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57631B1 - 프론트 필러 구조 - Google Patents

프론트 필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631B1
KR102057631B1 KR1020180033400A KR20180033400A KR102057631B1 KR 102057631 B1 KR102057631 B1 KR 102057631B1 KR 1020180033400 A KR1020180033400 A KR 1020180033400A KR 20180033400 A KR20180033400 A KR 20180033400A KR 102057631 B1 KR102057631 B1 KR 102057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leton
vehicle
front pillar
cros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713A (ko
Inventor
고키 이케다
모토야 사카베
가즈키 고모리야
가즈요시 오가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8010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60J1/04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adjustable
    • B60J1/0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adjustable comprising more than one p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7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sashless windows, i.e. for frameless windows forming a seal directly with the vehicle body
    • B60J10/777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sashless windows, i.e. for frameless windows forming a seal directly with the vehicle body the sealing arrangement being between the edges of adjacent panes
    • B60J10/7775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sashless windows, i.e. for frameless windows forming a seal directly with the vehicle body the sealing arrangement being between the edges of adjacent panes mounted on the pil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3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프론트 필러 구조는,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24A)를 따라 연재하는 제 1 골격부(32B)와, 상기 제 1 골격부(32B)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골격부(32B)를 따라 연재하는 제 2 골격부(32C)와,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골격부(32B)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은 폐단면이며,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석(16)에 착좌한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은 폐단면이며,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상기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상기 제 1 골격부(32B)와 제 2 골격부(32C)의 사이에 배치되며, 투명하다.

Description

프론트 필러 구조{FRONT PILLAR STRUCTURE}
본 발명은, 프론트 필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096270에는, 차량의 전부(前部) 차체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의 전부 차체구조는, 윈드 쉴드(shield) 글라스의 측연부(側緣部)와 사이드 글라스의 전연부(前緣部)의 사이에, 상기 측연부와 상기 전연부를 따라 연장되는 프론트 코너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코너 부재는, 프론트 필러와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운전석에 착좌(着座)한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의 폭이 40∼58㎜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096270에 기재된 선행 기술에서는, 프론트 코너 부재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운전석으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視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에서는, 프론트 코너 부재의 강성은 확보되지만, 프론트 코너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필러의 폭은, 상술한 프론트 코너 부재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되고, 프론트 필러 단체(單體)로서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 프론트 필러를 굵게 함으로써 프론트 필러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러한 구성에서는, 운전석으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즉, 상기 선행 기술은, 프론트 필러의 강성의 확보와 운전석으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의 확보의 양립을 도모한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프론트 필러의 강성의 확보와 운전석으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의 확보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는 프론트 필러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 구성의 프론트 필러 구조는,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周緣部)를 따라 연재(延在)하는 제 1 골격부와, 상기 제 1 골격부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골격부를 따라 연재하는 제 2 골격부와,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골격부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은 폐(閉)단면이며,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표준 동공간(瞳孔間) 거리 이하이다. 상기 제 2 골격부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은 폐단면이며,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상기 표준 동공간 거리 이하이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상기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투명하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필러 구조는,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 중 제 1 골격부는,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를 따라 연재하며, 제 1 골격부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은 폐단면이다. 한편, 제 2 골격부는, 제 1 골격부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골격부를 따라 연재하며, 제 2 골격부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은 폐단면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 구성에서는,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적이 같은 크기이면서 또한 단면이 단일의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된 프론트 필러에 비하여, 프론트 필러의 단면 2차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프론트 필러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 구성에서는, 운전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에 투명한 연결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운전자는,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로부터 차량 외측을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적이 같은 크기이면서 또한 단면은 단일의 폐단면인 프론트 필러에 비하여, 운전석으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운전자가 운전석측의 프론트 필러를 보았을 때, 제 1 골격부 및 제 2 골격부로 운전자의 시계(視界)가 가려지는 것이 생각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 구성에서는, 제 1 골격부 및 제 2 골격부의 각각에 있어서,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표준 동공간 거리 이하이다. 여기에 말하는 「표준 동공간 거리」는, 소정의 모집단(일본인의 성인 남성 등)에 있어서의 동공간 거리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 구성에서는, 운전자가 운전석측의 프론트 필러를 보았을 때에 제 1 골격부 및 제 2 골격부로 발생하는 사각(死角)이, 차량 외측을 향함에 따라 확대되는 것이 보다 억제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2 구성에 있어서,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골격부와 상기 제 2 골격부의 상기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은, 상기 표준 동공간 거리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2 구성에 의하면,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은, 표준 동공간 거리 이상이다. 이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석측의 프론트 필러를 보았을 때,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에 사각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3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 골격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사이드 도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 2 골격부의 사이에 개재하는 후측 시일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기 제 2 골격부 및 상기 후측 시일 부재로 구성된 부분의 상기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상기 표준 동공간 거리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3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운전석측의 프론트 필러측을 보았을 때, 프레임, 제 2 골격부 및 후측 시일 부재로 구성된 부분으로 발생하는 사각이, 차량 외측을 향함에 따라 확대되는 것이 보다 억제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4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와 상기 제 1 골격부의 경계에 배치되어 있는 전측 시일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골격부 및 상기 전측 시일 부재로 구성된 부분의 상기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상기 표준 동공간 거리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4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운전석측의 프론트 필러측을 보았을 때, 제 1 골격부 및 전측 시일 부재로 구성된 부분으로 발생하는 사각이 차량 외측을 향함에 따라 확대되는 것이 보다 억제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5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필러의 차량 내측에는, 상기 제 1 골격부의 차량 내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의 차량 내측의 부분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 부재로서의 제 1 판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프론트 필러의 차량 외측에는, 상기 제 1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 부재로서의 제 2 판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골격부, 상기 제 2 골격부, 상기 제 1 판재 및 상기 제 2 판재로 폐단면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5 구성에 의하면, 운전석측의 프론트 필러의 차량 내측에는, 제 1 판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판재로 제 1 골격부의 차량 내측의 부분과 제 2 골격부의 차량 내측의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필러의 차량 외측에는, 제 2 판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판재로 제 1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제 2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골격부, 제 2 골격부, 제 1 판재 및 제 2 판재에 의해 폐단면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양태의 제 5 구성에서는, 제 1 골격부, 제 2 골격부, 제 1 판재 및 제 2 판재로 구성된 폐단면으로,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에 있어서 운전자의 시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6 구성의 프론트 필러 구조는, 운전석측의 프론트 필러의 일부를 구성하며,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를 따라 연재함과 함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된 제 1 골격부와, 상기 프론트 필러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석측에 배치된 사이드 도어측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골격부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골격부를 따라 연재함과 함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된 제 2 골격부와, 상기 프론트 필러의 차량 외측에 부착됨과 함께, 상기 운전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상기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을 연결하는 투명 판재를 가지고, 상기 제 1 골격부는, 상기 운전자로부터 보아서 사각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가 부착된 제 1 부착벽부와, 상기 사각이 되는 위치이면서 또한 상기 제 1 부착벽부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 1 부착벽부와 연속하여 연장됨과 함께 상기 투명 판재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가 부착된 제 2 부착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6 구성에 의하면, 운전석측의 프론트 필러가,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프론트 필러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6 구성에서는, 프론트 필러의 차량 외측에 제 1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제 2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을 연결하는 투명 판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 판재는, 운전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운전자는,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로부터 차량 외측을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양태의 제 6 구성에서는, 윈드 쉴드 글라스 및 투명 판재가 제 1 골격부에 부착되어 있지만,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 및 투명 판재의 부착 개소의 배치 여하에 따라서는, 상기 부착 개소가 운전자의 시계를 가리는 것이 생각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양태의 제 6 구성에서는, 제 1 골격부가 제 1 부착벽부와 제 2 부착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부착벽부는, 운전자로부터 보아서 사각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부착벽부는, 운전자로부터 보아서 사각이 되는 위치이면서 또한 제 1 부착벽부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 1 