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928B1 -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 - Google Patents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9928B1 KR102119928B1 KR1020170177499A KR20170177499A KR102119928B1 KR 102119928 B1 KR102119928 B1 KR 102119928B1 KR 1020170177499 A KR1020170177499 A KR 1020170177499A KR 20170177499 A KR20170177499 A KR 20170177499A KR 102119928 B1 KR102119928 B1 KR 1021199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portable electronic
- electronic device
- leg
- bas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양 단 각각으로부터 개방공간이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를 구비한 상태에서,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개방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를 구비한 지지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개방공간을 향한 일 측과 상기 지지대와의 경계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축;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하측 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게임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대에 거치한 상태로 무선충전이 가능한 충전기로서 지지대의 기울기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기울기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가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사람들 간의 통신 및 정보획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필수 품목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전원으로서 주로 내장형 배터리 또는 외장형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각각의 배터리는 모두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배터리의 충전은 주로 충전용 커넥터를 스마트폰에 직접 연결하여 충전을 진행하며,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직접 연결하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한 무선충전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충전기와의 사이에 별도의 결선 없이 단지 충전기 본체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충전이 가능하게 되어 충전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이룰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39819호에 이러한 무선충전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충전대상으로 무선유도에 의해 충전시키는 충전회로; 상기 충전대상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로 스위칭하여 상기 충전회로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충전회로를 구동시키는 반도체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충전기는 단순히 스마트폰을 충전기 본체에 올려놓고 충전하도록 되어 있어 가벼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스마트폰이 충전기 본체에서 손쉽게 이탈되어 충전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나아가 스마트폰을 수평상태로만 거치할 수 있게 구성되어있어 충전과 함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매우 불편한 자세를 이루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저해시키는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38073호에는 ‘스마트폰의 배면에 아이링이 부착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의 거치식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아이링을 충전부에 고정지지함으로써 충전 중에 스마트폰의 360도 회전이 가능한’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기술은 스마트폰이 특정한 경사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각도로의 변경이 불가하여 역시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고 특히 아이링이 장착되지 않은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안정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아이링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충전기 본체에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아이링이 없으면 안정적인 고정이 어렵다는 문제를 갖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기를 제공하되, 이 충전기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서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가 가능한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충전기에서 베이스에 위치한 레그를 활용하여 추가 지지가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그에 스피커를 장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 이외의 오락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양 단 각각으로부터 개방공간이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를 구비한 상태에서,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개방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를 구비한 지지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개방공간을 향한 일 측과 상기 지지대와의 경계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축;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하측 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한 쌍의 레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레그의 외측 단으로부터 상기 레그의 둘레 일부를 따라 함입 연장된 케이블 삽입홈과, 상기 케이블 삽입홈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외부 전원을 상기 무선 충전부로 공급하거나 상기 무선 충전부의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 삽입홈 내에서 상기 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을 제어하는 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베이스는, 상기 케이블 삽입홈이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받침부의 둘레 일부를 따라 돌출 연장된 기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립부 내측에 발생된 상기 베이스 상측 영역에는, 전면의 적어도 일 측 영역에 거울이 장착된 회동방지 커버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회동축의 외주면 일 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와, 상기 지지대 내에서 상기 톱니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피니언(pinion) 및, 상기 받침대의 내측 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랙(rack)을 구비한 받침대 구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축의 회전으로 상기 받침대를 상기 지지대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에 의하면,
