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55185B1 -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185B1
KR102055185B1 KR1020170152967A KR20170152967A KR102055185B1 KR 102055185 B1 KR102055185 B1 KR 102055185B1 KR 1020170152967 A KR1020170152967 A KR 1020170152967A KR 20170152967 A KR20170152967 A KR 20170152967A KR 102055185 B1 KR102055185 B1 KR 102055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image
analysis server
disease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005A (ko
Inventor
하호생
김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쉐어
Priority to KR102017015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1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1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2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ears, i.e. o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어 귓속을 촬영하기 위한 귓속 삽입 장치, 상기 귓속 삽입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전달받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중이염을 포함하는 귓속 질병을 보여주는 빅데이터 이미지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통해 사용자의 귓속 질병 유무를 판단하는 분석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어폰 형태의 귓속 삽입 장치를 이용하여 귓속을 촬영하고, 이를 통해 중이염을 비롯한 귓속 질병을 진단함으로써, 용이하고 간단하게 중이염을 비롯한 귓속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ear disease diagnosis system}
본 발명은 귀와 관련된 질병을 진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귓속을 촬영하여 귓속 질병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고 판단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령화, 소득수준 향상, 해외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향상 등의 환경 변화로 초소형/초간편 개인 건강관리용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기반의 건간관리용 시스템을 구현하여 언제 어디서나 정확하고 간편하게 질병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고 운동량을 관리를 할 수 있는 기술이 미래 바이오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에 중이염(tympanitis 또는 otitis media)을 판별하는 것은 의사가 이동성이 낮은 귀 속 내시경을 통해 관찰하여 그동안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판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병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고가의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이 병원이 아닌 곳에서는 쉽게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중이염 환자의 조기 발견이나, 추이 분석 등이 일반 사용자에 의해 진행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성장과정 중에 발생 빈도가 높은 중이염 질병은 치유기간이 길며, 현재 병원에 가지 않고는 질병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가정에서 질병의 진행 정도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매우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674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귓속을 촬영하여 귓속 질병 이상 유무를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어 귓속을 촬영하기 위한 귓속 삽입 장치, 상기 귓속 삽입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전달받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중이염을 포함하는 귓속 질병을 보여주는 빅데이터 이미지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통해 사용자의 귓속 질병 유무를 판단하는 분석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석 서버는 귓속 질병 유무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귓속 질병 유무 결과를 수신하면,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귓속 삽입 장치는, 귓속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 유선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귓속 내부에 대한 고화질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영 모듈 및 상기 제1 촬영 모듈보다 넓은 촬영범위의 광각 이미지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고화질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영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귓속에 조명을 비추기 위한 조명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광각 이미지를 분석하여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조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조도가 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에서 방출되는 조명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광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색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색상이 미리 정해진 기준 색상이 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에서 방출되는 조명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광각 이미지를 분석하여 컬러 밸런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컬러 밸런스가 미리 정해진 기준 컬러 밸런스가 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에서 방출되는 조명의 컬러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촬영 모듈과 상기 제2 촬영 모듈은 서로 다른 화각과 노출시간으로 각각 귓속 내부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고화질 이미지와 상기 광각 이미지를 합성하고 가공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상기 빅데이터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화질 이미지는 고막을 위주로 촬영한 이미지이고, 상기 광각 이미지는 고막을 포함한 중이도 및 외이도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한 이미지이며, 상기 분석 서버는 빅데이터 이미지에서 중이도 및 고막의 크기와 위치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맞도록 기본 형태 이미지로 1차 가공하고, 상기 기본 형태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크기의 패턴 이미지 형태로 분할하는 2차 가공을 통해 가공 빅데이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합성 이미지와 상기 가공 빅데이터 이미지의 고막 부분의 색상을 비교하는 1차 검출 과정과, 상기 합성 이미지와 상기 가공 빅데이터 이미지의 고막 부분의 요소 위치 및 크기를 비교하는 2차 검출 과정과, 상기 합성 이미지와 상기 가공 빅데이터 이미지의 오버레이를 비교하는 3차 검출 과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이미지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미지 유사도에 따라 귓속 질병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는 외이도 및 고막의 발적 정도에 따른 색상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기 1차 검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는 삼출액을 포함하는 액체로 인한 외이도 및 고막의 색상 변동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기 1차 검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는 고막의 이소골 위치 및 삼출액을 포함하는 액체로 인한 고막의 노출 영역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기 2차 검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부는 귓속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서버는 귓속의 질병이 진단되면, 상기 원적외선 생성 모듈을 구동시키고, 질병 부위에 원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원적외선 생성 모듈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귓속 삽입 장치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정해진 기준 온도를 초과하면, 귓속에 질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귓속 삽입 장치와 연동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귓속 삽입 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개시되고,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사용 안내 문구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분석 서버로부터 분석 결과를 전달받으면, 전달 받은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어폰 형태의 귓속 삽입 장치를 이용하여 귓속을 촬영하고, 이를 통해 중이염을 비롯한 귓속 질병을 진단함으로써, 용이하고 간단하게 중이염을 비롯한 귓속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병원에 가지 않고도 가정에서 용이하게 귓속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촬영 모듈을 이용하여 귓속 내부를 촬영함으로써, 보다 상세하고 정교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질병 진단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법을 안내하고, 진단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귓속 삽입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귓속 삽입 장치가 삽입된 귀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서버에서의 질병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은 귓속 삽입 장치(100), 이동통신 단말기(200), 분석 서버(300)를 포함한다.
