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75864B1 -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 - Google Patents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864B1
KR102075864B1 KR1020190062653A KR20190062653A KR102075864B1 KR 102075864 B1 KR102075864 B1 KR 102075864B1 KR 1020190062653 A KR1020190062653 A KR 1020190062653A KR 20190062653 A KR20190062653 A KR 20190062653A KR 102075864 B1 KR102075864 B1 KR 102075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magnet
magnets
coupled
eddy cur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태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이엔씨
원광건설(주)
하동알프스레포츠 주식회사
원광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이엔씨, 원광건설(주), 하동알프스레포츠 주식회사, 원광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06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8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61H9/02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for aerial, e.g. rope, railw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02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asynchronous induction type
    • H02K49/04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asynchronous induction type of the eddy-current hysteresi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 관한 것으로,
좌, 우측판(100, 200)과,
상기 좌, 우측판(100, 200) 사이에 설치되는 전, 후방축(110, 210)과,
상기 전, 후방축(110, 210)에 각각 설치되는 전, 후방베이링(120, 220)과,
상기 전, 후방베어링(120, 220)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롤러(30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자석(400)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트롤리의 롤러 내부에 복수 개의 자석을 설치하여 트롤리의 속도에 따라 유연하게 제동력을 제어하여 효율적인 운행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Zip line trolley with eddy current brake using permanent magnet}
본 발명은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트롤리의 롤러 내부에 복수 개의 자석을 설치하여 트롤리의 속도에 따라 유연하게 제동력을 제어하여 효율적인 운행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79227호의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브레이크장치에 의하면, 공중활강 체험시설중의 하나인 집라인(Zipline)은 양편에 있는 나무나 지주 사이를 케이블로 연결하고, 이 케이블에 도르래의 일종인 트롤리(Trolley)를 걸어서 빠른 속도록 반대편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이나 레포츠를 말한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79227호의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브레이크장치에 의하면, 출발지와 도착지(S)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 트롤리(100)가 활강하는 짚라인(200)과, 상기 짚라인(200)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조라인(300)과, 상기 짚라인(200)의 도착지(S)에 짚라인(200)을 타고 이동되면서 상기 주행 트롤리(100)와 도킹되어 주행 트롤리(100)를 정지시키거나 견인하는 브레이크(400)와, 상기 도착지(S) 전방의 보조라인(300)에 고정된 방향전환롤러(R1)에 의해 루프 상태로 거치되며, 양단이 상기 브레이크(400)에 연결된 순환라인(500)과, 상기 순환라인(50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브레이크(400)를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중립상태를 유지하는 구동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브레이크(400)의 전방에 연결된 순환라인(500)은 상기 방향전환롤러(R1)와 도착지(S) 사이의 보조라인(300)을 따라 이동하는 활주롤러(510)에 지지용 끈(520)으로 연결되어 방향전환롤러(R1)와 브레이크(400) 사이에 연결된 순환라인(50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400)가 기울어져 주행 트롤리(100)와의 도킹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브레이크(400)는 본체(410)의 전방에 스프링(420)과 가이드 바(430)로 연결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도킹수단(44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410)의 후방 하부 및 전방 상부에는 각각 순환라인(500)의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본체(410)는 상,하부체(412,414)로 분할되고, 상기 상,하부체(412,414)의 전후방에 각각 복수의 롤러(413,415)가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짚라인(200)이 끼워지며, 상기 상부체(412)의 상부 양측에는 전방을 향하여 스프링(420)과 가이드바(430)가 끼워지는 가이드 관(416)이 형성되고, 상기 도킹수단(440)은 상기 가이드 바(430)가 후방에 부착된 'ㄱ' 단면 형태의 홀더(442)와, 상기 홀더(442)의 전방에 상단이 힌지결합되며 하방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후방으로는 회동되나 전방으로는 회동이 억제된 스톱퍼(444)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퍼(444)는 토션 스프링(446)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주행 트롤리(100)의 진입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되어 열리고 전방으로는 닫히게 되어 주행 트롤리(100)와의 도킹이 