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830B1 -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2830B1 KR102052830B1 KR1020180069952A KR20180069952A KR102052830B1 KR 102052830 B1 KR102052830 B1 KR 102052830B1 KR 1020180069952 A KR1020180069952 A KR 1020180069952A KR 20180069952 A KR20180069952 A KR 20180069952A KR 102052830 B1 KR102052830 B1 KR 1020528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graphing
- delete delete
- questionnaire
- user
- edi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4N5/23219—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 H04N5/232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서, 객체의 행동, 표정, 자세의 상태 변화를 파악한 후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객체 분석 모듈과, 상기 분석 데이터와 촬영 조건을 비교한 후 일치 시 상기 객체를 촬영하는 촬영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단말; 상기 객체의 특정 행동, 표정, 자세를 포함하는 촬영 조건을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조건 입력 모듈과, 상기 촬영 단말에 의해 상기 객체가 촬영된 후 생성된 복수 개의 촬영 이미지를 상기 촬영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객체의 상태가 유저가 입력한 촬영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객체를 촬영하여 유저가 원하는 순간에 용이하고 편리한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 촬영 방법은 사용자가 촬영 단말(즉, 카메라)을 직접 들고 객체의 상태를 관찰하다가 원하는 순간에 촬영 단말을 터치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촬영 타이밍을 설정하거나 리모컨을 통해 사진을 촬영하는 기술이 등장하여 보다 편리한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재 기술은 인간의 반응 속도에 의존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객체가 생물일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의 모습을 찰나의 순간에 촬영하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객체의 상태 변화를 파악하여 사진을 자동으로 촬영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85693호(발명의 명칭 : 자동촬영처리를 실행하는 촬상장치, 촬상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서는 피사체의 촬영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촬상장치, 촬상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1)를 구비하는 촬상장치(100)에, 복수 종류의 선택설정 가능한 자동촬영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임의로 설정하는 처리와,「설정된 자동촬영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처리와,「설정된 자동촬영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촬상부(1)에 의한 피사체화상의 본촬상을 지시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중앙제어부(71)를 구비한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632819호(발명의 명칭 : 무인 이미지 캡쳐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서는 이미지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이미지들의 무인 캡쳐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이미지 센서로 캡쳐된 이미지 내에서 피사체들 또는 안면들을 식별할 수 있는 무인 이미지 캡쳐에 대한 방법 및 장치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미지에서 검출된 피사체들 또는 안면들의 스코어들, 안면 표정들의 스코어들, 포커스 스코어, 노출 스코어, 안정성 스코어, 또는 오디오 스코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이미지를 스코어링할 수도 있다. 이미지의 스코어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스냅샷 이미지가 이미징 디바이스 상의 데이터 스토어에 저장되고, 이미지의 스코어가 임계값 미만이면, 이미지 캡쳐 프로세스 동안에 피사체들이 포지션을 변경하거나 웃거나 또는 보다 정지된 상태를 유지해야 함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가청 프롬프트들이 생성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두 발명은 객체의 상태를 파악한 후 촬영자가 원하는 순간에 객체를 촬영하여 편리하게 객체 촬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촬영자가 원하는 순간에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판단하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촬영자가 입력한 촬영 조건에 따라 객체를 촬영할 뿐 아니라 객체가 촬영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는 구성을 가져 편리하고 용이한 사진 촬영이 가능한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촬영 단말인 카메라를 통해 객체의 상태 변화를 파악하여 분석한 후 유저가 입력한 촬영 조건과 비교하여 부합할 시 객체의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저가 희망하는 촬영 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유저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집 기법을 적용하여 촬영 이미지를 편집한 후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서, 객체의 행동, 표정, 자세의 상태 변화를 파악한 후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객체 분석 모듈과, 상기 분석 데이터와 촬영 조건을 비교한 후 일치 시 상기 객체를 촬영하는 촬영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단말; 상기 객체의 특정 행동, 표정, 자세를 포함하는 촬영 조건을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조건 입력 모듈과, 상기 촬영 단말에 의해 상기 객체가 촬영된 후 생성된 복수 개의 촬영 이미지를 상기 촬영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건 입력 모듈은, 유저에게 설문을 수행하여 입력받은 설문 