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24313B1 -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313B1
KR102024313B1 KR1020180137554A KR20180137554A KR102024313B1 KR 102024313 B1 KR102024313 B1 KR 102024313B1 KR 1020180137554 A KR1020180137554 A KR 1020180137554A KR 20180137554 A KR20180137554 A KR 20180137554A KR 102024313 B1 KR102024313 B1 KR 102024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xn
data
cell
mobile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규
남용우
Original Assignee
(주)모비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비안 filed Critical (주)모비안
Priority to KR102018013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MXN)에 있어서 LTE-TDD에 규정되어 있는 UL/DL 컨피규레이션에서 허용하는 최대 DL 데이터 전송량 이상의 DL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출하는 밀리미터파 빔에 의해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빔으로 구획되고 각 빔이 다시 복수의 주파수 대역(FA)으로 분할된 하나 이상의 MXN 허브, 각 MXN 허브에 무선 정합된 하나 이상의 MXN 터미널 및 MXN 허브에 연결되어 MXN 터미널의 이동성을 제어하는 mXCU를 포함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며, 기준 이상의 DL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1개의 FA로 정해지는 P셀과 나머지 FA로 정해지는 모든 S셀에 대해 LTE-TDD 표준이 허용하는 5번 컨피규레이션을 사용하여 DL/UL의 자원을 9:1로 구성하는 (a) 단계 및 DL 데이터 자원이 추가로 필요하고 또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가능하면, S셀의 1개 서브프레임 분량의 UL 데이터 자원까지 DL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수만큼의 S셀의 통신 방식을 FDD로 변환한 후에 해당 S셀의 UL 데이터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method for managing of mobile Xhaul network}
본 발명은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MXN)에 있어서 LTE-TDD에 규정되어 있는 UL/DL 컨피규레이션에서 허용하는 최대 DL 데이터 전송량 이상의 DL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은 2015년 10월 전파통신총회를 열고, 5G의 공식 기술 명칭을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20'으로 정했는데, 5G는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의 약자다. 2㎓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4G와 달리, 5G는 28㎓의 초고대역 주파수, 즉 밀리미터파를 사용한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내린 정의에 따르면, 5G는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20Gbps, 최저 다운로드 속도가 100Mbps인 이동통신 기술로서, 1㎢ 반경 안의 100만 개 기기에 사물 인터넷(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시속 500㎞ 고속열차에서도 자유로운 통신을 지원해야 한다. 5G 다운로드 속도는 현재 이동통신 속도인 300Mbps에 비해 70배 이상 빠르고, 일반 LTE에 비해선 280배 빠른 수준으로서, 영화 1GB 영화 한 편을 10초 안에 내려받을 수 있는 속도이다.
또한, 4G에서 응답 속도는 10~50㎳ 정도이지만, 5G는 이보다 대략 10배 정도 빠른 수 ㎳ 이내의 응답 속도를 지원함으로써 많은 양의 데이터를 중앙 서버와 끊김 없이 주고받아야 하는 자율주행차나 사물인터넷(IoT) 분야에서 5G가 활발하게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5G에서는 직교 주파수 다중 분할 접속(OFDMA) 방식과 전력 및 코드 다중화 방식을 추가하는 식의 혁신적인 무선접속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R)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5G에 대한 얘기가 본격적으로 이뤄진 건 2015년부터인데, 국제전기통신연합(ITU)과 국제 민간 기술 표준화 기구인 3GPP는 오는 2020년까지 수차례 국제회의를 거쳐 5G 표준을 완성해 나갈 계획이다. 이 외에도 각 나라에서 5G에 대한 논의가 한창인데, 한국은 5G 포럼, 중국은 IMT-2020, 일본은 ARIB 등을 만들고 5G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5G 이동통신에서는 대용량 전송을 위해 최소 500㎒ 이상의 연속적인 광대역 확보가 용이한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10㎓ 내지 300㎓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폭넓게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의 전파는 자유 공간 손실이 심하고, 대기 및 강우 감쇠로 인한 손실이 크며, 직진성이 강하고, 회절 및 투과에 의한 전파 손실이 크기 때문에 안테나의 에너지를 집중시켜서 좁은 빔(narrow beam)의 형태로 방사된다.