이루어지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브레이크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96006호의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 및 그 이용방법에 의하면, 양단이 높이차를 갖도록 양단이 고정 설치된 브레이크 케이블(100);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10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짚 라인 케이블(200); 상기 짚 라인 케이블(200)의 도착지점에 설치되는 라인완충수단(300); 및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100)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동 마찰력을 발생시켜 주는 브레이크수단(400); 및 상기 브레이크수단(400)과 함께 연동하여 상기 짚 라인 케이블(200)을 따라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수단(400)의 제동 마찰력을 조절해 주는 작동도르레(500);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100)은 착지점의 높이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장력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상하완충수단(1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를 갖는 짚라인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트롤리의 롤러 내부에 복수 개의 자석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트롤리의 속도에 따라 유연하게 제동력을 제어하여 효율적인 운행을 가능케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트롤리의 롤러 내부에 복수 개의 자석을 설치하여 트롤리의 속도에 따라 유연하게 제동력을 제어하여 효율적인 운행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좌, 우측판(100, 200)과,
상기 좌, 우측판(100, 200) 사이에 설치되는 전, 후방축(110, 210)과,
상기 전, 후방축(110, 210)에 각각 설치되는 전, 후방베이링(120, 220)과,
상기 전, 후방베어링(120, 220)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롤러(30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자석(40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롤리의 롤러 내부에 복수 개의 자석을 설치하여 트롤리의 속도에 따라 유연하게 제동력을 제어하여 안전한 운행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의 좌, 우측커버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에 설치된 구조시설 사진
도 5는 본 발명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에 구조시설의 구조판 확대 사진
도 6은 본 발명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의 구조시설 개요도
본 발명은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좌, 우측판(100, 200)과,
상기 좌, 우측판(100, 200) 사이에 설치되는 전, 후방축(110, 210)과,
상기 전, 후방축(110, 210)에 각각 설치되는 전, 후방베이링(120, 220)과,
상기 전, 후방베어링(120, 220)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롤러(30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자석(40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300)는 링 형상의 좌, 우측케이스(310, 320)와,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의 좌, 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좌, 우측커버(330, 3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에는 각각 복수 개의 자석이 결합될 수 있는 자석결합부(311, 3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300)의 좌, 우측케이스(310, 320)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자석(400)은 방사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자석(400)은 N극 자석(410)과 S극 자석(420)이 교차로 배열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의 좌, 우측커버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에 설치된 구조시설 사진, 도 5는 본 발명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에 구조시설의 구조판 확대 사진, 도 6은 본 발명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의 구조시설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1)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트롤리의 롤러 내부에 복수 개의 자석을 설치하여 트롤리의 속도에 따라 유연하게 제동력을 제어하여 효율적인 운행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트롤리는 좌, 우측판(100, 200)과, 상기 좌, 우측판(100, 200) 사이에 설치되는 전, 후방축(110, 210)과, 상기 전, 후방축(110, 210)에 각각 설치되는 전, 후방베이링(120, 220)과, 상기 전, 후방베어링(120, 220)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 우측판(100, 200)은 판재형성으로 형성되되, 판재의 형상은 사용자의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판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좌, 우측판의 중심부에는 지지축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축(3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축(30)에는 견인바(40)의 힌지축(41)이 삽입설치되고, 상기 힌지축(41)에는 견인바몸체(42)가 결합된다.
상기 견인바몸체는 지지축에 삽입되는 힌지축의 끝단에 결합되는 수직축(42-1)과, 상기 수직축(4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결합부(4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의 양 끝단에는 견인고리홀(42-3)이 형성되고, 상기 견인고리홀에는 사람(피구조자 또는 구조자)이 탈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착용하고 견인줄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좌, 우측판 사이에는 지지축을 기준으로 전, 후방에 파이프 형상의 전, 후방축이 설치된다.
상기 전, 후방축에는 각각 전, 후방베어링이 설치된다.
