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11502B1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502B1
KR102111502B1 KR1020130167695A KR20130167695A KR102111502B1 KR 102111502 B1 KR102111502 B1 KR 102111502B1 KR 1020130167695 A KR1020130167695 A KR 1020130167695A KR 20130167695 A KR20130167695 A KR 20130167695A KR 102111502 B1 KR102111502 B1 KR 102111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film
display devi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391A (ko
Inventor
조영덕
이희동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5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되어 광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형성된 반사형 편광필름 반사형 편광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 상에 형성된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막;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 상에 형성된 위상 지연판; 및 상기 위상 지연판 상에 형성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외부 광의 반사를 제거할 수 있어, 블랙을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고, 편광판에 흡수되는 광을 형성하지 않고, 최대한으로 방출할 수 있어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감소하며,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편광판을 포함하여 소자효율을 향상시키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Electric Paper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및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EWD)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영상을 구현하는 평판표시패널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는데, 평판 표시패널은 고유의 발광물질 또는 편광물질층을 사이에 두고 대면 합착된 한 쌍의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 중 하나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는 자발광소자인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므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유리 기판 위에 ITO 등으로 이루어진 양극(anode)과 알루미늄(Al) 등으로 이루어진 음극(cathode) 사이에 유기물로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증착하여 전기장을 가함으로 광을 내는 소자이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으로부터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된 후, 각각 이동을 통해 발광층에서 만나 엑시톤(exiton)을 생성한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생성된 엑시톤(exiton)이 기저상태로 떨어지면서 방출되는 광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광의 반사가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외광의 반사로 인해 블랙(black)의 구현이 어려우며,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편광판 및 위상 지연판을 배치하여 외부의 광이 반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구성이 있다. 그러나 외부의 광이 완전히 차단되는 구성이 어려우며, 이때, 편광판 및 위상 지연판을 배치하여 외광 반사를 억제할 경우, 유기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도 상당 부분이 함께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 광의 반사를 제거할 수 있어, 블랙을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판에 흡수 되는 광을 형성하지 않고, 최대한으로 방출할 수 있어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감소하며,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되어 광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형성된 반사형 편광필름 반사형 편광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 상에 형성된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필름;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 상에 형성된 위상 지연판; 및 상기 위상 지연판 상에 형성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외부 광의 반사를 제거할 수 있어, 블랙을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 1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편광판에 흡수 되는 광을 형성하지 않고, 최대한으로 방출할 수 있어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감소하며,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 2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외부에서 유입된 광과 유기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소자 기판(100)은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표시 영역은 복수의 화소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각 화소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소자(200)가 형성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200) 상부에는 반사형 편광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302),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필름(303), 위상 지연판(304) 및 편광판(30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소자 기판(100)은 절연 기판(10) 상에 소스영역(11a), 채널영역(11b) 및 드레인영역(11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1)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11) 상에 게이트 절연막(12)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12) 상에 게이트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으로부터 분기된 게이트 전극(13)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과 게이트 전극(13) 상에 층간 절연막(14)이 형성된다.
상기 층간 절연막(14)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데이터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분기된 소스전극(15) 및 상기 소스전극(15)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하여 드레인 전극(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소스전극(15)과 드레인전극(16)은 상기 게이트 전극(13) 상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14)과 게이트 절연막(12)을 관통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11)의 소스영역(11a)과 드레인영역(11c)과 접속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반도체층(11), 게이트 전극(13), 소스 전극(15) 및 드레인 전극(16)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소스전극(15) 및 드레인전극(16) 상에는 보호막(17)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막(17)에는 상기 드레인전극(16)을 노출하는 콘택홀이 형성된다. 상기 노출된 드레인전극(16)은 상기 보호막(17) 상에 형성된 연결전극(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절연 기판(10) 전면에 평탄화막(19)이 형성되고, 상기 평탄화막(19)에는 상기 연결전극(18)이 노출되는 콘택홀이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막(19)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발광소자(200)가 형성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200)는 제 1 전극(20), 유기발광층(22) 및 제 2 전극(23)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노출된 연결전극(18) 상에 유기발광소자(200)의 제 1 전극(20)이 형성된다. 도면 상에는 유기발광소자(200)의 제 1 전극(20)과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16)이 연결전극(18)을 통해 연결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전극(18)이 생략되고, 유기발광소자(200)의 제 1 전극(20)과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16)이 콘택홀이 형성된 평탄화막(19)을 통해 직접 접촉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전극(20) 상에는 화소 영역 단위로 상기 제 1 전극(20)을 노출하는 뱅크(bank) 패턴(21)이 형성된다. 상기 노출된 제 1 전극(20) 상에는 유기발광층(22)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발광층(22)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층(22) 상에 제 2 전극(2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20)이 애노드(anode)인 경우, 상기 제 2 전극(23)은 캐소드(cathode)이며, 상기 제 1 전극(20)이 캐소드(cathode)인 경우, 상기 제 2 전극은 애노드(anode)이다. 