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484B1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5484B1 KR102065484B1 KR1020120153647A KR20120153647A KR102065484B1 KR 102065484 B1 KR102065484 B1 KR 102065484B1 KR 1020120153647 A KR1020120153647 A KR 1020120153647A KR 20120153647 A KR20120153647 A KR 20120153647A KR 102065484 B1 KR102065484 B1 KR 1020654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ctive film
- polarizer
- light emitting
- polarizer protective
- polariz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용 편광판은,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 상부에 형성된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 상부에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은 0.8 < R1/R2 < 1.1, 0.9 < R3/R2 < 2 를 만족하는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R1은 4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 R2는 5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 R3는 6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라, 다기능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이루어진 반사반지용 편광판을 도입함으로써 측면 시야각에서의 색감 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 보호필름 및 위상차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편광자 보호필름을 통하여, 편광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비용의 감소 및 공정 단순화가 가능해 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반사반지용 편광판을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평판표시장치 중 하나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자체발광형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에 비해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며,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이 가능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직류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특히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저렴한 장점이 있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양극(Anode)과 음극(Cathode) 사이에 유기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양극(Anode)로부터 공급받는 정공과 음극(Cathode)로부터 받은 전자가 유기 발광층 내에서 결합하여 정공-전자쌍인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다시 여기자가 바닥상태로 돌아오면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생된 광을 이용하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원리이다.
이때, 외부로부터 광이 유입되게 되면, 상기 유입된 광이 편광판 및 위상필름으로 순차적으로 입사하게 되고, 이후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금속 전극에 의해 다시 반사된다. 전술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는 금속 전극에 의해 다시 반사되는 광의 존재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바라볼 때 눈부심 현상 등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예를 들면, 햇빛과 같이 외부 광이 있는 환경에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화상을 보게 된다면, 장치에서 반사된 빛으로 인하여 결국 콘트라스트 자체가 저하된 화상을 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편광판의 보상필름을 도입하게 되었다. 상기 원편광판은 선편광판과 위상차판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위상차판은 광대역 특성, 즉, 파장에 따른 반사율 변화를 낮추기 위하여 파장 증가시 위상차 값도 증가되는 역분산 특성(도 4의 특성 1)을 가지거나, 또는 파장에 관계없이 위상차 값이 일정한 평탄 분산 특성(도 4의 특성 2)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원편광판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의 특성 만이 고려된 것이므로, 시야각에 따른 특성 저하와 함께, 방위각에 따라 색감이 달라지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외부 광 유입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여 시야각 및 색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광 유입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시야각에 따른 색감 저하가 발생되지 않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제조 비용의 감소 및 공정 단순화가 가능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반사방지용 편광판은,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 상부에 형성된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 상부에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은 0.8 < R1/R2 < 1.1, 0.9 < R3/R2 < 2 를 만족하는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R1은 4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 R2는 5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 R3는 6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으로 이루어진 반사반지용 편광판을 도입함으로써 외부 광 유입에 따른 눈부심 현상 방지 및 콘트라스트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측면의 시야각에서도 색감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편광자보호필름 및 위상차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을 통하여, 편광판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의 감소 및 공정 단순화가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박형화가 가능한 고해상도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용 편광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편광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4는 파장 분산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방위각에 따른 반사율을 비교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시야각에 따른 반사 색차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8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방위각에 따른 반사율을 비교한 도면; 및
도 9 및 도10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시야각에 따른 반사 색차를 나타내기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편광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4는 파장 분산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방위각에 따른 반사율을 비교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시야각에 따른 반사 색차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8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방위각에 따른 반사율을 비교한 도면; 및
도 9 및 도10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시야각에 따른 반사 색차를 나타내기위한 도면.
