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45267B1 -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 Google Patents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267B1
KR102045267B1 KR1020190010826A KR20190010826A KR102045267B1 KR 102045267 B1 KR102045267 B1 KR 102045267B1 KR 1020190010826 A KR1020190010826 A KR 1020190010826A KR 20190010826 A KR20190010826 A KR 20190010826A KR 102045267 B1 KR102045267 B1 KR 10204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eaker
copper
plate portion
dam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유현
Original Assignee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2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26Damp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 of diaphragm or c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면서 금속 박판으로 형성하여 접착된 부분의 탈리에 의한 사용 수명의 저하가 극소화되도록 하면서 설치가 단시간에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체적으로 스피커가 슬림화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본 동판 댐퍼는 스피커의 프레임의 상호 대응되는 직선 구간을 따라 각각 2개의 띠 형태의 판으로 배치되고, 전후좌우로 상호 대칭되면서 이격되게 구비되며, 구리 재질의 박판으로 형성되는 두 쌍의 직선판부와; 상기 직선판부의 내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스피커의 진동판을 향해 구비되며,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진동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두 쌍의 댐핑판부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댐핑판부의 단부를 연결하면서 수평으로 긴 판형으로 형성되고, 스피커의 진동판의 상면에 접착되는 연결접착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COPPER PLATE DAMPER FOR SLIM TYPE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금속 박판으로 형성하여 접착된 부분의 탈리에 의한 사용 수명의 저하가 극소화되도록 하면서 설치가 단시간에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체적으로 스피커가 슬림화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speaker)는 전기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변환시켜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음파를 방출하는 음향 장치이다.
근래에 들어 LCD TV, PDP TV, LCD 모니터 등의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 및 슬림화에 따라 두께가 얇으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좁은 저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고품질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림형 스피커가 요구되고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슬림형 스피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량 생산에 발맞춰 대량으로 생산되는 것으로, 스피커의 생산 시간 단축과 조립성 및 생산성의 향상이 본 기술 분야에서 향상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스피커는 고음용, 중음용 및 저음용, 그리고 전 대역용으로 나눠지고, 고음용은 트위터(Tweeter)로 출력 파장이 짧은 것을 말하고, 중음용은 미드레인지(Midranger) 또는 스퀘커(Squaker)라고 하며, 저음용은 우퍼(Woofer)로 출력 파장이 긴 것을 말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피커는 프레임(200)과, 이 프레임(200) 내부의 빈 공간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요크(120), 마그네트(130), 및 플레이트(140)와, 상기 플레이트(140)와 요크(120) 사이에 설치된 보이스코일(190)과, 상기 보이스코일(190)의 외주면에 설치된 댐퍼(150)와, 상기 프레임(200)의 빈 공간을 커버하는 동시에 댐퍼(150)의 상면을 커버하며 설치된 진동판(160)과, 상기 보이스코일(190)의 상면을 커버하며 설치된 더스트캡(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더스트캡(170)은 댐퍼(150) 및 진동판(160)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진동판(160)의 외곽 가장자리 끝단부에는 엣지(180)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댐퍼(150)는 보이스코일(190)의 측면과 프레임(200)의 바닥에 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스피커용 댐퍼는 프레임의 내측으로 보이스코일의 측면과 프레임의 바닥에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 접착부위가 떨어져 스피커의 사용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용 댐퍼는 그 설치 공정이 까다로우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스피커 자체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318235호 "슬림형 스피커 및 이의 조립 방법"(2013.10.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이면서 금속 박판으로 형성하여 접착된 부분의 탈리에 의한 사용 수명의 저하가 극소화되도록 하면서 설치가 단시간에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체적으로 스피커가 슬림화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는, 스피커의 프레임의 상호 대응되는 직선 구간을 따라 각각 2개의 띠 형태의 판으로 배치되고, 전후좌우로 상호 대칭되면서 이격되게 구비되며, 구리 재질의 박판으로 형성되는 두 쌍의 직선판부와; 상기 직선판부의 내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스피커의 진동판을 향해 구비되며,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진동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두 쌍의 댐핑판부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댐핑판부의 단부를 연결하면서 수평으로 긴 판형으로 형성되고, 스피커의 진동판의 상면에 접착되는 연결접착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의 상기 직선판부는, 스피커의 프레임의 상호 대응되는 직선 구간을 따라 전후좌우로 상호 대칭되면서 이격되게 두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댐핑판부와 연결접착판부는, 상기 