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780B1 -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7780B1 KR102047780B1 KR1020170017912A KR20170017912A KR102047780B1 KR 102047780 B1 KR102047780 B1 KR 102047780B1 KR 1020170017912 A KR1020170017912 A KR 1020170017912A KR 20170017912 A KR20170017912 A KR 20170017912A KR 102047780 B1 KR102047780 B1 KR 1020477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aning
- discharge
- air
- water
- washing h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원은 기존기술의 문제점인 기계적 회전수단이 없이 세정목적물(사람 혹은 동물의 신체 표피 및 머리카락, 털, 배설물)과 기기 접촉면 사이에서 진공과 등압 조건 하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고압의 유동학적 고속 소용돌이 물살을 만들어 세척부위에 미세한 자극이나 통증도 주지 않으면서 세정효과를 극대화시킨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원은 오염물처리를 위한 세척헤드부는 세척대상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단부위는 넓고 저부로는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는 세척헤드부의 일측으로는 물과 공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이루고, 세척헤드부의 중심부에는 중앙배출부가 마련되며 중앙배출구를 기준으로 그 외연을 다수개의 격벽이 다중으로 감싸는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격벽에는 경사각을 이룬 배출유로가 다수개 형성되어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흐를 때 외측 격벽부터 내측 격벽까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세척헤드부가 제어부 몸체와 연결되어 물 및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어되며 세척헤드부의 중앙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출관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과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은 진공장치와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서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상태가 설정됨과 동시에 세척헤드부에 물 및 공기가 공급되고 중앙배출부 후미에서는 높은 진공압으로 흡입함으로 인해 세척헤드부로 유입되는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경사면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오염물을 세정 후 오염물 수거통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speed rheological vortex shedding of high-pressure rinsing water and air under vacuum and isostatic conditions between the object of cleaning (human or animal body skin and hair, hair, feces) and the device contact surface without mechanical rotating means, which is a problem of the prior art. It is a technology to provide a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of contaminants maximizing the cleaning effect without giving fine irritation or pain to the cleaning sit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tructure in which water and air are supplied to one side of the washing head portion which forms a washing head portion for forming a contact portion to be cleaned and a narrow portion at the bottom thereof, and a central discharge at the center of the washing head portion. A plurality of bulkheads surrounds the outer edge of the central outlet, and each of the bulkheads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having an inclination angle, so that water and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head part are provided on each partition wall. When flowing along the discharge flow path formed through the discharge flow path provided in each partition from the outer partition to the inner partition in order to form a vortex vortex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water and air are discharged, the washing hea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dy and the water And air discharged from the central outlet of the cleaning head The salt source is connected to the pollutant container via the discharge pipe, and the pollutant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vacuum device. When the conditions set in the controller are met, the vacuum is set at the pollutant cleaning and discharge device and water and air are supplied to the washing head. At the rear of the central discharge part, water and air flowing into the washing head part ar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slope discharge path provided in each partition wall by forming a vortex vortex, and the contaminants are washed and discharged to the contaminant container by suction at a high vacuum pressure. Is d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침대에 누워 옷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 신체의 복부나 등은 물론 머리감기를 포함한 원하는 어떤 부위든지 원하는 부위를 세정하거나 또는 머리를 감기거나, 신체 하반신에 용변 분비물이 남아 있는 경우 등에 본원의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가 사용되어 배설물이나 신체 피부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적용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clean a desired part of a desired part including the abdomen or the back of the body, as well as a head, in a state where people who are uncomfortable with a behavior lying on a bed are dres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minant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that is appli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feces or body skin by using the contaminant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uch as when feces or feces are left on the lower body of the body.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물, 토설물, 배설물, 털, 노화 각질물, 신체의 겉 피부 중 선택되는 물질이나 부위을 세척하는데 사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The contaminant cleaning and dispensing apparatus provided herein also provides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that can be used to clean selected materials or areas of feces, soil, feces, hair, aging keratin, and skin of the body, including humans. It is a technology that can be used as a device
병원에는 자신의 몸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허약해진 노인 또는 사고나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입원한 중환자들이 많이 있으며, 이러한 중환자들은 자신의 신체를 제대로 가눌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에 누워서 에서 보내게 되는데, 장시간 신체를 씻지 못하거나 는 불편함, 머리를 자주 감지 못하는 불편한 문제들을 갖고 있다.Many hospitals have elderly patients who are too weak to control their bodies or have been hospitalized for the treatment of accidents or illnesses. These pati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in bed because they cannot properly control their bodies. There is a discomfort that can not wash the body for a long time, or discomfort, often do not sense the head.
일반적으로는 자의적으로 거동할 수 없는 환자들은 가족이나 직업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마치 물건처럼 들려서 옮겨지거나 간병인이 환자를 부축하여 이동하거나 휠체어와 같은 환자용 특수 이송수단을 이용해 환자를 화장실 또는 세면실까지 이동하도록 한 후,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거나 신체 혹은 두발세척을 시행해오고 있는바 머리를 감도록 적용해오고 있으며, 환자가 어린 아이이거나 체구가 작은 경우에는 환자를 화장실이나 세면실로 옮기는 것에 큰 어려움이 없으나, 환자가 성인 혹은 덩치가 어린이인 경우에는 간병인이 여자인 경우 매번 환자를 화장실이나 세면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매우 힘이 들며, 특히 간병인으로 노약자 아내가 수발을 드는 경우 더욱 큰 어려움을 호소하게 된다.In general, patients who are not able to behave arbitrarily are moved with the help of a family or occupational caregiver to be carried as if it is an object, carried by the caregiver to assist the patient, or to move the patient to the toilet or washroom using a special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wheelchair. Afterwards, the toilet has been applied to wash the head or wash the hair as the body or hair wash, and if the patient is a small child or small body, it is not difficult to move the patient to the toilet or washroom, In the case of an adult or a large child, if the caregiver is a woman, it is not only cumbersome to move the patient to the toilet or washroom every time, but it is very difficult, especially when the elderly wife takes care of the elderly as a caregiver.
