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999B1 -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1999B1 KR102041999B1 KR1020170092517A KR20170092517A KR102041999B1 KR 102041999 B1 KR102041999 B1 KR 102041999B1 KR 1020170092517 A KR1020170092517 A KR 1020170092517A KR 20170092517 A KR20170092517 A KR 20170092517A KR 102041999 B1 KR102041999 B1 KR 1020419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t
- pelvis
- frame
- lower extremity
- base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10000000544 articulatio talocrurali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08129 cerebral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7—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과 발로부터 이격된 엉덩이를 포함하는 하지가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어 엉덩이를 지지하며, 엉덩이의 적어도 일부를 발을향하여 밀어 골반의 전경 각도를 조절하는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지근육을 효과적으로 스트레칭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지근육의 신장 운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근육은 뒤넙다리 근육(hamstring)과 종아리 근육(calf muscle)을 포함한다. 대략 뒤넙다리 근육은 골반에서 무릎 관절까지 연장된다. 또한, 종아리 근육은 무릎 관절에서 발목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뒤넙다리 근육의 유연성은 뇌성 마비 진단에 이용된다. 나아가, 하지근육의 유연성은 노인, 장애인, 운동 선수 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재활 및 스포츠 의학 측면에서 중요하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하지근육의 유연성을 개선하기 위해 발목의 배측굴곡 각도를 조절하여 뒤넙다리 근육과 종아리근육을 신장시킨다. 그러나, 하지근육의 구조상 발목의 배측굴곡 각도의 조절은 종아리근육을 충분히 신장시킬 수 있으나, 뒤넙다리 근육을 충분히 신장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지근육 특히 뒤넙다리 근육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지근육 특히 뒤넙다리 근육과 종아리 근육의 신장 능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는, 발과 발로부터 이격된 엉덩이를 포함하는 하지가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어 엉덩이를 지지하며, 엉덩이의 적어도 일부를 발을 향하여 밀어 골반의 전경 각도를 조절하는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는,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 및 안착 프레임을 가압하는 골반 구동부를 포함하고, 골반 구동부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실린더는 안착 프레임을 지표면과 평행한 위치로부터 안착 프레임의 상부로 가압하며, 실린더가 신장할수록 골반의 상측이 골반의 하측을 기준으로 발을 향하여 회동하여 하지의 뒤넙다리근이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와 마주보게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며, 발을 지지하여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의 동작에 의해 하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 지지부는, 발바닥과 마주보는 발 지지 프레임, 및 발목 관절을 중심으로 발 끝을 회동시키기 위해 발 지지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발목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 지지부는, 발 지지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며, 하지에 연결된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 지지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며, 하지의 무릎을 고정하는 무릎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반의 전경 각도를 조절하여 하지근육의 스트레칭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피험자의 하지근육 유연성에 따라 골반의 전경 각도와 발목 관절의 각도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하지근육 신장 운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발 끝이 골반을 향하는 발목의 배측굴곡 각도와 발 끝이 골반으로부터멀어지는 저측굴곡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피험자의 발목 상태에 따라 적합한 운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리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1에 도시된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리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1에 도시된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10)는 베이스 프레임(100),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12)과 엉덩이(14)를 포함하는 하지(11)는 베이스 프레임(10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하지의 무릎(16)은 펴져서 발(12)과 엉덩이(14)는 이격된다.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는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엉덩이(14)의 적어도 일부는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에 안착된다.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는 엉덩이(14)의 적어도 일부를 발(12)을 향하여 밀수 있다. 이에 의해, 골반의 상측은 골반의 하측을 기준으로 발(12)을 향하여 회동될 수 있다. 이때, 뒤넙다리 근육이 스트레칭된다.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는 안착 프레임(210)과 골반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프레임(210)은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안착 프레임(210)은 엉덩이(14)에 대응하는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안착 프레임(210)은 엉덩이(14)를 지지한다.