두 쌍의 직선판부(10)에 각각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는, 각각의 상기 연결접착판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진동판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씩 형성되고, 스피커의 보이스코일에 금사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연결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의 상기 전원연결판부는, 그 외측면에 형성되는 접속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는, 상기 직선판부의 외측단에 외측 둘레로 볼록한 판형으로 형성되는 볼록판부와; 상기 볼록판부의 중앙 부위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전원이 연결되는 접속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의 상기 직선판부는, 상기 댐핑판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내측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 라운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접착판부는, 상기 댐핑판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외측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 라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의 상기 직선판부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의 상기 댐핑판부는, 상기 직선판부에서 일단이 연결되어 일측으로 절곡된 후에 수평으로 이어지다가 타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연결접착판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의 상기 연결접착판부는, 그 양단 내측면을 따라 연속하여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면서 금속 박판으로 형성하여 접착된 부분의 탈리에 의한 사용 수명의 저하가 극소화되고 그에 따라 스피커 자체의 장수명이 보장되며, 설치가 단시간에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스피커의 생산성이 향상되며, 전체적으로 스피커가 슬림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판 댐퍼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판 댐퍼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판 댐퍼의 설치된 스피커를 보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판 댐퍼의 설치된 스피커를 보인 개략적인 결합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판 댐퍼의 설치된 스피커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판 댐퍼의 설치된 스피커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스피커의 일예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판 댐퍼의 개략적인 도면들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판 댐퍼가 설치된 스피커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1)는 스피커의 프레임(2)에 장착되고 일단이 스피커의 진동판(7)의 상면에 부착되며 구리 재질의 박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스피커의 보이스코일(6)에 전원을 연결하면서 상기 진동판(7)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동판 댐퍼(1)는 스피커의 프레임(2)의 상호 대응되는 직선 구간을 따라 각각 2개의 띠 형태의 판으로 배치되고 전후좌우로 상호 대칭되면서 이격되게 구비되며 구리 재질의 박판으로 형성되는 두 쌍의 직선판부(10)와, 상기 직선판부(10)의 내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스피커의 진동판(7)을 향해 구비되며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진동판(7)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두 쌍의 댐핑판부(20)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댐핑판부(20)의 단부를 연결하면서 수평으로 긴 판형으로 형성되고 스피커의 진동판(7)의 상면에 접착되는 연결접착판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판부(10)는 상기 프레임(2)의 직선 구간에 대응하여 두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동판 댐퍼(1)가 스피커의 프레임(2)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양단부에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댐핑판부(20)가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직선판부(10)는 상기 댐핑판부(20)가 연결되는 부위의 내측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 라운드홈(1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라운드홈(11)은 상기 댐핑판부(20)와 연결되는 상기 직선판부(10)의 연결 부위의 폭을 얇게 하여 상기 댐핑판부(20)의 탄성적인 거동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직선판부(10)는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프레임(2)을 구성하는 사각판(2a)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사각판(2a)에 상기 동판 댐퍼(1)가 손쉽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직선판부(10)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공(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관통공(12)은 상기 직선판부(10)가 상기 프레임(2)을 구성하는 상기 사각판(2a)에 인서트된 상태로 사출성형될 때 용융수지액이 유입되어 상기 사각판(2a)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직선판부(10)는 스피커의 프레임의 상호 대응되는 직선 구간을 따라 전후좌우로 상호 대칭되면서 이격되게 두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댐핑판부(20)는 탄성적으로 복원 가능하게 굽힘되면서 상기 직선판부(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접착판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접착판부가 부착되는 스피커의 진동판(7)의 상하 진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댐핑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댐핑판부(20)는 상기 직선판부(10)에서 일단이 연결되어 일측으로 절곡된 후에 수평으로 이어지다가 타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연결접착판부(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스피커의 진동판(7)에 대한 탄성지지력이 안정적으로 발휘된다.