상기 전방베어링은 웬웨이베어링과 볼베어링이 한 세트로 설치되고, 후방베어링도 웬웨이베어링과 볼베어링이 한 세트로 설치된다.
이에, 상기 전, 후방베어링에 설치되는 롤러는 웬웨이베어링에 의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트롤리가 짚라인이 도착지점에서 완충장치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 이후, 다시 뒤로 튀겨나가지 않도록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롤러(300)는 링 형상의 좌, 우측케이스(310, 320)와,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의 좌, 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좌, 우측커버(330, 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 우측커버는 좌, 우측판에 결합되고, 상기 좌, 우측커버는 좌, 우측케이스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좌, 우측케이스는 좌, 우측커버에 결합된 채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가 좌측케이스가 볼베어링에 결합되면, 우측케이스는 원웨이베어링에 결합되고, 반대로 좌측케이스가 원웨이베어링에 결합되면, 우측케이스는 볼베어링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좌, 우측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일면이 결합되며,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외주연은 오목하게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에는 링 형상의 고무패드가 설치된다.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에는 각각 복수 개의 자석이 결합될 수 있는 자석결합부(311, 312)가 형성된다.
상기 자석결합부는 좌, 우측케이스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자석결합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자석결합구멍은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자석결합구멍에는 자석이 결합되며, 상기 자석은 영구자석을 사용한다.
상기 롤러(300)의 좌, 우측케이스(310, 320)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자석(400)은 방사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자석(400)은 N극 자석(410)과 S극 자석(420)이 교차로 배열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좌, 우측면에는 각각 좌, 우측커버가 결합된다.
상기 좌, 우측커버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커버(33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 하부판(331, 332)과, 상기 상, 하부판(331, 332)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3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 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자석결합부에 각각 방사형으로 N극과 S극이 교차로 배열되어 있는 자석은 N극 자석과 S극 자석에 의하여 각각 자기장이 형성되며, 상기 자기장은 와전류 발생에 이용되게 되며, 와전류를 이용하여 트롤리에 설치된 롤러에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좌, 우측케이스가 회전하면, 상기 좌, 우측케이스에 설치된 자석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케이스가 회전하면 자석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좌, 우측커버는 좌, 우측케이스의 자석결합부에 설치된 자석이 회전됨에 따라 영구자석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되고, 자석이 회전하면서 와전류가 발생하여 이때 저항이 발생된다. 이에, 와전류에 의해 트롤리의 제동력이 발생하게 되고, 제동력은 속도에 비례하여 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운행이 가능케 한다.
한편, 상기 트롤리의 좌, 우측판에는 트롤리의 롤러에 접촉되는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장치(50)는 좌, 우측판에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우측판의 하부에는 힌지축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클립(51)이 설치되고, 상기 클립은 좌측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걸쇠(52)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트롤리의 좌, 우측판의 정면에는 고무스토퍼(60)가 설치되어 있어, 트롤리의 고무스토퍼가 짚라인 도착지점에 설치된 스토퍼에 부딪히면 충격을 흡수하여 트롤리가 멈추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는 구조용 트롤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조용 트롤리는 등받이(510)와 안장(520)으로 이루어진 의자(500)와, 상기 의자(500)의 안장(520) 하면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600)과, 상기 수평프레임(600)의 전방 끝단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700)과, 상기 수직프레임(700)의 하부 끝단에 설치되는 구조판(800)과, 상기 수직프레임(700)의 상단에 설치되는 라쳇부(9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등받이는 역삼각형으로 형성되며, 등받이의 하부에는 안장이 설치되며, 상기 안장은 등받이와 90°가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안장의 하면에는 수평프레임이 설치되되,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방은 의자의 등받이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고, 수평프레임의 전방은 의자의 안장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방 끝단에는 수직프레임이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은 하면에 구조판이 설치되며, 상기 구조판(800)은 사각판재 형상의 수평판(810)과, 상기 수평판(810)의 상면 좌, 우측에 설치되어 좌, 우로 회동되는 안전바(8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바(820)는 한 쌍의 수직축(821)과, 상기 한 쌍의 수직축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축(8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수직축 하부는 수평판의 상면에 힌지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구조를 할 때는 수평판에 설치된 안전바를 회동시켜 수평판과 90°되게 하고, 구조가 끝나고 보관할 때는 수평판에 설치된 안전바를 회동시켜 수평판과 나란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700)의 상부 끝단은 다른 트롤리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 끝단에 설치된 다른 트롤리에는 전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모터를 작동시켜 짚라인에 설치된 트롤리를 경사에 상관없이 전, 후 방향으로 어디로든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는 라쳇부(900)가 설치되며, 상기 라쳇부(900)에는 줄(10)의 일단이 감겨 있으며, 상기 줄(10)의 타단은 수직프레임(700)과 수평프레임(600)에 설치된 보조롤러(610, 710)에 의해 의자(500)의 후방으로 연결되어 의자(5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트롤리를 거쳐 의자(500)의 등받이(510)에 연결된다.
