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35719B1 -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 Google Patents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719B1
KR102035719B1 KR1020190060245A KR20190060245A KR102035719B1 KR 102035719 B1 KR102035719 B1 KR 102035719B1 KR 1020190060245 A KR1020190060245 A KR 1020190060245A KR 20190060245 A KR20190060245 A KR 20190060245A KR 102035719 B1 KR102035719 B1 KR 102035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sk
filter
vent
open fil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박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석 filed Critical 박종석
Priority to KR102019006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719B1/ko
Priority to PCT/KR2020/002671 priority patent/WO2020189910A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필터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을 덮고, 필터의 일면을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바디부와 관통구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들숨 및 날숨에 따라 바디부를 개폐하는 통기부와 통기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통기부의 내측면에 탈착되는 프레임부 및 프레임부의 상하부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호흡공간을 확보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A MASK HAVING AN OPEN FILTER}
본 발명은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부에 들숨 및 날숨에 따라 개폐되는 통기부를 형성하고, 통기부의 내측에 사각프레임 형상의 프레임부 및 프레임부의 단방향 양측으로 바디부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연장된 연장부를 형성하여 호흡의 공간을 확보하여 들숨 및 날숨이 원할 하게 해주는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기 등의 호흡기병을 앓게 되면 환자는 외기의 찬바람을 직접 호흡기에 쐬지 않을 목적으로, 그리고 타인에게의 전염을 방지할 목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또한, 현대와 같이 황사 등의 환경오염이 심한 환경에서는 노약자뿐만 아니라 건강한 성인이라도 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마스크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1411호에는 안면 마스크용 필터 카트리지는, 변형 가능한 연성소재의 필터 커버와, 마스크 본체와 체결되는 접속 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마스크 본체에 체결되어 외부공기를 정화하여 마스크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안면 마스크용 필터 카트리지에 있어서, 필터 카트리지의 전방 필터 커버의 상부면에 소정길이로 부착되어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맞게 상기 필터 카트리지를 곡면 형상으로 변형 유지시켜 주는 필터 변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0755호에는 마스크용 필터 및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용 필터는 외기와 닿는 부분이 밖을 향하도록 섬유형 필터가 겹쳐져 그 가장자리가 봉(sealing)하여지고, 일부에 마스크의 착용구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가지는 마스크용 필터에 있어서, 겹쳐진 섬유형 필터 사이의 공간에 접속부를 향한 공기 흐름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보형물을 설치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마스크들은 사용자가 안경 또는 고글을 착용할 경우에 코김 및 입김에 의해서 안경 또는 고글 표면에 김서림이 생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운동이나 보행시에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9936호(2014.01.03. 등록)인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를 살펴보면, 마스크 원단본체에 필터가 설치되는 밸브가 결합된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에 있어서, 필터몸체와 필터몸체에 내장되는 필터판막으로 구성된 필터와 전면의 개폐가 가능한 필터커버와 필터커버가 고정되는 필터프레임으로 구성된 필터몸체와 착용자가 숨을 들이마실 때는 필터판막을 통과하여 흡입되고, 숨을 내뿜을 때는 일부 공기가 필터판막을 통과할 뿐만 아니라 나머지 공기는 필터판막 하부가 필터프레임에서 이격되며 바깥방향으로 휘어지게 되어, 필터프레임과 필터판막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어 밖으로 배출되는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는 제어가 들숨 및 날숨 양압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개인별 호흡량의 편차와 외부 환경변화에 안정적으로 동작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63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디부에 들숨 및 날숨에 따라 개폐되는 통기부를 형성하고, 통기부의 내측에 사각프레임 형상의 프레임부 및 프레임부의 단방향 양측으로 바디부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연장된 연장부를 형성하여 호흡의 공간을 확보하여 들숨 및 날숨이 원할 하게 해주는 새로운 구조의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필터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을 덮고, 상기 필터의 일면을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바디부,
상기 관통구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들숨 및 날숨에 따라 상기 바디부를 개폐하는 통기부,
