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653B1 - 프로브 블록 - Google Patents
프로브 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8653B1 KR102098653B1 KR1020190115170A KR20190115170A KR102098653B1 KR 102098653 B1 KR102098653 B1 KR 102098653B1 KR 1020190115170 A KR1020190115170 A KR 1020190115170A KR 20190115170 A KR20190115170 A KR 20190115170A KR 102098653 B1 KR102098653 B1 KR 1020986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disposed
- elastic
- distance
- circuit bo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5—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arranged on a flexible frame or fil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기판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탄성블록 및 상기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탄성블록의 하측에 배치되어 패널의 패드와 접촉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탄성블록은 상기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좌우방향으로, 상기 패드와 상기 돌출부는 정렬되어 배치되는 프로브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예는 프로브 블록에 관한 것이다.
프로브 블록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픽셀 에러 없이 정상 작동하는지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프로브 블록은 연성회로기판과 접촉하는 탄성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블록의 하면은 연성회로기판과 접촉하고, 연성회로기판은 패널의 패드와 접촉한다. 연성회로기판에는 패널의 패드와 접촉하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블록은 프로브 블록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블록은 연성회로기판과 패드가 접할 때, 연성회로기판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블록은 연성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면이 평면이다. 따라서, 연성회로기판의 패턴과 함께 패턴 이외의 영역도 함께 눌러준다. 때문에 패턴 이외의 영역에서 패널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과 패널의 접촉과정 중에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브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기판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탄성블록 및 상기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탄성블록의 하측에 배치되어 패널의 패드와 접촉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탄성블록은 상기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좌우방향으로, 상기 패드와 상기 돌출부는 정렬되어 배치되는 프로브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는,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에 결합하는 제2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에 결합하는 제3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블록 및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블록에 결합하고,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제2 블록의 축부를 따라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을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3 블록과 상기 제1 블록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조절부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축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거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거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리조절부는 상기 축부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3 블록과 상기 제1 블록 사이의 제1 거리를 가변시키고, 상기 제2 거리조절부는 상기 축부의 타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3 블록과 상기 제1 블록 사이의 제2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거리조절부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 블록과 제3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3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블록에 회전체결되는 제1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거리조절부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 블록과 제3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제3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블록에 회전체결되는 제2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블록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결속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은,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은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이 상기 제1 블록에 결합하면,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블록의 하측에 결합하는 제4 블록과. 상기 제4 블록의 하측에 결합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4 블록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4 블록은 마그넷을 포함하여, 상기 제4 블록과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 블록의 하면에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돌기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연성회로기판과 패널의 접촉과정 중에 패널이 손상되는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블록의 평탄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프로브 블록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프로브 블록의 분해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탄성블록의 정면도,
도 5는 길이조절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탄성블록의 평탄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1 거리조절부와 제2 거리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연성회로기판을 고정하는 바디의 제4 블록과 플레이트를 나타낸 프로브 블록의 저면도,
도 9는 고정부와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프로브 블록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프로브 블록의 분해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탄성블록의 정면도,
도 5는 길이조절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탄성블록의 평탄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1 거리조절부와 제2 거리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연성회로기판을 고정하는 바디의 제4 블록과 플레이트를 나타낸 프로브 블록의 저면도,
도 9는 고정부와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프로브 블록은 연성회로기판을 가압하는 탄성블록을 포함한다. 연성회로기판을 가압하는 탄성블록의 하면은 평면이다. 따라서, 탄성블록은 패널의 패드 이외의 영역도 가압한다. 탄성블록이 패널의 패드 이외의 영역을 가압하기 때문에 패널의 패드 이외의 영역이 손상될 위험이 매우 높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블록은, 탄성블록이 패널의 패드 영역만을 가압하도록 구성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장치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프로브 블록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프로브 블록의 분해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프로브 블록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프로브 블록의 전후방향을 나타내며, z축은 프로브 블록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블록은, 바디(100)와, 기판(200)과, 탄성블록(300)과, 연성회로기판(400)과, 축부(500)와, 길이조절부(600)와, 플레이트(700)와, 고정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제1 블록(110)과, 제2 블록(120)과, 제3 블록(130)과, 제4 블록(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록(110)의 하면 중 일부(111)는 제2 블록(12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블록(110)의 상면 중 일부(112)는 제3 블록(130)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블록(120)은 제1 블록(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블록(120)의 하면에는 탄성블록(3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블록(120)에는 기판(200)이 고정된다.
