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395B1 -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 및 데코 시트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 및 데코 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3395B1 KR102113395B1 KR1020180077937A KR20180077937A KR102113395B1 KR 102113395 B1 KR102113395 B1 KR 102113395B1 KR 1020180077937 A KR1020180077937 A KR 1020180077937A KR 20180077937 A KR20180077937 A KR 20180077937A KR 102113395 B1 KR102113395 B1 KR 1021133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te layer
- matte
- matting agent
- polymer
- she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201/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2—Gloss-reducing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코 시트,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 등에 대한 것으로, 기재 시트; 및 상기 기재 시트 상에 위치하는 무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광층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분산된 폴리머계 소광제를 포함하며, 상기 무광층은 ASTM D3349에 따른 크로스 컷 테스트(Cross Cut test) 결과 기재밀착성이 5B 이상인, 데코 시트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 및 데코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분한 무광성을 갖고, 내마모성과 기재 밀착성이 향상된 무광층을 제조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 및 상기 무광층을 포함하는 데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코 시트는 각종 건축용 내장재 가구, 싱크대, 도어 등의 외면에 사용되어, 제품 표면의 미감을 향상시키고,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데코 시트는 표면은 내스크래치성 향상을 위해 표면 보호용 코팅층을 포함한다.
표면 보호용 코팅층은 고광택 타입과 무광 타입이 있는데, 무광 타입의 경우 고급스러운 표면 질감을 구현하여 선호도가 높다. 하지만 종래의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층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황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소광제의 견고성이 떨어져 무광 효과를 장 기간이 경과하면 무광 효과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데코 시트의 소재로는 PVC(Poly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있다. PVC는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 또한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소각시 유해물질이 배출되고 비-친환경적이라는 특징 때문에 사용이 점차 자제되거 있다. PP의 경우, 자체 단가는 낮으나 가공 시 프라이머(Primer) 처리를 해야 하여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의 친환경 트렌드에 따라 친환경 소재인 PETG도 데코 시트로 적용이 시도되고 있는데, 가격적인 측면이 고가라 용도가 확대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무광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기재 시트와의 밀착성이 향상되며, 소광제의 분산이 균일하여 외관이 유려하고, 내마모성이 향상된 무광층을 포함하는 데코 시트와 이의 제조를 위한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시트는, 기재 시트; 및 상기 기재 시트 상에 위치하는 무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광층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분산된 폴리머계 소광제를 포함하며, 상기 무광층은 ASTM D3349에 따른 크로스 컷 테스트(Cross Cut test) 결과 기재밀착성이 5B 이상인 것이다.
상기 데코 시트는, 상기 무광층 상에 스틸울(Steelwool) 1kg을 로딩한 후 100회 왕복하여 진행한 내마모성 테스트를 시행하기 전과 후의 상기 무광층의 60˚ 그로스(Gloss) 값 차이가 4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무광층의 60˚ 그로스(Gloss) 값이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무광층 상에 스틸울(Steelwool) 1kg을 로딩한 후 100회 왕복하여 진행한 내마모성 테스트를 시행한 후의 상기 무광층의 60˚ 그로스(Gloss) 값이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는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에 의하여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또는 상기 기재 시트의 일면은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 시트는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와 디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층은 상기 디올 반복단위로 네오펜틸글리콜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는 상기 무광층 전체를 기준으로 33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폴리머계 소광제를 포함한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의 표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i) 글리콜(Glycol)기를 포함하는 2 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및 ii)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를 함유하되, 상기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와 상기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는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은 상기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2 내지 40 중량%, 상기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20 내지 60 중량%, 및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 33 내지 7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 데코시트 등은, 무광층의 충분한 무광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향상된 기재 시트와의 밀착성을 가지며, 소광제의 분산이 균일하고 외관이 유려하며, 내마모성이 향상된 무광층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계는, 화합물 내에 "~"에 해당하는 화합물 또는 "~"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유도체"는 특정 화합물을 모체로, 작용기의 도입, 산화, 환원, 원자의 치환 등등 모체의 구조와 성질을 변하지 않는 한도에서 변한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A 상에 B가 위치한다는 의미는 A 상에 직접 맞닿게 B가 위치하거나 그 사이에 다른 층이 위치하면서 A 상에 B가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A의 표면에 맞닿게 B가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문맥상 해석되는 단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무광 효과를 얻기 위해 적용하는 무기입자 계열의 소광제는 그 소광 효과는 우수하나 소광입자가 쉽게 탈락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충분한 소광 효과를 얻기 어렵거나 마찰이 많은 표면에 적용이 사실상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마찰이 많은 표면에도 충분하고 지속적인 소광 효과를 얻는 무광층을 얻기 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코팅 수지와 소광제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면 충분한 양의 소광제를 무광층에 적용하더라도 소광제의 탈락, 소광 효과의 지속력 하락 등의 문제가 없이 안정적인 무광층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시트(10)를 설명하면, 상기 데코시트는 기재 시트(100) 및 무광층(200)을 포함한다.
