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24339B1 - 내용물 혼합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혼합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339B1
KR102124339B1 KR1020180101126A KR20180101126A KR102124339B1 KR 102124339 B1 KR102124339 B1 KR 102124339B1 KR 1020180101126 A KR1020180101126 A KR 1020180101126A KR 20180101126 A KR20180101126 A KR 20180101126A KR 102124339 B1 KR102124339 B1 KR 102124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ainer
inner container
content
discharg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444A (ko
Inventor
함형길
김한철
Original Assignee
함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형길 filed Critical 함형길
Priority to KR1020180101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3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3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3001
    • B05B11/3002
    • B05B11/3047
    • B05B11/3052
    • B05B11/3067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 혼합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내용기; 상기 제1내용기에 결합된 토출부; 및 상기 제1내용기에 결합된 제2내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1내용기의 내부에 위치된 내용물이 상기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며, 상기 제2내용기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2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제1내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 혼합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A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mixing of contents}
본 발명은 화장료 등의 내용물 혼합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에 수용된 화장료를 사용할 때 주요 내용물에 일시적으로 산소 등의 가스나 기타 보조 내용물이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거나, 사용시마다 주요 내용물에 보조 내용물을 일정한 양만큼 혼합되도록 한 후 혼합된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부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제1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되되, 이와 함께 제2내용기에 힘이 가해져 제2내용기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제1내용기에 유입되어 제1내용기에 수용된 주요 내용물에 혼합된 상태에서 내용물이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혼합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는 파우더, 액체, 겔 또는 고체 등의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화장료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이들을 저장하여 보관토록 하는 화장품 용기도 각기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액상의 화장품을 보관토록 하는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의 주입구측에 별도의 펌프가 장착됨으로써 내용물의 안전한 저장과 더불어 사용시 항상 정량씩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고, 또한 분말상태의 화장품일 경우에는 펌프가 필요없이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용기에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여성들이 사용하는 화장료 중에서 주요 화장료와 보조 화장료를 각각 별도로 구입하여 이들을 적정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토록 하는 기능성 화장품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료 중에는 주요 화장료에 보조 화장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더 큰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 있는데, 이 경우 대부분 두 화장료를 미리 혼합하여 두면 변질의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할 때 직접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화장료의 특성상 미리 혼합하게 되면 이들의 화학적인 반응 등으로 인하여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거나 또는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혼합식 화장료를 사용하는 종래의 경우에는 주요 화장료를 수용하는 용기와 보조 화장료를 수용하는 용기에 각각 별도로 밀봉하여 공급토록 하고, 사용시에는 보조 화장료를 주요 화장료를 수용하고 있는 용기 내부에 넣어서 혼합한 후 사용용도에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주요 화장료와 보조 화장료를 각각 별도로 이루어지는 다른 용기에 저장하여 공급함으로써 사용의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면에서도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시에는 이들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화장료를 외부로 흘리는 등 손실이 많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혼합도 기대하기가 어렵고, 더욱이 정확한 양으로 혼합하기도 쉽지 않는 등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기술인 등록실용신안 제20-0294064호가 개시된다. 