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02879B1 -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879B1
KR102102879B1 KR1020190050692A KR20190050692A KR102102879B1 KR 102102879 B1 KR102102879 B1 KR 102102879B1 KR 1020190050692 A KR1020190050692 A KR 1020190050692A KR 20190050692 A KR20190050692 A KR 20190050692A KR 102102879 B1 KR102102879 B1 KR 102102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waste
frame
house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균
조동희
이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수소에너지
루코아홀딩스(주)
더쎈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수소에너지, 루코아홀딩스(주), 더쎈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수소에너지
Priority to KR102019005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8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3Sequencing batch reactors [SB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 E04H2015/203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supported by a non-inflatable structure or frame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하우스의 골조를 이루도록 터널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노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터널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1)과, 프레임(1)들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면서 내부에 채워지는 공기에 의해 형태를 유지하는 하우스부재(2)와, 프레임(1)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프레임(1)이 삽입되는 결합공(11)이 내측에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며, 하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는 연장부(12)가 구비된 앵커부재(10)와, 앵커부재(10)의 상부를 감싸는 관 형상으로 상단에는 프레임(1)이 삽입되는 안내공을 갖는 프레임삽입구(21)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고정돌기(22)가 돌출 형성된 프레임고정부재(20)와, 하우스부재(2)에 의해 형성된 실내공간에 마련되어 합성수지 폐기물(a)을 처리하는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와,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의 합성수지 폐기물(a)에서 침출되는 침출수를 수집하여 정화시키는 폐수정화조(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Waste recycling apparatus using air house with frame anchor}
본 발명은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어하우스의 골조를 이루도록 터널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하우는 채소류의 속성재배 또는 열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상부로 공기가 채워지는 비닐이 돔형태나 터널형태를 이루면서, 외부의 가스나 미세먼지 등을 차단하면서 태양빛이 투과되는 온실효과가 있다.
위와 같은 에어하우스를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을 지면에 먼저 견고하게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의 설치를 위하여 프레임의 단부와 연결되는 고정앵커가 제공된 바 있다.
예컨대, 아래의 문헌에서와 같이, 종래의 에어하우스는 외부의 가스나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지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의 에어하우스 설치 과정에서 프레임을 지면에 삽입시켜서 고정하는 과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에어하우스에 풍압이나 설압과 같은 외부요인이 가해지는 경우 지면에 설치된 프레임이 지면에서 손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55166(2014.10.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어하우스의 골조를 이루도록 터널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의 특징적 구성은, 노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터널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과, 프레임들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면서 내부에 채워지는 공기에 의해 형태를 유지하는 하우스부재와, 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프레임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내측에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며, 하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는 연장부가 구비된 앵커부재와, 앵커부재의 상부를 감싸는 관 형상으로 상단에는 프레임이 삽입되는 안내공을 갖는 프레임삽입구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프레임고정부재와, 하우스부재에 의해 형성된 실내공간에 마련되어 합성수지 폐기물을 처리하는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와,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의 합성수지 폐기물에서 침출되는 침출수를 수집하여 정화시키는 폐수정화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앵커부재는 상면에 체결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프레임고정부재는 체결공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상면에 형성되며, 프레임삽입구의 외주면 둘레에는 결합되는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체결볼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돌기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앵커부재와 프레임고정부재 간 결합시, 연장부를 따라 분기되게 절곡되어 지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레임고정부재는 길이 방향 둘레를 따라 한 쌍의 연결돌기가 대향되게 구비되고, 연결돌기에는 탈착 가능하게 관체형의 연결파이프가 더 설치되며, 연결돌기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연결파이프에는 결합공과 대응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결합공 및 연결공을 관통하는 체결볼트를 통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파이프는 지면의 이미 설정한 복수 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고정부재를 연결하게 설치되고, 연결파이프에는 길이 방향 중심부가 절곡되게 형성되고, 양 단부에는 고정핀이 체결되는 고정공이 구비되어 연결파이프의 상부를 감싸도록 지면에 고정되는 보강부재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레임고정부재의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설치홈이 더 형성되고, 설치홈에는 고정링이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우스부재의 내부에는 합성수지 폐기물을 자동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가 설치되고,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합성수지 폐기물을 연소시켜서 발전 및 난방할 수 있는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송장치는 하우스부재의 내부로 이송되어온 합성수지 폐기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저장탱크의 일측에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합성수지 폐기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제1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컨베이어의 일측에는 합성수지 폐기물에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선별수단의 일측에는 선별된 합성수지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컨베이어의 일측에는 합성수지 폐기물에서 수분을 분리시키는 탈수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탈수수단의 일측에는 탈수된 합성수지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제3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3컨베이어의 일측에는 탈수된 합성수지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는 파쇄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파쇄수단의 