양으로 케이스(2)의 가장자리까지 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자성 유체(6)는 본래의 충돌 방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선형 진동모터(1)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돌출부(25)의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선형 진동모터(100)는 기판(10), 케이스(20), 고정자(30), 탄성부재(40), 진동자(50) 및 자성 유체(F)를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형 진동모터(100)는 케이스(20)에 의하여 내부 공간을 가지고, 진동자(50)와 고정자(30) 간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먼저, 기판(10)은 선형 진동모터(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해 일부 영역이 선형 진동모터(1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기판(10)는 외부에서 인가받은 전원을 고정자(3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하부가 개구된 상부 케이스(20a) 및 상부 케이스(20a)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20b)를 포함한다. 한편, 하부 케이스(20 b)는 음향 진동판일 수 있으며, 고정자(30)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케이스(20)는 원통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통, 다각형통 형상일 수 있으며, 케이스(20)와 결합하는 기판(10)과 케이스(20) 내부에 수용되는 탄성부재(40) 및 진동자(50)도 동일한 사각 형상, 다각 형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자(30)는 케이스(20)가 형성한 내부 공간에서 하부 케이스(20b) 상에 배치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코일(32) 및 코일 요크(3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코일(32)은 사운드용 코일일 수 있으며, 방향과 세기가 다른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일(32)에 기판(10)을 통한 교류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32)로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여 코일(32)과 접촉된 하부 케이스(20b)가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진동하고, 이를 통해 음향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코일 요크(34)는 코일(32)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코일(32)에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탄성부재(40)는 케이스(20)가 형성한 내부 공간에서 하부 케이스(20b) 상에 배치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동자(50)를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40)는 고정자(30)의 하부 영역(코일 요크(34)가 배치된 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0)의 일면은 하부 케이스(20b)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면은 진동자(50)와 결합하여, 진동자(50)를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진동자(50)의 상하 진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보조할 수 있으며, 진동자(50)의 상하 진동을 증폭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진동자(50)는 케이스(20)가 형성한 내부 공간에서 탄성부재(40) 상에 안착되어, 고정자(30)를 둘러싸며 배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진동자(50)는 고리형 자석(52), 고리형 중량체(54) 및 고리형 요크(56)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자(30)에 교류 전류가 인가되면, 교류 전류의 크기 변화에 따라 상하 진동할 수 있다.
진동자(50)의 고리형 자석(52)은 코일(3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코일(32)에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통해 상하 진동을 수행하고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a의 고리형 자석(52)은 하나로 도시되어 있으나, 두 개 이상의 고리형 자석(52)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강한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자(50)의 고리형 중량체(54)는 고리형 자석(5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고리형 자석(52)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고리형 자석(52)의 상하 진동을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고리형 중량체(54)의 외경은 케이스(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진동자(50) 전체가 상하 진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케이스(2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선형 진동모터(10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진동자(50)의 고리형 요크(56)는 고리형 자석(52)및 고리형 중량체(54) 사이에 배치되며, 고리형 자석(52) 및 고리형 중량체(54)와 접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리형 요크(56)는 고리형 자석(5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자기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리형 자석(52)의 상부에 고리형 자석(52)을 포함하는 진동자(50) 전체의 상하 진동에 따른 케이스(20)와의 물리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자성 유체(F)가 도포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성 유체(F)가 도포됨에 따라, 선형 진동모터(100)의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선형 진동모터(100)가 구동하는 과정에서도 변함없이 고리형 자석(52)의 상부에 도포된 자성 유체(F)를 고리형 자석(52) 상부에 배치시키기 위해, 상부 케이스(20a)의 내측면에 고리형 돌출부(25)를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리형 돌출부(25)는 하부 케이스(20b)와 대향되는 상부 케이스(20a)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고리형 돌출부(25)의 내경(D1)은 고리형 자석(52)의 외경(D2)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고리형 자석(52) 상부에 도포된 자성 유체(F)의 이동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b를 참조하면, 고리형 돌출부(25)는 고리형 돌출부재(R) 형태일 수 있으며, 고리형 돌출부재(R)가 하부 케이스(20b)와 대향되는 상부 케이스(20a)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고리형 돌출부재(R)는 플라스틱과 같이 상부 케이스(20a)보다 단단하지 않은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자성 유체(F)의 도포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황동,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상부 케이스(20a)보다 단단한 강질 소재로 이루어져, 자성 유체(F)가 고리형 돌출부(25)의 외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성 유체(F)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선형 진동모터(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케이스(20)에 형성되는 고리형 돌출부(25)의 상이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돌출부(25)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20a)의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선형 진동모터(10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a에 도시되어 설명된 선형 진동모터(100)와 상이한 구성 요소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선형 진동모터(100)는 도 2a에 도시된 선형 진동모터(100)와 