하기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된 내용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용 편광판(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방지용 편광판(100)은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110),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110) 상부에 형성된 편광자(120), 및 상기 편광자(120) 상부에 형성된 보호필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은 편광자보호필름 및 위상차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상차판은 양의 이축성 B 플레이트(biaxial positive B plate)에 해당되며, λ/4 에 해당하는 위상차(Ro)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110)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우선,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110)은 굴절률을 3차원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3차원 공간 상에서 x, y, z방향에서의 각 굴절률 간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이때, nx는 x 방향의 굴절률, ny는 y 방향의 굴절률, nz는 z 방향의 굴절률 이라 정의하면,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110)의 굴절률은 nx > nz > ny 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특히,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110)은 Nz = (nx - nz)/(nx-ny) 일 때 0.3 < Nz < 0.7을 만족할 수 있으며, Nz 계수가 0.5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래의 편광판 대비하여 방위각 및 시야각에 따른 색감이 우수한 것이 바로 상기 Nz 계수에 따른 것인데, 두께 방향의 굴절률 값이 존재하기 때문에 방위각 및 시야각에 따른 색감의 변화가 작게 된다.
또한,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110)의 위상차는, 540 nm < λ < 600 nm일 때 130 < Ro < 150, 및 45 < Rth < 95를 만족할 수 있다. 이때, d는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의 두께, nx는 x 방향의 굴절률, ny는 y 방향의 굴절률, nz는 z 방향의 굴절률이라고 정의하면, 면내의 위상차인 Ro = (nx-ny)d 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인 Rth = (nz-ny)d 이다.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110)은 굴절률이 가장 큰 방향이 위상지연축에 해당되는 데, 상기 위상지연축은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110)의 면 내에 존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110)의 위상 지연축과, 상기 편광자(120)의 투과축이 이루는 각(θ)은, -50 < θ < 50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120)는,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PVA)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필름(130)은 TAC 필름 또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필름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은 비교예로서 종래의 편광판(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여기서, 도 2 및 도 3과 같은 종래의 편광판(200)은 위상차 필름이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편광판(200)은 위상차 필름(210) 및 편광자(220)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자(220)의 상부 및 하부에 편광자 보호필름(230)이 위치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원발명의 편광판과는 달리 종래의 편광판(200)은 굴절률이 nx > ny = nz의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의 편광판(200)의 경우 시야각에 따른 특성이 나쁘며, 색감이 방위각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중층 구조의 경우, 위상차 필름(210)의 위상축을 편광판의 투과축 대비 15도 및 75도가 되도록 맞추어 제작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게 된다.
도 4는 파장 분산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110)은 역분산특성 또는 평탄분산 특성을 만족한다.
우선, 기준 파장에 해당하는 위상차 값(Ro)을 R(λ)라고 한다면, '4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R1) / '5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R2)과, '6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 (R3) / '5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R2)이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0.8 < R1/R2 < 1.1
0.9 < R3/R2 < 2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반지용 편광판(100)과, 종래의 편광판(200)의 특성평가 결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실험결과는 시물레이션을 통해 얻은 것으로, TechWiz 1D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위상차판의 설계시 중심 파장은 550nm을 기준 파장으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1
사이클로 올레핀을 기반으로 한 폴리머 필름(Cyclo Olefin based polymer film)에 열수축 필름을 양면에 붙이고, Tg 온도 근처에서 연신하였다. 이때, 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열수축 필름을 박리하여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biaxial positive B plate)을 제작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필름은 수계 혹은 UV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자와 결합하게 되며, 편광자의 상부에는 표면처리된 TAC 필름 또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필름이 결합하게 된다.