1)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기를 제공하되, 이 충전기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서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가 가능한 충전기를 제공할 수 있고,
2) 무선 충전기에서 베이스에 위치한 레그를 활용하여 추가 지지가 가능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 나아가 레그에 스피커를 장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 이외의 오락적인 기능을 갖춘 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에 기립부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받침대의 승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레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에 범퍼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범퍼를 활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유도코일 구성을 도시한 투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에 기립부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받침대의 승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레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에 범퍼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범퍼를 활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유도코일 구성을 도시한 투시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개방형 베이스(100)에서 회동되는 지지대(200)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10)용 무선 충전기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받침부(110)와 이 받침부(110)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개방공간(600)이 형성되는 한 쌍의 레그(120)를 구비한 것이며, 그 형상이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C’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100)의 개방공간(600)에 장착된 상태로 상방으로 회동되는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10)가 거치되는 거치부(201)와, 이 휴대용 전자기기(10)에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 충전부(202)가 구비된 지지대(2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받침부(110)에서 개방공간(600)을 향한 일 측과 지지대(200)와의 경계부위에 장착되어 지지대(200)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축(300)과, 거치부(201)의 하측 영역에서 돌출 형성되어 휴대용 전자기기(1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받침대(400)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10)의 경우 스마트폰으로부터 휴대용 게임기나 태블릿pc 등 무선 충전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의미하는 것이며 따라서 지지대(200)는 이 전자기기와 대응되어 무선 충전을 진행해야 하는 것이므로 전자기 유도코일(124)과 같은 무선 충전부(202) 구성을 각각 구비하되 휴대용 전자기기(10)는 내장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유도코일(124)을 더 구비하고, 지지대(200) 역시도 외부 전원공급수단(바람직하게는 건물 등에 구비된 전원플러그)와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받아 전자기유도 현상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100)는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C’형상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형상은 지지대(200)가 넓은 면적을 갖더라도 충분히 바닥면에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지지대(200)는 바람직하게는 ‘O’형상으로 구비되어 상면에 휴대용 전자기기(10)가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충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되, ‘C’형상을 갖는 베이스(100)에서 개방공간(600)에 지지대(200)가 삽입되어 있다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고, 따라서 개방공간(600)의 형상은 지지대(200)의 형상과 대응되어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지지대(200)를 눕힌 상태로 휴대용 전자기기(10)를 거치하여 충전도 가능하지만, 지지대(200)가 회동축(300)을 매개로 베이스(10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축(300)의 회동을 통해 지지대(200)를 상하로 일정 각도 들어올릴 수 있어 독서대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0)를 기울여 세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지지구조는 충전을 진행하면서 휴대용 전자기기(10)를 활용할 때(예를 들면 영화감상이나 게임 등에 있어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회동축(300)은 샤프트 혹은 힌지와 유사한 구성으로서 별도의 스토퍼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쉬운 예로서 걸림홈(미도시)이나 걸림돌기(미도시)를 회동축(300)과 그 주변에 각각 두어 회동축(300)이 회전하면서 특정 각도마다 걸림홈에 걸림돌기가 걸려 멈출 수 있는 구성을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소재기술의 발달로 인해 마찰력만으로도 어느 정도 그 변형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소재와 구조(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이나 실리콘 등의 소재에 표면처리를 수행하면 200g정도의 무게로는 움직이지 않아 휴대용 전자기기(10)가 거치된 상태로는 변형되지 않는 소재 및 구조)들이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소재를 회동축(300)의 외주면에 코팅 처리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받침대(400)는 지지대(200)를 눕히지 않고 일정 각도로 세웠을 때에 지지대(200)의 상면에 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1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지지대(200)에 휴대용 전자기기(10)를 세운 상태로 올려두었을 경우에는 휴대용 전자기기(10)의 하단을 받치도록 한 것이며, 휴대용 전자기기(10)를 눕힌 상태로 올려두었을 경우에는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측면을 받치도록 구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지지대(200)의 상면에도 별도로 고무 등과 같은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 구성을 둘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구성은 일정한 기울기를 넘어서면 그 마찰력이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0)가 흘러내릴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10)를 하단에서 받쳐 휴대용 전자기기(10)가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구성인 받침대(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여기서 레그(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충전구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그(120)의 외측 단으로부터 레그(120)의 둘레 일부를 따라 함입 연장된 케이블 삽입홈(121)과, 이 케이블 삽입홈(121)에 인입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서 외부 전원을 무선 충전부(202)로 공급하거나 무선 충전부(202)의 전원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케이블(122) 및, 케이블(122)을 권취하는 것으로서 케이블(122)의 인입 및 인출을 제어하는 릴(123)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릴(123)을 통해 케이블 삽입홈(121) 내부에 감겨져 보관되거나 혹은 인출되는 케이블(122)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케이블(122)의 경우 그 용도에 따라 단부에 USB연결단자나 플러그 연결단자 등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블(122)을 통해 외부 전력을 지지대(200)로 공급하거나 혹은 그 반대로 전송이 가능한 구성을 갖추게 됨은 물론이다.