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042B1 -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및 시트 싱킹 시스템 - Google Patents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및 시트 싱킹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5042B1 KR102075042B1 KR1020180045234A KR20180045234A KR102075042B1 KR 102075042 B1 KR102075042 B1 KR 102075042B1 KR 1020180045234 A KR1020180045234 A KR 1020180045234A KR 20180045234 A KR20180045234 A KR 20180045234A KR 102075042 B1 KR102075042 B1 KR 1020750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spring
- camshaft
- wall portion
- rotating frame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7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시 간편하게 헤드 레스트를 시트 방향으로 폴딩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및 시트 싱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접철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형성되는 접철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전개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의 록킹 상태시 상기 회전 프레임에 작용하는 상기 복원력이 좌우측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축의 중심에 상기 록킹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및 시트 싱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시 간편하게 헤드 레스트를 시트 방향으로 폴딩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및 시트 싱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승객의 착좌 시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쿠션과, 승객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백 및 승객의 목과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 레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시트는 착석한 승객에 따라 맞추어 적절한 안락감을 주기 위해서 시트백의 각도조절 기능(리클라이너), 시트 쿠션의 높이조절 기능, 시트의 전후 위치조절기능(슬라이드장치)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기본적으로 탑재할 수 있다.
아울러 2열 혹은 3열 이상의 시트를 가진 차량의 경우에는 전술한 시트의 기본적인 기능들 외, 승객의 편의를 위해서 또는 화물 적재 공간 확보 등의 이유로 시트의 위치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부가 기능들을 더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기능들 중 하나로서, 팁 업(tip up) 기능이 있다. 팁 업이 가능한 시트는, 예컨대 미사용 중인 차량 시트에 대해 시트백과 시트 쿠션을 세워진 상태로 절첩시키고 이를 위해서 헤드 레스트를 폴딩시킴으로써, 차량 내 후열 시트로 출입하는 승객의 공간 활용을 높이거나 혹은 화물 적재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기능인 싱킹(sinking) 기능이 있다. 이러한 싱킹 기능은 시트 쿠션에 시트 백이 접히면서 적재 공간을 만들거나 차체 바닥을 격납시켜서 적재 공간을 만드는 것으로서, 이 역시 싱킹을 위해 헤드 레스트를 폴딩시킬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헤드 레스트의 폴딩 장치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40447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정캠과 회전캠이 서로 맞물린 록킹 상태에서 와이어로 회전캠을 회전시키면 록킹이 해제되면서 헤드 레스트 프레임이 폴딩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는, 고정캠과 회전캠 등 회전 프레임을 록킹하기 위한 록킹 장치의 록킹 위치가 일반적으로 조립의 편의성이나 부품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회전 프레임의 회전축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편중되게 치우쳐지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록킹 장치가 편심된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는, 록킹시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이 한쪽으로 치우쳐지게 작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대에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머리 지지대의 한쪽은 하중에 의해 부품이 쉽게 고장나거나, 반대편 다른쪽은 헐거워져서 차량의 진동시 소음이 발생되거나, 사고 발생시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의 파손이 발생되어 제품의 안전도가 낮아지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록킹시 접철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이 양쪽으로 골고루 분산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대에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어 부품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의 헐거워짐을 방지하여 차량의 진동시 소음도를 낮출 수 있으며, 사고 발생시에도 사용자의 머리 하중을 분산시켜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제품의 안전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및 시트 싱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는, 시트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접철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형성되는 접철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전개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의 록킹 상태시 상기 회전 프레임에 작용하는 상기 복원력이 좌우측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축의 중심에 상기 록킹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시트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1 후벽부와 상기 제 1 후벽부에 형성되는 제 1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시트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 2 후벽부와 상기 제 2 후벽부에 상기 제 1 측벽부와 제 1 공간을 두고 형성되는 제 2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제 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헤드 레스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 지지대; 및 상기 머리 지지대의 양단부를 연결하고, 접철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캠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캠축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캠 부재;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힌지축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힌지축의 정회전시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고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철 탄성 스프링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록킹 상태시 상기 회전 프레임에 작용하는 상기 복원력이 좌우측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캠축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 