상기 무광층(200)은 상기 기재 시트(100) 상에 위치한다. 상기 무광층(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을 자외선으로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폴리머계 소광제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및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는 글리콜(Glycol)기를 포함하는 2 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는 2 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 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는 3 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 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올프로판(EO)3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EO)6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린(EO)3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EO)6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EO는 에톡시화(ethoxylated) 되었음을 의미하며, 괄호 다음의 숫자는 몰수를 의미한다. 즉, (EO)6은 "six-mole ethoxylated"를 의미한다.
상기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는 4 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 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펜타에리스리톨(EO)4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은 상기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를 2 내지 4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무광층(200)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면서, 폴리머계 소광제와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는 상기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와 서로 다른 것으로 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앞에서 설명한 에틸렌글리콜을 갖는 2 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 상기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에 적용된 것을 제외한 기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산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실피발알데히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메탈릭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변성 메탈릭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3 관능 산 에스테르, 디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2 관능 이상의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알리파틱 또는 아로마틱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3 관능 이상, 또는 4 관능 이상인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리방사선 감응형 수지로는 디펜타에라스톨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변성 디펜타에라스톨폴리아크릴레이트가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변성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2 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모를 포함하여 유연성이 우수해 굴곡 부위에서도 크랙 발생이 거의 없고,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이하 설명하는 폴리머계 소광제와의 화학적 결합 정도가 향상된 데코 시트 형성용 조성물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예를 들어, 수평균분자량 1400 내지 25000의 2 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수평균분자량 1700 내지 16000의 3 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수평균분자량 1000의 4 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수평균분자량 818 내지 2600의 6 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수평균분자량 3500 내지 5500의 9 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수평균분자량 3200 내지 3900의 10 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수평균분자량 2300 내지 20000의 15 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는 20 내지 6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조성물이 상기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무광층(200)의 내마찰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외관이 수려하면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비교적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는, 소광층에 소광 효과를 제공하고 동시에 강한 내마모성을 갖는 것이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는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것으로, 이러한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통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일부 및/또는 기재 필름의 표면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보다 강하게 결합되어 기재밀착력이나 내마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는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가 소광제 표면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고, 소광제 표면에 표면관능기로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이 결합된 폴리머 입자일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의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에틸렌성 불포화기가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는, 탄소수 3 내지 15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탄소수 2 내지 15의 비닐기, 및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는 상기 소광입자의 표면관능기로 (메트)아크릴로일기, 스티렌-(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관능기를 갖는 폴리머계 소광제를 적용하는 경우 안정적인 소광 효과를 얻으면서 동시에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의 화학적 결합을 보다 강하게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계 소광입자, PBMA(Poly(butyl methacrylate))계 소광입자, PS(Polystyrene)계 소광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광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계 소광제를 상기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가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와 함께 경화 반응에 참여하여 폴리머계 소광제가 무광층의 수지 매트릭스와 단단하게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보다 수려한 외관의 내마모성이 향상된 무광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기 무광층을 상기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이 기재 시트 상에 코팅된 후 경화되는 과정에서 기재 시트의 고분자 필름 표면의 미세한 공간에 잘 배치되고, 상기 기재 시트와도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일부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서, 내마모성, 기재접합력 등이 월등하게 향상된 소광층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은 실리카를 소광제로 포함하지 않고, 폴리머계 소광제를 포함하여, 소광제의 분산이 균일하고 외관이 유려하며, 상기 기재 시트(100)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광층(200)을 형성할 수 있다.