따라서 환자를 이동시키지 않고 배변을 볼 수 있도록 배변기가 설치된 환자용 침대에 대한 기술개발이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배설물의 위생적인 처리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배설물에 의한 악취 발생으로 환자의 생활공간이 오염되고 주변 환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게 되며 환자 자신도 수치심을 느끼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잔존하여 왔다.Therefore, a lot of technical developments have been made on patient beds equipped with a bowel movement so that the bowel movements can be seen without moving the patient, but the hygienic treatment of excreta was not easy, and the living space of the patient was contaminated due to the generation of bad smell by excreta Discomfort to the patient and the patient himself feels ashamed, the problem still remains.
종래의 기술에서도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의 세발을 위한 세정기가 등록특허 10-1112769호에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세정기는 도 1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흡입부가 진공장치에 연결되어 흡입되는 구조를 이루고 물과 공기가 세정기로 유입되는 구성을 이루며, 세정기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부(112)와, 원통부(11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협부(114)를 포함하고 원통부(112)와 하협부(114)의 내부에 세정공간(115)이 형성되며, 하협부(114)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는 사용자가 손가락 사이에 끼울 크기로 형성되어 하협부(114)의 단부를 손가락에 끼우고 세정기(110)를 움직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하협부(114)에는 세정공간(115) 내부의 공기와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관(116)이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관(116)은 후술하는 오물통(150) 및 흡입수단(140)과 연결되고 하협부(114)에는 급수관(117)이 연결되어 세정을 위한 세척수가 유입되는 구성을 이루며, 상기 세정기(110)의 내측에는 개방부를 통해 단부가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세정용 브러시(120)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의 세정기가 제시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a washing machine for trituration of people who are inconvenient in motion is presented in Korean Patent No. 10-1112769. The washing machine forms a structure in which a suction part is connected to a vacuum device and sucked as shown in FIG. And the air flows into the scrubber, the scrubber includes a
상기 세정기에서 외기유입부(130)는 세정기(1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원통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131)와, 세정기(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차단블럭(134)을 포함하고 회전바디(131)는 원통부(1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데, 원통부(112)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13)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바디(131)의 내주면에는 이 가이드돌기(113)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32)이 마련되어 있어서, 회전바디(131)가 원통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복잡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In the scrubber, the
상기와 같은 복잡하고 기계적으로 회전바디(131)가 원통부(112)의 외주면을 연속 회전하는 구성의 기계적 세정기는 제작단가가 높아질 뿐 아니라 사람이나 동물이 접촉하기를 두려워하고 꺼리는 문제점을 가지며, 실제 세정과정에서 신체부위에 상처를 유발시키는 사례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두발세척(머리카락 및 두피세척)은 아예 불가능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제품의 높은 제작단가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고가로 책정된 인한 높은 제품가격에 비하여 현실적으로 적응성이 낮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Mechanical cleaner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plex and mechanically rotating
본원은 기존기술의 한계점 및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기계적 회전수단이 없이 세정목적물(사람 혹은 동물의 신체표피 및 머리카락, 털)과 기기 접촉면 사이에서 진공과 등압조건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고압의 유동학적 고속 소용돌이 물살을 만들어 세척부위에 미세한 자극이나 통증도 을 주지 않으면서 세정효과를 극대화시킨 높인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pressure rheological flow of cleaning water and air under vacuum and isostatic conditions between the cleaning objects (human or animal body skin and hair and hair) and the device contact surface without mechanical rotating means, which are pointed out as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high contaminants that maximizes the cleaning effect without making minute stimulus or pain in the cleaning area by making high speed swirl water.
본원은 기계공학적이 아닌 유체 유동학적 기술을 통하여 단순구성을 이루면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물, 토설물, 배설물, 털, 노화 각질물 중 선택되는 오염물을 용이하게 흡입 또는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Multipurpose contaminant cleansing that can be used to easily inhale or clean contaminants selected from feces, soils, excreta, hair, and aging keratin, including humans, with simple construction through fluid rheological techniques rather than mechanical engineering. And an object to provide a discharge device.
본원은 세정목적물(사람 혹은 동물의 신체 표피 및 머리카락, 털)과 기기 접촉면 사이에서 진공과 등압 조건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융합되어 함께 고압의 유동학적 고속 소용돌이 물살을 만들어 사용자의 예민한 피부 혹은 털, 모발에 미세한 자극이나 통증을 주지 않으면서 세정효과를 극대화시킨 높인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여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물, 토설물, 배설물, 털, 노화 각질물, 신체의 겉 피부 중 선택되는 물질이나 세척목적 부위를 을 옷을 입은 상태로 용이하게 쉽게 흡입 또는 세척하는데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washing water and air under vacuum and isostatic conditions between the cleaning objects (skin or hair of human or animal body)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device to create high pressure rheological high-speed vortex water to create a user's sensitive skin or hair, Material selected from fecal matter, soil, feces, hair, aging keratin, and skin of the body, including humans, by providing a highly pollutant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that maximizes the cleaning effect without giving minute irritation or pain to the hair. It is an invention of the technical idea to provide a contaminant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which is adapted to be used for easy suction or cleaning of a washing purpose part while wearing clothes.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 기능을 갖도록 세척헤드부와 오염물수거통과 진공설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있어서, In the contaminant clean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to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the clean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of contaminants including a washing head portion, a contaminant container and a vacuum setting means to have a function of clean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오염물처리를 위한 세척헤드부는 세척대상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단부위는 넓고 저부로는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는 세척헤드부의 일측으로는 물과 공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이루고, 세척헤드부의 중심부에는 중앙배출부가 마련되며 중앙배출구를 기준으로 그 외연을 다수개의 격벽이 다중으로 감싸는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격벽에는 경사각을 이룬 배출유로가 다수개 형성되어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흐를 때 외측 격벽부터 내측 격벽까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The washing head portion for contaminant treatment forms a structure in which water and air are supplied to one side of the washing head portion that forms a top portion that forms a contact portion to be cleaned and narrows to the bottom portion, and a central discharge por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ashing head portion.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itions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periphery on the basis of the central discharge port, each of the partitions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formed with an inclination angle to discharge the water and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head portion in each partition When flowing along the flow path through the discharge flow path provided in each partition from the outer partition to the inner partition in order to form a vortex vortex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water and air are discharged
상기 세척헤드부가 제어부 몸체와 연결되어 물 및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어되며 세척헤드부의 중앙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출관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과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은 진공장치와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서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상태가 설정됨과 동시에 세척헤드부에 물 및 공기가 공급되고 중앙배출부 후미에서는 높은 진공압으로 흡입함으로 인해 세척헤드부로 유입되는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경사면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오염물을 세정 후 수반하여 오염물 수거통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를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he washing head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ody so as to receive water and air, and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central outlet of the washing head unit is connected to the pollutant container via the discharge pipe and the pollutant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vacuum device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set conditions are met, the vacuum is set in the pollutant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At the same time, water and air are supplied to the washing head, and the water and air flowing into the washing head are separated by suction at a high vacuum pressure at the rear of the central discharge p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a contaminant clean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including a configuration of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n inclined surface discharge passage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to form a vortex vortex and discharging the contaminant into the contaminant container after cleaning.