상기 통기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기부의 내측면에 탈착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하부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호흡공간을 확보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를 따라 틀 형상으로 형성된 통기틀, 상기 통기틀의 상부에 절첩되게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관통구를 밀폐 시키는 커버틀이 형성된 본체필터, 상기 통기틀의 테두리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틀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을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교차하여 연장되고 콧등 및 턱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클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통기틀의 일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부착된 제1 자석부 및 상기 제1 자석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틀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자석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자석부 및 상기 통기틀 및 상기 본체필터의 이격되는 거리를 감지하여 착용자의 호흡을 측정하는 호흡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호흡측정부는 상기 통기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극, 들숨 및 날숨에 대응하여 전기저항이나 캐피시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금속판, 상기 전극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호흡수를 측정하는 CPU, 상기 CPU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호흡데이터를 빅데이터화 하여 개인별 의료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호흡측정부는 들숨 및 날숨에 대응하여 빛의 변화를 나타내는 발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수광부는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CPU에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단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에 이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서브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과 상기 서브바디부의 내측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상기 통기부의 외측면에 일정 형상의 프레임이 형성되는 이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는 바디부의 일면을 관통하는 관통구에 개폐되는 본체필터로 형성된 통기부를 형성하여 들숨 시 바디부를 폐쇄하고, 날숨 시 바디부를 개방하여 호흡을 원활하게 해주면서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는 통기부의 내측에 사각형상의 프레임부를 부착하여, 날숨 및 들숨으로 인한 호흡기의 주변으로 바디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는 지지부가 콧등 및 턱 주변을 지지하여 바디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호흡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날숨 시 습기가 외부로 배출이 잘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는 안경의 코받침부분을 지지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안경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습기가 안경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가 편안하게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는 통기부에 호흡을 측정할 수 있는 호흡측정부를 구비하여 스마트단말기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별 의료정보 또는 지역별, 국가별 호흡기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는 서브바디부가 바디부의 외측 일면을 커버하고, 서브바디부의 일면에 패턴이나 색상을 표현하여 독창적인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방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의 자석부와 호흡측정부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의 날숨 및 들숨 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공기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의 프레임부 및 지지부를 변형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서브바디부 및 이격부를 더 형성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른방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의 자석부와 호흡측정부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의 날숨 및 들숨 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공기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의 프레임부 및 지지부를 변형하여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에 서브바디부 및 이격부를 더 형성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10)는 바디부(100), 통기부(200), 프레임부(300) 및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10)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필터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을 덮고, 필터의 일면을 관통하는 관통구(110)가 형성된 바디부(100), 관통구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들숨 및 날숨에 따라 바디부를 개폐하는 통기부(200), 통기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통기부의 내측면에 탈착되는 프레임부(300) 및 프레임부의 상하부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호흡공간을 확보하는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디부(100)는 환경에 오염된 미세입자 및 분진을 차단해주는 부직포 또는 합성섬유로 제작된다. 그리고 착용자의 안면을 덮을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와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바디부(100)는 일면을 관통하되, 착용자의 코 및 입 부분에 대응하여 관통구(110)가 형성된다.
즉, 관통구(110)는 들숨 및 날숨 시 외부의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날숨의 공기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바디부(10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통기부(200)는 관통구(1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들숨 및 날숨에 따라 바디부(10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통기부(200)는 통기틀(210), 본체필터(220), 체결홈(230) 및 체결돌기(240)를 포함한다.
통기틀(210)은 관통구(110)의 테두리를 따라 틀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관통구(110)의 내측 및 외측의 테두리를 마감하고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관통구(110)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통기틀(210)은 후술하는 커버틀(221)과 밀착도가 증대되도록 실리콘 또는 부드러운 재질로 표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필터(220)는 통기틀(210)의 상부에 절첩되게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관통구(110)를 밀폐 시키는 커버틀(221)이 형성된다.