귓속 삽입 장치(100)는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어 귓속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귓속 삽입 장치(100)는 이어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하거나, 또는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직접 유선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귓속 삽입 장치(10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분석 서버(300)로부터 귓속 질병 유무 결과를 수신하면,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실행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는 귓속 삽입 장치(100)와 연동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귓속 삽입 장치(10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개시되고,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사용 안내 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서버(300)로부터 분석 결과를 전달받으면, 전달 받은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분석 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귓속 삽입 장치(10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전달받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중이염을 포함하는 귓속 질병을 보여주는 빅데이터 이미지와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통해 사용자의 귓속 질병 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귓속 질병 유무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귓속 삽입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귓속 삽입 장치(100)는 촬영부(110), 무선통신부(120), 유선통신부(130), 전원부(140)를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귓속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유선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유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전원부(140)는 귓속 삽입 장치(10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140)는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귓속 삽입 장치가 삽입된 귀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귀 내부는 외이(301), 중이(302), 내이(303)로 이어지며, 중이는 고막(310)에서부터 달팽이관(320)까지를 말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귓속 삽입 장치(100)는 이어폰 형태로 구현되어, 귓속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귓속 삽입 장치(100)는 돌출부가 외이(301)의 입구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의 끝단에는 촬영부(110)가 위치하여, 외이도, 고막(310), 중이(302) 등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촬영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중이염 등의 귓속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귓속 삽입 장치(100)의 귀 외부로 향하는 면에 촬영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버튼(15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버튼(150)은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영부(110)는 제1 촬영 모듈(112), 제2 촬영 모듈(114), 조명 모듈(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촬영 모듈(112)은 귓속 내부에 대한 고화질 이미지를 촬영한다.
제2 촬영 모듈(114)은 제1 촬영 모듈(112)보다 넓은 촬영 범위의 광각 이미지 센서로 구성되며, 고화질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각 이미지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조명 모듈(116)은 귓속에 조명을 비추는 역할을 한다.
분석 서버(300)는 광각 이미지를 분석하여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조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조도가 되도록 조명 모듈(116)에서 방출되는 조명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서버(300)는 광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색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색상이 미리 정해진 기준 색상이 되도록 조명 모듈(116)에서 방출되는 조명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서버(300)는 광각 이미지를 분석하여 컬러 밸런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컬러 밸런스가 미리 정해진 기준 컬러 밸런스가 되도록 조명 모듈(116)에서 방출되는 조명의 컬러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촬영 모듈(112)과 제2 촬영 모듈(114)은 서로 다른 화각과 노출시간으로 각각 귓속 내부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그리고, 분석 서버(300)는 고화질 이미지와 광각 이미지를 합성하고 가공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빅데이터 이미지와 비교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화질 이미지는 고막을 위주로 촬영한 이미지이고, 광각 이미지는 고막을 포함한 중이도 및 외이도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서버에서의 질병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석 서버(300)는 귓속 삽입 장치(100)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빅데이터 이미지를 가공한다(S501, S503). 구체적으로 분석 서버(300)는 고화질 이미지와 광각 이미지를 합성하고 가공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분석 서버(300)는 빅데이터 이미지에서 중이도 및 고막의 크기와 위치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맞도록 기본 형태 이미지로 1차 가공한다.