부착벽부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 1 부착벽부에는,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 2 부착벽부에는, 투명 판재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양태의 제 6 구성에서는, 윈드 쉴드 글라스의 제 1 부착벽부에의 부착 개소 및 투명 판재의 제 2 부착벽부에의 부착 개소에 의해 운전자의 시계가 가려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7 구성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판재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는,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에 대하여, 차량 후방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7 구성에 의하면, 제 1 골격부에 부착된 투명 판재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가, 마찬가지로 제 1 골격부에 부착된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에 대하여, 차량 후방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양태의 제 7 구성에서는, 차량의 주행 시 등에 있어서, 윈드 쉴드 글라스를 따라 흐르는 워셔액 등의 액체가, 투명 판재를 향하여 비산(飛散)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8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와 상기 투명 판재의 경계부에는, 전측 시일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8 구성에 의하면, 윈드 쉴드 글라스와 투명 판재의 경계부에 전측 시일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차량의 주행 시 등에 있어서, 윈드 쉴드 글라스를 따라 흐르는 워셔액 등의 액체가 흐르는 방향을 전측 시일 부재로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9 구성의 프론트 필러 구조는, 운전석측의 프론트 필러의 일부를 구성하며,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를 따라 연재함과 함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된 제 1 골격부와, 상기 프론트 필러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석측에 배치된 사이드 도어측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골격부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골격부를 따라 연재함과 함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된 제 2 골격부와, 상기 운전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상기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골격부와 상기 제 2 골격부의 사이에 개재하는 중실(Solid)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 1 골격부와 상기 제 2 골격부를 연결하는 투명한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9 구성에 의하면, 운전석측의 프론트 필러가,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프론트 필러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9 구성에서는,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가 투명한 연결부로 연결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연결부가, 운전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에 있어서 운전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프론트 필러로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에 즈음하여, 상기 프론트 필러에 있어서의 제 1 골격부 및 제 2 골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분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양태의 제 9 구성에서는, 연결부가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에 개재하는 중실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필러의 제 1 골격부 및 제 2 골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분에 있어서, 프론트 필러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의 단면 2차 모멘트를 더 크게 한다. 나아가서는 상기 부분의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0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골격부의 차량 외측 및 차량 내측의 어느 일방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중실부로부터 상기 제 1 골격부측으로 연장 돌출된 제 1 연장 돌출부와, 상기 제 2 골격부의 상기 일방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 2 골격부측으로 연장 돌출된 제 2 연장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중실부의 상기 제 1 골격부측의 전면부 및 상기 제 1 연장 돌출부의 상기 제 1 골격부측의 제 1 측면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제 1 접합부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골격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중실부의 상기 제 2 골격부측의 후면부 및 상기 제 2 연장 돌출부의 상기 제 2 골격부측의 제 2 측면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제 2 접합부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골격부에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0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가, 중실부로부터 제 1 골격부측으로 연장 돌출된 제 1 연장 돌출부와, 상기 중실부로부터 제 2 골격부측으로 연장 돌출된 제 2 연장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연장 돌출부는, 제 1 골격부의 차량 외측 및 차량 내측의 어느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 2 연장 돌출부는, 제 2 골격부의 상기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제 1 골격부 및 제 2 골격부가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의해 변형될 때에, 제 1 골격부 및 제 2 골격부가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프론트 필러에 있어서의 제 1 골격부 및 제 2 골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분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생각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0 구성에서는, 중실부의 제 1 골격부측의 전면부 및 제 1 연장 돌출부의 상기 제 1 골격부측의 제 1 측면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제 1 접합부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골격부에 접합되어 있다. 중실부의 제 2 골격부측의 후면부 및 제 2 연장 돌출부의 상기 제 2 골격부측의 제 2 측면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제 2 접합부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골격부에 접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0 구성에서는, 제 1 골격부 및 제 2 골격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려고 할 때에는,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상대 변위가 중실부로 지지되어서 상기 상대 변위가 보다 억제된다. 한편,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가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려고 할 때에는, 제 1 접합부 및 제 2 접합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대 변위가 보다 억제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1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투명한 제 1 판재와, 투명한 제 2 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판재는, 상기 중실부, 상기 제 1 연장 돌출부 및 상기 제 2 연장 돌출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 1 골격부의 차량 내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의 차량 내측의 부분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판재는, 상기 제 1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을 연결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1 구성에 의하면, 중실부, 제 1 연장 돌출부 및 제 2 연장 돌출부를 구비한 제 1 판재에 의해, 제 1 골격부의 차량 내측의 부분과 제 2 골격부의 차량 내측의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접합부 및 제 2 접합부가 차실 내측에 배치되게 되며, 제 1 접합부 및 제 2 접합부를 필러 가니쉬 등으로 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 1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제 2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은, 제 2 판재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골격부, 제 2 골격부, 제 1 판재 및 제 2 판재에 의해 폐단면이 구성되어, 상기 폐단면에 의해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2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 1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의 차량 외측의 부분을 연결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2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가 차량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골격부 및 제 2 골격부의 차실 내측에 면하는 부분을 필러 가니쉬 등으로 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3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골격부 및 상기 제 2 골격부는, 고장력강(高張力鋼)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3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골격부 및 상기 제 2 골격부가 고장력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론트 필러를 일반적인 강재(鋼材)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프론트 필러의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상기 프론트 필러를 박육화(薄肉化)할 수 있다. 여기에 말하는 「고장력강」이란, 인장 강도가 490[㎫] 이상의 강재를 의미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필러의 강성의 확보와 운전석으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의 확보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2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제 1 골격부와 제 2 골격부의 사이로부터 차량 외측을 볼 경우에 있어서, 운전석으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3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 및 후측 시일 부재로 운전자의 시계가 가려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4 구성에 의하면, 전측 시일 부재로 운전자의 시계가 가려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5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필러를 보강하여 차체의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높이면서, 운전석으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6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필러의 강성의 확보와 운전석으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의 확보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7 구성에 의하면, 투명 판재에 액체가 부착되어서 운전석으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8 구성에 의하면, 윈드 쉴드 글라스를 따라 흐르는 액체가 투명 판재를 향하여 흐르는 것을 보다 억제하고, 상기 액체의 투명 판재에의 부착이 보다 억제되는 확실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9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필러의 강성의 확보와 운전석으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의 확보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0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필러가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의해 변형될 때에, 제 1 골격부 및 제 2 골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분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의 단면 형상이 무너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1 구성에 의하면, 차실 내의 의장성을 확보하면서, 프론트 필러를 보강하여 차체의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2 구성에 의하면, 차실 내측에서 본 프론트 필러의 의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제 13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필러의 강도의 확보와 경량화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프론트 필러 구조가 적용된 프론트 필러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프론트 필러를 그 길이 방향에서 본 확대 단면도(도 3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프론트 필러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기준 아이 포인트의 위치에서 차량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도 5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프론트 필러 구조가 적용된 프론트 필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차량 내측에서 본 측면도(도 2의 3 방향을 따라 본 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프론트 필러 구조가 적용된 프론트 필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프론트 필러 구조가 적용된 프론트 필러 및 프론트 필러의 주변부를 운전석에 착좌한 상태의 운전자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프론트 필러 구조가 적용된 프론트 필러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프론트 필러를 그 길이 방향에서 본 확대 단면도(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양태와 관련되는 프론트 필러 구조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적절히 나타내는 화살표(FR)는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UP)는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RH)는 차량 폭방향 우측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2 및 도 5를 이용하여,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프론트 필러 구조가 적용된 「차량(10)」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5의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량(10)의 차실(12)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는 캐빈(14)의 차량 전방측이면서 또한 차량 폭방향 우측의 부분에는, 운전석으로서의 「차량용 시트(16)」(이하, 시트(16)라고 칭한다)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10)은, 우핸들 사양의 차량으로 되어 있다.