본원의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서 상기 세척헤드부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은 4~8개로 제공되고, 격벽에 형성되는 경사각 배출유로는 1~6개 범위로 제공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헤드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급기배관 내부에 음이온공급 칩이 내장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음이온을 함유한 공기가 각각의 격벽 및 경사각 배출유로를 통하여 배출됨으로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의 살균, 소독, 탈취효과를 도모하도록 적용될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In the pollutant clean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artitions installed inside the washing head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4 to 8, and the inclined angle discharge passages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may be applied to be provided in the range of 1 to 6, and the supply to the washing head portion may be performed. The negative ion supply chip is built in the air supply pipe of the air, and the air containing anion is discharged through each of the partition walls and the inclined angle discharge channel,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sterilize, disinfect, and deodorize the pollutant. It is an invention of technical thought.
본원은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 기능을 갖도록 세척헤드부와 오염물수거통과 진공설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오염물처리를 위한 세척헤드부는 세척대상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단부위는 넓고 저부로는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는 세척헤드부의 일측으로는 물과 공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이루고, 세척헤드부의 중심부에는 중앙배출부가 마련되며 중앙배출구를 기준으로 그 외연을 다수개의 격벽이 다중으로 감싸는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격벽에는 경사각을 이룬 배출유로가 다수개 형성되어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흐를 때 외측 격벽부터 내측 격벽까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세척헤드부가 제어부 몸체와 연결되어 물 및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어되며 세척헤드부의 중앙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출관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과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은 진공장치와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서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상태가 설정됨과 동시에 세척헤드부에 물 및 공기가 공급되고 중앙배출부 후미에서는 높은 진공압으로 흡입함으로 인해 세척헤드부로 유입되는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경사면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오염물을 세정 후 수반하여 오염물 수거통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의 이용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a method for using a pollutant clean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comprising a washing head portion, a pollutant container and a vacuum setting means to have a function of cleaning and discharging the pollutant, wherein the washing head portion for treating the pollutan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to be cleaned. Has a structure in which water and air are supplied to one side of the washing head portion, which forms a wide and narrow portion at the bottom, and a central discharge por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ashing head portion,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multiplied by the outer edges based on the central discharge opening. Each partition wall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having an inclined angle formed therein so that water and air flowing into the washing head flow along the discharge passage formed in each partition wall to each partition wall from the outer partition to the inner partition. Through the discharge channel provided in sequence, it forms a vortex vortex and water and air are discharged. The cleaning head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dy so as to be supplied with water and air, and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central outlet of the cleaning head unit is connected to the pollutant container via the discharge pipe, and the pollutant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vacuum apparatus. When the condition set in the control unit is met and the contaminant is cleaned and discharged, the vacuum state is set at the same time, and water and air are supplied to the washing head, and at the rear of the central discharge unit, the suction flows into the washing head due to the high vacuum pressure. Water and air can be applied to the method of using the contaminant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which includes a configuration of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discharge passage provided in each partition wall, forming a vortex vortex, and cleaning and discharging the contaminant to the contaminant container. .
본원의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물, 토설물, 배설물, 털, 노화 각질물, 신체의 겉 피부 중 선택되는 물질이나 부위을 세척하는데 사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The contaminant cleaning and dispen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applied for use in cleaning substances or parts selected from feces, sludge, excreta, hair, aging keratin, and skin of the body, including humans.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도면이 제시되어 상세하게 설명된다.DETAILED DESCRIPTION Embodiments in whic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specifically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원에서 제공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는 경량 이동식으로 필요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물, 토설물, 배설물, 털, 노화 각질물, 신체의 겉 피부 중 선택되는 요구물질이나 세척목적 부위를 옷을 입은 상태로 용이하게 쉽게 흡입 또는 부위을 세척하는데 무자극, 무충격 고압 유동학적 고속 소용돌이 물살에 의한 세척이 가능하도록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contaminant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provided herein is easily moved to a place where it is necessary by a light weight, and can be moved to the required place, and the desired material or washing purpose selected from feces, soil, feces, hair, aging keratin, and skin of the body including humans.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inhalation or washing of the site easily while wearing the site to be cleaned by a non-irritating, impact-free high-pressure rheological high speed vortex water.