일측에는 파쇄된 합성수지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제4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고, 제4컨베이어의 일측에는 합성수지 폐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건조수단의 일측에는 건조된 합성수지 폐기물을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으로 이송시키는 제5컨베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는 건조된 합성수지 폐기물이 연소되는 연소부와, 연소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서 증기가 발생되도록 물을 연소부로 순환시키는 순환부와, 순환부에서 순환되면서 가열되는 물에서 발생되는 증기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과, 터빈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와, 터빈을 회전시킨 증기에 의해 열교환되는 열교환부와, 열교환부에 의해 증기에서 액화되는 물을 순환부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순환부는 연소부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어 관류되는 물이 가열되는 순환파이프와, 순환파이프에 연결된 상태로 관류되는 물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모여지는 증기드럼와, 증기드럼에 연결된 상태로 증기를 터빈으로 공급하는 증기공급파이프를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복잡한 구성없이도 에어하우스의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을 지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하게 고정앵커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도 프레임이 결합되는 프레임고정부재의 구성을 통하여 지면과 프레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과 지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각 구성의 크기 및 규격이 불필요하게 증가되고, 복잡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앵커의 제작을 위한 전체적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앵커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고정앵커 본연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손상된 부위를 손쉽게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는 에어하우스의 내부에 합성수지 폐기물정화장치를 설치하여 합성수지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정화하여 배출하고 합성수지 폐기물은 건조 및 발효시켜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오염된 가스나 공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합성수지 폐기물을 선별 압출가공과 열분해시켜서 신재생 에너지인 원료로 환원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폐기물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발전 및 난방에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인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의 연결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앵커를 통하여 에어하우스 프레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파이프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파이프를 통하여 에어하우스 프레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에어하우스가 적용된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를 보인 도면.
도 14는 맹암거의 유공관을 보인 도면.
도 15는 처리부의 일측에 설치된 폐수정화조를 보인도면.
도 16은 에어하우스와 합성수지 폐기물처리장치가 지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7은 에어하우스의 내부에 합성수지 폐기물 이송장치와 폐기물활용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터널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1)과, 프레임(1)들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면서 내부에 채워지는 공기에 의해 형태를 유지하는 하우스부재(2)와, 하우스부재(2)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3)과, 프레임(1)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프레임(1)이 삽입되는 결합공(11)이 내측에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며, 하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는 연장부(12)가 구비된 앵커부재(10)와, 앵커부재(10)의 상부를 감싸는 관 형상으로 상단에는 프레임(1)이 삽입되는 안내공을 갖는 프레임삽입구(21)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고정돌기(22)가 돌출 형성된 프레임고정부재(20)와, 하우스부재(2)에 의해 형성된 실내공간에 마련되어 합성수지 폐기물(a)을 처리하는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와,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의 합성수지 폐기물(a)에서 침출되는 침출수를 수집하여 정화시키는 폐수정화조(80)를 포함한다.
프레임(1)은 에어하우스의 골조를 이루기 위하여 도시한 도 10 및 도 12에서와 같이, 지면(G)에 복수개 설치되어 구성된다.
하우스부재(2)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하부비닐(2a)과, 하부비닐(2a)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부비닐(2a)의 둘레에 둘레가 고정되어 일체화되는 상부비닐(2b)과, 하부비닐(2a) 및 상부비닐(2b)의 사이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공기공급수단(3)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하부비닐(2a) 및 상부비닐(2b)의 사이로 안내하는 주입구(2c)를 포함한다.
하부비닐(2a) 및 상부비닐(2b)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다. 즉, 하우스부재(2)가 커버하는 노지 및 하우스부재(2)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공간의 기온이 상승될 수 있다.
주입구(2c)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하우스부재(2)가 팽창되어 돔이나 터널형태를 이루게 된다.
하우스부재(2)에는 2중으로 되는 출입구(2d)가 형성되어 2중의 출입구(2d)가 순차적으로 개폐되므로, 내부공기가 외부로 유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공기공급수단(3)은 하우스부재(2)의 주입구(2c)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팬이나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공급수단(3)은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므로 하우스부재(2)에서 유실되는 공기가 보충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공급수단(3)은 추가로 구성되어 하우스부재(2)에 의해 형성된 실내공간에도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공기공급수단(3)에 의해 하우스부재(2)의 실내공간에 공기가 공급되므로 하우스부재(2)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앵커부재(10)는 프레임(1)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 내측으로 결합공(11)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앵커부재(1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부에서 하단 방향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연장부(12)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연장부(12)는 앵커부재(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며,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G)에 삽입된 앵커부재(10)가 지상으로 노출되거나 지면(G)에서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프레임고정부재(20)는 앵커부재(10)의 상부를 감싸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앵커부재(1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측으로는 프레임(10)이 삽입되는 안내공이 상부에 형성된 프레임삽입구(2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6에서와 같이, 프레임삽입구(21)의 안내공으로 삽입되는 프레임(1)의 단부가 프레임고정부재(20)와 결합되는 연장부(12)의 결합공(11)에 삽입되며 지면에 고정된 앵커부재(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고정부재(20)는 하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고정돌기(22)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된다.