상기 의자의 상부에 위치한 트롤리에는 도르레가 설치되고, 상기 라쳇부에서 보조롤러를 거친 와이어는 트롤리에 설치된 도르레를 거친후 의자의 등받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라쳇부에는 손잡이(910)가 설치되어 손잡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줄이 감기게 되며,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줄은 풀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구조용 트롤리를 이용하여 구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구조자가 와이어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트롤리를 타고 이동하는 도중 중간에 멈췄을 때, 구조자는 구조시설이 설치된 트롤리를 타고 이동하여 멈춰있는 트롤리가 있는 곳까지 이동한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 끝단에 설치된 다른 트롤리에는 전동모터가 설치되어, 짚라인 와이어의 경사에 상관없이 구조시설이 설치된 트롤리를 타고 피구조자가 있는 곳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구조자의 발아래에는 구조판이 위치하게 되고, 피구조자는 구조판 위에 안착하게 된다.
상기 구조판에 피구조자가 안착하게 되면 구조자는 라쳇부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라쳇부에 줄이 감겨 와이어의 줄이 팽팽해 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라쳇부에 줄이 감기게 되어 구조자가 타고 있는 구조용 트롤리가 수평을 잡게 되어, 피구조자가 구조판에 더욱 안전하게 안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롤리의 롤러 내부에 복수 개의 자석을 설치하여 트롤리의 속도에 따라 유연하게 제동력을 제어하여 효율적인 운행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200 : 좌, 우측판
110, 210 : 전, 후방축
120, 220 : 전, 후방베이링
300 : 롤러
310, 320 : 좌, 우측케이스
330, 340 : 좌, 우측커버
331, 332 : 상, 하부판
333 : 지지부재
311, 312 : 자석결합부
400 : 자석
410 : N극 자석
420 : S극 자석
500 : 의자
510 : 등받이 520 : 안장
600 : 수평프레임 700 : 수직프레임
610, 710 : 보조롤러
800 : 구조판 810 : 수평판
820 : 안전바 821 : 한 쌍의 수직축
822 : 수평축
900 : 라쳇부
1 : 와이어
10 : 줄 30 : 지지축
40 : 견인바 41 : 힌지축
42 : 견인바몸체 42-1 : 수직축
42-2 : 결합부 42-3 : 견인고리홀
50 : 이탈방지장치 51 : 클립
52 : 걸쇠
60 : 고무스토퍼

Claims (3)

  1. 좌, 우측판(100, 200)과, 상기 좌, 우측판(100, 200) 사이에 설치되는 전, 후방축(110, 210)과, 상기 전, 후방축(110, 210)에 각각 설치되는 전, 후방베이링(120, 220)과, 상기 전, 후방베어링(120, 220)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롤러(30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자석(400)이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판(100, 200)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좌, 우측판(100, 200)의 중심부에는 지지축(3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3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30)에는 견인바(40)의 힌지축(41)이 삽입설치되고, 상기 힌지축(41)에는 견인바몸체(42)가 결합되고, 상기 견인바몸체(42)는 지지축(30)에 삽입되는 힌지축(41)의 끝단에 결합되는 수직축(42-1)과, 상기 수직축(4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결합부(4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42-2)의 양 끝단에는 견인고리홀(42-3)이 형성되고, 상기 견인고리홀(42-3)에는 사람이 탈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착용하고 견인줄이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좌, 우측판(100, 200) 사이에는 지지축(30)을 기준으로 전, 후방에 파이프 형상의 전, 후방축(110, 210)이 설치되고, 상기 전, 후방축(110, 210)에는 각각 전, 후방베어링(120, 220)이 설치되며, 상기 전방베어링(120)은 웬웨이베어링과 볼베어링이 한 세트로 설치되고, 후방베어링(220)도 웬웨이베어링과 볼베어링이 한 세트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 후방베어링(120, 220)에 설치되는 롤러(300)는 웬웨이베어링에 의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고, 상기 트롤리가 짚라인이 도착지점에서 완충장치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 이후, 다시 뒤로 튀겨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롤러(300)는 링 형상의 좌, 우측케이스(310, 320)와,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의 좌, 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좌, 우측커버(330, 3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 우측커버(310, 320)는 좌, 우측판(100, 200)에 결합되고, 