그리고, 분석 서버(300)는 기본 형태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크기의 패턴 이미지 형태로 분할하는 2차 가공을 통해 가공 빅데이터 이미지를 생성한다.
다음, 분석 서버(300)는 합성 이미지와 가공 빅데이터 이미지의 고막 부분의 색상을 비교하는 1차 검출 과정을 수행한다(S505).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 서버(300)는 외이도 및 고막의 발적 정도에 따른 색상의 차이를 비교하거나, 삼출액을 포함하는 액체로 인한 외이도 및 고막의 색상 변동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1차 검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발적 현상은 피부나 점막에 염증이 생겼을 때 모세 혈관이 확장돼 이상 부위가 붉게 부어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그리고, 합성 이미지와 가공 빅데이터 이미지의 고막 부분의 요소 위치 및 크기를 비교하는 2차 검출 과정을 수행한다(S507). 구체적으로, 분석 서버(300)는 고막의 이소골 위치 및 삼출액을 포함하는 액체로 인한 고막의 노출 영역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2차 검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합성 이미지와 가공 빅데이터 이미지의 오버레이를 비교하는 3차 검출 과정을 수행한다(S509).
이러한 1차 검출 과정 내지 3차 검출 과정을 통해 분석 서버(300)는 이미지 유사도를 산출하고(S511), 산출된 이미지 유사도에 따라 귓속 질병 유무를 판단한다(S5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촬영부(110)는 귓속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 생성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석 서버(300)는 귓속의 질병이 진단되면, 원적외선 생성 모듈을 구동시키고, 질병 부위에 원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원적외선 생성 모듈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귓속 삽입 장치(100)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석 서버(300)는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정해진 기준 온도를 초과하면, 귓속에 질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제2 촬영 모듈(114)에서 촬영된 광각 이미지(610)와 제1 촬영 모듈(112)에서 촬영된 고화질 이미지(6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화질 이미지(620)는 고막을 위주로 촬영된 선명도와 선예도가 높은 이미지이고, 광각 이미지(610)는 고막을 포함하여 주변 외이와 중이가 포함된 이미지이다. 이러한 두 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중앙 부분의 이미지를 보강할 수 있다. 도 7은 두 개의 이미지를 합성한 결과를 보여주는 합성 이미지이다.
이처럼 두 개의 이미지를 합성하고 보강하게 되면, 해상도 차이에서 오는 경계 간의 화소 불연속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경계 현상이라 한다. 그리고, 블렌딩 및 오버레이 처리를 통해 경계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블렌딩 및 오버레이 처리 방식이 특정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이미지의 영역 경계로부터 화소값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화소값 및 이미지값들을 조절하는 다양한 처리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귓속 삽입 장치 200 이동통신 단말기
300 분석 서버 110 촬영부
120 무선통신부 130 유선통신부
140 전원부 112 제1 촬영 모듈
114 제2 촬영 모듈 116 조명 모듈

Claims (16)

  1.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어 귓속을 촬영하기 위한 귓속 삽입 장치;
    상기 귓속 삽입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전달받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중이염을 포함하는 귓속 질병을 보여주는 빅데이터 이미지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통해 사용자의 귓속 질병 유무를 판단하는 분석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서버는 귓속 질병 유무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분석 서버로부터 귓속 질병 유무 결과를 수신하면, 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귓속 삽입 장치는,
    귓속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 유선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촬영부는,
    귓속 내부에 대한 고화질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영 모듈; 및
    상기 제1 촬영 모듈보다 넓은 촬영범위의 광각 이미지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고화질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영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촬영 모듈과 상기 제2 촬영 모듈은 서로 다른 화각과 노출시간으로 각각 귓속 내부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고화질 이미지와 상기 광각 이미지를 합성하고 가공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상기 빅데이터 이미지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귓속에 조명을 비추기 위한 조명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광각 이미지를 분석하여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조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조도가 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에서 방출되는 조명의 조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광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색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색상이 미리 정해진 기준 색상이 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에서 방출되는 조명의 색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광각 이미지를 분석하여 컬러 밸런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컬러 밸런스가 미리 정해진 기준 컬러 밸런스가 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에서 방출되는 조명의 컬러 밸런스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화질 이미지는 고막을 위주로 촬영한 이미지이고, 상기 광각 이미지는 고막을 포함한 중이도 및 외이도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한 이미지이며,