답안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 다음 상기 키워드를 통해 촬영 조건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조건 입력 모듈은, 상기 유저가 희망하는 촬영 조건을 파악하는 설문을 포함하는 설문지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고 상기 유저로부터 설문 답안을 입력받는 설문 수행부와, 상기 설문 답안에 포함된 단어가 상기 설문 답안 내에 등장하는 빈도수와 등장 확률 분포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단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키워드를 촬영 조건으로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키워드 추출부는, 상기 유저로부터 입력받은 설문 답안을 형태소 단위로 분절한 다음 형용사와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하는 단어를 분류하는 단어 분류파트와, 상기 설문 답안 내의 단어의 빈도수와 등장 확률 분포를 기반으로 상기 단어에 해당하는 각각의 가중치를 산출하는 가중치 산출파트 및,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가중치에 해당하는 단어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키워드 선정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은,
1) 촬영 조건에 따라 객체를 자동으로 사진 촬영하여 용이하고 편리한 사진 촬영이 가능하고,
2) 유저를 대상으로 촬영 조건을 파악하는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유저가 희망하는 촬영 조건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3) 촬영 이미지를 편집하여 유저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저에게 고품질의 촬영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1)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1)은 관찰 시점에서의 객체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촬영 조건과 부합할 경우 촬영 단말(10)이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저가 촬영 조건을 미리 입력하면 촬영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유저가 원하는 순간에 촬영할 수 있어 사진 촬영의 용이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객체가 촬영 조건에 따라 촬영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1)은 기본적으로 촬영 조건을 입력하는 유저 단말(30), 촬영 단말(10), 메인 서버(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유저 단말(30)(이때 유저 단말(30)은 촬영 조건을 입력하는 주체인 유저를 포함할 수 있다.)은 객체를 촬영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1)에 촬영 조건을 입력하는 개인 혹은 업체인 유저가 사용하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단말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1)이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 웹페이지를 통해 촬영 조건을 입력하고, 촬영 단말(10)(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로부터 생성된 촬영 이미지(41)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유저 단말(30)은 본 발명의 시스템(1)이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라면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유저 단말(30)은 인터넷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되어 촬영 조건을 입력하기 위해 유저가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촬영 단말(10)은 객체(즉, 이는 객체를 의미한다.)를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유저 단말(30)로부터 입력받은 촬영 조건을 메인 서버(20)(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로부터 전송받기 위해서는 유저 단말(30)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가 별도로 구비된 카메라(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촬영 조건에 따라 객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객체를 연속적으로 관찰해야 하므로, 상기 촬영 단말(10)은 객체의 변화(행동, 표정, 밝기 등)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객체를 관찰하여 분석한 결과인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촬영 조건과 비교하여 촬영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촬영 단말(10)은 별도의 저장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메인 서버(20)는 본 발명의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1)을 구현하는 주체로서, 유저 단말(30)로부터 입력받은 촬영 조건과 촬영 단말(10)에 의해 파악된 객체의 변화를 비교 처리하여 객체의 변화된 상태가 촬영 조건과 부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촬영 조건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면 메인 서버(20)는 촬영 단말(10)로 촬영 수행 명령을 내려 객체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촬영 단말(10)로부터 촬영 이미지(41)를 입력받은 후 앨범을 생성하여 유저 단말(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서버(20)는 유저 단말(30)에 촬영 조건 입력 및 촬영 수행을 진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된 인터넷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리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1)은 유저 단말(30)로부터 입력받은 촬영 조건과 촬영 단말(10)에 의해 관찰된 객체의 상태가 부합하는 경우 객체의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유저가 원하는 순간에 객체의 사진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1)이 구현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을 후술할 도 2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1)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유저 단말(30)로부터 