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101B1 -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플러그 - Google Patents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플러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6101B1 KR102086101B1 KR1020180144281A KR20180144281A KR102086101B1 KR 102086101 B1 KR102086101 B1 KR 102086101B1 KR 1020180144281 A KR1020180144281 A KR 1020180144281A KR 20180144281 A KR20180144281 A KR 20180144281A KR 102086101 B1 KR102086101 B1 KR 1020861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 electrode
- power supply
- outlet
- connection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는 연속된 평면으로 구성되어 전기 플러그가 접하는 전기접속면과 상기 전기접속면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콘센트 케이스, 상기 전기접속면 상에 상호 이격되어 구성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 상기 콘센트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변환장치 및 상기 콘센트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콘센트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 모듈은 상기 콘센트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전기접속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코어지지체, 상기 전도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코어자석 및 상기 전도체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코어자석과 상기 전도체를 지지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상기 전원변환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변환장치는 콘센트 케이스 외부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직류전원공급장치는 고장 및 감전 등의 위험이 없고, 플러그의 연결이 매우 용이하며, 전원변환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직류전원공급장치는 고장 및 감전 등의 위험이 없고, 플러그의 연결이 매우 용이하며, 전원변환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트북, 핸드폰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이 직류 전류를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직류 전원공급장치와 그것에 이용되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핸드폰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은 충전 또는 작동시에 직류 전원를 이용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정 및 사무실 등의 옥내에 공급되는 전원은 교류 전원이므로 해당 전자제품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장치가 옥내의 콘센트와 전자제품 사이에 구비되어야 한다.
전원변환장치는 직류 전원의 세기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는데, 노트북 또는 모니터 등의 경우는 그 사이즈가 상당히 크고, 휴대폰에 이용하는 전원변환장치는 비교적 작아 플러그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전원변환장치로 인해 전원 장치가 일반 플러그 장치에 비해 크고 무거워지거나, 플러그와 전자제품 사이에 부피가 큰 전원변환장치가 별도 부착되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옥내 배선측의 콘센트(1)는 두 개의 구멍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돌출부를 구비한 플러그(2)가 상기 콘센트(1)의 구멍에 삽입되어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근래에는 전자기기의 수가 늘어나면서 보다 많은 콘센트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복수의 콘센트를 구비한 멀티탭(3)을 하나의 옥내 콘센트(1)에 연결한 후 복수의 전자기기를 멀티탭(3)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 양태이다.
한편, 멀티탭의 콘센트 또한 옥배 콘센트와 동일하게 두 개의 구멍이 내측으로 형성된 형태이고,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돌출부를 구비한 플러그를 상기 멀티탭의 콘센트에 삽입하여 결합하여야 한다. 그러나 두개의 돌출부를 두 개의 구멍에 삽입하는 과정이 쉽지 않고, 일단 결합된 플러그를 해제하기 위해 과도한 힘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플러그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콘센트의 구멍에 수분 또는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아이들이 호기심으로 금속 젓가락 등을 구멍에 넣는 경우 감전 등의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직류전원을 주로 이용하는 소형 가전의 경우에는 플러그가 크고 무겁게 구성되어 있거나, 플러그 후단에 전원변환장치(4)가 별도로 장착되는 등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전자기기의 플러그에 전원변환장치를 별도로 장착할 필요가 없고, 플러그의 연결이 매우 용이하며, 고장 및 위험성이 없는 직류전원공급장치 및 플러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는 연속된 평면으로 구성되어 전기 플러그가 접하는 전기접속면과 상기 전기접속면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콘센트 케이스, 상기 전기접속면 상에 상호 이격되어 구성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 상기 콘센트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변환장치 및 상기 콘센트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콘센트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 모듈은 상기 콘센트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전기접속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코어지지체, 상기 전도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코어자석 및 상기 전도체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코어자석과 상기 전도체를 지지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상기 전원변환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변환장치는 콘센트 케이스 외부의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지지체는 상기 내부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기접속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와 제2전극은 상기 전기접속면에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되되, 서로 다른 반경의 동심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및 전도체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도체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코어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는 전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지지체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는 전기절연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류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플러그는 상기 전기접속면과 접하도록 평면으로 구성된 플러그접속면을 포함하는 플러그 본체, 상기 플러그접속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제3전극 및 제4전극 및 상기 코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가동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3전극 및 제4전극은 케이블 단자의 서로 다른 전극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의 상기 가동자석과 상기 코어자석은 자력의 세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플러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직류전원을 이용하는 전자기기와 플러그 사이에 별도의 전원변환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장치는 내부에 전원변환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콘센트를 통해 소정의 직류전원을 공급하므로, 플러그 내에 또는 플러그와 전자기기 사이에 별도의 전원변환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이에 따라 플러그의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고, 플러그와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전선 사이에 전원변환장치를 결합할 필요가 없어, 전자기기의 사용이 매우 용이하다.
