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83400B1 -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400B1
KR102083400B1 KR1020190104223A KR20190104223A KR102083400B1 KR 102083400 B1 KR102083400 B1 KR 102083400B1 KR 1020190104223 A KR1020190104223 A KR 1020190104223A KR 20190104223 A KR20190104223 A KR 20190104223A KR 102083400 B1 KR102083400 B1 KR 102083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hole
suction
film fabric
rotating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김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현 filed Critical 김태현
Priority to KR102019010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4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5/046Cleaning mov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 B65H2406/345Rotary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단부에 배출관이 연결되며, 외주면 중 일부면에 제1 흡입공이 형성되는 내부 고정체; 상기 내부 고정체를 감싼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며, 외주면 전체면에 제2 흡입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제2 흡입공과 상기 제1 흡입공이 일치하는 경우 연동되는 필름원단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외부 회전체; 및 상기 내부 고정체에 연결된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고정체의 외주면에 일부 구역만 제1 흡입공이 형성되고, 외부 회전체의 외주면 전체 구역에 제2 흡입공이 형성되어 외부 회전체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2 흡입공과 제1 흡입공이 서로 연통되는 구간에서만 흡입력이 전달되게 하여 필름원단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of film fabric}
본 발명은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지용으로 사용되는 필름원단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지는 포장되는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의 공기나 수분 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적절한 포장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표 등의 인쇄층이 포함된 PET층, 베리어층인 알루미늄 호일 층 및 포장재의 구김 방지나 형태 유지 등을 위한 PE층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알루미늄 호일층과 상, 하부의 PET층 및 PE층을 서로 부착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호일층의 양면에는 폴리에틸렌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열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열접착층을 매개로 베리어층으로서 작용하는 알루미늄 호일층의 상, 하면에 상기 인쇄층이 포함된 PET 및 PE층이 각각 접착되어 다층 필름이 적층된 형태의 포장재가 구비된다.
한편, 포장지 제조 과정에서 필름 원단에 작업자의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과 같은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제거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543458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흡입부재가 필름원단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필름 원단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므로 이물질 제거 시간이 증가하면서 제거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543458호(2015.08.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필름원단이 지나갈 때 필름원단의 폭과 대응하는 거리만큼 흡입하여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 가능한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단부에 배출관이 연결되며, 외주면 중 일부면에 제1 흡입공이 형성되는 내부 고정체; 상기 내부 고정체를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며, 외주면 전체면에 제2 흡입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제2 흡입공과 상기 제1 흡입공이 일치하는 경우 연동되는 필름원단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외부 회전체; 및 상기 내부 고정체에 연결된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고정체와 상기 외부 회전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회전체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회전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회전체 및 상기 내부 고정체는 각 열마다 슬릿 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1, 2 흡입공이 설정간격마다 배열 형성되며, 상기 제1, 2 흡입공은 각 열마다 어긋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2 흡입공은 상기 필름원단이 접하는 상기 외부 회전체의 외주면 구역에서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고정체의 외주면에 일부 구역만 제1 흡입공이 형성되고, 외부 회전체의 외주면 전체 구역에 제2 흡입공이 형성되어 외부 회전체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2 흡입공과 제1 흡입공이 서로 연통되는 구간에서만 흡입력이 전달되게 하므로 필름원단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제1, 2 흡입공이 연통되지 않아 이물질을 흡입 불가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제1, 2 흡입공이 연통되어 이물질을 흡입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의 제2 흡입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개구면적 조절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제1, 2 흡입공이 연통되지 않아 이물질을 흡입 불가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제1, 2 흡입공이 연통되어 이물질을 흡입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의 제2 흡입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개구면적 조절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내부 고정체(110), 외부 회전체(120), 회전안내부(130) 및 흡입력 제공부(140)를 포함하며, 필름원단(F)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필름원단(F)의 이면에 잔류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내부 고정체(110)는 외주면 중 일부면에 제1 흡입공(112)이 다수 열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배출관(114)이 연결된다.
이때, 제1 흡입공(112)은 필름원단(F)이 외부 회전체(120)에 닿는 면을 향하도록 설정간격마다 다수 형성된다.