시트(16)는, 「운전자(18)」가 착좌하는 시트 쿠션(20)과, 운전자(18)의 등부를 지지하는 시트백(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시트백(22)의 하단부가 시트 쿠션(20)의 후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시트(16)는, 시트(16)의 하방측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되어 있으며, 차량 전후 방향(시트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캐빈(14)의 차량 전방측(시트(16)의 전방측)에는, 「윈드 쉴드 글라스(2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24)는, 투명한 글라스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 폭방향에서 보아서 차량 전방 하측으로부터 차량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과 함께,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중앙부가 차량 전방측으로 볼록하게 되어서 불룩해진 상태로 만곡(彎曲)되어 있다.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차량 폭방향 우측의 「주연부(24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16)측에 배치되어서 차체(26)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필러(30)」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도시하지 않은 차량 폭방향 좌측의 주연부는,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차량 폭방향 좌측의 프론트 필러에 지지되어 있다.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도시하지 않은 차량 하방측의 주연부는, 차량 폭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도시하지 않은 카울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도시하지 않은 차량 상방측의 주연부는, 캐빈(14)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28)의 전단부에 있어서,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프론트 헤더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필러(30) 및 프론트 필러(30)의 주변부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필러(30) 및 프론트 필러(30)의 주변 구조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프론트 필러(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 필러(30)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면서 또한 차량 폭방향에서 보아서 차량 전방 하측으로부터 차량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는 필러 어퍼(32)와, 필러 어퍼(32)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으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필러 로어(34)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서는, 프론트 필러(30)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부재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필러 어퍼(32)는, 필러 어퍼(32)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일반부(32A), 상기 일반부(32A)로부터 양다리로 분기(分岐)되어서 각각 차량 전방 하측으로 연장 돌출된 제 1 골격부로서의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골격부로서의 「제 2 프레임부(32C)」를 구비하고 있다. 필러 어퍼(32)는, 도 1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16)측에 배치된 「사이드 도어(36)」로 개폐되는 도어 개구부(38)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프레임부(32B)는,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주연부(24A)를 따라 연재하고 있는 것과 함께, 제 2 프레임부(32C)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부(32B)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프레임부(32B)를 따라 연재하고 있다.
한편, 필러 로어(34)는, 도어 개구부(38)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과 함께, 필러 로어(34)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이, 차체(26)의 도시하지 않은 플로어부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를 따라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로커에 연결되어 있다. 필러 로어(34)는,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를 이들의 차량 하방측에서 연결하고 있으며, 프론트 필러(30)에는, 상기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부(40)가 마련되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프론트 필러(30)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러 아우터(42) 및 필러 이너 로어(4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필러 아우터(42) 및 필러 이너 로어(44)는, 각각 강재,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장력강판이 프레스 가공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고장력강이란, 인장 강도가 490[㎫] 이상의 강재를 의미하고 있으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필러 아우터(42) 및 필러 이너 로어(44)의 재료로서, 인장 강도가 1.5[㎬] 이상의 초고장력강판이 이용되고 있다.
필러 아우터(42)는, 필러 어퍼(32)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아우터 상부(46)와, 필러 로어(34)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아우터 하부(4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아우터 상부(46)는, 일반부(32A)의 일부를 구성하는 외측 연장 돌출부(46A), 제 1 프레임부(32B)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프레임 아우터부(46B) 및 제 2 프레임부(32C)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프레임 아우터부(46C)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프레임 아우터부(46B)를 제 1 F 아우터부(46B)라고 칭하고, 제 2 프레임 아우터부(46C)를 제 2 F 아우터부(46C)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측 연장 돌출부(46A)는, 상기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폭방향 내측이 개방된 해트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외측 연장 돌출부(46A)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이 도시하지 않은 필러 이너 어퍼와 함께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외측 연장 돌출부(46A)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러 이너 로어(44)와 접합되어 있다.
제 1 F 아우터부(46B)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 2 부착벽부로서의 「제 1 외벽부(46B1)」, 만곡벽부(46B2) 및 제 1 부착벽부로서의 「제 2 외벽부(46B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외벽부(46B1)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을 따르도록 연재하고 있는 것과 함께,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폭방향 외측에 면하는 외측 측면부(30A)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 2 외벽부(46B3)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24)와 평행이 되도록 연재하고 있다. 만곡 벽부(46B2)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차량 후방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 1 외벽부(46B1)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와 제 2 외벽부(46B3)의 차량 후방측의 주연부를 연결하고 있다. 즉, 제 1 외벽부(46B1)는, 제 2 외벽부(46B3)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외벽부(46B1)는, 만곡벽부(46B2)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외벽부(46B3)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 2 F 아우터부(46C)는,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배치된 외벽부(46C1), 제 1 후벽부(46C2), 제 2 후벽부(46C3) 및 제 3 후벽부(46C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벽부(46C1)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는 것과 함께, 프론트 필러(30)의 외측 측면부(30A)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외벽부(46C1)의 차량 후방측의 주연부로부터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 1 후벽부(46C2)가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 1 후벽부(46C2)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주연부로부터는, 제 2 후벽부(46C3)가 차량 후방 내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후벽부(46C3)의 차량 후방측의 주연부로부터는, 제 3 후벽부(46C4)가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제 1 후벽부(46C2), 제 2 후벽부(46C3) 및 제 3 후벽부(46C4)는,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후방측에 면하는 후면부(30B)를 구성하고 있다.
도 4로 돌아가서, 아우터 하부(47)는,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불룩하면서 또한 차량 폭방향에서 보아서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 1 F 아우터부(46B)와 제 2 F 아우터부(46C)를 이들 차량 하방측에서 연결하고 있다. 아우터 하부(4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러 이너 로어(44)와 접합되어 있다.
필러 이너 로어(44)는, 필러 어퍼(32)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이너 상부(48)와, 필러 로어(34)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이너 하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너 상부(48)는, 일반부(32A)의 일부를 구성하는 내측 연장 돌출부(48A), 제 1 프레임부(32B)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프레임 이너부(48B) 및 제 2 프레임부(32C)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프레임 이너부(48C)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프레임 이너부(48B)를 제 1 F 이너부(48B)라고 칭하고, 제 2 프레임 이너부(48C)를 제 2 F 이너부(48C)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연장 돌출부(48A)는, 상기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폭방향 외측이 개방된 해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내측 연장 돌출부(48A)는, 내측 연장 돌출부(48A)의 차량 전후 방향 양측에 마련된 플랜지부가, 상기 플랜지부에 각각 대응하는 외측 연장 돌출부(46A)의 플랜지부와 도시하지 않은 용접 등에 의한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외측 연장 돌출부(46A)와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F 이너부(48B)는, 도 1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벽부(48B1), 경사벽부(48B2), 내벽부(48B3) 및 전벽부(48B4)를 포함하며,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대략 J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벽부(48B1)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 1 F 아우터부(46B)의 제 1 외벽부(46B1)와 대략 직교하고 있는 것과 함께, 제 1 외벽부(46B1)의 차량 후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벽부(48B1)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주연부로부터는, 경사벽부(48B2)가 경사진 상태벽부(48B2)의 연장 돌출 방향이 차량 폭방향과 일치하도록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경사벽부(48B2)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후벽부(48B1)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내벽부(48B3)는, 경사벽부(48B2)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에 대하여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약간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내벽부(48B3)는,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폭방향 내측에 면하는 내측 측면부(30C)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전벽부(48B4)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내벽부(48B3)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폭방향 외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F 아우터부(46B)의 제 2 외벽부(46B3)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전벽부(48B4)는, 제 1 F 아우터부(46B)와 함께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전방측에 면하는 전면부(30D)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 2 F 이너부(48C)는,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배치된 전벽부(48C1), 경사벽부(48C2) 및 내벽부(48C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벽부(48C1)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 