이를 감안하여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는 일정 영역(빔 스폿)을 커버하는 일정 방향의 빔들이 전체 영역을 나누어서 커버하는 다중 빔 형태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경우에 기지국은 자신의 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서 많은 소폭 빔(narrow beam)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물리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커버되는 이동통신 셀(20)은, 예를 들어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도 1의 예에서는 16개)의 빔 스폿(Beam Spot)으로 구획될 수 있고, 각각의 빔 스폿은 다시 이에 1대1 대응 또는 1대M(단, M은 복수) 대응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각 안테나 소자는 패치 안테나 또는 혼 안테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이러한 안테나 소자들이 행렬 형태, 예를 들어 4*4의 행렬 형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안테나 어레이(10)를 예시하고 있다.
한편, 5G 서비스의 시작은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는데, 폭증하는 모바일 트래픽 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는 전술한 CoMP, CA 및 MIMO 등과 같은 최신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의 도입뿐만 아니라 기지국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축소시키고 기지국 밀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이다. 무선 액세스 구간에서의 트래픽 폭증과 기지국의 조밀화는 네트워크의 모세관 현상(capillarity)을 촉발하여 결국 RAN과 패킷 코어(EPC; Evolved Packet Core) 사이의 백홀의 트래픽 부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 모세관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백홀의 증설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 유선 위주의 구축ㆍ증설 방식으로는 통신 사업자의 수익이 데이터 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못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구조의 유연성을 증대시키고 통신 사업자 간 네트워크 공유가 용이하도록 통합적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5G 서비스를 위한 구축ㆍ증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통합형 프론트홀/미드홀/백홀 기술로의 진화가 필요하다(이상 선행기술1 참조). 이를 감안하여 제안된 기술이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MXN: Mobile Xhaul Network)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3GPP는 기존 LTE와는 다른 무선접속기술(NR)을 정의하기로 결정하고, LTE와 NR 모두를 5G 무선접속기술로 정의하고 있는데, LTE 시스템에서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구분하는 방식은 두 가지의 형태로 지원되고 있다. 첫 번째 방식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로써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주파수 대역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며, 두 번째 방식은 TDD(Time Division Duplexing)로써 시간 영역으로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도 2는 LTE 시스템의 TDD 방식(이하 'TDD-LTE'라 한다)의 프레임 구조에서 업링크와 다운링크 전송구간의 길이를 정의한 테이블이다. TDD-LTE 방식에서 시간 영역에서의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전송 구간의 길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UL(Up Link)/DL(Down Link)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이라고 하는 시그널링을 통하여 결정되는데, 그 값에 따라 총 7가지의 형태로 업링크와 다운링크가 구분된다. 즉, 요구되는 DL 데이터 량이나 UL 데이터 량에 따라 적합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도 2에서 "D"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U"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S"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전환될 때 삽입되는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인데, 1개의 프레임(frame)은 10㎳로 이루어지고 각 서브프레임은 다시 1㎳로 이루어져서 1개의 프레임에 총 10개의 서브프레임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비스나 대용량 데이터 다운로드가 필요한 특정 서비스의 경우에는 DL 데이터 전송 자원이 훨씬 많이 필요한데, 현재의 LTE-TDD 표준에서는 5번 컨피규레이션을 사용하여 DL:UL 구성을 최대 9;1(특수 프레임까지 DL 데이터 전송에 사용)로 하는 것이 최선일뿐 DL 데이터 전송 자원을 더 이상 늘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 선행기술1: 10-1600282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UE 트래픽 분산 처리를 위한 MAC 분배 방법) - 선행기술2: 10-2015-0095503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빔 기지국 연결 방법 및 장치) - 선행기술3: 10-2016-0004003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MXN)에 있어서 LTE-TDD에 규정되어 있는 UL/DL 컨피규레이션에서 허용하는 최대 DL 데이터 전송량 이상의 DL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출하는 밀리미터파 빔에 의해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빔으로 구획되고 각 빔이 다시 복수의 주파수 대역(FA)으로 분할된 하나 이상의 MXN 허브, 각 MXN 허브에 무선 정합된 하나 이상의 