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294B1 - Connectors with installed film-type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age sensor - Google Patents
Connectors with installed film-type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age sen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6294B1 KR102076294B1 KR1020180133428A KR20180133428A KR102076294B1 KR 102076294 B1 KR102076294 B1 KR 102076294B1 KR 1020180133428 A KR1020180133428 A KR 1020180133428A KR 20180133428 A KR20180133428 A KR 20180133428A KR 102076294 B1 KR102076294 B1 KR 1020762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tection sensor
- alarm signal
- leak detection
- chemical solution
-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해화학용액을 감지할 수 있는 필름형 누설 감지센서가 권취되어 내장함으로써 누설 감지센서의 오염시에 손쉽게 이를 인출하여 재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필름형 유해화학용액 누설 감지센서를 내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in particular, a film-type leak detection sensor that can detect a hazardous chemical solution is wound around the built-in film pollution hazardous chemical solution leakage detec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and reinstalled in case of contamination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It relates to a connector with a built-in sensor.
등록특허 10-1393074에서는 베이스필름의 상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각각 형성된 전류전극과 저항전극이 형성되고, 그 단부에 커넥터가 체결됨으로써 수분이 상기 전류전극과 저항전극이 통전되면 전류전극과 저항전극에 인가된 전류 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누수 여부를 판별하는 필름형 누수감지센서를 제안하였다.In the patent 10-1393074, a current electrode and a resistance electrode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the connector is fastened to the ends, the current electrode and the resistance electrode are energized. A film-type leak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leak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resistance electrode is proposed.
이러한 누수감지센서는 통상적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위치의 바닥에 2~5m의 길이로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되는 설치구조를 가지게 되고, 커넥터는 케이블에 의해 제어기와 연결됨으로써 전류전극과 저항전극에 감지 전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Such a leak detection sensor has a mounting structure that is attached and fixed by a double-sided tape in a length of 2 ~ 5m to the bottom of the location where the leak occurs,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by a cable to the current electrode and the resistance electrode Supply sense current.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누수감지센서는 바닥에 부착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오염이 발생하거나 손상되면, 누수감지센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이롭지 못하고, 또한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한 결과를 가져온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leak detection sensor is not very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also very disadvantageous in terms of maintenance, if contamination occurs or is damaged in the state attached to the floor,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whole leak detection sensor.
즉, 커넥터와 누수감지센서를 분리시킨 다음 고정된 누수감지센서를 뜯어내 교체하여야 하므로, 오염되거나 손상되지 않은 부위까지 폐기되므로 많은 비용과 보수를 위한 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That is, since the connector and the leak detection sensor are separated and the fixed leak detection sensor is to be removed and replaced, the contaminated or undamaged part is discarded, which requires a lot of cost and manpower for maintenance.
<선행기술문헌><Preceding technical literature>
- 등록특허 제10-1393074호-Patent No. 10-1393074
(필름형 누수감지센서) (Film type leak detection sensor)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된 목적은, 커넥터의 내측에 유해화학용액을 감지하기 위한 필름형 유해화학용액 누설 감지센서를 권취하여 내장하고, 이를 커넥터의 외측으로 인출하여 설치하도록 하며, 인출된 누설 감지센서가 오염되거나 되었을 때 그 오염된 부위까지 절단하여 제거한 후 커넥터의 내부에 권취된 누설 감지센서를 인출하여 손쉽게 재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필름형 유해화학용액 누설 감지센서를 내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s to incorporate a film-type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hazardous chemical solution inside the connector, and to draw and install it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When the extracted leak detection sensor is contaminated or damaged, it is cut and removed to the contaminated area, and the connector containing the film-type hazardous chemical solution leak detection sensor which draws out the leak detection sensor wound inside the connector for easy re-install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유해화학용액 누설 감지센서를 내장한 커넥터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nector with a film-type hazardous chemical solution leak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베이스필름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 도전 라인을 구비하여 유해화학용액을 감지하는 누설 감지센서;Leak detection sensor to detect the harmful chemical solution by having a conductive line formed side by side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상기 누설 감지센서가 내부에 권취되고, 방수 슬리브를 통해 상기 누설 감지센서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며, 상기 누설 감지센서의 각 도전라인에 롤 형태로 접촉하여 감지전류를 인가하는 롤 단자를 내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누설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싱신호에 의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회로부가 내장된 본체;The leak detection sensor is wound inside, and the leak detection sensor is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a waterproof sleeve, and a roll terminal is provided inside to contact each conductive line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in a roll form to apply a detection current. In addition, the main body has a circuit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by the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상기 누설 감지센서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판 형태로 연장되고, 상부면에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누설 감지센서가 부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ase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in the form of a pl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ak detection sensor is drawn out and to which the leak detection sensor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회로부는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다수의 용액에 대한 정전용량값이 저장된 메모리;A memory in which capacitance values for a plurality of solutions are stored;