이때, 실시예 1은 +B plate의 파장 분산 특성이 R1/R2 및 R3/R2 가 거의 1을 나타내어 '평탄분산의 특성'을 의미하게 되며, Nz 계수는 0.5이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하면서 열수축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복굴절 필름을 편광자의 보호필름으로 이용하여 필름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는 실시예 1과 파장 분산 특성은 같지만, 복굴절 특성은 이축성이 아닌 일축성을 나타내므로 Nz 계수는 거의 1에 가깝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방위각에 따른 반사율을 비교한 도면이다. 여기서, 시야각(극각) Theta는 60도로서, 즉, 측면에서 방위각 Phi에 따른 파장 평균 반사율을 비교하여 평가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1 대비 실시예 1은 모든 방위각에서 반사율이 더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 및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시야각에 따른 반사 색차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색차가 방위각에 따라 규칙적으로 나타났으며, 색차의 크기 또한 매우 작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1은 색차가 방위각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나타났으며, 색차의 크기도 실시예 1에 비해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방위각에 따른 반사율을 비교한 도면이다. 여기서, 시야각(극각) Theta는 60도로서, 즉, 측면에서 방위각 Phi에 따른 파장 평균 반사율을 비교하여 평가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1 대비 실시예 1은 모든 방위각에서 반사율이 더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 및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시야각에 따른 반사 색차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색차가 방위각에 따라 규칙적으로 나타났으며, 색차의 크기 또한 매우 작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1은 색차가 방위각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나타났으며, 색차의 크기도 실시예 1에 비해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셀룰로오스(cellulose)의 히드록시기(hydroxyl기) 중에서 어느 하나가 카바메이트(carbamate) 기로 일부 치환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름(cellulose acetate film)을 Tg 온도 근처에서 연신하였다. 이때, 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을 통해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biaxial positive B plate)을 제작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필름은 수계 혹은 UV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자와 결합하게 되며, 편광자의 상부에는 표면처리된 TAC 필름 또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필름이 결합하게 된다.
이때, +B plate의 파장 분산 특성은 R1/R2 < 1, R3/R2 > 1 인 '역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며, Nz 계수는 0.5 이다.
비교예
2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하면서 치환기의 양을 조절하여, 제조된 복굴절 필름을 편광자의 보호필름으로 이용하여 필름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는 실시예 2와 파장 분산 특성은 같지만, 복굴절 특성은 이축성이 아닌 일축성을 나타내므로 Nz 계수는 거의 1과 같다.
도 8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방위각에 따른 반사율을 비교한 도면이다.
시야각(극각) Theta는 60도로서, 즉, 측면에서 방위각 Phi에 따른 파장 평균 반사율을 비교하여 평가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2 대비 실시예 2는 모든 방위각에서 반사율이 더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 및 도10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시야각에 따른 반사 색차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색차가 방위각에 따라 규칙적으로 나타났으며, 색차의 크기 또한 매우 작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2는 색차가 방위각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나타났으며, 색차의 크기 또한 실시예 2 보다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광에 따른 측면에서의 시야각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즉, 측면에서도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지 않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보는 방향에 따라 색감이 바뀌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자보호필름 및 위상차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을 통하여, 편광판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의 감소 및 공정 단순화가 가능해진다.