2 측벽부와 상기 캠축의 타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과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은 상기 캠 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과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캠축과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캠축은, 캠축 몸체; 상기 캠축 몸체의 일단에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제 1 측벽부에 관통되며,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제 1 캠축 단부; 및 상기 캠축 몸체의 타단에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제 2 측벽부에 관통되며,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제 2 캠축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는, 상기 걸림홈부로부터 상기 걸림부를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을 역회전시키는 걸림 해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 해제 장치는, 일단이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고, 다단에 와이어볼 수용홈이 형성되는 와이어 브라켓; 및 상기 와이어 브라켓의 와이어볼 수용홈에 수용되는 와이어볼 및 상기 와이어볼에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시트 싱킹 시스템은, 시트; 상기 시트를 차량의 실내 바닥의 수용 공간으로 싱킹(sinking)시키는 시트 싱킹 장치; 및 상기 시트의 싱킹시 상기 시트의 헤드 레스트를 폴딩 시키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는, 시트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접철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형성되는 접철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전개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의 록킹 상태시 상기 회전 프레임에 작용하는 상기 복원력이 좌우측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축의 중심에 상기 록킹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전 프레임을 중심으로 회전 프레임의 록킹시 접철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이 양쪽으로 골고루 분산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대에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어 부품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의 헐거워짐을 방지하여 차량의 진동시 소음도를 낮출 수 있으며, 사고 발생시에도 사용자의 머리 하중을 분산시켜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제품의 안전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부품 분해 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부품 분해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트 싱킹 시스템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시트 싱킹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시트 싱킹 시스템의 전개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시트 싱킹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시트 싱킹 시스템의 싱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4의 시트 싱킹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부품 분해 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부품 분해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트 싱킹 시스템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시트 싱킹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시트 싱킹 시스템의 전개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시트 싱킹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시트 싱킹 시스템의 싱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4의 시트 싱킹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부품 분해 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부품 분해 후방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는, 고정 프레임(10)과, 회전 프레임(20)과, 접철 탄성 스프링(E) 및 록킹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시트측에 나사나 볼트나 리벳이나 용접이나 접착이나 각종 패스너 등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상기 시트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1 후벽부(11-1)와 상기 제 1 후벽부(11-1)에 형성되는 제 1 측벽부(11-2)로 이루어지는 제 1 브라켓(11) 및 상기 시트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 2 후벽부(12-1)와 상기 제 2 후벽부(12-1)에 상기 제 1 측벽부(11-2)와 제 1 공간(A)을 두고 형성되는 제 2 측벽부(12-2)로 이루어지는 제 2 브라켓(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후벽부(11-1)와, 상기 제 2 후벽부(12-1)는 상기 시트에 고정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 1 측벽부(11-1) 및 상기 제 2 측벽부(12-2)는 후술될 상기 회전 프레임(20)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상기 제 1 브라켓(11)과 상기 제 2 브라켓(12)으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2피스 형태가 도시되었으나, 이외에도 일체형 1피스 형태나, 기타 3피스, 4피스 등 매우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고정 프레임(10)을 이용하여 헤드 레스트를 상기 시트에 접철이 가능한 형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은, 상기 헤드 레스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 지지대(21)와, 상기 머리 지지대(21)의 양단부를 연결하고, 접철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측벽부(11-2)와 상기 제 2 측벽부(12-2)를 회전이 자유롭게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캠축(22) 및 상기 머리 지지대(21)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 브라켓(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머리 지지대(21)의 형상은 반드시 역U자 형상에만 국한되지 않고 매우 다양한 형태의 머리 받침대 형상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축(22)은 후술될 캠 부재(31)를 설치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브라켓(23)은 상기 머리 지지대(21)에 용접되거나 각종 패스너로 고정될 수 있는 판재로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필요시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 프레임(2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상기 캠축(22)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시트 방향으로 접철되는 접철 상태 또는, 상기 시트로부터 전개되는 전개 상태가 가능하도록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 탄성 스프링(E)은, 상기 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20)이 접철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형성되는 