기존의 실리카 소광제는 소광 효과는 우수하나, 수지 매트릭스와의 결합의 정도는 다소 떨어져서, 실리카 소광제의 표면에 코팅 처리를 하여 적용하는 등으로 보완하여 적용하여 왔다. 그러나 표면처리 등을 한 실리카 소광제의 경우에도 매트릭스 수지나 기재 수지와의 결합력이 충분하지 않아 다량이 소광제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반면, 폴리머계 소광제는 비교적 다량의 소광제를 적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고, 무광층을 이루는 매트릭스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폴리머계 소광제는, 그 표면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까지 포함하여 매트릭스 수지와의 상용성을 더욱 향상시켰으며, 특히 자외선 경화성 수지와 함께 적용하는 경우, 자외선 경화 반응에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의 라데칼 중합성 불포화기가 참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형성하는 무광층의 매트릭스 부분과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가 화학적으로 결합하고, 보다 우수한 내마모성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는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 um일 수 있다. 이러한 입자 크기를 갖는 폴리머계 소광제를 적용하는 경우 얇은 두께로 소광층을 형성할 수 있고 비교적 다양한 층 두께에서도 우수한 소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은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 33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가 적용되는 경우 충분한 소광성 및 외관의 유려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기재 시트(100)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은 상기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2 내지 40 중량%, 상기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20 내지 60 중량%, 및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 33 내지 7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은 상기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6 내지 25 중량%, 상기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30 내지 55 중량%, 및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 35 내지 6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은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를 37 내지 58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함량의 범위로 각 성분을 상기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이 포함하는 경우, 충분한 소광 특성, 강한 내구성, 폴리머 기재와의 향상된 기재밀착성을 갖는 무광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개시제 성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유라디칼 광개시제라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바스프(BASF)사의 이가큐어(Irgacure) 184, 다로큐어(Darocur) 1173, 이가큐어 754, 이가큐어2959, 이가큐어 127, 이가큐어 819, 다로큐어 2022, 이가큐어 2100, 다로큐어 TPO,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폴리머계 소광제의 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적용될 수 있고, 1 내지 8 중량부의 함량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충분한 광경화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은 필요시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매는 예를 들어, 알코올계 용매, 알콕시 알코올계 용매, 에톤계 용매, 에테르 아세테이트계 용매일 수 있다. 알코올계 용매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일 수 있다. 알콕시 알코올계 용매는 예를 들어,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일 수 있다. 에톤계 용매는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일 수 있다. 에테르 아세테이트계 용매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500 중량부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무광층(200)은 그 두께(T1)가 1 내지 30 ㎛로 형성될 수 있고, 3 내지 12 ㎛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광층(200)의 두께가 1 ㎛ 미만이면 충분한 내스크래치성 및 소광성을 확보할 수 없고, 30 ㎛를 초과하면 오히려 내구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수려한 소광 효과와 충분한 내구성, 내마찰 특성 등을 얻기에 위에서 언급한 두께의 무광층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무광층(200)은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의 표면관능기인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스티렌-(메트)아크릴로일기에서 유래하는 반복단위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와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광층(200)은 기재 밀착성이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구체적으로ASTM D3349으로 크로스 컷 테스트(Cross Cut test)에서 5B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광층(200)은 이렇게 우수한 기재밀착성을 가져서 상기 무광층은 데코 시트로 적용 시에 기재 시트와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외부 충격이나 마찰에 의해 층이 분리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우수한 기재밀착성은 특징은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의 표면관능기인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스티렌-(메트)아크릴로일기를 적용할 경우 더욱 잘 나타나는데, 이는 소광제가 코팅 조성물 내에서 경화될 때, 자외선 경화 수지만이 아니라 기재층 표면에 존재하는 일부 표면광능기와도 화학적 결합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무광층(200)의 60˚ 그로스(Gloss) 값은 10 이하일 수 있고, 0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무광층(200)의 60˚ 그로스(Gloss) 값은 0.5 내지 7일 수 있고, 2 내지 6일 수 있다. 이러한 60˚ 그로스(Gloss) 값은 상기 무광층이 충분한 소광 특성을 보인다는 점을 의미한다.