그리고 제3 블록(130)은 제1 블록(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블록(130)은 장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3 블록(130)은 제1 블록(110)에 상하방향(z)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블록(140)은 제2 블록(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블록(140)에는 플레이트(700)가 결합한다. 연성회로기판(400)은 제4 블록(140)과 플레이트(70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기판(200)은 연성회로기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성회로기판(400)의 일부는 탄성블록(300)의 하면에 접촉한다. 탄성블록(300)의 하면에 접촉한 연성회로기판(400)은 패널의 패드(도 4의 10)와 접촉한다.
축부(500)는 가이드(510)와 레일(5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510)는 제3 블록(130)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510)는 상하방향(z)으로 배치될 수 있다. 레일(520)은 제1 블록(110)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520)은 상하방향(z)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510)는 레일(520)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축부(500)에 의해 제3 블록(130)은 제1 블록(110)에 상하방향(z)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길이조절부(600)는 제3 블록(130)과 제1 블록(110)에 걸쳐 배치되어, 상하방향(z)을 기준으로 제3 블록(130)과 제1 블록(1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플레이트(700)는 연성회로기판(400)을 제4 블록(14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700)는 제4 블록(1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800)는 제2 블록(120)과 제1 블록(110)을 결속시킨다. 고정부(800)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서, 제1 블록(110)을 관통하여 제2 블록(120)에 결합한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탄성블록(300)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탄성블록(300)의 하면은 연성회로기판(400)을 마주보고 배치된다. 탄성블록(300)의 하면은 제1 면(301)과 제2 면(3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302)은 제1 면(301)보다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면(302)은 연성회로기판(400)을 가압하는 영역이나 제1 면(301)은 연성회로기판(400)과 상하방향(z)으로 이격되어 연성회로기판(400)을 가압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면(302)은 제1 면(301)과 단차지게 형성되어 돌출부(310)를 형성한다. 제2 면(302)은 평면일 수 있다.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제2 면(302)의 위치는 패널의 패드(10) 위치와 정렬된다. 따라서, 탄성블록(300)이 연성회로기판(400)을 가압하면 탄성블록(300)의 제2 면(302)만이 패널의 패드(10)를 가압하고, 탄성블록(300)의 제1 면(301)은 패널을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패드(10) 이외의 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블록(300)은 제2 블록(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의 패드(10)의 다양한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위치 및 크기를 가지는 제2 면(302)을 포함하는 탄성블록(300)으로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도 5는 길이조절부(6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거리조절부(600)는 상하방향(z)으로 제1 블록(110)과 제3 블록(130) 사이의 거리(D)를 조절한다. 거리조절부(600)는 제1 거리조절부(610,620)와 제2 거리조절부(630,6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리조절부(610,620)와 제2 거리조절부(630,640)는 구성이 동일한 바, 제1 거리조절부(610,620)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제1 거리조절부(610,620)는 제1 탄성부재(610)와 제1 볼트(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610)는 제3 블록(130)과 제1 블록(110) 사이에 상하방향(z)으로 배치된다. 제1 탄성부재(610)는 수축시 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으로서, 제1 블록(110)이 눌렸을 때, 탄성블록(300)이 패드(10)의 패턴을 가압하는 가압력(이하, 오버 드라이브라 한다)을 제공한다. 오버 드라이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는 제1 블록(110)의 상면과 제3 블록(130)의 하면 사이는 상하방향(z)으로 일정한 거리(D)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해당 거리(D)는 패널과 장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탄성블록(300)의 평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제1 거리조절부(610,620)와 제2 거리조절부(630,64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면(302)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면(302)은 좌우방향(x)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탄성블록(300)의 제2 면(302)은 평면이다. 