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567B1 -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 Google Patents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2567B1 KR102022567B1 KR1020180088823A KR20180088823A KR102022567B1 KR 102022567 B1 KR102022567 B1 KR 102022567B1 KR 1020180088823 A KR1020180088823 A KR 1020180088823A KR 20180088823 A KR20180088823 A KR 20180088823A KR 102022567 B1 KR102022567 B1 KR 1020225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spinal cord
- user
- pulley
- pad
- Prior art date
Links
- 208000020431 spinal cord injury Diseas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1
- 210000000278 spinal cord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06010033892 Paraple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9033 Spinal Cor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976 pectoralis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7714 Quadriple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30186657 La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623 Lord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89 abdominal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9 pa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722 scol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2 spinal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25 spi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60 weight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63B2071/0018—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for wheelchair 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척수손상 장애인들의 재활에 필수적인 잔존근육 운동을 위하여 척수손상 장애인들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신체를 고정한 채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도록 한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구는, 좌우의 종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을 상호간에 접속하는 횡방향 프레임을 가지는 베이스; 중량의 조정이 가능한 웨이트 스택을 수납하고 있는 좌우의 운동부하부; 운동부하부를 상부 및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 상부의 중간 프레임과 횡방향 프레임에 그의 상하 끝단이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 프레임부; 한쪽 끝단에 사용자의 가슴 또는 등과 맞닿는 제1 패드를 가지는 제1 패드부; 좌우의 운동부하부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케이블 인출부;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를 향하여 케이블 인출 도르래가 설치되는 인출 도르래부; 케이블 인출부의 도르래를 통하여 인출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다른 쪽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a spinal cord injured person, which allows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 to perform weight training while fixing the body while wearing a wheelchair for the remaining muscle exercise essential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 Th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having left and right longitudinal frames and a transverse frame connecting the longitudinal frames to each other; Left and right movement load portions for storing a weight stack capable of adjusting weight; An intermediate frame connecting the exercise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top and the bottom; A support frame having its upper and lower ends fixed to an upper middle frame and a transverse frame; A first protruding fram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user; A first pad part having a first pad at one end that contacts the user's chest or back; A cable lead-out unit installed in proximity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load units; A pulley part having a height 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cable pulley toward the user; A cable drawn out through the pulley of the cable lead-out; And a handl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척수손상 장애인들의 재활에 필수적인 잔존근육 운동을 위하여 척수손상 장애인들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신체를 고정한 채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도록 한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spinal cord injured persons,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s to perform weight training while fixing the body in a wheelchair for residual muscle exercise, which is essential for rehabilitation of spinal cord injured persons. A spinal cord injury disabled weight training apparatus.
인간의 척추는, 7개의 경추(Cervical), 12개의 흉추(Thoracic), 5개의 요추(Lumbar), 5개의 천추(sacral) 및 미추(coccyx)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문제로 되는 척수손상부위별 마비 증세는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The human spine consists of seven cervical, twelve thoracic, five lumbar, five sacral, and coccyx. Of these, paralytic symptoms by spinal cord injury site are distinguished as follows.
① 경추 4번(C4)위: 사지마비 (목 부위까지의 마비)① Cervical spine No. 4 (C4) above: quadriplegia (paralysis to the neck)
② 경추 6번(C6)위: 사지마비 (어깨부위 또는 팔 윗부분까지의 마비)② Cervical spine No. 6 (C6) above: quadriplegia (paralysis to the shoulder or upper arm)
③ 흉추 4번(T4)위: 하반신 마비 (가슴 하부의 마비로서 양팔 사용 가능)③ thoracic spine No. 4 (T4) above: paraplegia (arms can be used as paralysis of the lower chest)
④ 요추 1번(L1)위: 하반신 마비(허리 윗부분 사용가능, 복근 사용불가)④ lumbar spine 1 (L1) top: paraplegia (can be us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ist, abs can not be used)
한편, 마비는 그의 양상에 따라 완전마비와 불완전 마비로 나눌 수 있으며, 완전마비는 근육의 움직임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하고, 불완전마비는 척수신경이 완전히 손상되지는 않아서 일부의 근육에 있어서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한 경우를 말한다. On the other hand, paralysis can be divided into complete paralysis and incomplete paralysis according to his aspect, and complete paralysis refers to a state in which muscle movement is impossible, and incomplete paralysis is a slight movement in some muscles because the spinal nerve is not completely damaged. Say if possible.
척수손상 장애인들은 척수의 손상이 발생된 이후 병원에서의 급성기(急性期) 치료를 거쳐 아급성기(亞急性期) 때부터 재활훈련을 하게 되는데, 이 때 가장 중요한 훈련내용으로서는, 사용이 가능한 잔존기능 근육을 재활 및 강화시킴으로써 남은 생애를 살아가는데 있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이때에 습득한 운동을 계속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잔존기능 근육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이다.Spinal cord injury patients undergo rehabilitation from subacute period after acute treatment in hospital after spinal cord injury, and the most important training content is the remaining function that can be used. By rehabilitating and strengthening muscles, it is best to help the rest of your life, and it is best to keep the remaining functional muscles by continuing the exercise.
대부분의 척수손상 장애인들은 척수 손상 장애의 발생 후 2년이 경과하게 되면, 지속적인 휠체어의 사용으로 인하여 체형 및 건강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휠체어를 미는 동작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척추전만 (Lordosis) 및 척추측만 (Scoliosis) 등의 증세가 나타나고, 또한 계속 앉아만 있게 되면서 어깨와 갈비뼈 (rib cage)가 내려앉게 되고, 체내에서는 횡경막이 내려감으로써 폐활량이 줄어들고, 하복부가 나오고 음식섭취량에 대비하여 운동량이 부족한 관계로 비만증세가 나타나면서 각종 성인병 등이 2차적 후유증으로서 발생하고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Most spinal cord injuries are two years after the onset of spinal cord injuries, resulting in various changes in body shape and health due to the continued use of wheelchairs. For example, repeated motions of pushing the wheelchair may cause symptoms such as lordosis and scoliosis, and the patient will continue to sit down, causing the shoulders and rib cages to fall, and the diaphragm inside the body. As this decrease, the lung capacity decreases, the lower abdomen comes out, and the lack of exercise in preparation for food intake, obesity symptoms appear, and various adult diseases such as secondary sequelae may occur and shorten lifespan.