(여기서 케이블(122)은 바람직하게는 레그(120) 뿐만 아니라 베이스(100)와 회동축(300) 및 지지대(200)를 통과하여 지지대(200)에 구비된 무선 충전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해야 함은 물론이지만 이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무선 충전기나 거치대의 전력공급 구성과 차이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무선 충전부(202)의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는 것은 기존의 무선충전의 역순으로 진행되는 것으로서 이 때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로 충전지(미도시)와 같은 보조 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에 기립부(140)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베이스(100)에는 회동축(300)을 매개로 회동되는 지지대(20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의 중앙부위에 위치한 정면도를 참조할 때, 케이블 삽입홈(121)이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받침부(110)의 둘레 일부를 따라 연장된 기립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기립부(140)는 쉽게 말하면 C형상의 베이스(100)의 외측 둘레영역을 따라 베이스(100)의 상측으로 기립된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며, 이 때 베이스(100)의 상측이자 기립부(140)의 내측에 위치한 영역에는 판이나 돔 등과 같은 형상을 갖는 회동방지 커버(15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회동방지 커버(150)는 우측에 도시된 관련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에서 나타난 회동축(300)에 의해 일정한 기울기로 회동된 지지대(200)를 추가적으로 받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전면 일 측에 거울(151)을 더 부착하여 거울(151)기능도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나아가 받침대(400)의 경우, 지지대(200)가 베이스(100)에 접해있는 경우에 받침대(400)가 굳이 최대로 인출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특히 이러한 무선 충전기는 책상 등에 거치한 상태로 활용하기도 하지만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넣어 필요 시 꺼내 사용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으므로, 더더욱 받침대(400)가 항상 인출되어 있는 구성은 거슬리기 마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받침대(400)의 승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따라서 이 받침대(40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동축(300)의 외주면 일 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331)와, 지지대(200) 내부에서 톱니(331)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피니언(440) 및 받침대(400)의 내측 단에 장착되어 피니언(440)의 회전에 따라 지지대(2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랙(420)을 구비한 받침대(400) 구동부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먼저, 회동축(300)의 외주면 일 측에는 톱니(331)가 형성된 부위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것이 일종의 기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다만 이 톱니(331)가 형성되는 부위는 회동축(300)에서 베이스(100)와 함께 회동하는 부위에 형성되어야 한다. 나아가 톱니(331)와 맞물려 회전하는 것으로서 지지대(200)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축(미도시)을 통해 거치되는 피니언(4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피니언(440)은 랙(420)을 향해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랙(420)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받침대(400) 내부에서 피니언(44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그 구동에 있어서도 올바른 배치가 될 수 있다.
즉, 피니언(440)은 출입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별도의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톱니(331)와 맞물려 회전되는 것이다. 이 때, 톱니(331)와 피니언(440)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두어 서로 회전하는 정도를 달리 하여 인출속도를 회동축(300)의 회전과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랙(420)의 경우 일반적으로 바 형상으로 길게 연장되어 받침대(400)의 내측 단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받침대(400)를 밀거나 당겨 받침대(400)의 인출 및 인입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인출 및 인입 구성은 랙(420)이 전진할 때 돌출되고 하강할 때 함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드물지만 반대로 구성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레그(1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나아가, 레그(120)에도 다음의 구성이 더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바닥면에 안착되는 레그 베이스(130)와, 이 레그 베이스(130)의 상면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레그 베이스(130)와 받침부(110)와의 경계부위에 장착된 힌지를 매개로 상방 회동되는 회동레그(12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 구성의 경우 앞선 회동축(300)과 유사하게 별도의 스토퍼를 구비하거나 혹은 힌지 내/외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된 별도의 마찰부재에 의해 그 회동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레그 베이스(130)에는 회동레그(125)와 접하는 부위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함입된 고정홈(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회동레그(125)에도 이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된 고정돌기(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어 평소에는 둘을 끼워 하나의 레그(120)처럼 