2 F 아우터부(46C)의 외벽부(46C1)와 직교하고 있는 것과 함께, 외벽부(46C1)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벽부(48C2)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전벽부(48C1)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후방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벽부(48C1)에 대하여 차량 후방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내벽부(48C3)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경사벽부(48C2)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 2 F 아우터부(46C)의 제 3 후벽부(46C4)보다도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내벽부(48C3)는,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폭방향 내측에 면하는 내측 측면부(30C)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F 아우터부(46B)의 제 1 외벽부(46B1)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에는, 제 1 F 이너부(48B)의 후벽부(48B1)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차량 후방측의 단부와 상기 차량 폭방향 외측의 단부가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한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제 1 F 아우터부(46B)의 제 2 외벽부(46B3)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의 단부에는, 제 1 F 이너부(48B)의 전벽부(48B4)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차량 전방측의 단부와 상기 차량 폭방향 외측의 단부가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한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 프레임부(32B)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 F 아우터부(46C)의 외벽부(46C1)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의 단부에는, 제 2 F 이너부(48C)의 전벽부(48C1)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차량 전방측의 단부와 상기 차량 폭방향 외측의 단부가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한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제 2 F 이너부(48C)의 내벽부(48C3)에는, 제 2 F 아우터부(46C)의 제 3 후벽부(46C4)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내벽부(48C3)와 상기 차량 폭방향 내측의 단부가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한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2 프레임부(32C)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너 하부(50)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량 폭방향에서 보아서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 1 F 이너부(48B)와 제 2 F 이너부(48C)를 이들 차량 하방측에서 연결하고 있다. 이너 하부(50)는, 아우터 하부(47)와 도시하지 않은 용접 등에 의한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상기 아우터 하부(47)와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 1 프레임부(32B)에 있어서의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W1)이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마찬가지로,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 2 프레임부(32C)에 있어서의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W2)도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제 1 프레임부(32B)의 폭(W1) 및 제 2 프레임부(32C)의 폭(W2)의 하한값은,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프론트 필러(30)의 강성을 확보 가능한 최소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에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표준 동공간 거리(A) 이상의 간격(D)을 두고 있다. 이에 의해,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로부터 운전자(18)가 차량 외측을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도 이용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표준 동공간 거리(A)란, 소정의 모집단에 있어서의 오른쪽 눈의 동공의 중심과 왼쪽 눈의 동공의 중심의 거리, 즉 동공간 거리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있으며, 일본인의 성인에서는, 표준 동공간 거리가 60[㎜]∼65[㎜]라고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표준 동공간 거리(A)를 65[㎜]로 설정하여, 제 1 프레임부(32B)의 폭(W1), 제 2 프레임부(32C)의 폭(W2) 및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간격(D)이 설정되어 있다. 표준 동공간 거리(A)는, 대상으로 하는 나라나 지역 등에 따라 적절히 모집단을 변경하여 설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대상으로 하는 나라나 지역 등에 따라 표준 동공간 거리(A)를 50[㎜]∼80[㎜]의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운전자(18)의 시선 방향」이란, 시트(16)에 착좌한 운전자(18)가 프론트 필러(30)를 보았을 때의 시선의 방향을 의미하고 있으며, 각 도 중에는, 기준 아이 포인트의 중심(O)으로부터 프론트 필러(30)를 향하여 연장되는 직선(SL)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중심(O)이, 시트(16)의 시트 포지션이 뉴트럴(중립 위치), 즉 프론트 모스트(최전방 위치)와 리어 모스트(최후방 위치)의 중간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 시팅 래퍼런스 포인트로부터 차량 상방측(수직 상방측)에서 635[㎜]의 높이의 점으로 설정되어 있다. 시팅 래퍼런스 포인트란, ISO6549-1980에 의거하여 인체 모형을 좌석에 착좌하게 하였을 때의 상기 인체 모형의 고관절점의 위치 또는 이에 상당하는 좌석 상에 설정한 설계 기준 위치를 의미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통상의 운전 상태에 있어서의 운전자(18)의 눈의 위치를 대표하는 점, 즉 기준 아이 포인트(P1,P2)는, 중심(O)을 기준으로 하여 차량 폭방향의 간격이 65[㎜]로 설정된 2점으로 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평단면이란, 중심(O)(기준 아이 포인트(P1,P2))의 높이에서 차량(10)을 절단한 상태의 평단면을 의미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론트 필러(30)에 마련된 관통부(40)의 형상이 운전자(18)의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간격(D)이, 일례로서, 65[㎜]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간격(D)은, 운전자(18)로부터 프론트 필러(30)측을 보았을 때의 상기 프론트 필러(30)와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경계부로부터 중심(O)보다도 차량 상방측에서 200[㎜]의 위치까지 유지되어 있다. 프론트 필러(30)는, 그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와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 1 프레임부(32B)의 폭(W1), 제 2 프레임부(32C)의 폭(W2) 및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간격(D)이, 각각 변화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내측에는, 투명부재 및 연결부로서의 「제 1 판재(54)」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판재(54)로 제 1 프레임부(32B)의 차량 내측의 부분과 제 2 프레임부(32C)의 차량 내측의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외측에는, 투명부재 및 연결부로서의 「제 2 판재(56)」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판재(56)로 제 1 프레임부(32B)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제 2 프레임부(32C)의 차량 외측의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즉, 운전자(18)의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제 1 판재(54) 및 제 2 판재(56)는,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 1 판재(54) 및 제 2 판재(56)는, 각각 무기 글라스나 고강도 투명 수지 등의 투명한 재질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강도 투명 수지로서는, 글라스 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PC-GF)나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CNF)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판재(54)는, 전체로는 프론트 필러(30)를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중실부(54A)」, 「제 1 연장 돌출부(54B)」 및 「제 2 연장 돌출부(54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중실부(54A)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그 단면 형상이 차량 외측으로부터 차량 내측을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중실부(54A)는,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프레임부(32B)의 경사벽부(48B2)와 제 2 프레임부(32C)의 경사벽부(48C2)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 1 연장 돌출부(54B)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중실부(54A)의 차량 전방 내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제 1 프레임부(32B)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차량 내측에서 보아서, 중실부(54A)를 따라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연장 돌출부(54C)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중실부(54A)의 차량 후방 내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후방측(제 2 프레임부(32C)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차량 내측에서 보아서, 중실부(54A)를 따라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판재(54)는, 탄성변형 가능한 제 1 접합부로서의 「접합부(58)」에서 제 1 프레임부(32B)에 접합되어 있는 것과 함께, 탄성변형 가능한 제 2 접합부로서의 「접합부(60)」에서 제 2 프레임부(32C)에 접합되어 있다. 접합부(58,60)는, 우레탄 접착제 등의 탄성이나 유연성을 가지는 접착제나 점착체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합부(58)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은, 제 1 연장 돌출부(54B)의 제 1 프레임부(32B)측의 제 1 측면부로서의 「측면부(54B1)」와 상기 제 1 프레임부(32B)의 내벽부(48B3)를 접합하고 있다. 한편, 접합부(58)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은, 중실부(54A)의 제 1 프레임부(32B)측의 「전면부(54A1)」와 상기 제 1 프레임부(32B)의 경사벽부(48B2)를 접합하고 있다.
접합부(60)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은, 중실부(54A)의 제 2 프레임부(32C)측의 「후면부(54A2)」와 제 2 프레임부(32C)의 경사벽부(48C2)를 접합하고 있다. 한편, 접합부(60)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은, 제 2 연장 돌출부(54C)의 제 2 프레임부(32C)측의 제 2 측면부로서의 「측면부(54C1)」와 상기 제 2 프레임부(32C)의 내벽부(48C3)를 접합하고 있다.
한편, 제 2 판재(56)는, 프론트 필러(30)를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판재(56)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는 측벽부(56A)와, 상기 제 2 판재(56)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전벽부(56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측벽부(56A)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판 두께 방향을 차량 폭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전벽부(56B)는, 상기 측벽부(56A)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차량 전방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판재(56)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가 우레탄 접착제 등에 의한 접합부(62)를 개재하여 제 1 프레임부(32B)의 제 1 외벽부(46B1)에 부착되어 있다. 제 2 판재(56)의 차량 후방측의 주연부는, 우레탄 접착제 등에 의한 접합부(64)에서 제 2 프레임부(32C)의 외벽부(46C1)에 접합되어 있다. 접합부(62)의 차량 후방측 및 접합부(64)의 차량 전후 방향 양측에는, 각각 쿠션 고무(66)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론트 필러(30)에 제 1 판재(54) 및 제 2 판재(56)가 부착됨으로써, 제 1 프레임부(32B), 제 2 프레임부(32C), 제 1 판재(54) 및 제 2 판재(56)에 의해 평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제 1 프레임부(32B)의 제 2 외벽부(46B3)에 있어서의 차량 외측의 면에는,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주연부(24A)가, 우레탄 접착제 등에 의한 접합부(68)를 개재하여 부착되어 있다. 접합부(68)의 차량 전방측에는, 쿠션 고무(70)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프레임부(32B)의 제 1 외벽부(46B1) 및 제 2 외벽부(46B3)는, 운전자(18)로부터 보아서 사각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외벽부(46B1)와 제 2 판재(56)의 접합부(62) 및 제 2 외벽부(46B3)와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접합부(68)는, 운전자(18)로부터 보아서 가려지게 되어 있다.