이와 같이, 척수손상 장애인들은 평생을 휠체어에 의지하여 살아가야 하므로, 어깨, 목, 팔 부위 등의 근육을 계속적으로 훈련해야 하며, 척추의 형태를 최대한 현재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신체의 변형을 예방하고, 폐활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슴 및 등 부위의 훈련도 별도로 하여야만 한다.As such,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must live on wheelchairs for the rest of their lives, so they must continuously train their muscles such as shoulders, neck, and arm areas, and prevent deformation of their bodies by keeping their spine shape as current as possible. Training of the chest and back must also be done separately to maintain spirometry.
따라서 척수손상 장애인들에게는, 이들에게 적합한 운동장비, 특히 다양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다양하게 행할 수 있는 기구의 사용이 필수적이지만, 기존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들은 척수손상 장애인들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Therefore, for spinal cord injured persons, it is essential to use exercise equipment suitable for them, in particular, a device capable of variously performing various weight training, but the existing weight training apparatuses were almost impossible to use as they are.
일반적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는, 거의 대부분 전면하부에 설치된 의자에 앉거나 혹은 벤치에 누워서 양쪽 손으로 중량물을 밀어 올리거나, 들어 올리거나또는 웨이트 스택의 중량을 조절하고 그 웨이트 스택에 연결된 피벗 구조의 파이프 프레임 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상체와 팔 및 복부의 근력을 단련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한 종류의 것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 기구는 힘의 조절이 가능하고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정상인을 위한 것일 뿐, 척수손상 장애인들에게는 별 효용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A typical weight training device is a pivot frame pipe frame, which is almost always sitting on a chair installed on the underside or lying on a bench and pushing or lifting the weight with both hands, adjusting the weight of the weight stack and connecting to the weight stack. A wide variety of types are known, which are configured to strengthen the upper body, arms and abdominal muscles by pulling the handles. However, these instruments are only for normal people who can adjust the strength and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ody, and most of them are not useful for those with spinal cord injuries.
현재 일부 시판되고 있는 장애인용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들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의자부위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가 들어갈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대책의 거의 전부이다. 이와 같은 대책은, 정상인들의 시각에서 볼 때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만 확보해주면 장애인들이 운동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고안해낸 것이지만, 하체가 마비된 채로 휠체어를 타고 있는 장애인들은 마비된 하체를 지탱할 수 있는 힘이 없기 때문에, 양 손으로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동작에 대한 반작용으로 신체가 들어올려지는 것을 막을 수가 없어서, 이들 장애인의 상태가 하반신 마비에 해당된다고 해도 웨이트 트레이닝을 제대로 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urrently, some of the weight training equipments for the disabled are able to move the chair portion of the general weight train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space for the wheelchair can be secured. This measure was conceived by the view that normal people would be able to exercise if they had only a space for wheelchairs, but disabled people in wheelchairs with paralyzed lower limbs could support paralyzed lower limbs. Since there is no power,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body from being lifted by the reaction to pulling the cable with both hand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weight training cannot be performed properly even if the condition of the disabled is paraplegic. .
또한, 장애인들이 운동을 할 때, 케이블에 연결된 핸들을 쥐고, 잡아당기거나 또는 미는 등의 동작을 반복하게 되지만, 이들이 앉아 있는 휠체어가 약간이라도 움직이게 되거나 전도될 기미를 느끼게 되면, 장애인들은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웨이트 트레이닝을 그만 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In addition, when people with disabilities exercise, they repeatedly hold the handles connected to the cable, pull or push them, but if they feel that the wheelchair they are sitting on is slightly moved or overturned, they are psychologically weakened. Most of the time, you stop doing weight training.
본 발명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5,807,219호에 개시된 운동기구를 들 수 있다. 이 장비는 일명 컴비네이션 세트 (combination set)로 불리는 것으로서, 장비의 기능성 자체는 별로 우수하지 않지만,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상/하지 웨이트 트레이닝이 가능하며, 그다지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제작된 것이다. 이 기구에는 추가적으로, 휠체어를 탄 척수손상 장애인의 허벅지를 고정하여 신체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지지 않게 할 수 있는 패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돌아앉아서 운동할 때 밀리지 않도록 휠체어의 등받이를 막아주는 위치조정이 불가능한 패드부가 설치되어 있다. As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mentioned, for example, the exercise device disclosed in US Pat. No. 5,807,219. This equipment is called a combination set, and the functionality of the equipment is not very good, but it is designed to allow a variety of upper and lower body weight training with a single device, and does not require much space. In addition, the device is equipped with a pad that secures the thigh of a wheelchair-injured spinal cord disabled person so that the body cannot be lifted upwards. The pad part which is im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is prevented.
하지만 이 기구는, 웨이트 스택에 연결된 케이블이 하나뿐이며, 또한 케이블에 연결된 손잡이를 양 손으로 잡고 운동해야 하는 관계로, 운동의 양태가 매우 단순하며, 케이블의 인출방향이 거의 한 군데로 고정되어 있어서, 운동하고자 하는 근육의 부위를 정확히 자극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고 있지는 못하며, 또한 척수 장애 및 척추의 변화로 인한 좌/우 근력의 편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좌/우가 분리된 훈련중량의 제어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However, this device has only one cable connected to the weight stack, and the movement of the cable connected to the cable must be carried out with both hands. However, it does not have a configuration that can precisely stimulate the part of the muscle to be exercised, and the control of the left and right separate training weights is fundamental to apply to the deviation of left and right muscle strength due to spinal cord disorder and spine change. It is impossible.
