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615B1 - 끈 조임구 - Google Patents
끈 조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4615B1 KR102074615B1 KR1020190092205A KR20190092205A KR102074615B1 KR 102074615 B1 KR102074615 B1 KR 102074615B1 KR 1020190092205 A KR1020190092205 A KR 1020190092205A KR 20190092205 A KR20190092205 A KR 20190092205A KR 102074615 B1 KR102074615 B1 KR 1020746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 string
- slide block
- slide member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sliding wedg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 예기치 못하게 끈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끈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드홈에 삽입된 끈의 일측을 가압 지지하여 끈의 풀림을 방지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끈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해 예기치 못하게 끈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끈 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이닝복 등의 의복, 신발, 가방, 배낭, 장갑 등 신체에 착용하는 소비재 용품에는 끈을 이용하여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는 끈 조임구가 제공될 수 있다.
기존의 끈 조임구는 몸체에 형성된 구멍에 끈을 관통시켜 조이거나, 영구적으로 고정하여 끈과 끈 조임구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끈 조임구는 끈을 끈 조임구에서 분리하기 어렵고, 또한 장착하여 고정하는 동작 역시 불편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신체에 착용하는 용품에 끈과 끈 조임구가 이미 구비된 상태로 장착 판매되므로, 끈 조임구가 구비되지 않은 상품은 여전히 끈을 손으로 묶거나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끈을 조이거나 푸는 동작이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한 끈 조임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끈 조임구가 장착되지 않은 채 출시되는 제품에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끈 조임구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된 끈의 일측을 가압 지지하여 상기 끈의 풀림을 방지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끈 조임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상하 양단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상기 걸림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양측에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걸림부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상기 가이드홈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좌우 한 쌍으로 구획하는 분할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삽입홀과,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2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블록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더 두꺼워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상하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 방향 양단 내벽이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져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일단이 오목하게 라운드져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끈 조임구에 의하면, 몸체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끈이 끼어서 고정되므로 견고하게 조일 수 있고, 슬라이드부재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끈을 쉽게 풀어낼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끈 조임구는 종래의 물품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100)는, 몸체(200)와, 몸체(200) 내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를 포함한다.
몸체(200)의 내부에는 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홈(230)이 형성되며,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는 슬라이드홈(23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끈(10, 도 6a 참조)의 양단이 슬라이드홈(230)을 관통하도록 각각 삽입되며, 슬라이드부재(300)는 몸체(200)에 대하여 끈(10)의 일측을 가압 지지함으로써 끈(10)의 풀림을 방지한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100)의 몸체(200)는 상하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몸체(210)와 하부 몸체(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몸체(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제1 슬라이드홈(211)이 관통 형성된 사각형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몸체(210)의 전후 양단은 아래쪽으로 라운드지게 절곡 형성된다.
또한, 하부 몸체(220)는 내측에 제2 슬라이드홈(221)이 관통 형성되고, 상부 몸체(210)와 대응되는 사각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몸체(220)의 전후 양단은 위쪽으로 라운드지게 절곡 형성된다.
하부 몸체(22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결합돌기(222)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 몸체(210)의 하단에는 결합돌기(222)가 대응 결합되는 결합홈(212)이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이때, 상부 몸체(21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결합돌기(222)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 몸체(22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결합홈(212)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몸체(210)의 폭 방향 양측에는 제1 분할리브(213)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제1 분할리브(213)의 양측에는 제1 분할리브(213)에 의해 구획되는 한 쌍의 제1 절개부(214)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몸체(220)의 폭 방향 양측에는 제2 분할리브(223)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제2 분할리브(223)의 양측에는 제2 분할리브(223)에 의해 구획되는 한 쌍의 제2 절개부(224)가 형성된다.
상부 몸체(210)와 하부 몸체(220)의 결합시, 제1,제2 슬라이드홈(211,221)은 몸체(200) 내부에 슬라이드홈(230)을 형성한다. 또한, 제1,제2 절개부(214,224)는 몸체(200)의 양측에 슬라이드홈(230)과 연통하는 가이드홈(240)을 형성하며, 제1,제2 분할리브(213,223)는 가이드홈(240)을 좌우 한 쌍으로 구획하는 분할리브(25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재(300)는, 슬라이드홈(2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310)과, 슬라이드블록(310)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슬라이드블록(310)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더 두꺼워지는데,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블록(310)은 서로 대향하는 일단에서 각각 길이 방향 반대쪽인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더 두꺼워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블록(31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블록(310)의 타단에는 상하 양단에 각각 상부 플랜지(320)와 하부 플랜지(330)가 슬라이드블록(310)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슬라이드부재(300)의 이동시 상부 플랜지(320)와 하부 플랜지(330)는 슬라이드홈(230)의 길이 방향 양단 테두리를 넘어서 몸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슬라이드블록(310)의 양측에 지지바(34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지지바(340)의 끝단에 폭이 확장된 걸림부(350)가 형성된다.