고정돌기(22)는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프레임고정부재(20)의 하단으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앵커부재(10)의 상부로 프레임고정부재(20)가 결합을 이루는 경우, 앵커부재(10)의 연장부(12) 상면을 따라 고정돌기(22)가 밀착되며 벌어짐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은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앵커부재(10)의 상면으로 프레임고정부재(2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프레임고정부재(20)의 하단에 구비된 복수개의 고정돌기(22)가 연장부(12)의 상면을 따라 벌어지며 지면(G)에 박히게 됨으로써, 앵커부재(10)와 프레임고정부재(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은 물론이고, 앵커부재(10)와 프레임고정부재(20)가 지면(G)에서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고정돌기(2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외부 압력에 의하여 구부러질 수 있는 금속재, 플라스틱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앵커부재(1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3)이 형성되고, 프레임고정부재(20)의 상면에는 체결공(13)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체결공(13) 및 관통공(23)은 도시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앵커부재(10)와 프레임고정부재(20)를 견고하게 결합하는 체결볼트(P)를 통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체결공(13) 및 관통공(2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P)의 결합을 조절하여 앵커부재(10)와 프레임고정부재(20)의 결합과, 그 결합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프레임삽입구(21)의 외주면 둘레에는 내측으로 결합되는 프레임(1)의 측면을 체결볼트(P)로 가압하여 프레임삽입구(21)와 프레임(1)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21a)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고정공(21a)은 도 3에서와 같이, 프레임삽입구(21)의 외주면 둘레에 사용자가 미리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도 6에서와 같이, 앵커부재(10)와 프레임고정부재(20)를 지면에 고정 설치한 후, 프레임삽입구(21)에 고정공(21a)을 형성하여 프레임삽입구(21)로 결합되는 프레임(1)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도 3 내지 도 10 및 도 12에서와 같이, 프레임고정부재(20)는 길이 방향 둘레를 따라 한 쌍의 연결돌기(24)가 대향되게 구비되어 구성되고, 연결돌기(24)에는 탈착 가능하게 관체형의 연결파이프(4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돌기(24)에는 복수개의 결합공(24a)이 형성되고, 연결파이프(40)에는 결합공(24a)과 대응되는 연결공(40a)이 형성되어 결합공(24a) 및 연결공(40a)을 관통하는 체결볼트(P)를 통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한 도 7, 도 8, 도 10, 도 12에서와 같이, 지면(G)의 이미 설정한 복수 부위에 복수개의 프레임고정부재(20)를 설치하는 경우, 연결파이프(40)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가 이루어진 프레임고정부재(20)를 상호 연결하여 에어하우스의 골조를 구성할 시, 앵커부재(10)와 프레임고정부재(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루고 이를 통하여, 설치가 이루어진 에어하우스 골조를 지면(G)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파이프(40)에는 길이 방향 중심부가 절곡되게 형성되고, 양 단부에는 고정핀(60)이 체결되는 고정공(50a)이 구비되어 연결파이프(40)의 상부를 감싸도록 지면에 고정되는 보강부재(5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보강부재(50)는 도시한 도 8, 도 11, 도 12에서와 같이, 지면(G)의 이미 설정한 복수 부위에 복수개의 프레임고정부재(20)를 설치하고, 연결파이프(40)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게 구성할 시, 연결파이프(40)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후 구비된 고정핀(60)의 구성을 통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는, 연결파이프(40)를 통화여 복수개의 프레임고정부재(20)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연결파이프(40)와 프레임고정부재(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 설치된 에어하우스 골조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보강부재(50)는 도시한 도 11의 (a)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b),(c)와 같이, 연결파이프(40)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후, (d)에서와 같이, 보강부재(50)의 고정공(50a)으로 지면(G)에 삽입되는 고정핀(60)을 삽입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하여, 도시한 도 12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앵커부재(10)와, 프레임고정부재(20)를 통하여 지면(G)에 설치된 프레임(1)과, 프레임(1)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40)가 설치가 이루어진 지면(G)의 상부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보강부재(50)를 양 단부에 고정공(50a)이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프레임고정부재(20)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40)가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보강부재(50)의 형상과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한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프레임고정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설치홈(20a)을 더 형성하고, 설치홈(20a)에는 고정링(3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고정링(30)은 도 9에서와 같이, 설치홈(20a)에 결합되어 프레임고정부재(20)의 외측에서 앵커부재(10)의 방향으로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앵커부재(10)와 프레임고정부재(20)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며,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하우스를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프레임(1)을 지면(G)에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프레임(1)의 설치가 이루어진 후에는 지면(G)과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스부재(2)의 내부넓이는 보통 330㎡ ~ 3,000㎡ 내외로 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스부재(2)의 내부에는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에 파쇄 및 분쇄되어 적치된 합성수지 폐기물(a)에 혼소용 촉매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혼소용 촉매 분사노즐(4a)이 덕트(4)에 설치되고, 이 덕트(4)는 하우스부재(2)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는 하우스부재(2)에 의해 형성되어 외부공기의 유입 및 내부공기의 유실이 차단된 실내공간에 마련되어 합성수지 폐기물(a)을 처리한다.