또한, 척수손상 장애인은 휠체어로부터 내릴 수가 없기 때문에, 장애인 혼자의 힘으로 트레이닝 기구를 조작하고, 휠체어의 고정이 용이해야만 재활 및 생활체육으로서의 근육운동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서 척수손상 장애인이 혼자의 힘으로 운동기구의 설정 및 운동중량의 제어가 가능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spinal cord injured disabled person cannot get out of wheelchair, it is necessary to operate training equipment by handicapped person's own power, and even if the wheelchair is easy to fix, rehabilitation and muscular exercise as living sports are possible. There is no mention of whether the disabled can control the exercise equipment and exercise weight by themselves.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의 기구는 허리와 몸통까지 스스로의 힘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정도의 장애, 즉 상기에서 언급한 요추 1번의 손상으로 인하여 하반신은 마비되었지만 허리 윗부분은 사용 가능한 척추손상 장애인의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며, 요추 4번의 손상으로 인한 하반신 마비의 경우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refore, the apparatus of the prior art is used only in the case of a spinal cord injury disorder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ody is paralyzed due to the impairment of the waist and the torso by itself, that is, the lower body is paralyzed due to the damage of the lumbar spine 1 mentioned above. This is possible, and in the case of paraplegia caused by injury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수 장애인들의 잔존근육운동을 위해서 필수적인, 확실한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고, 또한 운동하고자 하는 근육을 정확히 자극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척추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eight training for the disabled with spinal cord injury, which has a structure that can securely secure the wheelchair, which is essential for the remaining muscle movement of the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nd which can accurately stimulate the muscle to be exercised. In providing an appli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애 및 척추의 상태변화로 인한 좌측과 우측의 근력 편차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좌/우의 분리 훈련에 대한 중량 제어 및, 정확한 운동방향의 설정 및 높이의 유지가 가능한 척추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weight of the left / right separation training to be applicable to the deviation of muscle strength of the left and right due to disorders and changes in the state of the spine, spine damage that can be set the correct direction of movement and maintain the height To provide a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인의 조력이 없이 척수손상 장애인 혼자만의 힘으로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전체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중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운동시에 휠체어에 앉아 있는 척수손상 장애인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척추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whole function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with the power of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 alone without the help of another person, the weight can be adjusted, and facilitate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 who is sitting in the wheelchair during exerci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a spinal cord injury handicapped that can be fixed securel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간에 사이를 둔 좌우의 종방향 프레임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을 상호간에 접속하는 횡방향 프레임을 가지는 베이스; 상기 좌우의 종방향 프레임 상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채로 좌측 또는 우측 팔을 이용하여 중량의 조정이 가능한 웨이트 스택을 수납하고 있는 좌우의 운동부하부;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를 상부 및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 상기 상부의 중간 프레임과 상기 횡방향 프레임에 그의 상하 끝단이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부 둘레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 프레임부; 상기 제1 돌출 프레임부의 내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쪽 끝단에 사용자의 가슴 또는 등과 맞닿는 제1 패드를 가지는 제1 패드부; 상기 좌우의 종방향 프레임상에서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케이블 인출부; 상기 케이블 인출부의 외부 둘레에서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를 향하여 케이블 인출 도르래가 설치되는 인출 도르래부;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 내의 웨이트 스택에 한쪽 끝단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 인출부의 도르래를 통하여 인출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다른 쪽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가 마련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having left and right longitudinal frame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transverse frame connecting the longitudinal frames to each other; Left and right exercise load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frames, each of which includes a weight stack capable of adjusting a weight using a left or right arm while the user is sitting in a wheelchair; An intermediate frame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loads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bove and below; A support frame having upper and lower ends fixed to the upper middle frame and the transverse frame; A first protruding frame portion support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frame and protruding toward the user; A first pad part supported to be adjustable in the length of the first protruding frame part, the first pad part having a first pad at one end thereof contacting the user's chest or the back; A cable lead-out part provided in proximity to the left and right motion loads o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frames; A pulley part which is fixedly adjust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lead-out part and in which a cable pulley is installed toward a user; A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weight stack i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loads, the cable being drawn out through a pulley of the cable lead-out; And a handl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a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a spinal cord injury person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블 인출 도르래는 그의 외부 케이싱이 상기 인출 도르래부에 장착되는 장착축을 중심으로 인출 도르래부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배치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pulley is arranged so as to be swing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ulley part with respect to a mounting shaft whose outer casing is mounted on the pulley part.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부 둘레에 상기 제1 돌출 프레임부의 아래쪽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돌출 프레임부의 내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 쪽 끝단에 사용자의 골반을 지지하는 패드를 가지는 제2 패드부;를 더 포함한다. Preferably, the second protruding frame portion is supported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protruding frame portion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frame, and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user; And a second pad part having a length adjustable inside the second protruding frame part and having a pad for supporting a user's pelvis at one end thereof.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돌출 프레임부의 높이조절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핀공 및 상기 제1 및 제2 돌출 프레임을 상기 핀공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frame portion is made by a pin hol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and a fixing pin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frame to the pin hole.
상기 제1 및 제2 패드부의 길이조절은, 상기 제1 및 제2 패드부에 그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핀공 및 상기 제1 및 제2 패드부를 상기 돌출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ad portions is performed by pin hol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ad portions and fixing pins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pad portions to the protruding frame.
