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823B1 -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 Google Patents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2823B1 KR102072823B1 KR1020180122453A KR20180122453A KR102072823B1 KR 102072823 B1 KR102072823 B1 KR 102072823B1 KR 1020180122453 A KR1020180122453 A KR 1020180122453A KR 20180122453 A KR20180122453 A KR 20180122453A KR 102072823 B1 KR102072823 B1 KR 1020728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ant
- newborn
- mat
- head
- foam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248 expandable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KXGFMDJXCMQABM-UHFFFAOYSA-N 2-methoxy-6-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H]OC1=CC=CC([CH])=C1O KXGFMDJXCMQA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100040428 Chitobiosyldiphosphodolichol beta-mannosyltransfer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68 pheno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채워진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이 신생아 혹은 유아의 신체 굴곡에 따라 움직이면서 자연스럽게 유아의 체중을 분산시켜 주고, 두상이 비대칭 되는 것을 방지해주며, 몸통부의 양 측면에 이불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이불과 결합되어 이불을 고정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질식사를 방지할 수 있는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머리가 수용되는 상부, 상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중간 연결부 및 중간 연결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부의 중앙부에는, 반구 형태의 함몰 구조를 갖는 두부 수용부가 위치하며, 상부, 중간 연결부 및 몸통부의 내부에는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이 채워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채워진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이 신생아 혹은 유아의 신체 굴곡에 따라 움직이면서 자연스럽게 유아의 체중을 분산시켜 주고, 두상이 비대칭 되는 것을 방지해주며, 몸통부의 양 측면에 이불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이불과 결합되어 이불을 고정시킴으로써 신생아 혹은 유아의 질식사를 방지할 수 있는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 혹은 유아(이하, '영유아' 라 함)는 신체가 미성숙하여 근육이 발달되어 있지 못하고, 뼈가 채 굳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래 운동을 할 수 없어 대부분의 시간을 누워 있거나 잠을 자며 보내게 된다.
이러한 영유아의 신체적 특성으로 인해, 영유아가 누워 있고 잠을 잘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장소는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영유아용 침대, 베개, 매트리스, 요람 및 포대기류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의 영유아용 침대는 푹신한 소재로 이루어져, 영유아의 질식사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영유아의 움직임에 의해 이불이 영유아의 머리로 말려 올라가 영유아가 질식사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영유아의 질식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딱딱한 소재로 영유아용 침대를 구성한 경우에는, 누워 있는 영유아의 두상에 지나친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두상이 비대칭되거나, 혹은 영유아의 뒷머리가 눌려 납작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매트의 내부에 채워진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이 신생아 혹은 유아의 신체 굴곡에 따라 움직이면서 자연스럽게 영유아의 체중을 분산시켜 주고, 두상이 비대칭 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의 중앙부에 반구 형태의 함몰 구조를 갖는 두부 수용부가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영유아의 머리 크기에 따라 두부 수용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몸통부의 양 측면에 이불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이불과 결합되어 이불을 고정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질식사를 방지할 수 있는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는, 머리가 수용되는 상부(1); 상부(1)의 하부와 연결되는 중간 연결부(2); 및 중간 연결부(2)의 하부와 연결되는 몸통부(3);를 포함하고, 상부(1)의 중앙부에는, 반구 형태의 함몰 구조를 갖는 두부 수용부(4)가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1), 중간 연결부(2) 및 몸통부(3)의 내부에는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이 채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몸통부(3)는 중심부의 두께가 양 끝단의 두께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도록, 중심부와 양 끝 단부가 구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는 상부(1)에서 중간 연결부(2)를 거쳐 몸통부(3)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되, 두부 수용부(4)의 최하단부의 높이(H1) 값은 중간 연결부(2)의 높이(H2) 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부 수용부(4)는 상부(1)에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몸통부(3)의 내부에는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을 구획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몸통부(3)의 양 측면에는 이불과 결합되어 이불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이불고정부재(3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의 표면은 환편 니트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수성 발포 폼 입자의 재질은,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 프로필렌, 페놀 수지 발포 폼, 발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발포 실리콘, 발포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는 내부에 채워진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이 영유아의 신체 굴곡에 따라 움직이면서 자연스럽게 영유아의 체중을 분산시켜 주고, 두상이 비대칭 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이 채워져 있기에 매트 전체를 세탁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의 사이 공간의 통풍이 원활하여 영유아의 질식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의 중앙부에 반구 형태의 함몰 구조를 갖는 두부 수용부가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영유아의 머리 크기에 따라 두부 수용부를 교체하여 매트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몸통부의 양 측면에 이불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이불과 결합되어 이불을 고정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질식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몸통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에 이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몸통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에 이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A)는 상부(1), 중간 연결부(2) 및 몸통부(3)를 포함하고, 상부(1)의 중앙부에는 반구 형태의 함몰 구조를 갖는 두부 수용부(4)가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부(1)는 하부에 중간 연결부(2)가 연결되고, 중앙부에는 반구 형태의 함몰 구조를 갖는 두부 수용부(4)가 위치하며, 두부 수용부(4)에 영유아의 머리가 수용된다.