상기 연결접착판부(30)는 한 쌍의 상기 댐핑판부(20)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면서 상기 진동판(7)에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접착판부(30)는 상기 댐핑판부(20)가 연결되는 부위의 외측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 라운드홈(3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라운드홈(31)은 상기 댐핑판부(20)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접착판부(30)의 연결 부위의 폭을 얇게 하여 상기 댐핑판부(20)의 탄성적인 거동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접착판부(30)는 그 양단 내측면을 따라 연속하여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부(3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32)는 상기 연결접착판부(30)의 폭을 증대시켜 보강하면서 접착부위를 증대시켜 접착력이 우수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댐핑판부(20)와 연결접착판부(30)는 상기 두 쌍의 직선판부(10)에 각각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된다.
또한, 본 동판 댐퍼(1)는 각각의 상기 연결접착판부(30)의 내측면에서 스피커의 진동판(7)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씩 형성되고 스피커의 보이스코일(6)에 금사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두 쌍의 전원연결판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판부(40)는 그 외측면에 형성되는 접속홈(4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연결판부(40)는 스피커의 보이스코일(6)에 연결되는 금사선이 납땜 등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접속홈(41)은 상기 전원연결판부(40)의 외면에 홈을 형성하여 금사선에 대한 연결이 보다 손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동판 댐퍼(1)는 상기 직선판부(10)의 외측단에 외측 둘레로 볼록한 판형으로 형성되는 볼록판부(50)와, 상기 볼록판부(50)의 중앙 부위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전원이 연결되는 접속공(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볼록판부(50)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접속공(60)은 전선이 끼워져 납땜되어 연결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동판 댐퍼(1)는 스피커에 설치되는데, 본 동판 댐퍼(1)가 설치되는 스피커의 일예를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피커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내측에 부착되는 요크(3)와, 상기 요크(3)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그넷(4)과, 상기 마그넷(4)의 상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5)와, 상기 마그넷(4) 둘레에 구비되는 보이스코일(6)과, 상기 보이스코일(6)의 상면에 부착되는 진동판(7)과, 상기 보이스코일(6)의 상단에 부착되는 더스트캡(8)과, 상기 프레임(2)의 상면과 상기 진동판(7)의 외측단 둘레의 사이에 부착되는 엣지(9)를 포함하고, 본 동판 댐퍼(1)는 상기 프레임(2)과 진동판(7)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은 사각 판형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직선판부(10)가 장착되는 사각판(2a)과, 상기 사각판(2a)의 하면에 부착되고 하면에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하면커버(2b)로 구성된다.
본 동판 댐퍼(1)는 상기 직선판부(10)가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사각판(2a)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연결접착판부(30)가 상기 진동판(7)의 상면에 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에 대해 상기 진동판(7)의 상하 거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 : 동판 댐퍼
10 : 직선판부
11 : 제1 라운드홈 12 : 관통공
20 : 댐핑판부
30 : 연결접착판부
31 : 제2 라운드홈 32 : 보강부
40 : 전원연결판부
41 : 접속홈
50 : 볼록판부 60 : 접속공
2 : 프레임
2a : 사각판 2b : 하면커버
3 : 요크
4 : 마그넷
5 : 플레이트
6 : 보이스코일
7 : 진동판
8 : 더스트캡
9 : 엣지

Claims (9)

  1. 스피커의 프레임의 직선 구간을 따라 2개의 띠 형태의 판으로 배치되고, 전후로 상호 대칭되면서 이격되게 구비되며, 구리 재질의 박판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직선판부(10)와;
    상기 직선판부(10)의 내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스피커의 진동판을 향해 구비되며,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진동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댐핑판부(20)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댐핑판부(20)의 단부를 연결하면서 수평으로 긴 판형으로 형성되고, 스피커의 진동판의 상면에 접착되는 연결접착판부(30)와;
    상기 연결접착판부(30)의 내측면에서 상기 진동판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씩 형성되고, 스피커의 보이스코일에 금사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연결판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접착판부(30)는,