즉, 본체필터(220)는 커버틀(221)의 외측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통기틀(210)에 절첩되어 연결되므로 관통구(110)를 개폐 시키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본체필터(220)는 부직포 또는 합성섬유 필터로 이루어지고 커버틀(221)의 외측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틀(221)에 부착된 본체필터(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들숨 및 날숨에 따라 관통구(110)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게이트 역할을 한다.
즉, 착용자가 들숨 시에는 통기틀(210)의 일면에 밀착되고, 날숨 시 통기틀(210)의 상부를 축으로 회전하여 관통구(110)를 개방한다. 이때 바디부(100)의 내측에 잔류하는 공기가 관통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체결홈(230)은 통기틀(210)의 테두리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다.
즉, 체결홈(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틀(221)이 접촉하는 통기틀(210)의 테두리 표면을 따라 오목한 홈으로 형성된다.
체결돌기(240)는 체결홈(230)에 대응하여 커버틀(221)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조과정에서 상호 요철의 형상이 반대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통기부(200)는 관통구(110)를 개폐하여 날숨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고, 들숨 시, 정화된 공기를 바디부(10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통기부(200)는 착용자가 날숨 후 들숨 시, 공기의 흡입력 및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의 사이의 자력에 의해 본체필터(220)가 커버틀(221)의 상부를 축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관통구(110)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커버틀(221)의 표면에 형성된 체결돌기(240)는 통기틀(210)에 형성된 체결홈(230)에 삽입되어 외부공기가 바디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준다. 이로 인해, 외부의 미세입자 및 분진의 유입이 차단되고, 필터로 이루어진 바디부(100)를 통해 공기가 정화되어 바디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10)의 통기부(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250) 및 호흡측정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석부(250)는 통기틀(210)의 일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부착된 제1 자석부(251) 및 제1 자석부(251)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버틀(221)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자석부(25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 자석부(251)는 커버틀(221)이 접촉하는 통기틀(210)의 일측에 노출되거나 통기틀(210)의 내부에 형성된다. 특히, 본체필터(220)가 관통구(110)를 개폐 하기위해 통기틀(210)과 이격되기 때문에 통기틀(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자석부(252)는 커버틀(221)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자력에 의해 제1 자석부(251)와 서로 접촉하여 밀폐력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은, 자석부(250)는 제1 자석부(251) 또는 제2 자석부(252) 중 어느 하나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금속부재로 형성되거나 둘다 영구자석으로 자력이 형성되게 하여 서로 접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석부(250) 중 일부가 전자석으로 구성되는 경우 자성의 극성 상태를 변환하여 서로 밀어내거나 서로 당기게 하여 본체필터(220)가 커버틀(221)의 상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게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호흡측정부(260)는 통기틀(210) 및 본체필터(220)의 이격되는 거리를 감지하여 착용자의 호흡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호흡측정부(260)는 전극(261), 금속판(262), CPU(263), 통신부(264) 및 서버(265)를 포함한다.
전극(261)은 통기틀(210)의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CPU(263)와 연결된다.
금속판(262)은 들숨 및 날숨에 대응하여 전기저항이나 캐피시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즉, 금속판(262)은 커버틀(221)의 하단에 부착되고 전극(261)에 겹치게 하여 들숨 및 날숨에 대응하여 전극(261)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들 상호간의 전기저항이나 캐패시터의 변화를 통해 감지한다. 그리고 이를 호흡으로 간주하고 데이터 처리를 하는 것이다.
CPU(263)는 전극(261)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호흡수를 측정한다.
즉, CPU(263)는 들숨 및 날숨에 의해 본체필터(220)가 통기틀(210)로부터 이격되고 다시 접촉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때, 전극(261)과 금속판(262)사이의 전기저항이나 캐패시터의 변화를 통해 감지한다. 그리고 이를 호흡으로 간주하고 테이터처리를 하는 것이다.
