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040B1 - 유착방지필름 - Google Patents
유착방지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8040B1 KR102078040B1 KR1020180046902A KR20180046902A KR102078040B1 KR 102078040 B1 KR102078040 B1 KR 102078040B1 KR 1020180046902 A KR1020180046902 A KR 1020180046902A KR 20180046902 A KR20180046902 A KR 20180046902A KR 102078040 B1 KR102078040 B1 KR 1020780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on
- adhesion film
- coating material
- film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9832 plasma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KIUKXJAPPMFGSW-DNGZLQJQSA-N (2S,3S,4S,5R,6R)-6-[(2S,3R,4R,5S,6R)-3-Acetamido-2-[(2S,3S,4R,5R,6R)-6-[(2R,3R,4R,5S,6R)-3-acetamido-2,5-di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2-carboxy-4,5-dihydroxyoxan-3-yl]oxy-5-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3,4,5-trihydroxy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C@H]1[C@H](O)[C@@H](O)[C@H](O[C@H]2[C@@H]([C@@H](O[C@H]3[C@@H]([C@@H](O)[C@H](O)[C@H](O3)C(O)=O)O)[C@H](O)[C@@H](CO)O2)NC(C)=O)[C@@H](C(O)=O)O1 KIUKXJAPPMFGSW-DNGZLQJQ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2674 hyalurona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60003160 hyaluronic ac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JFCQEDHGNNZCLN-UHFFFAOYSA-N glut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O)=O JFCQEDHGNNZCL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GODZNYBQGNSJJN-UHFFFAOYSA-N 1-aminoethane-1,2-diol Chemical compound NC(O)CO GODZNYBQGNSJJ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0956 methoxy group Chemical group [H]C([H])([H])O*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729 poly(L-lysine)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LMDZBCPBFSXMTL-UHFFFAOYSA-N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Chemical compound CCN=C=NCCCN(C)C LMDZBCPBFSXMT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6065 bio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988 biodegrada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21 biodegradable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660 hydrophilic surfac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06010016654 Fib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761 fibr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00050 Abdominal adhe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766 L-Lys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815 abdomina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356 dehydroge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224 diss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MSKSQCLPULZWNO-UHFFFAOYSA-N 2-[2-[2-[2-[2-[2-[2-[2-[2-[2-[2-(2-methoxyethoxy)ethoxy]ethoxy]ethoxy]ethoxy]ethoxy]ethoxy]ethoxy]ethoxy]ethoxy]ethoxy]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COCCOCCOCCOCCOCCOCCOCCOCCOCCOCCOCCN MSKSQCLPULZW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ZUVPPKBWHMQCE-UHFFFAOYSA-N Haematoxylin Chemical compound C12=CC(O)=C(O)C=C2CC2(O)C1C1=CC=C(O)C(O)=C1OC2 WZUVPPKBWHMQ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QTADLQHYWFPDB-UHFFFAOYSA-N N-Hydroxysuccinimide Chemical compound ON1C(=O)CCC1=O NQTADLQHYWFPD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83 abdomin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34 cec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10 polycaprolac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2091 Anaesth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300 CLIPPER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SXRSQZLOMIGNAQ-UHFFFAOYSA-N Glutar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CCC=O SXRSQZLOMIGNA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HNWPMSKXPGLAX-UHFFFAOYSA-N N-Vinyl-2-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CN1CCCC1=O WHNWPMSKXPGLA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54 Polyglycol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737 Tissue Adhe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05 anaesthes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0 biocompati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110 chitosa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930 chronic lymphocytic inflammation with pontine perivascular enhancement responsive to steroid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88 colla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23 electro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YQGOJNYOYNNSMM-UHFFFAOYSA-N eosin Chemical compound [Na+].OC(=O)C1=CC=CC=C1C1=C2C=C(Br)C(=O)C(Br)=C2OC2=C(Br)C(O)=C(Br)C=C21 YQGOJNYOYNNS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50 fibrobl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4259 gela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56 gravure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61 hydrophobic surfa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29 laser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977 lys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43 one-way ANOV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62 physiological cond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32 polycaprolac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328 povid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8 sandbl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151 ser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0 shot p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64 slot die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22 sprague-dawley male ra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5 tap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PICBUSOMSTKRF-UHFFFAOYSA-N xylazi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1NC1=NCCCS1 BPICBUSOMSTK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600 xylazine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0—Lubricants; Anti-adhesive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17—Wound bandages not adhering to the woun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314—Wound bandages with surface treatments
- A61F2013/00319—Wound bandages with surface treatments to make surface hydrophob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314—Wound bandages with surface treatments