상기 제 2 전극(23) 상에는 표시소자들을 보호하는 보호층(2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소자 기판(100) 및 유기발광소자(2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유기발광소자(200)의 하부에는 반사판(30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기발광소자(200)와 소자기판(100) 사이에 반사판(3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200)의 제 1 전극(20)의 하부에 반사판(3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20)이 반사막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301)이 생략되고, 상기 제 1 전극(20) 또는 제 2 전극(23)이 반사판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200) 상부에는 반사형 편광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302),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필름(303), 위상 지연판(304) 및 편광판(30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302),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필름(303), 위상 지연판(304) 및 편광판(305)은 상기 유기발광소자(200)의 표시소자들을 보호하는 보호층(210) 상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기발광소자(200) 상부에 반사형 편광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302)이 배치되고,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302) 상에 상기 반사형 편광필름(302)과 직접 접하도록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필름(30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 상에 위상 지연판(304)이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위상 지연판(304) 상에 상기 편광판(305) 접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편광판(305)은 빛을 선편광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판(305)은 편광축과 일치하는 빛은 통과시키고,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빛은 흡수한다. 즉, 빛이 상기 편광판(305)을 통과하면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상기 위상 지연판(304)은 1/4 파장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상 지연판(304)은 선편광을 원편광으로 바꿀 수 있다. 상기 위상 지연판(304)은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이 유입되면, 상기 선편광이 오른쪽으로 원편광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하, 오른쪽으로 원편광된 광을 우원편광이라 한다. 또한, 왼쪽으로 원편광된 광을 좌원편광이라 한다.
또한, 상기 위상지연판(304)은 우원편광된 광이 유입되면, 상기 우원편광이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상지연판(304)은 좌원편광된 광이 유입되면, 상기 좌원편광이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과 상이한 방향으로 선편광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위상지연판(304)은 좌원편광된 광이 유입되면, 상기 좌원편광이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선편광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필름(303)은 선택적으로 원편광을 투과 또는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의 상면은 우원편광이 입사되면 반사시킨다. 이때,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의 상면은 우원편광을 좌원편광으로 위상을 반전하여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의 상면으로 오른쪽으로 원편광된 광이 입사하면, 왼쪽으로 원편광된 광으로 반사한다.
반면에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의 하면은 좌원편광이 입사되면 반사시키고, 우원편광은 투과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은 상면과 하면에 있어서 다른 특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내부에서 방출되는 광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에 대해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은 선편광이 입사되면 상기 선편광은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을 통과해 원편광으로 바뀔 수 있다.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302)의 편광축 방향의 선편광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의 하면으로 입사하면 상기 선편광은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을 투과하면서 우원편광이 될 수 있다.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302)은 편광축과 일치하는 빛은 통과시키고,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빛은 반사한다.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302)은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빛을 반사한다는 점에서 편광판(305)과 차이가 있다.
이때, 상기 유기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되는 광 중에서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302)의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광은 반사되어, 상기 유기발광소자(200) 하부에 형성된 반사판(301)에 입사되고, 다시 외부를 향해 반사되면서, 위상지연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광이 반사형 편광 필름(302)과 반사판(301) 사이를 순환하면서 일부는 반사형 편광 필름(302)을 통과하고, 나머지는 재반사되는 과정을 반복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유기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되는 광이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302)의 편광축과 일치하는 광이 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301)이 생략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200)의 제 1 전극(20) 또는 제 2 전극(23)이 반사판의 역할을 하는 경우, 광이 반사형 편광 필름(302)과 제 1 전극(20) 또는 제 2 전극(23) 사이를 순환하면서 일부는 반사형 편광 필름(302)을 통과하고, 나머지는 재반사되는 과정을 반복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유기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되는 광이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302)의 편광축과 일치하는 광이 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구조가 연구되었으나, 이는 외부 광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제거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완전한 블랙 상태의 구현이 어렵고,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외부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과정에서 함께 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제거하고, 유기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내부광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광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제거하고, 유기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내부광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외부에서 유입된 광과 유기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로 유입된 광은 다시 외부로 방출될 수 없다.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인 외부광(400)은 편광판(305)을 통과하면서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과 일치하는 방향의 광을 제외하고는 모두 흡수된다. 즉,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과 일치하는 방향의 선편광(401)만 투과되어 입사된다.
상기 선편광(401)은 상기 위상지연판(304)으로 입사된다. 상기 위상지연판(304)을 통과하면서, 상기 선편광(401)은 우원편광(402)이 되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의 상면으로 입사된다. 즉, 상기 1/4 파장판인 위상지연판(304)이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과 일치하는 방향의 광이 입사되면, 우원편광으로 투과하도록 배열된 바, 상기 선편광(401)은 위상지연판(304)을 통과하며 우원편광(402)이 된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의 상면은 우원편광(402)이 입사되면, 좌원편광(403)으로 반사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우원편광(402)은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의 상면에서 반사되어 좌원편광(403)이 되어 다시 상기 위상지연판(304)으로 입사된다.