둘째, 직류전원장치의 콘센트와 전자기기의 플러그 탈착이 매우 용이하다.
종래에는 콘센트에 형성된 두 개의 홀에, 플러그에 구비된 두개의 돌출부를 삽입 장착하여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였다. 그러나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해제하는 과정에 과도한 힘이 필요하고, 어둠속에서 플러그와 콘센트를 결합시키는 것에 큰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원공급장치는 자석을 이용하여 콘센트와 플러그를 연결하므로 전원 및 해제가 매우 용이하고, 어둠속에서도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고장 및 감전의 위험이 없다.
종래의 콘센트는 두 개의 구멍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어, 구멍 내부로 물 또는 이물질 등이 침투하여 감전 및 고장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아이들이 호기심으로 금속을 구멍에 삽입하는 경우 감전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플러그는 직류 전원공급장치의 콘센트가 연속된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플러그를 연결하기 전에는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이므로 고장 및 감전의 위험이 전혀 없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멀티탭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의 플러그 장착 전 전원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의 플러그 장착 후 전원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 및 플러그의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에 다른 자석이 접촉된 경우의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의 플러그 장착 전 전원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의 플러그 장착 후 전원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 및 플러그의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에 다른 자석이 접촉된 경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 및 플러그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100)는 콘센트케이스(10), 제1 및 제2 전극(20, 30), 코어(40), 코어지지체(50), 코어자석(60), 내부케이스(70) 및 전원변환장치(80)를 포함한다.
콘센트케이스(10)는 내부에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면이 밀폐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콘센트케이스(10)는 일면에 외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I)가 외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케이스(10)의 일면은 플러그가 결합되기 위한 콘센트(22)가 마련된다. 상기 콘센트(22)가 구비되는 전기접속면(11)은 연속된 평탄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접속면(11)에는 제1전극(20) 및 제2전극(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전극(20)은 원으로 형성되고, 제2전극(3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전극(20)과 동심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케이스(10)는 전기절연체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전극(20) 및 제2전극(30)에 대해 살펴본다.
제1전극(20)과 제2전극(30)은 앞서 살펴본 것처럼 콘센트케이스(10)의 전기접속면(11)에 형성된다. 제1전극(20) 및 제2전극(30)은 전기 전도체로 형성되는데, 금속이 이용될 수 있고, 플라스틱에 금속성 전기 전도체가 코팅된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제1전극(20) 및 제2전극(30)은 돌출되거나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전기접속면(11)의 다른 부위의 면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1전극(20) 및 제2전극(30)은 전기접속면(11) 상에서 플러그(200)의 전극과 결합되는 것이므로, 전극 간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소정 길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30)은 콘센트케이스(10) 내부에서 전원변환장치(80)의 하나의 전극(P)과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코어(40), 코어지지체(50), 코어자석(60) 및 내부케이스(70)로 구성되는 전원모듈(90)에 대해 살펴본다.