걸림부(350)는 몸체(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상부 몸체(210)와 하부 몸체(220)의 조립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210)의 제1 절개부(214)와 하부 몸체(220)의 제2 절개부(224) 사이에 슬라이드블록(310)의 지지바(340)가 개재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제2 절개부(214,224)의 결합에 의해 슬라이드홈(230)과 연통하는 가이드홈(240)이 몸체(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가이드홈(240)에는 걸림부(35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때, 가이드홈(240)은 걸림부(35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걸림부(350)와 슬라이드블록(310)의 유동 방지를 위해 가이드홈(24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걸림턱(241)이 돌출 형성된다. 걸림턱(241)은 걸림부(350)의 내측을 지지함으로써 슬라이드블록(310)의 폭 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부 몸체(210)와 하부 몸체(220)의 조립시, 제1,제2 분할리브(213,223)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홈(240)의 중간부에 분할리브(250)가 형성된다. 이 분할리브(250)에 의해 가이드홈(240)은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에 각각 대응되도록 좌우 한 쌍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슬라이드부재(300)는 대응 형성되는 가이드홈(240)을 따라 각각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슬라이드블록(310)에는 상하 방향으로 제1 삽입홀(360)이 관통 형성되며, 상부 플랜지(320) 및 하부 플랜지(330)에는 제1 삽입홀(360)과 나란히 제2 삽입홀(370)이 관통 형성된다. 제1,제2 삽입홀(360,370)은 슬라이드부재(300)에 끈(10)을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끈(10)의 양단이 제1 삽입홀(360)을 상향으로 관통한 후, 제2 삽입홀(370)을 하향으로 관통하도록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드홈(230)의 길이 방향 양단 내벽(231)이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져서 형성되고, 이와 대향하는 슬라이드블록(310)의 일단(311)이 오목하게 라운드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끈(10)과 몸체(200) 및 슬라이드블록(310)이 상호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서 마찰력에 의한 끈(1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끈(10)의 고정시 끈(10)은 슬라이드블록(310)에 의해 몸체(200) 쪽으로 가압되며, 슬라이드홈(230)의 내벽(231)과 슬라이드블록(310)의 일단(311) 사이에 끼여서 견고히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끈(10)의 일단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 중 좌측 슬라이드부재(300)의 제1 삽입홀(360)을 일 방향(예컨대, 상향)으로 관통한 후, 제2 삽입홀(370)을 반대 방향(예컨대, 하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끈(10)의 타단은 우측 슬라이드부재(300)의 제1 삽입홀(360)을 일 방향으로 관통한 후, 제2 삽입홀(370)을 반대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끈(10)에서 제2 삽입홀(370)을 관통하여 슬라이드부재(300)의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양단을 자유단(11)이라 하고, 양쪽 슬라이드부재(300) 사이에 연장되는 부분을 연장부(12)라 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100)가 트레이닝복의 허리끈을 조이는데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끈 조임구(100)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끈(10)의 양쪽 자유단(11)을 끈 조임구(100)의 외측으로 각각 잡아당기면, 자유단(11)의 길이는 늘어나고 연장부(12)의 길이는 줄어들면서 트레이닝복의 허리를 조이게 된다.
이후, 자유단(11)을 놓으면, 끈(10)에는 자유단(11)의 길이가 줄어들고 연장부(12)의 길이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제1 삽입홀(360)에 삽입된 연장부(12)가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를 슬라이드홈(230)의 길이 방향 양단을 향해 각각 당기게 되고, 제2 삽입홀(370)에 삽입된 자유단(11)이 슬라이드부재(300)에 의해 몸체(200) 쪽으로 가압되면서, 끈(10)이 슬라이드부재(300)의 일단(311)과 몸체(200)의 슬라이드홈(230) 내벽(231) 사이에 끼어서 고정됨에 따라 풀림이 방지된다.