상기 좌, 우측커버(330, 340)는 좌, 우측케이스(310, 320)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는 좌, 우측커버(330, 340)에 결합된 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는 서로 마주보는 일면이 결합되며,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의 외주연은 오목하게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에는 링 형상의 고무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에는 각각 복수 개의 자석이 결합될 수 있는 자석결합부(311, 312)가 형성되고, 상기 자석결합부(311, 312)는 좌, 우측케이스(310, 320)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자석결합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자석결합구멍은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자석결합구멍에는 자석(400)이 결합되며, 상기 자석(400)은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롤러(300)의 좌, 우측케이스(310, 320)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자석(400)은 방사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자석(400)은 N극 자석(410)과 S극 자석(420)이 교차로 배열되게 설치되고,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의 좌, 우측면에는 각각 좌, 우측커버(330, 340)가 결합되며, 상기 좌, 우측커버(330, 34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커버(33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 하부판(331, 332)과, 상기 상, 하부판(331, 332)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3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333)는 복수 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의 자석결합부(311, 312)에 각각 방사형으로 N극과 S극이 교차로 배열되어 있는 자석은 N극 자석과 S극 자석에 의하여 각각 자기장이 형성되며, 상기 자기장은 와전류 발생에 이용되게 되며, 와전류를 이용하여 트롤리에 설치된 롤러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가 회전하면,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에 설치된 자석(400)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좌, 우측케이스(310, 320)가 회전하면 자석(400)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좌, 우측커버(330, 340)는 좌, 우측케이스(310, 320)의 자석결합부(311, 312)에 설치된 자석(400)이 회전됨에 따라 영구자석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되고, 자석(400)이 회전하면서 와전류가 발생하여 이때 저항이 발생되며, 와전류에 의해 트롤리의 제동력이 발생하게 되고, 제동력은 속도에 비례하여 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운행이 가능케 하는 것이며,
    상기 트롤리의 좌, 우측판(100, 200)에는 트롤리의 롤러(300)에 접촉되는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장치(50)가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장치(50)는 좌, 우측판(100, 200)에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우측판(200)의 하부에는 힌지축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클립(51)이 설치되고, 상기 클립(51)은 좌측판(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걸쇠(52)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트롤리의 좌, 우측판(100, 200)의 정면에는 고무스토퍼(60)가 설치되어 있어, 트롤리의 고무스토퍼(60)가 짚라인 도착지점에 설치된 스토퍼에 부딪히면 충격을 흡수하여 트롤리가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
  2. 삭제
  3. 삭제
KR1020190062653A 2019-05-28 2019-05-28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 Active KR102075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53A KR102075864B1 (ko) 2019-05-28 2019-05-28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53A KR102075864B1 (ko) 2019-05-28 2019-05-28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864B1 true KR102075864B1 (ko) 2020-02-12

Family

ID=6956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653A Active KR102075864B1 (ko) 2019-05-28 2019-05-28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86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455B1 (ko) * 2021-06-07 2021-11-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이중 회전 기구