종래기술에는 최초 토출부가 눌러졌을 때 하부에 결합된 스트로(straw)가 보조 화장료 등의 보조 내용물이 저장된 공간을 개방시켜 두 종류의 내용물이 혼합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스트로는 용기 바닥에 닿아 있으면서 혼합된 내용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주요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이 한번의 작동으로 일시적으로 전체가 혼합됨에 따라 사용시마다 일정량만큼씩 혼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조 내용물이 압축된 가스 상태인 경우, 용기 내에서 밀폐된 상태에서 보관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밀폐된 용기가 개방되어 전체 가스가 갑작스럽게 분출됨에 있어서 용기에 물리적 힘이 가해져 용기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용기가 파손될 위험 때문에, 보조 내용물이 압축된 가스 상태인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주요 내용물이 수용된 제1내용기와 보조 내용물이 수용된 제2내용기를 분리시켜 장착시키되, 사용시에 토출부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서 제2내용기에도 일정한 힘이 가해져 제2내용기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제1내용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혼합되고, 혼합된 내용물이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보조 내용물이 압축된 가스 상태인 경우에도 안전하게 보관된 상태에서, 사용시 제2내용기에 수용된 압축 가스가 제1내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더욱이 제1내용기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제1내용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가스의 분출 등으로 보조 내용물과 주요 내용물이 혼합되는 과정이 관찰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장품 용기 사용시 심미감이 증대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제1내용기(100); 상기 제1내용기(100)에 결합된 토출부(220); 및 상기 제1내용기(100)에 결합된 제2내용기(240)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22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에 위치된 내용물이 상기 토출부(2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며, 상기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220) 및 상기 제2내용기(240)는 상기 제1내용기(100)의 상부에 병렬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내용기(100)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220) 및 상기 제2내용기(240)가 내측에 수용되는 상부하우징(3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31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토출부(220) 및 상기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220)가 내측에 수용되는 토출부하우징(320) 및 상기 제2내용기(240)가 내측에 수용되는 제2내용기하우징(3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하우징(320)과 상기 제2내용기하우징(340)이 분리된 상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내용기(240)와 제1내용기(100) 사이에는 제1연통부(242)가 위치되고, 상기 제2내용기(240)의 일단에 펌핑부(244)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펌핑부(244)가 작동되어 상기 제1연통부(242)를 통하여 일정량의 상기 제2내용기(240)의 내용물이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내용기(240)와 제1내용기(100) 사이에 제1연통부(242)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1연통부(242)의 일단이 상기 제2내용기(2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내용기(240)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제1연통부(242)를 통해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에는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내용물유입관(140)이 위치되며, 상기 내용물유입관(140)의 일단이 상기 제1내용기(100)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2내용기(240) 내부에 위치된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유입관(140)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주요 내용물이 수용된 제1내용기와 보조 내용물이 수용된 제2내용기를 분리시켜 장착시키되, 사용시에 토출부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서 제2내용기에도 일정한 힘이 가해져 제2내용기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제1내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바, 주요 내용물 사용시 필요한 보조 내용물을 필요한 만큼 첨가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나아가, 보조 내용물이 압축된 가스 상태에서도, 사용시 제2내용기에 수용된 압축 가스가 제1내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더욱이 제1내용기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이 조절될 수 있어 제1내용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가스의 분출 등으로 보조 내용물과 주요 내용물이 혼합되는 과정이 관찰되는 바, 화장품 용기 사용시 호기심 및 심미감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화장품 용기 사용에 더불어 부가적인 흥미가 유발되어 제품 판매 촉진을 야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일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2내용기의 일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2내용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사용됨에 따라 주요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이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제1내용기(100), 중간하우징(150), 토출부(220), 제2내용기(240), 상부하우징(310)(또는 토출부하우징(320) 및 제2내용기하우징(340))을 포함한다.
제1내용기(100)에는 주요 화장료 등의 주요 내용물이 수용된다. 이러한 주요 내용물은 후술할 토출부(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람 피부 등에 사용된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 주요 내용물은 제2내용기(240)의 내부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과 혼합된 이후에, 토출부(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1내용기(100)의 내부에는 내용물유출관(120)이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내용기(100)의 내부에 수용된 주요 내용물 또는 보조 내용물과 주요 내용물이 혼합된 상태의 내용물이 내용물유출관(120)을 통하여 토출부(220)로 토출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내용물유출관(120) 없이 제1내용기(100)의 내용물이 곧바로 토출부(220)로 토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내용기(100)의 내부에는 내용물유입관(140)이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내용물유입관(140)을 통하여 제2내용기(240) 내부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유동되어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보조 내용물이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주요 내용물과 혼합된다.