이후, 이러한 반사방지용 편광판(100)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구동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이와 이격되어 형성된 제 2 기판이 실패턴을 통해 가장자리가 봉지되어 합착된 OLED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OLED 패널의 빛의 투과방향인 제 1 기판의 배면에는 반사방지용 편광판이 부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용 편광판을 부착함으로써, 외부광을 차단시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측면에서의 색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상기 제 1 기판 상에는 서로 교차함으로써 각 화소영역(P1, P2, P3)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이들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원배선이 위치하며, 각 화소영역(P1, P2, P3)마다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는 양극과 연결된다.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는 양극과, 이와 마주하는 음극 사이에 유기층을 포함하고, 유기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제 1 발광층, 제 2 발광층, 제 3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발광층, 전자 수송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발광층은 적색 유기물질, 제 2 발광층은 녹색 유기물질, 제 3 발광층은 청색 유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양극은 제 1 기판 상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화소영역(P1, P2, P3)들에 하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양극은 반사전극이며, 예를 들어,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와 같이 일함수가 높은 투명 도전성 물질층과 은(Ag) 또는 은 합금(Ag alloy)과 같은 반사물질층을 포함하는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은 상기 화소영역(P1, P2, P3) 모두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양극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정공 수송층은 공통층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정공 주입층은 생략 가능하다.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약 100 ~ 600 Å일 수 있으나, 정공주입 특성과 정공 수송 특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층은 정공을 쉽게 발광층으로 운반시킬 뿐만 아니라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발생한 전자를 발광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시켜 줌으로써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즉, 정공수송층은 정공의 수송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NPD(N,N-dinaphthyl-N,N'-diphenyl benzidine), TPD(N,N'-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TCTA(4-(9H- carbazol-9-yl)-N,N-bis[4-(9H-carbazol-9-yl)phenyl]-benzenamine), CBP(4,4'- N,N'-dicarbazole-biphenyl), s-TAD 또는 MTDATA(4,4',4"-Tris(N-3-methylphenyl-N-phenyl-amino)-triphenylamine)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층은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P1, P2, P3)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제 1 발광층, 제 2 발광층, 및 제 3 발광층이 형성된다. 즉, 제 1 화소영역(P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 1 발광층이 형성되고, 제 2 화소영역(P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 2 발광층이 형성되며, 제 3 화소영역(P3)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 3 발광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발광층, 제 2 발광층, 및 제 3 발광층의 두께는, 약 100 ~ 400 Å일 수 있으나, 발광 특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호스트와 도펀트로 이루어지며,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을 발광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인광 또는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층이 적색을 발광하는 경우, CBP(carbazole biphenyl) 또는 mCP(1,3-bis(carbazol-9-yl)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PIQIr(acac)(bis(1-phenyliso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acac)(bis(1-phenyl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tris(1-phenylquinoline)iridium) 및 PtOEP(octaethylporphyrin platinu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펀트를 포함하는 인광물질일 수 있고, 이와는 달리 PBD:Eu(DBM)3(Phen) 또는 Perylene을 포함하는 형광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층이 녹색을 발광하는 경우,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Ir(ppy)3(fac tris(2-phenylpyridine)iridium)을 포함하는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물질일 수 있고, 이와는 달리,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을 포함하는 형광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층이 청색을 발광하는 경우,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4,6-F2ppy)2Irpic 또는 L2BD111을 포함하는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물질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spiro-DPVBi, spiro-6P, 디스틸벤젠(DSB), 디스트릴아릴렌(DSA), PFO계 고분자 및 PPV계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광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수송층은 상기 화소영역(P1, P2, P3)들 모두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발광층 상부에 형성되므로, 공통층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수송층의 두께는 약 250 ~ 350 Å일 수 있으나, 전자 수송 특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수송층이 전자 수송 및 주입층의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전자 주입층이 별도로도 상기 전자 수송층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수송층은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 PBD, TAZ, spiro-PBD, BAlq 및 SAlq)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자수송층은 증발법 또는 스핀코팅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음극은 상기 전자 수송층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음극은 마그네슘과 은의 합금(Mg : Ag)으로 이루어져 반투과의 특성을 가지게 된다. 즉, 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음극을 통해 외부로 표시되는 데, 상기 음극은 반투과 특성을 가지므로, 일부의 빛은 다시 양극을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반사전극으로 작용하는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는 반복적인 반사가 일어나게 되며, 이를 마이크로캐비티(Microcavity) 효과라고 한다. 즉, 양극인 양극과, 음극인 음극 사이의 캐비티 내에서 빛이 반복적으로 반사되어 광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반사방지용 편광판 110: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