끈(10)을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를 슬라이드홈(230)의 중앙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몸체(200)와 슬라이드부재(300) 사이에는 자유단(11)의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며, 사용자는 연장부(12)의 길이를 늘여서 조여진 끈을 풀 수 있다. 이때, 연장부(12)의 길이를 늘이는 과정에서 연장부(12)에 의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가 슬라이드홈(230)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 각각 이동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는 연장부(12)를 슬라이드부재(300)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슬라이드부재(300)의 이동없이 연장부(12)의 길이를 늘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끈(10)의 일단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 사이 공간을 일 방향(예컨대, 상향)으로 관통한 후, 제2 삽입홀(370)을 반대 방향(예컨대, 하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100a)는, 몸체(200)와 슬라이드부재(30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성이며, 다만, 슬라이드부재(300)에 제1 삽입홀(360)만 형성될 뿐, 제1 실시예의 상,하부 플랜지(320,330) 및 제2 삽입홀(370)과 대응되는 구성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100a)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끈(10)의 일단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 중 좌측 슬라이드부재(300)의 제1 삽입홀(360)을 일 방향(예컨대, 상향)으로 관통한 후, 슬라이드부재(300)와 몸체(200) 사이 공간을 반대 방향(예컨대, 하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끈(10)의 타단은 우측 슬라이드부재(300)의 제1 삽입홀(360)을 일 방향으로 관통한 후, 슬라이드부재(300)와 몸체(200) 사이 공간을 반대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이 경우, 끈(10)의 자유단(11)을 잡아당겨 연장부(12)를 조이고 난 후 손을 놓으면, 연장부(12)의 길이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때 제1 삽입홀(360)에 삽입된 연장부(12)가 슬라이드부재(300)를 슬라이드홈(230)의 길이 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자유단(11)이 슬라이드부재(300)에 의해 몸체(200) 쪽으로 가압되면서 슬라이드부재(300)의 일단(311)과 몸체(200)의 내벽(231) 사이에 끼어서 고정됨에 따라 끈(10)의 풀림이 방지된다.
끈을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를 슬라이드홈(230)의 중앙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몸체(200)와 슬라이드부재(300) 사이에는 자유단(11)의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며, 사용자는 연장부(12)의 길이를 늘여서 조여진 끈(10)을 다시 풀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100b)는, 몸체(200)와 슬라이드부재(30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성이며, 다만, 슬라이드부재(300)에 제2 삽입홀(370)만 형성될 뿐, 제1 실시예의 제1 삽입홀(360)과 대응되는 구성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100b)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끈(10)의 일단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 사이 공간을 일 방향(예컨대, 상향)으로 관통한 후, 좌측 슬라이드부재(300)의 제2 삽입홀(370)을 반대 방향(예컨대, 하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끈(10)의 타단은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 사이 공간을 일 방향으로 관통한 후, 우측 슬라이드부재(300)의 제2 삽입홀(370)을 반대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이 경우, 끈(10)의 자유단(11)을 잡아당겨 연장부(12)를 조이고 난 후 손을 놓으면, 끈(10)에는 연장부(12)의 길이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때 연장부(12)가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를 슬라이드홈(230)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 각각 당기게 되고, 제2 삽입홀(370)에 삽입된 자유단(11)이 슬라이드부재(300)에 의해 몸체(200) 쪽으로 가압되면서 슬라이드부재(300)와 몸체(200) 사이에 끼어 고정됨에 따라 끈(10)의 풀림이 방지된다.
끈(10)을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를 슬라이드홈(230)의 중앙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몸체(200)와 슬라이드부재(300) 사이에 자유단(11)의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며, 사용자는 연장부(12)의 길이를 늘여서 조여진 끈을 풀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100c)는, 몸체(200)와 슬라이드부재(30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성이며, 다만, 슬라이드부재(300)에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제2 삽입홀(360,370)과 대응되는 구성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100c)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끈(10)의 일단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 사이 공간을 일 방향(예컨대, 상향)으로 관통한 후, 좌측 슬라이드부재(300)와 몸체(200) 사이 공간을 반대 방향(예컨대, 하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끈(10)의 타단은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 사이 공간을 일 방향으로 관통한 후, 우측 슬라이드부재(300)와 몸체(200) 사이 공간을 반대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이 경우, 끈(10)의 자유단(11)을 잡아당겨 연장부(12)를 조이고 난 후 손을 놓으면, 끈(10)에는 연장부(12)의 길이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때 연장부(12)가 슬라이드부재(300)를 슬라이드홈(230)의 길이 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자유단(11)이 슬라이드부재(300)에 의해 몸체(200) 쪽으로 가압되면서 슬라이드부재(300)와 몸체(200) 사이에 끼어 고정됨에 따라 끈(10)의 풀림이 방지된다.