상기 도전라인에 형성된 정전용량값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전용량값을 비교하여 물과 유해화학용액의 종류를 판별하며, 그에 따른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주변에 설치된 누설 감지센서로부터 경보신호가 입력되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Compares the capacitance value formed in the conductive line with the capacita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to determine the type of water and the hazardous chemical solution, generates an alarm signal accordingly, and inputs an alarm signal from a leak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vicinity.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alarm signal is generated;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되는 경보신호를 사물인터넷에 의해 원격지로 전송함과 동시에 주변에 근접하여 설치된 누설 감지센서와 통신하여 경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주변에 설치된 누설 감지센서로부터 경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IoT 모듈;Built in the main body to transmit the alarm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remote place by the Internet of Things and at the same time communicates with the leak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alarm signal, the alarm signal from the leak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periphery If is input, the IoT module provided to the controller;
상기 경보신호에 의해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경보를 발생하는 부저 및 LE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buzzer and an LED generating an audible and visual alarm by the alarm signal.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유해화학용액 누설 감지센서를 내장한 커넥터는, 누설 감지센서의 오염 또는 손상이 발생한 부위를 절단한 다음 본체로부터 누설 감지센서를 외부로 인출하여 재설치함으로써 교체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또한 재설치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운용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The connector embedded with the film-type hazardous chemical solution leak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asy to replace and install by cutting the portion where the contamination or damage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is cut and then removing and reinstalling the leak detection sensor from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ng cost is low because no additional cost is required for reinstallation.
또한, 어느 하나의 누설 감지센서로부터 유해화학용액의 누설이 감지되면, 원격지로 사물인터넷을 통해 이를 통보함은 물론 주변에 설치된 누설 감지센서와도 사물인터넷에 의해 통신하여 함께 경보신호가 발생토록 함으로써 현장에 출동한 관리자와 주변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크게 갖도록 하여 좀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a leak of hazardous chemical solution is detected from any one of the leak detection sensors, not only the remote place is notified through the IoT, but also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by communicating with the leak detection sensor installed nearby. It is effective to raise awareness to the managers and people around the scene and to take more active and active actions.
도1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예를 들어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유해화학용액 누설 감지센서를 내장한 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의 단면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롤 단자와 누설 감지센서의 도전 라인이 접촉하여 감지전류를 인가하는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회로부 블럭도.1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a connector with a film-type hazardous chemical solution leak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roll terminal and a conductive line of a leak detection sensor are in contact to apply a sensing current.
5 is a circuit block diagram.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gener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1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예를 들어 보인 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유해화학용액 누설 감지센서를 내장한 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단면 구조를 보인 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or with a film-type hazardous chemical solution leakag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그리고, 도4는 롤 단자와 누설 감지센서의 도전 라인이 접촉하여 감지전류를 인가하는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5는 회로부 블럭도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roll terminal and a conductive line of a leak detection sensor contact each other to apply a sensing current, and FIG. 5 is a circuit block diagram.
도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200)는 유해화학용액 저장 탱크(100)의 주변 둘레에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며, 각 커넥터(200)는 원격지는 물론 주변에 설치된 커넥터들과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에 의해 통신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예를 들어 유해화학용액 저장 탱크(100)로부터 화학용액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에 첫번째 커넥터(#1)(200)가 이를 감지하게 되면, 도5에서와 같이 인터넷(300)을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서버(400) 및 스마트폰(500)과 통신하여 누설 감지에 따른 경보신호를 전송함은 물론, 주변에 근접하여 설치된 커넥터(#2,#8)와도 사물인터넷에 의해 통신하여 경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nector (# 1) 200 detects the leakage of the chemical solution from the hazardous chemical
물론, 각 커넥터(200)에는 경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주변 커넥터의 정보(예를 들면 ID 등)가 미리 설정되어 있게 된다.Of course, each
따라서, 어느 하나의 커넥터(200)가 경보신호를 발생하면, 바로 이웃하는 커넥터도 경보신호를 발생하게 되므로, 유해화학용액 저장 탱크(100)로부터 어느 한 부분으로만 누설이 발생하여도 주변 커넥터까지 동시에 경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관리자는 누설에 따른 경각심을 크게 가지고 빠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any one of the
또한, 이러한 주변의 근접한 커넥터까지 경보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 설령 주변의 커넥터가 누설을 감지하지 않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 누설된 유해화학용액이 주변까지 확산될 우려가 매우 크므로 그 경보신호에 의해 관리자는 미연에 조치가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to such a nearby connector, even if the connector does not detect a leak, if the time elaps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leaked hazardous chemical solution will spread to the surrounding area. By this, the manager can take action.