상기 무광층(200) 상에 스틸울(Steelwool, #0000) 1kg을 로딩한 후 100회 왕복하여 진행한 내마모성 테스트를 시행하기 전과 후의 상기 무광층(200)의 60˚ 그로스(Gloss) 값 차이가 4 이하일 수 있고, 0.1 내지 4일 수 있다.
상기 무광층(200) 상에 스틸울(Steelwool, #0000) 1kg을 로딩한 후 100회 왕복하여 진행한 내마모성 테스트를 시행하기 전과 후의 상기 무광층(200)의 60˚ 그로스(Gloss) 값 차이가 0.5 내지 3일 수 있고, 1 내지 2.5일 수 있다.
이때, 내마모성 테스트를 시행하기 전과 후의 상기 무광층(200)의 60˚ 그로스(Gloss) 값 차이는, 내마모 테스트 전에 측정한 무광층(200)의 60˚ 그로스(Gloss) 값과 내마모 테스트 후의 60˚ 그로스(Gloss) 값의 차이를 절대값을 나타낸 값을 의미한다.
상기 내마모성 테스트 전후의 상기 무광층(200)의 60˚ 그로스(Gloss) 값 차이는 상대적으로 적은 값을 갖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무광층(200)의 내마모 특성이 상당히 우수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상기 무광층(200) 상에 스틸울(Steelwool) 1kg을 로딩한 후 100회 왕복하여 진행한 내마모성 테스트를 시행한 후의 상기 무광층의 60˚ 그로스(Gloss) 값이 10 이하일 수 있고, 0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무광층(200) 상에 스틸울(Steelwool) 1kg을 로딩한 후 100회 왕복하여 진행한 내마모성 테스트를 시행한 후의 상기 무광층(200)의 60˚ 그로스(Gloss) 값이 0.5 내지 9일 수 있고, 4 내지 8일 수 있다.
상기 기재 시트(100)는 상기 기재 시트는 PVC(Polyvinyl Chloride)층,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층 및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층을 1층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 시트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층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층은 기존의 PVC 층과 달리 우수한 친환경성을 가지며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기재 시트(100)는 캘린더링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캘린더링 기재 시트(100)일 수 있다. 캘린더링 공정은 캘린더, 즉 여러 개의 가열 롤을 배열한 압연 기계를 사용하여 필름 및 시트 등을 성형하는 공정이다. 상기 캘린더링 공정은 압출 공정에 비해 생산 속도가 빠르고 얇은 두께로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기재 시트(100)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층인 경우, 상기 기재 시트(100)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혼련하여 젤화하고, 젤화된 조성물을 캘린더링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캘린더링 공정으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층은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디올 화합물이 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미만의 활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경화한 것일 수 있다.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캘린더 가공성이 좋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시트(10)는 활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 상기 기재 시트(100)를 형성하여, 캘린더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캘린더링 공정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금속 롤에 대한 적절한 점착성 및 이형성과 함께, 가소성 및 고온 흐름성을 부여하는 역학을 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 활제를 포함하여, 가온되는 롤을 수지가 지나가는 중에 해당 공정 온도에서 상기 활제가 용출되면서 가공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수지 내부에서 수지의 용융 흐름성을 향상시켜, 수지 외부에서 공정상 사용되는 롤 등의 장치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상기 함량 범위일 때, 캘린더 가공성 향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과량의 활제가 물성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예를 들어, 지방산, 지방산염, 유기산의 금속염, 지방산 에스테르, 아마이드, 탄화수소 왁스, 에스테르 왁스, 인산 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왁스, 변성 폴리올레핀 왁스, 활성 및 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활제는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폰탄왁스, 록시올, 폴리에틸렌왁스, 파라핀왁스, 세틸에스터,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변성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디올 화합물이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디올 화합물을 단량체로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디올 화합물이 중합되어 이들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1몰 대비 디올 화합물은 1.05 내지 3 몰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상기 비율로 배합될 경우, 에스테르화 반응이 안정적으로 진행되어 충분한 에스테르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데 유리하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화합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숙신산, 