일종의 코일 스프링으로서, 도시된 코일 스프링 이외에도 각종 판 스프링, 와이어 스프링, 태엽 스프링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철 탄성 스프링(E)에 의해서 상기 회전 프레임(20)은 상기 시트 방향으로 항상 접철되려는 복원력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장치(30)는, 상기 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20)이 전개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장치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장치(30)는,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캠축(22)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홈부(31a)가 형성되는 캠 부재(31)와,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되는 힌지축(H)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힌지축(H)의 정회전시 걸림부(T)가 상기 걸림홈부(31a)에 걸림 결합되는 걸고리 부재(32) 및 상기 걸림부(T)가 상기 걸림홈부(31a)에 걸림 결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록킹 탄성 스프링(E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록킹 상태시 상기 회전 프레임(20)에 작용하는 상기 복원력이 좌우측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회전축의 중심에 상기 록킹 장치(30), 즉, 상기 캠 부재(31)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캠축(22)의 중심부에 복원력이 집중되는 상기 캠 부재(31)가 설치되고, 아울러, 상기 힌지축(H)의 중심부에 상기 캠 부재(31)와 대응되도록 상기 걸고리 부재(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 프레임(20)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록킹시 접철 탄성 스프링(E)의 복원력이 양쪽으로 골고루 분산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상기 머리 지지대(21)에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어 부품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의 헐거워짐을 방지하여 차량의 진동시 소음도를 낮출 수 있으며, 사고 발생시에도 사용자의 머리 하중을 분산시켜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제품의 안전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 탄성 스프링(E)의 복원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접철 탄성 스프링(E)은,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록킹 상태시 상기 회전 프레임(20)에 작용하는 상기 복원력이 좌우측으로 균일하게 분포되기 위해서, 상기 제 1 측벽부(11-2)와 상기 캠축(22)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탄성 스프링(E1) 및 상기 제 2 측벽부(12-2)와 상기 캠축(22)의 타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탄성 스프링(E2)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E1)과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E2)은 상기 캠 부재(31)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E1)과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E2)의 복원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 프레임(20)에 작용하는 복원력이나 사용자 머리의 하중을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좌우측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균등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균등 분산형 부품들의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캠축(22)과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E1) 및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E2)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캠축(22)은, 캠축 몸체(22-1)와, 상기 캠축 몸체(22-1)의 일단에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제 1 측벽부(11-2)에 관통되며,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E1)이 설치되는 제 1 캠축 단부(22-2) 및 상기 캠축 몸체(22-1)의 타단에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제 2 측벽부(12-2)에 관통되며,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E2)이 설치되는 제 2 캠축 단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자는 상기 캠축 몸체(22-1)에 상기 캠 부재(31)를 조립하여 준비한 다음, 상기 제 1 측벽부(11-2)와 상기 제 2 측벽부(12-2)에 각각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E1)과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E2)이 미리 조립된 상기 제 1 캠축 단부(22-2)와 상기 제 2 캠축 단부(22-3)를 예비 조립한 다음, 미리 준비된 상기 캠축 몸체(22-1)를 단부들(22-2)(22-3)들과 최종적으로 간편하게 조립하고, 이를 용접하여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는, 상기 걸림홈부(31a)로부터 상기 걸림부(T)를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H)을 역회전시키는 걸림 해제 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해제 장치(40)는, 일단이 상기 힌지축(H)에 고정되고, 다단에 와이어볼 수용홈(B)이 형성되는 와이어 브라켓(41)와, 상기 와이어 브라켓(41)의 상기 와이어볼 수용홈(B)에 수용되는 와이어볼(WB) 및 상기 와이어볼(WB)에 연결되는 와이어(W)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부재(42) 및 상기 와이어(W)를 보호하는 와이어 튜브(WT)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와이어를 잡아 당겨서 간편하게 헤드 레스트를 폴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폴딩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록킹 상태는, 아직 상기 와이어(W)에 장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로서, 상기 록킹 탄성 스프링(E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고리 부재(32)의 상기 걸림부(T)가 상기 캠 부재(31)의 상기 걸림홈부(31a)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머리 지지대(21)가 전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머리 지지대(21)에 작용되는 복원력이나 사용자 머리의 지지 하중은 상기 캠 부재(31)를 중심으로 좌우측 균일하게 분배되어 부품의 내구성과 하중을 향상시키고, 사고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해제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와이어(W)에 장력이 인가되면, 상기 록킹 탄성 스프링(E3)의 복원력을 이기고, 상기 걸고리 부재(32)가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부(T)가 상기 캠 부재(31)의 상기 걸림홈부(31a)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캠 부재(31)는 상기 걸고리 부재(32)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머리 지지대(21) 역시 자유로워 질 수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로워진 상기 회전 프레임(10)의 상기 머리 지지대(21)는 상술된 상기 접철 탄성 스프링(E)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시트 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철 탄성 스프링(E)의 