- A61F2013/00323—Wound bandages with surface treatments to make surface hydrophil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8—Modification of implant surfaces in order to improve biocompatibility, cell growth, fixation of biomolecules, e.g. plasma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착방지필름에 관한 것으로, 유착방지필름은 가교화된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일면은 친수성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소수성으로 형성되고, 그로 인해 부착 부위에 대한 접착강도가 우수한 유착방지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착방지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착(adhesion)은 외과적인 수술 후에 복강 내부에 형성된 상처의 치유과정에서 섬유조직이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유출된 혈액이 응고되어 주변의 장기나 조직이 상처 부위와 서로 달라붙어 결합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유착이 예상되는 부위에 물리적 장벽을 형성함으로써 수술 부위와 정상 조직 사이에서 유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유착방지필름을 주로 사용해왔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7509호에는 조직유착 방지용 필름에 대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특정 부위와의 부착력을 위해 친수성 표면을 갖는 종래의 유착방지필름은 부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을지라도, 복강 내 장기들의 움직임에 의해 부착된 부위로부터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어서 유착방지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아울러, 친수성 표면을 갖는 유착방지필름은 부착 부위 주변에서 발생하는 체액과 수분에 의해 필름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유착방지필름의 친수성 표면끼리 서로 부착됨으로 인해 본연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이는 유착방지필름의 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유착방지필름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착 부위에 대한 접착강도가 우수한 유착방지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에 의해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는 유착방지필름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작업성이 우수한 유착방지필름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필요시에만 유착방지필름의 접착력이 발휘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착방지필름의 표면을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착방지필름의 생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유착방지필름은 가교화된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일면은 친수성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소수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착방지필름의 일면 또는 타면은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표면개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는 제1코팅물질이 도포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코팅물질은 콜라겐, 히알루론산, 키토산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는 제2코팅물질이 도포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코팅물질과는 상이한 종류인 제3코팅물질이 상기 일면에 도포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3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2코팅물질은 4-팔 폴리에틸렌글리콜-티오숙시니미딜 글루타레이트 및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고, 상기 제3코팅물질은 L-라이신 및 폴리(L-라이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출부 및 제3돌출부가 액상으로 변할 경우, 상기 제2코팅물질 및 제3코팅물질이 서로 혼합되어 상기 일면 위에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 구조 위에 상기 제1코팅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제1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 구조 위에 상기 제2코팅물질 및 제3코팅물질이 각각 도포되어 상기 제2돌출부 및 제3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유착방지필름의 일면과 타면을 각각 친수성과 소수성으로 형성함으로써, 친수성으로 형성된 일면을 유착이 예상되는 부위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 부위와 유착방지필름 간의 부착이 수월하다. 또한, 소수성으로 형성된 타면으로 인해 유착방지필름의 표면이 서로 달라붙어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은 구조적 안정성이 뛰어나 유착방지능이 우수하며, 유착방지필름을 부착하는 과정이 편리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 접착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코팅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는 유착 예상 부위와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유착방지필름이 해당 부위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착방지능의 향상에 기여한다.
셋째, 본 발명은 일면에 형성된 요철 구조를 통해 친수성인 일면의 표면적이 증대되므로 유착 예상 부위와의 부착력이 향상되며, 요철 구조 위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될 경우에는 해당 부위와의 부착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 및 제3돌출부가 액상으로 변할 경우에는 각 돌출부를 구성하던 제2코팅물질과 제3코팅물질이 서로 혼합되면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착방지필름이 체내에 사용될 경우에는 체온과 수분에 의해 제2돌출부와 제3돌출부가 액상으로 변하면서 서로 혼합되어 접착 강도가 우수한 접착층이 형성됨에 따라, 유착방지필름의 부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착방지필름이 유착 예상 부위에 부착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제2돌출부 및 제3돌출부가 고체 상태를 유지하며, 유착방지필름은 필요시에만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다섯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유착 예상 부위에 유착방지필름을 부착하기 전에 유착방지필름의 부착면을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촉감으로 확인하기가 용이하다. 즉, 사용자가 유착방지필름의 친수성 면과 소수성 면을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유착방지필름의 몸체가 가교화됨에 따라, 체내에서의 수분변형률이 낮은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유착방지필름의 생분해속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이 유착 예상 부위에 부착될 경우, 접착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8은 플라즈마 처리하지 않은 유착방지필름의 표면의 친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착방지필름의 표면과 물방울 간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플라즈마 처리한 유착방지필름의 표면의 친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착방지필름의 표면과 물방울 간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과 비교예의 시간별 생분해도를 평가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을 적용한 손상 부위의 유착 정도와 대조군의 유착 정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을 적용한 손상 부위의 유착 정도와 대조군의 유착 정도를 평가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을 적용한 손상 부위와 대조군의 손상 부위를 조직병리학적으로 검사하고, 검체의 섬유화 수준을 평가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이 유착 예상 부위에 부착될 경우, 접착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8은 플라즈마 처리하지 않은 유착방지필름의 표면의 친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착방지필름의 표면과 물방울 간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플라즈마 처리한 유착방지필름의 표면의 친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착방지필름의 표면과 물방울 간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과 비교예의 시간별 생분해도를 평가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을 적용한 손상 부위의 유착 정도와 대조군의 유착 정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을 적용한 손상 부위의 유착 정도와 대조군의 유착 정도를 평가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을 적용한 손상 부위와 대조군의 손상 부위를 조직병리학적으로 검사하고, 검체의 섬유화 수준을 평가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언급들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것은 아니며, 이들은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a)은 가교화된 몸체(15a)를 포함하며, 가교화된 몸체(15a)의 일면(100a)은 친수성으로 형성되고, 타면(200a)은 소수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몸체는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고분자 종류를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실시예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매와 혼합하고 일정 시간 동안 건조시켜 몸체를 제조할 수 있고, 제조된 몸체를 가교화시켜 몸체의 생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몸체가 가교화될 경우, 몸체 내부에 존재하는 고분자들이 서로 가교되어 상호침투 고분자 구조(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IPN)와 같은 가교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가교화된 몸체(15a)의 생분해속도는 가교화되기 전의 몸체의 생분해속도 보다 느려질 수 있다. 즉, 몸체의 가교화 정도가 높아질수록 가교화된 몸체(15a)가 체내에서 생분해되는 속도는 느려질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가교화된 몸체(15a)는 물리적, 화학적 또는 효소적 가교 방법에 의해 가교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몸체는 자외선 조사, 방사선 조사, 열처리, 고온탈수소 처리(dehydrothermal treatment, DHT),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처리, NHS(N-hydroxysuccinimide) 처리 및 글루타알데히드(Glutaraldehyde) 처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가교 방법에 의해 가교화될 수 있으나, 몸체를 가교화하는 방법은 전술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생분해성 고분자로 제조된 필름을 가교화하기 위해서 공지된 다른 가교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고온탈수소 처리를 통해 몸체를 가교화할 경우에는 제조된 몸체를 오븐에 넣고 0.01~0.1 bar의 기압하에서 100~200℃의 온도로 24~36시간 동안 반응시켜 가교화할 수 있다.