상기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조절은, 상기 케이블 인출부에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핀공 및 상기 케이블 인출 도르래부를 상기 핀공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ulley pulley is made by a pin hol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ble lead-out portion and a fixing pin for fixing the cable pulley pulley to the pin hol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프레임부의 내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 쪽 끝단에 사용자의 골반과 맞닿는 패드를 가지는 패드부가 휠체어 및 그에 앉아있는 장애인을 고정하도록 형성되었기 때문에, 척수손상 장애인들의 잔존근육운동을 위해서 필수적인 확실한 휠체어 고정수단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frame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user is supported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the pad portion having a pad in contact with the pelvis of the user at one end is formed to fix the wheelchair and the disabled sitting thereon, A secure wheelchair fixator is provided that is essential for the remaining muscle movement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척수손상 장애인 별로, 혹은 장애인의 장애 정도에 따라서 운동하고자 하는 목표근육을 정확히 자극할 수 있도록, 특정 근육에 대한 운동을 유발하는 케이블의 인출높이 및 위치와 운동방향을 사용자 스스로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accurately stimulate the target muscle to be exercised for each spinal cord injured or disabl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disabled, the user with the height and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able to induce exercise for a specific muscle You can control it by yourself.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의 운동부하부는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채로 좌측 또는 우측 팔을 이용하여 중량의 조정이 가능한 웨이트 스택을 수납하고 있기 때문에, 장애 및 척추의 상태 변화로 인한 좌측과 우측의 근력 편차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좌/우의 분리 훈련에 대한 중량 제어 및 그 높이에서 사용자에게 횡방향으로 케이블이 정확하게 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ft and right exercise loads are accommodated in the weight stack using the left or right arm while the user is sitting in a wheelchair, the weight stack can be adjusted. It is also applicable to muscle strength deviations, and the cable can be accurately drawn to the us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weight control and height at the left / right separation train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인의 조력이 없이 척수손상 장애인 혼자만의 힘으로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전체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웨이트 스택의 중량의 조절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entire function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with the power of the spinal cord injury person alone without the help of others, and the weight of the weight stack can be adjus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일부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할 때, 휠체어를 타고 후방으로부터 진입한 상태에서,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척수손상 장애인이 양팔을 사용하여 앞쪽으로 손모으기 (hand gathering)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팔을 사용하여 가슴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중간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쪽 팔만을 사용하여 삼두박근 킥백 (triceps kickback)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쪽 팔만을 사용하여 언더 그립 삼두박근 킥백 (triceps kickback)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a 및 도 7b는, 휠체어를 타고 전방으로부터 진입한 상태에서,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척수손상 장애인이 양팔을 사용하여 앞쪽으로 업라이트 (up-right)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중간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팔을 사용하여 케이블 로우(cable-row)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팔을 사용하여 로우 스카퓰러 리트렉션(low scapular retraction)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휠체어를 타고 전방으로부터 진입한 상태에서,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척수손상 장애인이 한쪽 손으로는 제1 패드부를 잡고, 다른 팔로 업-라이트(up-right)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팔을 사용하여 아암 컬(arm curl)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a spinal cord injury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part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the spinal cord injury person of FIG. 1.
3A and 3B show that when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the spinal cord injury handicapped person of FIG. 1 is entered from the rear in a wheelchair, the spinal cord injury handicapped person has both arms with the height of the pulley portion located below the cable lead-out part. This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osture before and after the motion when the hand gathering exercise is performed using.
4A and 4B are photographs showing posture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hen the user makes a chest exercise using both arms, with the height of the pulley portion positioned above the cable pullout portion.
5A and 5B show posture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hen the user performs the triceps kickback exercise using only one arm, with the height of the pulley portion positioned at the middle of the cable pullout portion, respectively. It is a photograph.
6A and 6B illustrate posture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hen the user performs the undergrip triceps kickback exercise using only one arm, with the height of the pulley portion positioned above the cable pullout portion, respectively. It is photograph to show.
7A and 7B show that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 performs an upright movement forward using both arms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pulley part is located under the cable outlet part while the wheelchair enters from the front. It is a photograph which shows the posture before and after an operation, respectively.
8A and 8B are photographs showing the postur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hen the user performs the cable-row movement using both arms, with the height of the pulley portion positioned at the middle of the cable pullout portion, respectively. to be.
9A and 9B illustrate posture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hen the user performs low scapular retraction using both arms, with the height of the pulley portion positioned above the cable pullout portion. It is photograph each showing.
10A and 10B show that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 holds the first pad part with one hand and up-right with the other arm, with the height of the pulley part positioned below the cable outlet part, with the wheelchair entering from the front. (up-right) The picture shows the posture before and after the motion in the case of exercise.
11A and 11B are photographs showing the postur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hen the user makes an arm curl movement using both arms, with the height of the pulley portion positioned below the cable pullout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spinal cord inju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a spinal cord injury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는, 장애인이 앉아 있는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좌우로 배치된 종방향 프레임(11),(12)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11),(12)을 대략 중간부에서 상호간에 접속하는 횡방향 프레임(13)으로 구성되는 베이스(10)를 가지며, 따라서 베이스(10)는 대략 H 자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spinal cord inju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2개의 좌우 종방향 프레임(11),(12)의 한쪽 끝단에는 대략 45도 정도로 비스듬하게 직립하여 세워진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의 내부에는, 중량물인 웨이트 스택이 수납되며, 사용자는 웨이트 스택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각종 웨이트의 중량을 선택함으로써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웨이트 스택은 척수손상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전방으로 팔을 뻗어 운동부하부(20),(30) 내의 웨이트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one end of the two left and right
도 1로 돌아가면,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의 사이에는 이들 운동부하부(20),(3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40),(42)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한 개 씩 설치된다. 이 중간 프레임(40),(42)들은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를 연결할 뿐 아니라,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척수손상 장애인과 휠체어를 웨이트 트레이닝 시에 지지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between the left and right exercise loads 20 and 30,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척수손상 장애인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기본적이며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장애인이 혼자서 사용하기가 쉽고, 스스로 운동의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The basic and most important point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of the spinal cord injury person with a disability in this invention is that a person with a disability is easy to use by himself, and can perform the whole process of exercise by himself.
즉,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고자 하는 장애인이 타인의 도움이 없이 부하의 무게, 좌/우 중량의 밸런스 설정 및, 휠체어 및 자신의 신체의 고정 등을 혼자서 하게 된다. 척추손상 장애인을 위한 재활 리프트 트레이닝은 좌/우 분리된 중량의 조절을 통해 필요한 부하를 설정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운동부하부는 반드시 좌우가 분리되어야만 함과 동시에, 좌/우측 밸런스도 설정 및 조절이 가능해야만 한다. That is, the disabled person who wants to do weight training will do the weighting of the load, balance the left / right weight, and fix the wheelchair and his body alone without the help of others. Rehabilitation lift training for spinal cord injured person should be able to set the necessary load by adjusting the left / right separated weight, so the exercise load must be left and right separated, and the left / right balance can be set and adjusted. must do it.