활용하다가 필요시에만 이 레그 베이스(130)와 회동레그(125)를 분리시켜 활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회동레그(125)는 다시 길이 방향을 따라 분리된 제 1 회동레그(126)와 제 2 회동레그(128)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제 1 회동레그(126)와 제 2 회동레그(128)를 각각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127)를 더 두어 이 유니버셜 조인트(127)를 매개로 제 1 회동레그(126)와 제 2 회동레그(128)가 각각 상하 및 좌우로 회동이 가능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유니버셜 조인트(127)가 단순 힌지나 샤프트와 같은 구성으로도 구비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볼조인트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유니버셜 조인트(127)를 활용하여 제 1 회동레그(126)와 제 2 회동레그(128)가 로봇암처럼 여러 각도로 움직일 수 있어 이 회동레그(125)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일 측을 지지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유니버셜 조인트(127)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니버셜 조인트(127)는 제 1 회동레그(126)와 제 2 회동레그(128)의 경계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둘 중 어느 하나에는 수형 조인트(미도시)가, 다른 하나에는 암형 조인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형 조인트는 경계면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구 형상의 볼 스터드 및, 돌출부의 둘레이자 볼 스터드와 인접한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구비한 것이며, 암형 조인트는 경계면 측으로 함입되어 볼 스터드의 외주면을 감싸는 받침부(110)와, 받침부(110)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볼 스터드에 의해 눌려 탄성 변형하면서 볼 스터드와 인접하는 부위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탄성돌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본적으로는 암형 조인트와 수형 조인트가 스토퍼에 의해 틸팅 정도를 제한할 수 있되, 추가로 받침부(110)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돌부에 의해 틸팅 각도를 제한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받침부(11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 2 회동레그(128)는 휴대용 전자기기(10)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스피커(129)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2 회동레그(128)에 위치한 블루투스 스피커(129)를 통해 보조 스피커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영화감상이나 음악 감상 등에 활용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100)에 범퍼(500)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범퍼(500)를 활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베이스(100)에도 도 6에 도시된 정면도와 같이 이격공간의 둘레를 따라 레그(120)의 외주 면에 탈착되는 범퍼(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범퍼(500)는 기본적으로 이격공간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초기상태에서 이격공간에 위치하는 지지대(200)의 고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 범퍼(500)는 다음의 구성을 더 갖추어 활용 가능하다.
도 6의 하단에 위치한 도면을 참조하면, 연성을 가진 코어(501)가 범퍼(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여기서 코어(501)는 일종의 뼈대와 같은 역할을 하여 범퍼(500)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거나 혹은 고정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이 범퍼(500)는 코어(501)가 양단으로 노출된 메인 범퍼(510)와, 양 단에 메인 범퍼(510)의 노출된 코어(50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코어 결합 홈(521) 및,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것으로 메인 범퍼(510)가 레그(120)의 외주면에서 분리 시 메인 범퍼(510)의 노출된 코어(50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코어 결합 홈(522)을 구비한 2개의 사이드 범퍼(520)로 분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범퍼(500)는 바람직하게는 3개의 절편으로 나누어져 구성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위치하는 메인 범퍼(510)와, 메인 범퍼(510)의 양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범퍼(520)로 구성되되, 이 사이드 범퍼(520)는 기립된 형상으로 지면 혹은 지지대(200)의 상면에 에 세워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이드 범퍼(520)의 단부에는 고무나 천 등과 같은 마찰력이 높은 재질의 받침수단(미도시)이 구비되거나 혹은 지지대(200)의 상면에 별도로 홈(미도시)을 뚫고, 이 홈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미도시)를 사이드 범퍼(520)의 일 단부에 형성하여 홈-돌기의 결합을 통해 고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사이드 범퍼(520)에 형성된 제 2 코어(501) 결합홈에 메인 범퍼(510)의 코어(501)를 각각 결합시키면 도 7과 같이 이 메인 범퍼(510)가 일종의 사다리에서 발을 딛는 부분처럼 구성될 수 있어 무선 충전부(202)의 위치가 휴대용 전자기기(10)와 정상적으로 무선충전을 진행하기 어려운 위치로 구비되었을 때, 이러한 메인 범퍼(510) 및 사이드 범퍼(520)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10)를 다양한 높이에 거치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추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도코일(124) 구성을 도시한 투시사시도이다.
추가로, 무선 충전부(202)는, 지지대(200)의 하부 영역 내에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 1 유도코일(210)과, 이 제 1 유도코일(210)과 이격된 상기 지지대(200)의 상부 영역에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 2 유도코일(220) 및, 휴대용 전자기기(10)와 접하여 유도전류를 발생하는 제 1,2 유도 코일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구동감지부(231)와, 구동감지부(231)의 판단에 따라 제 1,2 유도코일(124)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232)를 구비한 스위칭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유도코일(210)과 제 2 유도코일(220) 각각을 병렬로 연결하여 두 코일 모두에 전원을 흘리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전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제 1 유도코일(210) 또는 제 2 유도코일(220) 중 어느 하나가 휴대용 전자기기(10)와 전자기 유도현상을 통해 무선충전을 진행하게 되면, 두 코일 중 어느 하나만 유도전류가 발생하고 다른 하나에는 전자기장만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류센서를 각각의 유도코일(124)을 향해 위치시키게 되면 유도전류 발생여부를 판단 가능하며, 이를 구동감지센서라고 할 수 있다. 이 구동감지센서의 센싱여부에 따라 실제 사용되지 않는 유도코일(124)에는 전력을 더 이상 공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구조가 적용 가능한 것이다.