아울러, EDC 처리를 통해 몸체를 가교화할 경우에는 95v/v%의 에탄올에 EDC를 0.1~100mM농도로 용해시킨 용액에 몸체를 침지하여 24시간~48시간 동안 2~4℃로 유지하여 가교 반응시킨 다음에 정제수로 여분의 EDC를 세척하여 가교화된 몸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고온탈수소 처리시 반응조건(기압, 온도, 시간 등)이나 EDC 처리시 반응조건(EDC의 농도, 시간, 온도 등)은 몸체의 가교화 정도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유동적인 변경이 가능하며, 생분해성 고분자를 가교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가교화 방법들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고분자라 함은 체내에서 시간이 경과될수록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형태와 무게가 점진적으로 소멸되는 고분자 종류를 의미한다.
여기서, 천연 생분해성 고분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콜라겐(collage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키토산(chitosan), 젤라틴(gelatin), 알긴산(alginic acid) 등이 있고, 합성 생분해성 고분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oly(D,L-latide-co-glycolide)), 폴리카프로락톤(poly(ε-caprolacton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a)에서 가교화된 몸체(15a)의 일면(100a)은 친수성으로 형성되고, 타면(200a)은 소수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착방지필름(10a)의 일면(100a) 또는 타면(200a)은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표면개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실시예에서 콜라겐을 이용하여 몸체를 제조할 경우, 플라즈마 처리 전에는 몸체의 일면과 타면이 모두 소수성이지만, 몸체의 일면을 플라즈마 처리하면 소수성에서 친수성으로의 표면개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플라즈마 처리시 사용되는 처리가스의 종류로는 아르곤(Ar), 산소(O2) 또는 질소(N2)를 사용할 수 있고, 투입 가스량은 10~100SCCM, 플라즈마 반응 챔버 내 압력은 50~80mTorr, 플라즈마 처리시간은 20~100초, 전력은 100~300W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플라즈마 처리시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 유량, 처리압력, 처리시간, 전력 등의 공정 조건은 유착방지필름(10a)의 표면개질의 정도와 성질에 따라 유동적인 변경이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a)은 가교화된 몸체(15a)의 특정 면에 한해 플라즈마 처리를 함으로써,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에서 유착방지필름(10a)의 가교화된 몸체(15a)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되, 가교화된 몸체(15a)의 일면(100a)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친수성으로 표면개질시킴으로써 소수성인 타면(200a)과는 다른 성질을 갖도록 제조한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a)은 소수성과 친수성을 동시에 부여하기 위해 소수성 표면에 친수성 물질을 분사하는 전기방사 등과 같은 적층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가교화된 몸체(15a)의 일면(100a)과 타면(200a)에 각기 다른 성질의 구현이 용이하므로 친수성과 소수성을 모두 갖는 유착방지필름(10a)의 제조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소수성인 콜라겐을 이용하여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할 경우, 가교화된 콜라겐 필름의 일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친수성으로 개질시킬 수 있고, 친수성인 히알루론산을 이용하여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할 경우에는 가교화된 히알루론산 필름의 일면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소수성으로 개질시킬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a)은 몸체가 가교화되어 몸체 자체의 생분해속도가 지연될 뿐만 아니라, 가교화된 몸체(15a)의 타면(200a)이 소수성으로 형성되므로 체내에서 일정 시간동안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물리적 장벽 기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고, 복벽이나 유착 예상 부위와 인접한 장기들로부터 증식된 섬유아세포가 다른 조직과 결합하여 유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표면개질되어 친수성으로 형성된 일면(100a)에는 분사장치(S)를 통해 제1코팅물질(110)이 도포되고, 도포된 제1코팅물질(110)은 일정 시간동안 건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돌출부(111a, 112a, 113a)를 형성할 수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a)은 일면(100a) 중 특정 지점에 제1코팅물질(110)이 도포된 이후, 다수의 제1돌출부(111a, 112a, 113a)가 일면(100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코팅물질(110)은 유착방지필름(10a)의 일면(100a)이 유착 예상 부위와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일면(100a)에 접착력을 부여하는 생체적합성 물질로서, 콜라겐, 히알루론산, 키토산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유착방지필름(10a)의 일면(100a) 중 특정 영역에 코팅물질을 도포하기 위해 스크린 인쇄, 스프레이 분사, 슬롯다이 코팅, 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바 코팅 등 공지된 다양한 도포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a)은 일면(100a)이 유착 예상 부위에 부착될 경우, 일면(100a)이 친수성이기 때문에 유착 예상 부위와 쉽게 부착될 수 있고, 일면(100a)에 형성된 다수의 제1돌출부(111a, 112a, 113a)는 유착방지필름(10a)의 부착력을 더욱 강화시켜 유착방지필름(10a)이 유착 예상 부위에 긴밀하게 부착되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제1실시예의 일면(100a)에 형성된 다수의 제1돌출부(111a, 112a, 113a)가 유착 예상 부위에 부착될 경우, 주변 조직으로부터 기인한 체온과 수분에 의해 다수의 제1돌출부(111a, 112a, 113a)가 녹아 액상으로 변하면서 접착층을 형성하며 유착 예상 부위에 부착됨으로써 유착방지필름(10a)과 유착 예상 부위 간의 긴밀한 결합이 가능하다.