이러한 내용물유입관(140)의 일단은 제1내용기(100)의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보조 내용물은 화장료이거나 화장료에 부가되어 또는 화장료에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내용물이라면 어느 내용물이라도 가능하며, 이러한 보조 내용물은 가스 상태이거나 액상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내용물이 제1내용기(100)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주요 내용물과 혼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입되는 보조 내용물이 제1내용기(100)의 하부로부터 상승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내용기(100)의 내부에는 분리대(110)가 위치될 수 있다(도 2 및 도 5 참조). 분리대(110)는 제1내용기(100)의 수용공간을 2개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제1내용기(100) 하부가 2개의 수용공간으로 분리되고 제2내용기(100) 상부는 관통될 수 있도록 제1내용기(100)의 하부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물유입관(140)으로 유동되어 제1내용기(100)으로 유입된 보조 내용물이 분리된 2개의 수용공간 중 하나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주요 내용물과 혼합되고, 이렇게 유입된 보조 내용물은 다른 하나의 수용공간으로 유동되어야 내용물유출관(120)으로 유출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바, 분리대(150)를 두고 유입된 보조 내용물과 제1내용기에 수용된 주요 내용물이 충분히 혼합된 이후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내용기(100) 위에는 중간하우징(150)이 장착된다. 중간하우징(150)은 토출부(220), 제2내용기(240) 및 상부하우징(310)이 제1내용기(100)와 결합됨에 있어서 결합부분을 둘러싼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중간하우징(150)은 토출부(220), 제2내용기(240), 토출부하우징(320) 및 제2내용기하우징(340)이 제1내용기(100)와 결합됨에 있어서 결합부분을 둘러싼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토출부(220)는 제1내용기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토출부(220)는 제1내용기(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내용기(100)에 결합된다. 제1내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부(220)의 작동으로 내용물유출관(120)을 통해 토출부(220)로 토출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후술한 바와 같이, 토출부(220)는 제2내용기(240)와 병렬적으로 제1내용기(100)의 상부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바, 제1내용기(100)의 상부 한쪽에 치우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토출부(220)의 작동으로 제1내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주요 내용물 또는 보조 내용물과 주요 내용물이 혼합된 내용물)이 토출부(220)로 토출된 이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토출부(220)의 작동은 펌핑 작동일 수 있다. 즉, 토출부(22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펌핑 작동이 발생되어 제1내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주요 내용물 또는 보조 내용물과 주요 내용물이 혼합된 내용물)이 펌핑 작동으로 토출부(220)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부(220)의 작동은 단순한 토출부(220)를 개방하는 작동일 수 있다. 내용물유출관(120)과 연통된 토출부(220)가 폐쇄된 상태에서, 토출부(22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토출부(220)가 개방되어, 제2내용기(240)의 보조 내용물이 제1내용기(100)로 유입되어 높아진 압력을 유지하고 있는 제1내용기(10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주요 내용물 또는 보조 내용물과 주요 내용물이 혼합된 내용물)이 개방된 토출부(220)로 토출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기타 내용물유출관(120)과 연통된 토출부(220)는 제1내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주요 내용물 또는 보조 내용물과 주요 내용물이 혼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내용기(240)는 제1내용기(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내용기(240)는 제1내용기(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내용기(100)에 결합된다.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내용물유입관(140)을 통해 제1내용기(100) 내부로 유입되어 제1내용기(100)에 수용된 주요 내용물과 혼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내용기(240)는 토출부(220)와 병렬적으로 제1내용기(100)의 상부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바, 제1내용기(100)의 상부 다른 한쪽에 치우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제2내용기(240)에는 보조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보조 내용물은 주요 내용물과 혼합되는 내용물로, 산소 등 가스 상태이거나 또는 액상 상태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화장료 사용시에 종류가 다른 화장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산소 등의 일정한 가스를 사용시에 화장료와 혼합시킨 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내용물을 사용할 경우,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내용물유입관(140)을 통하여 제1내용기(100)로 유입되도록 한 다음, 주요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이 혼합된 상태의 내용물을 토출부(220)로 토출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보조 내용물이 산소 등의 가스 상태일 경우, 제1내용기(100)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시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을 가하면 산소 등의 가스가 제1내용기(100)로 유입되는데, 이때 발생될 수 있는 제1내용기(100)에서의 기포 등으로 인하여 호기심 또는 심미감 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내용물이 제2내용기(240)의 내부로부터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로써,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과 제1내용기(220)에 수용된 주요 내용물이 혼합된다.
제2내용기(240)와 제1내용기(100) 사이에는 제1연통부(242)가 위치된다. 제1연통부(242)를 통하여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제1내용기(10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제1내용기(100)로 유입되는 제2내용기(240)의 일 형태를 설명한다.