    그 양단 내측면을 따라 연속하여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부(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연결판부(40)는,
    그 외측면에 형성되는 접속홈(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판부(10)는,
    스피커의 프레임의 상호 대응되는 직선 구간을 따라 전후좌우로 상호 대칭되면서 이격되게 두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댐핑판부(20)와 연결접착판부(30)는,
    상기 두 쌍의 직선판부(10)에 각각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판 댐퍼는,
    상기 직선판부(10)의 외측단에 외측 둘레로 볼록한 판형으로 형성되는 볼록판부(50)와;
    상기 볼록판부(50)의 중앙 부위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전원이 연결되는 접속공(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판부(10)는,
    상기 댐핑판부(20)가 연결되는 부위의 내측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 라운드홈(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접착판부(30)는,
    상기 댐핑판부(20)가 연결되는 부위의 외측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 라운드홈(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판부(10)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공(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판부(20)는,
    상기 직선판부(10)에서 일단이 연결되어 일측으로 절곡된 후에 수평으로 이어지다가 타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연결접착판부(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9. 삭제
KR1020190010826A 2019-01-28 2019-01-28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Active KR102045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826A KR102045267B1 (ko) 2019-01-28 2019-01-28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826A KR102045267B1 (ko) 2019-01-28 2019-01-28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267B1 true KR102045267B1 (ko) 2019-11-15

Family

ID=6857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826A Active KR102045267B1 (ko) 2019-01-28 2019-01-28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2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525B1 (ko) * 2010-02-26 2011-06-23 부전전자 주식회사 평판 진동판과 이를 이용한 평면 스피커
US20120195457A1 (en) * 2009-08-27 2012-08-02 Joung Youl Shin Slimline speaker
KR101312931B1 (ko) * 2013-04-29 2013-10-01 주식회사 엠소닉 스피커의 서스펜션
KR101318235B1 (ko) 2013-05-22 2013-10-15 범진아이엔디(주) 슬림형 스피커 및 이의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95457A1 (en) * 2009-08-27 2012-08-02 Joung Youl Shin Slimline speaker
KR101043525B1 (ko) * 2010-02-26 2011-06-23 부전전자 주식회사 평판 진동판과 이를 이용한 평면 스피커
KR101312931B1 (ko) * 2013-04-29 2013-10-01 주식회사 엠소닉 스피커의 서스펜션
KR101318235B1 (ko) 2013-05-22 2013-10-15 범진아이엔디(주) 슬림형 스피커 및 이의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393B1 (ko)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스피커
KR101499514B1 (ko) 장방형의 일체형 투웨이 스피커
WO2010058556A1 (ja) スピーカと、スピーカを備えた電子機器
KR102023685B1 (ko) 슬림형 스피커
KR101116307B1 (ko) 슬림형 스피커
US10932050B2 (en) Micro-speaker
US20130202149A1 (en) Speaker apparatus with n-divided magnet structure
KR101590178B1 (ko) 통전기능을 갖는 서스펜션이 적용된 박형 스피커유니트
CN110798781A (zh) 一种微型扬声器
KR101982512B1 (ko) 자력 누설이 없는 마그넷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장치
KR101134612B1 (ko) 장방형 스피커 모듈
KR102373675B1 (ko) 슬림형 스피커
KR20230070955A (ko) 초슬림형 스피커
KR101052825B1 (ko) 초슬림형 스피커
KR101101696B1 (ko) 듀얼 서스펜션 마이크로 스피커
KR101600790B1 (ko) 슬림형 스피커
KR101040310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2045267B1 (ko)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KR101032989B1 (ko) 초슬림형 스피커
KR101808585B1 (ko) 슬림형 스피커
CN108551634A (zh) 一种全频带同轴带式扬声器
KR101142254B1 (ko) 서스펜션을 구비한 고출력 장방형 스피커
KR101518607B1 (ko)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CN208227307U (zh) 一种类球面全频带同轴扬声组件
JP4440001B2 (ja) 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