이때, 가교화된 몸체(15a)의 내부에는 다수의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분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생분해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외형을 유지하며 유착방지필름(10a)으로서 물리적 장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a)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b)의 가교화된 몸체(15b)의 일면(100b)에는 요철 구조(P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요철 구조(P1)는 가교화된 몸체(15b)의 일면(100b)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플라즈마 처리시 플라즈마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발생된 플라즈마의 지속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친수성 일면(100b)에 요철 구조(P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서, 일면(100b)의 요철 구조(P1)는 레이저 식각,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ing), 쇼트 피닝(shot peening), 워터 젯(water jet), 프레스, 롤링, 절삭 등의 공지된 다른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b)은 가교화된 몸체(15b)의 일면(100b)의 요철 구조(P1) 중 특정 지점에 제1코팅물질(110)이 도포될 수 있다. 분사장치(S)를 통해 제1코팅물질(110)이 도포된 이후, 일정 시간동안 건조되면 요철 구조(P1) 위에 적어도 하나의 제1돌출부(111b, 112b, 113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요철 구조(P1)에 의해 일면(100b)의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요철 구조(P1) 위에 제1코팅물질(110)이 도포될 때, 제1코팅물질(110)과 요철 구조(P1) 간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제1돌출부(111b, 112b, 113b)가 가교화된 몸체(15b)의 일면(100b) 위에서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c)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c)은 가교화된 몸체(15c)의 일면(100c) 중 특정 지점에 제2코팅물질(120)이 도포되고 일정 시간 동안 건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돌출부(121a, 122a, 123a)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코팅물질(120)은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의 물질로서 4-팔 폴리에틸렌글리콜-티오숙시니미딜 글루타레이트(4-arm polyethylene glycol-thiosuccinimidyl glutarate) 및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민(methoxy polyethylene glycol amine, mPEG-am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도4의 (c) 및 (d)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서는 가교화된 몸체(15c)의 일면(100c) 중 특정 지점에 제2코팅물질(120)과는 상이한 종류인 제3코팅물질(130)이 도포되고 건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3돌출부(131a, 132a, 133a)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코팅물질(130)은 라이신 계열의 아미노산으로서, L-라이신(L-lysine) 및 폴리(L-라이신)(poly-L-lys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코팅물질(120)과 제3코팅물질(130)은 서로 혼합될 경우, 교차 결합에 의해 신속하게 젤화(gelation)되어 강한 접착력을 갖는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 분사장치(S)에 의해 코팅물질이 도포될 때, 제2코팅물질(120)과 제3코팅물질(130)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각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제2코팅물질(120)과 제3코팅물질(130)의 도포 지점이 서로 중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돌출부(121a, 122a, 123a)가 형성된 지점 위에 제3코팅물질(130)이 도포될 경우, 제2돌출부(121a, 122a, 123a)와 제3돌출부(131a, 132a, 133a)가 서로 중첩되어 적층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c)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c)의 가교화된 몸체(15c)의 일면(100c) 위에는 다수의 제2돌출부(121a, 122a, 123a)와 제3돌출부(131a, 132a, 133a)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121a, 122a, 123a) 및 제3돌출부(131a, 132a, 133a)는 상온(일 예로, 25~28℃)에서 고체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한 온도 조건(일 예로, 36~38℃)에 이르거나, 수분을 일정량 흡수하게 되면 액상으로 상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즉, 제2돌출부(121a, 122a, 123a)와 제3돌출부(131a, 132a, 133a)가 액상으로 변할 경우에는 제2돌출부(121a, 122a, 123a)를 구성하던 제2코팅물질(120)과 제3돌출부(131a, 132a, 133a)를 구성하던 제3코팅물질(130)이 서로 혼합되며, 일면(100c) 위에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이 유착 예상 부위에 부착될 경우, 접착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6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c)의 일면(100c)이 부착 부위(R)를 향하도록 부착시키면, 일면(100c) 위에 존재하는 다수의 제2돌출부(121a, 122a, 123a)와 제3돌출부(131a, 132a, 133a)는 부착 부위(R)와 접촉하게 된다. 부착 부위(R)와 접촉된 제2돌출부(121a, 122a, 123a) 및 제3돌출부(131a, 132a, 133a)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주변 조직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하고, 체온에 의해 액상으로 변하면서 제2코팅물질(120)과 제3코팅물질(130) 간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종의 코팅물질 간의 혼합을 통해 부착 부위(R)와 일면(100c) 사이에는 접착층(L)이 형성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7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10d)의 가교화된 몸체(15d)의 일면(100d)에는 요철 구조(P2)가 형성될 수 있고, 요철 구조(P2) 위에 제2코팅물질(120) 및 제3코팅물질(130)이 각각 도포되어 제2돌출부(121b, 122b, 123b) 및 제3돌출부(131b, 132b, 133b)를 형성할 수 있다.
도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교화된 몸체(15d)에 형성된 요철 구조(P2) 중 특정 지점에는 제2코팅물질(120)이 도포될 수 있다. 분사장치(S)를 통해 제2코팅물질(120)이 도포된 이후, 일정 시간동안 건조되면 요철 구조(P2) 위에 적어도 하나의 제2돌출부(121b, 122b, 123b)가 형성될 수 있다.