글루타릭산, 오르토르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식산, 데칸디카르복실산, 2,5-푸란디카르복실산, 2,5-티오펜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비벤조산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디올 화합물로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지방족 디올, 지환족 디올, 방향족 디올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형 또는 분지형의 지방족 디올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옥탄디올, 1,3-옥탄디올, 2,3-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5-펜탄디올, 2,4-디에틸-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1-디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에틸-3-메틸-1,5-헥산디올, 2-에틸-3-에틸-1,5-헥산디올, 1,7-헵탄디올, 2-에틸-3-메틸-1,5-헵탄디올, 2-에틸-3-에틸-1,6-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디올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캘린더링 하여 필름 또는 시트를 제조할 경우, 패킹이 잘 이루어져, 필름 또는 시트의 내화학성 및 표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환족 디올은 구체적으로,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아이소소바이드, 2,2,4,4-테트라메틸-1,3-사이클로부탄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환족 디올 또는 방향족 디올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캘린더링하여 필름 또는 시트를 제조할 경우, 화학 구조적으로 강하게 결합할 수 있어, 충격 강도,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캘린더링 하여 필름 또는 시트를 제조할 경우, 패킹이 잘 이루어져, 필름 또는 시트의 내화학성 및 표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올 성분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글리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디올계 화합물은 상기 글리콜 성분으로 네오펜틸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계 화합물은 상기 디올계 화합물 전체를 기준으로, 20 내지 90 몰%로 네오펜틸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고, 30 내지 80 몰%의 네오펜틸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으며, 30 내지 60 몰%의 네오펜틸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디올계 화합물에 네오펜틸글리콜을 포함하는 경우, 수지의 고유 점도 등이 적절한 범위로 설정되어 캘린더링 공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된 필름의 색상, 기계성 물성 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으로 네오펜틸글리콜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소광층의 매트릭스 수지 및 상기 소광층에 포함된 소광제와의 결합성이 더욱 우수하여 기재결합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에 의하면, 폴리머계 소광제를 포함하여, 충분한 무광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기재 시트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소광제의 분산이 균일하여 외관이 유려하며, 내마모성이 향상된 무광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시트에 의하면, 폴리머계 소광제를 포함하여, 충분한 무광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기재 시트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소광제의 분산이 균일하여 외관이 유려하며, 내마모성이 향상된 무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의 시편 제조
하기 표 1에 표시된 수지와 기재 시트로 데코시트를 형성하였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테레프탈산 유래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와 네오펜틸글리콜과 에틸렌글리콜 유래 디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SKC 제조)를 적용했다.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및 폴리머계 소광제를 하기 표 1에 표시된 중량%로 각각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을 준비하여, 400 mJ/m3의 광량의 자외선을 제공하여, 상기 기재 시트 상에 무광층을 형성하여 데코 시트를 제조하였다. 폴리머계 소광제는 토아고세이사 ARON TM & SP 시리즈 제품을 적용했다.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는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인 아크릴계 관능기 및/또는 스티렌-아크릴계 관능기를 소광제 표면에 함유하는 유기화합물이 결합된 것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
기재 시트 |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 PVC | PETG | |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 13 | 11 | 11 | 11 |
폴리머계 소광제 | 40 | 50 | 50 | 50 |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 47 | 39 | 39 | 39 |
*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로는 디-펜타에리스티톨 폴리아크릴레이트가,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적용했다. 이하 표 2도 동일하게 적용했다.