비교하여 고리형 돌출부(25)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 고리형 돌출부(25) 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고리형 돌출부(25)는, 고리형 돌출부재(R)가 상부 케이스(20a)에 부착되는 형태가 아닌, 상부 케이스(20a)의 외측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오목한 고리형 홈(H)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리형 돌출부(25)는 상부 케이스(20a)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고리형 자석(52)의 외경(D2)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고리형 홈(H)을 형성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20a)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고리형 홈(H)의 최소 내경(D1') 및 상부 케이스(20a)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고리형 돌출부재(R)의 최소 내경(D1)은 고리형 자석(52) 상부에 도포된 자성 유체(F)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고리형 요크(56)의 외경(D3)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고리형 돌출부(25)가 원형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고리형 돌출부(25)는 고리형 자석(5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고리형 자석(52) 상부에 도포된 자성 유체(F)의 이동을 견고하게 막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돌출부(25)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고리형 돌출부(25)에 더하여 자성 유체(F)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선형 진동모터(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리형 자석(52)의 상부에 도포된 자성 유체(F)를 선형 진동모터(100)가 구동하는 과정에서도 변함없이 고리형 자석(52) 상부에 배치시키기 위해, 고리형 돌출부(25)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20a)의 내측면에 완충부(60)를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완충부(60)는 하부 케이스(20b)와 대향되는 상부 케이스(20a)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완충부(60)의 지름(D5)은 고리형 자석(52)의 내경(D4) 이상, 고리형 돌출부(25)의 내경(D1) 이하의 값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고리형 자석(52) 상부에 도포된 자성 유체(F)의 이동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완충부(60)는 평판형 완충부재(P) 형태일 수 있으며, 평판형 완충부재(P)가 하부 케이스(20b)와 대향되는 상부 케이스(20a)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평판형 완충부재(P)는 플라스틱과 같이 상부 케이스(20a)보다 단단하지 않은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자성 유체(F)의 도포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황동,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상부 케이스(20a)보다 단단한 강질 소재로 이루어져, 자성 유체(F)가 선형 진동모터(100)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성 유체(F)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선형 진동모터(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부 케이스(20a)에 형성되는 완충부(60)의 상이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60)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20a)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완충부(60)는 평판형 완충부재(P)가 상부 케이스(20a)에 부착되는 형태가 아닌, 상부 케이스(20a)의 외측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오목한 평판형 홈(H') 형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케이스(20a)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고리형 자석(52)의 외경(D2)을 고려하여, 고리형 자석(52)의 외경(D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평판형 홈(H')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20a)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평판형 홈(H')의 최소 지름(D5')및 상부 케이스(20a)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평판형 완충부재(P)의 최소 지름(D5)은 고리형 자석(52) 상부에 도포된 자성 유체(F)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하부 케이스(20b)의 지지축(A)을 둘러싸며 배치된 고정자(30)의 외경(D6)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1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선형 진동모터(100) 상부 케이스(20a)에 고리형 돌출부재(R)와 평판형 완충부재(P)가 배치되고, 하나의 선형 진동모터(100) 상부 케이스(20a)에 고리형 홈(H)과 평판형 홈(H')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 형상과 홈 형상이 교차 배치될 수 있다.
지금까지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6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형 진동모터(100)를 사용하였을 때 변화하는 선형 진동모터(100)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100) 내 자성 유체(F)의 이동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100)가 진동하여 자성 유체(F)가 이동된 실물 사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선형 진동모터(100) 내 진동자(50)가 상하 진동하는 과정에서 고리형 자석(52) 상부에 도포된 자성 유체(F)가 상부 케이스(20a)에 직접적으로 충돌하여 고리형 자석(52) 상부에서 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부 케이스(20a)의 내측면에 배치된 고리형 돌출부(25)와 완충부(60)에 의해 자성 유체(F)는 고리형 돌출부(25)와 완충부(60) 사이 간격(S)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자성 유체(F)는 선형 진동모터(100)가 지속적으로 구동하는 과정에서 본래의 위치, 즉 고리형 자석(52) 상부를 벗어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형 진동모터(100)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고리형 돌출부(25)와 완충부(60)에 의해 자성 유체(F)가 상부 케이스(20a)의 가장자리까지 퍼지지 않고, 본래의 위치를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형 진동모터(100)는 상부 케이스(20a)의 내부에 고리형 돌출부(25) 및 완충부(60)를 가지는 바, 선형 진동모터(100)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자성 유체(F) 본래의 위치를 유지하여, 진동자(50) 충돌을 막을 수 있어, 그에 따라, 선형 진동모터(100)의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종래의 선형 진동모터
100: 선형 진동모터
10: 기판
20: 케이스
20a: 상부 케이스
20b: 하부 케이스
25: 고리형 돌출부
30: 고정자
32: 코일
34: 코일 요크
40: 탄성부재
50: 진동자
52: 고리형 자석
54: 고리형 중량체
56: 고리형 요크
60: 완충부
F: 자성 유체

Claims (10)

  1. 하부가 개구된 상부 케이스(20a) 및 상기 상부 케이스(20a)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20b)를 포함하는 케이스(20);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20b) 상에 배치되는 고정자(30);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고정자(30)를 둘러싸며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20b)와 일면이 결합되는 탄성부재(40);
    상기 탄성부재(40)의 타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자(30)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고리형 자석(52)을 포함하는 진동자(50); 및