도7의 (c) 및 (d)를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서는 일면(100d) 중 특정 지점에 제3코팅물질(130)이 도포되고 건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3돌출부(131b, 132b, 133b)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실시예에서 제3돌출부(131b, 132b, 133b)는 제2돌출부(121b, 122b, 123b)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면(100d) 상에서 형성될 수 있으나, 제2돌출부(121b, 122b, 123b)와 제3돌출부(131b, 132b, 133b)의 형성 위치는 반드시 특정한 위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제조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착방지필름의 제조
<제조예 1>
콜라겐 원료를 1w/w% 농도(콜라겐 원료 1g, 증류수 99g)로 녹여 테플론 몰드 또는 디쉬에 1.0~6mg/㎠ 용량으로 분주한 후, 상온(25℃)에서 2~3일간 자연 건조시켜 약 100~1000㎛의 두께를 갖는 필름 몸체를 제조하였다.
EDC 처리를 통해 몸체를 가교화하기 위해 95v/v%의 에탄올에 EDC를 1mM농도로 용해시킨 용액 100ml에 몸체를 침지하여 24시간~48시간 동안 2~4℃로 유지하여 가교 반응시켰다. 가교화된 몸체는 증류수 500~1000ml로 상온에서 60분간 세척하였고, 세척을 6회 반복하고 건조하였다.
그 후, 플라즈마 발생부(ICP type chamber)와 RF 파워 인가부(RF power supply)로 구성된 플라즈마 처리기계를 이용하여 가교화된 몸체의 일면에 아르곤 가스를 다음과 같은 조건(투입 gas량: 30SCCM, 챔버 내 압력: 50~80mTorr, 플라즈마 power: 200W, 플라즈마 발생 시간: 60초)에서 플라즈마 처리하여 가교화된 몸체의 일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 1w/w% 농도(콜라겐 원료 1g, 증류수 99g)로 제조된 콜라겐 용액을 1~20mg/sec의 속도로 스프레이 분사한 후, 6~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일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 1w/w% 농도(히알루론산 원료 1g, 증류수 99g)로 제조된 히알루론산 용액을 1~20mg/sec의 속도로 스프레이 분사한 후, 6~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일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 1w/w% 농도(키토산 원료 1g, 증류수 99g)로 제조된 키토산 용액을 1~20mg/sec의 속도로 스프레이 분사한 후, 6~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일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 1w/w% 농도(젤라틴 원료 1g, 증류수 99g)로 제조된 젤라틴 용액을 1~20mg/sec의 속도로 스프레이 분사한 후, 6~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일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 1w/w% 농도(중량평균분자량이 1~10000kDa인 4-arm PEG-thiosuccinimidyl glutarate 1g, 증류수 99g)로 제조된 용액을 1~20mg/sec의 속도로 스프레이 분사한 후, 6~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일면에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시켰다. 그 후, 유착방지필름의 동일면에 1w/w% 농도(tri-L-lysine 1g, 증류수 99g)로 제조된 용액을 1~20mg/sec의 속도로 스프레이 분사한 후, 6~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일면에 또 다른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 1w/w% 농도(중량평균분자량이 1~10000kDa인 mPEG-amine 1g, 증류수 99g)로 제조된 용액을 1~20mg/sec의 속도로 스프레이 분사한 후, 6~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일면에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시켰다. 그 후, 유착방지필름의 동일면에 1w/w% 농도(L-lysine 1g, 증류수 99g)로 제조된 용액을 1~20mg/sec의 속도로 스프레이 분사한 후, 6~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일면에 또 다른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8>
콜라겐 원료를 1w/w% 농도(콜라겐 원료 1g, 증류수 99g)로 녹여 테플론 몰드 또는 디쉬에 1.0~6mg/㎠ 용량으로 분주한 후, 상온(25℃)에서 2~3일간 자연 건조시켜 약 100~1000㎛의 두께를 갖는 필름 몸체를 제조하였다.
EDC 처리를 통해 몸체를 가교화하기 위해 95v/v%의 에탄올에 EDC를 1mM농도로 용해시킨 용액 100ml에 몸체를 침지하여 24시간~48시간 동안 2~4℃로 유지하여 가교 반응시켰다. 가교화된 몸체는 증류수 500~1000ml로 상온에서 60분간 세척하였고, 세척을 6회 반복하고 건조하여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
콜라겐 원료를 1w/w% 농도(콜라겐 원료 1g, 증류수 99g)로 녹여 테플론 몰드 또는 디쉬에 1.0~6mg/㎠ 용량으로 분주한 후, 상온(25℃)에서 2~3일간 자연 건조시켜 약 100~1000㎛의 두께를 갖는 필름 몸체를 제조하였다.
EDC 처리를 통해 몸체를 가교화하기 위해 95v/v%의 에탄올에 EDC를 5mM농도로 용해시킨 용액 100ml에 몸체를 침지하여 24시간~48시간 동안 2~4℃로 유지하여 가교 반응시켰다. 가교화된 몸체는 증류수 500~1000ml로 상온에서 60분간 세척하였고, 세척을 6회 반복하고 건조하여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0>
콜라겐 원료 0.9g 및 히알루론산 원료 0.1g을 증류수 99g에 녹여 테플론 몰드 또는 디쉬에 1.0~6mg/㎠ 용량으로 분주한 후, 상온(25℃)에서 2~3일간 자연 건조시켜 약 100~1000㎛의 두께를 갖는 필름 몸체를 제조하였다.
EDC 처리를 통해 몸체를 가교화하기 위해 95v/v%의 에탄올에 EDC를 5mM농도로 용해시킨 용액 100ml에 몸체를 침지하여 24시간~48시간 동안 2~4℃로 유지하여 가교 반응시켰다. 가교화된 몸체는 증류수 500~1000ml로 상온에서 60분간 세척하였고, 세척을 6회 반복하고 건조하여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콜라겐 원료를 1w/w% 농도(콜라겐 원료 1g, 증류수 99g)로 녹여 테플론 몰드 또는 디쉬에 1.0~6mg/㎠ 용량으로 분주한 후, 상온(25℃)에서 2~3일간 자연 건조시켜 약 100~1000㎛의 두께를 갖는 필름 몸체를 제조하였다.