본원은 예를 들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옷을 입은 상태로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세척하고자 하는 목적부위(신체의 복부나 등은 물론 동물이나 물건 등 모든 부위)에 원주형 헤드부를 의 세척대상 접촉상단부위 표면에 밀착, 이동하면서 아주 용이하게 세정시킬 수 있으며 를 밀착시키고 세정시키거나 또는 동일한 요령으로 환자의 두발이나 동물의 털을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이때 모발 혹은 털만 세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발 속 두피 혹은 동물의 털 속 피부도 동시에 세정이 이루어지며, 머리를 감기거나, 또는 중환자가 혼자 있다가 실수를 하여 용변을 보고 제 때 세척을 하지 못하여 신체의 특정부위에 하반신에 용변 분비물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본원의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의 접촉상단부를 신체의 세정목적 부위에 밀착시켜 이동시키면서 배설물이나 신체 피부에 말라붙어 있는 용변배설물이나 이물질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application, for example, the contact of the columnar head to the target part (all parts of the body, including the abdomen or the body, as well as the animal or object) to be cleaned while lying in bed while people with poor mobility wear clothes. It can be very easily cleaned while moving and sticking to the upper surface, and it can be used to close and clean or to wash the patient's hair or the animal's hair with the same tips, as well as the hair or scalp inside the hair. Or the skin in the animal's hair can be cleaned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head is wound up, or if a critical patient is alone and accidentally sees the stool and fails to clean it on time, there is fecal discharge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The upper contact part of the pollutant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purpose of the body. Standing toilet feces or do anything that is stuck in the feces or body skin, can achieve the effect of cleaning to remove and clean.
본원 발명기술제품을 통하여 세정하게 되는 환자 혹은 동물은 일반목욕 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세제는 물론 때밀이 타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충분히 그 이상의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만큼 물리적 피부마찰 혹은 화학적 피부손상 등의 우려로부터 완전히 해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중환자들의 허약해진 신체가 일반목욕 시 뜨거운 목욕물에 몸을 담그거나 끼얹을 시 신체적 정신적 부담 및 거부감, 그리고 본인 스스로 자신의 몸을 씻을 수 없는 불가항력적 한계로 부득이 가족이나 간병인 등 제3자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피할 수 없이 경험하게 되는 인간적 수치심, 박탈감, 자괴감 등으로부터 해방됨으로써 환자의 자존감 및 정신적 자신감회복에 따른 치유 및 건강유지회복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atients or animals to be clean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echnology can get a sufficient cleaning effect without the use of detergents, as well as the use of towels, such as the usual daily bathing in the general bath, so as to cause physical skin friction or chemical skin damage, etc. Not only can it be completely freed from the elderly, but the weak body of the elderly or the intensive caregiver is incapable of physical and mental burden and rejection when soaking or splashing in hot bath water in the general bath, and the force majeure limit of being unable to wash one's own body.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healing and restoring health maintenance by recovering from self-esteem and mental self-esteem by being freed from the human shame, deprivation, and self-denial that the patient inevitably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having to receive help from a third party such as family or caregiver. It is expected to be .
도 1 : 종래기술에서 제시되는 세정기의 적용예시도.
도 2 :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의 처리흐름 예시도.
도 3 :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진공과 등압 조건에서 세정이 이루어지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의 적용예시도
도 4 : 본원의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적용되는 본체의 일 적용예시도1: Application example of the washing machine proposed in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emplary flow diagram of the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of the pollutant to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3 is an exemplary view of the application of the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of the contaminants to be cleaned under vacuum and isostatic conditions by appl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4 i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main body applied to the clean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기 위한 발명의 실시양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며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본원의 보호범위는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or the clai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interpreted. N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의 예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일 적용예를 제시한 것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특징부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므로, 본원 출원시점에 있어서 종래의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이용되어 왔던 기술들이 추가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Exemplary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presented one of the most preferred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scribed based on feature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ventional contaminant cleaning and discharg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Naturally, the techniques that have been used in the apparatus may be additionally applied.
도 1은 종래기술에서 제공되는 세정기의 일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흡입부가 진공장치에 연결되어 흡입되는 구조를 이루고 물과 공기가 세정기로 유입되는 구성을 이루며, 세정기는 회전바디(131)의 내주면으로 가이드돌기(113)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32)이 마련되어 있어서, 회전바디(131)가 원통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복잡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the cleaner provided in the prior art as a su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vacuum device to form a structure and the water and air flow into the scrubber, the scrubber i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은 복잡하고 기계적으로 회전바디(131)가 원통부(112)의 외주면을 연속 회전하는 구성의 기계적 세정기는 사람이나 동물이 접촉하기를 두려워하는 문제점뿐 아니라 예를 들면 보호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 중환자가 누운 자세에서 용변을 봐서 신체부위와 침대시트에 오염물을 배설한 경우 상기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회전바디가 원통부 외연을 회전하는 세정기를 항문 주위에 대고 세정하게 된다면 연약한 사타구니 부위를 상하게 되어 사용할 수 없고, 침대시트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정브러쉬가 오히려 오염부위를 넓히는 문제점을 노출할 수 밖에 없을 것임에 비하여 본원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는 신체에 아무런 위해 요인이 없이 사타구니나 국부, 회음부 주위를 깨끗하게 씻어 흡수해내고 침대시트의 오염물도 10~30초 내에 깨끗하게 씻어 흡수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는 근본적 차이점을 갖는다.The mechanical scrubber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도 2는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의 처리 흐름을 일 적용예로 나타낸 것으로, 일측에서 공기흡입 및 공기가온부를 갖고 공기공급배관 내부에 음이온발생기가 접목되어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음이온이 함유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을 이루고, 또 다른 측에서 물통으로부터 온수를 만들어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온수를 공급하는 구성을 이루며,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서 처리되는 오염배출원을 수거통에 담고 공기공급량을 조절되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압을 걸어줘서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서 처리되는 오염배출원을 배출해주는 구성의 개략을 열풍공기 이동로, 온수로, 오물수거로 등으로 구분하여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의 처리 흐름을 일 적용예로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an example of the flow of the process of cleaning and discharging the contaminants to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having an air intake and air heating on one side is combined with an anion generator inside the air supply pipe to clean and discharge the contaminants It is configured to supply air containing anion to the device, and to make hot water from the water tank on the other side, and to supply hot water to the device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It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 air supply is controlled, and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to apply the vacuum pressure to the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of the pollutant to discharge the pollutant discharge source processed by the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of the pollutant. The flow of cleaning and discharging of contaminants by dividing them into waste collection and waste collection. Will.