골반 구동부(230)는 안착 프레임(210)에 연결된다. 골반 구동부(230)는 안착 프레임(210)을 가압할 수 있다. 골반 구동부(230)가 안착 프레임(210)을 가압하면, 엉덩이(14)가 발(12)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골반의 상측이 골반의 하측을 기준으로 발(12)을 향하여 회동하는 골반 전경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골반 구동부(230)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골반 구동부(230)는 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 예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10)는 발 지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 지지부(300)는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와 마주보게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된다. 발 지지부(300)는 발을 지지하여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의 동작에 의해 하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지근육의 스트레칭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발 지지부(300)는 발바닥과 마주보는 발 지지 프레임(310)과 발목 구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 지지 프레임(310)은 평판 형상을 가지거나, 발(12)에 대응하여 발(12)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목 구동부(330)는 발 지지 프레임(310)을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발(12) 끝은 발목 관절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발목 구동부(330)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발목 구동부(330)는 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10)는 상체 지지 프레임(400), 무릎 고정부(500) 및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체 지지 프레임(400)은 베이스 프레임(10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체 지지 프레임(400)은 상체를 지지하여 하지근육 신장 운동 시 편의성을 제공하고, 운동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무릎 고정부(50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연결되며, 하지(11)의 무릎(16)을 고정한다. 무릎 고정부(500)는 무릎(16)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무릎(16)을 감싼다. 무릎 고정부(500)는 무릎(16)이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하지근육의 스트레칭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무릎 고정부(500)는 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600)는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와 발 지지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600)는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를 제어하는 적어도 2개의 골반 조절 버튼(610)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골반 조절 버튼(610) 중 어느 하나는 골반 구동부(230)를 일 방향으로 구동하여 엉덩이(14)의 적어도 일부를 발(12)을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골반이 발(12)을 향하여 회동될 수 있다. 반대로, 2개의 골반 조절 버튼(610) 중 다른 하나는 골반 구동부(230)를 타 방향으로 구동하여 엉덩이(14)를 본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지근육의 유연성에 따라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발목 관절 각도를 제어하는 적어도 2개의 발목 조절 버튼(6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골반 조절 버튼(610)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리 조절부(3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발 지지부(30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거리 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 지지부(300)는 거리 조절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350)는 발 지지 프레임(310)에 연결되는 거리 조절바(351)를 포함한다. 거리 조절바(351)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연결된 거리 조절 가이드(1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거리 조절바(351)의 길이를 조절하여 발 지지부(300)와 베이스 프레임(1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발 지지 프레임(310)과 발목 구동부(330)는 고정 프레임(370)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예와 같이 고정 프레임(370)은 베이스 프레임(100)과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1에 도시된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피험자는 다리를 펴고 베이스 프레임(100)에 앉는다. 이때, 하지(11)를 곧게 펴서 엉덩이(14)는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에 안착된다. 발(12)은 발 지지부(300)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피험자는 제어부(600)를 통해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와 발 지지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피험자가 2개의 골반 조절 버튼(610)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골반 구동부(230)는 안착 프레임(210)을 일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안착 프레임(210)은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안착 프레임(210)에 안착된 엉덩이(14)는 발(12)을 향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골반의 상측이 골반의 하측을 기준으로 발(12)을 향하여 회동된다. 즉, 골반의 전경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골반의 상측이 발(12)을 향하여 회동될수록 하지근육 특히 뒤넙다리근은 점차 신장될 수 있다.
한편, 피험자의 발(12)은 발 지지 프레임(310)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의해, 엉덩이(14)가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하지(11)가 베이스 프레임(100) 상에서 이동되지 않는다.