KR102334692B1 (ko) 2021-08-13 2021-12-02 도태구 와전류 제동기를 구비한 짚라인용 도르래
KR20220108448A (ko) 2021-01-27 2022-08-03 박시우 트롤리 고장 검출 장치
CN114857989A (zh) * 2022-04-25 2022-08-05 孙文宜 火炮通用永磁磁力制动驻退机
KR102485931B1 (ko) * 2022-07-14 2023-01-09 주식회사 더챌린지 하강 레포츠용 트롤리 구조체
KR102701555B1 (ko) * 2024-01-09 2024-09-03 에코테인먼트코리아 주식회사 지형적 한계를 극복한 외줄 하강시설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53B1 (ko) * 2012-05-21 2013-07-23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감속 트롤리
KR101793203B1 (ko) * 2017-05-11 2017-11-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활강 레포츠에 사용되는 트롤리
EP3257562A1 (en) * 2016-06-17 2017-12-20 Martello Teleferiche S.r.l. Trolley for a zip line
US10065507B1 (en) * 2017-10-06 2018-09-04 Zip-Flyer, Llc Speed restriction systems using eddy curr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53B1 (ko) * 2012-05-21 2013-07-23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감속 트롤리
EP3257562A1 (en) * 2016-06-17 2017-12-20 Martello Teleferiche S.r.l. Trolley for a zip line
KR101793203B1 (ko) * 2017-05-11 2017-11-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활강 레포츠에 사용되는 트롤리
US10065507B1 (en) * 2017-10-06 2018-09-04 Zip-Flyer, Llc Speed restriction systems using eddy current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448A (ko) 2021-01-27 2022-08-03 박시우 트롤리 고장 검출 장치
KR102329455B1 (ko) * 2021-06-07 2021-11-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이중 회전 기구
KR102334692B1 (ko) 2021-08-13 2021-12-02 도태구 와전류 제동기를 구비한 짚라인용 도르래
CN114857989A (zh) * 2022-04-25 2022-08-05 孙文宜 火炮通用永磁磁力制动驻退机
KR102485931B1 (ko) * 2022-07-14 2023-01-09 주식회사 더챌린지 하강 레포츠용 트롤리 구조체
KR102701555B1 (ko) * 2024-01-09 2024-09-03 에코테인먼트코리아 주식회사 지형적 한계를 극복한 외줄 하강시설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864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
US12076657B2 (en) Zip line rail system
US10333378B2 (en) Speed restriction system using eddy currents
US8556234B2 (en) Single cable descent control device
US7966941B1 (en) Rider controlled zip line trolley brake
US20140311376A1 (en) Rider Controlled Zip Line Trolley Brake System
US20020162477A1 (en) Dual cable zipline having mechanical ascension and braking systems
US10065507B1 (en) Speed restriction systems using eddy currents
US9675893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agnetic spin control for track-mounted vehicles
US20130239841A1 (en) Trolley Transport System
US9669319B2 (en) Terminal-recoil-attenuation system and method
US9272166B2 (en) Movable cable loop descent system
KR102303218B1 (ko) 공중활강 체험자 구조장치
KR101865137B1 (ko) 연습용 봅슬레이
US9789410B2 (en) Auto reset zip line
KR101879227B1 (ko)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브레이크장치
KR102281015B1 (ko) 짚라인 트롤리
KR102051565B1 (ko) 구조용 트롤리
KR102252838B1 (ko)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EP3369636B1 (en) Zip-line system and trolley for such zip-line system
KR102222373B1 (ko) 승마 연습용 안전장치
KR102311864B1 (ko) 짚라인 브레이크 작동방법
KR20130094931A (ko)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CN217246690U (zh) 天空秋千可行走小车装置
KR102043724B1 (ko) 레일 운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11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