MXN 터미널 및 MXN 허브에 연결되어 MXN 터미널의 이동성을 제어하는 mXCU를 포함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며, 기준 이상의 DL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1개의 FA로 정해지는 P셀과 나머지 FA로 정해지는 모든 S셀에 대해 LTE-TDD 표준이 허용하는 5번 컨피규레이션을 사용하여 DL/UL의 자원을 9:1로 구성하는 (a) 단계 및 DL 데이터 자원이 추가로 필요하고 또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가능하면, S셀의 1개 서브프레임 분량의 UL 데이터 자원까지 DL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수만큼의 S셀의 통신 방식을 FDD로 변환한 후에 해당 S셀의 UL 데이터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는 해당 S셀의 PUCCH 데이터만을 전송하고, PUSCH 데이터는 P셀을 통해 전송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MXN)에 있어서 비인가 주파수 대역까지 사용하여 D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LTE-TDD에 규정되어 있는 UL/DL 컨피규레이션에서 허용하는 최대 DL 데이터 전송량 이상의 D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물리적인 구성도.
도 2는 LTE 시스템의 TDD 방식(이하 'TDD-LTE'라 한다)의 프레임 구조에서 업링크와 다운링크 전송구간의 길이를 정의한 테이블.
도 3은 본 발명의 운용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MXN)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각 빔 스폿의 운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단말(user terminal)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 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전술한 UE, MT, MS, AMS, HR-MS, SS, PSS 또는 AT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B),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 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전술한 노드B, eNB, BS, ABS, HR-BS AP, RAS 또는 BT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운용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MXN)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는 4G 또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프론트홀(Fronthaul) 및 백홀(Backhaul) 기능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무선망으로서 MXN 허브(Hub)(110), MXN 터미널(Terminal)(130) 및 mXCU(mobile Xhaul Control Unit, 이동성 제어기)(120)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MXN 허브(110)와 MXN 터미널(130)은 유연하면서도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망 구성을 위해 광대역폭의 주파수 활용이 가능한 밀리미터파 기반의 무선링크 정합을 제공한다. MXN 터미널(130)은 4G/5G 기지국(140), 예를 들어 스몰셀이나 펨토셀 등에 정합되고 MXN 허브(110)는 후술하는 MXN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LTE 네트워크의 EPC(100)에 연결되어 무선 백홀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4G/5G DU(Digital Unit)(미도시)가 MXN 허브(110)와 정합되고 RU(Radio Unit) 또는 기지국 기능 분할에 따라 구성된 TP(Transmit Point)(미도시)가 MXN 터미널(130)과 연동하여 프론트홀 서비스를 제공한다. MXN 터미널(130)은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버스나 기차 또는 이동 셀의 AP(Access Point)로도 구성될 수 있는데, mXCU(120)에 의해 그 이동성이 제어된다. mXCU(120)는 MXN의 토폴로지 및 데이터 경로를 관리하고, 전송 노드들을 중앙 집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구성에서, MXN 허브(120)는 기본 기지국에 해당될 수 있고, MXN 터미널(130)은 백홀 중계 단말에 해당될 수 있으며, MXN 터미널(130)에 정합된 스몰셀이나 펨토셀 등의 4G/5G 기지국은 백홀 기지국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각 빔 스폿의 운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이 대략 1㎓로 넓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각 빔을 다시 복수, 예를 들어 8개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로 분할(Frequency Allocation)(FA1 ~ FA8)한 상태에서 LTE-A 시스템에서 채택하고 있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LTE-A 시스템은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셀(cell)의 개념을 사용하는데, 상기한 반송파 집성 환경은 다중 셀(multiple cells) 환경으로 일컬을 수 있다.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셀은 프라이머리 셀(P셀: primary cell) 및 세컨더리 셀(S셀: secondary cell)을 포함한다. P셀은 PCC(primary CC)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는데, 단말이 초기 연결 확립(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이나 연결 재-확립(connection re-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핸드오버 과정에서 지시된 셀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러한 P셀은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 설정된 서빙 셀 중 제어 관련 통신의 중심이 되는 셀을 의미한다. 즉, 단말은 자신의 P셀에서만 PUCCH을 할당받아 전송할 수 있으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거나 모니터링 절차를 변경함에 있어서도 P셀만을 이용할 수 있다.