120: 편광자 130: 보호필름
200: 종래의 편광판 210: 위상차 필름
220: 편광자 230: 보호필름
120: 편광자 130: 보호필름
200: 종래의 편광판 210: 위상차 필름
220: 편광자 230: 보호필름
Claims (8)
- 제 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있고,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있는 유기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상에 있고, 상기 제 1 기판과 합착된 제 2 기판; 및
빛의 투과 방향인 상기 제 1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어 외부광을 차단하는 반사반지용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은 각각 반사 전극과 반투과 전극이며,
상기 반사방지용 편광판은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 상부에 형성된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 상부에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은 1.0 < R1/R2 < 1.1, 0.9 < R3/R2 < 1.0 를 만족하며,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의 굴절률은, Nz = (nx-nz)/(nx-ny)일 때 0.3 < Nz < 0.7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때, R1은 4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 R2는 5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 R3는 650 nm 파장에서의 위상차 값으로 정의되고, nx는 x 방향의 굴절률, ny는 y 방향의 굴절률, nz는 z 방향의 굴절률이며, nx > nz > ny 로 정의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의 위상차는, 540 nm < λ < 600 nm일 때 130nm < Ro < 150nm, 및 45nm < Rth < 95nm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Ro = (nx-ny)d, Rth = (nz-ny)d 이며, d는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의 두께, nx는 x 방향의 굴절률, ny는 y 방향의 굴절률, nz는 z 방향의 굴절률이며, nx > nz > ny 로 정의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은,
양(Positive)의 이축성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PV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편광자보호필름의 위상 지연축과,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이 이루는각(θ)은, -50 < θ < 5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3647A KR102065484B1 (ko) | 2012-12-26 | 2012-12-26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3647A KR102065484B1 (ko) | 2012-12-26 | 2012-12-26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3647A KR20140083647A (ko) | 2014-07-04 |
KR102065484B1 true KR102065484B1 (ko) | 2020-01-13 |
Family
ID=5173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3647A KR102065484B1 (ko) | 2012-12-26 | 2012-12-26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548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6701A (ko) | 2014-12-23 | 2016-07-01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한 oled 표시장치 |
CN109716183B (zh) * | 2016-10-17 | 2021-06-15 | 株式会社Lg化学 | 用于抗反射的滤光器和有机发光器件 |
TWI665473B (zh) * | 2016-10-24 | 2019-07-11 |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 抗反射濾光器以及有機發光裝置 |
US11175443B2 (en) * | 2017-04-20 | 2021-11-16 | Lg Chem, Ltd. | Optical filter for anti-reflection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
KR102308952B1 (ko) * | 2018-11-02 | 2021-10-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61994A (ja) * | 2005-11-21 | 2007-06-28 | Nitto Denko Corp | ナフチル基を有する重合体を含有する光学フィル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7961B1 (ko) * | 2010-11-19 | 2017-02-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CN106873065B (zh) * | 2011-12-19 | 2019-09-10 | Lg化学株式会社 | 偏光板 |
-
2012
- 2012-12-26 KR KR1020120153647A patent/KR1020654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61994A (ja) * | 2005-11-21 | 2007-06-28 | Nitto Denko Corp | ナフチル基を有する重合体を含有する光学フィル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3647A (ko) | 2014-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44138B2 (en) |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 |
US11114645B2 (en) | Polariz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0222834B2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US9773846B2 (en) |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8841836B2 (en) | Flat panel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 |
TWI684636B (zh) | 有機發光裝置及其製造方法 | |
US10297643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optical assistant transporting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122335B1 (ko)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 |
US8890179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 |
US20170309861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 |
CN110323264B (zh) |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 |
KR102065484B1 (ko)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
JP5832809B2 (ja) | 有機発光素子 | |
US10340314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US10205126B2 (en) | Light emission device including light extraction plane and a plurality of reflection interfaces,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 |
US20170317316A1 (en) | Polariz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20109306A (ko) | 다중 청색 방출 레이어를 구비한 멀티모달 마이크로캐비티 오엘이디 | |
KR20220018535A (ko) | 유기발광 표시장치 | |
KR20150020447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1888438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2458598B1 (ko)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20160051528A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EP4280844A1 (en) |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 |
KR101878979B1 (ko)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
CN116097928A (zh) | 显示基板及显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