촬영 조건을 입력받고 촬영 조건과 객체의 상태가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객체를 촬영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1)의 상기 촬영 단말(10)은 객체 분석 모듈(100), 촬영 판단 모듈(20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20)는 조건 입력 모듈(300), 이미지 입력 모듈(400), 이미지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촬영 단말(10)에 포함된 객체 분석 모듈(100)은 촬영 단말(10)과 연동되어 상기 객체의 행동, 표정, 자세의 변화를 의미하는 객체의 상태 변화를 파악한 후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촬영 단말(10)에 의해 객체를 관찰함으로써 후술할 촬영 판단 모듈(200)에 의해 객체의 상태가 촬영 조건과 부합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객체의 상태 변화를 감지 및 파악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관찰 시작 시점에서 관찰한 객체의 위치, 표정, 자세, 밝기 등을 포함하는 상태를 감지 및 파악하여 제 1 분석 데이터로 저장한 후 1차 관찰 시점에서 관찰한 객체의 상태 변화를 감지 및 파악하여 제 2 분석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관찰 종료 시점까지 반복 수행하여 복수 개의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분석 데이터는 촬영 단말(10)을 통해 관찰된 객체의 상태 및 그 변화를 분석한 값으로서, 일반적으로 저장되는 숫자 형식의 데이터일 수 있으나 객체가 무표정에서 웃는 표정으로 변화한 경우 분석 데이터는 ‘웃음’과 같이 텍스트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객체를 분석하는 방법은 객체로부터 형상을 추출한 후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객체의 상태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촬영 판단 모듈(200)은 상기 촬영 조건과 촬영 단말(10)에 의해 생성된 분석 데이터를 비교한 후 일치하면 촬영 단말(10)에 촬영 수행 명령을 내리는 것으로서, 유저 단말(30)로부터 입력받은 촬영 조건과 촬영 단말(10)을 통해 객체를 관찰하면서 생성된 분석 데이터를 비교 처리한 후 촬영 조건과 촬영 단말(10)이 일치하면 촬영 단말(10)로 촬영 수행 명령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유저로부터 텍스트로 입력받은 촬영 조건과 텍스트 형식으로 저장된 분석 데이터를 비교한 후 일치하면 객체의 상태가 촬영 조건과 부합하다고 판단하여 촬영 단말(10)에 촬영 수행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메인 서버(20)에 포함된 조건 입력 모듈(300)은 객체의 특정 행동, 표정, 밝기를 포함하는 촬영 조건을 유저 단말(30)로부터 입력받는 것으로서, 이때 촬영 조건이라 함은 유저가 촬영하고자 하는 객체의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아기(즉, 촬영하고자 하는 객체)의 웃는 얼굴과 몸을 뒤집는 모습을 촬영하고자 할 때, 유저는 유저 단말(30)을 통해 이를 촬영 조건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조건을 입력받는 방법은 기 생성된 객관식 또는 주관식 설문지를 유저에게 제공하여 유저로부터 입력받은 설문 답안을 촬영 조건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유저로부터 촬영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면 그 방법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미지 입력 모듈(400)은 촬영 수행 명령을 받은 촬영 단말(10)에 의해 객체가 촬영된 후 생성된 복수 개의 촬영 이미지(41)를 촬영 단말(10)로부터 입력받는 것으로서, 관찰된 객체의 모습이 촬영 조건과 부합하여 촬영 수행 명령을 받은 촬영 단말(10)이 생성한 촬영 이미지(41)를 입력받음으로써 후술할 이미지 제공 모듈에 의해 상기 촬영 이미지(41)를 유저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제공 모듈은 입력받은 복수 개의 촬영 이미지(41)를 유저 단말(30)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이때 촬영 단말(10)로부터 복수 개의 촬영 이미지(41)를 입력받았다면 이를 상기 유저 단말(30)로 일괄 전송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고, 또는 촬영 이미지(41)를 기반으로 앨범을 제작하여 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유저가 객체의 모습을 촬영하고자 하는 순간에 사진을 촬영하여 유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저에게 촬영의 용이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유저로부터 입력받은 촬영 조건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촬영 조건과 부합하는 촬영 이미지(41)를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한 추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구성에 대한 설명을 도 4와 함께 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1)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배치도(4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에서 상기 조건 입력 모듈(300)은 유저 단말(30)로부터 촬영 조건을 입력받는다고 하였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에게 별도의 설문을 수행하여 입력받은 설문 답안으로부터 촬영 조건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설문 답안으로부터 촬영 조건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상기 조건 입력 모듈(300)은 설문 수행부(310), 키워드 추출부(320), 조건 설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문 수행부(310)는 유저가 희망하는 촬영 조건을 파악하는 설문을 포함하는 설문지를 유저에게 제공하고 유저로부터 설문 답안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설문의 형식은 객관식 문항으로 이루어져 유저가 입력한 객관식 답안 번호를 설문 답안으로 지정할 수 있으나, 주관식 문항의 경우 유저가 희망하는 촬영 조건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주관식 문항의 설문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관식 문항의 설문인 경우에는 유저가 입력한 주관식 답안을 설문 답안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320)는 설문 답안에 포함된 단어가 설문 답안 내에 등장하는 빈도수와 등장 확률 분포를 기반으로 하여 단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단어 분류파트(321), 가중치 산출파트(322), 키워드 선정파트(323)를 포함할 수 있다.