물론, 어느 하나의 유도코일(124)이 지속적으로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구동감지센서의 구동이 필요 없겠지만, 지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정도)이내에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것이 중단된 것을 판단한다면 이는 무선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므로, 다시 각각의 유도코일(124)에 전류를 흘려보내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위치를 변경하여 무선충전이 다시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휴대용 전자기기 100: 베이스
101: 기립부 110: 받침부
120: 레그 121: 케이블 삽입홈
122: 케이블 123: 릴
125: 회동레그 126: 제 1 회동레그
127: 유니버셜 조인트 128: 제 2 회동레그
129: 블루투스 스피커 130: 레그 베이스
140: 기립부 150: 회동방지 커버
151: 거울 200: 지지대
201: 거치부 202: 무선충전부
210: 제 1 유도코일 220: 제 2 유도코일
230: 스위칭모듈 231: 구동감지부
232: 전원공급 제어부 300: 회동축
331: 톱니 400: 받침대
420: 랙 440: 피니언
500: 범퍼 501: 코어
510: 메인 범퍼 520: 사이드 범퍼
521: 제 1 코어 결합홈 522: 제 2 코어 결합홈
600: 개방공간
101: 기립부 110: 받침부
120: 레그 121: 케이블 삽입홈
122: 케이블 123: 릴
125: 회동레그 126: 제 1 회동레그
127: 유니버셜 조인트 128: 제 2 회동레그
129: 블루투스 스피커 130: 레그 베이스
140: 기립부 150: 회동방지 커버
151: 거울 200: 지지대
201: 거치부 202: 무선충전부
210: 제 1 유도코일 220: 제 2 유도코일
230: 스위칭모듈 231: 구동감지부
232: 전원공급 제어부 300: 회동축
331: 톱니 400: 받침대
420: 랙 440: 피니언
500: 범퍼 501: 코어
510: 메인 범퍼 520: 사이드 범퍼
521: 제 1 코어 결합홈 522: 제 2 코어 결합홈
600: 개방공간
Claims (10)
-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로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양 단 각각으로부터 개방공간이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를 구비한 상태에서,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개방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를 구비한 지지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개방공간을 향한 일 측과 상기 지지대와의 경계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축;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하측 영역에 돌출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레그는,
레그 베이스와,
상기 레그 베이스의 상면에 적층된 것으로서 상기 받침부와의 경계부위에 장착된 힌지를 매개로 상방 회동되는 회동레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레그의 외측 단으로부터 상기 레그의 둘레 일부를 따라 함입 연장된 케이블 삽입홈과,
상기 케이블 삽입홈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외부 전원을 상기 무선 충전부로 공급하거나 상기 무선 충전부의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 삽입홈 내에서 상기 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을 제어하는 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케이블 삽입홈이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받침부의 둘레 일부를 따라 돌출 연장된 기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립부 내측에 발생된 상기 베이스 상측 영역에는,
전면의 적어도 일 측 영역에 거울이 장착된 회동방지 커버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회동축의 외주면 일 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와,
상기 지지대 내에서 상기 톱니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피니언(pinion) 및,
상기 받침대의 내측 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랙(rack)을 구비한 받침대 구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축의 회전으로 상기 받침대를 상기 지지대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그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2 회동레그로 분리 구성되되,
상기 제 1,2 회동 레그 사이에 유니버셜 조인트가 장착되어,
상기 제 2 회동레그가 제 1 회동레그를 기준으로 상하좌우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동 레그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개방공간의 둘레를 따라 상기 레그의 외주 면에 탈착되는 범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연성을 가진 코어가 상기 범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삽입된 것으로서,
상기 코어가 양단으로 노출된 메인 범퍼와,
양 단에 상기 메인 범퍼의 노출된 상기 코어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코어 결합 홈 및,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메인 범퍼가 상기 레그의 외주 면에서 분리 시 상기 메인 범퍼의 노출된 상기 코어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코어 결합 홈을 구비한 2개의 사이드 범퍼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지지대의 하부 영역 내에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 1 유도코일과,
상기 제 1 유도코일과 이격된 상기 지지대의 상부 영역에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 2 유도코일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접하여 유도전류를 발생하는 상기 제 1,2 유도 코일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구동감지부와,