이러한,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는 적치되는 합성수지 폐기물(a)을 처리하기 위해 그 하부에 맹암거(71)를 포함한다. 맹암거(71)는 합성수지 폐기물(a)에서 침출수를 걸러내는 모관사(72)가 설치되고, 모관사(72)의 하부에는 모관사를 지지하면서 침출수만 통과되는 모관망(73)이 설치되고, 모관망(73)의 하부에는 미세한 합성수지 폐기물(a)을 걸러내면서 침출수를 통과시키는 매트(74)가 설치되고, 매트(74)의 하부에는 매트(74)를 지지하면서 침출수만 통과시키는 모관력(75)이 설치되고, 모관력(75)의 하부에는 모관력(75)을 통과한 침출수를 모아 폐수정화조로 이송시키는 유공관(76)이 설치되고, 유공관(76)의 하부에는 불투수막(77)이 설치되어 침출수가 지하로 침투되지 않으며, 유공관(76)의 일단이 불투수막(77)을 통과하여 폐수정화조(80)에 연결된다.
맹암거(71)는 오염된 합성수지에서 발생된 오염물을 정화하기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 폐기물(a)이 파쇄 및 분쇄되어 운송되는 과정에서 오염된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합성수지 폐기물(a)을 재활용할 수 있다.
맹암거(71)가 설치되는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는 교반기(78)를 이용하여 적치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계속적으로 교반하게 된다.
이때, 교반되는 합성수지 폐기물(a)에 보습제가 더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습제로는 왕겨, 톱밥, 부엽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관사(72)는 강모래를 사용하고, 매트(74)의 재질은 부직포를 사용하고, 모관력(75)은 막자갈 또는 화인스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투수막(77)은 그 구조를 튼튼히 하면서 침출수가 유실되지 않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콘크리트에 방수재를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합성수지로 된 재료를 이용하면 방수에도 강하면서 이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공관(76)은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집수정(5)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모아지는 침출수가 집수정(5)에 모여지게 된다.
파쇄 및 분쇄된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의 후방에는 집수정(5)이 설치되어, 맹암거(71)를 통과하여 모여진 침출수가 집수정(5)에 모여지게 되고, 모여진 침출수는 집수정(5)의 내부에 구비된 수중펌프(51)에 의해 폐수정화조(80)로 이송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정화조(80)는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의 합성수지 폐기물(a)에서 침출되는 침출수를 수집하여 정화시킨다.
이러한, 폐수정화조(80)는 유입된 폐수를 침출시키는 침전분리조(81)가 구비되고, 침전분리조(81)의 일측에는 침출수를 반복해서 폭기 및 침전시키는 회분식처리조(82)가 구비되고, 회분식처리조(82)의 일측에는 회분식처리조(82)에서 처리된 침출수를 침전시키고 발생되는 슬러지가 모여지는 최종침전조(83)가 구비된다.
회분식처리조(82)에는 블로워(84)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는 디퓨져(85)가 설치되고, 최종침전조(83)에는 슬러지 및 질산화균을 다시 침전분리조(81)로 반송시키도록 펌프(86)가 설치되어 있으며, 펌프(86)에는 반송관(87)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는 하우스부재(2)의 내부에서 지하에 설치하기 곤란할 때는 지상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폐수정화조(80)는 지상의 하우스부재(2)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는 침출수의 유실을 방지를 위해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옹벽(89)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스부재(2)의 내부에는 합성수지 폐기물(a)을 자동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90)가 설치되고, 이송장치(90)에 의해 이송되는 합성수지 폐기물(a)을 연소시켜서 발전 및 난방할 수 있는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100)이 설치된다.
이송장치(90)는 차량 등에 의해 하우스부재(2)의 내부로 이송되어온 합성수지 폐기물(a)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저장탱크(91)가 설치되어 있고, 저장탱크(91)의 일측에는 저장탱크(91)에 저장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이송시킬 수 있는 제1컨베이어(9a)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컨베이어(9a)의 일측에는 합성수지 폐기물(a)에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수단(92)이 설치되어 있다.