    상기 고리형 자석(52)의 상부에 도포되는 자성 유체(F);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고리형 자석(52)을 둘러싸며 배치된 고리형 중량체(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20a)는,
    상기 하부 케이스(20b)와 대향되는 내측면에 고리형 돌출부(25)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리형 돌출부(25)는,
    상기 고리형 자석(52)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져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고리형 자석(52)과는 중첩되는 영역이 없고, 상기 고리형 자석(52)에 인접한 중량체(54)의 내경 쪽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중량체(54)와 중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상부케이스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형성되거나, 상기 상부케이스보다 강질의 소재로 별도 형성되어 상부케이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돌출부(25)는,
    상기 고리형 자석(5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50)는,
    상기 고리형 중량체(54) 및 상기 고리형 자석(52) 사이에서 자기 폐회로를 형성하는 고리형 요크(56)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형 돌출부(25)의 최소 내경은,
    상기 고리형 요크(56)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돌출부(25)는, 고리형 돌출부재(R)이며,
    상기 고리형 돌출부재(R)가 상기 하부 케이스(20b)와 대향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20a)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돌출부(25)는,
    상기 상부 케이스(20a)의 외측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오목한 고리형 홈(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20a)는,
    상기 하부 케이스(20b)와 대향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20a)의 내측면에 상기 고리형 자석(52)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고리형 돌출부(25)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은 지름을 가지는 완충부(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60)는, 평판형 완충부재(P)이며,
    상기 평판형 완충부재(P)가 상기 하부 케이스(20b)와 대향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20a)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완충부재(P)는,
    상기 상부 케이스(20a)보다 연질 소재 또는 강질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60)는,
    상기 상부 케이스(20a)의 외측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오목한 평판형 홈(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KR1020190162613A 2019-12-09 2019-12-09 선형 진동모터 KR102127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13A KR102127526B1 (ko) 2019-12-09 2019-12-09 선형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13A KR102127526B1 (ko) 2019-12-09 2019-12-09 선형 진동모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644 Division 2018-07-11 2018-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957A KR20200006957A (ko) 2020-01-21
KR102127526B1 true KR102127526B1 (ko) 2020-06-29

Family

ID=6936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613A KR102127526B1 (ko) 2019-12-09 2019-12-09 선형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066A1 (ko) * 2021-10-08 2023-04-13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동조용 초저역 진동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828B1 (ko) 2016-08-18 2017-01-13 자화전자(주) 댐퍼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및 댐퍼
KR101783645B1 (ko) 2017-04-27 2017-10-11 주식회사 블루콤 진동 응답속도가 향상된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309A (ko) * 2011-02-24 2012-09-03 이인호 선형 진동기
KR101547572B1 (ko) 2013-11-07 2015-08-27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80055388A (ko) * 2016-11-17 2018-05-25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828B1 (ko) 2016-08-18 2017-01-13 자화전자(주) 댐퍼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및 댐퍼
KR101783645B1 (ko) 2017-04-27 2017-10-11 주식회사 블루콤 진동 응답속도가 향상된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066A1 (ko) * 2021-10-08 2023-04-13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동조용 초저역 진동자
KR20230050772A (ko) * 2021-10-08 2023-04-17 한경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동조용 초저역 진동자
KR102547614B1 (ko) 2021-10-08 2023-06-26 한경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동조용 초저역 진동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957A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03156B2 (en) Vibration actuator with plate springs including planar, spiral deformation arms
JP6803685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2022176329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子機器
KR101746007B1 (ko) 자계 폐회로 형성 케이스를 포함하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US20020061115A1 (en) Vibration speaker
US20160172950A1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JP6517649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101514677B1 (ko) 골전도 출력장치
KR20120097309A (ko) 선형 진동기
JP2007222794A (ja) 振動体
KR101783645B1 (ko) 진동 응답속도가 향상된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2127526B1 (ko) 선형 진동모터
FI114128B (fi) Monitoimielin
KR101987068B1 (ko) 리니어 진동 엑츄에이터
KR20160114313A (ko) 코어리스 햅틱 액추에이터
KR101744029B1 (ko) 향상된 진동력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1858969B1 (ko) 자기 브레이크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진동발생장치
KR102020603B1 (ko) 탄성부재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선형 진동모터
KR101339531B1 (ko) 진동발생장치용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CN110719007B (zh) 线性振动马达
JP2019041548A (ja) リニア振動モータ及び電子機器
WO2018008280A1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101951716B1 (ko) 개선된 내부 공기 흐름성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2295550B1 (ko) 진동 발생장치
JP2000166210A (ja) 発音振動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