즉, 주변의 커넥터에 실질적인 누설이 감지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누설 전 단계의 가상 경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좀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한 것이다.In other words, even if no actual leakage is detected in the surrounding connector, a more proactive and active response is possible by generating a virtual alarm signal before the leakage stage.
도2는 본 발명의 커넥터(200)의 외관 형태를 보인 도로서, 본체(21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경질의 판 형태의 베이스부(222)의 상부면에는 본체(210)로부터 방수 슬리브(211)를 통해 필름형태의 누설 감지센서(230)가 인출되어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이러한 누설 감지센서(230)는 도3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22)의 상부면에 구비된 겔 타입의 점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상기 누설 감지센서(230)는 베이스필름(231)의 상부면에 한 쌍의 도전라인(232,223)이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상기 도전라인(232,233)은 물 또는 누설되는 산성 용액, 알칼리 용액 등의 유해화학용액을 검출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는 구조이며, 도전성을 가지면서도 화학용액 즉 강산, 약산, 강알칼리, 약알칼리 등의 화학용액에 부식되거나 용해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The
즉, 반영구적으로 반복적인 사용을 위해서 전도성을 가지면서도 내산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금속성의 재질로 도전라인(232,233)이 형성되어야 하며, 도금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도전라인(232,233)에 정전용량 발생을 위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두 도전라인(232,233)에 걸쳐서 커패시턴스가 형성된다.Capacitance is formed across the two
따라서, 물 또는 산 용액 또는 알칼리 용액이 제1도전라인(232)과 제2도전라인(233)에 걸쳐서 접촉하게 되면, 그 도전라인(232,233) 사이에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즉, 정전용량을 본체(210)의 내부에 내장된 회로부(260)에 계산하여 용액의 종류를 구별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water or an acid solution or an alkaline solu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상기 회로부(260)는 도5에서와 같이 배터리(261), 제어부(262), IoT모듈(263), 부저(264), 메모리(265)가 내장되며, 본체(210)의 상부면에는 집광판(212)과 LED(213)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집광판(212)은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배터리(261)를 충전하는 것이며, 상기 배터리(261)에는 충전회로가 내장됨으로써 집광판(212)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충전하여 회로부(260)의 동작하는 전원으로 사용하게 된다.The
이러한 본체(210)와 베이스부(220), 그리고, 누설 감지센서(230)의 베이스필름(231)은 모두 산 또는 알칼리에 강한 테프론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부저(264)는 제어부(262)로부터 경보신호를 인가받아 청각적인 경보음을 발생하는 것이고, LED(213)는 시각적인 경광을 발생하게 된다.The
IoT모듈(263)은 원격지의 관리서버(400)와 스마트폰(500)과 사물인터넷으로 통신함은 물론, 근접하여 설치된 다른 커넥터와 사물인터넷으로 통신하게 된다.The
제어부(262)는 상기 누설 감지센서(230)로부터 누설이 감지되면, 부저(264)와 LED(213)를 구동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IoT모듈(263)로 그 경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When the leakage is detected from the
이에 따라 IoT모듈(263)은 인터넷(300)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서버(400)와 스마트폰(500)으로 경보신호를 자신의 ID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누설 상태를 즉각 알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다.Accordingly, the
아울러, 상기 IoT모듈(263)은 이미 설정된 이웃하는 커넥터로 경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근접한 커넥터와 함께 경보신호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물론, 이웃하는 커넥터로부터 경보신호가 IoT모듈(263)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도 제어부(262)는 부저(264)와 LED(213)를 구동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Of course, even when an alarm signal is input from the neighboring connector through the
원격지의 관리서버(400)는 이러한 커넥터들로부터 발생되는 로그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고, 스마트폰(500)은 관리자가 소지하여 즉각 경보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262)는 도전라인(232,233)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턴스에 따라 정전용량값을 계산하게 되는데, 각 용액은 고유의 유전율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유전율에 의해 정전용량값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the
따라서, 누설 감지센서(230)에 비 또는 눈에 의한 물, 또는 누설되는 화학용액이 접촉하게 되면, 커패시터로 동작하여 유전율에 따른 커패시턴스 즉 정전용량이 발생된다.Accordingly, when the
각 용액의 정전용량값은 모두 다르게 되므로, 이러한 정전용량값에 의해 제어부(262)는 용액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데, 이때 메모리(265)에는 감지할 각 용액의 정전용량값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부(262)는 메모리(265)에 저장된 정전용량값과 도전라인(232,233)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값을 서로 비교하여 용액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capacitance values of each solution are all different, the