선별수단(92)의 일측에는 선별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9b)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컨베이어(9b)의 일측에는 합성수지 폐기물(a)에서 수분을 분리시키는 탈수수단(93)이 설치되어 있고, 탈수수단(93)의 일측에는 탈수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이송시키는 제3컨베이어(9c)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3컨베이어(9c)의 일측에는 탈수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파쇄 및 분쇄할 수 있는 파쇄수단(94)이 설치되어 있다. 파쇄수단(94)은 스크류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파쇄수단(94)의 일측에는 파쇄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이송시키는 제4컨베이어(9d)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4컨베이어(9d)의 일측에는 합성수지 폐기물(a)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수단(95)이 설치되어 있고, 건조수단(95)의 일측에는 건조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100)으로 이송시키는 제5컨베이어(9e)가 설치되어 있다.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100)는 건조된 합성수지 폐기물(a)이 연소되는 연소부(110)와, 연소부(1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서 증기가 발생되도록 물을 연소부(110)로 순환시키는 순환부(120)와, 순환부(120)에서 순환되면서 가열되는 물에서 발생되는 증기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130)과, 터빈(130)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140)와, 터빈(130)을 회전시킨 증기에 의해 열교환되는 열교환부(150)와, 열교환부(150)에 의해 증기에서 액화되는 물을 순환부(120)로 공급하는 공급부(160)를 포함한다.
연소부(110)는 제5컨베이어(9e)에 의해 공급되는 합성수지 폐기물(a)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연소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연소공간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가 연결되어 있어서, 유입구를 통해 연소공간으로 유입되는 합성수지 폐기물(a)이 연소됨에 따라 고열이 발생될 수 있다. 즉, 합성수지 폐기물(a)이 연소부(110)의 원료로 공급되므로 합성수지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연료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 폐기물(a)이 연소됨에 따라 발생되는 재는 연소부(110)의 하부를 통해 배출시켜서 처리할 수 있다.
순환부(120)는 연소부(110)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어 관류되는 물이 가열되는 순환파이프(121)와, 순환파이프(121)에 연결된 상태로 관류되는 물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모여지는 증기드럼(122)와, 증기드럼(122)에 연결된 상태로 증기를 터빈(130)으로 공급하는 증기공급파이프(123)를 포함한다.
순환파이프(121)는 연소부(110)를 감싸고 있어서 연소부(110)의 고온에 의해 관류되는 물이 빠르게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될 수 있다.
증기드럼(122)은 연소부(1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어서 연소부(110)의 고온에 의해 모여지는 증기가 고압으로 증폭될 수 있다.
증기공급파이프(123)를 통해 증기가 터빈(130)에 공급될 수 있다.
터빈(130)은 고온의 증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발전기(140)는 고속으로 회전되는 터빈(130)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전기(140)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가 송전선망을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열교환부(150)는 터빈(130)에서 사용된 증기를 이용하여 열교하고, 열교환에 따라 얻어진 열을 지역난방에 사용할 수 있다.
공급부(160)는 열교환부(150)에서 액화된 물을 순환부(120)로 공급하는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 폐기물(a)을 연소시켜서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합성수지 폐기물(a)의 연소에 의해 발전 및 지역난방을 위한 재활용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에 합성수지 폐기물(a)을 이송하여 적치하게 되면,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에 구비된 맹암거(2)의 모관사(72)와 매트(74) 그리고 모관력(75)에 의해 합성수지 폐기물(a)에서 발생되는 침출수가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의 하부에 모여지게 된다.
이때,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유공관(76)에 의해 모여진 침출수는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의 일측에 구비된 집수정(5)으로 모여지게 되고, 이 집수정(5)으로 모여진 침출수는 수중펌프(51)에 의해 폐수정화조(80)로 이송되게 된다.
맹암거(71)에서 처리되는 합성수지 폐기물(a)을 처리하기 위해 혼소용 촉매가 투입된다.
폐수정화조(80)로 이송된 침출수는 먼저, 침전분리조(81)에 유입되어 침출수에 섞여있던 슬러지 등이 침전되고, 이 침출수는 다시 침천분리조(81)의 일측에 설치된 회분식처리조(82)에 유입되어 그 하부에 설치된 디퓨셔(85)에 의해 침출수는 폭기 및 침전을 반복시키고, 회분식처리조(82)를 거쳐온 침출수는 최종침전조(83)에 유입되어 그 하부에 형성된 흡수바(88)에 의해 여분의 슬러지가 모여지게 된다. 이때, 모여진 슬러지와 질산화균은 펌프(86)에 의해 침전분리조(81)로 다시 반송된다.
폐수정화조(80)에 의해 정화된 깨끗한 물을 일반하천에 방류하거나 식물이 심어진 토양에 공급함으로써 정화된 물을 재활용할 수 있다.
침출수가 빠져나가는 합성수지 폐기물(a)에는 하우스부재(2)의 상부에 설치된 혼소용 촉매 분사노즐(4a)에서 분사되는 혼소용 촉매, 왕겨, 톱밥, 부옆토 등의 보습제와 함께 교반기(78)에 의해 교반되면서 건조되고, 건조된 합성수지 폐기물(a)은 다시 재활용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용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스부재(2)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장치(90)에 의해 합성수지 폐기물(a)이 이송되고, 이송된 합성수지 폐기물(a)은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100)에 적치된다.