또한,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 장비들은 손잡이가 피벗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밀거나 당길 때 그 궤적이 변하게 되어 있는데, 일반인들이 근육운동을 하는 경우 주동근, 보조근이 복합적으로 쓰여서 큰 문제가 없지만, 척수손상 장애인들의 경우, 일부 잔존기능 근육만을 사용할 수 있을 뿐이며, 또한 잔존기능 근육의 훈련목적상, 정확한 근육에 정확한 운동을 유발해야 하며, 따라서 운동의 방향과 움직임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좌/우 양측의 케이블이 인출되는 높이가 조절이 가능해야 하며, 또한 그 높이의 방향에서 사용자에게 횡방향으로 정확하게 인출되어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eight training equipment has a handle that is connected in a pivotal manner so that the trajectory is changed when pushing or pulling, the general muscles, secondary muscles are used in combination when there is no major problem, but spinal cord injuries In this case, only the remaining residual muscles can be used, and for the purpose of training the residual muscles, the exact muscles must be caused to exercise precisely, so that the left and right cables can be surely maintained.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withdrawal height be adjustable and that the withdrawal be precisely transverse to the user in the direction of the height.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운동의 방향 및 궤적을 임의로 조정하면서도 정확하게 케이블을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의 종방향 프레임(11),(12) 상에서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에 근접하게 케이블 인출부(60),(62)를 설치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curately pull out the cable while arbitrarily adjusting the direction and the trajectory of the motion intended by the user, the left and right
케이블 인출부(60),(62)의 구성은, 도 1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종방향 프레임(11),(12)의 상부와 상기 운동부하부(20),(30)의 상부에 각각 그의 끝단이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블 인출부(60)에는 상하방향으로 핀공(600)의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 둘레부에는 인출 도르래부(70),(72)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설치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B, the configuration of the cable lead-
인출 도르래부(70),(72)의 이면부에는 케이블(80)의 한 끝단이 연결되고, 이 케이블(80)은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의 상부에 설치된 도르래(22),(32)및 하부에 설치된 도르래를 통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이 매달린 상태로 연결된 후, 인출 도르래부(70),(72)에 설치된 케이블 인출 도르래(74),(76)를 통하여 케이블 인출부(60),(62)의 외부로 인출된다. One end of the
이들 케이블 인출 도르래(74),(76)는 케이블(80)이 인출되는 인출위치와, 사용자가 실시하고자 하는 운동의 방향 및 궤적 등을 규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80)의 끝단에는 척수손상 장애인이 손으로 잡고 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90),(92)가 구비된다. These cable pulleys 74 and 76 define the withdrawal position at which the
인출 도르래부(70),(7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동부하부(20),(30) 내의 웨이트 스택이 걸려지는 케이블(80)이 인출되는 케이블 인출 도르래(74),(76)가 설치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able pulleys 74 and 76 are provided with the cable pulleys 74 and 76 through which the
상기 인출도르래(70),(72)는 도 2b (좌우에 설치된 것 중 우측만 표시)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그의 외부 케이싱이 상기 인출 도르래부(70)에 장착된 장착축(700)을 중심으로 인출 도르래부(70)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척수장애인이 의도하는 잔존근육에 대한 정확한 운동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인출위치, 인출높이 및 인출각도와 운동방향 등이 정확하게 규정되어야 하며, 케이블의 인출위치 및 인출높이는 인출도르래부(70)의 설치위치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지만, 케이블이 인출되는 각도 및 운동방향은 케이블 인출 도르래(74)가 좌우방향으로 요동가능한 것이어야만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이다.A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본적인 운동부하부(20),(30) 및 그에 연결된 케이블(60),(62)을 이용하여 운동하기 위해서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애인의 신체 및 휠체어가 확실하게 고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exercise using the basic exercise loads 20, 30 and the
휠체어 고정은 단순히 휠체어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의 고정이 아니라, 골반부위를 최대한 몸의 안쪽으로, 그리고 90도 각도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신체와 휠체어를 동시에 고정시켜야만 장애인이 안심할 수 있고, 또한 근력의 발휘가 가능하게 된다.Wheelchair fixation is not simply fixation of the wheelchair not moving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by fixing the pelvis inwardly and vertically at a 90 degree angle, the body and the wheelchair must be fix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exercise of muscle strength becomes possible.
그리고, 척수장애의 부위가 높아서 몸통까지도 고정이 되어야 한다면, 필요에 따라서 등 또는 가슴 부위에 패드를 부착부위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정확하게 밀착하고, 밴드로 고정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 And, if the area of the spinal cord disorder is to be fixed even to the torso, if necessary, the pad should be able to be precis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pad orthogonal to the attachment si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ecured with a ban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의 중간 프레임(40)의 중앙부와 상기 횡방향 프레임(13)의 중앙부에 그의 상하 끝단이 각각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50)의 외부 둘레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 프레임부(54)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 프레임부(54)의 내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 쪽 끝단에 사용자의 가슴 또는 등과 맞닿는 제1 패드(P1)를 가지는 제1 패드부(56)를 장착하였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A, the
도 2a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상하방향 표면에는 다수 개의 핀공(5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돌출 프레임부(54)에는 상기 핀공(51)에 고정되는 고정핀(540)이 구비되어 있어서, 지지 프레임(50)의 외부에서 제1 돌출 프레임부(54)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 또한, 척수손상 장애인이 혼자서 행할 수 있는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As shown in detail in FIG. 2A, a plurality of pin holes 51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한편, 제1 돌출 프레임부(54)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제1 패드(P1)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1 패드부(56)의 표면에도 다수 개의 핀공(53)이 형성되며, 돌출 프레임부(54)에 구비된 고정핀(560)에 의하여 전후 방향의 길이를 사용자 본인이 임의로 조절가능하다.Meanwhile, a plurality of pin holes may also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50)의 외부 둘레에 상기 제1 돌출 프레임부(54)의 아래쪽으로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 프레임부(58)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2 돌출 프레임부(58)의 내부에는 그의 한 쪽 끝단에 사용자의 골반을 지지하는 패드(P2)를 가지는 제2 패드부(59)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second
이러한 제1 및 제2 돌출 프레임부(54),(58)는, 척수장애의 부위가 높아서 몸통까지도 고정이 되어야 하는 경우, 등 또는 가슴 부위에 제1 패드(P1)를 부착부위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정확하게 밀착하고, 또한 골반부위를 최대한 몸의 안쪽으로, 그리고 90도 각도에서 수직방향으로 제2 패드(P2)에 의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신체와 휠체어를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장애인이 안심할 수 있고, 또한 근력의 발휘가 가능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는 방법 및 양태에 대해서 도 3 내지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method and aspect of using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a spinal cord injury person with a disability of this invention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are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쓰고자 하는 장애인은, 휠체어를 탄 채로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의 웨이트 스택의 중량을 조정한 후, 베이스(10)의 횡방향 프레임(13)의 앞쪽까지 진입한다.First, the disabled person who wants to use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the spinal cord injury handicapp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weight of the weight stacks of the left and right exercise loads 20 and 30 while riding a wheelchair, Enter to the front of the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휠체어를 앞뒤로 움직여서 최종위치를 정한 후, 휠체어의 바퀴에 달린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In this state, the user moves the wheelchair back and forth to determine the final position, and then secures the wheelchair so as not to move by using the control device attached to the wheel of the wheelchair.