코어(40)는 자석에 붙고 전기가 통하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코어(40)는 상기 제1전극(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코어지지체(5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코어(40)는 코어지지체(50) 내에서 전기접속면(11)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코어(40)는 전기접속면(11)을 향해 이동하여 제1전극(20)과 접하는 동시에 코어지지체(50)와도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코어(40)는 항상 코어지지체(5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4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코어(40)의 상부 단면은 제1전극(20)과 동일한 크기의 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지지체(50)는 중심부에 상기 코어(4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와 같이 코어(40) 및 코어지지체(50)가 원통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어(40)가 전기접속면(11)을 향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코어(40)가 상기 코어지지체(50)에 접촉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40)가 뿔이 잘린 원뿔 형상이고, 코어지지체(50)는 중심부에 상기 원뿔보다 측면 경사가 작은 형상의 원뿔형 중공부를 구비하여, 상기 코어(40)가 전기접속면(11)을 향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코어(40) 단부의 외주면이 상기 코어지지체(5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40)의 상부면 위치 및 단면 형상은 제1전극(2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코어지지체(50)는 자석에 붙고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구성되는데,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플라스틱 등에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니켈이 코팅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지지체(50)의 하부에는 코어자석(60)이 결합되어 위치한다. 코어자석(6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상기 코어지지체(50)의 중공부에 위치하여 상기 코어(40)에 자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자석(60)은 상기 코어지지체(50)의 밑면 외주면과 동일한 외주면 형상을 갖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자석(60)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페라이트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케이스(70)는 내부에 코어(40), 코어지지체(50) 및 코어자석(60)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들이 모여 하나의 전원모듈(90)을 구성하며, 직류전원공급장치(100)에는 복수의 전원모듈(9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70)의 내주면에는 코어지지체(50)가 전기접속면(11)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코어지지체(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코어자석(60)은 내부케이스(7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70)의 상단 또는 하단은 콘센트케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20)의 아래에 코어(40)가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지지체(50)에 자기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코어지지체(50)는 하부에서 전원변환장치(80)의 다른 하나의 전극(M)과 연결되고, 자기력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전극(M)과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변환장치(80)의 다른 하나의 전극(M)은 내부케이스(70)의 하부에 고정되거나, 상기 코어자석(6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전원변환장치(80)는 콘센트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는데, 상기 전원변환장치(80)의 전원공급부(OUT)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나의 전극(P)는 제2전극(30)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전극(M)은 내부케이스(70) 또는 코어자석(6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변환장치(80)의 전원입력부(IN)는 외부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공급장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직류 또는 교류가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변환장치(80)는 콘센트(22)에 할당된 직류 전압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을 출력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출력전압을 갖는 하나의 전원변환장치(80)를 이용하여 콘센트(22)의 전압이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직류전원공급장치(100)의 콘센트(22)에 연결되는 플러그(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플러그(200)는 플러그 본체(210), 제3전극(230), 제4전극(240) 및 가동자석(25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본체(210)는 직류전원공급장치(100)의 전기접속면(11)과 접하는 플러그 접속면(220)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접속면(220)은 연속된 평면으로 구성되고, 전기접속면(11)의 콘센트(22)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전극(230)은 제1전극(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4전극은 제2전극(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전극(230)은 제2전극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전극은 제2전극(30)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제1전극(20)과 제3전극(230) 및 제2전극(30)과 제4전극(240)은 전기접속면(110)과 플러그 접속면(220)이 접한 상태에서 통전 가능하게 접촉될 수 있는 상태의 위치 및 크기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3전극(230)과 제4전극(240)은 플러그 접속면(220)의 다른 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전극(20) 및 제2전극(30)이 돌출 또는 오목한 형상일 경우, 제3전극(230)과 제4전극(240)이 상기 제1 및 제2전극과 요철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 또는 오목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동자석(250)은 코어(40)에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코어(40)를 전기접속면(11)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기 플러그 접속면(220) 상에서 코어(4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동자석(250)은 자성체이고 전기 전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자석(250)은 네오디움 자석일 수 있다. 상기 가동자석(250)은 전기 전도체이므로 상기 가동자석(250)이 제3전극(230)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전극(230)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상기 가동자석(250)이 제3전극(23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플러그(200)는 전선의 일측과 연결되고, 전선의 타측은 전기장치와 연결되는 어댑터(A)와 연결된다. 따라서 플러그의 제3전극(230)과 제4전극(240)은 전선을 통해 어댑터(A)의 서로 다른 전극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100)와 플러그(200)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플러그(200)의 플러그 접속면(220)을 직류전원공급장치(100)의 전기접속면(11)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플러그(200)의 가동자석(250)이 직류전원공급장치(100)의 코어(40)를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 코어(40)는 고정된 상태이고, 가동자석(250)은 플러그 접속면(220)의 중심부에 상기 코어(4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므로, 상기 플러그(200)를 전기접속면(11) 근처로 가져가게 되면, 플러그 접속면(220)의 위치가 상기 전기접속면(11)의 콘센트(22)로 유도되어 상기 플러그 접속면(220)과 콘센트(22)가 코어(40)와 가동자석(250)을 중심으로 손쉽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동자석(250)의 자기력은 코어(40) 하부에 위치한 코어자석(60)의 자기력의 세기보다 크게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가동자석(250)이 플러그(200)의 중심에서 상기 코어(40)의 상부면 단면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코어지지체(50)가 상기 가동자석(250)의 자기력에 의해 상승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 접속면(220)과 콘센트(22)의 결합에 의해, 제1전극(20)과 제3전극(230) 및 제2전극(30)과 제4전극(24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코어(40)는 상기 가동자석(250)에 의해 상승하여, 제1전극(20)과 전기적으로 접하게 된다. 상기 코어(40)는 전원변환장치(80)와 하나의 전극(P)과 연결된 코어지지체(50)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전원변환장치(80)의 하나의 전극(P)이 코어지지체(50), 코어(40), 제1전극(20) 및 제3전극(230)을 통해 어댑터(A)의 하나의 전극과 연결되게 된다.