단어 분류파트(321)는 유저로부터 입력받은 설문 답안을 형태소 단위로 분절한 다음 형용사와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하는 단어를 분류하는 것으로서, 설문 답안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기 이전에 전처리 과정으로 미리 단어를 분류함으로써 키워드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중치 산출파트(322)는 설문 답안 내의 단어의 빈도수와 등장 확률 분포를 기반으로 단어에 해당하는 각각의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가중치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는 가중치, 는 상기 설문 답안 내에서 단어 w의 등장 빈도수, W는 상기 단어의 총 개수, 는 상기 설문 답안 내에 단어 w가 등장할 확률, 는 상기 설문 답안 내에 단어 w가 등장하지 않을 확률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은 설문 답안 내에서 단어가 등장하는 빈도수와 등장 확률 분포를 기반으로 단어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산출하는 식으로서, 설문 답안 내에서 단어의 등장 빈도수뿐만이 아니라 단어가 등장할 가능성까지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키워드를 도출하는 동시에 설문 답안 내에서의 단어의 중요성을 상기 가중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단어 1 내지 3의 등장 빈도수가 각각 1, 2, 3이고, 가 각각 0.5, 0.6, 0.7, 가 0.5, 0.4, 0.3일 때, 단어 3에 대한 가중치 을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하면 다음과 같다.
즉, 단어 3에 대한 가중치 는 1.11로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문 답안에 포함된 단어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는 설문 답안에 포함된 단어의 중요성을 수치로서 나타내는 값이라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선정파트(323)는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가중치에 해당하는 단어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기준값을 1이라고 미리 설정했다고 가정하면 가중치가 1을 초과하는 단어는 키워드로 선정되고 1 이하의 가중치를 가지는 단어는 키워드로 선정되지 않는다. 이때 기준값은 본 발명의 시스템(1)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의 시스템(1)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기준값을 설정하는 방법에는 그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이 키워드를 추출하는 구성을 통해 상기 키워드 추출부(320)는 설문 답안을 대표할 수 있는 키워드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조건 설정부(330)는 키워드를 촬영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키워드 추출부(320)에 의해 ‘웃는’이 키워드로 추출되면 이를 촬영 조건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복수 개의 키워드가 추출되면 복수 개의 촬영 조건이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촬영 조건은 형식적 조건과 내용적 조건으로 나뉠 수 있는데, 형식적 조건은 객체의 흔들림, 객체의 조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용적 조건은 객체의 표정, 행동, 포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건 입력 모듈(300)은 유저에게 설문을 제공하고 입력받은 설문 답안을 기반으로 추출된 키워드를 통해 촬영 조건을 파악함으로써 유저의 희망 촬영 사항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문장 형식의 설문 답안으로부터 유저의 촬영 조건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유저에게 이미지를 제공할 시 촬영 이미지(41)를 보정하여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메인 서버(20)는 이미지 편집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편집 모듈(500)은 복수 개의 촬영 이미지(41)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보정하고 편집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이미지 제공 모듈은 이미지 편집 모듈(500)에 의해 편집된 복수 개의 촬영 이미지(41)를 상기 유저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500)은 편집 데이터베이스(510), 편집 기법 설정부(520), 편집 수행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편집 데이터베이스(510)는 기존의 사진 이미지에 대한 편집 기법의 종류를 분석한 후 편집 기법 종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진 이미지의 확대, 축소, 밝기 조절 등을 포함하는 편집 기법을 편집 기법 종류 데이터로서 저장한 구성이다.