중간 연결부(2)는 상부가 상부(1)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몸통부(3)가 연결되며, 영유아의 목이 수용되며, 몸통부(3)는 중간 연결부(2)의 하부와 연결되며, 영유아의 몸통이 수용된다.
상기 상부(1), 중간 연결부(2) 및 몸통부(3)의 내부에는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이 채워지게 되며, 여기서, 소수성 발포 폼 입자의 재질은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 프로필렌, 페놀 수지 발포 폼, 발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발포 실리콘, 발포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소수성 발포 폼 입자의 재질은 발포 폴리 프로필렌(EPP)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발포 폴리 프로필렌은 복원력이 우수하여 장기간 동안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독, 무취하기에 영유아의 건강에 이롭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상부(1), 중간 연결부(2) 및 몸통부(3)의 내부에 채워진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은 영유아의 신체 굴곡에 따라 움직이면서 자연스럽게 영유아의 체중을 분산시켜 준다.
특히, 상부(1)에 채워진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은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의 모양에 따라 자연스럽게 분산되어, 영유아의 머리를 누르지 않고 부드럽게 감싸안을 수 있어 영유아의 뒷머리가 납작해지거나, 혹은 두상이 비대칭 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은 수분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매트(A) 전체를 세탁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의 사이 공간의 통풍이 원활하여 영유아의 질식사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부 수용부(4)는 상부(1)에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벨크로 테이프, 지퍼 등의 결합 수단(5)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1)는 중앙부에 개구(11)가 형성되고, 개구(11) 주위에 결합 수단(5)이 부착 형성되며, 두부 수용부(4)를 개구(11)에 삽입시킨 후, 두부 수용부(4) 주위에 형성된 결합 수단(5)을 통해 상부(1)에 두부 수용부(4)를 장착할 수 있다.
이때, 두부 수용부(4)를 신축성 있는 재질로 제조하여, 영유아의 머리 크기에 따라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두부 수용부(4)의 직경을 변형시켜, 두부 수용부(4)를 상부(1)에 장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두부 수용부(4)를 상부(1)에 탈착시켜, 영유아의 머리 크기에 따라 두부 수용부(4)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트(A)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부 수용부(4)를 상부(1)로부터 탈착한 후에, 매트(A) 내부에 있는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을 개구(11)를 통해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3)는 중심부의 두께가 양 끝 단의 두께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도록 중심부와 양 끝 단부가 구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영유아가 몸통부(3)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영유아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몸통이 뒤집어지지 않고 몸통부(3)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안내해주어, 영유아의 호흡기가 매트(A)와 밀착되어 돌연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통부(3)의 내부에는 복수의 가이드부재(31)가 형성되고(도 1 및 도 3 참조), 가이드부재(31)가 발포 폼 입자들을 구획함에 따라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이 몸통부(3)의 내부에서 균일한 양으로 분포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1)는 천 재질로 이루어져 몸통부(3)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몸통부(3)의 상면과 하면을 박음질하여 형성된 박음선을 통해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을 구획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A)는 상부(1)에서 중간 연결부(2)를 거쳐 몸통부(3)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두부 수용부(4)의 최하단부의 높이(H1) 값은 중간 연결부(2)의 높이(H2) 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A)는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신생아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고, 특히 두부 수용부(4)의 최하단부의 높이(H1) 값이 중간 연결부(2)의 높이(H2) 값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영유아의 머리를 젖혀줄 수 있어서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해주며, 편안히 호흡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A)의 표면은 환편 니트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토양에서 자란 목화씨로부터 추출된 순면사를 환편으로 편직한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편 니트 원단은 둥근 환편 기계를 사용하여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원사로 편환(고리)를 만든 후 연결하여 짜여진 원단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다이마루 원단' 으로 알려져 있다.