따라서, 제어부(262)는 물이라고 판별되면, 경보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유해화학용액인 경우에만 경보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또 다르게는 두 도전라인(232,233)에 걸쳐서 누설된 용액이 위치하게 되면, 그 용액의 전기 전도도에 따라 제어부(262)는 물과 유해화학용액을 판별하게 되는데, 물과 각 화학용액은 그 전기 전도도가 다르므로, 이를 감지하게 되고, 메모리(265)에 저장된 각 용액의 전도도값과 비교하여 용액의 종류를 판별한 다음 경보발생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Alternatively, when the leaked solution is located across the two
한편,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필름형 누설 감지센서(230)는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롤(240)에 권취되고, 그 일부분이 방수 슬리브(211)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됨으로써 베이스부(220)의 상부면에 겔 점착재(221)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점착되어 고정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film type
따라서, 베이스부(220)의 상부면에 위치한 누설 감지센서(230) 부위가 오염되거나 손상되면, 이를 겔 점착재(221)로부터 분리한 다음 가위 또는 칼에 의해 절단하고, 다시 본체(210)로부터 베이스부(220)의 길이만큼 인출하여 베이스부(220)의 상부면에 구비된 겔 점착재(221)에 의해 부착시킴으로써 손쉽게 재설치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if the
또한, 누설 감지센서(230)의 각 도전라인(232,233)에 누설되는 화학용액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전류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된 롤 단자부(250)에 의해 접촉식으로 인가되는데, 두개의 롤 형태의 단자(251,253)가 각각 도전라인(232,233)의 상측에서 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롤 단자(251,253)는 본체(210)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지지대(252,253)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다.In addition, the sensing current for detecting the chemical solution leaked to each conductive line (232, 233) of the
따라서, 롤 단자(251,253)가 각 도전라인(232,233)의 상부면에서 롤링이 가능하도록 가압되어 접촉된 상태이므로, 누설 감지센서(230)를 인출할 때는 물론 베이스부(220)의 상부면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도전라인(232,233)에 접촉하여 감지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이러한 롤 단자(251,253)와 지지대(252,253)는 모두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그 자체가 도전성을 갖는 전극이 되며, 이는 곧바로 제어부(262)와 결선된다.The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uch specific description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something to do.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Thus,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유해화학용액 저장 탱크
200 : 커넥터
210 : 본체 220 : 베이스부
221 : 겔 점착재 230 : 누설 감지센서
231 : 베이스 필름 232,233 : 도전라인
240 : 권취롤 250 : 롤 단자부
251.253 : 롤 단자 252,254 : 지지대
260 : 회로부 261 : 배터리
262 : 제어부 263 : IoT 모듈
264 : 부저 265 : 메모리100: hazardous chemical solution storage tank
200: connector
210: main body 220: base
221: gel adhesive 230: leak detection sensor
231: base film 232,233: conductive line
240: winding roll 250: roll terminal portion
251.253: Roll terminal 252,254: Support
260: circuit portion 261: battery
262: control unit 263: IoT module
264: buzzer 265: memory
Claims (2)
내부에 상기 누설 감지센서가 권취되고, 방수 슬리브를 통해 상기 누설 감지센서가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누설 감지센서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판 형태로 연장되는 베이스부가 구비되어 그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누설 감지센서가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누설 감지센서의 각 도전라인에 롤 형태로 접촉하여 감지전류를 인가하는 롤 단자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누설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싱신호에 의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회로부가 내장된 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유해화학용액 누설 감지센서를 내장한 커넥터.
Leak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harmful chemical solution by having a conductive line formed side by side at a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The leak detection sensor is wound therein, the leak detection sensor is drawn out through the waterproof sleeve, and the base part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in the form of a pl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ak detection sensor is draw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s attached, and a roll terminal for contacting each conductive line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in the form of a roll to apply a detection current therein, and detected by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A connector having a film-type hazardous chemical solution leakage detection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main body with a built-in circuit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by the sensing signal.