통신부(264)는 CPU(263)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스마트단말기(S)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서버(265)는 통신부(264)에서 수신된 호흡데이터를 빅데이터화 하여 개인별 의료정보를 스마트단말기(S)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버(265)는 호흡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개인별, 지역별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의 저장, 분석 및 클라이언트에게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호흡측정부(260)는 비록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디부(100)의 일면 중 어느 한 부분에 배터리가 구비되어 구동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충전식 및 교환식 등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10)의 호흡측정부(260)는 발수광부(2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수광부(266)는 들숨 및 날숨에 대응하여 빛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CPU(263)에 발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극(261) 및 금속판(262)에서 전기적 신호로 들숨 및 날숨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대신하여 빛으로 들숨 및 날숨에 대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부(300)는 통기부(2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통기부(200)의 내측면에 탈착된다.
특히, 프레임부(300)는 바디부(100)의 일면이 호흡에 의해 통기부(2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주고, 후술하는 지지부(400)와 함께 호흡공간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프레임부(300)는 와이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면이 납작한 연질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통기부(200)에 기구적으로 융합되어 제작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400)는 프레임부(300)의 상하부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호흡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400)는 연장부(410) 및 클립부(420)를 포함한다.
연장부(410)는 프레임부(300)의 양측으로 연장되되, 바디부(100)의 내측면을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장부(410)는 와이어 형상뿐만 아니라, 일면이 납작한 연질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의 콧등 부분에 형성된 노우즈클립에 결합된 상태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연장부(410)는 프레임부(300)로부터 연장되어 착용자의 안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여 호흡공간을 확보시킬 수 있다.
클립부(420)는 연장부(410)의 일단으로부터 교차하여 연장되고 콧등 및 턱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특히, 클립부(420)는 안경 착용자의 코 받침대가 콧등에 위치하는 경우, 안경을 지지하도록 하여 안경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에 따른 불편한 점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클립부(420)는 연장부(410)에 대해 교차하여 수평방향을 이루고 있어 바디부(100)의 구겨지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이로 인해, 착용자는 마스크를 쾌적하게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10)의 연장부(4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300)의 단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되, 프레임부(300)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콧등 부분에 형성되는 연장부(410)가 두선으로 형성되는 경우, 콧등에 자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가 불편하거나 콧등이 눌림으로써 발생하는 통증을 방지한다.
다음, 턱 부분에 형성되는 연장부(410)가 두선으로 형성되는 경우, 바디부(100)의 하중을 지지하여 프레임부(300)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지지한다. 그리고 프레임부(300)의 재질에 따라 턱 부분을 한 선 또는 두 선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바디부(500) 및 이격부(600)를 포함한다.
서브바디부(500)는 바디부(100)의 외측면에 이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서브바디부(500)는 마스크의 외관을 덮어씌움으로써, 통기부(200)의 형상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준다.
또한, 서브바디부(500)는 섬유 밀도가 낮도록 제작하여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패턴 및 색상을 표현하여 심미감을 가지는 디자인 요소를 제공해준다.