제2내용기(240)와 제1내용기(100) 사이에 제1연통부(242)가 위치된 상태에서, 제2내용기(240)의 일단에는 펌핑부(244)가 장착될 수 있다. 제2내용기(240)의 일단은 제1연통부(242)에 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내용기(240)의 타단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즉 위에서 아래로 힘이 가해지면 제2내용기(240)가 위에서 아래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펌핑부(244)에 힘이 가해져 펌핑부(244)가 작동되며, 펌핑부(244)의 작동으로 일정량의 제2내용기(240)의 보조 내용물이 제1연통부(242)를 통하여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펌핑부(244)는 펌프가 제2내용기(240) 일단에 장착된 상태에서 펌핑 작동이 발생될 수 있거나, 또는 단순히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제2내용기(24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수단(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통로가 개방되는 수단)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펌핑부(244)는 제2내용기(240)의 보조 내용물이 제2내용기(240)에서 유출되어 제1연통부(242)를 통해 제1내용기(100)로 유입되도록 작동될 수 있는 펌핑부(244)라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펌핑부(244)는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 중 일정량만큼씩 유동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한꺼번에 제1내용기(100)에 유입되는 것과 달리,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 중 일정량씩 유입되도록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한꺼번에 제1내용기(100)에 유입됨에 따라, 제1내용기(100) 내부에 압력이 가해져 제1내용기(100)가 파손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압축된 고압 가스인 경우에, 제1내용기(100)로의 유입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펌핑부(244)의 작동으로 제1내용기(100)로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제1내용기(100)로 유입되는 제2내용기(240)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제2내용기(240)와 제1내용기(100) 사이에 제1연통부(242)가 위치된 상태에서,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제1연통부(242)의 일단이 제2내용기(2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내용기(240) 내부의 내용물이 제1연통부(242)를 통해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제2내용기의 일 형태와 달리, 제1연통부(242)의 일단이 내측에 홀이 형성된 상태에서 끝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뾰족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1연통부(242)의 일단이 제2내용기(240)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져 제2내용기(240)가 위에서 아래로 이동됨에 따라, 제1연통부(242)의 일단이 제2내용기(240)의 일측과 접촉되고, 더 나아가 제2내용기(24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홀이 형성된 제1연통부(242)의 일단이 제2내용기(240)로 삽입됨에 따라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제1연통부(242)의 홀을 통해 내용물유입관(140)으로 유동되고,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내용기(240)의 일 형태와 달리 그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토출부(220) 및 제2내용기(240)의 하우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하우징은 토출부(220) 및 제2내용기(240)를 덮은 상태에서, 하우징에 가해진 힘이 토출부(220) 및 제2내용기(240)에 또는 토출부(220) 및 제2내용기(240) 각각에 별도로 전달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토출부(220) 및 제2내용기(240)의 하우징의 일 형태를 설명한다.
하우징은 토출부(220) 및 제2내용기(240)를 내측에 수용하는 상부하우징(310)일 수 있다. 이러한 상부하우징(310)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하우징(31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가해진 힘이 상부하우징(310)이 내측에 수용하는 토출부(220) 및 제2내용기(240)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1내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부하우징(310)에 힘을 가하는 경우, 토출부(220) 및 제2내용기(240)에 힘이 가해져,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제1내용기(100)에 유입됨과 동시에, 제1내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주요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이 혼합된 상태)이 토출부(220)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하우징(310)인 상태에서, 상술한 제2내용기(240)의 일 형태 및 다른 형태가 각각 별도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토출부(220) 및 제2내용기(240)의 하우징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하우징은 토출부(220)만을 내측에 수용하는 토출부하우징(320)과 제2내용기(240)만을 내측에 수용하는 제2내용기하우징(34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토출부하우징(320)과 제2내용기하우징(340)은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토출부하우징(320) 또는 제2내용기하우징(340) 각각에만 일정한 힘이 가해질 수 있으며, 토출부하우징(320)에 가해지는 경우 토출부(220)를 통해 제1내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되지만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은 제1내용기(100)로 유입되지 않는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토출부하우징(320) 및 제2내용기하우징(340)에 동시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토출부(220) 및 제2내용기(240)에 힘이 가해져,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제1내용기(100)에 유입됨과 동시에, 제1내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주요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이 혼합된 상태)이 토출부(220)로 토출될 수 있다. 하우징이 이러한 토출부하우징(320) 및 제2내용기하우징(340)인 상태에서, 상술한 제2내용기(240)의 일 형태 및 다른 형태가 각각 별도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상술한 제2내용기(240)의 일 형태 또는 다른 형태에 따른 작동으로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이 제1연통부(242)를 통해 내용물유입관(140)으로 유동되어 제1내용기(100)로 유입된다. 내용물유입관(140)이 없이 곧바로 제1연통부(242)를 통해 제1내용기(100)로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내용기(100)에 수용된 주요 내용물과 제1내용기(100)로 유입된 보조 내용물이 혼합된다. 제1내용기(100)의 내부에 분리대(110)가 위치된 경우, 보조 내용물이 내용물유입관(140)을 통해 제1내용기(100)로 유입되면서 주요 내용물과 혼합되되, 분리대(110)를 넘어가면서 더욱 활발한 혼합이 이루어진다.