복원력 역시, 상기 회전 프레임(10)의 상기 머리 지지대(21)의 좌우측에 균일하게 분배되어 부품의 내구성과 하중을 향상시키고, 접철시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트 싱킹 시스템(1000)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시트 싱킹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먼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트 싱킹 시스템(1000)은, 시트(1)와, 상기 시트(1)를 차량의 실내 바닥(2)의 수용 공간(S)으로 싱킹(sinking)시키는 시트 싱킹 장치(200) 및 상기 시트(1)의 싱킹시 상기 시트(1)의 헤드 레스트(HR)를 폴딩 시키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 싱킹 장치(200)는, 시트에 설치되는 싱킹 레버(210)와, 상기 싱킹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상기 와이어(W)와 연동되는 연동 와이어(미도시) 및 상기 시트(1)와 상기 수용 공간(S)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접철 링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와 그 구성 및 역할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트 싱킹 시스템(100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싱킹 레버(210)의 대기 상태에서, 상기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와 상기 시트 싱킹 장치(200)에 의해서, 전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시트 싱킹 시스템(1000)의 전개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시트 싱킹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싱킹 레버(210)를 잡아 당기거나 누르는 동작 등으로 조작하면, 상기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와 상기 시트 싱킹 장치(20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서, 자유롭게 된 상기 시트(1)는 상기 접철 링크(220)에 의해 접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싱킹 레버(210)와 상기 연동 와이어로 연동된 상기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에 의해 상기 헤드 레스트(HR) 역시 상기 시트(1)에 접철되어 싱킹시 상기 수용 공간(S)과 간섭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0의 시트 싱킹 시스템(1000)의 싱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은 도 14의 시트 싱킹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어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된 상기 시트(1)를 상기 수용 공간(S) 내에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트 싱킹 시스템(1000)은 상기 시트(1)를 차량 실내 바닥의 상기 수용 공간(S) 안에 싱킹시킬 수 있고, 이 때, 상기 헤드 레스트(HR)도 상기 수용 공간(S)과 간섭되지 않도록 접철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고정 프레임
11: 제 1 브라켓
11-1: 제 1 후벽부
11-2: 제 1 측벽부
12: 제 2 브라켓
12-1: 제 2 후벽부
12-2: 제 2 측벽부
20: 회전 프레임
21: 머리 지지대
22: 캠축
22-1: 캠축 몸체
22-2: 제 1 캠축 단부
22-3: 제 2 캠축 단부
23: 보강 브라켓
30: 록킹 장치
31: 캠 부재
32: 걸고리 부재
E: 접철 탄성 스프링
E1: 제 1 탄성 스프링
E2: 제 2 탄성 스프링
E3: 록킹 탄성 스프링
40: 걸림 해제 장치
41: 와이어 브라켓
42: 와이어 부재
100: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1000: 시트 싱킹 시스템
11: 제 1 브라켓
11-1: 제 1 후벽부
11-2: 제 1 측벽부
12: 제 2 브라켓
12-1: 제 2 후벽부
12-2: 제 2 측벽부
20: 회전 프레임
21: 머리 지지대
22: 캠축
22-1: 캠축 몸체
22-2: 제 1 캠축 단부
22-3: 제 2 캠축 단부
23: 보강 브라켓
30: 록킹 장치
31: 캠 부재
32: 걸고리 부재
E: 접철 탄성 스프링
E1: 제 1 탄성 스프링
E2: 제 2 탄성 스프링
E3: 록킹 탄성 스프링
40: 걸림 해제 장치
41: 와이어 브라켓
42: 와이어 부재
100: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1000: 시트 싱킹 시스템
Claims (9)
- 시트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접철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형성되는 접철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전개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의 록킹 상태시 상기 회전 프레임에 작용하는 상기 복원력이 좌우측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축의 중심에 상기 록킹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시트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1 후벽부와 상기 제 1 후벽부에 형성되는 제 1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시트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 2 후벽부와 상기 제 2 후벽부에 상기 제 1 측벽부와 제 1 공간을 두고 형성되는 제 2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제 2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헤드 레스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 지지대; 및
상기 머리 지지대의 양단부를 연결하고, 접철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캠축;
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캠축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캠 부재;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힌지축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힌지축의 정회전시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고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 탄성 스프링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록킹 상태시 상기 회전 프레임에 작용하는 상기 복원력이 좌우측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캠축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 2 측벽부와 상기 캠축의 타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과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은 상기 캠 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과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캠축과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캠축은,
캠축 몸체;
상기 캠축 몸체의 일단에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제 1 측벽부에 관통되며,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제 1 캠축 단부; 및
상기 캠축 몸체의 타단에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제 2 측벽부에 관통되며,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제 2 캠축 단부;
를 포함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로부터 상기 걸림부를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을 역회전시키는 걸림 해제 장치;
를 더 포함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해제 장치는,
일단이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고, 다단에 와이어볼 수용홈이 형성되는 와이어 브라켓; 및
상기 와이어 브라켓의 와이어볼 수용홈에 수용되는 와이어볼 및 상기 와이어볼에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부재;