도 6의 H가 패널의 패드(10)에 대한 평탄도의 기준을 나타내는 기준선(H)이라 할 때, 제2 면(302)은 기준선 (H)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탄성블록(300)의 제2 면(302)만이 패드(10)를 가압하기 때문에 패드(10)에 대한 가압 영역이 좁고, 제2 면(302)이 복수 개이기 때문에 제2 면(302)의 평탄도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제2 면(302)의 평탄도를 맞추기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거리조절부(600)는 제1 거리조절부(610,620)와 제2 거리조절부(630,64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제1 거리조절부(610,620)는 축부(5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거리조절부(630,640)는 축부(5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거리조절부(610,620)는 축부(500)의 일측에서, 상하방향(z)으로 제3 블록(130)과 제1 블록(110) 사이의 직선거리인 제1 거리(L1)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거리조절부(610,620)는 제1 탄성부재(610)와 제1 볼트(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610)는 상하방향(z)으로 제1 블록(110)과 제3 블록(130)사이에 배치된다. 제1 볼트(620)는 제1 탄성부재(6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3 블록(130)을 관통하여 제1 블록(11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제1 볼트(620)를 회전시켜 조이면, 제1 거리(L1)가 작아지고, 회전시켜 풀면, 제1 거리(L1)가 커질 수 있다.
제2 거리조절부(630,640)는 축부(500)의 타측에서, 상하방향(z)으로 제3 블록(130)과 제1 블록(110) 사이의 직선거리인 제2 거리(L2)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거리조절부(630,640)는 제2 탄성부재(630)와 제2 볼트(6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630)는 상하방향(z)으로 제1 블록(110)과 제3 블록(130)사이에 배치된다. 제2 볼트(640)는 제2 탄성부재(630)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3 블록(130)을 관통하여 제1 블록(11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제2 볼트(640)를 회전시켜 조이면, 제2 거리(L2)가 작아지고, 회전시켜 풀면, 제2 거리(L2)가 커질 수 있다.
작업자는, 탄성블록(30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2 면(302)이 기준선(H)에 맞지 않고 기울어져 있는지 탄성블록(300)의 영상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2 면(302)이 기준선(H)에 맞지 않고 기울어져 있으면, 작업자는 제1 볼트(620)를 조이거나 풀어 제1 거리(L1)를 조절하거나 제2 볼트(640)를 조이거나 풀어 제2 거리(L2)를 조절하여, 제2 면(302)이 기준선(H) 상에 배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볼트(620)와 함께 제2 볼트(640)도 조이거나 풀어 제1 거리(L1)와 제2 거리(L2)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연성회로기판(400)을 고정하는 바디(100)의 제4 블록(140)과 플레이트(700)를 나타낸 프로브 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연성회로기판(400)은 상하방향(z)을 기준으로 제4 블록(140)과 플레이트(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700)는 제4 블록(140)의 하면에 결합하여, 연성회로기판(400)을 제4 블록(140)에 고정한다. 플레이트(700)는 철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블록(140)은 마그넷(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블록(140)은 하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홈(142)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141)은 홈(142)에 수용될 수 있다. 홈(142)에 수용된 마그넷(141)은 플레이트(700)를 마주보고 배치된다. 플레이트(700)는 마그넷(141)의 자력에 의해 제4 블록(140)에 고정될 수 있다.
제4 블록(140)의 하면에는 돌기(14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700)는 돌기(143)가 삽입되는 홀(4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홀(410)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홈이여도 좋다. 돌기(143)가 홀(4100에 삽입되면서, 플레이트(700)는 자연스럽게 제4 블록(140)가 정렬되기 때문에 조립 편의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도 9는 고정부(800)와 제1 가이드(510)부와 제2 가이드(510)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800)는 제1 블록(110)과 제2 블록(120)을 결속시킨다. 고정부(800)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서, 제2 블록(120)을 관통하여 제1 블록(1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800)는 좌우방향(x)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블록(110)과 제2 블록(120)은 하나의 고정부(800)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탈부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제1 블록(110)은 복수 개의 제1 가이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가이드부(113)는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13)는 제2 블록(12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핀일 수 있다.