다수의 용액에 대한 정전용량값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도전라인에 형성된 정전용량값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전용량값을 비교하여 물과 유해화학용액의 종류를 판별하며, 그에 따른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주변에 설치된 누설 감지센서로부터 경보신호가 입력되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되는 경보신호를 사물인터넷에 의해 원격지로 전송함과 동시에 주변에 근접하여 설치된 누설 감지센서와 통신하여 경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주변에 설치된 누설 감지센서로부터 경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IoT 모듈;
상기 경보신호에 의해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경보를 발생하는 부저 및 LED;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유해화학용액 누설 감지센서를 내장한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ircuit portion
A memory in which capacitance values for a plurality of solutions are stored;
Compares the capacitance value formed in the conductive line with the capacita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to determine the type of water and the hazardous chemical solution, generates an alarm signal accordingly, and inputs an alarm signal from a leak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vicinity.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alarm signal is generated;
Built in the main body to transmit the alarm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remote place by the Internet of Things and at the same time communicates with the leak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alarm signal, the alarm signal from the leak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periphery If is input, the IoT module provided to the controller;
And a buzzer and an LED generating an audible and visual alarm by the alarm sig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428A KR102076294B1 (en) | 2018-11-02 | 2018-11-02 | Connectors with installed film-type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age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428A KR102076294B1 (en) | 2018-11-02 | 2018-11-02 | Connectors with installed film-type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age sens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6294B1 true KR102076294B1 (en) | 2020-03-02 |
Family
ID=6980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3428A KR102076294B1 (en) | 2018-11-02 | 2018-11-02 | Connectors with installed film-type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age sen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6294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341932A2 (en) * | 1988-05-09 | 1989-11-15 | Junkosha Co. Ltd. | A leak detecting sensor |
JP2001221703A (en) * | 2000-02-04 | 2001-08-17 |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 Liquid leak detector |
KR20090024858A (en) * | 2007-09-05 | 2009-03-10 | 주식회사 맥스포 | Ubiquitous sensor network node module and system therefore |
KR20100138523A (en) * | 2009-06-25 | 2010-12-31 | 유홍근 | Leak sensing apparatus having a fire sensing function |
KR20180065533A (en) * | 2016-12-08 | 2018-06-18 | 성백명 | Reusable leak detection sensor |
-
2018
- 2018-11-02 KR KR1020180133428A patent/KR10207629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341932A2 (en) * | 1988-05-09 | 1989-11-15 | Junkosha Co. Ltd. | A leak detecting sensor |
JP2001221703A (en) * | 2000-02-04 | 2001-08-17 |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 Liquid leak detector |
KR20090024858A (en) * | 2007-09-05 | 2009-03-10 | 주식회사 맥스포 | Ubiquitous sensor network node module and system therefore |
KR20100138523A (en) * | 2009-06-25 | 2010-12-31 | 유홍근 | Leak sensing apparatus having a fire sensing function |
KR20180065533A (en) * | 2016-12-08 | 2018-06-18 | 성백명 | Reusable leak detection sens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10238B1 (en) | Water detection assembly | |
US9212965B2 (en) | Leak detection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having slave controllers with unique IDs | |
KR101006710B1 (en) | Leak detection system | |
US20170356870A1 (en) | Remote communication and powering of sensors for monitoring pipelines | |
CN103279145A (en) |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for exposure of electronic devices to moisture and reacting to exposure of electronic devices to moisture | |
CN106415287A (en) |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sensing exposure of electronic devices to moisture | |
US10935508B2 (en) | Liquid detection device and liquid detection system for abnormal liquid on a surface | |
EP2817846A1 (en) | Battery fluid level sensor | |
JP2015076868A (en) | Abnormal state detection system | |
CA2859026C (en) | Liquid level sensing systems | |
KR102076294B1 (en) | Connectors with installed film-type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age sensor | |
JP7426811B2 (en) | Self-powered water leak detector | |
KR101983660B1 (en) | Leak detection apparatus | |
KR101939660B1 (en) | Fire and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 notification apparatus | |
US20150198519A1 (en) | Corrosion sensing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electrochemical cells activated by exposure to damaging fluids | |
KR102123568B1 (en) |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age monitoring system using CCTV and leakage detection sensors | |
KR102126902B1 (en) |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age sensor with IoT | |
KR102267065B1 (en) | An Internet of Things-based acid sensor system | |
CN117693672A (en) | Leak detection apparatus | |
US20240003730A1 (en) | Sensor system, sensor device, and sensing method | |
KR102365352B1 (en) | R-type fire alarm panel with leakage detection sensors | |
CN205507490U (en) | Emergent storage trusteeship system | |
CN212674179U (en) | Transmitter capable of being monitored | |
CN214796119U (en) | Case uncovering detection and alarm device | |
CN218420799U (en) |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water pressure sensor and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fire fight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