또한, 플러그 접속면(220)의 제4전극(240)은 직류전원공급장치(100)의 전기접속면(11)에 구비된 제2전극(30)과 접속된 상태이므로, 전원변환장치(80)의 다른 하나의 전극(M)이 제2전극(30) 및 제4전극(240)을 통해 어댑터(A)의 다른 하나의 전극과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100)는 플러그(200)가 상기 직류전원공급장치(100)의 콘센트(22)에 결합되는 경우에만 코어(40)가 이동하여 전원변환장치(80)와 어댑터(A)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0)의 가동자석(250) 보다 자기력이 더 센 자석(Ma)이 직류전원공급장치(100)에 접촉하는 경우 코어지지체(50)가 코어(40)와 함께 상승하게 되고, 이때 코어지지체(50)는 전원변환장치(80)의 하나의 전극(P)으로부터 이격되어 전류가 통하지 않게 되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원공급장치(100)는 고장 및 감전 등의 위험이 거의 없고, 플러그의 연결이 매우 용이하며, 전원변환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콘센트 2: 플러그 3: 멀티탭
10: 콘센트 케이스 11: 전기접속면
20: 제1전극 30: 제2전극
40: 코어 50: 코어지지체
60: 코어자석 70: 내부케이스
80: 전원변환장치 90: 전원모듈
100: 직류전원공급장치
200: 플러그
210: 플러그 본체 220: 플러그 접속면
230: 제3전극 240: 제4전극
250: 가동자석
10: 콘센트 케이스 11: 전기접속면
20: 제1전극 30: 제2전극
40: 코어 50: 코어지지체
60: 코어자석 70: 내부케이스
80: 전원변환장치 90: 전원모듈
100: 직류전원공급장치
200: 플러그
210: 플러그 본체 220: 플러그 접속면
230: 제3전극 240: 제4전극
250: 가동자석
Claims (7)
- 연속된 평면으로 구성되어 전기 플러그가 접하는 전기접속면과 상기 전기접속면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콘센트 케이스;
상기 전기접속면 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구성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
상기 콘센트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변환장치; 및
상기 콘센트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콘센트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 모듈은
상기 콘센트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전기접속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코어지지체;
상기 코어지지체 하부에 구비되는 코어자석: 및
상기 코어지지체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코어자석과 상기 코어지지체를 지지하는 내부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및 코어지지체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지지체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코어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상기 전원변환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변환장치는 콘센트 케이스 외부의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류전원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와 제2전극은 상기 전기접속면에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되되, 서로 다른 반경의 동심원으로 형성되는 직류전원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지지체는 상기 내부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기접속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직류전원공급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전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지지체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는 전기절연체로 구성되는 직류전원공급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4281A KR102086101B1 (ko) | 2018-11-21 | 2018-11-21 |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플러그 |
PCT/KR2019/016050 WO2020106086A1 (ko) | 2018-11-21 | 2019-11-21 |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플러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4281A KR102086101B1 (ko) | 2018-11-21 | 2018-11-21 |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플러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6101B1 true KR102086101B1 (ko) | 2020-03-06 |
Family
ID=6980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4281A KR102086101B1 (ko) | 2018-11-21 | 2018-11-21 |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플러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6101B1 (ko) |
WO (1) | WO2020106086A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30494A (ko) * | 2009-06-03 | 2010-12-13 | 최호성 | 막강 플러그 |