상기 위상지연판(304)은 좌원편광(403)이 입사되면, 선편광(404)으로 투과시킨다. 상기 선편광(404)은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과 상이한 방향의 선편광(404)이다. 이때, 상기 선편광(404)은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과 수직한 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선편광(404)이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과 수직한 방향을 가지므로, 상기 선편광(404)은 상기 편광판(305)에 입사된 후 상기 편광판(305)에 흡수된다. 이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된 광인 외부광(400)은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외부광(400)이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블랙의 구현 및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유기발광소자(200)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200)로부터 방출되는 광인 내부광(500) 중 일부는 반사형 편광 필름(302)을 통과하며 선편광(501)된다. 상기 선편광(501)은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302)의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의 선편광이다. 상기 선편광(501) 제외한 광(504)은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302)에서 반사되어 유기발광소자(200) 하부의 반사판(301)에 입사된다.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302)에서 반사된 광(504)은 상기 반사판(301)과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302) 사이를 순환(RECYCLE)하면서 일부는 반사형 편광 필름(302)을 통과하면서 선편광되고 나머지는 재반사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따라서, 처음에는 반사형 편광 필름(585)에서 반사된 광도 최종적으로는 반사형 편광 필름(302)을 통과하면서 선편광(501)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기발광소자(200)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그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광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302)을 통과한 선편광(501)은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의 하면으로 입사된다. 상기 선편광(501)은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의 하면으로 입사되고,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을 통과하면서 우원편광(502)으로 투과될 수 있다.
즉,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의 하면으로 선편광이 입사되면 원편광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302)의 편광축 방향의 선편광(501)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의 하면으로 입사되면 상기 선편광(501)은 콜레스테릭 액정필름(303)을 투과하면서 우원편광(502)이 된다.
상기 우원편광(502)은 상기 위상지연판(304)으로 입사된다. 상기 위상지연판(304)은 우원편광(502)이 입사되면, 선편광(503)으로 투과시킨다. 상기 선편광(503)은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과 일치하는 방향의 선편광(503)이다.
이로 인해, 상기 위상지연판(304)을 투과한 상기 유기발광소자(200)로부터 방출되는 광(503)은 상기 편광판(305)의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을 가지므로, 상기 편광판(305)을 투과할 수 있다. 즉, 내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인 내부광(500)은 편광판(305)에서 흡수되지 않고, 외부로 모두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외부 광의 반사를 제거할 수 있어, 블랙을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고, 편광판에 흡수되는 광을 형성하지 않고, 최대한으로 방출할 수 있어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감소하며,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소자 기판
200: 유기발광소자
301: 반사판
302: 반사형 편광 필름
303: 콜레스테릭 액정필름
304: 위상지연판
305: 편광판

Claims (9)

  1. 기판 상에 형성되어 광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형성된 반사형 편광필름 반사형 편광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 상에 형성된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필름;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 상에 형성된 위상 지연판; 및
    상기 위상 지연판 상에 형성된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은 상면으로 우원편광이 입사되면, 위상을 반전하여 좌원편광으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을 투과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은 선편광되고,
    상기 선편광은 상기 위상 지연판을 투과하며 우원편광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판은 좌원편광이 입사되면,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과 수직한 방향의 선편광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은 하면으로 선편광이 입사되면, 원편광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필름은 하면으로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의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의 선편광이 입사되면, 우원편광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판은 우원편광이 입사되면,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의 선편광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와 기판 사이에는 반사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은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을 투과하거나, 반사되고,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으로부터 반사된 광은 상기 반사판으로 입사되고 반사되어, 다시 반사형 편광 필름으로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130167695A 2013-12-30 2013-12-30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111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695A KR102111502B1 (ko) 2013-12-30 2013-12-30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695A KR102111502B1 (ko) 2013-12-30 2013-12-30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391A KR20150078391A (ko) 2015-07-08
KR102111502B1 true KR102111502B1 (ko) 2020-05-15

Family

ID=5379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695A KR102111502B1 (ko) 2013-12-30 2013-12-30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772B1 (ko) 2015-10-30 2017-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459893B1 (ko) * 2015-12-30 2022-10-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656B1 (ko) 2009-01-09 2010-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312B1 (ko) * 2008-07-25 2010-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058783B2 (en) * 2008-07-25 2011-11-1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for suppressing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KR20100082557A (ko) * 2009-01-09 2010-07-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95067B1 (ko) * 2009-01-21 2010-11-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656B1 (ko) 2009-01-09 2010-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391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8724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R102683976B1 (ko) 투명 표시장치
US9972809B2 (en) Array substra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81251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01862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1661949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KR10106541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6013367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0270064B2 (en) Window for reducing visibility of an end portion of a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12556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429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30054844A (ko)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08423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3871327A (zh) 柔性有机发光显示装置
KR101919107B1 (ko) 표시 장치
TW201421667A (zh) 雙面發射型顯示裝置
KR101747736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979984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KR10211150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10717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306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2242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98924B1 (ko) 유기발광표시패널
KR100714015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207842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