EDC 처리를 통해 몸체를 가교화하기 위해 95v/v%의 에탄올에 EDC를 1mM농도로 용해시킨 용액 100ml에 몸체를 침지하여 24시간~48시간 동안 2~4℃로 유지하여 가교 반응시켰다. 가교화된 몸체는 증류수 500~1000ml로 상온에서 60분간 세척하였고, 세척을 6회 반복하고 건조하여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콜라겐 원료를 1w/w% 농도(콜라겐 원료 1g, 증류수 99g)로 녹여 테플론 몰드 또는 디쉬에 1.0~6mg/㎠ 용량으로 분주한 후, 상온(25℃)에서 2~3일간 자연 건조시켜 약 100~1000㎛의 두께를 갖는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표면개질된 유착방지필름의 친수성 평가
제조예 1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의 친수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각 유착방지필름의 일면에 일정량의 물방울을 떨어뜨려 접촉각 측정기로 접촉각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8 및 도9에 나타내었다. 물접촉각 측정시 정확성을 위해 각각의 유착방지필름의 측정표면 위치를 달리하여 물방울을 5군데에 떨어뜨려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도8은 플라즈마 처리하지 않은 유착방지필름(비교예 1)의 표면의 친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착방지필름의 표면과 물방울 간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고, 도9는 플라즈마 처리한 유착방지필름(제조예 1)의 표면의 친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착방지필름의 표면과 물방울 간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일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지 않은 유착방지필름인 비교예 1은 접촉각 평균이 73.5이고, 일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유착방지필름인 제조예 1은 접촉각 평균이 38.9이므로, 제조예 1의 일면은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표면특성이 친수성으로 개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착방지필름의 수분변형률 평가
제조예 2의 유착방지필름의 수분변형률을 하기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고, 시험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1) 제조예 2의 유착방지필름을 3cm*3cm 크기로 잘라 3개의 시험샘플을 준비한다.
2) 37℃ 항온수조에서 2시간 동안 생리식염수를 방치한다.
3) 디쉬에 시험샘플을 놓고, 생리식염수 10ml를 투입하여 5분간 방치한다.
4) 샘플의 크기(가로*세로)를 버니어캘리퍼스로 정밀하게 측정한다.
5) 하기 계산식을 이용하여 수분변형률을 계산한다.
[계산식]
초기 면적(㎠) | 후기 면적(㎠) | 수분변형률(%) | 평균값 |
9 | 9.1 | 1.1 | 1.1±0 |
9 | 9.1 | 1.1 | |
9 | 9.1 | 1.1 |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교화된 유착방지필름은 수분변형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체내에서 일정 시간 동안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며 물리적 장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착방지필름의 접착강도 평가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6 및 제조예 7에 따라 제조된 유착방지필름의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강도의 측정환경은 생리학적 조건과 비슷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37℃±1℃의 온도에서 진행하되, 박리실험은 만능 재료 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를 사용하였다. 실험에서는 기기 상부 시편 홀더의 편평한 표면에 로드셀을 장착하여 움직이는 크로스헤드에 고정한 후, 하부 시편 홀더에 부착된 각 유착방지필름과 접촉시켰다.
각 유착방지필름과 로드셀의 접착을 위해서 5초간 일정한 압력을 가해 접착결합을 형성시킨 후, 초기 하중은 1N을 가하면서 크로스헤드를 상부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켜 두 표면이 분리되도록 하고 그 시점의 힘을 하기 표2에 기록하였다.
구분 | 제조예 1 | 제조예 2 | 제조예 6 | 제조예 7 |
접착강도(N) | 0.5 | 0.9 | 1.4 | 1.3 |
표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면에 코팅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조예 1은 접착강도가 0.5인 반면, 제1코팅물질이 도포되어 일면에 제1돌출부가 형성된 제조예 2는 접착강도가 0.9이고, 제2코팅물질과 제3코팅물질이 각각 도포되어 제2돌출부와 제3돌출부가 형성된 제조예 6과 제조예 7은 단일 코팅물질이 도포된 제조예 2에 비해 접착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착방지필름의 생분해 평가
제조된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및 비교예 2의 생분해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 유착방지필름을 체액과 비슷한 환경을 가지는 37℃의 PBS 버퍼에 넣고 1, 3, 5, 7, 14, 21, 28, 35, 42, 49, 56, 63, 70, 77, 84, 91일 후에 꺼내서 변화된 유착방지필름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시간별 유착방지필름의 잔량 비율을 백분율로 도출하였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과 비교예의 시간별 생분해도를 평가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가교화되지 않은 유착방지필름인 비교예 2가 가장 빠르게 생분해가 완료되었고, EDC 1mM 농도로 가교화된 제조예 8보다 EDC 5mM 농도로 가교화된 제조예 9가 상대적으로 생분해가 더디게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콜라겐 원료와 히알루론산 원료를 혼합하고, EDC 5mM로 가교화한 유착방지필름인 제조예 10의 생분해가 가장 느리게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착방지필름의 유착방지능 평가
제조예 2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의 유착방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대상으로 male Sprague Dawley rats을 이용하였다. rat은 7주령 9마리를 건강한 상태에서 동물실험에 적용하였다. 장 유착 유발 당일에 Zoletil 50 및 xylazine을 이용하여 마취를 실시하고, Clipper를 이용하여 복부를 넓게 제모한 후, 70v/v% 알코올 및 포비돈으로 절개할 부위를 넓게 소독하였다. 복부 정중선을 따라 개복한 후, 조심스럽게 맹장(cecum)을 노출시키고, 멸균 거즈를 이용하여 약 1㎠의 크기로 출혈이 일어날 정도로 장막(serous membrane)에 손상을 가하였다. 맹장 손상 부위와 맞닿는 복벽 부위에 수술용 메스를 이용하여 손상을 가한 후, 두 손상면이 맞닿도록 하고, 손상부위로부터 약 1 cm 떨어진 두 부위를 봉합사로 고정하여 유착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장 유착 시술 후, 맹장의 손상부위와 복벽 사이에 제조예 2의 유착방지필름을 위치하도록 한 뒤, 주변부를 봉합하였다.