제2 블록(120)은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부(121)는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1)는 제1 블록(1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제1 가이드부(113)가 삽입되는 홈일수 있다. 제1 블록(110)의 상면에는 고정부(800)가 체결되는 체결홀(12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블록(110)과 제1 블록(110)은 하나의 고정부(800)에 의해 결합되지만, 제1 가이드부(113)와 제2 가이드부(121)에 의해, 좌우방향(x) 위치에 대한 정렬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블록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디
110: 제1 블록
120: 제2 블록
130: 제3 블록
140: 제4 블록
200: 기판
300: 탄성블록
301: 제1 면
302: 제2 면
310: 돌출부
400: 연성회로기판
500: 축부
510: 가이드
520: 레일
600: 길이조절부
700: 플레이트
800: 고정부
110: 제1 블록
120: 제2 블록
130: 제3 블록
140: 제4 블록
200: 기판
300: 탄성블록
301: 제1 면
302: 제2 면
310: 돌출부
400: 연성회로기판
500: 축부
510: 가이드
520: 레일
600: 길이조절부
700: 플레이트
800: 고정부
Claims (7)
-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기판;
상기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탄성블록;및
상기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탄성블록의 하측에 배치되어 패널의 패드와 접촉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탄성블록은 상기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좌우방향으로, 상기 패드와 상기 돌출부는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바디는,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에 결합하는 제2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에 결합하는 제3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블록 및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블록에 결합하고,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제2 블록의 축부를 따라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을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3 블록과 상기 제1 블록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조절부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축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거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거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리조절부는 상기 축부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3 블록과 상기 제1 블록 사이의 제1 거리를 가변시키고,
상기 제2 거리조절부는 상기 축부의 타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3 블록과 상기 제1 블록 사이의 제2 거리를 가변시키는 프로브 블록.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조절부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 블록과 제3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3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블록에 회전체결되는 제1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거리조절부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 블록과 제3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제3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블록에 회전체결되는 제2 볼트를 포함하는 프로브 블록.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블록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결속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은,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은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이 상기 제1 블록에 결합하면,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서로 접촉하는 프로브 블록.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의 하측에 결합하는 제4 블록과. 상기 제4 블록의 하측에 결합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4 블록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4 블록은 마그넷을 포함하여,
상기 제4 블록과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결합하는 프로브 블록.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블록의 하면에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돌기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프로브 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5170A KR102098653B1 (ko) | 2019-09-19 | 2019-09-19 | 프로브 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5170A KR102098653B1 (ko) | 2019-09-19 | 2019-09-19 | 프로브 블록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8653B1 true KR102098653B1 (ko) | 2020-04-10 |
Family