도 2에서는 본원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세정수인 물을 공급하는 물통의 공급라인에 알력감지기 및 유량감지기가 설치되고 세정수가 적당한 온도로 가열되어 공급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공기공급기로 보내지는 공기가 가온되어 공급되고 공기이송라인에 음이온 발생칩이 내장되어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내부로 음이온이 함유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2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force detector and a flow rate detector are installed in a supply line of a bucket for supplying water, which is washing water, to the apparatus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washing water can be heated and suppli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The air to be sent is supplied warmly and the negative ion generating chip is built in the air transfer line to exemplify a configuration capable of supplying air containing negative ions into the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of contaminants.
또한, 본원의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서는 진공펌프 다음에 살균필터를 설치하여 살균된 공기를 다시 공기공급기 보내서 순환시키는 수단으로도 적용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으나 도 2의 순환구성은 종래의 기술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구성만 언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ws that the sterilization filter is installed after the vacuum pump and is also applicable as a means for circulating the sterilized air by sending it back to the air supplier, but the circulation configuration of FIG. As it is mentioned, only the new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50)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의 좌측도면에서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50)의 정면을 상부평면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고, 우측도면에서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50)에서 전면이 죄측으로 향하도록 측면으로 뉘여진 상태의 측면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며, 도 3b에서는 본원 기술사상의 특징부인 세척헤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계통도 형식으로 나타낸 격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3c에서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50)가 제어되며 운전될 수 있는 제어부 몸체(80)를 나타낸 것이다.3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50 by applying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left view of FIG. 3A, the front of the apparatus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50 is illustrated in an upper plan view. In FIG. 3b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aminant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50 is oriented to the left side, and in FI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artition wall is shown, and FIG. 3C shows the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50)는 세척헤드부(40)와 오염물수거통(84)과 진공펌프(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부몸체(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오염물처리를 위한 세척헤드부(40)는 세척대상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단부위는 넓고 저부로는 좁아지는 형태로 세척헤드부(40)를 형성하게 되며, 세척헤드부(40)의 일측으로는 물과 공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갖는다.Apparatus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the contaminant 50 to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may be applied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도 3a에서 제시되는 세척헤드부(40)는 중앙위치에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몸체바디부(45)를 가지며 후미에 배관접속부(30)를 갖는 구조를 이루고 배관접속부(30)가 제어부 몸체(80)와 배관(31a)이 연결되어 제어부 몸체(80)에서 물 및 공기가 세척헤드부(40)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어되며 세척헤드부(40)의 중앙배출구(31)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관(31a)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84)과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84)은 진공펌프(86)과 연결된 구성을 이루며 세척헤드부(40)에서 발생되는 오염원 및 세척수, 공기를 오염물수거통(84)으로 이송시키도록 적용되는바, 세척헤드부(40)의 구성은 외연으로 원형의 외벽체(41)를 이루어 원형 내면은 약간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청소 대상물과의 접촉면을 형성하는 구조이고 중심의 하단부로는 중앙배출구(31)가 마련되되 중앙격벽(43)을 형성하여 일측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오염물 및 세척수 및 공기가 관통홀을 경유하여 중앙배출구(31)로 배출되도록 적용되며, 외벽체(41)와 중앙격벽(43) 사이로는 다수개의 격벽(42)이 다중으로 감싸는 구조를 형성하되, 각각의 격벽(42)에는 경사각을 이룬 배출유로(44)가 다수개 형성된 구조를 이루어서, 세척헤드부(40)로 유입되는 세척수 및 공기가 오염원을 세척한 후 외측의 격벽 및 배출유로를 거친 후 다음 단계의 내측에 마련된 격벽 및 배출유로를 거친 후 또 그 다음 단계 내측에 마련된 격벽 및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구성의 세척헤드부(40)로 제공된다. The
상기 세척헤드부(40)의 중앙배출구(31)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관(31a)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84)과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84)은 진공펌프(86)과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서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상태가 설정됨과 동시에 세척헤드부(40)에 물 및 공기가 공급되고 중앙배출공(31) 및 배관(31a) 후미에서는 높은 진공압으로 흡입함으로 인해 세척헤드부(40)로 유입되는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42)에 마련된 경사각 배출유로(4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오염물을 세정 후 수반하여 중앙배출공(31) 및 배관(31a)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84)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도 3b은 본원 기술사상의 특징부인 세척헤드부(40)에서 원형구조의 외벽체(41)와 중앙격벽(43) 사이에 다중구조로 격벽(42) 및 경사각 배출유로(44)가 설치되는 구성을 단계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a),(b),(c),(d),(e)로 구분하고 제일 안쪽의 중앙배출공(31)을 갖는 중앙격벽(43)을 n격벽으로 표현하여 각각의 도면을 설명하여 보면, (a)도면에서는 세척헤드부(40)의 외벽체(41)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중앙격벽(43 : n)만이 있는 상태로 표시한 것으로, 세척헤드부(40)의 몸체바디부(45)의 일측에는 세척수 공급라인(26)을 갖고 몸체바디부(45)의 내측에서 외벽체(41)를 이루는 부위에 물공급관(26a)이 마련되고 물공급관의 외연으로는 공기공급구로 적용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중앙격벽(43)은 중앙배출공(31)의 상단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며 저부로는 일측으로 배출홀이 형성되어 중앙배출공(31)을 통하여 오염물을 배관(31a)으로 배출시키도록 적용된다.3b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rtition 42 and the inclination-angle discharge passage 44 are installed in a multi-structure between the