편집 기법 설정부(520)는 편집 기법 종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촬영 이미지(41)의 편집 기법으로 설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편집 기법 종류 데이터 중 하나인 ‘확대’를 상기 촬영 이미지(41)에 대한 편집 기법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편집 수행부(530)는 촬영 이미지(41)에 설정된 편집 기법을 적용하여 촬영 이미지(41)를 편집하는 것으로서, 앞선 예시를 다시 보면 촬영 단말(10)로부터 입력받은 촬영 이미지(41)를 ‘확대’하여 촬영 이미지(41)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 시스템 10 : 촬영 단말
20 : 메인 서버 30 : 유저 단말
40 : 배치도 41 : 촬영 이미지
42 : 중첩 영역 100 : 객체 분석 모듈
200 : 촬영 판단 모듈 300 : 조건 입력 모듈
310 : 설문 수행부 320 : 키워드 추출부
321 : 단어 분류파트 322 : 가중치 산출파트
323 : 키워드 선정파트 330 : 조건 설정부
400 : 이미지 입력 모듈 500 : 이미지 편집 모듈
510 : 편집 데이터베이스 520 : 편집 기법 설정부
530 : 편집 수행부
20 : 메인 서버 30 : 유저 단말
40 : 배치도 41 : 촬영 이미지
42 : 중첩 영역 100 : 객체 분석 모듈
200 : 촬영 판단 모듈 300 : 조건 입력 모듈
310 : 설문 수행부 320 : 키워드 추출부
321 : 단어 분류파트 322 : 가중치 산출파트
323 : 키워드 선정파트 330 : 조건 설정부
400 : 이미지 입력 모듈 500 : 이미지 편집 모듈
510 : 편집 데이터베이스 520 : 편집 기법 설정부
530 : 편집 수행부
Claims (13)
-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으로서,
통신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서,
객체의 행동, 표정, 자세의 상태 변화를 파악한 후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객체 분석 모듈과,
상기 분석 데이터와 촬영 조건을 비교한 후 일치 시 상기 객체를 촬영하는 촬영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단말;
상기 객체의 특정 행동, 표정, 자세를 포함하는 촬영 조건을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것으로, 유저에게 설문을 수행하여 입력받은 설문 답안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 다음 상기 키워드를 통해 촬영 조건을 파악하는 조건 입력 모듈과,
상기 촬영 단말에 의해 상기 객체가 촬영된 후 생성된 복수 개의 촬영 이미지를 상기 촬영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조건 입력 모듈은,
상기 유저가 희망하는 촬영 조건을 파악하는 설문을 포함하는 설문지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고 상기 유저로부터 설문 답안을 입력받는 설문 수행부와, 상기 설문 답안에 포함된 단어가 상기 설문 답안 내에 등장하는 빈도수와 등장 확률 분포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단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키워드를 촬영 조건으로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추출부는,
상기 유저로부터 입력받은 설문 답안을 형태소 단위로 분절한 다음 형용사와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하는 단어를 분류하는 단어 분류파트와, 상기 설문 답안 내의 단어의 빈도수와 등장 확률 분포를 기반으로 상기 단어에 해당하는 각각의 가중치를 산출하는 가중치 산출파트 및,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가중치에 해당하는 단어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키워드 선정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중치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
수학식 1.