제2내용기(240)와 동시에 또는 별도로 토출부(22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제1내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주요 내용물이거나 또는 주요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이 혼합된 내용물)이 내용물유출관(120)으로 유동되어 토출부(220) 토출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내용기
110: 분리대
120: 내용물유출관
140: 내용물유입관
150: 중간하우징
220: 토출부
240: 제2내용기
242: 제1연통부
244: 펌핑부
310: 상부하우징
320: 토출부하우징
340: 제2내용기하우징

Claims (7)

  1. 제1내용기(100);
    상기 제1내용기(100)에 결합된 토출부(220); 및
    상기 제1내용기(100)에 결합된 제2내용기(240)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22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에 위치된 내용물이 상기 토출부(2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며,
    상기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2내용기(240)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토출부(220) 및 상기 제2내용기(240)는 상기 제1내용기(100)의 상부에 병렬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내용기(100)에 결합되며,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에는 분리대(110)가 위치되되, 상기 제1내용기(100)의 상부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내용기(100)의 하부가 2개의 수용공간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분리대(110)가 위치되며,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에는,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토출부(22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내용물유출관(120)이 위치되며,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에는,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2내용기(24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내용물유입관(140)이 위치되며,
    상기 내용물유출관(120)의 일단은 상기 분리대(110)로 분리된 2개의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의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내용물유입관(140)의 일단은 상기 분리대(110)로 분리된 2개의 수용공간 중 다른 하나의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220) 및 상기 제2내용기(240)가 내측에 수용되는 상부하우징(3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31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토출부(220) 및 상기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화장품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220)가 내측에 수용되는 토출부하우징(320) 및 상기 제2내용기(240)가 내측에 수용되는 제2내용기하우징(3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하우징(320)과 상기 제2내용기하우징(340)이 분리된 상태인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용기(240)와 제1내용기(100) 사이에는 제1연통부(242)가 위치되고, 상기 제2내용기(240)의 일단에 펌핑부(244)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펌핑부(244)가 작동되어 상기 제1연통부(242)를 통하여 일정량의 상기 제2내용기(240)의 내용물이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화장품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용기(240)와 제1내용기(100) 사이에 제1연통부(242)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내용기(24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1연통부(242)의 일단이 상기 제2내용기(2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내용기(240)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제1연통부(242)를 통해 상기 제1내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화장품 용기.
  7. 삭제
KR1020180101126A 2018-08-28 2018-08-28 내용물 혼합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Active KR102124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126A KR102124339B1 (ko) 2018-08-28 2018-08-28 내용물 혼합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126A KR102124339B1 (ko) 2018-08-28 2018-08-28 내용물 혼합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444A KR20200024444A (ko) 2020-03-09
KR102124339B1 true KR102124339B1 (ko) 2020-06-18

Family

ID=6980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126A Active KR102124339B1 (ko) 2018-08-28 2018-08-28 내용물 혼합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3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766Y1 (ko) 2005-03-08 2005-05-17 주식회사 태평양 이종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KR200419746Y1 (ko) * 2006-03-13 2006-06-23 (주)민진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포장용기
KR101431518B1 (ko) * 2013-09-04 2014-08-2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이액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2449B1 (de) * 2015-10-28 2018-05-23 Aptar Radolfzell GmbH Austragkopf und spender mit einem solchen austragkop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766Y1 (ko) 2005-03-08 2005-05-17 주식회사 태평양 이종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KR200419746Y1 (ko) * 2006-03-13 2006-06-23 (주)민진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포장용기
KR101431518B1 (ko) * 2013-09-04 2014-08-2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이액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444A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352Y1 (ko)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CN101405197B (zh) 单向阀装置
KR10163581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CN108137220A (zh) 用于饮料的胶囊
KR101234514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주사기형 용기
CN107548373A (zh) 两种内容物混合容器
JP2020183286A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KR102124339B1 (ko) 내용물 혼합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MXPA00009772A (es) Dispositivo de distribucion de una composicion con gradiente de concentracion.
KR10166003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092203B1 (ko) 에어리스펌프를 구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802270B1 (ko) 분리형 화장품 용기
KR102116430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KR102685001B1 (ko) 이종 화장품 혼합 용기
KR102253070B1 (ko) 이종 화장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190105713A (ko) 주사기 형태로 이루어진 이종 화장품 혼합 장치
KR101676027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30092175A (ko) 듀얼 주사기형 용기
KR20130084381A (ko)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KR102307992B1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KR102342567B1 (ko) 3종 내용물 토출용기
KR10209939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228441Y1 (ko) 이종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용 이중격실용기
US12225998B2 (en) Container for mixing different types of cosmetic contents
KR20140111722A (ko)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