ID=7029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5170A KR102098653B1 (ko) | 2019-09-19 | 2019-09-19 | 프로브 블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865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5962B1 (ko) * | 2020-12-29 | 2021-06-17 | 주식회사 프로이천 | 핀 보드 |
KR102265960B1 (ko) * | 2020-12-29 | 2021-06-17 | 주식회사 프로이천 | 프로브 블록 |
KR102486185B1 (ko) * | 2022-02-10 | 2023-01-09 | 주식회사 프로이천 | 분리 접촉 기능의 핀보드 |
CN116626345A (zh) * | 2023-06-16 | 2023-08-22 | 昆山沪光汽车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线束测试线路的导通模块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32827A (ko) * | 2009-06-10 | 2010-12-20 | (주)기가레인 | 프로브 유닛 |
KR20110034177A (ko) * | 2009-09-28 | 2011-04-05 | 티에스씨멤시스(주) | 프로브 유닛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KR20120085196A (ko) * | 2011-01-21 | 2012-07-31 | 주식회사 프로이천 | 프로브블록 |
JP2012519868A (ja) * | 2009-03-10 | 2012-08-30 | プロ−2000・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パネルテストのためのプローブユニット |
KR20130106732A (ko) * | 2012-03-20 | 2013-09-30 |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 프로브 유닛 |
KR20150029531A (ko) * | 2013-09-09 | 2015-03-18 | 주식회사 기가레인 | 극 미세피치를 갖는 패널 검사용 프로브유닛 |
KR20150142569A (ko) * | 2014-09-26 | 2015-12-22 |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 패널 검사장치 |
KR20160048337A (ko) * | 2014-10-24 | 2016-05-04 |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 필름형 프로브 유닛 |
KR101655248B1 (ko) | 2016-03-02 | 2016-09-08 | 주식회사 프로이천 | 패널 테스트용 프로브 블록 |
-
2019
- 2019-09-19 KR KR1020190115170A patent/KR1020986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19868A (ja) * | 2009-03-10 | 2012-08-30 | プロ−2000・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パネルテストのためのプローブユニット |
KR20100132827A (ko) * | 2009-06-10 | 2010-12-20 | (주)기가레인 | 프로브 유닛 |
KR20110034177A (ko) * | 2009-09-28 | 2011-04-05 | 티에스씨멤시스(주) | 프로브 유닛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KR20120085196A (ko) * | 2011-01-21 | 2012-07-31 | 주식회사 프로이천 | 프로브블록 |
KR20130106732A (ko) * | 2012-03-20 | 2013-09-30 |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 프로브 유닛 |
KR20150029531A (ko) * | 2013-09-09 | 2015-03-18 | 주식회사 기가레인 | 극 미세피치를 갖는 패널 검사용 프로브유닛 |
KR20150142569A (ko) * | 2014-09-26 | 2015-12-22 |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 패널 검사장치 |
KR20160048337A (ko) * | 2014-10-24 | 2016-05-04 |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 필름형 프로브 유닛 |
KR101655248B1 (ko) | 2016-03-02 | 2016-09-08 | 주식회사 프로이천 | 패널 테스트용 프로브 블록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5962B1 (ko) * | 2020-12-29 | 2021-06-17 | 주식회사 프로이천 | 핀 보드 |
KR102265960B1 (ko) * | 2020-12-29 | 2021-06-17 | 주식회사 프로이천 | 프로브 블록 |
KR102486185B1 (ko) * | 2022-02-10 | 2023-01-09 | 주식회사 프로이천 | 분리 접촉 기능의 핀보드 |
CN116626345A (zh) * | 2023-06-16 | 2023-08-22 | 昆山沪光汽车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线束测试线路的导通模块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8653B1 (ko) | 프로브 블록 | |
KR102004441B1 (ko) | 핀 보드 조립체 | |
KR101961692B1 (ko) |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 |
KR101961691B1 (ko) |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 |
US10571512B2 (en) | Test device for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
KR930011152A (ko) | 프로우브 카드 | |
KR930020772A (ko) | 바이어스된 에지 카드 커넥터 | |
TW201928362A (zh) | 檢查輔助具 | |
KR20210008253A (ko) | 제품 검사용 소켓 | |
JP2022189936A (ja) | 検査治具 | |
KR102066967B1 (ko) | Fpcb 연결 장치 | |
TWI811265B (zh) | 檢查輔助具 | |
CN110927416B (zh) | 探针卡测试装置及测试装置 | |
KR102186192B1 (ko) | 전자부품 테스트용 측면 컨택 그립퍼장치 | |
KR20150142569A (ko) | 패널 검사장치 | |
KR101212649B1 (ko) | 프로브 유닛 및 검사장치 | |
KR101772003B1 (ko) | 테스트 소켓 | |
US7764073B2 (en) |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 |
KR20130133666A (ko) | 프로브 카드 | |
KR101735368B1 (ko) | 패널 테스트용 프로브 블록 | |
JPH09127156A (ja) | 液晶表示体用プローブカード | |
KR101739349B1 (ko) | 패널 테스트용 프로브 블록 | |
KR102140498B1 (ko) | 패널 검사장치 | |
KR102098651B1 (ko) |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
KR102399196B1 (ko) | 베어링을 포함하는 핀보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