도 3b의 (b)도면에서는 외벽체(41)와 중앙격벽(43) 사이에 (n+1)격벽(42a)이 설치되고 격벽(42a)에는 경사각 배출유로(44)가 44a,44b,44c,44d,44e 5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의 (c)도면에서는 상기 (n+1)격벽(42a) 외연으로 또 다른 (n+2)격벽(42b)이 설치되고 격벽(42b)에도 역시 경사각 배출유로(44)가 다수개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b의 (d)도면에서는 상기 (n+2)격벽(42b) 외연으로 또 다른 (n+3)격벽(42c)이 설치되고 또한 격벽(42c)에도 경사각 배출유로(44)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의 (e)도면에서는 외벽체(41)와 격벽(42c) 사이에 (n+4)격벽(42d)이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외벽체(41), (n+4)격벽(42d), (n+3)격벽(42c), (n+2)격벽(42b), (n+1)격벽(42a) 및 중앙격벽(43)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격벽에는 또한 경사각 배출유로(44)가설치된 구조를 이루어서 오염물과 세척수 및 공기가 회오리흐름의 와류흐름을 유도하면서 높은 진공압으로 빨려 들어가 중앙배출공(31) 및 배관(31a)을 통하여 오염물수거통(84)으로 빨려들여 가도록 운전될 수 있다.In (b) of FIG. 3B, a (n + 1)
도 3c에서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세척헤드부(40)의 후단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배관접속부(30)를 전면으로 하여 나타낸 후면도로서 배관접속부(30)는 내부에 오염물배출구(31)를 갖고 오염물배출구 상단부에는 공기공급로(32)를 가지며 측면부으로는 물공급로(33)를 갖고 배관접속부(30)가 세척헤드부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본체체결부(34)를 가지며 배관접속부(3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접속 배관(31a)이 연결되기 위한 접속구(35)를 갖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3C is a rear view showing the
도 4는 본원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부 본체(80)의 일 적용예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제어부 본체(80)는 외통체(81)가 일측으로 손잡이부(82)를 갖고 상부로 뚜껑부(83)를 가지며, 외통체(81) 내부에 오염물수거통(84)과 물통(85)을 갖고 저부로는 진공펌프(86)가 내장되는 구성을 이루고, 외통체(81)의 상단 일측으로는 세정 대상의 오염물 종류에 따른 작동제어표시부(81a)를 갖고 본체의 바닥면으로는 바퀴(87)을 갖는 구성을 이루고, 본체의 측벽 저부 일측으로 전원코드접속부(88b) 및 온/오프 스위치(88a)를 가지며, 본체의 좌측벽부에는 오염물배출관(31)으로부터 이송되는 오염물이 배관(32)을 거쳐 오염물수거통(84)과 연결되는 오염물배출구(31)의 접속구(89)을 갖는 외형을 갖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4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이상과 같이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를 도면으로 예시하여 설명한 기술내용은 당업자에 종사하는 사람이 용이하게 발명의 기술구성을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더욱 구체적으로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일 실시양태에 따른 위생세정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contents described by exemplifying the apparatus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provided by applying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difficult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appl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Specifically, a sanitary washing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는 종래기술과 같이 단순히 세정수나 공기를 공급하며 진공으로 뽑아내는 구조가 아니라,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다수개의 격벽 및 다수개의 경사각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세척헤드부(40)에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진공임에도 등압 조건을 형성하여 예를 들면 신체의 항문, 회음부, 생식기 부위 등 예민한 세척부위에서도 통증을 주지 않으면서 세정효과를 높인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를 이루는 부분에 특징을 갖는 기술로, 예를 들어 항문이나 회음부 부위에 대변이 묻어 있는 경우에 세척헤드부(40)의 전면 접촉면 외연이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밀착한 상태를 이루고 제어부 본체(80)에 진공펌프가 작동하여 진공압이 걸리면 물통(85)의 세정수가 세척헤드부(40)의 물 공급구(26a)로 보내지고 물 공급구 외연에 있던 공기가 합세하여 대변 외연으로 분출될 때 정상류가 아닌 분산된 수류를 형성하며 소용돌이 와류 물살을 만들어 순식간에 오염물 및 세척수, 공기가 격벽 및 경사각 배출유로를 거치며 오염물배출관(31)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진공압으로 뽑아내는 결과로 인하여 나선형상의 외류 유로가 회전운동을 지속하면서 오염물수거통(84)까지 배출되게 되는 구성으로 달성된다.The contaminant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imply a structur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or air and extracting with vacuum as in the prior art, but for cleaning the contaminant and form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nd a plurality of inclined angle discharge passages. The vortex vortex is formed in the
본원의 세척헤드부(40)는 후면쪽에 공기공급량 조절부(27)를 갖고 세척헤드부(40)에 세정하고자 하는 제거대상물에 따라 예를 들면 고체상태로 굳어진 애완동물의 배설물 등은 진공압이 높게 걸리지 조절되는 형태 등으로 세정수공급, 공기흡입량, 진공압 조절 등이 작동환경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본원의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서 사용자가 가능한 한 세척헤드부(40)의 전면 접촉면이 제거 대상물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세척헤드부(4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진공압력은 약 - 12.8 kPa 으로 설정되도록 적용될 수 있는바, 상기 진공압력은, 예를 들어 공기 흡입수단인 진공펌프(VP)가 약 6,000rpm ~ 12,000 rpm 범위로 구동시켜 적용될 수 있는바, 본원 기술에 사용 가능한 진공펌프는 통상적으로 진공청소기에 사용되는 유형의 진공펌프로서, 약 740watt 규격의 BLDC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In the apparatus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long as possible by the user, the front contact surface of the
본원의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가 중환자가 혼자 배설한 대변을 처리해야 하는 과제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의 대변처리 모드(Strong Mode)의 일 적용예로 제어부 본체(80)에서 대변세척 버튼을 누르게 되면, 세정수 공급라인에 설치된 물공급 밸브가 개방되고 약 30초 동안 진공펌프(86)가 약 12,000 RPM으로 작동되어 약 - 12.8kPa의 진공압을 생성시키며 이러한 진공압에 의해 물통(85)으로부터 세정수가 세정수 분출구(26a)를 통하여 세척헤드부(40)로 공급됨과 동시에 세정수공급라인의 외연에 있는 공기와 함께 대변배설물에 분사되어 오염물과 세정수와 공기가 함께 와류를 형성하며 각각의 격벽(42) 및 경사각 배출유로(44)를 거쳐 회오리 흐름을 유도하면서 높은 진공압으로 빨려 들어가 중앙배출공(31) 및 배관(32)을 통하여 오염물수거통(84)으로 빨려들여 배출된다.(진공흡입단계)When the stool cleaning button is pressed in the
다음에 진공펌프(VP)가 약 60초 동안 약 6,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6.4 kPa 진공압력이 생성된다(대기 단계). The vacuum pump (VP) is then operated at about 6,000 RPM for about 60 seconds to produce about -6.4 kPa vacuum pressure (standby stage).