제 2 판재(56)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는,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주연부(24A)에 대하여 차량 후방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판재(56)와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경계부에는, 전측 시일 부재로서의 「윈드 쉴드 몰딩(7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윈드 쉴드 몰딩(72)은,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주연부(24A)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몰딩 본체부(72A), 전측 립부(72B) 및 후측 립부(72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몰딩 본체부(72A)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24)를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전측 립부(72B)는, 몰딩 본체부(72A)의 중앙부로부터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주연부(24A)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전측 립부(72B)는, 몰딩 본체부(72A)와 함께 유로부(74)를 구성하고 있으며, 차량(10)의 주행 시 등에 있어서,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워셔액 등의 액체가 상기 유로부(74)를 흐르도록 되어 있다. 후측 립부(72C)는, 몰딩 본체부(72A)의 중앙부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제 1 프레임부(32B)의 만곡벽부(46B2)와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도어(36)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36)의 「프레임(76)」은, 제 2 프레임부(32C)를 따라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프레임(76)과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에는, 후측 시일 부재로서의 「웨더 스트립(78,80)」이 개재되어 있다.
웨더 스트립(78)은, 제 2 프레임부(32C)의 내벽부(48C3)의 단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계지부(78A), 연장 돌출부(78B) 및 중공(中空) 시일부(78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계지부(78A)는,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내벽부(48C3)의 단부에 계지(係止)되어 있으며, 연장 돌출부(78B)는, 계지부(78A)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 돌출된 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중공 시일부(78C)는, 그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계지부(78A)로부터 차량 외측으로 팽출(膨出)되어 있다. 사이드 도어(36)가 닫힌 상태에서는, 중공 시일부(78C)가 프레임(76)에 눌러 찌부러져서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웨더 스트립(80)은, 프레임(76)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계지부(80A), 연장 돌출부(80B) 및 중공 시일부(80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계지부(80A)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프레임(76)에 마련된 피(被)계지부(82)에 계지되어 있다. 연장 돌출부(80B)는, 계지부(80A)로부터 차량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것과 함께, 프레임(76)의 차량 전방측의 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 돌출부(80B)의 선단부에 차량 전방측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중공 시일부(80C)는, 그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계지부(80A)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되어 있다. 사이드 도어(36)가 닫힌 상태에서는, 연장 돌출부(80B)의 돌기부 및 중공 시일부(80C)가 눌러 찌부러져서 프론트 필러(30)의 후면부(30B)에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프론트 필러(30)에 제 1 판재(54)가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프레임부(32B)의 차량 내측은, 제 1 필러 가니쉬(84)로 덮여 있으며, 제 2 프레임부(32C)의 차량 내측은, 제 2 필러 가니쉬(86)로 덮여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필러 가니쉬(84)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L자 형상이면서 또한 제 1 프레임부(32B)를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내측 측벽부(84A)와 전측 측벽부(84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내측 측벽부(84A)로 제 1 프레임부(32B)의 내벽부(48B3)와 제 1 판재(54)의 제 1 연장 돌출부(54B)가 차량 내측으로부터 덮여 있으며, 전측 측벽부(84B)로 제 1 프레임부(32B)의 전벽부(48B4)가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제 1 필러 가니쉬(84)는, 전벽부(48B4) 및 제 1 연장 돌출부(54B)에 우레탄 접착제 등에 의한 접합부(88)를 개재하여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제 2 필러 가니쉬(86)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U자 형상이면서 또한 제 2 프레임부(32C)를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 필러 가니쉬(86)는, 제 2 프레임부(32C)의 내벽부(48C3) 및 제 1 판재(54)의 제 2 연장 돌출부(54C)를 차량 내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제 2 필러 가니쉬(86)는, 제 2 연장 돌출부(54C)에 우레탄 접착제 등에 의한 접합부(90)를 개재하여 부착되어 있다.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 1 프레임부(32B), 윈드 쉴드 몰딩(72) 및 제 1 필러 가니쉬(84)로 구성된 부분(이하, 제 1 구성부(92)라고 칭한다)의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X1)이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제 1 구성부(92)의 폭(X1)이 44[㎜]로 설정되어 있다.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 2 프레임부(32C), 프레임(76), 웨더 스트립(78,80) 및 제 2 필러 가니쉬(86)로 구성된 부분(이하, 제 2 구성부(94)라고 칭한다)의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X2)도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제 2 구성부(94)의 폭(X2)이 53[㎜]로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제 1 구성부(92) 및 제 2 구성부(94)는,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외형만이 나타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16)측의 프론트 필러(30)가,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 중 제 1 프레임부(32B)는, 프론트 필러(30)에 있어서의 윈드 쉴드 글라스(24)측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주연부(24A)를 따라 연재함과 함께,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프레임부(32C)는, 프론트 필러(30)에 있어서의 시트(16)측에 배치된 사이드 도어(36)측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제 1 프레임부(32B)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프레임부(32B)를 따라 연재함과 함께, 제 1 프레임부(32B)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적이 같은 크기이면서 또한 단면이 단일의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된 프론트 필러에 비하여,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의 단면 2차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프론트 필러(3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시트(16)에 착좌한 운전자(18)의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에 제 1 판재(54) 및 제 2 판재(56)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18)는,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로부터 차량 외측을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적이 같은 크기이면서 또한 단면이 단일의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된 프론트 필러에 비하여, 시트(16)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운전자(18)가 시트(16)측의 프론트 필러(30)를 보았을 때,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로 운전자(18)의 시계가 가려지는 것이 생각된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의 각각에 있어서,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W1,W2)이,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운전자(18)가 시트(16)측의 프론트 필러(30)를 보았을 때에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로 발생하는 사각(Z)이, 차량 외측을 향함에 따라 확대되는 것이 보다 억제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필러(30)의 강성의 확보와 시트(16)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의 확보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D)은, 표준 동공간 거리(A)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운전자(18)가 시트(16)측의 프론트 필러(30)를 보았을 때,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에 사각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자(18)가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로부터 차량 외측을 볼 경우에 있어서, 시트(16)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프레임부(32B)의 폭(W1) 및 제 2 프레임부(32C)의 폭(W2)이 표준 동공간 거리(A)일 경우에는,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의 차량 외측에 있어서 표준 동공간 거리(A)의 폭을 가지는 영역이 사각(Z)이 된다. 즉, 운전자(18)가 프론트 필러(30)측을 보았을 때, 운전자(18)는,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와 겹치는 차량 외측의 영역을 시인할 수 없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표준 동공간 거리(A)는 65[㎜]로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 외측의 시인이 곤란하게 되는 것 같은 사각(Z)의 발생을 보다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 1 프레임부(32B)의 폭(W1) 및 제 2 프레임부(32C)의 폭(W2)이 표준 동공간 거리(A)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사각(Z)은 프론트 필러(30)의 근방이면서 또한 유한의 범위로 수렴된다(도 2 참조).
즉, 운전자(18)가 프론트 필러(30)측을 보았을 때,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에 근접하여 있는 영역을 제외하고, 운전자(18)는, 적어도 한 쪽의 눈으로 차량 외측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운전자(18)가 프론트 필러(30)측을 보았을 때, 프론트 필러(30)가 시각적으로 반투과의 상태가 되며, 차량 외측의 시인이 용이하게 된다.