비교예 1 내지 8의 시편 제조
하기 표 2에 표시된 수지 및 기재 시트를 형성하였다.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및 무기계 소광제로 실리카(토소사 닙실 SS 타입 제품)를 하기 표 2에 표시된 중량%로 각각 포함하는 코팅층의 조성물을 준비하여, 400 mJ/m3의 광량의 자외선을 제공하여, 상기 기재 시트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데코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비교예 7 | 비교예 8 | |
기재 시트 |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
|||||||
제1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 20 | 18 | 16 | 20 | 19 | 18 | 17 | 15 |
폴리머계 소광제 | 10 | 20 | 30 | - | - | - | - | - |
실리카 소광제 | - | - | - | 5 | 10 | 15 | 20 | 30 |
제2 전리 방사선 감응형 수지 | 70 | 62 | 54 | 75 | 71 | 67 | 63 | 55 |
시편의 물성 측정
1. 광택도 측정 및 내마모성 측정
무광성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4의 무광층의 60˚ 그로스(gloss)를 측정하여 하기 표 3, 비교예 1 내지 8의 코팅층의 60˚ 그로스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표시하였다.
스틸울(Steelwool) #0000 1kg을 로딩하여 100회 왕복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무광층의 60˚ 그로스를 다시 측정하여, 하기 표 3, 비교예 1 내지 8의 코팅층의 내마모성을 테스트한 후 60˚ 그로스를 다시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표시하였다.
2. 기재 밀착력 측정
ASTM D3349으로 실시예 1 내지 4의 크로스 컷 테스트(Cross Cut Test)를 진행하여 결과를 하기 표 3, 비교예 1 내지 8의 크로스 컷 테스트(Cross Cut Test)를 진행하여, 결과를 하기 표 4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
(1) 내마모 전 60˚그로스 |
7 | 3 | 3.2 | 3.5 |
(2) 내마모 후 60˚그로스 |
9.7 | 5.2 | 5.7 | 5.7 |
내마모전후 그로스 변화값= |(2)-(1)| |
2.7 | 2.2 | 2.5 | 2.2 |
기재 밀착력 | 5B | 5B | 5B | 5B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비교예 7 | 비교예 8 | |
내마모 전 60˚그로스 |
75 | 50 | 15 | 36.1 | 21.2 | 14.3 | 10.3 | 3.2 |
내마모 후 60˚그로스 |
73.9 | 48.1 | 17.3 | 40.5 | 22.7 | 18.8 | 18.5 | 15.2 |
내마모전후 그로스 변화값= |(2)-(1)| |
1.1 | 1.9 | 2.3 | 4.4 | 1.5 | 4.5 | 8.2 | 12 |
기재 밀착력 | 5B | 5B | 5B | 5B | 4B | 4B | 3B | 3B |
물성 평가 결과
1. 광택도 및 내마모성
상기 표 3 및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4의 코팅층은 내마모전 60˚ 그로스가 10 이하로 우수한 무광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7의 코팅층은 내마모전 60˚ 그로스 값이 10 초과를 나타내, 충분한 무광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8은 내마모전 60˚ 그로스가 10 이하로 충분한 무광성을 가졌으나, 내마모전후 60˚ 그로스 ?아 15.2로 약 12의 그로스값 상승이 있어 내마모성 테스트 후에 무광성이 유지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4의 코팅층은 내마모전 후 60˚ 그로스의 변화값이 3 이하로 무광성이 유지되어 우수한 무광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이러한 무광성이 내마모성 테스트 후까지 잘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기재 밀착력
상기 표 3 및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비교예 1 내지 4는 실시예 1 내지 4과 동일한 기재 밀착력을 가지나, 비교예 5 내지 8은 실시예 1 내지 4과 비교할 때, 기재 밀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데코 시트 100: 기재 시트
200: 무광층
200: 무광층
Claims (11)
- 기재 시트; 및 상기 기재 시트 상에 위치하는 무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광층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분산된 폴리머계 소광제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는 상기 무광층 전체를 기준으로 33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무광층의 60˚ 그로스(Gloss) 값이 10 이하이며,
상기 무광층은 ASTM D3349에 따른 크로스 컷 테스트(Cross Cut test) 결과 기재밀착성이 5B 이상인, 데코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층 상에 스틸울(Steelwool) 1kg을 로딩한 후 100회 왕복하여 진행한 내마모성 테스트를 시행하기 전과 후의 상기 무광층의 60˚ 그로스(Gloss) 값 차이가 4 이하인, 데코 시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층 상에 스틸울(Steelwool) 1kg을 로딩한 후 100회 왕복하여 진행한 내마모성 테스트를 시행한 후의 상기 무광층의 60˚ 그로스(Gloss) 값이 10 이하인, 데코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는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에 의하여 상기 폴리머계 소광제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또는 상기 기재 시트의 일면은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인, 데코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디카르복실산 반복단위와 디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층을 포함하며,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층은 상기 디올 반복단위로 네오펜틸글리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데코 시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7937A KR102113395B1 (ko) | 2018-07-04 | 2018-07-04 |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 및 데코 시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7937A KR102113395B1 (ko) | 2018-07-04 | 2018-07-04 |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 및 데코 시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4718A KR20200004718A (ko) | 2020-01-14 |