이송장치(90)의 이송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하우스부재(2)의 출입구(2d)의 일측에 설치된 저장탱크(91)에 운송된 합성수지 폐기물(a)이 일시 저장되고, 저장된 합성수지 폐기물(a)은 제1컨베이어(9a)에 의해 다음공정으로 이송된다.
제1컨베이어(9a)에 의해 이송된 합성수지 폐기물(a)은 선별수단(92)에 공급되어 이물질 등이 제거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합성수지 폐기물(a)은 제2컨베이어(9b)에 의해 다음공정으로 이송된다.
제2컨베이어(9b)에 의해 이송된 합성수지 폐기물(a)은 탈수수단(93)에 의해 수분이 탈수되고, 수분이 탈수된 합성수지 폐기물(a)은 제3컨베이어(9c)에 의해 다음공정으로 이송된다.
제3컨베이어(9c)에 의해 이송된 합성수지 폐기물(a)은 파쇄수단(94)에 의해 일정한 입자로 파쇄 및 분쇄되고, 파쇄 및 분쇄된 합성수지 폐기물(a)은 제4컨베이어(9d)에 의해 다음공정으로 이송된다.
제4컨베이어(9d)에 의해 이송된 합성수지 폐기물(a)은 건조수단(95)에 의해 여분의 습기가 건조되고, 건조된 합성수지 폐기물(a)은 제5컨베이어(9e)에 의해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100)로 이송된다.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100)에서는 분쇄되어서 건조된 상태로 이송되는 합성수지 폐기물(a)을 연소시킨다.
그리고, 합성수지 폐기물(a)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끓이고 물이 끓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발전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발전에 사용된 증기를 열교환하여 난방에 사용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설계변경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범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a: 합성수지 폐기물 1: 프레임
2: 하우스부재 2a: 하부비닐
2b: 상부비닐 2c: 주입구
2d: 출입구 3: 공기공급수단
4: 덕트 4a: 혼소용 촉매 분사노즐
10: 앵커부재
11: 결합공 12: 연장부
13: 체결공 20: 프레임고정부재
20a: 설치홈 21: 프레임삽입구
21a: 고정공 22: 고정돌기
23: 관통공 24: 연결돌기
24a: 결합공 30: 고정링
40: 연결파이프 40a: 연결공
50: 보강부재 50a: 고정공
60: 고정핀 G: 지면
P: 체결볼트 N: 너트
70: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
71: 맹암거 72: 모관사
73: 모관망 74: 매트
75: 모관력 76: 유공관
77: 불투수막 78: 교반기
80: 폐수정화조 81: 침전분리조
82: 회분식처리조 83: 최종침전조
84: 블로워 85: 디퓨져
86: 펌프 87: 반송관
90: 이송장치 91: 저장탱크
92: 선별수단 93: 탈수수단
94: 파쇄수단 95: 건조수단
9a: 제1컨베이어 9b: 제2컨베이어
9c: 제3컨베이어 9d: 제4컨베이어
9e: 제5컨베이어
100 :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
110 : 연소부 120 : 순환부
121 : 순환파이프 122 : 증기드럼
123 : 증기공급파이프 130 : 터빈
140 : 발전기 150 : 열교환부
160 : 공급부

Claims (12)

  1. 노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터널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1)과,
    프레임(1)들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면서 내부에 채워지는 공기에 의해 형태를 유지하는 하우스부재(2)와,
    프레임(1)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프레임(1)이 삽입되는 결합공(11)이 내측에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며, 하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는 연장부(12)가 구비된 앵커부재(10)와,
    앵커부재(10)의 상부를 감싸는 관 형상으로 상단에는 프레임(1)이 삽입되는 안내공을 갖는 프레임삽입구(21)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고정돌기(22)가 돌출 형성된 프레임고정부재(20)와,
    하우스부재(2)에 의해 형성된 실내공간에 마련되어 합성수지 폐기물(a)을 처리하는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와,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의 합성수지 폐기물(a)에서 침출되는 침출수를 수집하여 정화시키는 폐수정화조(80)를 포함하고,
    하우스부재(2)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하부비닐(2a)과, 하부비닐(2a)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하부비닐(2a)의 둘레에 둘레가 고정되어 일체화되는 상부비닐(2b)과, 하부비닐(2a) 및 상부비닐(2b)의 사이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공기공급수단(3)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하부비닐(2a) 및 상부비닐(2b)의 사이로 안내하는 주입구(2c)를 포함하며,
    주입구(2c)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하우스부재(2)가 팽창되어 돔이나 터널형태를 이루게 되고,
    앵커부재(10)는 상면에 체결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3)이 형성되며,
    프레임고정부재(20)는
    체결공(13)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3)이 상면에 형성되며,
    프레임삽입구(21)의 외주면 둘레에는 결합되는 프레임(1)을 고정시키는 체결볼트(P)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21a)이 형성되고,
    고정돌기(2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앵커부재(10)와 프레임고정부재(20) 간 결합시, 연장부(12)를 따라 분기되게 절곡되어 지면(G)에 고정되며,
    프레임고정부재(20)는 길이 방향 둘레를 따라 한 쌍의 연결돌기(24)가 대향되게 구비되고,