다음에, 중환자의 진공펌프(VP)가 약 20초 동안 약 10,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10.4 kPa 진공압력이 생성되며, 이때 밑에서 세정수가 토출되어 배설물 주변 또는 중환자의 항문 주변과 국부 또는 음부 주변에 배설된 오물이 묻어 있는 오물에 대한 세정이 수행된다(세척 단계). Next, the critical patient's vacuum pump (VP) is operated at about 10,000 RPM for about 20 seconds to produce a vacuum pressure of about -10.4 kPa, at which time the flu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around the feces or around the anal and local or genital areas of the critical patient. Cleaning is carried out for the dirt on the excreted dirt (washing step).
다음에, 밸브(610)가 폐쇄되고, 진공펌프(VP)가 약 120초 동안 약 8,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8.0 kPa 진공압력이 생성되며, 이때 건조공기가 유입되며, 건조공기 이송라인에는 음이온 발생칩이 내장된 음이온을 함유한 공기를 발생시키거나 가온된 따듯한 공기를 통하여 건조공정이 수행된다(건조단계).Next, the valve 610 is closed and the vacuum pump VP operates at about 8,000 RPM for about 120 seconds to produce about -8.0 kPa vacuum pressure, where dry air is introduced and negative ions in the dry air transfer line. The drying process is carried out by generating air containing the negative ions in which the generating chip is embedded or through warmed air which is warmed (drying step).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반듯이 상기 적용예에 의해 실시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종래의 여러 가지 종래의 세척기에 사용되는 기술과 장치들이 준용되거나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implementation by the above application example, the techniques and apparatuses used in various conventional washing machines are applied mutatis mutandi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obvious that the change is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종래에 세척처리기술이 접목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치환, 변경되어 적용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applied after being replaced and changed in various forms in the prior art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26 : 세척수 공급라인 26a : 세척수공급구
27 공기량 조절부 28 : 배관
30 : 배관접속부 31 : 오염물배출구
32 : 공기공급로 33 : 물공급로
34 : 본체체결부 35 : 접속구
40 : 세척헤드부 41 : 외벽체
42 : 격벽 43 : 중앙격벽
44 : 경사각 배출유로 45 : 몸체바디부
50 :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80 : 제어부 몸체 81 : 외통체
82 : 손잡이부 83 : 뚜껑부
84 : 오염물수거통 85 : 물통
86 : 진공펌프 87 : 바퀴 26: washing
27 Air Volume Control 28: Piping
30: pipe connection 31: pollutant outlet
32: air supply passage 33: water supply passage
34: main body fastening part 35: connection port
40: washing head portion 41: outer wall
42: bulkhead 43: central bulkhead
44: inclination angle discharge passage 45: body body
50: cleaning and discharge device of contaminants
80: control body 81: outer cylinder
82: handle portion 83: lid portion
84: pollutant container 85: bucket
86: vacuum pump 87: wheels
Claims (5)
오염물처리를 위한 세척헤드부는 세척대상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단부위는 넓
고 저부로는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며 세척헤드부의 일측으로는 물과 공기가 공급되
는 구조를 이루고, 세척헤드부의 중심부에는 중앙배출부가 마련되며 중앙배출구를
기준으로 그 외연을 다수개의 격벽이 다중으로 감싸는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격벽
에는 경사각을 이룬 배출유로가 다수개 형성되어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흐를 때 외측 격벽부터 내측 격벽까지 각각
의 격벽에 마련된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세척헤드부는 제어부 몸체와 연결되어 물 및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
록 제어되며 세척헤드부의 중앙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출관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과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은 진공장치와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서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상태가 설정됨과 동시에 세척헤드부에 물 및 공기가 공급되고 중앙배출부 후미에서 진공압으로 흡입되므로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경사면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오염물을 세정 후 오염물 수거통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In the apparatus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comprising a washing head portion, a contaminant container and a vacuum setting means for cleaning contaminants selected from feces, soil, feces, hair, and aging keratin of animals including humans,
Cleaning head part for contaminant treatment is wide at the upper part forming the contact part to be cleaned
At the bottom, it is narrowed and water and air are supplied to one side of the washing head.
Form a structure, the central discharge portion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washing head portion and the central discharge opening
As a standard, it constitute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tions surround the outer edges in multiples.
There are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formed at an inclined angle so that water and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head portion
From the outer bulkhead to the inner bulkhead when flowing along the discharge channel formed in each of the bulkheads
The discharge flow path provided in the bulkhead of the gas is sequentially formed to form a vortex of diesel oil.
Form the structure of exhausting air,
The washing head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body to receive water and air
The pollutant is controlled and discharged from the central outlet of the cleaning head via the outlet pipe.
It is connected to the pollutant container and the pollutant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vacuum device, and when the conditions set in the controller are met, the vacuum is set in the pollutant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At the same time, water and air are supplied to the cleaning head and the dust is discharged from the rear of the central discharge part. The inclined surface provided with water and air flowing into the washing head part in each partition wall by being sucked by pneumatic pressure
Contaminant wash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figuration for sequentially discharging the discharge flow path to form a vortex of the diesel oil and discharge the contaminants into the contaminant container after washing.