JP2011113727A (ja) * | 2009-11-25 | 2011-06-09 | Sharp Corp | 直流給電装置、直流給電方法、直流給電コンセント、直流給電プラグ及び直流給電プラグと直流給電コンセントの組み合わせ |
KR101084656B1 (ko) | 2009-11-20 | 2011-11-22 | 김은하 |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멀티탭 콘센트 |
KR20140030709A (ko) * | 2012-09-03 | 2014-03-12 | 강용현 |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
KR20140115817A (ko) * | 2013-03-22 | 2014-10-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성 접속 장치 |
KR20150090236A (ko) * | 2012-11-30 | 2015-08-05 | 퍼스트 일렉트릭 아이엔지. 충칭 | 면접촉이 채용된 플러그 및 소켓 |
KR101569023B1 (ko) * | 2014-10-21 | 2015-11-13 | 박건찬 |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 |
KR20160123807A (ko) * | 2015-04-17 | 2016-10-26 | 한양종합방재 주식회사 | 다수의 직류 멀티탭 |
-
2018
- 2018-11-21 KR KR1020180144281A patent/KR1020861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11-21 WO PCT/KR2019/016050 patent/WO202010608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30494A (ko) * | 2009-06-03 | 2010-12-13 | 최호성 | 막강 플러그 |
KR101084656B1 (ko) | 2009-11-20 | 2011-11-22 | 김은하 |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멀티탭 콘센트 |
JP2011113727A (ja) * | 2009-11-25 | 2011-06-09 | Sharp Corp | 直流給電装置、直流給電方法、直流給電コンセント、直流給電プラグ及び直流給電プラグと直流給電コンセントの組み合わせ |
KR20140030709A (ko) * | 2012-09-03 | 2014-03-12 | 강용현 |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
KR20150090236A (ko) * | 2012-11-30 | 2015-08-05 | 퍼스트 일렉트릭 아이엔지. 충칭 | 면접촉이 채용된 플러그 및 소켓 |
KR20140115817A (ko) * | 2013-03-22 | 2014-10-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성 접속 장치 |
KR101569023B1 (ko) * | 2014-10-21 | 2015-11-13 | 박건찬 |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 |
KR20160123807A (ko) * | 2015-04-17 | 2016-10-26 | 한양종합방재 주식회사 | 다수의 직류 멀티탭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06086A1 (ko) | 2020-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41458B1 (en) |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assembly with magnetically connected receptacle and plug | |
US20180212359A1 (en) | Magnetic connector and garment and protective clothing for intelligent heating | |
US727887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 outlet having grounds-out receptacles | |
CN101807767B (zh) | 用于附接至电子模块的触点组件 | |
US9583897B2 (en) |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annular contact | |
WO2001063702A1 (fr) | Element de connexion de cable d'alimentation | |
JP2016031931A (ja) | 電気コネクタ | |
CN113922351A (zh) | Dc电力附接装置 | |
KR102086101B1 (ko) |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플러그 | |
CN114374108B (zh) | 接触端子、电连接器及电子设备 | |
US20140055931A1 (en) | Power adapter and power connector | |
US20190067977A1 (en) | Magnetic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 |
KR20020086442A (ko) | 영구자석 단자 및 그것을 이용한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 |
CN106159520A (zh) | 一种电源线磁连接头 | |
CN208385663U (zh) | 一种两芯互锁连接器 | |
US20080064244A1 (en) | Plug adapter with pivotally mounted prongs | |
US20170324182A1 (en) | Connector | |
CN207589105U (zh) | 电路板转接结构、转接装置及耳机 | |
WO2023065199A1 (zh) | 电信号转接装置 | |
CN208385771U (zh) | 一种十一芯互锁连接器 | |
CN214069098U (zh) | 一种防金属碰撞的触头联接装置 | |
CN220475005U (zh) | 阴连接器、阳连接器及其电连接器组合 | |
CN221574296U (zh) | 安装稳固可靠的dc电源插座 | |
US20230127316A1 (en) | Electric signal adapting device | |
EP3118944A1 (en) | Socket with improved contact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