이격부(600)는 바디부(100)의 외측면과 서브바디부(500)의 내측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통기부(200)의 외측면에 일정 형상의 프레임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부(600)는 착용자의 들숨 및 날숨으로 바디부(100) 및 서브바디부(500)가 서로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통기부(200)를 통해 날숨이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100 : 메인바디부
110 : 관통구
200 : 통기부
210 : 통기틀
220 : 본체필터
221 : 커버틀
230 : 체결홈
240 : 체결돌기
250 : 자석부
251 : 제1 자석부
252 : 제2 자석부
260 : 호흡측정부
261 : 전극
262 : 금속판
263 : CPU
264 : 통신부
265 : 서버
266 : 발수광부
300 : 프레임부
400 : 지지부
410 : 연장부
420 : 클립부
500 : 서브바디부
600 : 이격부

Claims (8)

  1.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필터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을 덮고, 상기 필터의 일면을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바디부;
    상기 관통구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들숨 및 날숨에 따라 상기 바디부를 개폐하는 통기부;
    상기 통기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기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하부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호흡공간을 확보하는 지지부; 및
    상기 통기부의 외측면에 일정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를 따라 틀 형상으로 형성된 통기틀;
    상기 통기틀의 상부에 절첩되게 연결되어 상기 관통구를 밀폐시키는 커버틀이 형성된 본체필터; 및
    상기 통기틀의 일측에 적어도 한개 이상 부착된 제1자석부 및 상기 제1 자석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틀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자석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자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을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교차하여 연장되는 클립부를 포함하는,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통기틀의 테두리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틀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콧등 및 턱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통기틀 및 상기 본체필터의 이격되는 거리를 감지하여 착용자의 호흡을 측정하는 호흡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측정부는
    상기 통기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극;
    들숨 및 날숨에 대응하여 전기저항이나 캐피시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금속판;
    상기 전극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호흡수를 측정하는 CPU;
    상기 CPU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호흡데이터를 빅데이터화 하여 개인별 의료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측정부는
    들숨 및 날숨에 대응하여 빛의 변화를 나타내는 발수광부;
    상기 발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호흡수를 측정하는 CPU;
    상기 CPU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호흡데이터를 빅데이터화 하여 개인별 의료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단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에 서브바디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이격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과 상기 서브바디부의 내측면을 서로 이격시키는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KR1020190060245A 2019-03-19 2019-05-22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Expired - Fee Related KR10203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245A KR102035719B1 (ko) 2019-05-22 2019-05-22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PCT/KR2020/002671 WO2020189910A1 (ko) 2019-03-19 2020-02-25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245A KR102035719B1 (ko) 2019-05-22 2019-05-22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719B1 true KR102035719B1 (ko) 2019-10-23

Family

ID=6846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245A Expired - Fee Related KR102035719B1 (ko) 2019-03-19 2019-05-22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71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987B1 (ko) 2020-01-07 2020-05-06 박종석 플랩이 구비된 마스크
WO2020189910A1 (ko) * 2019-03-19 2020-09-24 박종석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KR102182990B1 (ko) * 2020-03-06 2020-11-25 박종석 플랩이 구비된 마스크
KR20210149996A (ko) * 2020-06-03 2021-12-10 박종석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
KR20220030880A (ko) * 2020-09-03 2022-03-11 박상규 뚜껑을 갖는 마스크
GB2600680A (en) * 2020-10-23 2022-05-11 Prevayl Innovations Ltd Wearable assembly
KR20230046698A (ko) * 2021-09-30 2023-04-06 광주광역시 남구 마스크 가드
KR102823588B1 (ko) * 2020-09-03 2025-06-20 박상규 뚜껑을 갖는 마스크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363Y1 (ko) 2001-10-24 2002-05-21 강성삼 3단 장도리