도 1로 돌아가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시트(16)측의 사이드 도어(36)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36)의 프레임(76)이 제 2 프레임부(32C)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과 함께, 프레임(76)과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에 웨더 스트립(78,80)이 개재되어 있다.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프레임(76), 제 2 프레임부(32C) 및 웨더 스트립(78,80)을 포함하는 제 2 구성부(94)의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X2)이,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자(18)가 시트(16)측의 프론트 필러(30)측을 보았을 때, 제 2 구성부(94)로 발생하는 사각이, 차량 외측을 향함에 따라 확대되는 것이 보다 억제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76) 및 웨더 스트립(78,80)으로 운전자(18)의 시계가 가려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윈드 쉴드 글라스(24)와 제 1 프레임부(32B)의 경계부에 윈드 쉴드 몰딩(72)이 배치되어 있다.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 1 프레임부(32B) 및 윈드 쉴드 몰딩(72)을 포함하는 제 1 구성부(92)의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X1)이,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자(18)가 시트(16)측의 프론트 필러측을 보았을 때, 제 1 구성부(92)로 발생하는 사각이 차량 외측을 향함에 따라 확대되는 것이 보다 억제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윈드 쉴드 몰딩(72)로 운전자(18)의 시계가 가려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시트(16)측의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내측에는, 제 1 판재(54)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판재(54)로 제 1 프레임부(32B)의 차량 내측의 부분과 제 2 프레임부(32C)의 차량 내측의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외측에는, 제 2 판재(56)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판재(56)로 제 1 프레임부(32B)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제 2 프레임부(32C)의 차량 외측의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프레임부(32B), 제 2 프레임부(32C), 제 1 판재(54) 및 제 2 판재(56)에 의해,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프레임부(32B), 제 2 프레임부(32C), 제 1 판재(54) 및 제 2 판재(56)로 구성된 폐단면 구조로,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에 있어서 운전자(18)의 시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필러(30)를 보강하여 차체(26)의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높이면서, 시트(16)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윈드 쉴드 글라스(24) 및 제 2 판재(56)가, 제 1 프레임부(32B)에 부착되어 있지만, 윈드 쉴드 글라스(24) 및 제 2 판재(56)의 부착 개소의 배치 여하에 따라서는, 상기 부착 개소가 운전자(18)의 시계를 가리는 것이 생각된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프레임부(32B)가 제 1 외벽부(46B1)와 제 2 외벽부(46B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제 2 외벽부(46B3)는, 운전자(18)로부터 보아서 사각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1 외벽부(46B1)는, 운전자(18)로부터 보아서 사각이 되는 위치이면서 또한 제 2 외벽부(46B3)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 2 외벽부(46B3)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 2 외벽부(46B3)에는,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주연부(24A)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 1 외벽부(46B1)에는, 제 2 판재(56)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제 2 외벽부(46B3)에의 부착 개소 및 제 2 판재(56)의 제 1 외벽부(46B1)에의 부착 개소에 의해 운전자(18)의 시계가 가려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프레임부(32B)에 부착된 제 2 판재(56)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가, 마찬가지로 제 1 프레임부(32B)에 부착된 윈드 쉴드 글라스(24)의 주연부(24A)에 대하여, 차량 후방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차량(10)의 주행 시 등에 있어서, 윈드 쉴드 글라스(24)를 따라 흐르는 워셔액 등의 액체가, 제 2 판재(56)를 향하여 비산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판재(56)에 액체가 부착되어서 시트(16)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윈드 쉴드 글라스(24)와 제 2 판재(56)의 경계부에 윈드 쉴드 몰딩(72)이 배치되어 있으며, 차량(10)의 주행 시 등에 있어서, 윈드 쉴드 글라스(24)를 따라 흐르는 워셔액 등의 액체가 흐르는 방향을 윈드 쉴드 몰딩(72)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윈드 쉴드 글라스(24)를 따라 흐르는 액체가 제 2 판재(56)를 향하여 흐르는 것을 보다 억제하고, 상기 액체의 제 2 판재(56)에의 부착이 보다 억제되는 확실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가 고장력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론트 필러(30)를 일반적인 강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프론트 필러(30)의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상기 프론트 필러(30)를 박육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필러(30)의 강도의 확보와 경량화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판재(54)가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에 개재하는 중실부(54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필러(30)의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분에 있어서,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의 단면 2차 모멘트를 한층 더 크게 한다. 나아가서는 프론트 필러(30)의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분의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필러(30)의 강성의 확보와 시트(16)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의 확보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판재(54)가, 중실부(54A)로부터 제 1 프레임부(32B)측으로 연장 돌출된 제 1 연장 돌출부(54B)와, 상기 중실부(54A)로부터 제 2 프레임부(32C)측으로 연장 돌출된 제 2 연장 돌출부(54C)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연장 돌출부(54B)는, 제 1 프레임부(32B)의 차량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연장 돌출부(54C)도 제 2 프레임부(32C)의 차량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가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의해 변형될 때에,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가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프론트 필러(30)에 있어서의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분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생각된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중실부(54A)의 제 1 프레임부(32B)측의 전면부(54A1) 및 제 1 연장 돌출부(54B)의 제 1 프레임부(32B)측의 측면부(54B1)가 탄성변형 가능한 접합부(58)를 개재하여 제 1 프레임부(32B)에 접합되어 있다. 중실부(54A)의 제 2 프레임부(32C)측의 후면부(54A2) 및 제 2 연장 돌출부(54C)의 제 2 프레임부(32C)측의 측면부(54C1)가 탄성변형 가능한 접합부(60)를 개재하여 제 2 프레임부(32C)에 접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려고 할 때에는,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상대 변위가 중실부(54A)로 지지되어서 상기 상대 변위가 보다 억제된다. 한편,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가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려고 할 때에는, 접합부(58,6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대 변위가 보다 억제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필러(30)가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의해 변형될 때에,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분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의 단면 형상이 무너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판재(54)에 의해, 제 1 프레임부(32B)의 차량 내측의 부분과 제 2 프레임부(32C)의 차량 내측의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합부(58,60)가 차실 내측에 배치되게 되며, 상기 접합부(58,60)를 제 1 필러 가니쉬(84) 및 제 2 필러 가니쉬(86)로 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차실(12) 내의 의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양태와 관련되는 프론트 필러 구조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첨부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프론트 필러 구조에서는, 제 1 판재(54)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 1 필러 가니쉬(84)가 제 1 필러 가니쉬(100)로 변경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 2 필러 가니쉬(86)가 제 2 필러 가니쉬(102)로 변경되어 있다.
제 1 필러 가니쉬(100)는, 프론트 필러(30)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J자 형상이면서 또한 제 1 프레임부(32B)를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내측 측벽부(100A), 전측 측벽부(100B) 및 후측 측벽부(100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내측 측벽부(100A)는, 제 1 필러 가니쉬(84)의 내측 측벽부(84A)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전측 측벽부(100B)는, 제 1 필러 가니쉬(84)의 전측 측벽부(84B)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후측 측벽부(100C)는, 내측 측벽부(100A)의 차량 후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제 1 프레임부(32B)의 후벽부(48B1) 및 경사벽부(48B2)를 따라 차량 외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 1 프레임부(32B)의 후벽부(48B1) 및 경사벽부(48B2)를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제 1 필러 가니쉬(100)는, 제 1 프레임부(32B)의 전벽부(48B4)에 우레탄 접착제 등에 의한 접합부(104)를 개재하여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제 2 필러 가니쉬(102)는, 제 2 필러 가니쉬(86)와 동일한 구성으로 한 본체부(102A)와, 상기 본체부(102A)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로부터 제 2 프레임부(32C)의 전벽부(48C1) 및 경사벽부(48C2)를 따라 차량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측 측벽부(102B)를 구비하고 있다. 전측 측벽부(102B)는, 전벽부(48C1) 및 경사벽부(48C2)를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제 2 필러 가니쉬(102)는, 경사벽부(48C2)에 우레탄 접착제 등에 의한 접합부(106)를 개재하여 부착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 1 프레임부(32B), 윈드 쉴드 몰딩(72) 및 제 1 필러 가니쉬(100)로 구성된 제 1 구성부(108)에 있어서의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Y1)은,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 2 프레임부(32C), 프레임(76), 웨더 스트립(78,80) 및 제 2 필러 가니쉬(102)로 구성된 제 2 구성부(110)에 있어서의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Y2)도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판재(54)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제외하고,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이룬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제 1 판재(54) 및 제 2 판재(56)를 마련하는 구성에 비하여,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로부터의 차량 외측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 1 프레임부(32B) 및 제 2 프레임부(32C)에 있어서의 차실(12) 내측에 면하는 부분을 제 1 필러 가니쉬(100) 및 제 2 필러 가니쉬(102)로 가릴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차실(12) 내측에서 본 프론트 필러(30)의 의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1)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필러(30)에 마련된 관통부(40)의 형상이 운전자(18)의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론트 필러(30)의 주변부의 구성 등에 따라, 관통부(40)의 형상을, 운전자(18)의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차량 하방측을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삼각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관통부(40)가 마련되어 있는 범위도 차량(10)의 구성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며, 관통부(40)의 구성에 따라 제 1 판재(54)를 블록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2)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우핸들 사양의 차량(10)에 상술한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프론트 필러 구조를 적용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좌핸들 사양의 차량에 있어서, 차량 폭방향 좌측의 프론트 필러에 상술한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프론트 필러 구조를 적용하여도 된다.