    상기 분석 서버는 빅데이터 이미지에서 중이도 및 고막의 크기와 위치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맞도록 기본 형태 이미지로 1차 가공하고, 상기 기본 형태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크기의 패턴 이미지 형태로 분할하는 2차 가공을 통해 가공 빅데이터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합성 이미지와 상기 가공 빅데이터 이미지의 고막 부분의 색상을 비교하는 1차 검출 과정과, 상기 합성 이미지와 상기 가공 빅데이터 이미지의 고막 부분의 요소 위치 및 크기를 비교하는 2차 검출 과정과, 상기 합성 이미지와 상기 가공 빅데이터 이미지의 오버레이를 비교하는 3차 검출 과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이미지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미지 유사도에 따라 귓속 질병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석 서버는 외이도 및 고막의 발적 정도에 따른 색상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기 1차 검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석 서버는 삼출액을 포함하는 액체로 인한 외이도 및 고막의 색상 변동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기 1차 검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석 서버는 고막의 이소골 위치 및 삼출액을 포함하는 액체로 인한 고막의 노출 영역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기 2차 검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귓속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서버는 귓속의 질병이 진단되면, 상기 원적외선 생성 모듈을 구동시키고, 질병 부위에 원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원적외선 생성 모듈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귓속 삽입 장치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정해진 기준 온도를 초과하면, 귓속에 질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귓속 삽입 장치와 연동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귓속 삽입 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개시되고,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사용 안내 문구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분석 서버로부터 분석 결과를 전달받으면, 전달 받은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KR1020170152967A 2017-11-16 2017-11-16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Active KR102055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967A KR102055185B1 (ko) 2017-11-16 2017-11-16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967A KR102055185B1 (ko) 2017-11-16 2017-11-16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05A KR20190056005A (ko) 2019-05-24
KR102055185B1 true KR102055185B1 (ko) 2019-12-16

Family

ID=6668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967A Active KR102055185B1 (ko) 2017-11-16 2017-11-16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813B1 (ko) * 2020-10-08 2022-09-19 주식회사 알파도 반려동물 검사장치
KR102642023B1 (ko) * 2020-11-10 2024-02-28 메타메디슨 주식회사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KR102595647B1 (ko) * 2023-03-16 2023-10-30 (주)해우기술 딥러닝 기반의 고막 촬영 영상 분석 및 청력 수치 예측 시스템
KR102595644B1 (ko) * 2023-03-16 2023-10-31 (주)해우기술 소아 청력 예측 인공지능 시스템
KR102747975B1 (ko) * 2023-12-29 2024-12-31 (주)오티톤 메디컬 내시경을 구비한 체온계 및 귀를 통한 건강 체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608738SA (en) 2014-05-05 2016-11-29 Helen Of Troy Ltd Otoscope and otoscopic method based on spectral ana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05A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185B1 (ko)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US11986156B2 (en) System with endoscope and image sensor and method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US10376141B2 (en) Fundus imaging system
US10674953B2 (en) Skin feature imaging system
CN113543694B (zh) 医用图像处理装置、处理器装置、内窥镜系统、医用图像处理方法、及记录介质
US10945637B2 (en) Image based jaundice diagno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mage based jaundice diagnosis assisting apparatus
KR101998595B1 (ko)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방법 및 장치
US20170161892A1 (en) A method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images of an ocular fundus by mean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2143755B2 (en) Endoscope syste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ed in endoscope system
JP7137629B2 (ja) 医用画像処理装置、プロセッサ装置、医用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15305780U (zh) 评估甲状旁腺存活率的系统
EP3937162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image-capturing device
JP2022531139A (ja) 視野絞り蛍光インジケータ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185312B2 (en) Medical image capturing control device, method, and program
EP4254936A1 (en) Dentition image capturing system and dentition image capturing method
US11523729B2 (en) Surgical controll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surgical system
WO2015037316A1 (ja) 器官画像撮影装置および器官画像撮影方法
EP3461393B1 (en) Method for guiding a user to obtain an eardrum standard image
KR101858522B1 (ko) 기준 객체를 이용한 관심 객체의 촬영 가이드 장치 및 촬영 가이드 방법
JP2017086648A (ja) 手術システム、手術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26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apy machine
KR100964816B1 (ko) 캡슐내시경에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그 캡슐내시경
CN112739250B (zh) 医用图像处理装置、处理器装置及医用图像处理方法
US12178397B2 (en) Sterile calibrating cap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on an endoscope
US20240000307A1 (en) Photography support device, image-captu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mage-capt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