그리고, 사용자는 지지프레임(50) 상에 설치된 제2 돌출프레임부(58)의 내부에 삽입된 제2 패드부(59)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 패드(P2)가 골반 안쪽의 깊숙한 위치에 오도록 한 후, 지지프레임(50) 상에 설치된 제2 돌출프레임부(58)를 최대한 내려 누른 후, 고정핀(580)을 핀공(51)에 고정시킨다.And, the user adjusts the length of the
또한, 이 상태에서 제1 돌출 프레임부(54)의 높이를 조절한 후, 제1 패드부(56)가 최대한 사용자의 가슴/등에 밀착되도록 한 후,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제1 패드(P1)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패드부(56)의 표면에도 형성된 핀공(53)중의 하나에 돌출 제1 돌출 프레임부(54)에 구비된 고정핀(560)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사용자는 휠체어와 몸통부위가 완전히 고정되어 안정적인 운동이 가능해진다. 이후, 손잡이(80),(82)를 양 손 또는 한 손으로 파지한 후 운동을 시작한다.In addition, afte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irst
본 발명에 따른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는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전방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후방으로 진입하여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the spinal cord injury person with a dis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enter the front in a wheelchair or enter the rear to allow various movements.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할 때, 휠체어를 타고 후방으로부터 진입한 상태에서, 제1 돌출 프레임부(54)의 제1 패드(P1)만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한 상태에서, 인출 도르래부(70),(72)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60),(62)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척수손상 장애인이 양팔을 사용하여 앞쪽으로 손모으기 (hand gathering)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이 운동은 가슴근육, 특히 대흉근 운동을 위한 것으로서, 도 3b에서 내려져 있던 양 팔을 얼굴 앞쪽으로 들어올려 도 3b의 위치까지 오도록 한다. For example, FIGS. 3A and 3B show a first pad P1 of the first
이 운동의 초기에는 양팔의 넓이가 넓지만, 운동 말기에는 양 손이 모아지기 때문에, 케이블 인출 도르래(74),(76)는, 척수손상 장애인의 재활을 위하여 잔존기능 근육을 정확하게 운동시키기 위한 케이블(80)의 인출위치 및 인출각도와 운동방향 등을 규정하는 작용을 함을 알 수 있다. In the beginning of this exercise, both arms are wider, but at the end of exercise, both hands are gathered, so the cable pulleys 74 and 76 are cables for precisely exercising the remaining functional muscles for rehabilitation of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 It can be seen that the function of defining the withdrawal position, withdrawal angle, direction of motion, and the like of (80).
도 4a 및 도 4b는, 인출 도르래부(70),(72)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60),(62)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팔을 사용하여 가슴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 운동의 경우에도 케이블 인출 도르래(74),(76)가 케이블(80)의 인출위치 및 인출각도와 운동방향 등을 규정하는 작용을 함을 알 수 있다.4A and 4B are operations when the user performs chest movement using both arms, with the heights of the
또한, 본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는, 후방으로 진입해서 가슴(대흉근)운동을 각도별로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팔운동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can not only move backward and perform chest (pectoral muscle) movement by angle, but also arm movement.