(3)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필러(30)의 외측 측면부(30A)나 내측 측면부(30C)에 무기 글라스나 고강도 투명 수지 등으로 구성된 투명 판재가 부착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론트 필러(30)의 구성 등에 따라, 비교적 저강도의 투명 수지재로 구성된 투명 판재가 프론트 필러(30)의 외측 측면부(30A)나 내측 측면부(30C)에 부착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사이에 트러스 형상의 보강부재 등을 배치하여, 프론트 필러(30)를 보강하여도 된다.
(4) 게다가,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프레임부(32B)와 제 2 프레임부(32C)의 간격(D)이 65[㎜]로 설정되어 있었지만, 차량(10)의 구성에 따라 간격(D)를 넓혀도 되고, 운전자(18)가 차량 외측을 시인 가능하면, 간격(D)를 좁혀도 된다.
(5)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필러(30)의 내측 측면부(30C)에 중실부를 구비한 투명 판재를 부착하였지만, 프론트 필러(30)의 구성 등에 따라, 외측 측면부(30A)에 중실부를 구비한 투명 판재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프론트 필러(30)의 구성 등에 따라, 제 1 판재(54)에 중실부(54A)를 마련하지 않고 상기 제 1 판재(54)를 제 2 판재(56)와 마찬가지로 똑같은 판 두께의 판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6)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필러(30)의 외측 측면부(30A)에 투명 판재가 부착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례로서, 프론트 필러(30)나 상기 프론트 필러(30)의 주변의 구성 등에 따라, 제 1 프레임부(32B)의 차량 후방측에 면하는 후면부와 제 2 프레임부(32C)의 차량 전방측에 면하는 전면부의 사이에 투명 판재를 걸쳐 놓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투명 판재를 두껍게 하여 중실부로서 기능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프론트 필러(30)의 구성 등에 따라, 프론트 필러(30)의 외측 측면부(30A)에 부착된 투명 판재에 중실부를 마련하고, 롤 오버 시 등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Claims (13)

  1.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24A)를 따라 연재하는 제 1 골격부(32B)-상기 제 1 골격부(32B)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은 폐단면이며,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운전석(16)에 착좌한 운전자(18)의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상기 제 1 골격부(32B)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골격부(32B)를 따라 연재하는 제 2 골격부(32C)-상기 제 2 골격부(32C)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은 폐단면이며,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상기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다-; 및
    상기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상기 제 1 골격부(32B)와 제 2 골격부(32C)의 사이에 배치되며, 투명한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내측에는, 상기 제 1 골격부(32B)의 차량 내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차량 내측의 부분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 부재로서의 제 1 판재(54)가 부착되어 있으며,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외측에는, 상기 제 1 골격부(32B)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차량 외측의 부분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 부재로서의 제 2 판재(56)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골격부(32B), 상기 제 2 골격부(32C), 상기 제 1 판재(54) 및 상기 제 2 판재(56)로 폐단면이 구성되어 있는 프론트 필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골격부(32B)와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상기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은, 상기 표준 동공간 거리(A) 이상인 프론트 필러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골격부(32C)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사이드 도어(36)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사이에 개재하는 후측 시일 부재(78)를 더 포함하며.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기 제 2 골격부(32C) 및 상기 후측 시일 부재(78)로 구성된 부분의 상기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상기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인 프론트 필러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24)와 상기 제 1 골격부(32B)의 경계에 배치되어 있는 전측 시일 부재(72)를 더 포함하며,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골격부(32B) 및 상기 전측 시일 부재(72)로 구성된 부분의 상기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상기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인 프론트 필러 구조.
  5. 삭제
  6. 운전석(16)측의 프론트 필러(30)의 일부를 구성하며,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24A)를 따라 연재함과 함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된 제 1 골격부(32B);
    상기 프론트 필러(30)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석(16)측에 배치된 사이드 도어(36)측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골격부(32B)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골격부(32B)를 따라 연재함과 함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된 제 2 골격부(32C); 및
    상기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외측에 부착됨과 함께, 상기 운전석(16)에 착좌한 운전자(18)의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상기 제 1 골격부(32B)와 제 2 골격부(32C)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골격부(32B)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차량 외측의 부분을 연결하는 투명 판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골격부(32B)는, 상기 운전자(18)로부터 보아서 사각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24A)가 부착된 제 1 부착벽부(46B3)와, 상기 사각이 되는 위치이면서 또한 상기 제 1 부착벽부(46B3)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 1 부착벽부(46B3)와 연속하여 연장됨과 함께 상기 투명 판재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가 부착된 제 2 부착벽부(46B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골격부(32B) 및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표준 동공간 거리(A) 이하이며,
    상기 프론트 필러(30)의 차량 내측에는, 상기 제 1 골격부(32B)의 차량 내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차량 내측의 부분을 연결하는 투명한 연결 부재로서 제 1 판재(54)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골격부(32B), 상기 제 2 골격부(32C), 상기 제 1 판재(54) 및 상기 투명 판재로 폐단면이 구성되어 있는 프론트 필러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판재의 차량 전방측의 주연부는,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24A)에 대하여, 차량 후방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프론트 필러 구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 쉴드 글라스(24)와 상기 투명 판재의 경계부에는, 전측 시일 부재(72)가 배치되어 있는 프론트 필러 구조.
  9. 운전석(16)측의 프론트 필러(30)의 일부를 구성하며,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주연부(24A)를 따라 연재함과 함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된 제 1 골격부(32B);
    상기 프론트 필러(30)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석(16)측에 배치된 사이드 도어(36)측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골격부(32B)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골격부(32B)를 따라 연재함과 함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되는 폐단면 구조로 된 제 2 골격부(32C); 및
    상기 운전석(16)에 착좌한 운전자(18)의 시선 방향에서 보아서 상기 제 1 골격부(32B)와 제 2 골격부(32C)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골격부(32B)와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사이에 개재하는 중실부(54A)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 1 골격부(32B)와 상기 제 2 골격부(32C)를 연결하는 투명한 연결부를 구비하는 프론트 필러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골격부(32B)의 차량 외측 및 차량 내측의 어느 일방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중실부(54A)로부터 상기 제 1 골격부(32B)측으로 연장 돌출된 제 1 연장 돌출부(54B)와,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상기 일방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 2 골격부(32C)측으로 연장 돌출된 제 2 연장 돌출부(54C)를 더 구비하며,
    상기 중실부(54A)의 상기 제 1 골격부(32B)측의 전면부(54A1) 및 상기 제 1 연장 돌출부(54B)의 상기 제 1 골격부(32B)측의 제 1 측면부(54B1)가 탄성변형 가능한 제 1 접합부(58)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골격부(32B)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중실부(54A)의 상기 제 2 골격부(32C)측의 후면부(54A2) 및 상기 제 2 연장 돌출부(54C)의 상기 제 2 골격부(32C)측의 제 2 측면부(54C1)가 탄성변형 가능한 제 2 접합부(60)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골격부(32C)에 접합되어 있는 프론트 필러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투명한 제 1 판재(54)와, 투명한 제 2 판재(5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판재(54)는, 상기 중실부(54A), 상기 제 1 연장 돌출부(54B) 및 상기 제 2 연장 돌출부(54C)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 1 골격부(32B)의 차량 내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차량 내측의 부분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판재(56)는, 상기 제 1 골격부(32B)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차량 외측의 부분을 연결하고 있는 프론트 필러 구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 1 골격부(32B)의 차량 외측의 부분과 상기 제 2 골격부(32C)의 차량 외측의 부분을 연결하고 있는 프론트 필러 구조.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골격부(32B) 및 상기 제 2 골격부(32C)는, 고장력강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론트 필러 구조.