또한, 피험자는 제어부(600)를 통해 발목 관절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피험자가 2개의 발목 조절 버튼(630)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발목 구동부(330)는 발 지지 프레임(310)을 가압할 수 있다. 즉, 발 지지 프레임(310)은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된다. 이에 의해, 발(12) 끝은 발목 관절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발(12) 끝이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를 향하여 회동될수록 하지근육 특히 종아리근은 점차 신장될 수 있다. 여기서, 발 지지 프레임(310)은 제어부(600)에 의해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피험자의 발목 상태에 따라 발 지지부(3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100 : 베이스 프레임
200 :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
210 : 안착 프레임
230 : 골반 구동부
300 : 발 지지부
310 : 발 지지 프레임
330 : 발목 구동부
350 : 거리 조절부
400 : 상체 지지 프레임
500 : 무릎 고정부
600 : 제어부
100 : 베이스 프레임
200 :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
210 : 안착 프레임
230 : 골반 구동부
300 : 발 지지부
310 : 발 지지 프레임
330 : 발목 구동부
350 : 거리 조절부
400 : 상체 지지 프레임
500 : 무릎 고정부
600 : 제어부
Claims (6)
- 발과 발로부터 이격된 엉덩이를 포함하는 하지가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어 엉덩이를 지지하며, 엉덩이의 적어도 일부를 발을 향하여 밀어 골반의 전경 각도를 조절하는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는,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 및
안착 프레임을 가압하는 골반 구동부를 포함하고,
골반 구동부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실린더는 안착 프레임을 지표면과 평행한 위치로부터 안착 프레임의 상부로 가압하며,
실린더가 신장할수록 골반의 상측이 골반의 하측을 기준으로 발을 향하여 회동하여 하지의 뒤넙다리근이 신장되고,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며, 하지의 무릎을 고정하는 무릎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실린더가 신장하더라도 무릎이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와 마주보게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며, 발을 지지하여 골반 전경 각도 조절부의 동작에 의해 하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발 지지부는,
발바닥과 마주보는 발 지지 프레임; 및
발목 관절을 중심으로 발 끝을 회동시키기 위해 발 지지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발목 구동부를 포함하는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삭제
- 제 3 항에 있어서,
발 지지부는,
발 지지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2517A KR102041999B1 (ko) | 2017-07-21 | 2017-07-21 |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2517A KR102041999B1 (ko) | 2017-07-21 | 2017-07-21 |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0151A KR20190010151A (ko) | 2019-01-30 |
KR102041999B1 true KR102041999B1 (ko) | 2019-11-07 |
Family
ID=6527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2517A KR102041999B1 (ko) | 2017-07-21 | 2017-07-21 |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199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6174A (ko) | 2020-08-25 | 2022-03-04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퇴부의 신장 기능이 강화된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3094B1 (ko) | 1999-11-25 | 2002-07-05 | 허영백 |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장치 |
KR101425558B1 (ko) | 2012-10-26 | 2014-08-04 | (주)맨엔텔 | 좌석형 재활 운동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7725B1 (ko) * | 2000-12-30 | 2003-01-10 | 허영백 |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시스템 |
-
2017
- 2017-07-21 KR KR1020170092517A patent/KR1020419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3094B1 (ko) | 1999-11-25 | 2002-07-05 | 허영백 |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장치 |
KR101425558B1 (ko) | 2012-10-26 | 2014-08-04 | (주)맨엔텔 | 좌석형 재활 운동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6174A (ko) | 2020-08-25 | 2022-03-04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퇴부의 신장 기능이 강화된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0151A (ko) | 2019-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9746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nkle exercise | |
KR101496683B1 (ko) | 하지 부위 변형의 개선 방법 및 이의 실행을 위한 장치 | |
KR101600600B1 (ko) | 족부 스트레칭 장치 | |
KR101157009B1 (ko) | 골반 및 하체교정장치 | |
US6224521B1 (en) | Orthopedic exerciser | |
KR102264707B1 (ko) | 재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 운동방법 | |
US20010018565A1 (en) | Orthotic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 |
RU2687573C2 (ru) | Голеностопное звено ортеза или экзоскелета | |
US10898403B2 (en) | Device and methods for movement assistance | |
US20020193710A1 (en) | Leg stretching apparatus | |
KR102349103B1 (ko) | 신경계 질환용 하지 재활장치 | |
JP6091647B2 (ja) | シャドウ脚付きの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 |
US9539134B2 (en) | Orthotic method and device for newborn babies | |
KR102313736B1 (ko) | Ems무릎보호대 및 무릎보조기 | |
KR102036743B1 (ko) | 하지 근육 운동 장치 | |
KR102292983B1 (ko) | 하지 외골격 로봇장치 | |
JP2018117820A (ja) | 下肢の自動運動用装置 | |
KR102041999B1 (ko) |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
KR102243602B1 (ko) | 재활장치 | |
KR101991667B1 (ko) | 재활로봇 커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훈련장치 | |
US11701288B2 (en) | Pivoting lower limb therapy device | |
CA2429219A1 (en) | Orthopedic exerciser | |
RU2729732C1 (ru) | Универсальное реабилит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нудительного передвижения ног | |
KR20210112063A (ko) | 발목관절 재활운동 장치 | |
JPH04200481A (ja) | 下肢ストレッチング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