KR200280765Y1 (ko) * 2002-03-29 2002-07-13 김성수 방진 및 방독용 마스크
JP2009136521A (ja) * 2007-12-07 2009-06-25 Shigematsu Works Co Ltd 呼吸装置
KR20100008077U (ko) * 2009-02-05 2010-08-13 이우근 개폐 가능한 필터 구조체를 가진 방한용 마스크
KR20110004559U (ko) * 2009-10-30 2011-05-09 홍상표 고글 겸용 필터교체형 산소마스크
US20160001108A1 (en) * 2014-07-03 2016-01-07 Ling Zhou Breathing apparatus with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JP2016525174A (ja) * 2013-07-15 2016-08-2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学活性呼気弁を有する呼吸マスク
KR20170085627A (ko) * 2016-01-14 2017-07-25 베이스식스 리미티드 안면 마스크
CN107373820A (zh) * 2017-08-18 2017-11-24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内置呼吸传感系统的纳米纤维口罩
KR20170132188A (ko) * 2015-04-03 2017-12-01 마이크로스페레 피티이. 엘티디. 호흡 마스크,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80738A1 (en) * 2013-07-17 2018-10-04 Pamela Gabriel Protective Respiratory Mask with Electronic System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363Y1 (ko) 2001-10-24 2002-05-21 강성삼 3단 장도리
KR200280765Y1 (ko) * 2002-03-29 2002-07-13 김성수 방진 및 방독용 마스크
JP2009136521A (ja) * 2007-12-07 2009-06-25 Shigematsu Works Co Ltd 呼吸装置
KR20100008077U (ko) * 2009-02-05 2010-08-13 이우근 개폐 가능한 필터 구조체를 가진 방한용 마스크
KR20110004559U (ko) * 2009-10-30 2011-05-09 홍상표 고글 겸용 필터교체형 산소마스크
JP2016525174A (ja) * 2013-07-15 2016-08-2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学活性呼気弁を有する呼吸マスク
US20180280738A1 (en) * 2013-07-17 2018-10-04 Pamela Gabriel Protective Respiratory Mask with Electronic System
US20160001108A1 (en) * 2014-07-03 2016-01-07 Ling Zhou Breathing apparatus with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20170132188A (ko) * 2015-04-03 2017-12-01 마이크로스페레 피티이. 엘티디. 호흡 마스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5627A (ko) * 2016-01-14 2017-07-25 베이스식스 리미티드 안면 마스크
CN107373820A (zh) * 2017-08-18 2017-11-24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内置呼吸传感系统的纳米纤维口罩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910A1 (ko) * 2019-03-19 2020-09-24 박종석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KR102106987B1 (ko) 2020-01-07 2020-05-06 박종석 플랩이 구비된 마스크
KR102182990B1 (ko) * 2020-03-06 2020-11-25 박종석 플랩이 구비된 마스크
KR20210149996A (ko) * 2020-06-03 2021-12-10 박종석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
KR102374964B1 (ko) 2020-06-03 2022-03-16 박종석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
KR20220030880A (ko) * 2020-09-03 2022-03-11 박상규 뚜껑을 갖는 마스크
KR102823588B1 (ko) * 2020-09-03 2025-06-20 박상규 뚜껑을 갖는 마스크
GB2600680A (en) * 2020-10-23 2022-05-11 Prevayl Innovations Ltd Wearable assembly
KR20230046698A (ko) * 2021-09-30 2023-04-06 광주광역시 남구 마스크 가드
KR102670329B1 (ko) * 2021-09-30 2024-05-29 광주광역시 남구 마스크 가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719B1 (ko)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KR102059923B1 (ko)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KR101634866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2021523B1 (ko)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KR20200144518A (ko) 투명창을 갖춘 위생 마스크
CN111135492A (zh) 易于更换过滤器的过滤空气用过滤部及带有过滤部的口罩
KR101951239B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고글
KR101801828B1 (ko) 황사 마스크
KR102188331B1 (ko) 입과 코 분리형 마스크
KR20170059722A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2333134B1 (ko) 센서를 구비한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101083435B1 (ko) 김서림방지마스크
KR20210115373A (ko) 김서림방지형 방진마스크
KR20200020088A (ko)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JP2014111193A (ja) マスク、マスク用ノーズアダプタ、およびマスクセット
US12208292B2 (en) Nasal mask and associated filter
KR102286176B1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101349936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KR102214824B1 (ko) 마스크
US11358010B1 (en) Mask clip assembly with a housing having an exhaust port and one-way valve
KR102327702B1 (ko) 광물 미세분말을 도포한 교체형 필터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KR102393006B1 (ko) 클립형 날숨 배출기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20040062697A (ko) 마스크
TWM611071U (zh) 鼻罩過濾片
KR20210131768A (ko) 마스크용 일회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