S셀은 SCC(secondary CC)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는데, 특정 단말에 P셀은 하나만 할당되며, S셀은 하나 이상 할당될 수 있다. S셀은 RRC 연결 확립이 이루어진 이후에 구성 가능하고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바, MXN 허브를 주체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UE)은 특정 빔의 P셀에 접속한 후에 필요에 따라 S셀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데, 몇 번 FA를 P셀로 결정할지의 여부는 MXN 허브에 의해 수행된다.
이 상태에서 대용량의 DL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도 5의 단계 S10에서 P셀과 모든 S셀을 LTE-TDD 표준이 허용하는 최대 DL/UL 자원 구성, 즉 5번 컨피규레이션을 사용하여 DL/UL의 자원을 9:1로 구성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에서는 DL 데이터 자원이 추가로 필요한지를 판단하는데, 충분한 경우에는 단계 S20을 반복 수행한다. 반면에 추가로 필요한 경우에는 단계 S30으로 진행하여 5G에서 허용하는 비인가(Unlicessed)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WiFi 주파수 대역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이러한 판단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은 LBT(Listen Before Talk)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30에서의 판단 결과, 비인가 대역의 주파수 자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프로그램은 단계 S20으로 복귀하는 반면에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5번 컨피규레이션에서 사용하는 1개의 서브프레임 분량의 UL 데이터 자원까지 DL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기 위해 단계 S40으로 진행하여 임의의 S셀, 예를 들어 1번 FA의 통신 방식을 FDD로 변환하고, 기존에 1번 FA의 UL 데이터, 그 중에서도 사용자 데이터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P셀 FA로 전송한다.
이어지는, 단계 S50에서는 해당 S셀, 즉 1번 FA의 DL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정보와 시스템 운용을 위한 SRS 등의 정보, 즉 상대적으로 데이터량이 적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데이터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 S60에서는 DL 데이터 자원이 추가로 필요한지를 다시 한번 판단하는데, 필요한 경우에는 그 필요한 정도만큼 단계 S70 및 S80을 수행하여 2번 내지 7번 FA에 대해서도 전술한 1번 FA에 대해 수행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UL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 S90에서는 DL 데이터 요구량이 감소했는지를 판단하는데, 감소한 경우에는 다시 단계S20으로 복귀하는 반면에 감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0으로 진행하여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불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단계 S100에서의 판단 결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단계 S20으로 복귀하는 반면에 가능한 경우에는 현재의 DL 데이터 량을 유지한 상태에서 단계 S90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무선 자원은 1번 내지 7번 FA의 DL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정보와 SRS 등의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하므로 10 내지 20㎒의 대역폭만으로도 충분하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모든 사용자 주파수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하거나 모든 UL 데이터, 즉 FDD로 변환되는 S셀의 PUSCH 데이터는 물론이고 PUCCH 데이터까지 P셀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는 4G LTE 시스템에 의거하여 설명을 진행하였는데, 현재 5G관련 회의에서는 한 프레임이 2ms(200us subframe)로 논의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1프레임의 길이는 표준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송출하는 밀리미터파 빔에 의해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빔으로 구획되고 각 빔이 다시 복수의 주파수 대역(FA)으로 분할된 하나 이상의 MXN 허브, 각 MXN 허브에 무선 정합된 하나 이상의 MXN 터미널 및 MXN 허브에 연결되어 MXN 터미널의 이동성을 제어하는 mXCU를 포함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며,
    기준 이상의 DL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1개의 FA로 정해지는 P셀과 나머지 FA로 정해지는 모든 S셀에 대해 LTE-TDD 표준이 허용하는 5번 컨피규레이션을 사용하여 DL/UL의 자원을 9:1로 구성하는 (a) 단계 및
    DL 데이터 자원이 추가로 필요하고 또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가능하면, S셀의 1개 서브프레임 분량의 UL 데이터 자원까지 DL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수만큼의 S셀의 통신 방식을 FDD로 변환한 후에 해당 S셀의 UL 데이터를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는 해당 S셀의 PUCCH 데이터만을 전송하고, PUSCH 데이터는 P셀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KR1020180137554A 2018-11-09 2018-11-09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KR102024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554A KR102024313B1 (ko) 2018-11-09 2018-11-09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554A KR102024313B1 (ko) 2018-11-09 2018-11-09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313B1 true KR102024313B1 (ko) 2019-09-24

Family