환편 니트 원단은 고리를 만든 후 연결하여 짜여지기 때문에 신축성이 우수하며,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고 있어 영유아에게 포근함을 주고, 영유아의 숙면을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환편 니트 원단은 순면사로 이루어져 영유아의 피부 질환을 예방하고, 통풍이 좋아 땀 흡수가 원활하며, 영유아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몸통부(3)의 양 측면에는 이불고정부재(32)가 형성되어 이불(a)과 결합되어 이불(a)을 고정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움직임에도 이불(a)이 말려 올라가지 않아 영유아의 질식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불고정부재(32)는 벨크로 테이프, 똑딱이 단추 또는 지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이불(a)의 양 측부에 이불고정부재(32)를 부착한 후, 이불(a)과 몸통부(3)를 이불고정부재(32)를 통해 결합시켜 이불(a)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유아의 질식사를 막을 수 있는 동시에, 이불(a)이 영유아의 상체를 적절하게 눌러 영유아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 :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1 : 상부
11 : 개구 2 : 중간 연결부
3 : 몸통부 31 : 가이드부재
32 : 이불고정부재 4 : 두부 수용부
5 : 결합 수단 a : 이불
11 : 개구 2 : 중간 연결부
3 : 몸통부 31 : 가이드부재
32 : 이불고정부재 4 : 두부 수용부
5 : 결합 수단 a : 이불
Claims (8)
- 머리가 수용되는 상부(1);
상기 상부(1)의 하부와 연결되는 중간 연결부(2); 및
상기 중간 연결부(2)의 하부와 연결되는 몸통부(3);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1)의 중앙부에는, 반구 형태의 함몰 구조를 갖는 두부 수용부(4)가 위치하며,
상기 상부(1), 중간 연결부(2) 및 몸통부(3)의 내부에는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이 채워지고,
상기 상부(1)의 중앙부에 개구(11)가 형성되고, 개구(11) 주위에 결합 수단(5)이 형성되어, 샹기 두부 수용부(4)가 결합 수단(5)을 통해 상부(1)에 장착되며,
상기 결합 수단(5)은 벨크로 테이프 혹은 지퍼로 형성되어 상기 두부 수용부(4)는 상부(1)에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몸통부(3)의 내부에는,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을 구획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31)가 형성되어 상기 소수성 발포 폼 입자들이 몸통부(3)의 내부에서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3)는, 중심부의 두께가 양 끝단의 두께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도록, 중심부와 양 끝 단부가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1)에서 중간 연결부(2)를 거쳐 몸통부(3)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되,
상기 두부 수용부(4)의 최하단부의 높이(H1) 값은 중간 연결부(2)의 높이(H2)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3)의 양 측면에는, 이불과 결합되어 이불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이불고정부재(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의 표면은 환편 니트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발포 폼 입자의 재질은,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 프로필렌, 페놀 수지 발포 폼, 발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발포 실리콘, 발포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2453A KR102072823B1 (ko) | 2018-10-15 | 2018-10-15 |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2453A KR102072823B1 (ko) | 2018-10-15 | 2018-10-15 |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2823B1 true KR102072823B1 (ko) | 2020-02-03 |
Family
ID=6962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2453A KR102072823B1 (ko) | 2018-10-15 | 2018-10-15 |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282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1292B1 (ko) | 2020-07-15 | 2021-05-12 | (주)자이디 | Tpu 필름층을 구비한 기능성 매트 |
KR102333449B1 (ko) * | 2020-06-01 | 2021-12-02 | 주식회사 쥬와엔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522269B1 (ko) * | 2022-10-07 | 2023-04-14 | 현진호 | 유아용 베개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4351U (ja) * | 1995-11-04 | 1996-05-21 | 有限会社マーケット・ブレインズ | 乳児用空気マット |
KR19980065470U (ko) * | 1998-08-28 | 1998-11-25 | 이환우 | 베개 |
KR20000011290U (ko) * | 1998-11-05 | 2000-06-26 | 박복수 | 유아용 침구 |
KR200275032Y1 (ko) * | 2002-02-20 | 2002-05-09 | 신인준 | 좁쌀 짱구 베개 |
KR200368923Y1 (ko) | 2004-09-15 | 2004-12-03 | 윤인경 | 다용도 유아용 매트 |
JP2012011191A (ja) * | 2010-06-02 | 2012-01-19 | Chisato Osugi | 乳児用ベッド |
KR101285974B1 (ko) * | 2011-09-15 | 2013-07-12 | 김현희 |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