더욱이, 내부 고정체(110)의 제1 흡입공(112)은 각 열마다 슬릿(slit) 형태로 설정 간격마다 다수 형성되며, 이웃한 열과 어긋난 위치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즉, 기준 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흡입공(112)이 내부 고정체(110)의 일측벽으로 편중되어 있으면, 그 다음 열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 흡입공(112)은 내부 고정체(110)의 타측벽으로 편중되어 있게 된다.
외부 회전체(120)는 내부 고정체(110)를 감싼도록 이중관 형태로 구비되며, 외주면 전체면에 제2 흡입공(1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외부 회전체(120)는 회전되며, 제2 흡입공(122)이 제1 흡입공(112)과 일치하여 연통되는 경우 연동되면서 흡입력이 형성된다. 이렇게, 제2 흡입공(122)과 제1 흡입공(112)이 연결되어 통하는 경우에만 흡입력 제공부(140)에 의한 흡입력이 전달되면서 필름원단(F)에 잔류하는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외부 회전체(120)의 제2 흡입공(122) 역시 제1 흡입공(112)과 마찬가지로 각 열마다 슬릿(slit) 형태로 설정 간격마다 다수 형성되며, 이웃한 열과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즉, 기준 열의 제2 흡입공(122)이 외부 회전체(120)의 일측벽으로 편중되어 있으면, 그 다음 열의 제2 흡입공(122)은 외부 회전체(120)의 타측벽으로 편중되어 있게 된다.
이때, 외부 회전체(120)의 제2 흡입공(122)과 내부 고정체(110)의 제1 흡입공(112)은 서로 연통되어야 하므로 외부 회전체(120)의 회전을 위해 단부에 구동모터(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되거나, 필름원단(F)의 이동에 의해 외부 회전체(120)가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흡입공(122)과 제1 흡입공(112)은 필름원단(F)이 접하는 외부 회전체(120)의 외주면 구역에서 연통되도록 하여 필름원단(F)이 외부 회전체(120)에 밀착되는 구역에서 이물질 등의 흡입이 구현되도록 한다.
회전안내부(130)는 내부 고정체(110)의 외주면과 외부 회전체(120)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 회전체(120)의 회전을 안내하게 되며, 일예로 베어링 구조로 구비된다. 이때, 회전안내부(130)가 설치되기 위해 외부 회전체(120)의 내주면 양단에 홈을 형성한다.
흡입력 제공부(140)는 내부 고정체(110)의 일측면에 연결된 배출관(114)의 단부에 설치되어 필름원단(F)의 이면에 잔류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며, 일예로, 송풍기 등이 이에 적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회전체(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의 홈부(121)를 형성하고, 홈부(121) 내부에 개구면적 조절부(123)가 구비된다.
개구면적 조절부(123)는 플랙시블(flexible) 재질로 형성되어 홈부(121)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개구면적 조절부(123)에는 제2 흡입공(122)과 동일 위치에 개구홀(123a)이 형성된다. 이렇게, 개구면적 조절부(123)를 회전시키면 개구홀(123a)이 제2 흡입공(122)에 중첩 정도에 따라 개구율이 일률적으로 조절된다.
이때, 개구홀(123a)은 제2-2 흡입공(122b)의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 가능하다.
한편, 제2 흡입공(122)은 외부 회전체(120)의 외주면에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된 제2-1 흡입공(122a)을 통해 보다 넓은 면적만큼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으며, 외부 회전체(120)의 내주면에 제2-1 흡입공(122a)과 동일한 수직선상 위치마다 각각 형성되면서 제2-1 흡입공(122a)의 면적보다 작은 제2-2 흡입공(122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흡입공(122)은 홈부(121)를 기점으로 외부 회전체(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1 흡입공(122a)은 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외부 회전체(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2 흡입공(122b)은 면적이 좁게 형성되어, 제2-1 흡입공(122a)을 통해 제2-2 흡입공(122b)으로 이물질 등이 통과할 때 고압이 형성되면서 빠른 속도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기(도면에 미도시)에 구비된 필름원단(F)을 권취기(도면에 미도시)로 공급하는 도중에 이물질 제거 장치(100)가 설치되며, 외부 회전체(120)의 단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거나, 표면에 밀착된 필름원단(F)의 이동에 의해 외부 회전체(120)가 연동 회전된다.