도 5a 및 도 5b는, 인출 도르래부(70),(72)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60),(62)의 중간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쪽 팔만을 사용하여 삼두박근 킥백 (triceps kickback)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5A and 5B show that the height of the
도 5a 및 도 5b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인출 도르래(74),(76)는 잔존근육인 삼부박근을 자극하여 정확하게 근육을 운동할 수 있도록 케이블(80)의 인출위치 및 인출각도와 운동방향 등을 유지한다.As is clear from FIGS. 5A and 5B, the cable pulleys 74 and 76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to extract the position and the extraction angle of the
도 6a 및 도 6b는, 인출 도르래부(70),(72)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60),(62)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쪽 팔만을 사용하여 언더 그립 삼두박근 킥백 (triceps kickback)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낸다. 6A and 6B show the user using only one arm under grip triceps kickback, with the height of the
한편, 도 7 내지 도 11은, 휠체어를 탄 척수손상 장애인이 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돌출 프레임부(54) 및 제2 돌출 프레임부 (58)의 높이 및 제1 패드부(56) 및 제2 패드부(59)에 의하여 운동자의 골반 및 가슴부위에 밀착하여 제1 패드(P1) 및 제2 패드(P2)에 의하여 하체 및 상체를 확고하게 고정한 후에 행하는 운동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자세에서는 등, 특히 광배근에 대한 운동을 각도별로 할수 있고, 물론 팔운동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Figures 7 to 11, the disabled spinal cord injury in a wheelchair enters from the front,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first
도 7a 및 도 7b는, 인출 도르래부(70),(72)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60),(62)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척수손상 장애인이 양팔을 사용하여 앞쪽으로 업라이트 (up-right)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7A and 7B show the person with a spinal cord injury upright forward using both arms, with the heights of the
도 8a 및 도 8b는,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중간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팔을 사용하여 케이블 로우 (cable-row)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이 운동은 케이블(80)의 인출이 정확하게 일직선 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인출 도르래부(70),(72) 및 케이블 인출 도르래(74),(76)가 이러한 목적을 정확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8A and 8B are photographs showing the postur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hen the user performs the cable-row movement using both arms, with the height of the pulley portion positioned at the middle of the cable pullout portion, respectively. As this movement, it is important for the
도 9a 및 도 9b는,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팔을 사용하여 로우 스카퓰러 리트렉션 (low scapular retraction)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양 손에 쥔 케이블(80)이 중간에 상호간에 교차되어야만 가능한 운동임을 알 수 있다. 9A and 9B illustrate posture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hen the user performs a low scapular retraction exercise using both arms, with the height of the pulley portion positioned above the cable pullout portion. As each picture i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본 발명의 도 10a 및 도 10b는, 휠체어를 타고 전방으로부터 진입한 상태에서,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척수손상 장애인이 한쪽 손으로는 제1 패드부(56)를 붙잡고, 다른 팔로는 업라이트 (up-right)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인출 도르래부의 높이를 케이블 인출부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팔을 사용하여 아암 컬 (arm curl)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10A and 10B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ntering the front of the pulley portion in a state of entering from the front in a wheelchair, spinal cord injury disabled person with the
이외에도,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매우 다양하고도 정확하게 의도하는 잔존근육에 대한 운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escription is omitted, it is possible to exercise a variety of and precisely the remaining muscles inten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의하면, 척수 손상에 의하여 모든 근육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장애인이, 재활에 필수적인 잔존근육 운동을 위하여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혼자의 힘으로 편리하고 확실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bled person who is unable to freely use all the muscles due to the spinal cord injury is allowed to do it alone by using a wheelchair alone for the remaining muscle exercise essential for rehabilit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weight training is convenient and reliable.
본 발명은 비록 특정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동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drawing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Claims (6)
상기 좌우의 종방향 프레임(11),(12) 상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채로 좌측 또는 우측 팔을 이용하여 중량의 조정이 가능한 웨이트 스택(22),(32)을 수납하고 있는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를 상부 및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40),(42);
상기 상부의 중간 프레임(40)과 상기 횡방향 프레임(13)에 그의 상하 끝단이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50);
상기 지지 프레임(50)의 외부 둘레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 프레임부(54);
상기 제1 돌출 프레임부(54)의 내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쪽 끝단에 사용자의 가슴 또는 등과 맞닿는 제1 패드(P1)를 가지는 제1 패드부(56);
상기 좌우의 종방향 프레임(11),(12) 상에서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케이블 인출부(60),(62);
상기 케이블 인출부(60),(62)의 외부 둘레에서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를 향하여 케이블 인출 도르래(74),(76)가 설치되는 인출 도르래부(70),(72);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 내의 웨이트 스택(22),(32)에 한쪽 끝단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 인출부(60),(62)의 케이블 인출 도르래(74),(76)를 거쳐서 인출되는 케이블(80); 및
상기 케이블(80)의 다른 쪽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90),(92);
를 포함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A base (10) having left and right longitudinal frames (11) and (1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transverse frame (13) connecting the longitudinal frames (11) and (12) to each other;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frames 11 and 12, respectively, the weight stacks 22 and 32 which accommodate the weight can be adjusted using the left or right arm while the user is sitting in a wheelchair. Left and right exercise loads 20 and 30;
An intermediate frame (40) (42)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load parts (20) and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A support frame 50 having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fixed to the upper middle frame 40 and the transverse frame 13;
A first protruding frame portion 54 that is height-adjustable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frame 50 and protrudes toward the user;
A first pad part 56 supported by the inside of the first protruding frame part 54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having a first pad P1 at one end thereof contacting the user's chest or back;
Cable lead portions (60) and (62)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frames (11) and (12) in close proximity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load portions (20) and (30);
Pull out pulley part 70, the height of which is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lead-out portion 60, 62, the cable pulley pulley 74, 76 is installed toward the user. 72);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eight stacks 22 and 32 in the left and right motion load portions 20 and 30, respectively, and the cable pulleys 74 and 74 of the cable lead-out portions 60 and 62, respectively. A cable 80 drawn out via 76; And
Handles 90 and 9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80;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spinal cord injury disabled including a.
상기 케이블 인출 도르래(74),(76)는 그의 외부 케이싱이 상기 인출 도르래부(70),(72)에 장착된 장착축(700)을 중심으로 인출 도르래부(70),(72)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cable pulleys 74 and 76 hav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ulley sections 70 and 72 whose outer casings are centered on mounting shafts 700 mounted on the pulley sections 70 and 72. A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a spinal cord injury pers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swing in a direction.
상기 지지 프레임(50)의 외부 둘레에 상기 제1 돌출 프레임부(54)의 아래쪽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 프레임부(58); 및
상기 제2 돌출 프레임부(58)의 내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 쪽 끝단에 사용자의 골반을 지지하는 패드(P2)를 가지는 제2 패드부(59);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econd protruding frame portion 58 that is height-adjustable downwardly of the first protruding frame portion 54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frame 50 and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user; And
A second pad part 59 supported to be adjustable in the length of the second protruding frame part 58 and having a pad P2 supporting a user's pelvis at one end thereof;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spinal cord injury disabled training apparatus.
상기 제1 및 제2 돌출 프레임부(54),(58)의 높이조절은, 상기 지지프레임(50)에 형성된 핀공(51) 및 상기 제1 및 제2 돌출 프레임(54),(58)을 상기 핀공(51)에 고정시키는 고정핀(540),(58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frame portions 54 and 58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pin hole 51 formed in the support frame 50 and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frames 54 and 58. Fixed pin 540, 580 is fixed to the pin hole (51),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spinal cord injury disabled.