JP2013153947A (ja) * | 2012-01-30 | 2013-08-15 | Akacan No Shiro:Kk | 乳幼児用クッション |
KR20140071204A (ko) * | 2012-11-27 | 2014-06-11 | 김관영 | 유아용 침대 |
KR20140104146A (ko) * | 2013-02-20 | 2014-08-28 | 김슬기 | 영아 시트 침대 |
JP2016202485A (ja) * | 2015-04-21 | 2016-12-08 | 千里 大杉 | 乳児用ベッド |
-
2018
- 2018-10-15 KR KR1020180122453A patent/KR1020728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4351U (ja) * | 1995-11-04 | 1996-05-21 | 有限会社マーケット・ブレインズ | 乳児用空気マット |
KR19980065470U (ko) * | 1998-08-28 | 1998-11-25 | 이환우 | 베개 |
KR20000011290U (ko) * | 1998-11-05 | 2000-06-26 | 박복수 | 유아용 침구 |
KR200275032Y1 (ko) * | 2002-02-20 | 2002-05-09 | 신인준 | 좁쌀 짱구 베개 |
KR200368923Y1 (ko) | 2004-09-15 | 2004-12-03 | 윤인경 | 다용도 유아용 매트 |
JP2012011191A (ja) * | 2010-06-02 | 2012-01-19 | Chisato Osugi | 乳児用ベッド |
KR101285974B1 (ko) * | 2011-09-15 | 2013-07-12 | 김현희 |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
JP2013153947A (ja) * | 2012-01-30 | 2013-08-15 | Akacan No Shiro:Kk | 乳幼児用クッション |
KR20140071204A (ko) * | 2012-11-27 | 2014-06-11 | 김관영 | 유아용 침대 |
KR20140104146A (ko) * | 2013-02-20 | 2014-08-28 | 김슬기 | 영아 시트 침대 |
JP2016202485A (ja) * | 2015-04-21 | 2016-12-08 | 千里 大杉 | 乳児用ベッド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3449B1 (ko) * | 2020-06-01 | 2021-12-02 | 주식회사 쥬와엔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20210148620A (ko) * | 2020-06-01 | 2021-12-08 | 주식회사 쥬와엔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20210148959A (ko) * | 2020-06-01 | 2021-12-08 | 주식회사 쥬와엔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20210148960A (ko) * | 2020-06-01 | 2021-12-08 | 주식회사 쥬와엔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20210148961A (ko) * | 2020-06-01 | 2021-12-08 | 주식회사 쥬와엔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347005B1 (ko) | 2020-06-01 | 2022-01-04 | 주식회사 쥬와엔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347004B1 (ko) | 2020-06-01 | 2022-01-04 | 주식회사 쥬와엔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377264B1 (ko) | 2020-06-01 | 2022-03-22 | 주식회사 쥬와엔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377263B1 (ko) | 2020-06-01 | 2022-03-22 | 주식회사 쥬와엔 | 다용도 유아용 쿠션 |
KR102251292B1 (ko) | 2020-07-15 | 2021-05-12 | (주)자이디 | Tpu 필름층을 구비한 기능성 매트 |
KR102522269B1 (ko) * | 2022-10-07 | 2023-04-14 | 현진호 | 유아용 베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31156B1 (en) | Multipurpose pillow | |
US10918223B2 (en) | Convertible infant support apparatus | |
CA2793466C (en) | Feeding pillow with removable support surface | |
TWI507155B (zh) | 醫療床墊及床墊罩 | |
US7059000B2 (en) | Portable infant cushion | |
US9113719B2 (en) | Feeding pillow with protective surface | |
US4139131A (en) | Child carrier having enveloping structure and suspension strap | |
KR102072823B1 (ko) |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 |
US8479334B1 (en) | Pillow for supporting a baby at play | |
US10702072B2 (en) | Bedding assembly | |
US6029295A (en) | Annular pillow with metal mesh material cover | |
KR20220001275U (ko) |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 |
KR200467001Y1 (ko) | 아기용 베개 | |
KR200455655Y1 (ko) | 높낮이 조절가능한 유아용 베개 | |
CN203073888U (zh) | 哺乳垫 | |
KR101942361B1 (ko) | 통풍베개 | |
WO2000038611A2 (ko) | Multi-function cushion | |
WO2023238892A1 (ja) | 枕 | |
US20170181555A1 (en) | Chest Support Pillow | |
KR20230002278U (ko) | 영·유아의 모로 반사 방지용 수면 이불 | |
RU2634379C2 (ru) | Подушка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для младенца (варианты) | |
CN219782154U (zh) | 一种婴幼儿锁温防踢被 | |
US20240374051A1 (en) | Child carrier | |
CN212139989U (zh) | 一种易于空气对流的控温床垫 | |
US11825961B2 (en) | Newborn sleep insert for bassinette and crib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