유착 유발일로부터 2주 후에 동물을 안락사시킨 뒤, 손상 부위를 노출시킨 다음, 손상 부위에 대하여 유착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표3의 기준에 따라 채점하여 기록하였으며,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리고, 손상 부위를 적출하여 10w/w% 중성완충포르말린용액에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삭정, 탈수, 파라핀 포매, 박절 등 일반적인 조직처리 과정을 거쳐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위한 검체를 제작한 뒤, Hematoxylin & Eosin(H&E) 염색을 실시하였다. 제작된 검체에 대하여 광학 현미경(Olympus BX53, Japan)을 이용하여 하기 표4의 기준에 따라 검경을 실시하였다. 각 실험에서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Mean±S.D.)로 나타내었고, 본 시험의 결과에 대하여 모수적인 다중비교(parametric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s) 혹은 비모수적인 다중비교(non-parametric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s)를 사용하였다. 모수적인 다중비교의 경우, 자료의 정규성을 가정하고, 모수적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으로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가 유의할 경우, 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시험군간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비모수적인 다중비교의 경우, Kruskal-Wallis' H-test로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가 유의할 경우 사후분석인 Dunn'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시험군간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Prism 5.03(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 USA)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Grade | Adhesion |
0 | No adhesion |
1 | Gentle blunt dissection required to free adhesions |
2 | Aggressive blunt dissection required to free adhesions |
3 | Sharp dissection required to free adhesions |
Grade | Fibrosis |
0 | None |
1 | Minimal |
2 | Mild |
3 | Moderate |
4 | Marked |
도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을 적용한 손상 부위의 유착 정도와 대조군의 유착 정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장 유착 시술 후, 유착방지필름을 부착하지 않은 대조군(G1)의 경우, 유착이 심하게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제조예 2의 유착방지필름을 부착한 실험군(G2)의 경우에는 육안적 유착 수준이 상대적으로 경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을 적용한 손상 부위의 유착 정도와 대조군의 유착 정도를 표3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장 유착 시술 후에 유착방지필름을 부착하지 않은 대조군(G1)보다 제조예 2의 유착방지필름을 부착한 실험군(G2)이 유착 등급이 낮으므로 제조예 2의 유착방지필름이 유착방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을 적용한 손상 부위와 대조군의 손상 부위를 조직병리학적으로 검사하고, 표4의 기준에 따라 검체의 섬유화 수준을 평가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13을 참조하면, 장 유착 시술 후에 유착방지필름을 부착하지 않은 대조군(G1)보다 제조예 2의 유착방지필름을 부착한 실험군(G2)의 섬유화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관찰되었으므로 제조예 2의 유착방지필름은 부착된 부위에서 물리적 장벽의 기능을 수행하여 유착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은 유착방지필름의 일면과 타면을 각각 친수성과 소수성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착이 예상되는 부위에는 친수성으로 형성된 일면을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 부위와 유착방지필름 간의 부착이 수월하다. 또한, 소수성으로 형성된 타면으로 인해 유착방지필름의 표면이 서로 달라붙어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는 유착 예상 부위와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유착방지필름이 해당 부위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착방지능의 향상에 기여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이 체내에 사용될 경우에는 체온과 수분에 의해 제2돌출부와 제3돌출부가 액상으로 변하면서 서로 혼합되어 접착 강도가 우수한 접착층이 형성됨에 따라, 유착방지필름의 부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착방지필름이 유착 예상 부위에 부착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제2돌출부 및 제3돌출부가 고체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비접착성 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시에만 강력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은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유착 예상 부위에 유착방지필름을 부착하기 전에 유착방지필름의 부착면을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촉감으로 확인하기가 용이하다. 즉, 사용자가 유착방지필름의 친수성 면과 소수성 면을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들은 유착방지필름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유착방지필름이 체내에 부착될 때,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은 일면에 형성된 요철 구조를 통해 친수성인 일면의 표면적이 증대되므로 유착 예상 부위와의 부착력이 향상되며, 요철 구조 위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될 경우에는 해당 부위와의 부착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정 기간 동안 물리적 장벽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착방지필름의 몸체를 가교화시킴으로써, 체내에서의 수분변형률이 낮은 유착방지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유착방지필름의 생분해속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a, 10b, 10c, 10d : 유착방지필름
15a, 15b, 15c, 15d : 가교화된 몸체
100a, 100b, 100c, 100d : 일면
110 : 제1코팅물질
111a, 111b, 112a, 112b, 113a, 113b : 제1돌출부
120 : 제2코팅물질
121a, 121b, 122a, 122b, 123a, 123b : 제2돌출부
130 : 제3코팅물질
131a, 131b, 132a, 132b, 133a, 133b : 제3돌출부
P1, P2 : 요철 구조
L : 접착층
200a, 200b, 200c, 200d : 타면
S : 분사장치
R : 부착 부위
15a, 15b, 15c, 15d : 가교화된 몸체
100a, 100b, 100c, 100d : 일면
110 : 제1코팅물질
111a, 111b, 112a, 112b, 113a, 113b : 제1돌출부
120 : 제2코팅물질
121a, 121b, 122a, 122b, 123a, 123b : 제2돌출부
130 : 제3코팅물질
131a, 131b, 132a, 132b, 133a, 133b : 제3돌출부
P1, P2 : 요철 구조
L : 접착층
200a, 200b, 200c, 200d : 타면
S : 분사장치
R : 부착 부위
Claims (7)