KR102113395B1 true KR102113395B1 (ko) | 2020-05-20 |
Family
ID=6915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7937A KR102113395B1 (ko) | 2018-07-04 | 2018-07-04 |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 및 데코 시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339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8953B2 (ja) | 1987-09-26 | 1996-10-30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耐擦傷性艶消表面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成型品の製造方法 |
JP2003136646A (ja) | 2001-11-05 | 2003-05-14 | Riken Technos Corp | 化粧シート用部材、それを用いた化粧シート及び成形品 |
JP2009248363A (ja) | 2008-04-02 | 2009-10-29 | Sumitomo Chemical Co Ltd | 艶消し積層フィル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05387A (ja) * | 1994-01-19 | 1995-08-08 | Dainippon Printing Co Ltd | 艶消し化粧材 |
KR20070022974A (ko) | 2005-08-23 | 2007-02-28 |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반투명 무광택 시트의 제조방법 |
KR101127952B1 (ko) | 2011-03-16 | 2012-03-23 |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 |
KR101540428B1 (ko) | 2013-11-14 | 2015-07-29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무광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
2018
- 2018-07-04 KR KR1020180077937A patent/KR1021133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8953B2 (ja) | 1987-09-26 | 1996-10-30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耐擦傷性艶消表面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成型品の製造方法 |
JP2003136646A (ja) | 2001-11-05 | 2003-05-14 | Riken Technos Corp | 化粧シート用部材、それを用いた化粧シート及び成形品 |
JP2009248363A (ja) | 2008-04-02 | 2009-10-29 | Sumitomo Chemical Co Ltd | 艶消し積層フィル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4718A (ko) | 2020-0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4872B1 (ko) | 코팅제 및 적층체 | |
JP6571528B2 (ja) | 透明樹脂積層体 | |
KR102086762B1 (ko) | 광경화성 조성물 | |
TWI604024B (zh) | 硬塗層用組成物及形成有硬塗層的成形品 | |
TWI404629B (zh) | 樹脂疊層體的製造方法 | |
TW201402324A (zh) | 合成樹脂層合體 | |
JP2011031457A (ja)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フィルム | |
JP6642737B2 (ja) | 水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積層体、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 |
JP6163568B2 (ja) |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KR20190042023A (ko) | 2단 경화성 적층판 | |
JP6155346B2 (ja) | コーティング組成物 | |
JP2011074134A (ja) | コーティング用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 |
JP2016124293A (ja) | 積層体及び表示体カバー | |
KR101205477B1 (ko) | 반사 방지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반사 방지 필름 | |
JP5604858B2 (ja) | 両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 |
KR102113395B1 (ko) | 자외선 경화형 무광 코팅 조성물 및 데코 시트 | |
KR20190106546A (ko) | 자외선 경화형 무광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필름 | |
JP6133448B2 (ja) |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 |
JP7119506B2 (ja) | 三次元成形用転写フィルム、樹脂成形品、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 |
KR101319374B1 (ko) | 내스크래치성 및 굴곡가공성이 우수한 하이그로시 데코시트 | |
JP7480532B2 (ja) | フィルム及び積層体 | |
WO2016068658A1 (ko) |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 |
JP6710508B2 (ja) |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用樹脂組成物、ハードコート付き透明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光学部材 | |
JP2019218500A (ja) |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ーティング剤、ならびにシート | |
JP2007296711A (ja) | 耐擦傷性樹脂積層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