    연결돌기(24)에는 탈착 가능하게 관체형의 연결파이프(40)가 설치되며,
    연결돌기(24)는 복수개의 결합공(24a)이 형성되고, 연결파이프(40)에는 결합공(24a)과 대응되는 연결공(40a)이 형성되어 결합공(24a) 및 연결공(40a)을 관통하는 체결볼트(P)를 통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고,
    연결파이프(40)는 지면의 이미 설정한 복수 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고정부재(20)를 연결하게 설치되며,
    연결파이프(40)에는 길이 방향 중심부가 절곡되게 형성되고, 양 단부에는 고정핀(60)이 체결되는 고정공(50a)이 구비되어 연결파이프(40)의 상부를 감싸도록 지면에 고정되는 보강부재(50)가 설치되고,
    프레임고정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설치홈(20a)이 형성되고,
    설치홈(20a)에는 고정링(30)이 결합되어 앵커부재(10)와 프레임고정부재(2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합성수지 폐기물처리부(70)는 적치되는 합성수지 폐기물(a)을 처리하기 위해 그 하부에 맹암거(71)를 포함하고,
    맹암거(71)는
    합성수지 폐기물(a)에서 침출수를 걸러내는 모관사(72)가 설치되고,
    모관사(72)의 하부에는 모관사를 지지하면서 침출수만 통과되는 모관망(73)이 설치되며,
    모관망(73)의 하부에는 미세한 합성수지 폐기물(a)을 걸러내면서 침출수를 통과시키는 매트(74)가 설치되고,
    매트(74)의 하부에는 매트(74)를 지지하면서 침출수만 통과시키는 모관력(75)이 설치되며,
    모관력(75)의 하부에는 모관력(75)을 통과한 침출수를 모아 폐수정화조로 이송시키는 유공관(76)이 설치되고,
    유공관(76)의 하부에는 불투수막(77)이 설치되어 침출수가 지하로 침투되지 않으며, 유공관(76)의 일단이 불투수막(77)을 통과하여 폐수정화조(80)에 연결되며,
    폐수정화조(80)는
    유입된 폐수를 침출시키는 침전분리조(81)가 구비되고,
    침전분리조(81)의 일측에는 침출수를 반복해서 폭기 및 침전시키는 회분식처리조(82)가 구비되며,
    회분식처리조(82)의 일측에는 회분식처리조(82)에서 처리된 침출수를 침전시키고 발생되는 슬러지가 모여지는 최종침전조(83)가 구비되고,
    회분식처리조(82)에는 블로워(84)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는 디퓨져(85)가 설치되며,
    최종침전조(83)에는 슬러지 및 질산화균을 다시 침전분리조(81)로 반송시키도록 펌프(86)가 설치되고,
    펌프(86)에는 반송관(87)이 연결되며,
    하우스부재(2)의 내부에는 합성수지 폐기물(a)을 자동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90)가 설치되고,
    이송장치(90)에 의해 이송되는 합성수지 폐기물(a)을 연소시켜서 발전 및 난방할 수 있는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100)이 설치되며,
    이송장치(90)는
    하우스부재(2)의 내부로 이송되어온 합성수지 폐기물(a)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저장탱크(91)가 설치되어 있고,
    저장탱크(91)의 일측에는 저장탱크(91)에 저장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이송시킬 수 있는 제1컨베이어(9a)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컨베이어(9a)의 일측에는 합성수지 폐기물(a)에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수단(92)이 설치되어 있고,
    선별수단(92)의 일측에는 선별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9b)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컨베이어(9b)의 일측에는 합성수지 폐기물(a)에서 수분을 분리시키는 탈수수단(93)이 설치되어 있고,
    탈수수단(93)의 일측에는 탈수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이송시키는 제3컨베이어(9c)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3컨베이어(9c)의 일측에는 탈수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파쇄할 수 있는 파쇄수단(94)이 설치되어 있고,
    파쇄수단(94)의 일측에는 파쇄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이송시키는 제4컨베이어(9d)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4컨베이어(9d)의 일측에는 합성수지 폐기물(a)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수단(95)이 설치되어 있고,
    건조수단(95)의 일측에는 건조된 합성수지 폐기물(a)을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100)으로 이송시키는 제5컨베이어(9e)가 설치되어 있으며,
    합성수지 폐기물활용수단(100)는
    건조된 합성수지 폐기물(a)이 연소되는 연소부(110)와,
    연소부(1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서 증기가 발생되도록 물을 연소부(110)로 순환시키는 순환부(120)와,
    순환부(120)에서 순환되면서 가열되는 물에서 발생되는 증기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130)과,
    터빈(130)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140)와,
    터빈(130)을 회전시킨 증기에 의해 열교환되는 열교환부(150)와,
    열교환부(150)에 의해 증기에서 액화되는 물을 순환부(120)로 공급하는 공급부(160)를 포함하고,
    순환부(120)는
    연소부(110)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어 관류되는 물이 가열되는 순환파이프(121)와,
    순환파이프(121)에 연결된 상태로 관류되는 물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모여지는 증기드럼(122)와,