를 포함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 시트;
상기 시트를 차량의 실내 바닥의 수용 공간으로 싱킹(sinking)시키는 시트 싱킹 장치; 및
상기 시트의 싱킹시 상기 시트의 헤드 레스트를 폴딩 시키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는,
시트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접철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형성되는 접철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전개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의 록킹 상태시 상기 회전 프레임에 작용하는 상기 복원력이 좌우측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축의 중심에 상기 록킹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시트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1 후벽부와 상기 제 1 후벽부에 형성되는 제 1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시트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 2 후벽부와 상기 제 2 후벽부에 상기 제 1 측벽부와 제 1 공간을 두고 형성되는 제 2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제 2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헤드 레스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 지지대; 및
상기 머리 지지대의 양단부를 연결하고, 접철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캠축;
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캠축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캠 부재;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힌지축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힌지축의 정회전시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고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 탄성 스프링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록킹 상태시 상기 회전 프레임에 작용하는 상기 복원력이 좌우측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캠축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 2 측벽부와 상기 캠축의 타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과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은 상기 캠 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과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캠축과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캠축은,
캠축 몸체;
상기 캠축 몸체의 일단에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제 1 측벽부에 관통되며, 상기 제 1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제 1 캠축 단부; 및
상기 캠축 몸체의 타단에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제 2 측벽부에 관통되며,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제 2 캠축 단부;
를 포함하는, 시트 싱킹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5234A KR102075042B1 (ko) | 2018-04-18 | 2018-04-18 |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및 시트 싱킹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5234A KR102075042B1 (ko) | 2018-04-18 | 2018-04-18 |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및 시트 싱킹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1647A KR20190121647A (ko) | 2019-10-28 |
KR102075042B1 true KR102075042B1 (ko) | 2020-02-10 |
Family
ID=6842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5234A KR102075042B1 (ko) | 2018-04-18 | 2018-04-18 |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및 시트 싱킹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5042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3327B1 (ko) * | 2008-04-24 | 2010-02-19 | 우성테크(주) |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 접힘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1254B1 (ko) * | 2001-12-17 | 2004-12-10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접이식 시트 수납장치 |
-
2018
- 2018-04-18 KR KR1020180045234A patent/KR1020750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3327B1 (ko) * | 2008-04-24 | 2010-02-19 | 우성테크(주) |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 접힘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1647A (ko) | 2019-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1809B1 (ko) |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너 | |
US7393056B2 (en) | Vehicle seat release assembly | |
US20040124687A1 (en) | Armrest adjustment mechanism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 |
US8668272B2 (en) | Vehicle seat | |
JPH07205699A (ja) | 折畳み式シートバック及び組込み型チャイルドシート用インターロック | |
US8720996B2 (en) | Folding seat | |
US20200009993A1 (en) | Vehicle seat | |
US6679536B1 (en) | Foldable and tumblable seat system | |
KR100593095B1 (ko) | 자동차용 리클라이닝 장치의 회전축 구조 | |
US10988058B1 (en) | Seat assembly having an anti-submarine bracket | |
CN107487241B (zh) | 第二排上掀式垫惯性钩 | |
KR102075042B1 (ko) |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및 시트 싱킹 시스템 | |
JP5317721B2 (ja) | 乗物用シート | |
JP5004008B2 (ja) | 車両の荷室構造 | |
KR100568978B1 (ko) |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의 마운팅구조 | |
RU2583985C2 (ru) |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откидными креслами | |
JP2019085082A (ja) | 乗物用シート | |
JP3977030B2 (ja) | 跳ね上げ式格納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ロック構造 | |
JP2021120261A (ja) | シートベルトの取付構造 | |
JP3608034B2 (ja) | 車両用シート取付構造 | |
JP6658304B2 (ja) | 乗物用シート | |
JP5365354B2 (ja) | 車両用シート | |
KR102627845B1 (ko) | 차량의 싱킹 시트 시스템 및 이의 조립 방법 | |
HU229677B1 (en) | Buckle attachment structure of vehicle seat | |
US20230322132A1 (en) | Fixing member for conveyance seat, conveyance se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veyance se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