(여기서, 는 가중치, 는 상기 설문 답안 내에서 단어 w의 등장 빈도수, W는 상기 단어의 총 개수, 는 상기 설문 답안 내에 단어 w가 등장할 확률, 는 상기 설문 답안 내에 단어 w가 등장하지 않을 확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촬영 이미지를 편집하는 이미지 편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기존 사진 이미지의 편집 기법의 종류를 분석한 후 편집 기법 종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 편집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편집 기법 종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상기 촬영 이미지의 편집 기법으로 설정하는 편집 기법 설정부 및,
상기 편집 기법에 따라 상기 촬영 이미지를 편집하는 편집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9952A KR102052830B1 (ko) | 2018-06-19 | 2018-06-19 |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9952A KR102052830B1 (ko) | 2018-06-19 | 2018-06-19 |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2830B1 true KR102052830B1 (ko) | 2019-12-05 |
Family
ID=6900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9952A KR102052830B1 (ko) | 2018-06-19 | 2018-06-19 |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283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86394A (ja) * | 2004-03-26 | 2005-10-13 | Fuji Photo Film Co Ltd | 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画像撮影方法 |
JP2007036716A (ja) * | 2005-07-27 | 2007-02-08 | Olympus Imaging Corp | サーバ装置、撮影装置、撮影情報提供システム、撮影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20100035921A (ko) * | 2008-09-29 | 2010-04-07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주제 탐지 장치와 주제 탐지 방법, 저장 매체, 정보 제공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
KR20110047398A (ko) * | 2009-10-30 | 2011-05-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제공시스템 및 그 영상제공방법 |
JP2012028893A (ja) * | 2010-07-21 | 2012-02-09 | Hoya Corp | 輪郭強調装置 |
KR20130072109A (ko) * | 2011-12-21 | 2013-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서버,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서버의 제어 방법 |
-
2018
- 2018-06-19 KR KR1020180069952A patent/KR1020528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86394A (ja) * | 2004-03-26 | 2005-10-13 | Fuji Photo Film Co Ltd | 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画像撮影方法 |
JP2007036716A (ja) * | 2005-07-27 | 2007-02-08 | Olympus Imaging Corp | サーバ装置、撮影装置、撮影情報提供システム、撮影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20100035921A (ko) * | 2008-09-29 | 2010-04-07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주제 탐지 장치와 주제 탐지 방법, 저장 매체, 정보 제공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
KR20110047398A (ko) * | 2009-10-30 | 2011-05-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제공시스템 및 그 영상제공방법 |
JP2012028893A (ja) * | 2010-07-21 | 2012-02-09 | Hoya Corp | 輪郭強調装置 |
KR20130072109A (ko) * | 2011-12-21 | 2013-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서버,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서버의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284729B (zh) | 基于视频获取人脸识别模型训练数据的方法、装置和介质 | |
US8600191B2 (en) | Composite imaging method and system | |
US8774498B2 (en) | Modeling images as sets of weighted features | |
JP4232774B2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US10839199B2 (en) | Image selecting device, image selecting method,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CN111597938B (zh) | 活体检测、模型训练方法及装置 | |
US2010008620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 emotional characteristic of a user | |
JP2019114243A (ja) | 撮像装置および学習方法 | |
WO2020019591A1 (zh) |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 |
US20170039748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US10652454B2 (en) | Image quality evaluation | |
US20200258236A1 (en) | Person segmentations for background replacements | |
JP2013046151A (ja) | プロジェクタ、投影システム及び情報検索表示方法 | |
US11783192B2 (en) | Hybrid deep learning method for recognizing facial expressions | |
JP2009088687A (ja) | アルバム作成装置 | |
US11163822B2 (en) | Emotional experience metadata on recorded images | |
JP7168485B2 (ja) | 学習データの生成方法、学習データ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US20240353739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KR102052830B1 (ko) | 촬영 조건에 따른 사진 자동 촬영 시스템 | |
JP2007080057A (ja) | 顔による属性判定娯楽装置 | |
CN108280184B (zh) | 一种基于智能笔的试题摘录方法、系统及智能笔 | |
US20180189602A1 (en) | Method of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selecting media representing event diversity | |
JP4859057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
CN110163043B (zh) | 面部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 |
JP7546881B2 (ja) | 動画撮影支援システム、動画撮影支援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