상기 구동감지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제 1,2 유도코일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를 구비한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7499A KR102119928B1 (ko) | 2017-12-21 | 2017-12-21 |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7499A KR102119928B1 (ko) | 2017-12-21 | 2017-12-21 |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5694A KR20190075694A (ko) | 2019-07-01 |
KR102119928B1 true KR102119928B1 (ko) | 2020-06-05 |
Family
ID=6725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7499A KR102119928B1 (ko) | 2017-12-21 | 2017-12-21 |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992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0573B1 (ko) | 2019-07-08 | 2021-09-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틸트 기능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동시에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 |
KR102385902B1 (ko) * | 2020-06-05 | 2022-04-12 | 주식회사 경신 | 무선 충전 장치 |
CN114513020A (zh) * | 2020-11-16 | 2022-05-17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充电设备及充电系统 |
CN113726935B (zh) * | 2021-10-19 | 2024-04-30 | 深圳市悦茜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模拟便携式镜子结构式的可充电性防偷窥手机支架 |
KR200496841Y1 (ko) | 2021-10-28 | 2023-05-11 | 주식회사 쓰리아이 | 단말기 거치대 |
CN113883392A (zh) * | 2021-10-30 | 2022-01-04 | 顺德职业技术学院 | 一种带有磁体滑动块的显示器底座结构 |
DE102021134337A1 (de) * | 2021-12-22 | 2023-06-22 | Bury Sp.Z.O.O | Ladevorrichtung zur Energieversorgung eines portablen Elektronikgeräts |
CN114362310A (zh) * | 2022-01-10 | 2022-04-15 |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 无线充电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7538B2 (ja) * | 1992-07-14 | 2001-07-11 | 株式会社リコー | 光軸制御装置 |
JP2014090606A (ja) * | 2012-10-31 | 2014-05-15 | Fujitsu Frontech Ltd | 集合充電装置 |
KR101788469B1 (ko) * | 2016-09-12 | 2017-10-20 | 장세식 |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M471087U (zh) * | 2013-07-11 | 2014-01-21 | Samya Technology Co Ltd | 捲線器行動電源 |
KR20150112445A (ko) * | 2014-03-28 | 2015-10-07 | (주) 한신기전 | 자동 위치조정 무선충전기 및 그를 이용한 충전 방법 |
KR101680060B1 (ko) * | 2014-11-07 | 2016-11-28 | 주식회사 스네일픽스 | 점착식 무선전력장치 |
-
2017
- 2017-12-21 KR KR1020170177499A patent/KR1021199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7538B2 (ja) * | 1992-07-14 | 2001-07-11 | 株式会社リコー | 光軸制御装置 |
JP2014090606A (ja) * | 2012-10-31 | 2014-05-15 | Fujitsu Frontech Ltd | 集合充電装置 |
KR101788469B1 (ko) * | 2016-09-12 | 2017-10-20 | 장세식 |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5694A (ko) | 2019-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9928B1 (ko) |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 | |
KR102121102B1 (ko) | 폴더 타입으로 접철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 충전기 | |
EP3606383B1 (en) | A stand for a touch screen device | |
KR101471324B1 (ko) | 범용 도킹 스테이션 콤팩트 | |
US9059592B2 (en) | Fixing apparatus with wireless charging | |
US20190326767A1 (en) | Adjus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 |
US10463157B1 (en) | Portable folding chair | |
US20200162807A1 (en) | Headphone charging apparatus | |
EP2454969A1 (en) | Height-adjustable table stand | |
US20140354219A1 (en)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
KR101879551B1 (ko) |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 |
US20060238164A1 (en) | Desktop charg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 |
US20140274208A1 (en) | Portable Three-in-One Mobile Phone Accessory | |
KR200476796Y1 (ko) |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 |
US10122194B2 (en) | Input device stand and energy storage device | |
KR101264353B1 (ko) | 거치대 | |
US11313392B2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d powering devices | |
KR101792412B1 (ko) |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 |
TW202101159A (zh) | 電子裝置立架 | |
CN214429333U (zh) | 无线充电支架 | |
KR20130123176A (ko) | 휴대폰 케이스 | |
CN107658929B (zh) | 一种活动式手机充电座 | |
JP2008067532A (ja) | 携帯端末充電器 | |
KR20160072437A (ko) | 이동 단말기 거치대 | |
CN214429332U (zh) | 无线充电支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