KR1020180033400A 2017-03-27 2018-03-22 프론트 필러 구조 KR102057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1557 2017-03-27
JP2017061557A JP6897222B2 (ja) 2017-03-27 2017-03-27 フロントピラー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713A KR20180109713A (ko) 2018-10-08
KR102057631B1 true KR102057631B1 (ko) 2020-01-22

Family

ID=6176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400A KR102057631B1 (ko) 2017-03-27 2018-03-22 프론트 필러 구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766541B2 (ko)
EP (1) EP3398839B1 (ko)
JP (2) JP6897222B2 (ko)
KR (1) KR102057631B1 (ko)
CN (1) CN108657284B (ko)
AU (1) AU2018202073B2 (ko)
BR (1) BR102018005828A2 (ko)
CA (1) CA2999010C (ko)
MX (1) MX2018003872A (ko)
MY (1) MY196642A (ko)
PH (1) PH12018050148B1 (ko)
RU (1) RU2677941C1 (ko)
TW (1) TWI6837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5406B2 (ja) * 2017-08-25 2020-01-22 マツダ株式会社 フロントピラーの設計方法
JP6977488B2 (ja) * 2017-11-02 2021-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ピラー構造
JP6977496B2 (ja) * 2017-11-14 2021-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ピラー構造
JP6962207B2 (ja) * 2018-01-16 2021-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ピラー構造
JP6992549B2 (ja) * 2018-01-30 2022-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ロントピラー構造
JP7139826B2 (ja) * 2018-09-21 2022-09-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ロントピ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7074021B2 (ja) * 2018-10-26 2022-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ピラー構造
JP7168459B2 (ja) * 2019-01-15 2022-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ピラー構造
JP7192679B2 (ja) * 2019-06-28 2022-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構造
JP7338498B2 (ja) * 2020-02-10 2023-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ピラー構造
CN112477994B (zh) * 2020-11-19 2022-01-11 东风(武汉)实业有限公司 车辆用多功能a柱结构及其使用方法
KR20230029195A (ko) * 2021-08-24 2023-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런트 필러
US12090817B2 (en) * 2022-05-20 2024-09-17 Kawasaki Motors, Ltd. Windowshield attachment structure and brack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519A (ja) * 2002-03-26 2003-10-02 Mazda Motor Corp 車両のフロントピラー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74173A (ko) * 1934-11-30
US1470308A (en) * 1922-10-02 1923-10-09 Lee W V Wilms Shiftable closing means for automobiles
US1593005A (en) * 1926-03-01 1926-07-20 Carl A Bailey Automobile body
JPS62187667A (ja) * 1986-02-13 1987-08-17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FR2720995B1 (fr) * 1994-06-08 1996-08-30 Sopelem Sofretec Structure de maintien d'un pare-brise de véhicule assurant une vision améliorée.
JP3065062B2 (ja) * 1999-02-08 2000-07-12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JP4617562B2 (ja) * 2000-11-06 2011-01-2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上部車体構造
US6428087B1 (en) * 2001-01-05 2002-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pillar structure for a vehicle
JP3830401B2 (ja) * 2001-06-04 2006-10-04 株式会社丸順 車体のドア開口部回りの構造
JP4721683B2 (ja) 2004-09-30 2011-07-13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前部構造
JP2006273057A (ja) * 2005-03-28 2006-10-12 Toyota Motor Corp ピラー構造
FR2885341B1 (fr) * 2005-05-03 2007-07-20 Magna Steyr France Sas Soc Par Mont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equipe d'un tel montant
JP4854222B2 (ja) * 2005-06-17 2012-01-1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前部構造
JP4854229B2 (ja) * 2005-07-29 2012-01-1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前部構造
JP2008006837A (ja) * 2006-06-27 2008-01-17 Hino Motors Ltd ガラスの取付構造
JP4862774B2 (ja) * 2006-12-20 2012-01-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装置
JP4778936B2 (ja) 2007-06-22 2011-09-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自動車におけるピラー部構造
JP2010269654A (ja) * 2009-05-20 2010-12-02 Honda Motor Co Ltd サンバイザの取付構造
GB2479363A (en) * 2010-04-07 2011-10-12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Partially transparent vehicle body component
EP2578476B1 (en) * 2010-05-25 2014-05-14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vehicle body front portion
JP5652007B2 (ja) * 2010-06-07 2015-0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窓部構造
JP5371075B2 (ja) 2012-11-06 2013-12-18 猛 阿部 自動車用樹脂製透明フロントピラーの製造方法
CN104354769A (zh) * 2014-07-29 2015-02-18 郭红伟 一种汽车透明a柱
CA2911862C (en) * 2014-11-10 2022-06-14 Corporation Micro Bird Inc. Bus side window assembly and method
CN204368280U (zh) * 2015-01-15 2015-06-03 张合玉 一种消除盲区的汽车a柱
JP2016159813A (ja) * 2015-03-03 2016-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骨格構造
JP6477286B2 (ja) 2015-06-22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ピラー構造
CN204978859U (zh) * 2015-08-11 2016-01-20 刘德瑜 一种汽车透明a柱
CN205239654U (zh) * 2015-12-31 2016-05-18 常飞鹏 可旋转折叠的无盲区汽车a柱装置
CN205872199U (zh) * 2016-08-10 2017-01-11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长鼻子校车的前围结构总成
CN106240644A (zh) * 2016-08-11 2016-12-21 李德生 透明a柱支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519A (ja) * 2002-03-26 2003-10-02 Mazda Motor Corp 車両のフロントピラー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96642A (en) 2023-04-26
PH12018050148A1 (en) 2019-02-04
MX2018003872A (es) 2018-11-09
US20180273106A1 (en) 2018-09-27
CA2999010C (en) 2020-09-22
AU2018202073B2 (en) 2020-01-23
EP3398839B1 (en) 2020-06-24
CA2999010A1 (en) 2018-09-27
JP6897222B2 (ja) 2021-06-30
US10766541B2 (en) 2020-09-08
RU2677941C1 (ru) 2019-01-23
PH12018050148B1 (en) 2019-02-04
CN108657284A (zh) 2018-10-16
JP2018162028A (ja) 2018-10-18
AU2018202073A1 (en) 2018-10-11
JP7156451B2 (ja) 2022-10-19
EP3398839A1 (en) 2018-11-07
BR102018005828A2 (pt) 2018-12-04
TW201834903A (zh) 2018-10-01
TWI683763B (zh) 2020-02-01
KR20180109713A (ko) 2018-10-08
JP2021127120A (ja) 2021-09-02
CN108657284B (zh)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631B1 (ko) 프론트 필러 구조
US6817657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3474417B2 (ja) 建設機械の運転室
JP6658645B2 (ja) 車両用ピラー構造
KR100893984B1 (ko) 차량용 시트백의 프레임 구조
CN111907602B (zh) 车身侧部构造
CN104340276A (zh) 车辆车身
JP6397534B1 (ja) 車体フロア構造
JP6610595B2 (ja) 車両用ピラー構造
JP2005219521A (ja) 車体下部構造
JP2018162021A (ja) 車両用ピラー構造
US20170240211A1 (en) Vehicle pillar structure
JPH1016816A (ja) 車体骨格部材の結合構造
JPH09175443A (ja) 車両のキャブの下部構造
JP7338498B2 (ja) 車両用ピラー構造
JP2012025256A (ja) 車両用ルーフ構造
JP6806038B2 (ja) 車両用ピラー構造
KR200205043Y1 (ko) 차량용 센터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CN108778908B (zh) 驾驶室的后面部构造
JP2021195005A (ja) フロントピラー下部構造
KR20220019533A (ko) 센터 필러 구조
JP2020131948A (ja) チャイルドアンカ取付構造
JP2019089431A (ja) 車両用ピラ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