ID=6806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554A KR102024313B1 (ko) 2018-11-09 2018-11-09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31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053A (ko) * 2011-02-07 2014-01-0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면허 면제 스펙트럼에서 보충 셀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95503A (ko) 2014-02-13 2015-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빔 기지국 연결 방법 및 장치
KR20160004003A (ko) 2014-07-01 2016-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18837A (ko) * 2012-01-23 2016-02-17 인텔 코포레이션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동적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
KR101600282B1 (ko) 2014-12-26 2016-03-07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ue 트래픽 분산 처리를 위한 mac 분배 방법
KR20160105818A (ko) * 2014-02-24 2016-09-07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비허가 캐리어 타입에 대한 스케쥴링
KR20170102528A (ko) * 2015-02-06 2017-09-11 애플 인크. 비면허 무선 주파수 대역에서의 시분할 lte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105388A (ko) * 2017-03-15 2018-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harq 프로토콜의 수행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053A (ko) * 2011-02-07 2014-01-0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면허 면제 스펙트럼에서 보충 셀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18837A (ko) * 2012-01-23 2016-02-17 인텔 코포레이션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동적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
KR20150095503A (ko) 2014-02-13 2015-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빔 기지국 연결 방법 및 장치
KR20160105818A (ko) * 2014-02-24 2016-09-07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비허가 캐리어 타입에 대한 스케쥴링
KR20160004003A (ko) 2014-07-01 2016-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KR101600282B1 (ko) 2014-12-26 2016-03-07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ue 트래픽 분산 처리를 위한 mac 분배 방법
KR20170102528A (ko) * 2015-02-06 2017-09-11 애플 인크. 비면허 무선 주파수 대역에서의 시분할 lte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105388A (ko) * 2017-03-15 2018-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harq 프로토콜의 수행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승권 외 3인, "이동 엑스홀 네트워크(MXN) 기술 동향", 전자공학회지 44(4), pp.48-57, 201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8748B2 (ja) ソース基地局、ターゲット基地局、及びこれらの方法
US10721118B2 (en) Method for configuring dual-connectivity by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US94205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 to-device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409332B (zh) 毫米波网络中的无线回程和接入通信之间的资源划分
CN114982309B (zh) 用于非陆地网络的定时调整
EP3301874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evant device
EP2996435B1 (en) User device and radio base station
CN114600378A (zh) 终端及通信方法
US105368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2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WO2020031728A1 (ja) gNBの分散ユニットにおける方法、gNBの中央ユニットにおける方法、及びgNBの方法
US20210298063A1 (en) Joint resource assignment for a user equipment (ue) and a relay ue for uplink and sidelink transmissions
Sung et al. Fast intra-beam switching scheme using common contention channels in millimeter-wave based cellular systems
CN117296417A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集成接入和回程节点的复用切换的设备和方法
KR20210118366A (ko) 릴레이 노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23204186A1 (ja) 通信システム
KR102024313B1 (ko)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KR10195778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운용 방법
KR102052027B1 (ko)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KR102039331B1 (ko)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WO2023013750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20240187075A1 (en) User equipment and scheduling node
WO2024029424A1 (ja) 通信システム
WO2023013744A1 (ja) 通信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US20230171590A1 (en) Capability information for a user equipment
KR2024000164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XDD(cross division duplex)에 기반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