- 가교화된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일면은 친수성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소수성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면에는 제2코팅물질이 도포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코팅물질과는 상이한 종류인 제3코팅물질이 상기 일면에 도포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3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2코팅물질은 4-팔 폴리에틸렌글리콜-티오숙시니미딜 글루타레이트 및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고,
상기 제3코팅물질은 L-라이신 및 폴리(L-라이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 또는 타면은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표면개질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 및 제3돌출부가 액상으로 변할 경우, 상기 제2코팅물질 및 제3코팅물질이 서로 혼합되어 상기 일면 위에서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 - 가교화된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일면은 친수성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소수성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면에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 구조 위에 제1코팅물질이 도포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코팅물질은 콜라겐, 히알루론산, 키토산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에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 구조 위에 상기 제2코팅물질 및 제3코팅물질이 각각 도포되어 상기 제2돌출부 및 제3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902A KR102078040B1 (ko) | 2018-04-23 | 2018-04-23 | 유착방지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902A KR102078040B1 (ko) | 2018-04-23 | 2018-04-23 | 유착방지필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3132A KR20190123132A (ko) | 2019-10-31 |
KR102078040B1 true KR102078040B1 (ko) | 2020-02-17 |
Family
ID=6842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6902A KR102078040B1 (ko) | 2018-04-23 | 2018-04-23 | 유착방지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804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89696A (zh) * | 2020-07-28 | 2020-11-06 | 无锡英特派金属制品有限公司 | 贵金属粉末的生产方法 |
KR102543048B1 (ko) * | 2021-04-29 | 2023-06-20 | 주식회사 메피온 | 유착방지필름의 제조 방법 |
KR102599976B1 (ko) * | 2021-06-24 | 2023-11-07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09228A (ja) * | 2002-12-16 | 2004-07-29 | Gunze Ltd | 医療用フィルム |
JP2009506861A (ja) * | 2005-09-05 | 2009-02-19 | バイオレー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多層構造の癒着防止剤 |
WO2013018864A1 (ja) * | 2011-08-03 | 2013-02-07 | グンゼ株式会社 | 癒着防止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MX2016016055A (es) * | 2014-06-30 | 2017-02-28 | Kimberly Clark Co | Superficies estructuradas. |
KR20160008645A (ko) * | 2016-01-04 | 2016-01-22 | (주)더블유에이치팜 | 이동이 억제된 유착방지막 및 그의 제조방법 |
-
2018
- 2018-04-23 KR KR1020180046902A patent/KR10207804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09228A (ja) * | 2002-12-16 | 2004-07-29 | Gunze Ltd | 医療用フィルム |
JP2009506861A (ja) * | 2005-09-05 | 2009-02-19 | バイオレー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多層構造の癒着防止剤 |
WO2013018864A1 (ja) * | 2011-08-03 | 2013-02-07 | グンゼ株式会社 | 癒着防止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3132A (ko) | 2019-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019096B1 (en) | Bioresorbable compositions for implantable prostheses | |
JP4934036B2 (ja) | 抗癒着着バリア | |
JP6266644B2 (ja) | 表面マイクロパターニングおよび反応性化学の組み合わせを含む接着物品ならびにそれを製造および使用する方法 | |
US7901705B2 (en) | Antimicrobial releasing polymers | |
KR102078040B1 (ko) | 유착방지필름 | |
US20090214667A1 (en) | Medical technical produ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oviding the same for surgery | |
KR20130061691A (ko) | 다공성 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 |
EP2052740A1 (en) | Crosslinked gelatin gel multilayered structure, carrier for bioactive factor, preparation for release of bioactive factor, and their production methods | |
JP7025930B2 (ja) | 癒着防止材 | |
GB2561947A (en) | Tissue-adhesive materials | |
Lu et al. | Surface modification of polypropylene surgical meshes for improving adhesion with poloxamine hydrogel adhesive | |
AU2008202998B2 (en) | Carbonate copolymers | |
KR102298177B1 (ko) | 생체적합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20162148A (ko) | 생체적합성 다공질 재료 및 제조 및 사용 방법 | |
Oh et al. | Sprayable powder of hyaluronate embedded in mildly cross-linked alginate as a post-surgical tissue adhesion barrier | |
JP7478394B2 (ja) | 生物医学的用途のための光重合生分解性コポリマー配合物 | |
EP1752170B1 (de) | Medizintechnisches Produk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Bereitstellung für die Chirurgie | |
TW201204745A (en) | Crosslinked chitosa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102414535B1 (ko) | 전기방사 및 열압착에 의해 제조한 단층구조의 나노섬유상 유착방지막 및 그 제조방법 | |
WO2023038112A1 (ja) | 薬剤溶出性の医療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436615B1 (ko) | 유착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메쉬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210844477U (zh) | 一种内脏止血贴膜 | |
RU2519103C2 (ru) | Биорезорбируемая гидрогелевая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ми веществами (варианты) | |
Yang | Hydrogel Adhesion | |
KR910005213B1 (ko) | 인공피부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