끈(10)을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00)를 슬라이드홈(230)의 중앙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몸체(200)와 슬라이드부재(300) 사이에는 자유단(11)의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며, 사용자는 연장부(12)의 길이를 늘여서 조여진 끈을 풀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a,100b,100c : 끈 조임구
200 : 몸체
210 : 상부 몸체
220 : 하부 몸체
230 : 슬라이드홈
240 : 가이드홈
300 : 슬라이드부재
310 : 슬라이드블록
320 : 상부 플랜지
330 : 하부 플랜지
350 : 걸림부
360 : 제1 삽입홀
370 : 제2 삽입홀
200 : 몸체
210 : 상부 몸체
220 : 하부 몸체
230 : 슬라이드홈
240 : 가이드홈
300 : 슬라이드부재
310 : 슬라이드블록
320 : 상부 플랜지
330 : 하부 플랜지
350 : 걸림부
360 : 제1 삽입홀
370 : 제2 삽입홀
Claims (10)
- 내부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된 끈의 일측을 가압 지지하여 상기 끈의 풀림을 방지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 방향 양단 내벽이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져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일단이 오목하게 라운드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상하 양단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걸림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양측에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걸림부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가이드홈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좌우 한 쌍으로 구획하는 분할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삽입홀과,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2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더 두꺼워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하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2205A KR102074615B1 (ko) | 2019-07-30 | 2019-07-30 | 끈 조임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2205A KR102074615B1 (ko) | 2019-07-30 | 2019-07-30 | 끈 조임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4615B1 true KR102074615B1 (ko) | 2020-02-06 |
Family
ID=6956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2205A KR102074615B1 (ko) | 2019-07-30 | 2019-07-30 | 끈 조임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4615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2617A (ja) * | 1998-05-29 | 1999-12-07 | Nifco Inc | 紐の留め具 |
US20080034555A1 (en) * | 2006-08-09 | 2008-02-14 | Taiwan Paiho Limited Chao-Nan Chang | String fastener |
JP2008178593A (ja) * | 2007-01-25 | 2008-08-07 | Nifco Inc | 紐留め具 |
US20090205115A1 (en) * | 2008-02-16 | 2009-08-20 | Terry Chou | Strap Adjusting Device for Swimming Goggles |
US20110016680A1 (en) * | 2009-07-24 | 2011-01-27 | Chao-Nan Chang | Shoelace fastening device |
JP2013248003A (ja) * | 2012-05-30 | 2013-12-12 | Nifco Inc | 調整具 |
KR20140108091A (ko) * | 2013-02-27 | 2014-09-05 | 김진만 |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
-
2019
- 2019-07-30 KR KR1020190092205A patent/KR1020746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2617A (ja) * | 1998-05-29 | 1999-12-07 | Nifco Inc | 紐の留め具 |
US20080034555A1 (en) * | 2006-08-09 | 2008-02-14 | Taiwan Paiho Limited Chao-Nan Chang | String fastener |
JP2008178593A (ja) * | 2007-01-25 | 2008-08-07 | Nifco Inc | 紐留め具 |
US20090205115A1 (en) * | 2008-02-16 | 2009-08-20 | Terry Chou | Strap Adjusting Device for Swimming Goggles |
US20110016680A1 (en) * | 2009-07-24 | 2011-01-27 | Chao-Nan Chang | Shoelace fastening device |
JP2013248003A (ja) * | 2012-05-30 | 2013-12-12 | Nifco Inc | 調整具 |
KR20140108091A (ko) * | 2013-02-27 | 2014-09-05 | 김진만 |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70007149B1 (ko) | 버클 | |
KR0152130B1 (ko) | 끈 체결구 | |
US10194715B2 (en) | Shoelace binding device | |
US4672725A (en) | Snap buckle | |
KR950001610Y1 (ko) | 끈 조정구 | |
KR102082439B1 (ko) | 이중 잠금 버클 조립체 | |
KR100614036B1 (ko) | 삼각 버클 어셈블리 | |
CA3051193C (en) | Removable divider | |
US20100287791A1 (en) | Shoelace Locker and Shoe with the Same | |
KR20080113432A (ko) | 신속 풀림 버클 | |
US10774953B1 (en) | Cable tie | |
US6718602B1 (en) | Structure of a buckle to fasten shoelaces | |
EP4140351A1 (en) | Shoelace loosening prevention device | |
JP2006527001A (ja) | 靴紐結束装置 | |
KR102074615B1 (ko) | 끈 조임구 | |
KR200428163Y1 (ko) | 신발끈 고정구 | |
WO2011030693A1 (ja) | 取付バンド | |
US5826308A (en) | Bundling strap assembly | |
JP6462510B2 (ja) | バックル | |
KR101343759B1 (ko) | 버클 | |
KR890000077Y1 (ko) | 버 클 | |
KR20090025522A (ko) | 결속장치 | |
CN201171394Y (zh) | 鞋带松紧控制装置及鞋子 | |
TW201912053A (zh) | 鞋繩扣具結構 | |
KR101317044B1 (ko) | 버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