다음으로, 외부 회전체(120)가 회전되어 외부 회전체(120)의 제2 흡입공(122)과 내부 고정체(110)에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 제1 흡입공(112)이 서로 연통되면 흡입력 제공부(140)의 흡입력이 제공되면서 필름원단(F)의 이면에 잔류하는 이물질 등이 흡입된다.
다음으로, 제2 흡입공(122)과 제1 흡입공(112)을 통해 흡입된 이물질 등은 내부 고정체(110)의 배출관(114)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외부 회전체(120)가 회전되어 외부 회전체(120)의 제2 흡입공(122)과 내부 고정체(110)에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 제1 흡입공(112)이 서로 연통되지 않으면 흡입력 제공부(140)의 흡입력이 제공 중지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110: 내부 고정체
112: 제1 흡입공
120: 외부 회전체
122: 제2 흡입공
130: 회전안내부
140: 흡입력 제공부

Claims (4)

  1. 단부에 배출관이 연결되며, 외주면 중 일부면에 제1 흡입공이 형성되는 내부 고정체;
    상기 내부 고정체를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며, 외주면 전체면에 제2 흡입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제2 흡입공과 상기 제1 흡입공이 일치하는 경우 연동되는 필름원단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외부 회전체; 및
    상기 내부 고정체에 연결된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흡입공은 상부인 필름원단과 접촉하는 부분이 넓고 하부인 그 반대 방향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고정체와 상기 외부 회전체의 사이에는 상기 내부 고정체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흡입공 또는 제2흡입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홀을 형성되어 있는 개구면적 조절부를 배치되어 있어, 상기 개구홀과 제1 흡입공 또는 제2흡입공의 중첩 정도에 따라 개구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고정체와 상기 외부 회전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회전체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회전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회전체 및 상기 내부 고정체는 각 열마다 슬릿 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1, 2 흡입공이 설정간격마다 배열 형성되며,
    상기 제1, 2 흡입공은 각 열마다 어긋난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흡입공은 상기 필름원단이 접하는 상기 외부 회전체의 외주면 구역에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0190104223A 2019-08-26 2019-08-26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Active KR10208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223A KR102083400B1 (ko) 2019-08-26 2019-08-26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223A KR102083400B1 (ko) 2019-08-26 2019-08-26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400B1 true KR102083400B1 (ko) 2020-03-02

Family

ID=6980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223A Active KR102083400B1 (ko) 2019-08-26 2019-08-26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4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090B1 (ko) * 2014-11-07 2015-05-11 정규봉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KR101543458B1 (ko) 2013-10-10 2015-08-11 정양수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458B1 (ko) 2013-10-10 2015-08-11 정양수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KR101519090B1 (ko) * 2014-11-07 2015-05-11 정규봉 석션 구조를 개선한 드라이 시트 크리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894B2 (en) Intermittent cutting transferring device
JP4905973B2 (ja) 吸引装置、シートの搬送方法、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不織布の嵩回復方法
ES2755848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con módulos y equipos seccionadores para sustratos en forma de pliego
JP6004000B2 (ja) 搬送装置
JP5663227B2 (ja) シートの転写装置
JP2015224300A (ja) テープ貼り付け装置およびテープ貼り付け方法
JP6431459B2 (ja) 剥離装置
JP2000296961A (ja) 枚葉紙処理機械用吸引ベルトコンベヤ
JPH0825527A (ja) 袋製造用の多層筒状紙片製造装置
KR102083400B1 (ko)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ITMO20130182A1 (it) Sistema per trasportare oggetti
JP6749587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保護シートの分離装置
JPWO2005004776A1 (ja) 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6094913B1 (ja) 給紙装置
JP2013202139A (ja) 紙粉除去装置及び紙粉除去装置を用いた衛生用紙の製造方法
WO201400690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body of continuous sheets for an absorbent article and apparatus of the same
JP5220632B2 (ja) エプロンシートによるキャップフィルムの幅変更装置
US20060175372A1 (en) Web conveyance system for protecting web patterns
US20130104763A1 (en) Lifting substrate with air cushion while printing
JPH04161153A (ja) 繊維の積繊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40112895A (ko) 롤러 장치
KR20180045429A (ko) 식품 포장용 필름 이물질 흡입장치
JP2011173685A (ja) サクションローラ
JP3799149B2 (ja) タイヤ成形方法及びタイヤ成形装置
JP2019163064A (ja) 弛緩機構、弛緩方法および製袋充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