상기 세척헤드부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은 4~8개로 제공되고, 격벽에 형성되는 경사각 배출유로는 1~6개 범위로 제공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partition is installed in the washing head portion is provided with 4 to 8, the inclination angle discharge passag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cleaning and discharg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pplied to be provided in the range 1 to 6.
상기 세척헤드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급기배관 내부에 음이온공급칩이 내장
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음이온을 함유한 공기가 각각의 격벽 및 경사각 배출유로를
통하여 배출됨으로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의 살균, 소독, 탈취효과를 도모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ion supply chip is built in the air supply pipe of the air supplied to the washing head
Air in which the anions are contained in each of the bulkheads
It is discharged through to clean the pollutants and to sterilize, disinfect and deodorize the discharge device.
Contaminant cleaning and discharg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오염물처리를 위한 세척헤드부는 세척대상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단부는 넓
고 저부는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며 세척헤드부의 일측으로는 물과 공기가 공급되
는 구조를 이루고, 세척헤드부의 중심부에는 중앙배출부가 마련되며 중앙배출구를
기준으로 그 외연을 다수개의 격벽이 다중으로 감싸는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격벽
에는 경사각을 이룬 배출유로가 다수개 형성되어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흐를 때 외측 격벽부터 내측 격벽까지 각각
의 격벽에 마련된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세척헤드부가 제어부 몸체와 연결되어 물 및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
록 제어되며 세척헤드부의 중앙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출관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으로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은 진공장치와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서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상태가 설정됨과 동시에 세척헤드부에 물 및 공기가 공급되고 중앙배출부 후미에서 진공압으로 흡입되므로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경사면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오염물을 세정 후 오염물 수거통으로 배출시키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의 이용방법.
In the method of using a pollutant washing and discharging device comprising a washing head portion, a contaminant container and a vacuum setting means to clean the contaminants selected from feces, soil, feces, hair, aging keratin of animals including humans,
The cleaning head portion for treating contaminants is wide at the upper end forming the contact portion to be cleaned.
The bottom is narrowed and water and air are supplied to one side of the washing head.
Form a structure, the central discharge portion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washing head portion and the central discharge opening
As a standard, it constitute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tions surround the outer edges in multiples.
There are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formed at an inclined angle so that water and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head portion
From the outer bulkhead to the inner bulkhead when flowing along the discharge channel formed in each of the bulkheads
The discharge flow path provided in the bulkhead of the gas is sequentially formed to form a vortex of diesel oil.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e washing head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body to receive water and air
The pollutant is controlled and discharged from the central outlet of the cleaning head via the outlet pipe.
It is connected to the pollutant container, and the pollutant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vacuum device, and when the conditions set in the controller are met, the vacuum is set on the pollutant cleaning and discharge device, and water and air are supplied to the cleaning head and the dust is discharged from the rear of the central discharge part. The inclined surface provided with water and air flowing into the washing head part in each partition wall by being sucked by pneumatic pressure
A method of using a contaminant cleaning and discharging device, compris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scharge flow path sequentially forms a diesel vortex vortex,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ntaminant into the contaminant collecting container after clean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7912A KR102047780B1 (en) | 2017-02-09 | 2017-02-09 |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7912A KR102047780B1 (en) | 2017-02-09 | 2017-02-09 |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2367A KR20180092367A (en) | 2018-08-20 |
KR102047780B1 true KR102047780B1 (en) | 2019-11-22 |
Family
ID=6344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7912A Active KR102047780B1 (en) | 2017-02-09 | 2017-02-09 |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778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0437B1 (en) | 2019-04-22 | 2019-11-05 | 주식회사 휴텀 | cleansing suction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7981Y1 (en) * | 2011-04-08 | 2012-01-16 | (주) 진진메디텍 | Skin Care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5813B1 (en) * | 2012-08-10 | 2015-03-25 | 김양수 | Apparatus for skin care |
KR20160021500A (en) * | 2014-08-18 | 2016-02-26 | 최명근 | Micro bubble washing device and automatic disposing apparatus of feces and urine |
-
2017
- 2017-02-09 KR KR1020170017912A patent/KR1020477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7981Y1 (en) * | 2011-04-08 | 2012-01-16 | (주) 진진메디텍 | Skin Care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2367A (en) | 2018-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84427A (en) | Body vacuum | |
CN105268043B (en) | For removing and accommodating the device and method of slop | |
KR102047781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patient's urine and feces automatically | |
JP2016523170A (en) |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 |
WO2009015542A1 (en) | Automatic device for nursing patient | |
KR100955105B1 (en) | Bedside bowel movements | |
KR101579889B1 (en) | Cup Unit Projecting Nozzle of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 |
CN106510929A (en) | Intelligent care system for defecation | |
KR200453814Y1 (en) | Mattress with automatic defecation treatment device | |
KR102047780B1 (en) |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 |
KR200348639Y1 (en) | Mobile bedpan for patients | |
KR102075301B1 (en) | Excreta disposal apparatus for toilet bowl and toilet bowl for patient | |
WO2015183209A1 (en) | A cleaning device for bedridden patients | |
JP2014030511A (en) | Washing device | |
JP6472071B2 (en) | Cleaning device | |
CN211962424U (en) | Nursing bed with excrement collecting function | |
CN210873361U (en) | A urological nursing irrigation device | |
WO2017024887A1 (en) | Excreta disposal device and method therefor | |
JP7031865B2 (en) | Excrement cleaning device | |
KR20160097531A (en) |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Having coupling pipe | |
JP2000024073A (en) | Method and device for body washing | |
KR101018887B1 (en)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
JP3014922U (en) | Portable flush toilet | |
KR20200045228A (en) | Device for automatic excrement processing of bed | |
KR101112769B1 (en) |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8101003873 Request date: 20180917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87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17 Effective date: 20191014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101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80917 Decision date: 20191014 Appeal identifier: 2018101003873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114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5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