상기 제1 및 제2 패드부(56),(59)의 길이조절은, 상기 제1 및 제2 패드부(56),(59)에 그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핀공(53) 및 상기 제1 및 제2 패드부(56),(59)를 상기 제1 및 제2 돌출 프레임부(54),(58)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핀(560),(59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ad portions 56 and 59 is per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pad portions 56 and 59 in a plurality of pin holes 53 and the first holes. And fixing pins 560 and 590 for fixing the second pad portions 56 and 59 to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frame portions 54 and 58, respectively. Weight training apparatus for spinal cord injuries.
상기 인출 도르래부(70),(72)의 높이조절은, 상기 케이블 인출부(60),(62)에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핀공(600) 및 상기 케이블 인출 도르래부(70),(72)를 상기 핀공(60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61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ulley pulleys 70 and 72 is, the pin hole 60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ble lead-out portion 60, 62, and the cable pulley pulleys 70, 72 It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the fixing pin 610 for fixing to the pin hole 600, spinal cord injury disabled trai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099131 | 2017-08-04 | ||
KR20170099134 | 2017-08-04 | ||
KR1020170099134 | 2017-08-04 | ||
KR1020170099131 | 2017-08-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5122A KR20190015122A (en) | 2019-02-13 |
KR102022567B1 true KR102022567B1 (en) | 2019-09-20 |
Family
ID=6536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8823A KR102022567B1 (en) | 2017-08-04 | 2018-07-30 |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2567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6900A (en) * | 2021-12-09 | 2023-06-16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Support device for assisting trunk exercise including coupler for weight training machine |
KR20230105911A (en) | 2022-01-05 | 2023-07-12 | 제이더블유글로벌 주식회사 | Wheel chair treadmill having safety apparatus |
KR20230174387A (en) | 2022-06-21 | 2023-12-28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Support device for assisting trunk exercise for weight training machine which supports and feeds back the user's trunk in a balanced way |
KR102675842B1 (en) * | 2023-09-27 | 2024-06-14 | 정영성 | Exercising Equipment for the Disable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21441A (en) * | 2019-11-11 | 2020-01-24 | 济南力生体育用品有限公司 | Household comprehensive training machine |
KR102347818B1 (en) * | 2020-11-27 | 2022-01-06 | (주)뉴텍웰니스 | Tri Cable Machin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017997A1 (en) | 2006-02-15 | 2009-01-15 | Darren Piggins | Compact Gym |
JP5009731B2 (en) | 2007-09-13 | 2012-08-22 | 近鉄スマイルサプライ株式会社 | Self walking train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77685A (en) * | 1992-02-11 | 1994-01-11 | Phillip Gonzales | Wheelchair occupant motion stabilizer for exercise machines |
AUPM550394A0 (en) * | 1994-05-09 | 1994-06-02 | Whiteley, Neville C | Exercise apparatus for the disabled |
US5807219A (en) | 1995-12-28 | 1998-09-15 | Webber; Randall T. | Exercise apparatus adaptable for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users |
-
2018
- 2018-07-30 KR KR1020180088823A patent/KR10202256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017997A1 (en) | 2006-02-15 | 2009-01-15 | Darren Piggins | Compact Gym |
JP5009731B2 (en) | 2007-09-13 | 2012-08-22 | 近鉄スマイルサプライ株式会社 | Self walking training machin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6900A (en) * | 2021-12-09 | 2023-06-16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Support device for assisting trunk exercise including coupler for weight training machine |
KR102646415B1 (en) * | 2021-12-09 | 2024-03-12 | 대한민국 | Support device for assisting trunk exercise including coupler for weight training machine |
KR20230105911A (en) | 2022-01-05 | 2023-07-12 | 제이더블유글로벌 주식회사 | Wheel chair treadmill having safety apparatus |
KR20230174387A (en) | 2022-06-21 | 2023-12-28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Support device for assisting trunk exercise for weight training machine which supports and feeds back the user's trunk in a balanced way |
KR102694055B1 (en) * | 2022-06-21 | 2024-08-14 | 대한민국 | Support device for assisting trunk exercise for weight training machine which supports and feeds back the user's trunk in a balanced way |
KR102675842B1 (en) * | 2023-09-27 | 2024-06-14 | 정영성 | Exercising Equipment for the Disable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5122A (en) | 2019-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2567B1 (en) |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 |
US10143606B2 (en) | Sit-to-stand apparatus and method | |
US11590045B2 (en) | Apparatus for stimulating synchronized body motions of a user | |
US8968163B1 (en) | Unweighted therapy and training device | |
US7597656B2 (en) | Therapeutic exercise device | |
AU2008328550B2 (en) | A prone crawling exerciser | |
US8257232B2 (en) | Device for the reeducation of motory deficiencies, particularly deficiencies when walking, in patients | |
KR101065892B1 (en) |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ng Exercise Apparatus | |
US10293202B2 (en) | Fitness training system | |
US6422982B1 (en) | Chiropractic exerciser | |
KR20100041707A (en) | Device for balance and body orientation support | |
KR101236281B1 (en) | Rowing machine for the persons who have lower body paralysis | |
KR102022569B1 (en) |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 |
EP2181687A1 (en) | Exercise apparatus | |
KR101739686B1 (en) | exercising equipment for spine correction | |
CN107510922A (en) | Fitness training instrument and using method thereof | |
CN204246289U (en) | Multi-functional cervical shoulder lumbago and backache control instrument | |
JP2012192107A (en) | Muscular force training device | |
KR20190022222A (en) | A health bed system having a exercise assistance aids | |
WO1994008545A1 (en) | Traction apparatus | |
US5953774A (en) | Frontally insertable body hoist seat and sling assembly | |
EP2263762A1 (en) | Upper torso exercise apparatus | |
CN212880787U (en) | A supplementary utensil for rehabilitation and nursing | |
CN215351828U (en) | Quadriceps femoris training chair | |
CN215229947U (en) | Improved gener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helps capable wa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