    증기드럼(122)에 연결된 상태로 증기를 터빈(130)으로 공급하는 증기공급파이프(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50692A 2019-04-30 2019-04-30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 Active KR102102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692A KR102102879B1 (ko) 2019-04-30 2019-04-30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692A KR102102879B1 (ko) 2019-04-30 2019-04-30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879B1 true KR102102879B1 (ko) 2020-04-22

Family

ID=7047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692A Active KR102102879B1 (ko) 2019-04-30 2019-04-30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8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8587B1 (ko) 2023-05-19 2024-06-26 박성근 재해대비 에어하우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437Y1 (ko) * 2004-05-25 2004-08-09 주식회사푸름에어하우스 에어하우스가 적용된 폐기물정화장치
KR20100109737A (ko) * 2009-04-01 2010-10-11 한주그린(주) 식생매트 고정용 생분해성 팩
KR101455166B1 (ko) 2013-12-26 2014-10-27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슈퍼에어하우스를 이용한 식물재배시설
KR20150130697A (ko) * 2014-05-14 2015-11-24 안수연 Diy 다용도 말뚝
KR101574633B1 (ko) * 2014-05-09 2015-12-04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하우스용 앵커
KR101946604B1 (ko) * 2017-09-12 2019-02-11 (주)에드온에너지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폐열 회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437Y1 (ko) * 2004-05-25 2004-08-09 주식회사푸름에어하우스 에어하우스가 적용된 폐기물정화장치
KR20100109737A (ko) * 2009-04-01 2010-10-11 한주그린(주) 식생매트 고정용 생분해성 팩
KR101455166B1 (ko) 2013-12-26 2014-10-27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슈퍼에어하우스를 이용한 식물재배시설
KR101574633B1 (ko) * 2014-05-09 2015-12-04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하우스용 앵커
KR20150130697A (ko) * 2014-05-14 2015-11-24 안수연 Diy 다용도 말뚝
KR101946604B1 (ko) * 2017-09-12 2019-02-11 (주)에드온에너지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발전설비의 폐열 회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8587B1 (ko) 2023-05-19 2024-06-26 박성근 재해대비 에어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175B1 (ko) 융복합 축산시스템
US10328363B2 (en) Bioreactor system and method
DE69422397T2 (de)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abwasser
CN103398383A (zh) 一种固体垃圾焚烧系统
US6790349B1 (en) Mobile apparatus for treatment of wet material
CA25429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ried distiller's grain
KR102067937B1 (ko) 음식물 쓰레기 또는 하수 및 폐수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KR101339563B1 (ko) 유기성 슬러지 일괄처리장치
KR102102879B1 (ko) 프레임 고정앵커를 갖는 에어하우스를 이용한 합성수지 폐기물 재활용장치
KR101214101B1 (ko) 축산분뇨 및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JP2003164841A (ja) 家畜糞尿等有機性物質の発酵処理装置
US2023007192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able separation between recyclable organic waste from garbage disposal and kitchen sink graywater sewage
US9688585B2 (en) Lightweight assemblable appliance and respective method for production of biogas and liquid fertilizer
CN207671800U (zh) 一种畜牧养殖污水处理装置
KR101387284B1 (ko) 에너지 중립형 무취-지하 축사시스템
KR20210157362A (ko) 폐기물(합성수지,축분,목재,해양폐기물,음식물)로 생산된 열분해 재생연료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및 발전시스템의 폐열을 곤충사육에 적용한 스마트 영농 시스템
KR101108483B1 (ko) 오?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RU2091329C1 (ru) Установк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ков
KR10255014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CN207159020U (zh) 一种无动力生活污水处理装置
KR100575595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증발, 퇴비화 장치
ZA200402676B (en) An aquaculture system.
KR102658185B1 (ko) 열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축산분뇨 처리시스템
JP6122232B1 (ja) メタン発酵処理システム及びメタン発酵処理方法
KR101753283B1 (ko) 슬러지 연료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5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4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